KR20220085496A -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496A
KR20220085496A KR1020200175618A KR20200175618A KR20220085496A KR 20220085496 A KR20220085496 A KR 20220085496A KR 1020200175618 A KR1020200175618 A KR 1020200175618A KR 20200175618 A KR20200175618 A KR 20200175618A KR 20220085496 A KR20220085496 A KR 20220085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joint
present
colum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720B1 (ko
Inventor
유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7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7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4Structures with steel columns and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보를 사용하면서도 우수한 내진성능을 가지는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STRUCTURE HAVING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T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보를 사용하면서도 우수한 내진성능을 가지는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진 발생의 회수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어, 내진설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강구조물은 철근 콘크리트보다 가볍고, 변형능력이 우수하여 내진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강구조물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큰 지진 발생 시 힘이 집중되는 보-기둥 접합부 부근의 취성파단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내력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심하게는 건물이 붕괴되거나 큰 피해로 이어진다.
이를 방지하고자, 보와 기둥의 접합 시, 보 단면의 일부를 따내는 RBS (Reduced Beam Section) 공법을 적용하며, 국내에서는 수평 스티프너를 부착하여 강도 보강을 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늘고 있다.
도 1은 미국에서 특수모멘트 접합부로 사용되는 RBS 공법으로, 이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RBS는 모재의 일부를 절취하여 보 단부에서 집중되는 응력을 단면 절취부로 이동시켜 기둥과 접합되는 보 단부에서의 취성파단을 방지하고 절취부에서 소성힌지 발생을 유도하여 연성적 거동이 가능한 접합부이다. 다만, RBS 상세는 모재를 절취하기 때문에 일반 접합상세 대비 최대내력이 감소하여 낮은 변형각에서 조기 국부좌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보-기둥 접합부 상세에 연성 및 강도 향상을 위하여 스티프너를 부착한 것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 수평 스티프너 보강법은 접합부에서 최대하중이 발생하는 단부에 수평 스티프너를 보강하여 비보강 보 대비 높은 내력을 보유할 수 있는 공법이다. 다만, 단순히 수평 스티프너로 보강하게 되면 용접부 단부에서 취성파단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건설시장이 대형화, 장스팬화를 요구하는 경향으로, 높이가 큰 보의 적용의 증가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보 높이가 큰 경우, 접합부의 중간모멘트 골조 또는 특수모멘트골조의 구조성능을 발휘하는 접합상세가 요구된다. 그러나, 국내외 수많은 접합상세들이 제시되었으나, 높이가 큰 보에 적용하였을 경우 요구 변형능력을 만족하지 못하며 구조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H형강의 보; H형강의 기둥; 및 상기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접합부에는 용접접근공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H형강의 소재는 항복비가 0.8 이하이고, 0℃에서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27J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0.04rad의 층간변위에서 보 Mp(공칭소성모멘트)의 80% 이상이 유지되고 소성회전각이 0.03rad 이상 발현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보의 높이가 900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H형강의 보; H형강의 기둥; 및 상기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제조방법으로서,
H형강인 보 및 기둥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 및 기둥 접합부분에 개선각도를 가지도록 보 플랜지를 컷팅하고, 접합부분 부근에 백업바 및 엔드탭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와 기둥의 접합부분을 논스캘럽으로 용접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백업바 및 엔드탭을 제거하고 가우징하는 단계; 및
접합부 부근에 보강 모살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H형강의 소재는 항복비가 0.8 이하이고, 0℃에서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27J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보의 높이가 90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개선각도는 30~35°일 수 있다.
상기 용접 단계 시, 용접봉은 YGW12이고, 완전 용입 용접으로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특수모멘트 접합부의 일반적인 형상인 RBS 공법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보-기둥 접합부의 스티프너 보강법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 및 기둥의 H형강 제작허용오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H형강의 웨브 두께에 따른 용접부 제작 기준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보-기둥 접합부의 일반적인 형상인 스캘럽 용접공법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논스캘럽 Pos-H 보-기둥 접합부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합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접합부의 보호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보-기둥 접합부의 용접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보-기둥 접합부의 용접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구조물 제작과정 및 현장 설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논스캘럽 보-기둥 접합부의 용접 제작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논스캘럽 접합부의 판 두께에 따른 용접 적층도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접합부의 실대형 실험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실험체 세팅 구성도, 실험전경 및 가력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9은 각각 실시예 1 내지 5의 모멘트-회전각, 모멘트-소성회전각, 종국상황에서 소성힌지 및 변형된 양상을 나타낸다.
도 20은 실시예 1의 구간별 인장변형도 곡선 및 0.05rad 구간별 인장변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 및 도 22는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모델링 형상이며, 실시예 1과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모멘트-회전각 관계를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실시예 1과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형상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보 높이 700mm, 800mm, 900mm, 1000mm에 대하여 각각 논스캘럽 접합을 적용하여 소성힌지가 발생하는 것을 유한요소해석 수행한 것으로, 좌굴 발생 직전 사진을 3D로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구조물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종래 접합부에 대하여 취성파단이 발생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구현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구조물의 소재 및 역학 측면으로 제어하여 응력 전달의 원활함을 유도하고, 용접 제작 시 노치 발생 및 응력 전달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인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 보-기둥 접합부 부근의 취성파단을 방지하고, 보 접합부 단부의 보호영역대로 힘을 유도하여 소성힌지를 특정구간에 발생시킴으로써, 연성 능력 및 강도가 증대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구조물은 보 및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접합부에는 용접접근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보 및 기둥
본 발명의 구조물은 보 및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 및 기둥은 H형강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조물은 높이가 900mm 이하인 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900mm 이상인 초대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 및 기둥은 내진 조밀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의 제작 허용오차와 도 4 및 도 5의 용접부의 제작 기준으로 제작된 고연성 H형강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H형강의 제작 허용오차를 나타낸 것이며, 도 4 및 도 5는 웨브 두께에 따른 용접 종류와 용접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웨브 두께가 16mm 이하일 경우는 표의 조건에 따라 필릿용접을 적용할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웨브 두께가 16mm를 초과할 경우 그루브용접을 조건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 및 기둥은 항복비가 0.8 이하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재는 0℃에서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27J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재는 용접성 향상을 위하여 불순물 P를 0.02중량% 이하, S를 0.015중량%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 측면에 따르는 실시예로는 보 및 기둥으로 Pos-H를 사용할 수 있다.
접합부
본 발명의 구조물은 상기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합부는 용접접근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와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조물은 스캘럽(용접접근공)이 형성되지 않은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강 구조로 이루어진 보-기둥 접합부의 일반적인 접합 상세로, 접합되는 보 웨브 단부에 용접접근공(스캘럽)을 두어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스캘럽은 지진 발생 시 응력 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용접접근공에 응력이 집중되어 상하부 플랜지 단부에 취성파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용접접근공(스캘럽)을 배제하여, 보 단부의 응력의 흐름이 원할하게 하고, 아울러 노치로 인한 취성파단을 방지하고자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논스캘럽 Pos-H 보-기둥 접합부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용접접근공(스캘럽)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접합부는 도 9과 같이, 보 높이(춤)의 절반은 일체 가공을 하지 않아 해당 영역에서 소성힌지 발생이 원활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구조물은 보 및 기둥을 준비, 백업바 설치, 용접, 가우징 및 모살용접을 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 및 기둥 준비 단계
본 발명에서 보 및 기둥을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 및 기둥은 H형강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조물은 높이가 900mm 이하인 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900mm 이상인 초대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보 플랜지 부재를 컷팅하고 백업바 및 엔드탭 설치 단계
본 발명의 보 및 기둥 접합부분에 개선각도를 가지도록 보 플랜지를 컷팅하고, 접합부분 부근에 백업바 및 엔드탭을 설치할 수 있다.
종래에는 용접 시, 보와 기둥의 접합부에 용접의 편이성을 위하여 웨브 단부에 스캘럽을 두게 되는데 이러한 스캘럽은 응력을 집중시켜 후에 파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캘럽을 배제하여, 보 단부의 응력의 흐름이 원할하게 하고, 아울러 노치로 인한 취성파단을 방지하고자 한다. 따라서, 스캘럽은 배제하고, 보 플랜지 부재에 개선각도를 가지도록 컷팅만을 할 수 있다. 보 플랜지 부재의 개선각도는 용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30~35° 이상일 수 있다. 도 10은 보-기둥 접합부의 용접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컷팅 및 개선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접의 용이성 및 용접 성능을 위하여 백업바 및 엔드탭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1은 보-기둥 접합부의 용접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백업바 및 엔드탭을 설치를 통한 구조물 제작과정 및 현장 설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보와 기둥의 접합부분 용접 단계
상기 보와 기둥을 논스캘럽으로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와 기둥의 용접 시, 용접접근공이 형성되지 않는 논스캘럽 방식으로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와 기둥의 용접 시, 용접봉은 YGW12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용접은 완전 용입 용접을 적용할 수 있다. 용접 시, 패스의 수는 보의 판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제조비용, 입열량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논스캘럽 보-기둥 접합부의 용접 제작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논스캘럽 접합부의 판 두께에 따른 용접 적층도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나타낸 적층도의 착색부는 패스간 온도가 250℃ 이하로 추정되는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백업바 및 엔드탭 제거 및 가우징 단계
상기 접합부분의 용접 후 백업바(또는 백바) 및 엔드탭을 제거하고 가우징할 수 있다.
용접 시에 설치한 백업바 및 엔드탭을 제거하고, 용접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우징할 수 있다. 가우징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보강 모살용접 단계
상기 접합부 부근에 보강 모살용접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접 후, 보강 모살용접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구조물은 보와 기둥의 접합부의 연성 및 강도 향상을 통하여 내진성능을 향상되었으며, 접합부의 취성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규정된 반복재하 지진하중에 대해 최소 0.04rad의 층간변위에서 보 Mp(공칭소성모멘트)의 80% 이상이 유지되고 소성회전각이 0.03rad 이상 발현되어야 하는 특수모멘트 접합부나, 0.02rad의 층간변위에서 보 Mp의 80% 이상이 유지되어야 하는 중간모멘트 접합부의 성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특수모멘트 접합부 성능은 본 발명에서 보의 높이가 900mm 이하일 때도 발현될 수 있으며, 보 높이가 900mm 이상의 초대형보에서도 발현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는 본 발명의 접합부 성능 검증을 위하여 실대형 실험체의 보 및 기둥의 규격, 접합부 조건 및 기타 조건을 나타내었다. 보 및 기둥은 Pos-H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물 제작과정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과정을 모두 만족하였다. 용접방법은 동일하게 논스캘럽을 적용하였으며, 용접 전 보의 플랜지를 개선각도 30°로 컷팅하였으며, 용접 시, YGW12 와이어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실험을 하였으며, 실험 방법은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 세팅 구성도, 실험전경 및 가력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보 및 기둥을 접합하여 반복가력 실험을 하였다. 3000kN 용량 Actuator를 사용하였으며 최대변위는 ±300mm이다. 이 때, 가력방법은 KDS2019에 제시된 접합부 반복 재하 절차를 적용하였다. 최종가력은 가력장치인 액츄에이터의 변위한계인 층간변형각 0.05rad까지 가력을 하였다.
번호 기둥 접합부 보 이음 합성유무
용접방법 용접 디테일
(보 플랜지)
1 PH-600x600x50x70 PH-1000x300x16x25 논스캘럽 상하향용접 - -
2 PH-1000x300x16x25 하향용접 - -
3 PH-1000x300x16x35 상하향용접 - -
4 PH-1000x300x16x25 브라켓 -
5 PH-1000x300x16x25 합성바닥
실시예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특수모멘트 접합부의 성능이 구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5 내지 도 19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5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모멘트-회전각, 모멘트-소성회전각, 종국상황에서 소성힌지 및 변형된 양상을 나타낸다. 이들은 특수모멘트 조건인 층간변형각 0.04rad에서 0.8Mp를 초과하는 모멘트-회전각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탄성변형각을 제외한 소성회전각이 층간변형각 0.03rad 이상을 만족해야 하는 규정도 만족하는 것을 모멘트-소성회전각에서 나타내고 있다. 종국 상황에서 보와 기둥과 같은 메인 구조물에 일체의 취성파단 없이 보 단부쪽, 보호영역구간의 상하부 플랜지 및 웨브에 소성힌지가 발생하여 외부의 에너지를 흡수한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및 2는 용접 시, 상하향 및 하향용접을 행한 것으로 실시예 1은 상부플랜지는 하향용접을, 하부플랜지는 상향용접을 하였으며, 실시예 2는 상하부플랜지 모두 하향용접을 한 것으로,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특수 모멘트 조건을 만족하였다.
실시예 3은 보 플랜지 두께가 35mm인 것으로, 소성힌지 발현이 불리한 조건이나, 본 발명에서의 강재 및 용접방법을 적용하여 특수모멘트 성능이 구현되었다. 실시예 3은 보 플랜지가 35mm로 두꺼워져 실시예 1 및 2와 비교하여 단부면의 뒤쪽에서 소성힌지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는 칼럼트리 형식으로, 브라켓 이음부가 있어 볼트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는 데크바닥을 구성하여 합성효과를 고려한 실험체로 현장과 가장 유사한 형태를 구비한다. 실시예 5는 합성효과로 인하여 정부방향의 내력 차이가 있으나, 특수모멘트 접합부의 조건을 만족하였다. 또한, 데크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상하부 플랜지에 소성힌지가 발생하였고, 오히려 데크 바닥에 의하여 횡비틀림에 유리함도 보여주고 있다.
도 20은 실시예 1의 구간별 인장변형도 곡선 및 0.05rad 구간별 인장변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기둥 외주면에 가까울수록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모델링 형상이며, 실시예 1과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모멘트-회전각 관계를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초기 항복 값 외에는 거의 유사한 이력거동을 나타내어 유한요소해석의 신뢰도를 높였음을 알 수 있다.
도 23은 실시예 1과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형상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좌굴 및 응력 집중 현상이 거의 동일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한요소해석 결과가 초기 강성 해석 값이 약간 높게 형성되었으며, 내력저하 발생 전 0.02rad까지의 최대 내력은 다소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국부 좌굴이 두드러지게 발생하는 0.03rad 이상부터는 실험내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해석 결과 실제 실험보다 반 cycle 늦은 0.03rad 정방향에서 최초 국부좌굴이 발생하였다.
도 24는 보 높이 700mm, 800mm, 900mm, 1000mm에 각각 논스캘럽 접합을 적용하여 소성힌지가 발생하는 것을 유한요소해석 수행한 것으로, 좌굴 발생 직전 사진을 3D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높이가 작을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거동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25는 본 발명의 구조물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예시로, 보 높이(춤)가 692mm인 종래의 H형강이며, 스캘럽을 적용하여 접합하였다. 그 결과, 접합부 부근에서 취성파단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6은 종래 접합부에 대하여 취성파단이 발생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9)

  1. H형강의 보; H형강의 기둥; 및 상기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접합부에는 용접접근공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형강의 소재는 항복비가 0.8 이하이고, 0℃에서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27J 이상인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0.04rad의 층간변위에서 보 Mp(공칭소성모멘트)의 80% 이상이 유지되고 소성회전각이 0.03rad 이상 발현되는 구조물.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보의 높이가 900mm 이상인 구조물.
  5. H형강의 보; H형강의 기둥; 및 상기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제조방법으로서,
    H형강인 보 및 기둥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 및 기둥 접합부분에 개선각도를 가지도록 보 플랜지를 컷팅하고, 접합부분 부근에 백업바 및 엔드탭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와 기둥의 접합부분을 논스캘럽으로 용접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백업바 및 엔드탭을 제거하고 가우징하는 단계; 및
    접합부 부근에 보강 모살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H형강의 소재는 항복비가 0.8 이하이고, 0℃에서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가 27J 이상인 구조물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보의 높이가 900mm 이상인 구조물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각도는 30~35°인 구조물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단계 시, 용접봉은 YGW12이고, 완전 용입 용접으로 용접하는 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20200175618A 2020-12-15 2020-12-15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2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618A KR102521720B1 (ko) 2020-12-15 2020-12-15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618A KR102521720B1 (ko) 2020-12-15 2020-12-15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496A true KR20220085496A (ko) 2022-06-22
KR102521720B1 KR102521720B1 (ko) 2023-04-14

Family

ID=8221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618A KR102521720B1 (ko) 2020-12-15 2020-12-15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72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1988A (ja) * 1995-05-18 1996-11-26 Tomoe Corp 梁鉄骨と柱鉄骨の現場溶接方法
JPH09125140A (ja) * 1995-08-29 1997-05-13 Kawasaki Steel Corp 強度、靱性、溶接性および耐震性に優れた極厚h形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35294A (ja) * 2004-07-29 2006-02-09 Nippon Steel Corp 接合部の耐食性に優れた亜鉛系合金めっき鋼板の接合方法
KR20100076385A (ko) *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포스코 내진성능이 강화된 철골모멘트골조
KR20110075071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내진성능이 우수한 철골 기둥 및 보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방법
KR20120078108A (ko) * 2010-12-31 2012-07-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둥-보 접합 장치
KR101359989B1 (ko) * 2012-12-26 2014-02-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내진성능이 강화된 기둥과 보의 접합부 구조
KR20140068423A (ko) * 2012-11-28 2014-06-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응력 밸런스 타입 기둥-보 접합구조물
KR20180089145A (ko) * 2017-01-31 2018-08-08 동부제철 주식회사 내진형 중간모멘트 접합부를 갖는 철골구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1988A (ja) * 1995-05-18 1996-11-26 Tomoe Corp 梁鉄骨と柱鉄骨の現場溶接方法
JPH09125140A (ja) * 1995-08-29 1997-05-13 Kawasaki Steel Corp 強度、靱性、溶接性および耐震性に優れた極厚h形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33614B2 (ja) * 1995-08-29 2003-08-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強度、靱性、溶接性および耐震性に優れた極厚h形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35294A (ja) * 2004-07-29 2006-02-09 Nippon Steel Corp 接合部の耐食性に優れた亜鉛系合金めっき鋼板の接合方法
KR20100076385A (ko) *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포스코 내진성능이 강화된 철골모멘트골조
KR20110075071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내진성능이 우수한 철골 기둥 및 보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방법
KR20120078108A (ko) * 2010-12-31 2012-07-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둥-보 접합 장치
KR20140068423A (ko) * 2012-11-28 2014-06-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응력 밸런스 타입 기둥-보 접합구조물
KR101359989B1 (ko) * 2012-12-26 2014-02-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내진성능이 강화된 기둥과 보의 접합부 구조
KR20180089145A (ko) * 2017-01-31 2018-08-08 동부제철 주식회사 내진형 중간모멘트 접합부를 갖는 철골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720B1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1356B2 (ja) ラーメン骨組の柱梁接合部
CN105839776B (zh) 屈曲约束式钢梁柱端板连接节点和钢结构建筑
KR101226766B1 (ko) 기둥-보 접합 장치
CN1169764A (zh) 抗力矩钢框架梁柱结合
KR100516332B1 (ko)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구조
TWI399472B (zh) 耐震鋼骨構造及其設計方法
US9441360B2 (en) Yield link for providing increased ductility, redundancy, and hysteretic damping in structural bracing systems
JP2006002505A (ja) 柱梁接合構造の製造方法及び柱梁接合構造
JPH11140978A (ja) 柱梁接合部用鋼製h型断面ブラケット
KR20220085496A (ko) 내진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5967642B2 (ja) 建物の補強構造
JP6956466B2 (ja) 鉄骨梁および柱梁接合構造
JPH10292486A (ja) 通しダイアフラム体及びこれを用いた鉄骨構造物の接合構造
JP2973787B2 (ja) 制振機能を持つ偏心ブレース構造
JP4722560B2 (ja) 補強鋼材の耐力を有効利用した建築部材
JPH0627230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接合部構造
KR102407718B1 (ko) 댐퍼구조물 및 기둥부재 및 보부재의 접합구조
KR102329508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JP7351271B2 (ja) 鉄骨梁、柱梁接合構造およびこれを有する構造物
KR102307939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JP7263677B2 (ja) 構造物
JPH11280147A (ja) 耐震型柱・梁接合構造
JP7503510B2 (ja) 接合構造および接合構造の構築方法
JP4136869B2 (ja) エネルギー吸収が可能な鉄骨柱の溶接継手構法及び溶接継手構造
JP2001049740A (ja) ラーメ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