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933A -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933A
KR20220084933A KR1020200174896A KR20200174896A KR20220084933A KR 20220084933 A KR20220084933 A KR 20220084933A KR 1020200174896 A KR1020200174896 A KR 1020200174896A KR 20200174896 A KR20200174896 A KR 20200174896A KR 20220084933 A KR20220084933 A KR 20220084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marble
color pigment
marble
raw material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승
Original Assignee
이남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승 filed Critical 이남승
Priority to KR1020200174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4933A/ko
Publication of KR20220084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93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겔 상태의 인조대리석 원료를 바닥면 또는 벽면에 미장식으로 바르는 단계; 상기 발라진 인조대리석의 상면에 색상안료를 PET병에 넣고서 고르게 흩뿌리는 단계; 상기 색상안료가 인조대리석에 침착된 후 이를 상온에서 자연건조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경화가 완료된 인조대리석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소화된 공정으로 이루어진 미장식으로 바닥면 또는 벽면에 인조대리석을 시공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시공 편의성 등의 작업효율 향상과 함께 시공현장에 따른 색상의 선택과 더불어 인조대리석의 표면에 무늬 표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using artificial marble}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소화된 공정으로 이루어진 미장식으로 바닥면 또는 벽면에 인조대리석을 시공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시공 편의성 등의 작업효율 향상과 함께 시공현장에 따른 색상의 선택과 더불어 인조대리석의 표면에 무늬 표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 상판이나 가구, 건축용 내외장재로서 사용되는 대리석은 천연대리석도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인조대리석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인조대리석은 천연대리석과 같은 견고성과, 나무와 같은 유연한 가공성, 그리고 다양한 색상과 우아한 질감을 주는 장식 특성으로 인해 상업용이나 일반 주택용 내장 마감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인조대리석은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 없고, 타일, 나무, 화강암이나 대리석과 같이 시공하더라도 이음새가 두드러지지 않아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서식할 수 없기 때문에 세면대 싱크대 등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조대리석은 열가소성 수지와 무기 충전재를 주성분으로 하며, 이 외에도 항균성을 위한 첨가제, 미려함을 위한 칼라 점박이, 안료 등이 포함된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과 ABS수지,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 vinyl alcohol),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용화된 인조대리석은 아크릴계 수지(메틸 메타 크릴레이트)와 수산화 알루미늄의 무기 충전재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인조대리석은 싱크대나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하는 경우,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인조대리석 판재를 얻기 위해 미리 생산된 인조대리석 원판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스크랩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조대리석 원판으로부터 절단되어 나오는 작은 판재(스크랩)는 일반적으로 폐기되어 왔으므로 재료의 손실이 크고, 이러한 폐자재가 매립에 의하여 지반을 연약화하고, 분진을 발생할 뿐 아니라, 매립지 주변의 수질 및 공기를 오염시키는 등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어 왔으며, 자원 재활용의 요구가 있어 왔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상기 인조대리석의 폐기되는 부분을 다시 분쇄하여 이를 인조대리석으로 재차 성형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왔는데, 이러한 방식은 분쇄장치, 혼합장치, 압착 프레스 등의 추가적인 장비가 많이 필요할 뿐 아니라, 공정이 복잡하고, 첨가되는 첨가제가 많이 필요하며, 작업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대리석 판재의 재생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공개특허공보 제10-1992-0021819호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기둥외연의 분할편으로 되는 바탕재(1)를 구성하였고, 이러한 바탕재(1)는 기등의 외형으로 연결하여 조립하기 위한 조립수단(2)과 연결부의 패킹(3) 및 그 지지수단(4)과 연마표면(5) 및 연마측면(6)으로되는 인조대리석층과 이러한 인조대리석층을 조성하기위한 바탕재(1)상의 턱요소(6)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인조대리석 기둥부재"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8618호(2010.06.24)에는, "인조대리석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에 있어서, 인조대리석 원판(1)을 절단하여 인조대리석 스크랩(3)을 생성하는 단계(S100)와; 상기 단계(S100)에서 생성된 스크랩(3)의 상면(3a)을 파석하는 파석 단계(S120)와; 상기 단계(S120)에서 파석된 스크랩(3)의 상면을 브러싱하여 에지를 스무딩하고 자연스런 질감의 무늬를 형성시키는 브러싱 단계(S140)와; 상기 단계(S140)를 거친 인조대리석 스크랩(3)을 벽면(5) 또는 평평한 베이스보드(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이는 시공 단계(S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시공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시공방법들은 별도의 금형 또는 거푸집이 필요하거나 폐자재에 해당하는 재료를 별도의 공정을 통해서 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을뿐더러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거무튀튀한 인조대리석 특유의 색감에 의해 외적미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2-0021819호(1992.12.18)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8618호(2010.06.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소화된 공정으로 이루어진 미장식으로 바닥면 또는 벽면에 인조대리석을 시공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시공 편의성 등의 작업효율 향상과 함께 시공현장에 따른 색상의 선택과 더불어 인조대리석의 표면에 무늬 표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은, 겔 상태의 인조대리석 원료를 바닥면 또는 벽면에 미장식으로 바르는 단계; 상기 발라진 인조대리석의 상면에 색상안료를 PET병에 넣고서 고르게 흩뿌리는 단계; 상기 색상안료가 인조대리석에 침착된 후 이를 상온에서 자연건조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경화가 완료된 인조대리석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조대리석 원료는 무늬나 색상 표현을 위해 골재나 파쇄칩, 무기질 안료의 부가적인 재료의 첨가없이 순수한 인조대리석 원료를 반죽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소화된 공정으로 이루어진 미장식으로 바닥면 또는 벽면에 인조대리석을 시공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시공 편의성 등의 작업효율 향상과 함께 시공현장에 따른 색상의 선택과 더불어 인조대리석의 표면에 무늬 표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은, 겔 상태의 인조대리석 원료를 바닥면 또는 벽면에 미장식으로 바르는 단계(S-1); 상기 발라진 인조대리석의 상면에 색상안료를 PET병에 넣고서 고르게 흩뿌리는 단계(S-2); 상기 색상안료가 인조대리석에 침착된 후 이를 상온에서 자연건조하여 경화시키는 단계(S-3); 상기 경화가 완료된 인조대리석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S-4);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겔 상태의 인조대리석 원료를 바닥면 또는 벽면에 미장식으로 바르는 단계(S-1)에서, 상기 인조대리석 원료는 골재나 파쇄칩, 무기질 안료 등의 부가적인 재료가 첨가되지 않은 순수한 상태의 인조대리석 원료를 의미하고, 이와 같이 순수한 상태의 인조대리석 원료를 사용하는 것은 하기의 색상안료를 흩뿌리는 공정에서 상기 색상안료에 의한 색상의 선택적 표현과 함께 임의적인 무늬 표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순수한 상태의 인조대리석 원료는 사용하는 것은 미장식으로 바닥면 또는 벽면에 바를 시에도 용이하게 미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발라진 인조대리석의 상면에 색상안료를 PET병에 넣고서 고르게 흩뿌리는 단계(S-2)에서, 상기 색상안료는 인조대리석의 색이 탈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기안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이 PET병에 담긴 색상안료를 고르게 흩뿌리는 공정을 통해서 해당 색상안료의 색상이 표현됨과 더불어 임의적인 무늬가 인조대리석의 표면에 표현되므로 외적미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라진 인조대리석의 상면에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 곧바로 흩뿌리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인조대리석에 색상안료가 침착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색상안료의 흩뿌리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주입구 및 배출구에 해당하는 PET병의 주둥이 모양은 뾰족한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색상안료가 인조대리석에 침착된 후 이를 상온에서 자연건조하여 경화시키는 단계(S-3)에서, 상기와 같이 자연건조하여 경화시키는 이유는 상기 색상안료에 의해 표현된 색상과 무늬가 탈색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또 상기 인조대리석의 미장두께에 따라 색상안료의 흩뿌리는 양이 결정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경화가 완료된 인조대리석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S-4)는, 색상안료에 의해 표현된 색상과 무늬를 보호함과 더불어 인조대리석 표면의 외적미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색상안료에 의해 표현된 색상과 무늬는 인조대리석 내부에 침착된 상태이므로 연마를 통해 더욱더 선명한 색상과 무늬를 가지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한 공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간소화된 공정으로 이루어진 미장식으로 바닥면 또는 벽면에 인조대리석을 시공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시공 편의성 등의 작업효율 향상과 함께 시공현장에 따른 색상의 선택과 더불어 인조대리석의 표면에 무늬 표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2)

  1. 겔 상태의 인조대리석 원료를 바닥면 또는 벽면에 미장식으로 바르는 단계(S-1); 상기 발라진 인조대리석의 상면에 색상안료를 PET병에 넣고서 고르게 흩뿌리는 단계(S-2); 상기 색상안료가 인조대리석에 침착된 후 이를 상온에서 자연건조하여 경화시키는 단계(S-3); 상기 경화가 완료된 인조대리석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S-4);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대리석 원료는 무늬나 색상 표현을 위해 골재나 파쇄칩, 무기질 안료의 부가적인 재료의 첨가없이 순수한 인조대리석 원료를 반죽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
KR1020200174896A 2020-12-14 2020-12-14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 KR202200849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96A KR20220084933A (ko) 2020-12-14 2020-12-14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96A KR20220084933A (ko) 2020-12-14 2020-12-14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933A true KR20220084933A (ko) 2022-06-21

Family

ID=8222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896A KR20220084933A (ko) 2020-12-14 2020-12-14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493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819A (ko) 1991-05-22 1992-12-18 조규남 건축용 인조 대리석 기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68618A (ko) 2008-12-15 2010-06-24 (주)제이엠티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819A (ko) 1991-05-22 1992-12-18 조규남 건축용 인조 대리석 기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68618A (ko) 2008-12-15 2010-06-24 (주)제이엠티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4672A (en) Artificial stones
JPH02120340A (ja) 組み付け式の槽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96549A1 (en) Shower trim kit
US20050055931A1 (en) Stones-like laminates
KR101349559B1 (ko) 깊이감과 반짝임 효과를 연출하는 투명칩, 이를 포함하는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CN107234896B (zh) 一种软陶装饰面硬壳笔记本的制作工艺
KR20220084933A (ko)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
US10213939B1 (en) Method for producing stone inlay tesserae
US2013027640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recycled material in the fabrication of precast architectural products
KR101042523B1 (ko) 인조대리석 스크랩을 이용한 인테리어 벽면 시공방법
JP3701480B2 (ja) 高硬度軟質複合材
Bera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synthetic marble processing
GB2233640A (en) Mineral composition
KR100714886B1 (ko) 싱크 패턴을 갖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KR100914630B1 (ko) 나무 무늬 노출콘크리트 표면 연출공법
KR100935333B1 (ko) 인조대리석을 이용한 벽면 장식재 제조방법
KR100295340B1 (ko) 열경화성수지및무기충전물로만든조립식욕실용벽파넬및그제조방법
KR20080114013A (ko) 목재를 이용한 인테리어 패널 제조방법 및 인테리어 패널
KR101293819B1 (ko) 종이재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JP3819414B1 (ja) 人工大理石の製造方法
KR200345463Y1 (ko)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
KR20090115533A (ko) 무늬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KR100198135B1 (ko) 장식돌이 취부된 시멘트판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55100B1 (ko) 아스콘과 합성수지제 아스타일이 결합된 블럭형 바닥재 및그 제조방법
KR200328442Y1 (ko) 건축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