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463Y1 -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 - Google Patents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463Y1
KR200345463Y1 KR20-2003-0036373U KR20030036373U KR200345463Y1 KR 200345463 Y1 KR200345463 Y1 KR 200345463Y1 KR 20030036373 U KR20030036373 U KR 20030036373U KR 200345463 Y1 KR200345463 Y1 KR 200345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old
dried
molding
unsaturated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 filed Critical 김철
Priority to KR20-2003-0036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4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9Sanitar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일반석분을 주원료로 하여 성형된 욕조나 세면대 등과 같은 위생용품의 표면에 무늬를 갖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다양성 및 차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형틀의 표면에 이형재를 도포하고, 상기 이형재가 도포된 형틀의 표면에 소정 색상을 갖는 안료가 포함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를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며, 상기 무늬 위에 투명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를 이용하여 무늬를 덮는 표면층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층 및 무늬를 소정 온도 및 시간동안 열처리하여 건조하며,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석분의 주재료에 경화제가 첨가된 성형재료를 형틀에 주입하여 상기 건조된 표면층과 일체로 결합됨과 아울러 위생용품과 같은 형상의 성형물을 성형하고, 상기 형틀에서 성형되어 일정시간 자연 건조되면서 표면에 표면층및 무늬가 일체로 고정 결합된 성형물을 형틀에서 탈거하며, 상기 형틀에서 탈거된 성형물을 소정온도 및 시간으로 열처리하여 건조하고, 상기 열처리되어 건조된 성형물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 마감하여 성형물의 표면에 소정 형상의 무늬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SANITATION ARTICLE HAVE FIGURED}
본 고안은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일반석분을 주원료로 하여 성형된 욕조나 세면대 등과 같은 위생용품의 표면에 무늬를 갖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다양성 및 차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 욕조, 변기 등과 같은 위생용품은 대부분 성형틀을 이용한 성형제품으로서 그 재질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며, 재질이 갖는 특성상 생산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 널리 이용되고 있는 성형재료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에 일반석분이 혼합된 주재료에 원하는 색상의 안료와 경화제가 적정비율로 투입된 성형재료가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성형재료는 충분한 믹서작업과 기포제거 후 왁스 처리된 표면에 겔코트(GEL COAT)가 적정두께로 코팅된 상하성형틀 사이에 주입 성형하여 탈형하고, 탈형 후에는 경화 및 사상공정을 거쳐 완제품인 위생용품을 얻도록 하고 있으며, 이때에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일반석분은 약 1 : 1.3의 비율로 투입해 주어야만 석분이 가장 큰 응집력으로 뭉쳐져 최대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위생용품은 대부분 힌색등과 같은 단색으로 이루어져 재질자체의 질감이나 색상 그리고 디자인 등이 갖는 미감효과 이외에는 별다른 고급스러움이나 기능성은 전혀 찾아볼 수 가 없어 비싼 가격에 비해 제품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됨에 따라 값싼 제품과 차별화를 두지 못해 영업상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며, 실제 고가의 욕조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일반석분을 주원료로 하여 성형된 욕조나 세면대 등과 같은 위생용품의 표면에 무늬를 갖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다양성 및 차별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형틀의 표면에 이형재를 도포하고, 상기 이형재가 도포된 형틀의 표면에 소정 색상을 갖는 안료가 포함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를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며, 상기 무늬 위에 투명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를 이용하여 무늬를 덮는 표면층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층 및 무늬를 소정 온도 및 시간동안 열처리하여 건조하며,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석분의 주재료에 경화제가 첨가된 성형재료를 형틀에 주입하여 상기 건조된 표면층과 일체로 결합됨과 아울러 위생용품과 같은 형상의 성형물을 성형하고, 상기 형틀에서 성형되어 일정시간 자연 건조되면서 표면에 표면층및 무늬가 일체로 고정 결합된 성형물을 형틀에서 탈거하며, 상기 형틀에서 탈거된 성형물을 소정온도 및 시간으로 열처리하여 건조하고, 상기 열처리되어 건조된 성형물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 마감하여 성형물의 표면에 소정 형상의 무늬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본 고안인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위생용품
100' : 성형물
110 : 무늬
120 : 표면층
200 : 형틀
210 : 이형재
이하 본 고안인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100)은 특정 형상을 갖는 형틀(200)의 표면에 이형재(210)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이형재(210)가 도포된 형틀(200)의 표면에 소정 색상을 갖는 안료가 포함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를 이용하여 무늬(11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무늬(110) 위에 투명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를 이용하여 무늬(110)를 덮는 표면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표면층(120) 및 무늬(110)를 소정 온도 및 시간동안 열처리하여 건조하는 단계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석분의 주재료에 경화제가 첨가된 성형재료를 형틀(200)에 주입하여 상기 건조된 표면층(120)과 일체로 결합됨과 아울러 위생용품(100)과 같은 형상의 성형물(100')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형틀(200)에서 성형되어 일정시간 자연 건조되면서 표면에 표면층(120)및 무늬(110)가 일체로 고정 결합된 성형물(100')을 형틀(200)에서 탈거하는 단계와, 상기 형틀(200)에서 탈거된 성형물(100')을 소정온도 및 시간으로 열처리하여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열처리되어 건조된 성형물(100')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거쳐 성형물(100')의 표면에 소정 형상의 무늬(11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형재(210)는 성형물(100')이 형틀(200)에서 원활하게 탈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틀(200)에 바르는 것으로 주로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칼슘 등이 이용된다.
상기 이형재(210)의 표면에 그려진 무늬(110) 및 상기 무늬(110)를 덮으며 도포된 표면층(120)의 열처리 건조는 약 60℃의 온도에서 약 1시간 정도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형틀(200)에서 탈거된 성형물(100')을 열처리 건조하는 것은 성형물(10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약 80℃의 온도에서 약 1시간 30분 정도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형틀(200)의 표면에 그려진 무늬(110)를 덮으면서 도포되는 표면층(120)은 약 0.35 내지 0.8 m/m의 두께가 되도록 골고루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 두께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상기 표면층 및 무늬는 가온 경화 시킨 후 추후 성형 완료되었을 때 위생용품(100)의 표면이 된다.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석분의 혼합비율은 1:2.0∼2.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작업의 편의성 및 내구성 그리고 위생용품의 용도 등에 따라서는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석분의 배합비 및 경화제의 첨가비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이형제가 도포된 형틀(200)의 표면에 그려지는 무늬(110)는나무결무늬(110)를 그려 목제의 질감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타 다양한 종류의 그림이나 기아학적 도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은 기존에 대부분 흰색으로 제작되던 차거운 느낌을 벗어나 보다 따뜻하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는 목재의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감효과를 향상시킴은 물론 기존 제품과의 차별성을 두어 보다 높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무늬를 그림이나 기아학적 도형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제품이 이용되는 용도 및 장소를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형틀(200)의 표면에 이형재(210)를 도포하고, 상기 이형재(210)가 도포된 형틀(200)의 표면에 소정 색상을 갖는 안료가 포함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를 이용하여 무늬(110)를 형성하며, 상기 무늬(110) 위에 투명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를 이용하여 무늬(110)를 덮는 표면층(120)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층(120) 및 무늬(110)를 소정 온도 및 시간동안 열처리하여 건조하며,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석분의 주재료에 경화제가 첨가된 성형재료를 형틀(200)에 주입하여 상기 건조된 표면층(120)과 일체로 결합됨과 아울러 위생용품(100)과 같은 형상의 성형물(100')을 성형하고, 상기 형틀(200)에서 성형되어 일정시간 자연 건조되면서 표면에 표면층(120)및 무늬(110)가 일체로 고정 결합된 성형물(100')을 형틀(200)에서 탈거하며, 상기 형틀(200)에서 탈거된 성형물(100')을 소정온도 및 시간으로 열처리하여 건조하고, 상기 열처리되어 건조된 성형물(100')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 마감하여 성형물(100')의 표면에 소정 형상의 무늬(110)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
KR20-2003-0036373U 2003-11-21 2003-11-21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 KR200345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373U KR200345463Y1 (ko) 2003-11-21 2003-11-21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373U KR200345463Y1 (ko) 2003-11-21 2003-11-21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463Y1 true KR200345463Y1 (ko) 2004-03-18

Family

ID=4942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373U KR200345463Y1 (ko) 2003-11-21 2003-11-21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4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744B1 (ko) * 2021-05-14 2022-07-06 김다솜 욕조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744B1 (ko) * 2021-05-14 2022-07-06 김다솜 욕조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5948A (en) Simulated stone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832051B1 (ko) 쿠션 욕조 또는 세면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제조되는 쿠션 욕조 또는 세면기
US4554118A (en) Process of inlaying a design in molded simulated marble
KR200345463Y1 (ko) 무늬를 갖는 위생용품
KR920002768B1 (ko) 대나무를 이용한 장식물의 제조방법
KR20190104655A (ko) 건축 내장재 제조방법 및 건축 내장재
KR940010081B1 (ko) 인조대리석 위생용품의 제조방법
KR100810668B1 (ko) 색상 무늬를 갖는 멜라민수지 식기의 제조방법
KR100464533B1 (ko) 테두리 마감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가구 및 그 제조방법
JP2005007680A (ja) 木粉含有塗膜層を有する漆器
KR20010076603A (ko) 목제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목편을 코팅하는 방법과 그러한방법에 의해 형성된 피복층을 갖는 목편 및 그러한 목편을이용하여 제조된 목제품
KR100214281B1 (ko) 인조금속제품의 제조방법
KR20090009575U (ko) 돌침대 보료 및 헤드구조
RU230451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ированных формованных изделий
JPH04109142U (ja) 硬質凸部を有する人造大理石
KR980000991A (ko) 표층에 입체감을 주는 인조석재의 제조방법
KR100355187B1 (ko) 내부에 장식물을 포함하는 액상 수지의 성형방법 및 그에사용되는 형틀
KR100557319B1 (ko) 천연 나무무늬 문지방 및 그 제조방법
JPH0449408B2 (ko)
KR20220084933A (ko) 인조대리석의 시공방법
JP2002355155A (ja) 塗膜層に鉱物質の改質剤を含有する漆器
JP2000254934A (ja) 加飾成形品の成形方法
CZ255495A3 (en) Mouldable composition intended for producing sanitary articles
KR100894980B1 (ko) 욕실 및 화장실의 인테리어용 성형 패널의 제조 방법
JPH0327916A (ja) プレス成形による多重色化されたfrp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