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025A -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 Google Patents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4025A KR20220084025A KR1020227009876A KR20227009876A KR20220084025A KR 20220084025 A KR20220084025 A KR 20220084025A KR 1020227009876 A KR1020227009876 A KR 1020227009876A KR 20227009876 A KR20227009876 A KR 20227009876A KR 20220084025 A KR20220084025 A KR 202200840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s
- outer layer
- carbide
- centrifugal casting
- hot rol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21B27/021—Rolls for sheets or st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21B27/03—Sleeved rolls
- B21B27/032—Rolls for sheets or st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3/00—Centrifugal casting; Casting by using centrifugal force
- B22D13/02—Centrifugal casting; Casting by using centrifugal force of elongated solid or hollow bodies, e.g. pipes, in moulds rotating around their longitudinal axis
- B22D13/023—Centrifugal casting; Casting by using centrifugal force of elongated solid or hollow bodies, e.g. pipes, in moulds rotating around their longitudinal axis the longitudinal axis being horizon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16—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making compound objects cast of two or more different metals, e.g. for making rolls for rolling m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iron alloys or stee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5/00—Heat treatments of cast-iron
- C21D5/04—Heat treatments of cast-iron of white cast-iron
- C21D5/06—Malleabilising
- C21D5/14—Graphitis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3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oll bod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8—Making cast-iron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04—Cast-iron alloys containing spheroidal graphite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06—Cast-iron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7/08—Cast-iron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10—Cast-iron alloys containing aluminium or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2001/225—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by hot-ro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1/00—Special rolling modes
- B21B2201/06—Thermomechanical ro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3/00—Centrifugal casting; Casting by using centrifugal force
- B22D13/02—Centrifugal casting; Casting by using centrifugal force of elongated solid or hollow bodies, e.g. pipes, in moulds rotating around their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질량 기준으로 C: 2.6∼3.6 %, Si: 0.1∼3 %, Mn: 0.3∼2 %, Ni: 2.3∼5.5 %, Cr: 0.5∼3.2 %, Mo: 0.3∼1.6 %, V: 1.8∼3.4 %, 및 Nb: 0.7∼2.4 %를 함유하고, 1.4≤V/Nb≤2.7이며, V당량(Veq=V+0.55Nb)이 2.60∼4 질량%이며,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화학 조성을 가지는 Fe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외층에, 철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내층이 용착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판의 열간 압연기의 특히 제5∼ 제7 스탠드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원심 주조 복합 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압연 사용 영역 전체에 걸쳐 내마모성이 양호하며, 주조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외층과 내층의 경계가 건전한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에 관한 것이다.
핫스트립밀(hot strip mill)은, 연속 주조 등으로 제조한 두께 몇십∼300 mm의 슬래브(slab)를 가열한 후, 순서대로 복수의 조(粗)압연기 및 복수의 마무리 압연기의 롤 사이에, 1mm 정도∼몇십mm의 두께로 압연하는 것이다. 마무리 압연기는, 통상 5∼7 개의 4중식 압연기 스탠드를 직렬로 배치한 것이며, 특히 7개의 스탠드로 이루어지는 마무리 압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7스탠드의 마무리 압연기에서는, 제1∼제3 스탠드를 전단(前段) 스탠드라고 하고, 제4∼제7 스탠드를 후단(後段) 스탠드라고 한다.
마무리 압연기에 사용되는 롤은 압연에 의한 열적(熱的) 및 기계적 부하에 견딜 필요가 있으므로, 내마모성이 우수한 외층과 인성(靭性)이 우수한 내층을 용착 일체화한 복합 구조의 원심 주조 복합 롤(간단히 「복합 롤」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압연에 의한 열적 및 기계적 부하에 따라서는 외층 표면에 마모, 표면 거칠어짐, 히트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하므로, 일정 기간 사용한 후에 복합 롤을 압연기로부터 제거하여, 손상을 연삭(硏削) 제거(개삭(改削))한다. 개삭에 의해 복합 롤의 보디 직경은 초경(初徑)으로부터 압연에 사용 가능한 최소경(폐각경(廢却徑))까지 서서히 작아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초경으로부터 폐각경까지의 롤 직경을 압연 사용 유효 직경(간단히 「유효 직경」이라고 함)이라고 하고, 초경으로부터 폐각경까지의 유효 직경 영역을 「사용 영역」이라고 한다.
마무리 압연기의 특히 후단 스탠드에는, 종래부터 고합금 글렌 주철제(鑄鐵製)의 외층과 강인성(强靭性)이 우수한 주철제의 내층을 야금적으로 일체화한 원심 주조 복합 롤이 사용되어 왔다. 고합금 글렌 주철 외층은 흑연, 탄화물 및 기지 조직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내소부성(耐燒付性)이 우수하므로, 드로잉 사고에 조우한 경우에도, 크랙의 발생·진전이 지극히 적은, 즉 내사고성(耐事故性)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특히 후단 스탠드에서는, 얇은 강판이 중첩되어 압연되는 것에 의한 드로잉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내사고성이 양호한 고합금 글렌 주철을 외층으로 하는 복합 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합금 글렌 주철에는, M3C계(시멘타이트)만을 함유하는 타입과,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해 M3C계(시멘타이트) 및 바나듐 등의 원소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소량의 MC 탄화물을 함유하는 타입이 있다. 그러나, 고합금 글렌 주철은 고크롬 주철재나 하이스재에 비교하면 내마모성이 뒤떨어지므로, 다양한 개선이 행해져 왔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68142호는, 열간 압연용 복합 롤의 외층에 사용하는 외층재로서, 질량 기준으로 C: 2.9∼3.8 %, Si: 0.8∼2.0 %, Mn: 0.2∼1.5 %, Cr: 1.5∼3.5 %, Mo: 0.8∼3.5 %, Ni: 3.0∼7.0 %, V: 1.0∼3.5 %, Nb: 0.1∼0.8 %, B: 0.020∼0.2 %, REM: 0.002∼0.030 %를 포함하고, 또한 식(1): [2.5≤C-(0.236×V+0.129×Nb)≤3.2], 및 식(2): [0.5<Cr/C<1.0]을 만족시키고,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지는 열간 압연용 롤 외층재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68142호에는, 이 외층재를 가지는 복합 롤은 우수한 내소부성 및 내마모성을 겸비하고 있어, 강판의 열간 압연용의 후단 스탠드용 롤에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68142호에 기재된 구체예 중, (1) C: 3.76%, Cr: 1.67%, V: 2.38%, Nb: 0.92%, Ni: 4.62%, Si: 1.64%, Mn: 0.54%, Mo: 1.30%, B: 0.054%, 및 REM: 0.011%를 함유하는 시험재 L에는, C 함유량이 3.76%로 많으므로 흑연이나 탄화물이 과잉으로 되어 강도나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2) C: 3.46%, Cr: 2.27%, V: 2.46%, Nb: 0.83%, Ni: 4.55%, Si: 1.78%, Mn: 0.61%, Mo: 0.66%, B: 0.042%, 및 REM: 0.019%를 함유하는 시험재 T에는, V/Nb비가 2.96으로 지나치게 크므로 MC 탄화물의 분포가 외층 내주측에 치우치고 있는 문제가 있고, (3) C: 3.35%, Cr: 1.97%, V: 3.27%, Nb: 1.57%, Ni: 4.61%, Si: 1.91%, Mn: 0.5%, Mo: 1.32%, 및 B: 0.074%를 함유하는 시험재 W에는, V당량(Veq=V+0.55Nb)이 4.13질량%로 많으므로 MC 탄화물의 양이 많아지고, 조직 불균일나 조직 조대(粗大化)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279367호는, 질량 기준으로 C: 2.7∼4.0 %, Si: 0.5∼2 %, Mn: 0.2∼2 %, Mo: 0.2∼0.8 %, Ni: 2.5∼6.0 %, Cr: 1.0∼2.0 %, B: 0.01∼0.1 %를 함유하고, 또한 Nb: 0.2∼1.0 % 및 V: 0.2∼2.0 %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합금 글렌 주철제의 외층과, 고급 주철 또는 구형(球形) 흑연 주철제의 내층으로 이루어지는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롤을 개시하고 있다. 이 원심 주조 롤의 외층에서는, 종래의 고합금 글렌 주철재의 기본 조성에 적량의 Nb 및 V를 첨가하고 또한 적량의 B 등을 첨가하고 있으므로, 형성되는 탄화물은 M3C형(시멘타이트)이 주체이며, MC 탄화물은 대략 3% 이하로 적고, 주조 조직에 미세한 흑연 입자가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279367호는, 고가의 합금을 다량으로 함유시키지 않고 내마모성 및 내크랙성이 우수한 열간 압연용의 롤을 원심 주조법에 의해 염가로 제공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279367호는, 외층의 구체예로서, C: 3.2%, Si: 2.4%, Mn: 0.8%, Mo: 0.6%, Ni: 4.2%, Cr: 2.2%, Nb: 1.5%, V: 3.5%, 및 B: 0.04%를 함유하는 시험재 11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시험재 11은, V 함유량이 3.5%로 지나치게 많으므로 MC 탄화물이 외층 내주측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을뿐만 아니라, Veq가 4.33질량%로 많으므로 MC 탄화물의 양이 많아지고, 조직 불균일이나 조직 조대화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50681호는, 질량 기준으로 C: 2.5∼3.4 %, Si: 0.5∼2.0 %, Mn: 0.5∼1.0 %, Ni: 3.0∼6.0 %, Cr: 1.0∼2.0 %, Mo: 0.2∼0.8 %, V: 1.0∼4.0 %, Nb: 0.2∼1.0 %를 함유하고 또한, V와 Nb의 질량%가 식(1): 1≤(V-1)/Nb≤4, 및 식(2): 0.7≤1.8(V-1)+Nb≤5.0을 만족시키고,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원심 주조제 압연용 복합 롤의 외층재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50681호는, 이 외층재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중력 편석(偏析) 및 조대한 MC 탄화물의 정출(晶出)에 의한 표면 거칠어짐이 없다고 기재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50681호는, 구체예로서, (1) C: 3.1%, Si: 1.8%, Mn: 0.8%, Ni: 4.5%, Cr: 1.1%, Mo: 0.3%, V: 3.0%, Nb: 1.0%, B: 0.03%를 함유하는 외층용 시험편, (2) C: 3.2%, Si: 1.8%, Mn: 0.6%, Ni: 4.1%, Cr: 1.2%, Mo: 0.8%, V: 2.0%, 및 Nb: 1.0%를 함유하는 외층용 시험편, 및 (3) C: 3.5%, Si: 1.1%, Mn: 0.4%, Ni: 2.9%, Cr: 1.9%, Mo: 0.2%, V: 2.0%, 및Nb: 1.2%를 함유하는 외층용 시험편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1)의 시험편은 V/Nb비가 3으로 지나치게 크므로, MC 탄화물의 분포가 외층 내주측에 치우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2) 및 (3)의 시험편은 B를 함유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2)의 시험편은 Veq가 2.55질량%로 지나치게 적으므로 내마모성이 뒤떨어지고, 또한 (3)의 시험편은 Mo 함유량이 0.2%로 지나치게 적으므로 담금질성이 부족하고, 기지 경도가 낮고 내마모성이나 내사고성이 뒤떨어진다.
일본공개특허 제2017-185548호는, 질량 기준으로 C: 2.6∼3.8 %, Si: 0.1∼3.0 %, Mn: 0.3∼2.0 %, Ni: 2.3∼5.5 %, Cr: 0.5∼2.5 %, Mo: 0.2∼3.0 %, V: 0.2∼3.8 %, Nb: 0.4∼6.8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면적 기준으로 0.3∼10 %의 흑연 입자를 포함하는 조직을 가지는 외층과, 덕타일 주철로 이루어지는 축심부를 가지고, 상기 외층의 양 단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각각 100mm 이격된 위치의 C 함유량이, 상기 외층의 축 방향 길이의 중앙의 C 함유량에 대하여, 0.05∼0.3 질량% 많고, 상기 외층의 양 단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각각 100mm 이격된 위치의 Nb 함유량이, 상기 외층의 축 방향 길이의 중앙의 Nb 함유량에 대하여, 0.5∼3.0 질량% 많은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을 개시하고 있다. 이 롤은, 압연되는 강판의 폭 중앙부에 상대하는 외층 중앙부와, 강판의 양측의 폭 단부 근방에 상대하는 외층 단부가 평균적으로 마모가 진행하도록 외층의 국부(局部) 마모를 경감할 수 있고 또한, 내마모성이 우수한 외층을 가진다. 외층이 롤 축 방향에서 평균적으로 마모가 진행함으로써, 롤을 다시 압연에 제공할 경우, 롤 연마 시에 국부 마모한 부분이 소멸할 때까지의 연마가 적은 로스(loss)로 억제되어, 외층재의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7-185548호에서의 구체예로서, 실시예 1의 외층은 C: 3.34%, Si: 1.3%, Mn: 0.81%, Ni: 4.12%, Cr: 1.86%, Mo: 0.82%, V: 2.33%, 및 Nb: 0.78%를 함유하는 조성을 가지고, 실시예 2의 외층은 C: 3.51%, Si: 1.45%, Mn: 0.65%, Ni: 4.51%, Cr: 1.58%, Mo: 0.64%, V: 2.55%, 및 Nb: 0.92%를 함유하는 조성을 가진다. 그러나, 어느 쪽의 실시예에서도 V/Nb가 2.99 및 2.77로 지나치게 크므로, MC 탄화물의 분포가 외층 내주측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어, 사용층 내의 MC 탄화물의 수율이 저하되고, 내마모성이 열화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73767호는, 질량%로 C: 2.5∼4.0 %, Si: 0.8∼2.5 %, Mn: 0.2∼1.5 %, Cr: 1.0∼3.5 %, Mo: 0.5∼4.0 %, Ni: 3.0∼7.0 %, V: 1.0∼3.5 %, Nb: 0.2∼1.0 %, Al: 0.02∼0.2 %, 및 B: 0.020∼0.10 %를 함유하고, Cr/C이 1 이하이며,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지고, 또한 면적율로 0.6∼4 %의 흑연을 함유하는 조직을 가지는 열간 압연용 롤용의 외층재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73767호에 기재된 구체예로서, 링재 D는, C: 2.6%, Si: 1.7%, Mn: 0.5%, Ni: 4.9%, Cr: 3.0%, Mo: 1.2%, V: 1.8%, Nb: 1.3%, Al: 0.081%, 및 B: 0.046%를 함유하는 조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 링재 D는, V/Nb가 1.38로 지나치게 작고, 또한 Veq도 2.52로 지나치게 작다.
일본공개특허 제2015-193025호는, 질량 기준으로 C: 3.0∼4.5%, Si: 0% 초과 2.0% 이하, Mn: 0% 초과 1.5% 이하, Ni: 3.0∼5.0 %, Cr: 1.4∼4.0 %, Mo: 0.1∼3.0 %, 및 V: 0% 초과 3.0%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며, 또한 4.0%≤C+Si/3+Cr/7.5≤5.5%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성을 가지고, 주면의 금속 조직에서의 시멘타이트의 면적율이 40∼60 %인 외층을 가지는 압연용 복합 롤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5-193025호에 기재된 구체예로서, No. 1의 외층은, C: 3.7%, Si: 1.3%, Mn: 0.8%, Ni: 4.0%, Cr: 2.1%, Mo: 0.2%, V: 2.1%, Nb: 1.2%, 및 B: 0.05%를 함유하는 조성을 가진다. 그러나, C 함유량이 3.7%로 지나치게 많고, 또한 Mo 함유량이 0.2%로 지나치게 적으므로, 탄화물의 양이 과다하게 되어 내크랙성이 저하하고 또한 담금질성이 불충분하여 기지 경도가 부족하고, 내마모성이나 내표면거칠어짐성이 뒤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5-080813호는, 외층 및 내층을 가지는 원심 주조제 압연용 복합 롤로서, 상기 외층의 화학 성분이 질량비로 C: 1.5∼4.0 %, Si: 0.5∼3.0 %, Mn: 0.1∼1.5 %, Ni: 1.0∼6.0 %, Cr: 0.1∼3.0 %, Mo: 0.1∼3.0 %, 및 V: 1.0∼6.0 %로 이루어지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며, 또한 4.0≤V+C≤8.0 및 0.2≤Si/(Cr+2V)≤0.3을 만족시키는 원심 주조제 압연용 복합 롤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5-080813호에 기재된 구체예로서, No. 8의 외층은, C: 3.4%, Si: 1.6%, Mn: 0.8%, Ni: 4.5%, Cr: 1.8%, Mo: 0.5%, V: 2.5%, Nb: 0.9%, 및 B: 0.04%를 함유하는 조성을 가진다. 그러나, V/Nb가 2.78로 지나치게 크므로, MC 탄화물의 분포가 외층 내주측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어, 외층과 내층의 경계의 건전성이 불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 사용 영역 전체에 걸쳐 내마모성이 양호하며, 주조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외층과 내층의 경계가 건전한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는, 핫스트립밀에 사용하는 열간 압연용 복합 롤의 외층에 있어서, 내마모성에 기여하는 MC 탄화물이 주로 초경으로부터 폐각경까지의 사용 영역에 분포하도록, V 및 Nb를 포함하는 구성 원소의 조성을 최적화하고 또한 V/Nb비 및 V당량(Veq=V+0.55Nb)을 소정 범위로 한정함으로써, 사용 영역에 있어서 비교적 균일하게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지고, 주조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내층과의 경계가 건전한 외층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은, 질량 기준으로 C: 2.6∼3.6 %, Si: 0.1∼3 %, Mn: 0.3∼2 %, Ni: 2.3∼5.5 %, Cr: 0.5∼3.2 %, Mo: 0.3∼1.6 %, V: 1.8∼3.4 %, 및Nb: 0.7∼2.4 %를 함유하고, 1.4≤V/Nb≤2.7이며, V당량(Veq=V+0.55Nb)이 2.60∼4 질량%이며,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화학 조성을 가지는 Fe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외층에, 철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내층이 용착 일체화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B: 0.06질량% 이하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질량 기준으로 W: 0.01∼3 %, Ti: 0.01∼0.5 %, Al: 0.001∼0.5 %, Zr: 0.01∼0.5 %, 및 Co: 0.1∼5 % 중 어느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V당량은 3.8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면적 기준으로 0.3∼5 %의 흑연 입자, 및 2∼20 %의 MC 탄화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의 외층은 1.8∼3.4 질량%의 V 및 0.7∼2.4 질량%의 Nb를 함유하고 또한 1.4≤V/Nb≤2.7, 및 V당량(Veq=V+0.55Nb)이 2.60∼4 질량%의 조건을 만족시키므로, 표층부 및 심부의 양쪽에서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지고 또한, 주조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내층(중간층을 가지는 경우에는 중간층)과의 경계가 건전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은, 핫스트립밀의 마무리 압연기에 사용하기에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은 압연조 건이 엄격한 핫스트립밀의 공작물 롤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만, 물론 선재용 열간 압연 롤, 형강용 열간 압연 롤 등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외층의 사용 영역에서의 MC 탄화물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의 제조에 사용하는 주형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의 제조에 사용하는 주형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외층의 사용 영역에서의 MC 탄화물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의 제조에 사용하는 주형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의 제조에 사용하는 주형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해도 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으면, 단지 「%」로 기재하고 있을 때는 「질량%」를 의미한다.
[1]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도 1은, 원심 주조법에 의해 형성된 외층(1)과, 외층(1)에 용착 일체화한 내층(2)으로 이루어지는 열간 압연용 복합 롤(10)을 나타낸다. 내층(2)은, 외층(1)에 용착한 동심부(胴芯部)(21)와, 동심부(21)의 양단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축부(22, 23)를 가진다.
(A) 외층
(i) 조성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에서의 외층의 조성은, 외층을 형성하는 것에 사용한 철기 합금 용탕의 조성에 의해 나타낸다. 철기 합금 용탕의 조성은 외층 전체의 평균 조성에 상당한다. 외층을 형성하는 Fe기 합금은, 기본적으로 「고합금 글렌 주철」의 카테고리에 들어가는 것이다.
(a) 필수 원소
(1) C: 2.6∼3.6 질량%
C는 V, Nb, Cr 및 Mo와 결합하여 경질의 탄화물을 생성하고, 내마모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Si 및 Ni 등의 흑연화 촉진 원소에 의해 조직 중에 흑연으로서 정출하고, 이로써 외층에 내소부성(耐燒付性)을 부여하고 또한, 외층의 인성(靭性)을 향상시킨다. C가 2.6질량% 미만에서는 흑연의 정출이 불충분할뿐만 아니라, 경질의 탄화물의 정출량이 지나치게 적어서 외층에 충분한 내마모성을 부여할 수 없다.
한편, C가 3.6질량%를 초과하면 흑연이 과잉으로 되는고 또한, 그 형상도 끈형으로 되어, 외층의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탄화물의 정출량이 과다하게 되어 외층의 인성이 저하되고, 내크랙성이 저하되므로, 압연에 의한 크랙이 깊어지고, 롤 손실이 증가한다. C의 함유량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2.7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8질량%이다. C의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5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4질량%이다. C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의 일예는 2.7∼3.5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2.8∼3.4 질량%이다.
(2) Si: 0.1∼3 질량%
Si는 용탕의 탈산에 의해 산화물 결함을 감소하고 또한, 흑연의 정출을 조장하는 작용을 가지고, 내소부성 및 균열의 진전의 억제에 기여한다. Si가 0.1질량% 미만에서는 용탕의 탈산 작용이 불충분하고, 흑연 정출의 작용도 적다. 한편, Si가 3질량%를 초과하면 합금 기지가 취화하고, 외층의 인성은 저하된다. Si의 함유량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5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이다. Si의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8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질량%이다. Si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5∼2.8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1∼2.5 질량%이다.
(3) Mn: 0.3∼2 질량%
Mn은 용탕의 탈산 작용의 이외에, 불순물인 S를 MnS로서 고정시키는 작용을 가진다. Mn이 0.3질량% 미만에서는 이들 효과는 불충분하다. 한편, Mn이 2질량%를 초과해도 새로운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Mn의 함유량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4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이다. Mn의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5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이다. Mn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4∼1.5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5∼1 질량%이다.
(4) Ni: 2.3∼5.5 질량%
Ni는 흑연을 정출시키는 작용이 있고, 내소부성에 기여한다. Ni는 또한 기지 조직의 담금질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가진다. Ni가 2.3질량% 미만에서는 그 작용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Ni가 5.5질량%를 초과하면 오스테나이트가 안정화되지 않아, 베이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로에 변태하기 어려워진다. Ni의 함유량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2.5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질량%이다. Ni의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5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8질량%이다. Ni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2.5∼5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3∼4.8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3.5∼4.8 질량%이다.
(5) Cr: 0.5∼3.2 질량%
Cr은 담금질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기지를 베이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로 하여 경도를 유지하고, 내마모성을 유지하기에도 유효한 원소이다. Cr이 0.5질량% 미만에서는 그 첨가 효과는 불충분하다. 한편, Cr이 3.2질량%를 초과하면, 흑연의 정출을 저해할뿐만 아니라, 조대(粗大)한 공정(共晶) 탄화물을 형성하고, 기지 조직의 인성을 저하시킨다. Cr의 함유량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7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이다. Cr의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8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3질량%이다. Cr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7∼2.8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1∼2.5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1∼2.3 질량%이다.
(6) Mo: 0.3∼1.6 질량%
Mo는 C와 결합하여 경질의 Mo 탄화물을 형성하고, 외층의 경도를 증가시키고 또한, 기지의 담금질성을 향상시킨다. Mo가 0.3질량% 미만에서는 이러한 효과는 불충분하다. 한편, Mo가 1.6질량%를 초과하면, 외층의 인성아 열화하고, 백선화(白銑化) 경향이 강하게 되므로, 흑연의 정출을 저해한다. Mo의 함유량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4질량%이다. Mo의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3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이다. Mo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4∼1.3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4∼1 질량%이다.
(7) V: 1.8∼3.4 질량%
V는 C와 결합하여 경질의 MC 탄화물을 생성하는 원소이다. V가 1.8질량% 미만에서는, MC 탄화물의 정출량은 불충분하다. 한편, V가 3.4질량%를 초과하면, (a) 비중이 가벼운 VC 탄화물이 원심 주조 중의 원심력에 의해 외층의 내측에 농화(濃化)하고, MC 탄화물의 분포가 최대가 되는 범위가 외층의 초경으로부터 폐각경까지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날 뿐만 아니라, (b) MC 탄화물이 조대화하여 합금조직이 거칠어져, 압연 시에 표면이 거칠어지기 쉬워진다. V의 함유량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85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9질량%이다. V의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7질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질량%이다. V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1.85∼3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1.9∼2.7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1.9∼2.5 질량%이다.
(8) Nb: 0.7∼2.4 질량%
Nb는 C와 결합하여 MC 탄화물을 생성한다. Nb를 V에 조합함으로써, (a) MC 탄화물에 고용하여 MC 탄화물을 강화하고, 외층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b) MC 탄화물의 비중을 증대시켜, MC 탄화물이 외층 내주측에 편석하는 것을 방지한다. Nb가 0.7질량% 미만에서는 이러한 효과는 불충분하다. 한편, Nb가 2.4질량%를 초과하면, MC 탄화물의 비중이 지나치게 커져, MC 탄화물의 분포가 외주로부터 초경까지의 삭제 영역에 지나치게 많아진다. 또한, 용탕 중의 산화물이나 플럭스는 NbC에 부착하는 경향이 있고, NbC에 부착된 산화물 및 플럭스는 응고 중의 외층에 트랩되기 쉽다. 따라서, Nb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부착된 산화물 및 플럭스에 의한 주조 결함의 발생의 우려가 커진다. Nb의 함유량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8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9질량%이다. Nb의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2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이다. Nb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8∼2.2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9∼2.0 질량%이다.
(9) V/Nb: 1.4∼2.7
V 및 Nb를 함유하는 철기 합금을 원심 주조하여 이루어지는 외층에서는 VC 및 NbC로 이루어지는 MC 탄화물이 정출하지만, VC는 외층 용탕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므로, 외층의 내주측에 편석하는 경향이 있고, NbC는 외층 용탕보다 큰 비중을 가지므로, 외층의 외주측에 편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원심 주조된 외층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측을 초경 Di의 깊이(일반적으로 10 mm)까지 절삭 제거한 후, 초경 Di로부터 소정의 깊이의 폐각경 Dd(예를 들면, 초경 Di로부터 50 mm의 깊이)까지 사용함으로써, 초경 Di로부터 폐각경 Dd까지의 사용 영역(유효 직경 영역)에 MC 탄화물이 주로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MC 탄화물 분포의 예를 도 2에 나타낸다. MC 탄화물 분포 I에서는, 피크는 사용 영역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또한 외주측(표층부) 및 내층측(심부)의 양쪽에 충분한 MC량이 존재한다. MC 탄화물 분포 II에서는, 피크는 초경 Di부근에 위치하지만, 외주측(표층부) 및 내층측(심부)의 양쪽에서의 MC량은 충분하다. MC 탄화물 분포 I 및 II는 모두 바람직하다. 이에 비해, MC 탄화물 분포 III에서는, 초경 Di 부근에 위치하는 피크가 지나치게 높고, 심부에서의 MC량이 지나치게 낮다. 이에 따라, 외층 심부에서의 내마모성이 불충분하다. 또한, MC 탄화물 분포 IV에서는, 피크가 내층측 부근에 위치하고, 사용 영역에서 충분한 MC 탄화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MC 탄화물 분포 IV를 가지는 외층은 충분한 내마모성을 발휘할 수 없다. 따라서, MC 탄화물 분포 III 및 IV는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NbC는 용탕 중으로부터 고온에서 정출할 뿐만아니라, 용탕 중의 산화물이나 산화 방지용 플럭스와의 친화성이 높다(젖음성이 양호하다). 이 때문에, NbC에 산화물이나 플럭스가 부착되기 쉽다. NbC에 부착된 산화물 및 플럭스는 응고 중의 외층에 트랩되므로, 외층 내에 주조 결함으로서 잔존하기 쉽다. 또한, 용탕보다 비중이 높은 NbC는 원심분리에 의해 외주측(표층부)에 편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NbC에 부착된 산화물 및 플럭스에 의한 주조 결함는 외층의 표층부에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V 및 Nb는 1.4≤V/Nb≤2.7의 조건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V/Nb가 1.4 미만으로 되면, 초정(初晶) NbC의 정출량이 증가하고, NbC에 부착된 산화물 및 플럭스에 의한 주조 결함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1.4≤V/Nb의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특히 V당량(Veq)이 2.60질량% 이상인 용탕에서도, NbC의 정출량을 적절하게 억제하고, 외층 내의 주조 결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V/Nb의 하한은 1.45가 바람직하고,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V/Nb가 2.7을 초과하면, 비중이 작은 VC의 비율이 증가하고, MC 탄화물은 원심 주조 외층의 내주측에 많이 편석하게 되어, 사용 영역에서의 MC 탄화물의 분포가 적어지고 또한, 외층의 내주측(심부)에 농화한다. 고융점의 MC 탄화물은 내층(중간층이 있는 경우에는 중간층)의 주조 시에 재용융하기 어려우므로, Veq가 2.6을 초과하면 심부로의 MC 탄화물의 농화가 현저해져, 외층과 내층(중간층이 있는 경우에는 중간층)과의 용착을 저해하고, 양 층 경계의 건전성을 손상한다. V/Nb의 상한은 2.65가 바람직하고, 2.6이 보다 바람직하다. V/Nb의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1.45∼2.65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1.5∼2.6이다.
(10) V당량: 2.60∼4 질량%
외층에 형성되는 MC 탄화물의 양은 V당량(Veq=V+0.55Nb)에 의해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Veq가 클수록, MC 탄화물이 많이 정출된다. Veq는 2.60∼4 질량%이다. Veq가 2.60질량% 미만이면, 내마모성에 효과가 있는 MC 탄화물이 지나치게 적다. Veq의 하한은 2.65질량%가 바람직하고, 2.7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2.8질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Veq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MC 탄화물 이외의 시멘타이트나 흑연이 지나치게 적어진다. 필요량의 시멘타이트 및 흑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MC 탄화물에 따른 C를 첨가하면 되지만, C 및 Veq를 지나치게 많이 첨가하면 철기지보다 신속하게 응고하는 MC 탄화물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진다. 응고 시에 액상(液相) 중에 MC 탄화물이 많으면, MC 탄화물의 편석이 생기기 쉽다. 이 때문에, Veq를 4질량% 이하로 한다. Veq는 3.8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6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2질량%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V당량의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2.65∼3.8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2.7∼3.6 질량%이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2.8∼3.2 질량%이다.
(b) 임의의 조성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의 외층은, 상기 필수 원소의 이외에 하기 원소를 함유할 수도 있다.
(1) B: 0.06질량% 이하
B는 탄화물을 미세화하는 작용을 가진다. 또한 미량의 B는 흑연의 정출에 기여한다. 그러나, B가 0.06질량%를 초과하면, 백선화 효과가 강해져 흑연이 정출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B의 함유량은 0.06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의 첨가 효과를 얻기 위하여, B의 함유량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2질량%이다. B의 함유량의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질량%이다. B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001∼0.04 질량%이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002∼0.04 질량%이다.
(2) W: 0.01∼3 질량%
W는 C와 결합하여 경질의 M2C의 탄화물을 생성하고, 외층의 내마모성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MC 탄화물에도 고용하여 그 비중을 증가시키고, 편석을 경감시키는 작용을 가진다. 그러나, W가 3질량%를 초과하면, 용탕의 비중을 무겁게 하므로, 탄화물 편석이 생기기 쉬워진다. 따라서, W를 첨가하는 경우, 그 바람직한 함유량은 3질량% 이하이다. 한편, W가 0.01질량% 미만이면, 그 첨가 효과는 불충분하다. W의 함유량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질량%이다. W의 함유량의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9질량%이다. W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02∼2.9 질량%이다.
(3) Zr: 0.01∼0.5 질량%
Zr은 C와 결합하여 MC 탄화물을 생성하고, 외층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용탕 중에서 생성한 Zr 산화물은 결정핵(結晶核)으로서 작용하므로, 응고 조직이 미세하게 된다. 또한 MC 탄화물의 비중을 증가시키고 편석을 방지한다. 그러나, Zr이 0.5질량%를 초과하면, 개재물을 생성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Zr을 첨가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Zr이 0.01질량% 미만에서는, 그 첨가 효과는 불충분하다. Zr의 함유량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질량%이다. Zr의 함유량의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4질량%이다. Zr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02∼0.4 질량%이다.
(4) Co: 0.1∼5 질량%
Co는 기지 조직의 강화에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Co는 흑연을 정출하기 쉽게한다. 그러나, Co가 5질량%를 초과하면 외층의 인성은 저하된다. 따라서, Co를 첨가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Co가 0.1질량% 미만에서는, 그 첨가 효과는 불충분하다. Co의 함유량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질량%이다. Co의 함유량의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9질량%이다. Co의 함유량의 더욱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2∼4.9 질량%이다.
(5) Ti: 0.01∼0.5 질량%
Ti는 흑연화 저해 원소인 N 및 O와 결합하고,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형성한다. 산화물 또는 질화물은 용탕 중에 현탁되어 핵이 되고, MC 탄화물을 미세화 및 균질화시킨다. 그러나, Ti가 0.5질량%를 초과하면, 용탕의 점성이 증가하고, 주조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Ti를 첨가하는 경우, 그 바람직한 함유량은 0.5질량% 이하이다. 한편, Ti가 0.01질량% 미만에서는 그 첨가 효과는 불충분하다. Ti의 함유량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질량%이다. Ti의 함유량의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4질량%이다. Ti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02∼0.4 질량%이다.
(6) Al: 0.001∼0.5 질량%
Al은 흑연화저해 원소인 N 및 O와 결합하여,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형성하고, 그것이 용탕 중에 현탁되어 핵이 되고, MC 탄화물을 미세 균일하게 정출시킨다. 그러나, Al이 0.5질량%를 초과하면, 외층이 무르게 되고, 기계적 성질의 열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Al을 첨가하는 경우, 그 바람직한 함유량은 0.5질량% 이하이다. 한편,Al의 함유량이 0.001질량% 미만에서는, 그 첨가 효과는 불충분하다. Al의 함유량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질량%이다. Al의 함유량의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4질량%이다. Al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01∼0.4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4 질량%이다.
(c) 불순물
외층 조성의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P, S, Cu 등은 불순물 원소이며 미량의 혼입은 피할 수 없지만, 흑연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P 및 S는 미량이라도 흑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원심 주조 복합 롤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면적율의 흑연 입자를 얻기 위하여, 불순물 원소의 함유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P 및 S는 기계적 성질의 열화를 초래하므로, 그 함유량은 소정의 레벨로 억제해야 하다. Cu도 흑연에 영향을 주지만, 미량의 범위에서의 영향도는 작다. 그 외의 불가피한 불순물로서 Ca, Ba, Mg, Sb, Te, Ce 등의 원소를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 및 S의 함유량은 각각 0.1질량% 이하, Cu는 0.5질량% 이하, Ca 및 Ba는 각각 0.05질량% 이하, Mg는 0.07질량% 이하, Sb는 0.05질량% 이하, Te 및 Ce는 각각 0.03질량% 이하의 범위 내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거의 손상하지 않으므로 허용할 수 있다.
(ii) 조직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의 외층의 조직은, 기지, 흑연, MC 탄화물 및 시멘타이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에서의 외층의 조직은, 면적 기준으로 0.3∼5 %의 흑연 입자, 및 2∼20 %의 MC 탄화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의 기지 조직은 실질적으로 마르텐사이트, 베이나이트 또는 펄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의 기지 조직은 또한 15∼45 면적%의 시멘타이트 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 흑연 입자의 면적율: 0.3∼5 %
외층 조직에 정출하는 흑연 입자의 면적율은 0.3∼5 %인 것이 바람직하다. 흑연 입자의 면적율이 0.3% 미만에서는, 외층의 내소부성 향상의 효과가 불충분하다. 한편, 흑연 입자가 5면적%를 초과하면, 외층의 기계적 성질은 저하된다. 흑연 입자의 면적율의 하한은 0.5%가 보다 바람직하고, 1%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흑연 입자의 면적율의 상한은, 4%가 보다 바람직하고, 3%가 가장 바람직하다. 흑연 입자의 면적율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0.5∼4 %이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1∼3 %이다.
(b) MC 탄화물의 면적율: 2∼20 %
외층 조직에 정출하는 MC 탄화물의 면적율이 2% 미만이면, 외층은 충분한 내마모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흑연과의 공존 관계에 의해 MC 탄화물의 면적율을 20% 초과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MC 탄화물의 면적율은, 2.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흑연 입자의 면적율을 0.3∼5 %로 하기 위하여, MC 탄화물은 1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MC 탄화물의 면적율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2∼17 %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2∼15 %이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는 2∼10 %이다.
(B) 내층
내층을 형성하는 철계 합금으로서는, 강인(强忍)한 덕타일 주철(구형 흑연 주철)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층의 조성은, 내층을 형성하는 것에 사용한 철기 합금 용탕의 조성에 의해 나타낸다. 철기 합금 용탕의 조성은 내층 전체의 평균 조성에 상당한다. 덕타일 주철의 용탕 조성은, 질량 기준으로 C: 2.3∼3.6 %, Si: 1.5∼3.5 %, Mn: 0.2∼2 %, Ni: 0.3∼2 %, Cr: 0.05∼1 %, Mo: 0.05∼1 %, 및 Mg: 0.01∼0.08 %를 함유하고, 잔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수 원소 이외에, Nb: 0.7% 이하, 및 W: 0.7% 이하를 함유할 수도 있다. 덕타일 주철은, 철기지가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를 주체로 하고, 그 외는 흑연 및 미량의 시멘타이트를 주로 포함한다. 외층과 내층 사이에, 성분 혼입의 억제나 완충 등의 목적으로, 중간층을 개재시켜도 된다.
[2]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은, 원심 주조용 금형 내에, 질량 기준으로 C: 2.6∼3.6 %, Si: 0.1∼3 %, Mn: 0.3∼2 %, Ni: 2.3∼5.5 %, Cr: 0.5∼3.2 %, Mo: 0.3∼1.6 %, V: 1.8∼3.4 %, 및 Nb: 0.7∼2.4 %를 함유하고, 1.4≤V/Nb≤2.7이며, V당량(Veq=V+0.55Nb)이 2.60∼4 질량%이며,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Fe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화학 조성을 가지는 외층용 용탕을, 오스테나이트 석출 개시 온도+(30∼150) ℃의 온도, 중력 배수로 60∼200 G의 범위 내의 원심력, 또한 0.5∼3 mm/s의 평균 적층 속도로 주입하고, 상기 외층을 주조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평균 적층 속도의 하한은 0.6 mm/s가 바람직하고, 상한은 2.5 mm/s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층의 「평균 적층 속도」는, 주조에 의해 적층되는 외층의 두께를 주입 시간으로 나눈 값, 즉 단위시간당의 외층의 두께 증가 속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원심 주조용 원통형 주형(30)으로 외층(1)을 원심 주조한후에 내층(2)을 주조하는 데 사용하는 정치(靜置) 주조용 주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정치 주조용 주형(100)은, 내면에 외층(1)을 가지는 원통형 주형(30)과, 또한 하단에 설치된 상형(40) 및 하형(50)으로 이루어진다. 원통형 주형(30)은 주형 본체(31)와, 그 내측에 형성된 이형층(離型層)(32)과, 주형 본체(31) 및 이형층(32)의 상하단부에 설치된 주형 단부(端部)(33)로 이루어진다. 상형(40)은 주형 본체(41)와, 그 내측에 형성된 사형(砂型)(42)으로 이루어진다. 하형(50)은 주형 본체(51)와, 그 내측에 형성된 사형(52)으로 이루어진다. 하형(50)에는 내층용 용탕을 유지하기 위한 바닥판(53)이 설치되어 있다. 원통형 주형(30)내의 외층(1)의 내면은 내층(2)의 동심부(21)을 형성하기 위한 캐비티(60a)를 가지고, 상형(40)은 내층(2)의 축부(23)를 형성하기 위한 캐비티(60b)를 가지고, 하형(50)은 내층(2)의 축부(22)를 형성하기 위한 캐비티(60c)를 가진다. 원통형 주형(30)을 사용하는 원심 주조법은 수평형, 경사형 또는 수직형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축부(22) 형성용 하형(50)의 상단부(54) 위에, 외층(1)을 원심 주조한 원통형 주형(30)을 기립시켜 설치하고, 원통형 주형(30) 위에 축부(23) 형성용 상형(40)을 설치하면, 정치 주조용 주형(100)이 구성된다. 정치 주조용 주형(100)에 있어서, 외층(1) 내의 캐비티(60a)는 상형(40)의 캐비티(60b) 및 하형(50)의 캐비티(60c)와 연통하고, 내층(1) 전체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캐비티(60)가 구성된다.
원심 주조법에 의해 형성한 외층(1)의 응고 후에, 내층(2)용의 덕타일 주철용탕이 상형(40)의 상방 개구부(43)로부터 캐비티(60) 내에 주입되는 것에 따라, 캐비티(60) 내의 용탕의 탕면은 하형(50)으로부터 상형(40)까지 점차 상승하고, 축부(22), 동심부(21) 및 축부(23)로 이루어지는 내층(2)이 일체적으로 주조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
도 3a에 나타낸 구조의 원통형 주형(30)(내경(內徑) 800mm, 및 길이 2500mm)을 수평형의 원심 주조기에 설치하고,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각 용탕을, 표 2에 나타낸 온도, 중력 배수 및 평균 적층 속도로 주입하고, 외층(1)을 원심 주조했다. 외층(1)이 응고한 후, 내면에 외층(1)(두께: 90mm)이 형성된 원통형 주형(30)을 기립시켜, 축부(22) 형성용의 중공형 하형(50)(내경 600mm, 및 길이 1500mm) 위에 원통형 주형(30)을 세워 설치하고, 원통형 주형(30) 위에 축부(23) 형성용의 중공형 상형(40)(내경 600mm, 및 길이 2000mm)을 세워 설치하고, 도 3b에 나타낸 정치 주조용 주형(100)을 구성했다.
정치 주조용 주형(100)의 캐비티(60)에, 질량 기준으로 C: 3.0%, Si: 2.6%, Mn: 0.3%, Ni: 1.4%, Cr: 0.1%, Mo: 0.2%, Mg: 0.05%, P: 0.03%, 및 S: 0.03%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인 화학 조성을 가지는 덕타일 주철 용탕을 상방 개구부(43)로부터 주탕(注湯)하고, 도중에 Si를 포함하는 흑연화 접종재를 접종하여, 외층(1)의 내면에 내층(2)이 일체적으로 용착한 복합 롤을 제조했다.
[표 1-1]
[표 1-2]
[표 2]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의 각 복합 롤에 대하여, 외층과 내층의 경계의 건전성, 외층 내에서의 MC 탄화물의 분포, 외층의 표층부 및 심부의 내마모성, 및 외층 내의 주조 결함을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1) 외층과 내층의 경계의 건전성
초음파 탐촉자를 사용하여 외층의 표면 전체를 주사하는 초음파 탐상(探傷) 검사법에 의해 외층 내의 결함을 탐사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 외층과 내층의 경계에 직경 10mm 이상의 결함이 존재하지 않음.
×: 외층과 내층의 경계에 직경 10mm 이상의 결함가 존재함.
(2) 외층 내에서의 MC 탄화물의 분포
각 외층의 길이 방향 단부에 있어서, 초경 Di의 위치(흑피(黑皮)로부터 약 10mm의 깊이의 위치), 및 초경 Di로부터 각각 10mm, 20mm, 30mm, 40mm 및 50mm의 깊이의 위치에서의 외층 조직을 현미경 관찰하고, MC 탄화물의 분포를 도 2에 나타낸 I∼IV의 패턴으로 분류했다.
(3) 외층의 사용층의 평균적인 내마모성
외층의 사용층의 평균적인 내마모성을 V당량(Veq=V+0.55Nb) 분포에 기초하여 하기 기준으로 판정했다.
○: 외층재로서 사용한 용탕 조성에서의 V당량이 2.6이상인 경우.
×: 외층재로서 사용한 용탕 조성에서의 V당량이 2.6미만인 경우.
(3) 외층의 사용층의 표층부 및 심부에서의 내마모성
외층의 사용층의 표층부 및 심부에서의 내마모성을 V당량(Veq=V+0.55Nb) 분포에 기초하여 하기 기준으로 판정했다.
×: 사용층 내의 표층부 및 심부의 각 부에서 가장 낮은 V당량이 외층 용탕의 평균 V당량의 60% 미만인 경우.
△: 사용층 내의 표층부 및 심부의 각 부에서 가장 낮은 V당량이 외층 용탕의 평균 V당량의 60 이상 내지 70% 미만인 경우.
○: 사용층 내의 표층부 및 심부의 각 부에서 가장 낮은 V당량이 외층 용탕의 평균 V당량의 70% 이상인 경우.
(4) 외층 내의 주조 결함
초음파 탐촉자를 사용하여 외층의 표면 전체를 주사하는 초음파 탐상검사법에 의해 외층 내의 결함의 유무를 탐사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 외층 내에 직경 1mm 이상의 주조 결함이 존재하지 않음.
×: 외층 내에 직경 1mm 이상의 주조 결함이 존재함.
외층과 내층의 경계의 건전성, 외층의 사용층의 평균적인 내마모성, 및 표층부 및 심부의 내마모성, 및 외층내의 주조 결함의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하기 기준으로 종합 평가를 행하였다.
○: 모든 평가 항목이 ○였다.
△: × 내지 △의 평가 항목이 합계하여 1 내지 2개였다.
×: × 내지 △의 평가 항목이 합계하여 3개 이상이었다.
[표 3]
표 3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원심 주조 복합 롤은, 외층과 내층의 경계의 건전성, 외층의 표층부 및 심부의 내마모성, 및 외층 내의 주조 결함의 모두에 있어서 우수하였다. 이에 비해, 비교예 1∼4의 원심 주조 복합 롤은, 상기 평가 항목 중 1개 이상의 평가 항목이 ×였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1 및 2에서는 Veq가 2.60 미만이므로, 외층의 표층부 및 심부 모두 충분한 내마모성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비교예 3에서는 V/Nb가 4.37로 지나치게 높으므로, 경계의 건전성이 좋지 못하였다. 또한, 비교예 4에서는 V/Nb가 1.23으로 낮으므로, MC 탄화물의 분포가 III형이며, 외층 심부의 내마모성이 불충분할 뿐만아니라, 외층 내에 주조 결함이 확인되었다.
1…외층
2…내층
10…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21…몸통심부
22, 23…축부
30…원심 주조용 원통형 주형
31, 41, 51…주형 본체
32…이형층
33…주형 단부
42, 52…사형
40…정치 주조용 상형
50…정치 주조용 하형
60, 60a, 60b, 60c…캐비티
100…정치 주조용 주형
2…내층
10…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21…몸통심부
22, 23…축부
30…원심 주조용 원통형 주형
31, 41, 51…주형 본체
32…이형층
33…주형 단부
42, 52…사형
40…정치 주조용 상형
50…정치 주조용 하형
60, 60a, 60b, 60c…캐비티
100…정치 주조용 주형
Claims (5)
- 질량 기준으로 C: 2.6∼3.6 %, Si: 0.1∼3 %, Mn: 0.3∼2 %, Ni: 2.3∼5.5 %, Cr: 0.5∼3.2 %, Mo: 0.3∼1.6 %, V: 1.8∼3.4 %, 및 Nb: 0.7∼2.4 %를 함유하고, 1.4≤V/Nb≤2.7이며,V당량(Veq=V+0.55Nb)이 2.60∼4 질량%이며, 잔부(殘部)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화학 조성을 가지는 Fe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외층에, 철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내층이 용착(溶着) 일체화한, 열간(熱間) 압연용 원심 주조(鑄造) 복합 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이 B: 0.06질량% 이하를 더 함유하는,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이 질량 기준으로 W: 0.01∼3 %, Ti: 0.01∼0.5 %, Al: 0.001∼0.5 %, Zr: 0.01∼0.5 %, 및 Co: 0.1∼5 % 중 어느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V당량이 3.8질량% 이하인,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이 면적 기준으로 0.3∼5 %의 흑연 입자, 및 2∼20 %의 MC 탄화물을 함유하는,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189441 | 2019-10-16 | ||
JPJP-P-2019-189441 | 2019-10-16 | ||
PCT/JP2020/039148 WO2021075561A1 (ja) | 2019-10-16 | 2020-10-16 | 熱間圧延用遠心鋳造複合ロール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4025A true KR20220084025A (ko) | 2022-06-21 |
Family
ID=7553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9876A KR20220084025A (ko) | 2019-10-16 | 2020-10-16 |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712723B2 (ko) |
EP (1) | EP4019155A4 (ko) |
JP (1) | JPWO2021075561A1 (ko) |
KR (1) | KR20220084025A (ko) |
CN (1) | CN114555252B (ko) |
WO (1) | WO2021075561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09073A (ja) | 1996-01-31 | 1997-08-12 | Kubota Corp | H型鋼圧延ロール用複合スリーブ |
JP2001279367A (ja) | 2000-03-29 | 2001-10-10 | Nippon Steel Corp | 遠心鋳造製熱間圧延用ロール |
JP3632640B2 (ja) * | 2001-08-31 | 2005-03-23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熱間圧延用ロール外層材および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 |
JP4123912B2 (ja) | 2001-11-28 | 2008-07-23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熱間圧延用ロール外層材および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 |
JP4778863B2 (ja) | 2006-08-28 | 2011-09-21 | 日鉄住金ロールズ株式会社 | 遠心鋳造製圧延用複合ロ−ルの外層材 |
CN103813864B (zh) * | 2011-09-21 | 2016-04-13 | 日立金属株式会社 | 热轧用离心铸造复合辊及其制造方法 |
ES2562625T3 (es) * | 2011-11-21 | 2016-03-07 | Hitachi Metals, Ltd. | Rodillo compuesto fundido centrífugamente y su método de producción |
JP5862526B2 (ja) * | 2012-09-13 | 2016-02-16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熱間圧延用ロール外層材および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 |
JP5768947B2 (ja) * | 2013-05-02 | 2015-08-26 | 日立金属株式会社 | 遠心鋳造製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 |
EP3050638B1 (en) * | 2013-09-25 | 2020-02-05 | Hitachi Metals, Ltd. | Centrifugally cast composite roll and its production method |
JP5950047B2 (ja) * | 2013-09-25 | 2016-07-13 | 日立金属株式会社 | 遠心鋳造製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 |
KR102219333B1 (ko) * | 2013-09-25 | 2021-02-22 |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 원심 주조제 열간 압연용 복합 롤 |
JP2015080813A (ja) | 2013-10-24 | 2015-04-27 | 日鉄住金ロールズ株式会社 | 遠心鋳造製圧延用複合ロール |
JP6277040B2 (ja) | 2014-03-31 | 2018-02-07 | 株式会社クボタ | 圧延用複合ロール |
JP6606977B2 (ja) | 2014-10-31 | 2019-11-20 | 日立金属株式会社 | 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の製造方法 |
JP6948556B2 (ja) * | 2016-03-31 | 2021-10-13 | 日立金属株式会社 | 遠心鋳造製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の製造方法 |
WO2018147367A1 (ja) * | 2017-02-08 | 2018-08-16 | 日立金属株式会社 | 圧延用複合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
JP7302232B2 (ja) | 2018-03-30 | 2023-07-04 | 株式会社プロテリアル | 熱間圧延用遠心鋳造複合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2020
- 2020-10-16 KR KR1020227009876A patent/KR20220084025A/ko unknown
- 2020-10-16 WO PCT/JP2020/039148 patent/WO2021075561A1/ja unknown
- 2020-10-16 CN CN202080071546.XA patent/CN114555252B/zh active Active
- 2020-10-16 EP EP20876091.8A patent/EP4019155A4/en active Pending
- 2020-10-16 US US17/762,548 patent/US11712723B2/en active Active
- 2020-10-16 JP JP2021552475A patent/JPWO2021075561A1/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712723B2 (en) | 2023-08-01 |
US20220339685A1 (en) | 2022-10-27 |
EP4019155A1 (en) | 2022-06-29 |
CN114555252B (zh) | 2024-07-16 |
EP4019155A4 (en) | 2023-08-16 |
WO2021075561A1 (ja) | 2021-04-22 |
CN114555252A (zh) | 2022-05-27 |
JPWO2021075561A1 (ko) | 2021-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18106B2 (en) | Centrifugally cast, hot-rolling composite roll | |
US9358758B2 (en) | Centrifugally cast hot-rolling composite roll | |
US9815098B2 (en) | Centrifugally cast, hot-rolling composite roll | |
TWI712697B (zh) | 軋輥用外層及輥軋用複合輥 | |
US11224907B2 (en) | Composite roll for rolling and its production method | |
KR102687061B1 (ko) |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및 그의 제조 방법 | |
CN109641251B (zh) | 轧制用辊外层材料和轧制用复合辊 | |
JP2017185548A (ja) | 遠心鋳造製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 | |
JP7048820B2 (ja) | 遠心鋳造製圧延用複合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JP7302232B2 (ja) | 熱間圧延用遠心鋳造複合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JP7063180B2 (ja) | 圧延用遠心鋳造複合ロールの外層材、及び圧延用遠心鋳造複合ロール | |
KR102647292B1 (ko) | 원심 주조제 압연용 복합 롤 및 그 제조 방법 | |
JP6515957B2 (ja) | 耐摩耗性に優れた圧延用ロール外層材および圧延用複合ロール | |
JP4354718B2 (ja) | 遠心鋳造製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 | |
KR20220084025A (ko) | 열간 압연용 원심 주조 복합 롤 | |
JP2015080813A (ja) | 遠心鋳造製圧延用複合ロール | |
JP6518314B2 (ja) | 圧延用複合ロール | |
JP7400771B2 (ja) | 熱間圧延用ロール外層材および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 | |
JP7136037B2 (ja) | 熱間圧延用ロール外層材および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 | |
JP4650729B2 (ja) | 圧延用複合ロール | |
JP4650730B2 (ja) | 圧延用複合ロール | |
JPH0820842A (ja) | ハイス系複合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JPH04333312A (ja) | H型鋼圧延ロール用三層スリー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