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928A -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928A
KR20220081928A KR1020210173873A KR20210173873A KR20220081928A KR 20220081928 A KR20220081928 A KR 20220081928A KR 1020210173873 A KR1020210173873 A KR 1020210173873A KR 20210173873 A KR20210173873 A KR 20210173873A KR 20220081928 A KR20220081928 A KR 20220081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paper
printed paper
punching
coord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희
공병주
손덕규
Original Assignee
김정희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희,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김정희
Publication of KR2022008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프린터 기능에서 종이에 구멍을 뚫는 기능을 추가시킨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도안을 프린터로 뽑아낼 수 있고, 가위나 칼로 자르는 과정을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를 통해 그림의 테두리를 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그림을 뜯어내어 원하는 도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A printer with a perforation function and a printing method using the printer}
본 발명은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프린터 기능에서 종이에 구멍을 뚫는 기능을 추가시킨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printer)는 컴퓨터에서 처리된 정보를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인쇄하는 출력장치이다. 프린터는 인쇄기를 의미하는 일반 용어이지만, 컴퓨터의 프린터는 내부의 코드화된 처리된 정보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인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인쇄하는 방식에 따라 물리적 충격을 이용하는 충격식 프린터와 열이나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는 비충격식 프린터로 나눌 수 있다. 출력 단위에 따라 문자 단위로 출력하는 시리얼 프린터, 줄 단위로 출력하는 라인 프린터, 페이지 단위로 출력하는 페이지 프린터로 나누기도 한다.
충격식이란 활자나 인쇄 핀(pin)으로 잉크가 묻은 리본을 충격하여 종이에 인쇄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활자를 사용하는 프린터로는 활자의 구조에 따라 밴드, 체인, 드럼, 휠 프린터 등이 있고, 인쇄 핀을 사용하는 프린터는 통상 도트(dot) 프린터라 하여 수직으로 배열된 여러 개의 핀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떤 문자를 인쇄하기 위해서는 그 문자를 구성할 핀들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면 해당 핀들이 종이에 충격을 가하여 글자를 인쇄하는 방법이다.
비충격식 프린터는 충격식에 비하여 소음이 적고, 인쇄 속도가 빠르며, 인쇄품질이 높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널리 쓰이는 비충격식 프린터는 열전사프린터, 잉크젯프린터, 레이저프린터 등이 있다.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각종 교육현장에서 교보재를 준비할 때 인터넷이나 영화, 애니메이션 등의 그림 자료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프린터로 뽑아낸 종이를 가위나 칼 등을 이용하여 오려내는데 이 과정에서 사람의 손으로 작업하다보니 적확도가 떨어지기도 하고 반복되는 노동으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0804호 (2015.02.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86083호 (2005.04.20)
본 발명은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를 통해 그림의 테두리를 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그림을 뜯어내어 원하는 도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쇄된 용지(10)가 안착되기 위해 소정 크기의 평평한 상부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바닥부(200)와, 상기 바닥부(200)에 안착된 인쇄된 용지(10)를 고정하기 위한 용지고정수단(300)과, 상기 바닥부(200)에 안착된 인쇄된 용지(10)를 소정 모양을 가지도록 천공하기 위한 천공수단(400)과, 상기 바닥부(200)에 인쇄된 용지(10)가 안착됐을 경우 인쇄된 용지(10) 부분을 인식하여 xy축 좌표로 2차원 평면좌표를 따서 프린터 프로그램(600)으로 전달하고, 프린터 프로그램(600)으로부터 천공될 부분의 천공좌표값을 전달받아 천공수단(400)이 천공좌표값에 따라 이동되어 인쇄된 종이(10)를 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500)과, 상기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연동되는 것으로 제어수단(500)으로부터 전달된 2차원 평면좌표를 통하여 인쇄된 종이(10)의 테두리를 지정하고, 지정된 테두리값 내에서 소정 형상으로 천공되도록 천공될 부분의 천공좌표값을 제어수단(500)으로 전달하는 프린터 프로그램(600)을 포함하는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에 있어서, 바닥부(200)의 상부면에 소정 형상으로 인쇄된 용지(10)를 안착시킨 후 인쇄된 용지(10)를 바닥부(200)에 고정하도록 용지고정수단(300)을 인쇄된 용지(10) 상부 일측에 안착시키는 용지고정단계(S1); 상기 용지고정단계(S1) 이후 바닥부(200)에 안착된 인쇄된 용지(10)을 인식하여 인쇄된 용지(10)의 xy축 좌표를 2차원평면좌표값으로 변환하는 좌표값지정단계(S2); 상기 좌표값지정단계(S2)를 통해 변환된 2차원평면좌표값을 프린터 프로그램(600)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2차원평면좌표값을 토대로 인쇄된 용지(10)의 테두리를 지정하는 테두리지정단계(S3); 상기 테두리지정단계(S3) 이후 프린터 프로그램(600)을 통해 인쇄된 용지(10)의 천공될 부분을 천공하기 위해 천공좌표를 입력하는 천공좌표입력단계(S4); 상기 천공좌표입력단계(S4)에서 프린터 프로그램(600)을 통해 입력된 천공좌표를 제어수단(500)으로 전달받고 전달된 천공좌표에 따라 천공수단(400)이 이동되어 인쇄된 용지(10)를 천공좌표값을 통해 천공시키는 천공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도안을 프린터로 뽑아낼 수 있고, 가위나 칼로 자르는 과정을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를 통해 그림의 테두리를 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그림을 뜯어내어 원하는 도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에 관한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바닥이 X-Y 평면을 이룬다고 전제하고, 설명의 편의상 X방향을 좌우방향(각각 -X방향, +X방향), Y방향을 전후방향(각각 +Y방향, -Y방향), Z방향을 상하방향(각각 +Z방향, -Z방향)으로 혼용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프린터 기능에서 종이에 구멍을 뚫는 기능을 추가시킨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A4 용지를 고정시킨 부분을 X,Y축 좌표로 2차원 평면좌표를 딴 후에 프린터 프로그램 내부에서 그림의 외부 테두리를 지정하면 프린터 내부의 작은 바늘이 그 테두기 좌표값에 맞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계속해서 구멍을 낸 후 출력하는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를 제시한다.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등 각종 교육 현장에서 교보재를 준비할 때 인터넷이나 영화, 애니메이션 등의 그림 자료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프린터로 뽑아낸 종이를 가위나 칼 등을 이용해 오려내는데, 이 과정에서 사람의 손으로 하다보니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고, 반복 노동이다 보니 불편함을 많이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이렇나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2D 프린터와 3D 프린터의 원리에 대해 접목하여, 똑같은 A4 용지를 카트리지로 공급한 채 각 모서리 끝단을 특정 프레임이 내려와 바닥에 평평하여 종이를 고정시킨 후에 3D 프린터처럼 양쪽의 바늘이 내려와 뽑으려는 그림 도안의 겉 테두리를 촘촘하게 뚫을 수 있다.
마치, 어릴적 달고나에 이쑤시개로 구멍을 촘촘히 뚫어 모양을 낸 것처럼 구멍을 낸 종이를 출력하면 이제 사용자가 겉면을 뜯어내서 교보재로 활용하게끔 하는 원리이다.
예상 구동방향은 A4 용지를 고정시킨 부분을 X,Y축 좌표로 2차원 평면좌표를 딴 후에 프린터 프로그램 내부에서 그림의 외부 테두리를 지정하면 프린터 내부의 작은 바늘이 그 테두기 좌표값에 맞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계속해서 구멍을 낸 후 출력해내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는 인쇄수단(100), 바닥부(200), 용지고정수단(300), 천공수단(400), 제어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수단(100)은 용지에 소정 모양을 인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래의 인쇄가 가능한 프린터기의 형태를 따른다. 상기 인쇄수단(100)을 통해 소정의 글자, 형태를 인쇄할 수 있다.
도 4는 인쇄수단(100)를 생략하고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기의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으며 인쇄수단(100)의 경우 종래의 인쇄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형성된다.
바닥부(200)는 인쇄수단(100)을 통해 인쇄된 인쇄된 용지(10)가 안착되기 위해 소정 크기의 평평한 상부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용지고정수단(300)은 상기 바닥부(200)에 안착된 인쇄된 용지(1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지고정수단(500)은 인쇄된 용지의 끝단에 안착되어 인쇄된 용지(10)를 고정시키도록 인쇄된 용지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는 천공수단(400)이 관통하도록 비어있는 홀 형태로 형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수단(400)은 상기 바닥부(200)에 안착된 인쇄된 용지(10)를 소정 모양을 가지도록 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1천공바늘부(411a)가 형성되어 xy축을 따라 이동되며 인쇄된 용지(10)를 천공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천공수단(400)은 제1테두리부위천공부(410), 제2테두리부위천공부(420), 제1천공수단프레임(430), 제2천공수단프레임(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테두리부위천공부(410)는 제2천공수단프레임(440)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2천공수단프레임(44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쇄된 용지(10)의 인쇄된 부분의 테두리를 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1천공바늘장착부(411)와 제1천공바늘장착부수용부(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천공바늘장착부(411)는 하단에 제1천공바늘부(411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천공바늘장착부(411)는 상하운동을 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천공바늘장착부수용부(412)는 제1천공바늘장착부(411)가 수용되는 것으로 하단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제1천공바늘장착부(411)의 일부가 바깥으로 튀어나와 천공부위를 제1천공바늘부(411a)가 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테두리부위천공부(410)의 내부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어수단(500)에 의해 제1천공바늘장착부(411)가 도 6(a)와 같이 천공될 위치에 위치한 다음, 도 6(b)와 같이 제1천공바늘장착부(411)가 인쇄된 용지(10)를 향하는 방향인 m5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도 6(c)와 같이 천공될 위치(12)에 천공할 수 있다.
제2테두리부위천공부(420)는 제2천공수단프레임(440)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2천공수단프레임(44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테두리부천공부(41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테두리부위천공부(420)는 인쇄된 용지(10)의 인쇄된 부분의 테두리를 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2천공바늘장착부(421)와 제2천공바늘장착부수용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테두리부위천공부(420)의 형태는 제1테두리부천공부(410)와 동일하며 이에 관한 도면은 도 6을 참고하면 된다.
상기 제2천공바늘장착부(421)는 하단에 제2천공바늘부(421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2제p천공바늘장착부(421)는 상하운동을 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천공바늘장착부수용부(422)는 제2천공바늘장착부(421)가 수용되는 것으로 하단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제2천공바늘장착부(421)의 일부가 바깥으로 튀어나와 천공부위를 제2천공바늘부(421a)가 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테두리부위천공부(420)는 제1테두리부천공부(410)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으로 도 6과 같이 천공될 위치에 천공할 수 있다.
제1천공수단프레임(430)은 사각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x축방향을따라 이동될수 있는 레일이 제1천공수단프레임(43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천공수단프레임(430)에 형성된 레일은 제2천공수단프레임(440)이 x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m3,m4 방향).
제2천공수단프레임(440)은 제1테두리부위천공부(410)와 제2테두리부위천공부(420)가 장착되기 위한 것으로 제1천공수단프레임(430)의 양측 레일에 체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제1천공수단프레임(430)의 레일을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제2천공수단프레임(440)은 제1테두리부위천공부(410)와 제2테두리부위천공부(420)가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일측에 레일이 형성된다(m1,m2방향으로 이동됨).
제1천공수단프레임(430)에 형성된 레일과 제2천공수단프레임(440)에 형성된 레일을 통해 제1테두리부위천공부(410)와 제2테두리부위천공부(420)가 x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어수단(500)은 상기 바닥부(200)에 인쇄된 용지(10)가 안착됐을 경우 인쇄된 용지(10) 부분을 인식하여 xy축 좌표로 2차원 평면좌표를 따서 프린터 프로그램(600)으로 전달하고, 프린터 프로그램(600)으로부터 천공될 부분의 천공좌표값을 전달받아 천공수단(400)이 천공좌표값에 따라 이동되어 인쇄된 종이(10)를 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프린터 프로그램(600)은 상기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연동되는 것으로 제어수단(500)으로부터 전달된 2차원 평면좌표를 통하여 인쇄된 종이(10)의 테두리를 지정하고, 지정된 테두리값 내에서 소정 형상으로 천공되도록 천공될 부분의 천공좌표값을 제어수단(500)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다음은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은 용지고정단계(S1), 좌표값지정단계(S2), 테두리지정단계(S3), 천공좌표입력단계(S4), 천공단계(S5)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도 2 내지 도 5는 각 순서에 따른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으로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의 각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 용지고정단계
용지고정단계(S1)는 바닥부(200)의 상부면에 소정 형상으로 인쇄된 용지(10)를 안착시킨 후 인쇄된 용지(10)를 바닥부(200)에 고정하도록 용지고정수단(300)을 인쇄된 용지(10) 상부 일측에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용지고정단계(S1)는 도 2,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2) 좌표값지정단계
좌표값지정단계(S2)는 상기 용지고정단계(S1) 이후 바닥부(200)에 안착된 인쇄된 용지(10)을 인식하여 인쇄된 용지(10)의 xy축 좌표를 2차원평면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상기 좌표값지정단계(S2)는 도 2,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3) 테두리지정단계
테두리지정단계(S3)는 상기 좌표값지정단계(S2)를 통해 변환된 2차원평면좌표값을 프린터 프로그램(600)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2차원평면좌표값을 토대로 인쇄된 용지(10)의 테두리를 지정하는 단계이다.
S4) 천공좌표입력단계
천공좌표입력단계(S4)는 상기 테두리지정단계(S3) 이후 프린터 프로그램(600)을 통해 인쇄된 용지(10)의 천공될 부분을 천공하기 위해 천공좌표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S5) 천공단계
천공단계(S5)는 상기 천공좌표입력단계(S4)에서 프린터 프로그램(600)을 통해 입력된 천공좌표를 제어수단(500)으로 전달받고 전달된 천공좌표에 따라 천공수단(400)이 이동되어 인쇄된 용지(10)를 천공좌표값을 통해 천공시키는 단계이다.
도 4은 천공수단(400)이 형성된 프린터에 관한 도면이며, 도 6은 천공수단(400)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천공단계(S5)를 거친 후 인쇄된 용지(10)의 인쇄된 부위(11)의 테두리(12)가 천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인쇄된 용지
100 인쇄수단
200 바닥부
300 용지고정수단
400 천공수단
500 제어수단

Claims (1)

  1. 인쇄된 용지(10)가 안착되기 위해 소정 크기의 평평한 상부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바닥부(200)와,
    상기 바닥부(200)에 안착된 인쇄된 용지(10)를 고정하기 위한 용지고정수단(300)과,
    상기 바닥부(200)에 안착된 인쇄된 용지(10)를 소정 모양을 가지도록 천공하기 위한 천공수단(400)과,
    상기 바닥부(200)에 인쇄된 용지(10)가 안착됐을 경우 인쇄된 용지(10) 부분을 인식하여 xy축 좌표로 2차원 평면좌표를 따서 프린터 프로그램(600)으로 전달하고, 프린터 프로그램(600)으로부터 천공될 부분의 천공좌표값을 전달받아 천공수단(400)이 천공좌표값에 따라 이동되어 인쇄된 종이(10)를 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500)과,
    상기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연동되는 것으로 제어수단(500)으로부터 전달된 2차원 평면좌표를 통하여 인쇄된 종이(10)의 테두리를 지정하고, 지정된 테두리값 내에서 소정 형상으로 천공되도록 천공될 부분의 천공좌표값을 제어수단(500)으로 전달하는 프린터 프로그램(600)을 포함하는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에 있어서,
    바닥부(200)의 상부면에 소정 형상으로 인쇄된 용지(10)를 안착시킨 후 인쇄된 용지(10)를 바닥부(200)에 고정하도록 용지고정수단(300)을 인쇄된 용지(10) 상부 일측에 안착시키는 용지고정단계(S1);
    상기 용지고정단계(S1) 이후 바닥부(200)에 안착된 인쇄된 용지(10)을 인식하여 인쇄된 용지(10)의 xy축 좌표를 2차원평면좌표값으로 변환하는 좌표값지정단계(S2);
    상기 좌표값지정단계(S2)를 통해 변환된 2차원평면좌표값을 프린터 프로그램(600)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2차원평면좌표값을 토대로 인쇄된 용지(10)의 테두리를 지정하는 테두리지정단계(S3);
    상기 테두리지정단계(S3) 이후 프린터 프로그램(600)을 통해 인쇄된 용지(10)의 천공될 부분을 천공하기 위해 천공좌표를 입력하는 천공좌표입력단계(S4);
    상기 천공좌표입력단계(S4)에서 프린터 프로그램(600)을 통해 입력된 천공좌표를 제어수단(500)으로 전달받고 전달된 천공좌표에 따라 천공수단(400)이 이동되어 인쇄된 용지(10)를 천공좌표값을 통해 천공시키는 천공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
KR1020210173873A 2020-12-09 2021-12-07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 KR202200819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39 2020-12-09
KR20200171239 2020-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928A true KR20220081928A (ko) 2022-06-16

Family

ID=8221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873A KR20220081928A (ko) 2020-12-09 2021-12-07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192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083B1 (ko) 2003-09-08 2005-05-03 주식회사 태일시스템 다기능 디지털 프린터
KR101490804B1 (ko) 2014-05-27 2015-02-09 (주)이마젠코리아 다목적 복합 기능을 탑재한 디지탈 프린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083B1 (ko) 2003-09-08 2005-05-03 주식회사 태일시스템 다기능 디지털 프린터
KR101490804B1 (ko) 2014-05-27 2015-02-09 (주)이마젠코리아 다목적 복합 기능을 탑재한 디지탈 프린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868B1 (ko) 점자 레이아웃의 작성 방법 및 점자 레이아웃 작성 시스템
EP09507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 printing of nested printed images
JP4441674B2 (ja) 点字ラベル作成システム、点字ラベル作成方法、及び、点字ラベル作成プログラム
JP4566815B2 (ja) 点字情報処理装置、点字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EP3378647A1 (en) Structure forming method, structure forming device, structure forming program and machining medium for structure forming
US200302062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oring media
KR20050041871A (ko) 테이프 인쇄 장치, 테이프 인쇄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인쇄 시스템, 인쇄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220081928A (ko) 천공기능이 부가된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천공된 인쇄물 제작방법
JP2006243388A (ja) オブジェクトの配置方法、オブジェクト配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120330B1 (en) Recording medium, print data processing method, and label producing apparatus
JP418951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101154899B1 (ko)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장치 및 그 이미지연속인쇄방법
JP4928911B2 (ja) 加工装置
JP545892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4185467A (ja) プリンタ装置
JPH08244285A (ja) 点字プリンタ及び点字プリンタの印字制御方法
JP2007152815A (ja) 印刷穿孔制御システムとプリンタと印刷穿孔御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印刷穿孔制御方法
JPS58224771A (ja) プリンタの用紙切断方式
WO1989006599A1 (en) Apparatus for printing braille in paper
JP202401755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サーバー装置
US1105921A (en) Punching-machine.
US20060206859A1 (en) Method for generating object shapes by emulation
JP3242523B2 (ja) 印字情報処理装置
JP2020001186A (ja) 記録システム及びミシン目形成方法
JP5065067B2 (ja) レーザ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