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541A -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541A
KR20220080541A KR1020200169760A KR20200169760A KR20220080541A KR 20220080541 A KR20220080541 A KR 20220080541A KR 1020200169760 A KR1020200169760 A KR 1020200169760A KR 20200169760 A KR20200169760 A KR 20200169760A KR 20220080541 A KR20220080541 A KR 20220080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housing
cover
steering whe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석훈
이규상
송민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9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0541A/ko
Publication of KR20220080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60R2021/216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the cover being displaced towards the occupant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19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28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림의 중앙에 기능부가 마련된 스티어링휠의 림 후방에 위치되며 상면이 개방된 에어백하우징; 에어백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전개시 기능부와 스티어링휠의 림 사이를 통해 스티어링휠의 전방으로 팽창되는 에어백쿠션; 에어백하우징의 상면을 커버링하며,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개방되는 에어백커버; 및 일단부가 에어백커버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에어백하우징에 연결되어 에어백커버의 개방시 에어백하우징과의 이격거리를 제한하는 제한테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DRIVER AIR BA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쿠션이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피하여 전개되도록 전개 방향을 유도하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차량에는 여러 종류의 에어백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바, 그 중에서 운전석 에어백장치는 스티어링휠에 장착된다.
운전석 에어백장치는 에어백 컨트롤유닛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서 가스주입장치가 폭발하면, 가스주입장치에서 분사된 에어백가스의 압력에 의해 에어백쿠션이 스티어링휠로부터 돌출되면서 운전자를 향해 전개됨에 따라 전개된 에어백쿠션에 의해 운전자의 상체가 보호를 받도록 된 구성이다.
한편, 운전자가 스티어링휠과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 등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차량이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자율주행 상황이 보편적으로 실현되면, 차량 주행 중에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는 릴렉스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릴렉스모드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을 위해 스티어링휠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운전자 에어백쿠션은 사고 발생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쪽으로 돌출되면서 운전자 측으로 전개되어야 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손시키면서 전개되는 경우 비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운전자가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피해서 전개되는 구조가 개발되고 있지만, 에어백쿠션을 원하는 방향으로 전개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044831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에어백쿠션이 내부에 위치되는 에어백하우징의 상면은 덮은 에어백커버에 에어백하우징과 연결된 제한테더를 연결시켜 에어백커버의 개방 거리를 제한하여 에어백쿠션의 후측 방향 전개를 저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림의 중앙에 기능부가 마련된 스티어링휠의 림 후방에 위치되며 상면이 개방된 에어백하우징; 에어백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전개시 기능부와 스티어링휠의 림 사이를 통해 스티어링휠의 전방으로 팽창되는 에어백쿠션; 에어백하우징의 상면을 커버링하며,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개방되는 에어백커버; 및 일단부가 에어백커버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에어백하우징에 연결되어 에어백커버의 개방시 에어백하우징과의 이격거리를 제한하는 제한테더;를 포함한다.
에어백쿠션의 하부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의 내부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커버에는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에어백하우징과 체결된 체결부가 포함되며, 체결부는 에어백커버의 개방시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체결부는 일측면이 에어백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매칭되고, 체결부의 일측면과 에어백하우징의 마주하는 측면에는 각각 홀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걸림결합될 수 있다.
에어백커버에는 후방부에서 하방으로 결합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결합부는 에어백하우징과 결합되며, 에어백커버는 에어백쿠션이 전개시 결합부를 중심으로 전방부가 상방으로 회전되며 개방될 수 있다.
에어백커버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에어백하우징과 결합된 인서트플레이트 및 인서트플레이트에 합성수지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인서트플레이트를 감싸는 외부커버가 포함될 수 있다.
인서트플레이트에는 후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에어백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에어백커버가 개방시 결합부를 중심으로 에어백커버가 회전될 수 있다.
스티어링휠의 중앙부에 위치된 기능부는 스티어링휠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에어백커버는 에어백쿠션이 전개시 스티어링휠의 후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저지하며, 에어백쿠션이 스티어링휠의 전방을 향해 전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한테더는 일단부가 에어백커버의 에어백하우징을 향하는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에어백하우징의 후방측에 고정될 수 있다.
스티어링휠에는 스티어링휠의 중앙에 마련되며 연결부를 통해 림과 결합되고 장착공간이 마련된 장착프레임이 형성되며, 에어백하우징은 장착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에어백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고 에어백쿠션과 연결되어 상방으로 가스를 주입하여 에어백쿠션을 전개시키는 가스주입장치; 및 에어백하우징의 하부와 장착프레임을 체결하며 가스주입장치의 가스폭발을 지지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쿠션이 내부에 수납되는 에어백하우징과 에어백커버를 연결하는 제한테더가 마련되어 에어백쿠션이 전개시 에어백커버의 개방 거리를 제한하여 에어백 쿠션이 스티어링 휠 후방으로 전개되는 오전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하우징 및 커버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결합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쿠션이 전개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한테더가 복수 개로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제한테더가 결합된 방식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하우징 및 커버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결합부(521)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쿠션(400)이 전개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운전석의 전방에 장착된 스티어링휠(100)의 후방에 장착되어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작동되어 승객의 전방을 향해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스티어링휠(100)의 중앙부에는 여러 장치와 연결되거나 기능을 할 수 있는 기능부(200)가 마련되고, 에어백쿠션(400)은 기능부(200)를 회피하며 승객의 전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은 림의 중앙에 기능부(200)가 마련된 스티어링휠(100)의 림 후방에 위치되며 상면이 개방된 에어백하우징(300); 에어백하우징(300)의 내부에 수납되고, 전개시 기능부(200)와 스티어링휠(100)의 림 사이를 통해 스티어링휠(100)의 전방으로 팽창되는 에어백쿠션(400); 에어백하우징(300)의 상면을 커버링하며, 에어백쿠션(400)의 전개시 개방되는 에어백커버(500); 및 일단부가 에어백커버(50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에어백하우징(300)에 연결되어 에어백커버(500)의 개방시 에어백하우징(300)과의 이격거리를 제한하는 제한테더(6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하우징(300)은 스티어링휠(100)의 후방측에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백커버(500)는 에어백하우징(300)의 상부를 커버링 하면서 에어백하우징(300)의 후방과 결합될 수 있다.
에어백쿠션(400)은 에어백하우징(3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 사고시 상측의 에어백커버(500)를 개방시키며 승객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에어백쿠션(400)은 에어백하우징(300) 전방에 위치한 기능부(200)를 회피하며 전개되어 기능부(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백쿠션(400)은 전개시 에어백하우징(300)의 상부로 전개되어 스티어링휠(100)의 림과 기능부(200) 사이를 통과하며 최종적으로 승객의 전방에 위치되어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승객이 스티어링휠(100)과 충돌하여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한테더(600)는 일단부가 에어백커버(500)의 내측과 결합되며, 타단부는 에어백하우징(3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에어백쿠션(400)과 함께 수납되며, 에어백쿠션(400) 전개시 함께 전개될 수 있다.
에어백쿠션(400)이 전개시 에어백커버(500)의 전방측을 개방시키며, 제한테더(600)는 에어백커버(500)와 에어백하우징(300) 사이의 개방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에어백커버(500)는 에어백쿠션(400)이 전개시 스티어링휠(100)의 후방으로 오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한테더(600)는 에어백커버(500)가 에어백쿠션(400)이 스티어링휠(100) 후방측으로 전개되는 오전개를 방지하도록 에어백쿠션(40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백쿠션(400)이 정상적으로 승객의 전방으로 전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어백쿠션(4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400)의 내부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장치(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주입장치(700)는 에어백쿠션(4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에어백쿠션(400)의 내부로 가스를 주입하여 에어백쿠션(400)이 상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가스주입장치(700)는 에어백하우징(300)에 결합되거나 에어백하우징(30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백커버(500)에는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에어백하우징(300)과 체결된 체결부(530)가 포함되며, 체결부(530)는 에어백커버(500)의 개방시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커버(500)는 에어백하우징(300)과 체결되어 고정되기 위해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체결부(5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530)는 에어백하우징(300)과 체결되며, 에어백쿠션(400)이 전개시 체결이 해제되어 에어백커버(500)는 상측으로 이동되고 에어백하우징(300)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체결부(530)는 일측면이 에어백하우징(30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매칭되고, 체결부(530)의 일측면과 에어백하우징(300)의 마주하는 측면에는 각각 홀(531) 또는 돌기(310)가 형성되어 상호 걸림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체결부(530)에 홀(531)이 형성되며 홀(53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에어백하우징(300)에는 외부로 돌출된 돌기(310)가 형성되며, 돌기(310)는 홀(531)에 삽입되어 에어백하우징(300)과 에어백커버(50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에어백쿠션(400)이 전개시 돌기(310)는 홀(531)에서 이탈되어 에어백커버(500)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홀(531)과 돌기(310)는 서로 위치가 변경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에어백커버(500)에는 후방부에서 하방으로 결합부(521)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결합부(521)는 에어백하우징(300)과 결합되며, 에어백커버(500)는 에어백쿠션(400)이 전개시 결합부(521)를 중심으로 전방부가 상방으로 회전되며 개방될 수 있다.
에어백커버(500)는 후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결합부(521)가 형성되고, 결합부(521)는 에어백하우징(300)과 에어백커버(500)를 결합시키며, 에어백쿠션(400)이 전개시 에어백커버(500)의 전방부는 후방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커버(500)는 에어백쿠션(400)의 하면에 지지되며 스티어링휠(100) 후방으로 전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어백커버(50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에어백하우징(300)과 결합된 인서트플레이트(520) 및 인서트플레이트(520)에 합성수지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인서트플레이트(520)를 감싸는 외부커버(51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커버(500)는 내부에 금속재질로 형성된 인서트플레이트(520)가 위치되고, 인서트플레이트(520)의 외측을 사출 성형된 외부커버(510)로 형성되어, 에어백쿠션(400)이 전개시 발생되는 전개압을 인서트플레이트(520)가 견디며, 외부커버(510)가 에어백커버(500)의 외관 및 크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530)는 외부커버(510)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합성수지의 재질특성상 탄성력에 의해 걸림결합이 결합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인서트플레이트(520)에는 후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에어백하우징(300)과 결합되는 결합부(521)가 형성되고, 에어백커버(500)가 개방시 결합부(521)를 중심으로 에어백커버(500)가 회전될 수 있다.
에어백커버(500)의 결합부(521)는 인서트플레이트(520) 후단부가 절단되어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결합부(521)가 에어백커버(5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에어백쿠션(400)이 전개시 결합부(521)가 인서트플레이트(520)에서 절곡된 부분이 펼처지면서 에어백커버(500)가 개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물의 브라켓 없이 에어백커버(500)는 에어백하우징(3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에어백커버(500)가 견고하게 에어백하우징(300)에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티어링휠(100)의 중앙부에 위치된 기능부(200)는 스티어링휠(10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에어백하우징(300)의 전방에 위치된 기능부(200)는 터치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기능부(200)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외에도 조명 엠블렘 등이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에어백커버(500)는 에어백쿠션(400)이 전개시 스티어링휠(100)의 후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저지하며, 에어백쿠션(400)이 스티어링휠(100)의 전방을 향해 전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에어백커버(500)는 후방부를 중심으로 전방부가 상방으로 회전되며. 에어백쿠션(400)의 상방에 위치되어 에어백쿠션(400)이 스티어링휠(100)의 후방부로 전개되는 오전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한테더(600)가 복수 개로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제한테더(600)가 결합된 방식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한테더(600)는 일단부가 에어백커버(500)의 에어백하우징(300)을 향하는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에어백하우징(300)의 후방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한테더(600)는 일단부에 에어백커버(500)의 인서트플레이트(5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에어백쿠션(400)의 전개압에 개방되는 에어백커버(5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더 참조하면 제한테더(600)는 1개 이상의 복수 개로 에어백커버(500)에 결합되어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한테더(6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에어백커버(500) 또는 에어백하우징(3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6 내지 7을 더 참조하면 제한테더(600)의 다양한 결합방법을 알아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테더(600)는 에어백커버(500)에 형성된 슬릿을 통과하여 단부에 봉제결합되어 에어백커버(500)와 에어백하우징(30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커버(500)에는 관통홀(531)이 형성되어 관통홀(531)에 리벳과 같은 별물의 부품이 삽입되며 제한테더(600)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제한테더(600)는 에어백하우징(300) 또는 에어백커버(5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 6 내지 7에서는 에어백커버(500)와 제한테터의 결합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결합방식으로 제한테더(600)와 에어백하우징(300)이 결합될 수 있다.
스티어링휠(100)에는 스티어링휠(100)의 중앙에 마련되며 연결부를 통해 림과 결합되고 장착공간이 마련된 장착프레임(110)이 형성되며, 에어백하우징(300)은 장착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100)에는 에어백하우징(300)과 결합되기 위해서 림에서 스티어링휠(100)의 후방으로 연장된 장착프레임(110)이 형성되어, 장착프레임(110)은 에어백하우징(300)이 결합되어 림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림의 양측을 연결하여 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장착프레임(110)은 림의 하부에도 연결되어 2스포크가 아닌 3스포크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백하우징(3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에어백쿠션(400)과 연결되어 상방으로 가스를 주입하여 에어백쿠션(400)을 전개시키는 가스주입장치(700); 및 에어백하우징(300)의 하부와 장착프레임(110)을 체결하며 가스주입장치(700)의 가스폭발을 지지하는 브라켓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주입장치(700)는 에어백하우징(300)의 하부에 결합되고 에어백쿠션(400)의 내부에 가스를 상방으로 주입시킨다.
이때 가스주입장치(700)는 내부의 화약을 폭발시켜 가스를 상방으로 분출하고 이에 반작용으로 하방으로 힘이 전달되게 된다. 이때 에어백하우징(300)의 파손을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하우징(300)의 하부에는 스티어링휠(100)과 결합되는 브라켓부(8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스주입장치(700)의 작동에도 에어백하우징(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스티어링휠
110 : 장착프레임
200 : 기능부
300 : 에어백하우징
310 : 돌기
400 : 에어백쿠션
500 : 에어백커버
510 : 외부커버
520 : 인서트플레이트
521 : 결합부
530 : 체결부
531 : 홀
600 : 제한테더
700 : 가스주입장치
800 : 브라켓부

Claims (12)

  1. 림의 중앙에 기능부가 마련된 스티어링휠의 림 후방에 위치되며 상면이 개방된 에어백하우징;
    에어백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전개시 기능부와 스티어링휠의 림 사이를 통해 스티어링휠의 전방으로 팽창되는 에어백쿠션;
    에어백하우징의 상면을 커버링하며,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개방되는 에어백커버; 및
    일단부가 에어백커버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에어백하우징에 연결되어 에어백커버의 개방시 에어백하우징과의 이격거리를 제한하는 제한테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의 하부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의 내부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커버에는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에어백하우징과 체결된 체결부가 포함되며, 체결부는 에어백커버의 개방시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체결부는 일측면이 에어백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매칭되고, 체결부의 일측면과 에어백하우징의 마주하는 측면에는 각각 홀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걸림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커버에는 후방부에서 하방으로 결합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결합부는 에어백하우징과 결합되며, 에어백커버는 에어백쿠션이 전개시 결합부를 중심으로 전방부가 상방으로 회전되며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커버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에어백하우징과 결합된 인서트플레이트 및 인서트플레이트에 합성수지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인서트플레이트를 감싸는 외부커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인서트플레이트에는 후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에어백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에어백커버가 개방시 결합부를 중심으로 에어백커버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티어링휠의 중앙부에 위치된 기능부는 스티어링휠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커버는 에어백쿠션이 전개시 스티어링휠의 후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저지하며, 에어백쿠션이 스티어링휠의 전방을 향해 전개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한테더는 일단부가 에어백커버의 에어백하우징을 향하는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에어백하우징의 후방측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티어링휠에는 스티어링휠의 중앙에 마련되며 연결부를 통해 림과 결합되고 장착공간이 마련된 장착프레임이 형성되며, 에어백하우징은 장착프레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에어백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고 에어백쿠션과 연결되어 상방으로 가스를 주입하여 에어백쿠션을 전개시키는 가스주입장치; 및
    에어백하우징의 하부와 장착프레임을 체결하며 가스주입장치의 가스폭발을 지지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20200169760A 2020-12-07 2020-12-07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20220080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60A KR20220080541A (ko) 2020-12-07 2020-12-07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60A KR20220080541A (ko) 2020-12-07 2020-12-07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41A true KR20220080541A (ko) 2022-06-14

Family

ID=8198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760A KR20220080541A (ko) 2020-12-07 2020-12-07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05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831A (ko) 2010-10-28 2012-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831A (ko) 2010-10-28 2012-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8364B1 (en) Airbag module with deployment chute
US6302437B1 (en) Vehicle glove box assembly having knee restraint capabilities
KR100707890B1 (ko) 에어백장치
EP3315364B1 (en) Airbag assembly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airbag assembly
US20100109299A1 (en) Air bag cover and air bag device
US7775554B2 (en) Air bag module vent
US10787145B2 (en) Airba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irbag cushion for an airbag device
US20070057498A1 (en) Airbag device
KR20150054575A (ko) 차량용 에어백
KR100990569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220080541A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US20150054262A1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KR20220026940A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20220030690A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JP6993566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698684B1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
JP2006273244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046131B1 (ko) 에어백 커버의 결합구조
KR100616013B1 (ko) 에어백 장치
KR20110029980A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20070096355A (ko) 커튼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JP4051155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778589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KR100510359B1 (ko) 자동차용 운전석 에어백
KR100557320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