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166A -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166A
KR20220079166A KR1020200168651A KR20200168651A KR20220079166A KR 20220079166 A KR20220079166 A KR 20220079166A KR 1020200168651 A KR1020200168651 A KR 1020200168651A KR 20200168651 A KR20200168651 A KR 20200168651A KR 20220079166 A KR20220079166 A KR 20220079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frame
capture device
coupling hole
modu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736B1 (ko
Inventor
장이권
구교성
강하경
권세라
김아정
김현정
서재영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7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2Collecting-traps with devices for throwing the animal to a collect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40Monitoring or fighting invasive spec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플레이트(P1)에 의해 상하가 개방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100);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플레이트(P2)에 의해 상하가 개방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모듈 프레임(200A, 200B); 및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하부에 연결되는 그물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대향되는 면에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발판부(110); 및 상기 본체 프레임(100)과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11)에 연결되는 다수의 부표(120);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은, 한면 이상에 구비되며 일방으로의 개방방향을 갖는 탈출구(210)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구(210)는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개방방향을 갖는,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modular trap for invasive freshwater turtles}
본 발명은 모듈형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거북류 종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래거북을 유인하기 위해 특화된 구성을 갖는 모듈형 포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붉은귀거북 등 외래거북의 유입으로 인해 생태계 교란, 토착종과의 경쟁, 포식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외래거북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고자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질적인 감소를 위한 기술 개발은 미미했다.
야생으로 유입된 외래거북을 관리하는 방안으로 포획장치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나, 어류 등 수중 생물이 같이 포획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외래거북의 포획을 위해 설치된 포획장치에 멸종위기종 II급, 천연기념물 453호인 남생이가 함께 포획되어 관리자가 포획장치를 일정 시간마다 확인하여 방생하는 작업이 강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방생 이전에 외래거북을 효과적으로 포획하기 위해 거북류의 생태적 특징을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도 1은 거북류의 생태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의 왼쪽 사진은 나뭇가지 위에서 일광욕하는 거북이의 모습이 담겨있으며, 오른쪽 도면은 물속으로 떨어지는 모습이 담겨있다.
도 1을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거북류의 종들은 일반적으로 일광욕 후 낙하하여, 수중으로 돌아가는 행동적 특성이 있다. 이러한 생태적 특성을 이용하여, 외래거북을 효과적으로 포획할 필요가 있었다.
관련 특허 공보를 살펴본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42075호는 민물거북 생포용 덫에 관한 것으로, 휴대와 설치가 간편하고, 포획된 거북류가 익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하지만 포획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가 필요하며, 또한, 외래거북이 들어오는 유입구가 물속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중에서 활동하는 대상종들 뿐만 아니라 어류와 같은 수중 생물들이 같이 포획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185114호는 부도형 거북이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면에 뜬 상태에서 설치 가능한 거북이 포획 장치를 제공한다. 하지만, 외래 거북 외에도 보호되어야 할 멸종위기 종까지 포획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포획장치의 구성으로 인해 포획된 개체가 다시 탈출하는 문제도 있었다.
KR 10-1142075 B1 JP 3185114 U KR 10-2015-010989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외래거북 포획장치에 멸종위기종인 남생이가 포획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외래거북 포획장치에 어류와 같은 수중 생물들이 같이 포획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휴대와 설치가 어려웠던 외래거북 포획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수의 플레이트(P1)에 의해 상하가 개방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100);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플레이트(P2)에 의해 상하가 개방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모듈 프레임(200A, 200B); 및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하부에 연결되는 그물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대향되는 면에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발판부(110); 및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 외측에 연결되는 다수의 부표(120);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은, 한면 이상에 구비되며 일방으로의 개방방향을 갖는 탈출구(210)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구(210)는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개방방향을 갖는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11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경사 발판(111); 및 상기 경사 발판(111)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발판(11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출구(210)는,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 에 형성된 탈출공(210H)을 폐쇄할 수 있도록 스프링경첩(211)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개방방향을 가지며, 개방된 후 상기 스프링경첩(211)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출구(210)는 상기 탈출공(210H)보다 더 높이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탈출공(210H)은, 폭이 9cm이하, 높이가 6cm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물부(300)는, 장방 형상의 스테인리스 틀(301)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인리스 틀(301)이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하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상부에 한쌍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상부결합공(101); 및 하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하부결합공(10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는, 상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상부결합공(201); 및 하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하부결합공(20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결합공(101)에 상기 발판부(110)가 체결되고, 고리형상의 연결 부재(11)에 의해, 상기 제1 하부결합공(102)과 상기 제2 상부결합공(201)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하부결합공(202)과 상기 스테인리스 틀(301)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외측 모서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고정부(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30)에 수변의 지면에서 연장된 끈이 연결되어 상기 포획장치가 떠내려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11)는, 스테인리스재 고리, 끈, 및 케이블 타이 중 어느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듈 프레임(200B)는, 상기 모듈 프레임(200B)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연장선(230); 상기 연장선(23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미끼용 고리(231); 및 사면 중 상기 탈출구(210)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대향 형성되는 유인통로(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인통로(220)는, 상기 미끼용 고리(231)을 향하도록 공간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P1, P2)는 힌지(115)에 의해 연결되어 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에 의해 멸종위기종인 남생이가 포획될 경우 방생할 수 있으며, 퇴치대상인 외래거북만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는 조립 가능하여, 휴대와 설치가 매우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는 물 위에 띄울 수 있는 부유식으로 수변부터 수심이 깊은 곳에 있는 외래거북까지 유인 및 포획을 할 수 있다.
도 1은, 거북류의 생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의 실사용 예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는, 본체 프레임(100), 본체 프레임(100)에 연결되며 교체 가능한 모듈 프레임(200A, 200B), 및 그물부(300)를 포함한다. 본체 프레임(100), 모듈 프레임(200A, 200B), 및 그물부(300)는 연결 부재(1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조립 가능하다.
연결부재(11)에 의해, 후술할 제1 하부결합공(102)과 제2 상부결합공(201)이 연결되고, 제2 하부결합공(202)과 스테인리스 틀(301)이 연결 가능하다.
연결 부재(11)는, 고리형상으로 스테인리스재 고리, 끈, 및 케이블 타이 중 어느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 혼용 사용도 가능하다.
본체 프레임(100)은, 다수의 플레이트(P1)에 의해 상하가 개방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 프레임(100)은 스테인리스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플레이트(P1)는 상부에 한쌍으로 다수 형성되는 제1 상부결합공(101) 및 하부에 다수 형성되는 제1 하부결합공(102)를 포함한다.
다수의 플레이트(P1)는 힌지(11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장방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플레이트(P1)에 의해 형성된 본체 프레임(100)은, 상부에 한쌍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상부결합공(101) 및 하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하부결합공(102)이 형성될 것이다.
본체 프레임(100)은 발판부(110), 부표(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발판부(110)는 본체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발판부(110)는 본체 프레임(100)의 외측에 결합되는 경사 발판(111) 및 본체 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수평 발판(112)을 포함한다.
발판부(110)는 제1 상부결합공(101)의 내측과 외측에 체결됨으로써 본체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상부결합공(101)은 한쌍으로 형성되어 볼트체결 가능하기 때문에 발판부(110)를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발판부(110)의 재질로 부유 가능한 목재 또는 스테인리스를 사용할 수 있다(도 9 참조).
경사 발판(111)은 본체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다.
경사 발판(111)은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유인거북이 미끄러져 포획 실패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미끄럼방지부는 메쉬망, 또는 그물일 수 있으나, 돌기 등 외래거북이 발판을 타고 올라가는데 미끄럼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채용 가능한다.
수평 발판(112)은 경사 발판(111)과 상부면이 연속되도록 연결되며, 본체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내측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된다.
부표(120)는 본체 프레임(100)의 제1 하부결합공(102)에 부표 연결용 타이(1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 프레임(100)과 모듈 프레임(200A, 200B)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1)에 부표 연결용 타이(121)를 연결하여, 본체 프레임(100) 하부에 다수의 부표(1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부표(120)는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의 높이와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하기 위해 제1 하부결합공(102) 외의 제2 상부결합공(201)에도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외측 모서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한다. 고정부(130)에 수변의 지면에서 연장된 끈이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가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를 수심이 낮은 곳이나 물가에서 이용할 경우 고정막대를 연결하여 부표 없이 고정 설치도 가능하다.
고정부(130)는 일실시예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모듈 프레임(200A, 200B)은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플레이트(P2)에 의해 상하가 개방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된다.
모듈 프레임(200A, 200B)은 스테인리스 소재를 사용하여 부식과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플레이트(P2)는 상부에 다수 형성되는 제2 상부결합공(201) 및 하부에 다수 형성되는 제2 하부결합공(202)을 포함한다.
다수의 플레이트(P2)는 힌지(11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장방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플레이트(P2)에 의해 형성된 모듈 프레임(200A, 200B)은, 상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상부결합공(201); 및 하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하부결합공(202)이 형성될 것이다.
또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과 모듈 프레임(200A, 200B)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P1, P2)는 힌지(115)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접이 가능하다. 사용 후 보관시 접어 보관 가능하여 공간 활용 효과도 있다.
모듈 프레임(200A, 200B)는, 교체 가능하도록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한면 이상에 구비되며 일방으로의 개방방향을 갖는 탈출구(210)를 더 포함한다.
탈출구(210)는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개방방향을 갖는다.
탈출구(210)는, 모듈 프레임(200A, 200B) 에 형성된 탈출공(210H)을 폐쇄할 수 있도록 스프링경첩(211)에 의해 설치되어,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개방방향을 가지며, 개방된 후 스프링경첩(211)에 의해 원위치로 복구된다.
도 5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탈출구(21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개방방향만을 가져서,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에 포획된 남생이를 방생시킬 수 있다.
탈출구(210)가, 폭이 9cm이하, 높이가 6cm이하로 형성되어, 외래거북 예를들면 붉은귀거북의 경우, 남생이보다 큰 등껍질을 갖기 때문에 탈출구(210)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남생이만을 방생할 수 있는 것이다(도7, 및 도8 참조).
그물부(300)는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하부에 연결되어, 본체 프레임(100) 및 모듈 프레임(200A, 200B)으로 포획된 거북들을 수용한다.
그물부(300)는, 장방 형상의 스테인리스 틀(301)을 포함한다.
스테인리스 틀(301)이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하부와 연결부재(11)에 의해 연결된다.
도 3를 참조하여, 교체 가능한 모듈 프레임(200A, 200B)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200B)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수중에 형성되는 유인통로(22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200B)는, 연장선(230), 미끼용 고리(231), 및 유인통로(220)를 포함한다.
연장선(230)은 모듈 프레임(200B)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일 실시예에서 유인통로(220)와 일치하는 선상에 일치하도록 설치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장선(230)은 모듈 프레임(200B)의 중심부 상부에 형성되되 대향되는 면에 위치한 제2 상부결합공(201)에 연결될 수 있다.
미끼용 고리(231)는 연장선(230)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미끼용 고리(231)에 외래거북 유인을 위한 미끼를 매달아 수중의 외래거북을 유인할 수 있다.
유인통로(220)는 모듈 프레임(200B)의 사면 중 탈출구(210)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대향 형성된다.
유인통로(220)는, 미끼용 고리(231)를 향하도록 좁아지는 공간을 갖는 형상으로, 일 실시예에서 단면이 원형으로 도시되나, 단면이 장방형이어도 무방하다.
유인통로(220)는 그물과 같은 연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쪽 구멍이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경우 거북이가 유인통로(220)를 통해 탈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유인통로(220)는 모듈 프레임(200B)을 접을 때 함께 접이될수 있으며 유인통로(220)의 안쪽구멍의 형태가 고정되지 않는, 그물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낙하식 포획장치의 성능을 검증한다.
도 6은 2019년부터 2020년 까지 수행된 포획장치 효율성 실험 결과에 관한 것으로, 낙하식 포획장치의 장치당 평균 포획 개체수와 모듈형 포획장치의 장치당 평균 포획 개체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 결과, 기존 단순 낙하식 포획장치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포획장치의 외래거북 포획률이 약 80%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낙하식 포획장치의 탈출구(210) 및 탈출공(210H)에 따른 기대효과를 설명한다.
예비 실험 결과, 측정 개체의 평균 등껍질 폭은 남생이(n=154) 8.93cm, 외래거북(n=45) 10.14cm, 등껍질 높이는 남생이(n=154) 55.14cm, 외래거북(n=45) 55.54cm로 나타났다.
또한, 등껍질 길이 대 등껍질 폭 비율(남생이:0.74 < 외래거북:0.84)은 남생이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탈출구 크기에 따른 남생이와 외래거북의 예상 포획률을 계산한 결과를 토대로 남생이 90~95%가 탈출 가능한 탈출구의 모양(8.6cm x 5.5cm)에서 오차를 생각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출공(210H)은 9cm x 6cm이하가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외래거북의 등껍질 크기를 고려한 탈출공(210H)의 설치는 혼획될 가능성이 있는 고유종에 대한 피해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P1, P2: 플레이트
11: 연결부재
100: 본체 프레임
101: 제1 상부결합공
102: 제1 하부결합공
110: 발판부
111: 경사 발판
112: 수평 발판
115: 힌지
120: 부표
121: 부표 연결용 타이
130: 고정부
200A. 200B: 모듈 프레임
201: 제2 상부결합공
202: 제2 하부결합공
210: 탈출구
211: 탈출구 힌지
220: 수중 유입구(공간 좁아지도록 형성)
230: 연장선
231: 미끼용 고리
300: 그물
301: 스테인리스 틀

Claims (10)

  1. 다수의 플레이트(P1)에 의해 상하가 개방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100);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플레이트(P2)에 의해 상하가 개방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모듈 프레임(200A, 200B); 및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하부에 연결되는 그물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대향되는 면에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발판부(110); 및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 외측에 연결되는 다수의 부표(120);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는,
    한면 이상에 구비되며 일방으로의 개방방향을 갖는 탈출구(210)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구(210)는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개방방향을 갖는,
    포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11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경사 발판(111); 및
    상기 경사 발판(111)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발판(112)을 포함하는,
    포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210)는,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 에 형성된 탈출공(210H)을 폐쇄할 수 있도록 스프링경첩(211)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개방방향을 가지며, 개방된 후 상기 스프링경첩(211)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포획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210)는 상기 탈출공(210H)보다 더 높이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탈출공(210H)은,
    폭이 9cm이하, 높이가 6cm이하로 형성되는,
    포획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부(300)는,
    장방 형상의 스테인리스 틀(301)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인리스 틀(301)이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의 하부와 연결되는,
    포획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상부에 한쌍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상부결합공(101); 및
    하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하부결합공(10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프레임(200A, 200B)는,
    상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상부결합공(201); 및
    하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하부결합공(20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결합공(101)에 상기 발판부(110)가 체결되고,
    고리형상의 연결 부재(11)에 의해,
    상기 제1 하부결합공(102)과 상기 제2 상부결합공(201)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하부결합공(202)과 상기 스테인리스 틀(301)이 연결되는,
    포획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외측 모서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고정부(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30)에 수변의 지면에서 연장된 끈이 연결되어 상기 포획장치가 떠내려가는 것이 방지되는,
    포획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1)는,
    스테인리스재 고리, 끈, 및 케이블 타이 중 어느하나 이상인,
    포획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프레임(200B)는,
    상기 모듈 프레임(200B)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연장선(230);
    상기 연장선(23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미끼용 고리(231); 및
    사면 중 상기 탈출구(210)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대향 형성되는 유인통로(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인통로(220)는,
    상기 미끼용 고리(231)을 향하도록 공간이 좁아지는 형상인,
    포획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P1, P2)는 힌지(115)에 의해 연결되어 접이 가능한,
    포획장치.
KR1020200168651A 2020-12-04 2020-12-04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 KR102507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651A KR102507736B1 (ko) 2020-12-04 2020-12-04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651A KR102507736B1 (ko) 2020-12-04 2020-12-04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166A true KR20220079166A (ko) 2022-06-13
KR102507736B1 KR102507736B1 (ko) 2023-03-08

Family

ID=8198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651A KR102507736B1 (ko) 2020-12-04 2020-12-04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7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126B1 (ko) * 2022-09-01 2023-03-08 공명식 부상식 생태계교란종 생존유지 포획장치
KR102530919B1 (ko) * 2022-06-14 2023-05-10 최진호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KR102604355B1 (ko) * 2022-09-26 2023-11-23 최진호 향상된 포획 효율성을 갖는 생태교란 외래거북 포획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75B1 (ko) 2010-01-19 2012-05-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민물거북 생포용 덫
JP3185114U (ja) 2013-05-21 2013-08-01 保 鬼頭 浮島型カメ捕獲装置
KR20150109899A (ko) 2014-03-21 2015-10-02 주식회사 녹인 계절별 조건을 고려한 양서류 및 파충류 포획장치
JP2016220659A (ja) * 2015-06-04 2016-12-28 クラーク株式会社 カメ捕獲装置及びカメ捕獲方法
JP2017184644A (ja) * 2016-04-02 2017-10-12 東北興商株式会社 動物捕獲装置
KR102029761B1 (ko) * 2018-04-12 2019-10-08 차창수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
KR20200021801A (ko) * 2018-08-21 2020-03-02 국립생태원 뉴트리아 포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114B2 (ja) * 1992-01-31 2001-07-09 株式会社トキメック ジャイロコンパス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75B1 (ko) 2010-01-19 2012-05-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민물거북 생포용 덫
JP3185114U (ja) 2013-05-21 2013-08-01 保 鬼頭 浮島型カメ捕獲装置
KR20150109899A (ko) 2014-03-21 2015-10-02 주식회사 녹인 계절별 조건을 고려한 양서류 및 파충류 포획장치
JP2016220659A (ja) * 2015-06-04 2016-12-28 クラーク株式会社 カメ捕獲装置及びカメ捕獲方法
JP2017184644A (ja) * 2016-04-02 2017-10-12 東北興商株式会社 動物捕獲装置
KR102029761B1 (ko) * 2018-04-12 2019-10-08 차창수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
KR20200021801A (ko) * 2018-08-21 2020-03-02 국립생태원 뉴트리아 포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19B1 (ko) * 2022-06-14 2023-05-10 최진호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KR102508126B1 (ko) * 2022-09-01 2023-03-08 공명식 부상식 생태계교란종 생존유지 포획장치
KR102604355B1 (ko) * 2022-09-26 2023-11-23 최진호 향상된 포획 효율성을 갖는 생태교란 외래거북 포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736B1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736B1 (ko)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
US8291863B2 (en) Transportable device for colonizing and harvesting invertebrates, and use of said device
US8950362B2 (en) Complex floating wetland equipment
US20090025274A1 (en) Animal trap
CA2152026A1 (en) Collapsible lobster trap
KR101142075B1 (ko) 민물거북 생포용 덫
KR100580081B1 (ko) 아치형 인공어초
Bruce Bury Modifications of traps to reduce bycatch of freshwater turtles
JP4481251B2 (ja) クラゲ捕捉防止方法及びクラゲ捕捉防止魚網
CA2175146C (en) Crab pot
WO2012003537A1 (en) A collapsible crustacean trap
KR20110001609U (ko) 낙지 포획용 통발
KR101695979B1 (ko)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KR102234532B1 (ko)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
KR101716651B1 (ko) 저인망 어업 방지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US3605320A (en) Crab trap
CN205694989U (zh) 一种海上渔场
JP7058424B2 (ja) 水生動物脱出装置および定置網
KR101288909B1 (ko) 어로용 통발
KR102125946B1 (ko) 뉴트리아 포획장치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JP3335451B2 (ja) 底棲魚類幼稚魚用魚礁
KR102508126B1 (ko) 부상식 생태계교란종 생존유지 포획장치
Thwaites et al. Design and installation of a novel wetland carp harvesting set-up at Lake Bonney, South Austral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