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919B1 -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919B1
KR102530919B1 KR1020220071953A KR20220071953A KR102530919B1 KR 102530919 B1 KR102530919 B1 KR 102530919B1 KR 1020220071953 A KR1020220071953 A KR 1020220071953A KR 20220071953 A KR20220071953 A KR 20220071953A KR 102530919 B1 KR102530919 B1 KR 102530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rame
climbing
red
ca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22007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919B1/ko
Priority to KR1020230058245A priority patent/KR20230171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4Collecting-traps with tipping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2Collecting-traps with devices for throwing the animal to a collect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4Other traps automatically rese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태계를 교란하는 외래종인 붉은귀 거북이 서식하는 서식지에 배치되어, 상기 붉은귀거북을 단시간 내에 포획하는 붉은귀거북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외벽에 투수공들이 형성되며, 상부에 포획로가 개방된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포획공간을 갖는 포획틀과; 상기 포획틀에 장착되어, 포획틀이 수면에 설정높이로 부상되도록 하는 부구와; 상기 포획틀의 측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면과 포획로 사이에 포획을 요하는 붉은귀거북의 등반경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등반패널; 및 상기 등반패널의 힌지 중심점을 포획틀의 측부에 힌지구조로 배치하여, 평상시에는 등반패널의 무게중심이 외측구간에 형성되어 포획틀의 측부에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힌지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붉은귀거북 포획장치{red-eared slider trapping device}
본 발명은 붉은귀거북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태계를 교란하는 외래종인 붉은귀 거북이 서식하는 서식지에 배치되어, 상기 붉은귀거북을 단시간 내에 포획하는 붉은귀거북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태계의 보존을 목적으로 하여 야생 동물을 포획하는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근자에는 외래종인 붉은귀거북 등이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상기 붉은귀 거북은 한국에서는 주로 애완용으로 키웠으나, 종교적인 방생을 비롯해 여러 이유로 자연에 놓아주면서 생태계 파괴를 불러 일으켰고, 현재 그 심각성이 알려짐에 따라 상기 붉은귀 거북은 생태계 교란 야생동물로 지정되어 수입이 금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붉은귀거북은 10월쯤부터 연못이나 호수바닥에서 동면하며, 날씨가 따뜻해지면 활동이 활발해지져 수면위로 올라왔다가 추워지면 다시 들어하는 형태로 서식하며, 주로 날씨가 따뜻해지는 3월 내지 4월이 되면 먹이를 찾으러 수면으로 나오는 생육 습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붉은귀거북은 비타민 D₃합성, 소화촉진, 체온조절, 면역체계활성화, 살균 및 휴식을 위해 수면에 노출된 바위 등지에 올라가 일정시간 동안 일광욕을 필수적으로 실시하여서, 신체 면역을 증진할 뿐 아니라 갑연화증을 예방하게 된다.
이러한 붉은귀거북을 포획하는 방법은, 국내에서는 아직 고안되어 적용된 사례가 없으며, 외국의 경우 거북이 자주 출입하는 지역의 수중에 포획망 등을 설치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 다른 포획 방법로는, 포획 수단을 수면 근처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렇게 포획 수단을 수면 근처에 설치하되 수심이 깊은 경우에는 부구를 설치하든가 배를 이용하여 포획 수단의 일부를 수면으로 노출시켜야 하므로, 거북의 포획에 많은 노력과 장비가 사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1668161 JP 11289957 A JP 3016577 U9 KR 10-1983-0008477 A KR 1142075 B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생태계를 교란하는 외래종인 붉은귀거북이 서식하는 습지 등의 서식지에 부상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붉은귀거북을 단시간 내에 포획함에 있어,
다양한 서식환경을 갖는 서식지에 정형화된 설치가 가능하고, 특히 상기 포획을 요하는 붉은귀거북만을 선택적으로 포획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개구리나 도룡용 등의 보호 동물의 포획을 예방하면서 붉은귀 거북의 안정적인 포획이 가능하도록 하는 붉은귀거북 포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붉은귀거북 포획장치는,
외벽에 투수공들이 형성되며, 상부에 포획로가 개방된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포획공간을 갖는 포획틀과;
상기 포획틀에 장착되어, 포획틀이 수면에 설정높이로 부상되도록 하는 부구와;
상기 포획틀의 측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면과 포획로 사이에 포획을 요하는 붉은귀거북의 등반경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등반패널; 및
상기 등반패널의 힌지 중심점을 포획틀의 측부에 힌지구조로 배치하여, 평상시에는 등반패널의 무게중심이 외측구간에 형성되어 포획틀의 측부에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힌지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 지지부는 포획틀의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축과, 상기 등반패널의 중간구간에 형성되어 힌지축에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되는 힌지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등반패널의 중간구간에는 힌지축과 택일하여 힌지구조로 조립되어서, 상항 경사진 등판패널의 하향 경사에 따른 하중값이 조절되도록 하는 복수의 힌지소켓들이 이격하여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 지지부는 포획틀의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축과, 상기 등반패널의 중간구간에 형성되어 힌지축에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되는 힌지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포획틀에는 진퇴 가이드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진퇴 가이드에는 힌지축을 고정한 가동자가 진퇴구조로 배치되어서, 상기 등반패널은 가동자에 의해 진퇴하는 힌지축의 진퇴이동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포획틀과, 상기 포획틀의 측부에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등반패널 사이에는 자기 결합력에 의해 고정되는 강자성편과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자기 고정부가 배치되고, 상기 자기 고정부에는 상향 경사진 등반패널에 의해 압축되는 팝업 스프링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강자성편과 영구자석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 결합력은 팝업 스프링의 압축력 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광욕을 즐기는 붉은귀거북의 생육 특성을 활용하여 붉은귀거북을 포획함에 있어, 등반패널의 경사도 조절구조와 하향 선회에 따른 하중값 조절구조를 부가하여서, 포획을 요하는 붉은귀거북 만의 선별적이고 안정적인 포획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하중값 조절구조와 경사도 조절구조를 통해 다양한 서식환경을 갖은 서식지에 안정된 설치를 통해, 포획을 요하는 붉은귀거북의 안정적인 포획이 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 거북 포획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 거북 포획장치를 통한 붉은귀거북의 포획상태를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a의 세부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 거북 포획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 거북 포획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 거북 포획장치를 통한 붉은귀거북의 포획상태를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a의 세부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붉은귀거북 포획장치(100)는 호수, 습지, 저수지 등 유속이 느린 곳에서 서식하는 붉은귀거북의 서식지에 설치되어,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붉은귀거북을 포획하는 전용수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붉은귀거북 포획장치(100)는, 습지 등의 서식지에 서식하는 붉은귀거북이 비타민 D₃합성, 소화촉진, 체온조절, 면역체계활성화, 살균 및 휴식을 위해 수면에 노출된 바위 등지에 일광욕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붉은귀거북을 포획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붉은귀거북 포획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벽에 투수공(12)들이 형성되며, 상부에 포획로(11)가 개방된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포획공간(10a)을 갖는 포획틀(10)과; 상기 포획틀(10)에 장착되어, 포획틀(10)이 수면에 설정높이로 부상되도록 하는 부구(20)와; 상기 포획틀(10)의 측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면과 포획로(11) 사이에 포획을 요하는 붉은귀거북의 등반경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등반패널(30); 및 상기 등반패널(30)의 힌지 중심점을 포획틀(10)의 측부에 힌지구조로 배치하여, 평상시에는 등반패널(30)의 무게중심이 외측구간(31)에 형성되어 포획틀(10)의 측부에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힌지 지지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부구(20)는 환형의 중공체로 구성되며, 상기 포획틀(10)의 외측에는 부구(20)를 탄성 압입하여 고정하는 C형의 압입클립(13)들이 배치되어 압입클립(13)을 통해 포획틀(10)의 외측에 장착되어 포획틀(10)의 부상에 따른 부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등반패널(30)의 내측구간(32) 양측에는 가드(33)를 형성하여, 상기 등반패널(30)의 내측구간(32)으로 이동하여 포획틀(10) 내에 포획되는 붉은귀거북이 등반패널(30)의 양측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획틀(10)의 좌우 양측에 힌지 지지부(40)에 의해 상하 회동구조로 지지된 등반패널(30)을 각각 배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힌지 지지부(40)에 의해 포획틀(10)의 외측에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등반패널(30)은 외측구간(31)은 수면이나 지면에 입수 내지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고 내측구간(32)은 포획로(11)가 개방되게 형성된 포획공간(10a)의 상부에 위치하여서, 수면이나 지면에 설정높이로 노출된 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일광욕을 요하는 붉은귀거북은 도 3과 도 4a와 같이 상향 경사진 등반패널(30)을 따라 외측구간(31)에서 내측구간(32)으로 등반하여 이동하고, 이러한 과정에 외측구간(31)에 무게중심이 형성되어 상향 경사진 등반패널(30)은 내측구간(32)으로 등반 이동한 붉은귀거북의 체중에 의해 무게중심이 외측구간(31)에서 내측구간(32)으로 변경되면서 힌지 지지부(40)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등반패널(30)의 내측구간(32)에 위치된 붉은귀거북들은 도 3과 도 4b와 같이 자중에 의해 포획틀(10)의 포획공간(10a)으로 낙하하여 포획공간 내에 포획된다.
한편, 상기 힌지 지지부(40)는 포획틀(10)의 측부에 좌우 가로지려 형성되는 힌지축(41)과, 상기 등반패널(30)의 중간구간에 형성되어 힌지축(41)에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되는 힌지소켓(4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붉은귀거북 포획장치(1)의 힌지 지지부(40)를 개량하여, 상기 등반패널(30)이 붉은귀거북의 진입 및 등반에 따른 적합한 경사도를 유지하여 붉은귀거북이 경계심없이 등반패널(30)의 외측구간(31)에서 내측구간(32)으로 자연스럽게 등반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또 포획을 요하는 붉은귀거북만이 포획공간(10a) 내에 선별적으로 포획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축(41)을 포획틀(1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힌지축(41)의 진퇴를 통해 등반패널(30)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획틀(10)에 진퇴 가이드(43)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진퇴 가이드(43)에는 힌지축(41)을 고정한 가동자(44)를 진퇴구조로 배치하여서, 상기 등반패널(30)의 중간구간 일지점을 힌지구조로 조립한 힌지축(41)의 진퇴 이동을 통해 등반패널(30)의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반패널(40)의 중간구간에 복수의 힌지소켓(42)들을 이격되게 형성하여, 관리자는 등반패널(30)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상기 힌지소켓(42)들 중 어느 하나의 힌지소켓에 선택적으로 힌지축(41)을 힌지구조로 조립하여서, 상기 등반패널(30)의 내측구간(32)에 붉은귀거북의 체중에 의해 요하는 하중값이 가해졌을 경우에만 등반패널(30)이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하향 선회하여 하향 경사지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반패널(30)에 체결량에 따라 등반패널(30)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는 무게중심 조절볼트(34)를 배치하여, 상기 무게중심 조절볼트(34)의 체결량을 통해 등반패널(30)의 무게중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힌지축(41)에 힌지 조립되는 힌지소켓(42)의 적의 선택과, 무게중심 조절볼트(34)의 체결량의 조절을 통한 편심량의 조절을 통해서, 상기 등반패널(30)의 하향 선회에 요구되는 하중값의 설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포획을 요하는 붉은귀거북 보다 상대적으로 체중이 낮은 도룡용이나 개구리 등 보호를 요하는 야생동물에 의해 등판패널(30)이 하향 선회하여서, 상기 야생동물이 포획공간(10a) 내로 임의 포획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힌지축(41)에 힌지구조로 조립되는 등반패널(30)의 힌지 회동점을 변경하여 등반패널(30)의 내측구간(32)에 요하는 하중값이 가해진 경우에만 등반패널(30)이 힌지축(41)을 중심으로 하향 선회되도록 구성하여서, 붉은귀거북 보다 상대적으로 체중이 낮은 야생동물이 포획틀 내에 포획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포획을 요하는 붉은귀거북이 등반하는 등반패널(30)과, 포획틀(10) 사이에 강자성편(51)과 영구자석(52)으로 이루어진 자기 고정부(50)를 마련하고, 상기 자기 고정부(50)에는 탄성 압축력을 통해 등반패널(30)이 힌지축(41)을 중심으로 하향 선회되도록 하는 팝업 스프링(53)을 배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상기 등반패널(30)에 강자성편(51)을 배치하고, 상기 포획틀(10)의 측부에는 영구자석(52)을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강자성편(51)과 영구자석(52)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 결합력은 팝업 스프링(53)의 압축력 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도 5a와 같이 상기 상향 경사진 등반패널(30)은 강자성편(51)과 영구자석(52)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 결합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고, 이때 상기 팝업 스프링(53)은 상향 경사진 상태로 고정된 등판패널(30)에 의해 압축되어 자기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탄성 압축력을 생성한다.
이후, 상기 등판패널(30)을 따라 붉은귀거북들이 등반하여 내측구간(32)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붉은귀거북들의 체중에 의한 가압력이 자기 결합력 보다 크면 도 5b와 같이 강자성편(51)과 영구자석(52) 사이의 자기 결합상태는 순간적으로 분리되어서 등판패널(30)은 힌지축(41)을 중심으로 하향 선회하여 하향 경사진 상태를 형성하며, 이때, 압축된 팝압 스프링의 탄성 압축력에 의해 등판패널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순간적으로 하향 선회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자기 고정부(50)에 의해 상항 경사진 상태로 고정된 등반패널(30)이, 등반패널(30)의 내측구간(32)으로 이동한 붉은귀거북들의 체중과, 압축된 팝업 스프링(33)을 통해 제공되는 탄성 압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힌지축(41)을 중심으로 하향 선회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하면, 상기 등반패널(30)이 하향 선회하는 과정에 경계심을 느낀 붉은귀거북이 내측구간(32)에서 외측구간(31)으로 도피하는 현상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붉은귀거북의 포획에 따른 향상된 포획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1.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10. 포획틀 10a. 포획공간
11. 포획로 12. 투수공
13. 압입클립
20. 부구
30. 등반패널 31. 외측구간
32. 내측구간 33. 가드
34. 무게중심 조절볼트
40. 힌지 지지부 41. 힌지축
42. 힌지소켓 43. 진퇴 가이드
44. 가동자
50. 자기 고정부 51. 강자성편
52. 영구자석 53. 팝업 스프링

Claims (3)

  1. 삭제
  2. 외벽에 투수공들이 형성되며, 상부에 포획로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포획공간을 갖는 포획틀과;
    상기 포획틀에 장착되어, 포획틀이 수면에 설정높이로 부상되도록 하는 부구와;
    상기 포획틀의 측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면과 포획로 사이에 포획을 요하는 붉은귀거북의 등반경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등반패널; 및
    상기 등반패널의 힌지 중심점을 포획틀의 측부에 힌지구조로 배치하여, 평상시에는 등반패널의 무게중심이 외측구간에 형성되어 포획틀의 측부에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힌지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 지지부는 포획틀의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축과, 상기 등반패널의 중간구간에 형성되어 힌지축에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되는 힌지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등반패널의 중간구간에는 힌지축과 택일하여 힌지구조로 조립되어서, 상항 경사진 등판패널의 하향 경사에 따른 하중값이 조절되도록 하는 복수의 힌지소켓들이 이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3. 외벽에 투수공들이 형성되며, 상부에 포획로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포획공간을 갖는 포획틀과;
    상기 포획틀에 장착되어, 포획틀이 수면에 설정높이로 부상되도록 하는 부구와;
    상기 포획틀의 측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면과 포획로 사이에 포획을 요하는 붉은귀거북의 등반경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등반패널; 및
    상기 등반패널의 힌지 중심점을 포획틀의 측부에 힌지구조로 배치하여, 평상시에는 등반패널의 무게중심이 외측구간에 형성되어 포획틀의 측부에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힌지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 지지부는 포획틀의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축과, 상기 등반패널의 중간구간에 형성되어 힌지축에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되는 힌지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포획틀에는 진퇴 가이드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진퇴 가이드에는 힌지축을 고정한 가동자가 진퇴구조로 배치되어서, 상기 등반패널은 가동자에 의해 진퇴하는 힌지축의 진퇴이동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KR1020220071953A 2022-06-14 2022-06-14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KR102530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953A KR102530919B1 (ko) 2022-06-14 2022-06-14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KR1020230058245A KR20230171862A (ko) 2022-06-14 2023-05-04 유해 거북류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953A KR102530919B1 (ko) 2022-06-14 2022-06-14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245A Division KR20230171862A (ko) 2022-06-14 2023-05-04 유해 거북류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919B1 true KR102530919B1 (ko) 2023-05-10

Family

ID=863859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953A KR102530919B1 (ko) 2022-06-14 2022-06-14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KR1020230058245A KR20230171862A (ko) 2022-06-14 2023-05-04 유해 거북류 포획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245A KR20230171862A (ko) 2022-06-14 2023-05-04 유해 거북류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3091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8477A (ko) 1981-04-25 1983-12-10 히데아끼 무라가미 연속자동 쥐덫 장치
JPH11289957A (ja) 1998-04-13 1999-10-26 Masanori Fujisaki 動物捕獲装置
JP3016577B2 (ja) 1990-08-03 2000-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波装置
KR20100109165A (ko) * 2009-03-31 2010-10-08 전찬원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142075B1 (ko) 2010-01-19 2012-05-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민물거북 생포용 덫
JP3185114U (ja) * 2013-05-21 2013-08-01 保 鬼頭 浮島型カメ捕獲装置
KR20150109899A (ko) * 2014-03-21 2015-10-02 주식회사 녹인 계절별 조건을 고려한 양서류 및 파충류 포획장치
KR20160102796A (ko) * 2015-02-23 2016-08-31 박병근 쥐 포획기
KR101668161B1 (ko) 2014-11-28 2016-10-2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획장치
JP2017184644A (ja) * 2016-04-02 2017-10-12 東北興商株式会社 動物捕獲装置
KR20220079166A (ko) * 2020-12-04 2022-06-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8477A (ko) 1981-04-25 1983-12-10 히데아끼 무라가미 연속자동 쥐덫 장치
JP3016577B2 (ja) 1990-08-03 2000-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波装置
JPH11289957A (ja) 1998-04-13 1999-10-26 Masanori Fujisaki 動物捕獲装置
KR20100109165A (ko) * 2009-03-31 2010-10-08 전찬원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142075B1 (ko) 2010-01-19 2012-05-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민물거북 생포용 덫
JP3185114U (ja) * 2013-05-21 2013-08-01 保 鬼頭 浮島型カメ捕獲装置
KR20150109899A (ko) * 2014-03-21 2015-10-02 주식회사 녹인 계절별 조건을 고려한 양서류 및 파충류 포획장치
KR101668161B1 (ko) 2014-11-28 2016-10-2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획장치
KR20160102796A (ko) * 2015-02-23 2016-08-31 박병근 쥐 포획기
JP2017184644A (ja) * 2016-04-02 2017-10-12 東北興商株式会社 動物捕獲装置
KR20220079166A (ko) * 2020-12-04 2022-06-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래거북 퇴치용 조립식 모듈형 포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862A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7813A (en) Plant for farming fish and shellfish
Casazza et al. A funnel trap modification for surface collection of aquatic amphibians and reptiles
US6029605A (en) Multiple environment tank
KR102530919B1 (ko)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KR101032837B1 (ko) 생물의 부유식 서식 구조물
KR101695979B1 (ko)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
US5845607A (en) Bird deterring device for protection of a body of water
KR100730507B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JPH10146145A (ja) 蚊殲滅器
KR200426893Y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Buzuleciu et al. Predator exclusion cage for turtle nests: A novel design
KR102604355B1 (ko) 향상된 포획 효율성을 갖는 생태교란 외래거북 포획장치
KR101050764B1 (ko) 인공어초
JP6604010B2 (ja) 指定管理鳥獣の方向誘導装置
US20030015148A1 (en) Duck shooting resort layout and duck training method therefor
US20140205381A1 (en) Aquatic wildlife deterrent
KR100645313B1 (ko) 유속 감소용 하천저면 바닥장치
KR101505986B1 (ko) 인공어초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낚시환경 조성구조물
JP2005210905A (ja) 淡水魚用の魚礁
JP2022090823A (ja) 生簀
KR20100081479A (ko) 바다 낚시터
KR100616403B1 (ko) 하천바닥 중앙에 설치되어 유속저감이 되는 어류보호구조물
KR101494898B1 (ko) 하천용 인공 어초
KR20200021801A (ko) 뉴트리아 포획장치
CN220301251U (zh) 沙滩生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