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796A - 쥐 포획기 - Google Patents

쥐 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796A
KR20160102796A KR1020150025318A KR20150025318A KR20160102796A KR 20160102796 A KR20160102796 A KR 20160102796A KR 1020150025318 A KR1020150025318 A KR 1020150025318A KR 20150025318 A KR20150025318 A KR 20150025318A KR 20160102796 A KR20160102796 A KR 20160102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
main body
space
rotary plate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근
Original Assignee
박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근 filed Critical 박병근
Priority to KR102015002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2796A/ko
Publication of KR20160102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18Box traps with pivoted closure fl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쥐 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쥐가 이동하는 쥐구멍형태의 터널구조로 쥐를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고, 유입된 쥐의 무게로 인하여 회전판부가 회전되어 포획하는 간단한 구조로 제품의 유지비용 및 생산비용이 절감함 과 연속적으로 쥐를 포획할 수 있는 쥐 포획기는 내부 상단에는 쥐가 유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유입공간부와 내부 하단에는 쥐를 포획하여 수납할 수 있는 포획공간부로 나뉘어 형성되되 상기 포획공간부의 일측면은 개방되고, 상기 유입공간부 양측면에는 상기 유입공간부와 연결된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 외주 하단에는 쥐를 유도하는 유도판부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유입공간부 내부 중심 상단에 설치되어 쥐를 유인하도록 하는 먹이유도부와 상기 본체의 유입공 하단과 대응되는 상기 유입공간부 내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안착바와 상기 안착바에 일측 하단이 안착되고 길이방향의 양측단에는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공이 구비된 제1, 2회전판부와 상기 본체의 유입공간부 내측 길이방향 양측단에는 상기 제1, 2회전판부의 힌지공에 연결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본체의 포획공간부에는 쥐를 포획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포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쥐 포획기{Apparatus for catching mouse}
본 발명은 쥐 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쥐가 이동하는 쥐구멍형태의 터널구조로 쥐를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고, 유입된 쥐의 무게로 의하여 회전판부가 회전되어 포획하는 간단한 구조로 제품의 유지비용 및 생산비용이 절감함과 연속적으로 쥐를 포획할 수 있는 쥐 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쥐는 포유류에 속하는 동물이며, 전 세계적으로 약 1,800 여종이 분포되어 있고, 포유류의 약 1/3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국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쥐는 대략 12종이며, 시궁쥐, 생쥐, 들쥐, 지붕쥐 등 4종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쥐는 어두운 곳에서도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주간보다 야간에 주로 활동하며, 색맹이기 때문에 청각과 촉각이 발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쥐는 도시의 뒷골목ㆍ하수구 등과 같이 어둡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위생상 좋지 못하고, 음식이나 작물들을 갉아먹어 생활에 적잖은 피해를 주고 있으며, 배설물들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하고 그로 인해 전염병을 일으키기도 하며, 가스관, 전기코드 등을 갉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쥐들을 포획 내지는 제거하기 위한 각종 방법들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를 테면 끈끈이나 쥐덫을 이용한 아주 일반화된 방법부터 쥐 포획을 위한 전용 트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포획기구들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한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48281호의 진공팩킹 쥐트랩은 쥐가 출입하는 출입부(101)가 형성되는 하우징(100) 일부가 개방되어 개방구(201)(opening)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201)는 상기 출입부(101)에 대응되어 배치되며,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랩핑 유닛(200) 상기 쥐가 상기 랩핑 유닛(20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300) 상기 랩핑유닛(200)의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상기 랩핑유닛(200)을 밀봉하는 밀폐유닛(400) 및 상기 센서(300)에서 감지된 침입 여부에 따라 상기 랩핑 유닛(200)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로 만드는 석션유닛(500) 을 포함하고, 상기 랩핑유닛(200)의 내부에는 상기 쥐를 접착하여 상기 랩핑유닛(200)이 밀봉되는 동안 상기 쥐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탈출을 제한하는 끈끈이부재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은 진공팩킹 쥐트랩은 유입되는 쥐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석션유닛에 의해 랩핑유닛이 흡착되어 포획하는 구조로 제품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생산 비용이 증대하고, 포획된 쥐 하나를 그때마다 처리해야되므로 연속적으로 포획을 할 수 없고, 제품의 유지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4828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쥐가 이동하는 쥐구멍형태의 터널구조로 유입된 쥐의 무게로 의하여 회전판부가 회전되어 포획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품의 유지비용 및 생산비용이 절감함과 연속적으로 쥐를 포획할 수 있는 쥐 포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상단에는 쥐가 유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유입공간부와 내부 하단에는 쥐를 포획하여 수납할 수 있는 포획공간부로 나뉘어 형성되되 상기 포획공간부의 일측면은 개방되고, 상기 유입공간부 양측면에는 상기 유입공간부와 연결된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 외주 하단에는 쥐를 유도하는 유도판부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유입공간부 내부 중심 상단에 설치되어 쥐를 유인하도록 하는 먹이유도부와 상기 본체의 유입공 하단과 대응되는 상기 유입공간부 내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안착바와 상기 안착바에 일측 하단이 안착되고 길이방향의 양측단에는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공이 구비된 제 1, 2회전판부와 상기 본체의 유입공간부 내측 길이방향 양측단에는 상기 제1, 2회전판부의 힌지공에 연결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본체의 포획공간부에는 쥐를 포획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포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쥐 포획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유입공간부 내부 중심 상단에 수평방향의 걸림바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바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와이어가 안착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끝단은 상기 제1회전판부의 일측끝단 상부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끝단은 상기 제2회전판부의 일측끝단 상부면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판부와 제2회전판부가 마주보는 면은 하방으로 절곡된 경사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축은 상기 본체의 유입공 하단과 대응되는 상기 유입공간부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안착바 상사점의 축선보다 상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회전판부의 힌지공은 상기 제1, 2회전판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쥐 포획기는 쥐가 이동하는 쥐구멍형태의 터널구조로 본체의 유입공간부로 유입된 쥐의 무게로 의하여 제1, 2회전판부가 회전되어 포획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품의 유지비용 및 생산비용이 절감함과 연속적으로 쥐를 포획할 수 있고, 쥐가 유입되는 유입공간부와 쥐를 포획하는 포획부로 이원화되어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2회전판부의 회전방식이 탄성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회전판부의 힌지공 설정위치에 따른 회전복원력을 조절하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쥐 포획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쥐 포획기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쥐 포획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쥐 포획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 2회전판부를 나타낸 작동실시예.
도 6a, 6c는 본 발명의 제1, 2회전판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b는 도 6a에 대한 작동실시예.
도 6d는 도 6c에 대한 작동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2회전판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b는 도 7a에 대한 작동실시예.
도 8a는 본 발명의 힌지축를 나타낸 실시예.
도 8b는 도 8a에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1, 2회전판부의 힌지공를 나타낸 실시예.
도 10a, 10b, 10c는 본 발명의 포획부를 나타낸 실시예.
도 11a, 11b는 본 발명의 쥐 포획기를 나타낸 사용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쥐 포획기(1)는 내부 상단에는 쥐가 유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유입공간부(12)와 내부 하단에는 쥐를 포획하여 수납할 수 있는 포획공간부(14)로 나뉘어 형성되되 상기 포획공간부(14)의 일측면은 개방되고, 상기 유입공간부(12) 양측면에는 상기 유입공간부(12)와 연결된 유입공(12-2,12-4)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12-2,12-4) 외주 하단에는 쥐를 유도하는 유도판부(13)가 설치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유입공간부(12) 내부 중심 상단에 설치되어 쥐를 유인하도록 하는 먹이유도부(20)와 상기 본체(10)의 유입공(12-2,12-4) 하단과 대응되는 상기 유입공간부(12) 내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안착바(32,34)와 상기 안착바(32.34)에 일측하단이 안착되고 길이방향의 양측단에는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공(42)이 구비된 제1, 2회전판부(40-1,40-2)와 상기 본체(10)의 유입공간부(12) 내측 길이방향 양측단에는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의 힌지공(42)에 연결결합되는 힌지축(50)과 상기 본체(10)의 포획공간부(14)에는 쥐를 포획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포획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쥐를 포획하는 포획공간부(14)와 쥐가 유입하여 이동될 수 있는 유입공간부(12)로 이원분리된 형태로 지속적으로 쥐가 유입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고, 상기 본체(10)의 포획공간부(14)에 착탈되는 포획부(60)에 의해 위생적으로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포획공간부(14)와 유입공간부(12)가 형성된 경계 사이에 설치되는 제1, 2회전판부(40-1,40-2), 안착바(32,34), 힌지축(50)은 제품의 설치공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포획공간부(14)와 유입공간부(12)가 형성된 경계 사이에 설치된 하나의 제1회전판부 (40-1)만을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포획공간부(14)와 유입공간부(12)가 형성된 경계 사이 일측단에 제1회전판부(40-1)가 설치되고, 타측단에 제2회전판부(40-2)가 설치되며, 제1회전판부(40-1)와 제2회전판부(40-2) 사이에 제3회전판부(40-3)가 설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포획공간부(14)와 유입공간부(12)가 형성된 경계 사이에 설치되는 제1, 2회전판부(40-1.40-2)는 하나의 제1회전판부(40-1)로 구성되는 것보다는 두 개의 제1, 2회전판부(40-1,40-2)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유입공(12-2,12-4) 하단과 대응되는 상기 유입공간부(12) 내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안착바(32,34)에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의 일측하단이 안착되고 길이방향의 양측단에 형성된 힌지공(42)은 상기 본체(10)의 유입공간부(12) 내측 길이방향에 설치된 힌지축(50)에 체결결합되어 회동하므로서, 쥐가 상기 본체(10)의 유입공(12-2,12-4)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유입공간부(12)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 중심 상단에 설치된 먹이유도부(20)를 잡기 위해 중심부로 이동하면 쥐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제1회전판부(40-1) 또는 제2회전판부(40-2)가 회전되어 포획부(60)로 포획되는데, 이때 후방에 다른 쥐가 있을 경우 상기 제1회전판부(40-1) 또는 제2회전판부(40-2)가 회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축 선상에 상기 제1회전판부(40-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타측 상기 제2회전판부(40-2)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루어져 더욱더 포획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쥐를 포획이 더욱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6a,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유입공간부(12) 내부 중심 상단에 수평방향의 걸림바(18)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바(18)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와이어(70)가 안착되며 상기 와이어(70)의 일측끝단은 상기 제1회전판부(40-1)의 일측끝단 상부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70)의 타측끝단은 상기 제2회전판부(40-2)의 일측끝단 상부면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유입공간부(12)로 유입된 쥐가 상기 제1회전판부(40-1)의 일측단에 위치하면 쥐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제1회전판부(40-1)가 하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2회전판부(40-2)는 하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써 쥐가 제2회전판부(40-2)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포획부(60)으로 떨어져 용이하게 포획되거나,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유입공간부(12 유입된 쥐가 상기 제1회전판부(40-1)의 일측단에 위치하면 쥐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제1회전판부(40-1)가 하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2회전판부(40-2)는 상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써 쥐가 상기 제2회전판부(40-2)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포획부(60) 내부로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회전판부(40-1) 및 제2회전판부(40-2)의 일측단으로 이동시 보다 포획이 용이하도록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판부(40-1)와 제2회전판부(40-2)가 마주보는 면은 하방으로 절곡된 경사면(4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b에 도시된 상기 제1회전판부(40-1) 및 제2회전판부(40-2)의 일측단으로 쥐가 이동시 상기 쥐는 먹이유도부(20)를 먹기 위해 위로 올라갔다 내려올 때 쥐가 앞다리가 상기 제1회전판부(40-1)와 제2회전판부(40-2)가 마주보는 면은 하방으로 절곡된 경사면(44)에 놓여져 힘이 전달되므로 더욱더 상기 제1회전판부(40-1)와 제2회전판부(40-2)에 회전력이 증대하여 쥐가 포획부(60)로 포획이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힌지축(5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유입공(12-2,12-4) 하단과 대응되는 상기 유입공간부(12)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안착바(32,34) 상사점의 축선(o1)보다 상부(o2)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힌지축(50)이 상기 안착바(32,34)와 동일한 축선 보다는 상부에 위치할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회전판부(40-1,40-2)가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최소한 먹이유도부(20)에 쥐가 닿은 정도로 유지하여 유도할 수 있어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의 일측 끝단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먹이유도부(20)에 의해 유도되는 쥐는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가 회동하여 포획부(60)로 포획되는데 이때 하중이 소멸되면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는 원상으로 복원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의 복원력에 최대효과를 줄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의 힌지공(42)은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의 하부면 보다 상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의 힌지공(42)이 힌지축(50)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그 중심이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의 하부에 위치할 경우 복원력은 90°이하에서 복원력이 발생하지만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의 힌지공(42)이 하부면 보다 위인 중심부, 상부면에 위치할 경우 최대 90°~110°에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의 복원력을 탄성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의 회전복원 할 수 있기 때문에 반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포획부(6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포획공간부(14 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포획된 쥐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고, 도 10b,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획부(60)에 포획된 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포획부(60)의 내부에 물이 담수하여 쥐를 수장시키거나, 상기 포획부(60)의 내부 면부에 접착제(80)를 도포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쥐 포획기(1)는 도 11a,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실시예로 내부 상단에는 쥐가 유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유입공간부(12)와 내부 하단에는 쥐를 포획하여 수납할 수 있는 포획공간부(14)로 나뉘어 형성되되 상기 포획공간부(14)의 일측면은 개방되고, 상기 유입공간부(12) 양측면에는 상기 유입공간부(12)와 연결된 유입공(12-2,12-4)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12-2,12-4) 외주 하단에는 쥐를 유도하는 유도판부(13)가 설치된 본체(10)에 상기 본체(10)의 유입공간부(12) 내부 중심 상단에 설치되어 쥐를 유인하도록 하는 먹이유도부(20)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유입공(12-2,12-4) 하단과 대응되는 상기 유입공간부(12) 내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안착바(32,34)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유입공간부(12) 내측 길이방향 양측단에는 상기 안착바(32,34) 상사점 축선 보다 상부에 형성된 힌지축(50)이 설치되고, 상기 안착바(32,34)에 일측하단이 안착되고 길이방향의 양측단에는 상기 힌지축(50)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공(42)이 구비된 제1, 2회전판부(40-1,40-2)가 연결결합되며, 상기 본체(10)의 포획공간부(14)에는 쥐를 포획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포획부(6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쥐 포획기(1)를 쥐가 출몰하는 지역에 설치하면 쥐는 상기 본체(10)의 유도판부(13)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10)의 유입공(12-2,12-4)으로 통해 상기 본체(10)의 유입공간부(12)로 이동되며 쥐는 상기 본체(10)내부에 설치되는 먹이유도부(20)에 의해 쥐가 이동하여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의 일측끝단에 위치하며 쥐의 무게에 의해 하중이 발생하여 상기 제1, 2회전판부(40-1,40-2)가 회전하여 상기 쥐는 포획부(60)로 포획되어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쥐 포획기는 쥐가 이동하는 쥐구멍형태의 터널구조로 본체의 유입공간부로 유입된 쥐의 무게로 의하여 제1, 2회전판부가 회전되어 포획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품의 유지비용 및 생산비용이 절감함과 연속적으로 쥐를 포획할 수 있고, 쥐가 유입되는 유입공간부와 쥐를 포획하는 포획부로 이원화되어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2회전판부의 회전방식이 탄성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회전판부의 힌지공 설정위치에 따른 회전복원력을 조절하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이 반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쥐 포획기
10 : 본체 12 : 유입공간부
12-2,12-4 : 유입공 13 : 유도판부
14 : 포획공간부 18 : 걸림바
20 : 먹이유도부
32,34 : 안착바
40-1 : 제1회전판부 40-2 : 제2회전판부
40-3 : 제3회전판부
42 : 힌지공 44 : 경사면
50 : 힌지축
60 : 포획부
70 : 와이어

Claims (5)

  1. 내부 상단에는 쥐가 유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유입공간부와 내부 하단에는 쥐를 포획하여 수납할 수 있는 포획공간부로 나뉘어 형성되되 상기 포획공간부의 일측면은 개방되고, 상기 유입공간부 양측면에는 상기 유입공간부와 연결된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 외주 하단에는 쥐를 유도하는 유도판부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유입공간부 내부 중심 상단에 설치되어 쥐를 유인하도록 하는 먹이유도부와;
    상기 본체의 유입공 하단과 대응되는 상기 유입공간부 내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안착바와;
    상기 안착바에 일측 하단이 안착되고 길이방향의 양측단에는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공이 구비된 제1, 2회전판부와;
    상기 본체의 유입공간부 내측 길이방향 양측단에는 상기 제1, 2회전판부의 힌지공에 연결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본체의 포획공간부에는 쥐를 포획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포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쥐 포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유입공간부 내부 중심 상단에 수평방향의 걸림바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바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와이어가 안착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끝단은 상기 제1회전판부의 일측끝단 상부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끝단은 상기 제2회전판부의 일측끝단 상부면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쥐 포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판부 와 제2회전판부가 마주보는 면은 하방으로 절곡된 경사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쥐 포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본체의 유입공 하단과 대응되는 상기 유입공간부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안착바 상사점의 축선보다 상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쥐 포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회전판부의 힌지공은
    상기 제1, 2회전판부의 하부면 보다 상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쥐 포획기.
KR1020150025318A 2015-02-23 2015-02-23 쥐 포획기 KR20160102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18A KR20160102796A (ko) 2015-02-23 2015-02-23 쥐 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18A KR20160102796A (ko) 2015-02-23 2015-02-23 쥐 포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796A true KR20160102796A (ko) 2016-08-31

Family

ID=5687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318A KR20160102796A (ko) 2015-02-23 2015-02-23 쥐 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279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2150A (zh) * 2018-04-25 2018-09-21 中山市安阁宜家生活电器有限公司 具有灭鼠功能的排气扇
CN108633869A (zh) * 2018-06-21 2018-10-12 位高宾 一种连续捕鼠器
KR20200008729A (ko) * 2018-07-17 2020-01-29 김호림 쥐 포획 장치
KR20200021801A (ko) * 2018-08-21 2020-03-02 국립생태원 뉴트리아 포획장치
CN113940336A (zh) * 2021-10-14 2022-01-18 宁波百狮特威日用品有限公司 一种捕鼠盒
KR20220111831A (ko) *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녹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KR102508126B1 (ko) * 2022-09-01 2023-03-08 공명식 부상식 생태계교란종 생존유지 포획장치
KR102530919B1 (ko) * 2022-06-14 2023-05-10 최진호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281B1 (ko) 2009-09-14 2012-05-24 주식회사 세스코 진공팩킹 쥐트랩 및 이를 이용한 쥐 포획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281B1 (ko) 2009-09-14 2012-05-24 주식회사 세스코 진공팩킹 쥐트랩 및 이를 이용한 쥐 포획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2150A (zh) * 2018-04-25 2018-09-21 中山市安阁宜家生活电器有限公司 具有灭鼠功能的排气扇
CN108633869A (zh) * 2018-06-21 2018-10-12 位高宾 一种连续捕鼠器
KR20200008729A (ko) * 2018-07-17 2020-01-29 김호림 쥐 포획 장치
KR20200021801A (ko) * 2018-08-21 2020-03-02 국립생태원 뉴트리아 포획장치
KR20220111831A (ko) *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녹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CN113940336A (zh) * 2021-10-14 2022-01-18 宁波百狮特威日用品有限公司 一种捕鼠盒
KR102530919B1 (ko) * 2022-06-14 2023-05-10 최진호 붉은귀거북 포획장치
KR102508126B1 (ko) * 2022-09-01 2023-03-08 공명식 부상식 생태계교란종 생존유지 포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796A (ko) 쥐 포획기
US20170202205A1 (en) Mouse trap
KR101071875B1 (ko)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 개폐장치
KR100943838B1 (ko) 쥐포획수단이 구비된 지중배전선의 배전함
DE102015215824B4 (de) Insektenfalle und Verfahren zum Fangen von Insekten
CN207561247U (zh) 一种滴油压感捕鼠装置
KR102251563B1 (ko) 말벌 채집기
KR101608143B1 (ko) 야생동물 포획기
CN109804999B (zh) 一种家庭杂物间用药剂引诱红外辨识捕鼠装置
KR20100070529A (ko) 동물 포획트랩의 개폐문 개폐장치
KR20120090222A (ko) 쥐포획장치
JP6063444B2 (ja) 齧歯類捕獲器
CN109430234A (zh) 一种电路装置及含有该电路装置的捕鼠器
CN107173378B (zh) 连续捕鼠器
KR101471877B1 (ko) 포획기용 개폐장치
KR102281264B1 (ko) 두더지 포획용 덫
CN105850970A (zh) 一种捕鼠器
CN105831072A (zh) 一种捕鼠器
CN216164747U (zh) 一种小型野生哺乳动物捕捉笼
CN107912417B (zh) 一种连续捕鼠器
CN105831068A (zh) 一种捕鼠器
CN210124254U (zh) 一种连续捕鼠装置
CN105685013A (zh) 一种捕鼠器
CN105831071A (zh) 一种捕鼠器
CN209376539U (zh) 一种双门连续捕鼠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