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729A - 쥐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쥐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729A
KR20200008729A KR1020180082742A KR20180082742A KR20200008729A KR 20200008729 A KR20200008729 A KR 20200008729A KR 1020180082742 A KR1020180082742 A KR 1020180082742A KR 20180082742 A KR20180082742 A KR 20180082742A KR 20200008729 A KR20200008729 A KR 20200008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pture device
present
rotating part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403B1 (ko
Inventor
김호림
Original Assignee
김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림 filed Critical 김호림
Priority to KR1020180082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4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2Collecting-traps with devices for throwing the animal to a collect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획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홀 형상의 유입구,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및 내측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는 곡선형의 트랩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도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쥐 포획 장치{Rat trapping device}
본 발명은 쥐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대량으로 포획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쥐는 포유류에 속하는 동물이며, 전 세계적으로 약 1,800 여종이 분포되어 있고, 포유류의 약 1/3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국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쥐는 대략 12종이며, 시궁쥐, 생쥐, 들쥐, 지붕쥐 등 4종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쥐는 어두운 곳에서도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주간보다 야간에 주로 활동하며, 색맹이기 때문에 청각과 촉각이 발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쥐는 도시의 뒷골목이나 하수구 등과 같이 어둡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위생상 좋지 못하고, 음식이나 작물들을 갉아먹어 생활에 적잖은 피해를 주고 있으며, 배설물들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병원
균을 옮기기도 하고 그로 인해 전염병을 일으키기도 하며, 가스관, 전기코드 등을 갉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쥐를 포획하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의 경우 대부분 덫이나 트랩 또는 끈끈이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쥐를 한 마리씩 포획하므로 일일이 쥐를 제거한 후 다시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14828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한 번의 설치로 대량의 쥐를 포획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획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홀 형상의 유입구,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및 내측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는 곡선형의 트랩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도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용부의 내측 측부에 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내측 측면부에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일부가 돌출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용부는 내측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하향 경사진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획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한 번의 설치로 대량의 쥐를 간편하게 포획할 수 있다.
둘째, 설치가 편리하고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다.
셋째, 포획한 쥐의 처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획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포획 장치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부가 구비된 포획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포획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획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포획 장치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부가 구비된 포획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포획 장치는 본체(100) 및 유도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쥐와 같은 설치류를 포획 장치를 유도하여 가두는 기능을 할 수 있고,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체(100)의 형상이 설치류의 유입되는 방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함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도로(200)는 설치류가 상기 본체(1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류에 본체(100)에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도로(200)는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10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유도로(20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의 유입구(150)에 인접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지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진 지형에 본 발명의 포획 장치의 설치가 요구되는 경우, 본체(100)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유도로(200)는 회전 및 길이 조절에 의해 설치류가 상기 본체(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획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는 본체(100)의 외측 하단에 구비된 스토퍼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근접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 때, 본체(100)는 수용부(120), 유입구(150), 배출구(160) 및 트랩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50)는 본체(100)의 상부에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50)를 통해 설치류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유입구(150)의 형상이나 크기 등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수용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류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류는 상기 수용부(120)에 구비되는 액체류에 의해 익사 되며, 본 발명의 포획 장치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설치류를 대량으로 포획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상기 수용부(120)는 내측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하향 경사진 돌출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재(130)는 수용부(120) 내측 측부에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수용부(120)에 빠진 설치류가 본체(100)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향 경사진 형상에 의해 수용공간에 떨어진 설치류는 유입구(150)의 외부로 탈출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배출구(160)는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류와 포획된 설치류를 일거에 제거할 수 있다.
즉, 배출구(160)는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홀과 그 홀을 개폐하는 커버 형태로 구비되어 포획 장치를 설치 시에는 커버가 홀을 닫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포획한 설치류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를 열어 배출구(160)를 통해 내부의 액체류와 포획된 설치류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트랩부(180)는 내측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고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랩부(180)는 와이어에 의해 본체(100)의 내측 상단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트랩부(180)의 표면에는 설치류를 본체(100) 내부로 유인할 수 있는 먹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랩부(180)가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므로 설치류가 상기 트랩부(180)로 이동하는 순간 상기 트랩부(180)가 유동하여 설치류가 하단의 수용공간으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위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면 트랩부(18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획 장치는 회전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300)는 수용부(120)의 내측 측부에 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300)는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수용부(120)와 분리되고 상기 수용부(120)와 동심원을 이루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50)를 통해 설치류가 유입되자 마자 상기 회전부(300)는 설치류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수용부(12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300)는 설치류가 유입구(150) 바깥쪽으로 다시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유입구(150)를 통해 설치류가 유입된 경우 곧바로 회전부(300)에 의해 설치류가 유입구(150)를 통해 유입된 최초 위치와 다른 위치에 설치류를 이동시켜 설치류에게 유입구에 혼동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300)는 설치류가 본 발명의 포획 장치에 유입되는 경우 다시 탈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에는 내측 측면부에 둘레를 따라 홈(140)이 형성되고, 회전부(300)는 상기 홈(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일부가 돌출되는 가이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상술한 회전부(300)를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즉 본체(100)의 내측 측면부에 둘레를 따라 일부가 돌출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고 회전부(300)의 외측 일부에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300)가 본체(100) 내측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경우 구성에 제한 없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본체
120: 수용부
130: 돌출부재
140: 홈
150: 유입구
160: 배출구
180: 트랩부
200: 유도로
300: 회전부
320: 가이드부재

Claims (4)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홀 형상의 유입구,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및 내측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는 곡선형의 트랩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도로;
    를 포함하는 포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 측부에 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를 더 포함하는 포획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 측면부에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일부가 돌출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포획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측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하향 경사진 돌출부재;
    를 포함하는 포획 장치.
KR1020180082742A 2018-07-17 2018-07-17 쥐 포획 장치 KR102099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42A KR102099403B1 (ko) 2018-07-17 2018-07-17 쥐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42A KR102099403B1 (ko) 2018-07-17 2018-07-17 쥐 포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29A true KR20200008729A (ko) 2020-01-29
KR102099403B1 KR102099403B1 (ko) 2020-04-09

Family

ID=6932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742A KR102099403B1 (ko) 2018-07-17 2018-07-17 쥐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257A (ko) 2020-06-08 2021-12-15 안연욱 쥐 퇴치용 먹이통
KR102425627B1 (ko) * 2021-07-01 2022-07-27 국립생태원 소형 포유류 트랩 연결용 케이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700B1 (ko) * 2021-02-03 2023-05-17 주식회사 녹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KR102605648B1 (ko) 2021-07-20 2023-11-22 국립생태원 무산쇠족제비 안전 포획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101A (ja) * 2002-06-07 2004-01-15 Shimada Shoji Kk 鼠捕獲装置
KR20060110287A (ko) * 2003-10-31 2006-10-24 레킷트 뱅키저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쥐덫
JP2008022820A (ja) * 2006-07-25 2008-02-07 Ikari Shodoku Kk 捕獲装置及び捕獲数情報収集システム
KR100877557B1 (ko) * 2007-05-14 2009-01-09 주식회사 세스코 유해동물 포획 장치
KR101148281B1 (ko) 2009-09-14 2012-05-24 주식회사 세스코 진공팩킹 쥐트랩 및 이를 이용한 쥐 포획 방법
KR20160102796A (ko) * 2015-02-23 2016-08-31 박병근 쥐 포획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101A (ja) * 2002-06-07 2004-01-15 Shimada Shoji Kk 鼠捕獲装置
KR20060110287A (ko) * 2003-10-31 2006-10-24 레킷트 뱅키저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쥐덫
JP2008022820A (ja) * 2006-07-25 2008-02-07 Ikari Shodoku Kk 捕獲装置及び捕獲数情報収集システム
KR100877557B1 (ko) * 2007-05-14 2009-01-09 주식회사 세스코 유해동물 포획 장치
KR101148281B1 (ko) 2009-09-14 2012-05-24 주식회사 세스코 진공팩킹 쥐트랩 및 이를 이용한 쥐 포획 방법
KR20160102796A (ko) * 2015-02-23 2016-08-31 박병근 쥐 포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257A (ko) 2020-06-08 2021-12-15 안연욱 쥐 퇴치용 먹이통
KR102425627B1 (ko) * 2021-07-01 2022-07-27 국립생태원 소형 포유류 트랩 연결용 케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403B1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8729A (ko) 쥐 포획 장치
US8857102B2 (en) Rodent trap
US6481151B1 (en) Multiple rodent trap with sliding cover
JP2010501194A (ja) 動物捕獲装置
KR20160102796A (ko) 쥐 포획기
KR100877557B1 (ko) 유해동물 포획 장치
US5611171A (en) Multiple-catch mouse trap
KR101071876B1 (ko)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장치
US20220295777A1 (en) Pest capture apparatus and method
WO2005074680A1 (en) Pest control apparatus
CN108697070B (zh) 啮齿动物捕获和移除的方法以及布置
KR20200065235A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KR20200052703A (ko) 유해충 포집장치
US5579601A (en) Animal trap
US5341592A (en) Bat elimination and containment device
AU2017287797A1 (en) A trap and a method for using a trap
US9504243B1 (en) Rodent trap
KR20180076816A (ko) 해충트랩
KR102046693B1 (ko) 맨홀의 악취 차단 장치
US20200296952A1 (en) Rodent Trap
KR20170101547A (ko) 곤충 포집장치
KR101410138B1 (ko) 쥐 유인 구조를 갖는 쥐 박멸 장치
US20190223429A1 (en) Animal device
JP6063444B2 (ja) 齧歯類捕獲器
KR101740018B1 (ko) 포충용 유입구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