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557B1 - 유해동물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유해동물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557B1
KR100877557B1 KR1020070046648A KR20070046648A KR100877557B1 KR 100877557 B1 KR100877557 B1 KR 100877557B1 KR 1020070046648 A KR1020070046648 A KR 1020070046648A KR 20070046648 A KR20070046648 A KR 20070046648A KR 100877557 B1 KR100877557 B1 KR 10087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harmful
fixing part
harmful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664A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07004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557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05Traps for animals with sticky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5/00Devices for dispensing poison for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하우징 내부에 끈끈이, 덫 또는 약 등의 먹이수용부를 구비하여 유해동물을 포획하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에서 빗물이나 수분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부에 위치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해동물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유해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부, 상기 유해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출입구와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경사로 형태의 안내부, 상기 안내부 하부에서 상기 안내부를 관통하여 수분이 유동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부 및 상기 안내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해동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해동물 포획 장치는 하우징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시킴으로써 빗물 등의 수분이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쥐 트랩, 침수방지, 벽면 고정

Description

유해동물 포획 장치{TRAP APPARATUS FOR MO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해동물 포획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유해동물 포획 장치에서 고정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 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유해동물 포획 장치에서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유해동물 포획 장치에서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1 의 유해동물 포획 장치에서 안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1의 유해동물 포획 장치에서 안내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해동물 11: 벽면
12: 바닥면 100: 유해동물 포획 장치
101: 출입구 105: 제1 체결부
110: 하우징 111: 본체 케이스
113: 커버 케이스 120,220,320: 고정부
121,221: 보조 고정부 123,323: 주 고정부
130: 포획부 150: 안내부
151,161: 배수부 153: 가이드
155: 제2 체결부 160: 지지유닛
163: 안착면
본 발명은 쥐를 포함한 유해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유해동물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박스 형태의 하우징 내부에 끈끈이, 덫 또는 약 등의 유해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부를 구비하여 유해동물을 효과적으로 포획하기 위한 유해동물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해동물은 인간 및 가축에게 해를 주는 동물을 말한다. 흔히 집이나 사무실 등 주변환경에서 볼 수 있는 유해동물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쥐가 있다. 이와 같은 유해동물은 음식이나 직물들을 갉아먹어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으며, 유해동물의 배설물 등은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는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근래에는 환경 오염으로 인해 유해동물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유해동물의 방제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집이나 회사 혹은 지역 사회에서는 갖가지 방법으로 유해동물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기존에 유해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 중 일반 가정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일반 가정에서 유해동물 포획 방법으로는, 음식물에 약을 섞은 것을 접시 혹은 박스 등의 용기에 담아 유해동물들이 많이 모여드는 장소나 통로 등에 배치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쥐 등 유해동물의 이동 경로 상에 유해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덫을 배치하고, 덫 상에 유해동물을 유인할 수 있는 미끼 또는 먹이를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살충제를 스프레이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유해동물에 직접 분사하거나, 공기 중에 포화시켜 유해동물이 흡입 또는 몸에 묻도록 하여 죽이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유해동물 포획 방법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어린이나 애완동물 등이 덫을 만지다가 다칠 위험이 있다. 또한, 살충제가 포함된 먹이를 어린이나 애완동물이 먹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살충제를 스프레이로 분사하는 경우 사람이나 애완동물의 몸에 살충제 성분이 직접 묻을 경우 건강에 위험을 미치게 된다. 또한, 가전 제품이나 의류, 식기 등에 묻었을 경우에도 살충제가 상기 제품의 표면에 장시간 잔류하게 되고, 이것에 접촉되는 사람이나 애완동물에게 알레르기나 피부질환 등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박스 형태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해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약이나 먹이를 배치하고, 덫이나 끈끈이 등의 먹이수용부를 구비하여 유해동물을 포획하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해동물 포획 장치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유해동물 포획 장치 내로 들어온 유해동물이 포획부를 지나가지 않고 들어왔던 출입구나 또는 다른 출입구로 다시 나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유해동물의 포획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를 야외에 설치하는 경우 빗물 등의 수분이 상기 출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될 수 있다. 특히, 살충제 성분을 포함하는 먹이제를 이용하여 유해동물을 포획하는 경우, 유입된 수분에 의해 먹이제가 침수되면서 먹이제가 손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유해동물을 유인하거나 포획하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먹이제가 부패하면서 상기 유해동물이 상기 먹이제를 먹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먹이제에 포함된 살충 성분이 희석되거나 유실되어 상기 유해동물이 상기 먹이제를 먹더라도 살충 성분이 작용하지 않아 유해동물의 포획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부패한 먹이제로 인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위생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먹이제를 보호하기 위한 유해동물 포획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부에 위치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해동물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유해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부, 상기 유해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출입구와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경사로 형태의 안내부, 상기 안내부 하부에서 상기 안내부를 관통하여 수분이 유동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부 및 상기 안내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해동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해동물이라 함은 인간에게 해로운 일체의 동물을 일컫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쥐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해동물 포획 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고 바닥면(12)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부에 배치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해동물(1)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출입구(101)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유해동물(1)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부(130) 및 상기 출입구(101)로 상기 유해동물(1)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안내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포획이라 함은 유해동물(1)을 살아있는 상태로 사로잡는 것뿐만 아니라, 살충수단을 사용하여 유해동물(1)을 죽이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소정 체적의 공간이 형성되고, 소정 높이를 갖고 다각형 단면을 갖는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포획부(13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개방된 상면을 갖는 본체 케이스(111)와,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 케이스(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케이스(113)와 상기 본체 케이스(111)는 서로 고정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케이스(113)는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부 및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111)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측면에 대응되는 소정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버 케이스(113)와 상기 본체 케이스(111)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는 상기 커버 케이스(113)와 상기 본체 케이스(111)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미도시)와, 상기 커버 케이스(113)와 상기 본체 케이스(111)를 잠금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 케이스(113)는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부에 단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케이스(11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거나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케이스(113)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커버 케이스(1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상기 유해동물(1)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출입구(10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해동물(1)은 출구가 없는 공간에는 진입을 꺼리는 특성이 있으므로, 상기 유해동물(1)이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입구와 출구가 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출입구(10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해동물(1)이 다양한 방향에서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구(101)는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10)은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출입구(101)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또는, 상기 출입구(101)는 상기 하우징(110)의 4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101)는 상기 유해동물(1)의 유출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개구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구(101)는 상기 유해동물(1)이 상기 출입구(101)를 통과할 때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출입구(101)의 하단부와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이 단차 없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출입구(101)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출입구(101)의 형태와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해동물(1)의 출입이 가능한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포획부(130)는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유해동물(1)이 실질적으로 포획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유해동물(1)을 유인하거나 죽일 수 있는 약을 포함하는 먹이가 제공될 수 있으며, 끈끈이나 덫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끈끈이는 상면에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유해동물(1)이 상기 끈끈이 상면을 통과할 때, 상기 접착면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1)이 달라붙어서 포획된다. 그리고, 상기 덫은 상기 유해동물(1)이 유인될 수 있는 미끼를 배치하여 상기 유해동물(1)을 유인한 후 물리적으로 포획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약은 상기 유해동물(1)을 유인하거나 죽일 수 있는 물질을 상기 유해동물(1)이 섭취하도록 하여 포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약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먹이 등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먹이에 약을 혼합한 먹이제의 경우, 상기 먹이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수용부가 형성된 용기 등에 담아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100)는 설치될 해당 장소의 바닥면(12) 상에서 소정 높이 상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단부가 상기 바닥면(12)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100)는 벽면(11)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빗물 등의 수분이 상기 출입구(101)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포획부(130)에 구비된 먹이제 등이 유입된 수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침수로 인해 먹이제가 손상되거나, 상기 먹이제에 포함된 살충 성분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는 끈끈이의 접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포획부(130)에서의 상기 유해동물(1)의 포획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벽면(1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20)가 구비된다. 일 예로서, 상기 고정부(120)는 기계적 결합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100)를 상기 벽면(11)에 고정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벽면(11)에 구비되는 보조 고정부(121)와,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주 고정부(123)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고정부(121)는 상기 벽면(11)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고정부(121)는 상기 벽면(11) 상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게 고정된 못이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조 고정부(121)는 상기 벽면(11) 상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고정부(121)는 상기 하우징(1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보조 고정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 고정부(123)는 상기 보조 고정부(121)와 대응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일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고정부(121)가 상기 주 고정부(123)를 관통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보조 고정부(121)와 상기 주 고정부(123)를 단순 결합 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100)를 간단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부(120)의 다른 예로서는, 상기 보조 고정부(121)와 상기 주 고정부(123)를 별도로 각각 형성하지 않고,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해당 장소의 벽면(11) 상에 볼트나 못 등의 체결부재를 상기 하우징(110)을 직접 관통시켜 고정시키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벽면(11) 상에 구비되는 보조 고정부(221)와, 상기 하우징(110)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 고정부(221)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주 고정부(2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고정부(221)와 상기 주 고정부(223)는 서로 끼워져서 고정되는 형태를 가 지며, 상기 벽면(11)에 대해 상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ㄷ'자 형태의 가이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 고정부(223)는 상기 보조 고정부(221)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며, 상기 주 고정부(223)와 상기 보조 고정부(221)가 결합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벽면(11)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고정부(221) 또는 상기 주 고정부(223)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주 고정부(221)의 상하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고정부(220)의 결합이 완료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상기 고정부(220)의 다른 예로서는, 상기 벽면(11) 상에 상기 하우징(110)이 거치될 수 있는 선반 등의 안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안착부(미도시)에 배치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하우징(1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2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면일 수 있다. 즉, 상기 벽면(11)과 상기 하우징(11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일면을 상기 벽면(11)에 직접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재는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100)는 상기 바닥면(12)과 상기 출입구(101) 사이가 소정 높이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상기 유해동물(1)이 상기 출입구(101)를 통해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출입구(101)와 상기 바닥면(12)을 연결하는 안내부(150)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150)는 상기 바닥면(12)과 상기 출입구(101) 사이에 제공되는 경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150)는 상기 유해동물(1)이 상기 안내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구(101)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해동물(1)이 상기 출입구(101)를 통과할 때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부(150)는 상기 출입구(101)의 하단부와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150)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출입구(101)가 형성된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안내부(150)는 상기 하우징(110)과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150)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10)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안내부(150)의 일단부에는 제1 체결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제1 체결부(105)에 대응되는 제2 체결부(15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체결부(105)와 상기 제2 체결부(155)는 어느 일측이 다른 측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체결부(105)와 상기 제2 체결부(155)는 힌지로서, 상기 제2 체결부(155)는 상기 제1 체결부(105)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출입구(101) 하부의 하우징(110) 일부에 형성된 홈 또는 개구부이며, 상기 제1 체결부(105)는 상기 제2 체결부(155) 내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부(150)를 상기 하우징(110)에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150)는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부(150)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110)에 힌지 결합되고, 상 기 안내부(150)의 타단부는 상기 바닥면(12)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150)는 상기 바닥면(12)에 고정시키지 않고 접촉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상기 안내부(150)를 상기 바닥면(12)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안내부(150)는 상기 하우징(110)과의 결합부를 축으로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안내부(150)가 상기 바닥면(12)과 이루는 경사각의 변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의 설치 높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안내부(150)가 회전하면서 경사각이 변경되고 상기 안내부(150)가 항상 상기 바닥면(12)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150)를 재설치 할 필요 없이 상기 하우징(110)를 다양한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150)는 길이의 변경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안내부(150)는 상기 하우징(110)의 설치 높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안내부(15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출입구(101)와 상기 바닥면(12)을 항상 연결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안내부(1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안내부(150)의 경사각을 다양하게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유해동물(1)은 벽을 따라 이동하는 습성이 있는데, 이러한 습성을 이용하여 상기 유해동물(1)이 상기 하우징(110) 내로 쉽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15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53)는 상기 유해동물(1)이 상기 가이드(153)를 따라 상기 출입구(101)로 이동하도록 상기 안내부(150)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부(150) 상에서 상기 출입구(101)까지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153)는 상기 안내부(15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153)는 상기 안내부(150) 상에서 상부로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150) 상에는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부(15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부(151)는 수분이 상기 배수부(151)를 통과하여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부(150)를 관통하여 형성된 슬릿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수부(151)는 상기 안내부(150)를 따라 수분이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안내부(15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12)을 따라 유동하는 수분의 양이 많거나 유속이 빠른 경우에는 상기 안내부(150)의 경사면을 타고 수분이 상부의 출입구(101)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안내부(150)의 하부에 상기 배수부(151)를 형성함으로써 수분이 상기 배수부(151)를 통해 상기 안내부(150)를 관통하여 유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수부(151)는 상기 안내부(150) 하부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151)는 상기 안내부(150)를 관통하는 슬릿 또는 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하우징(110)에 벽면(1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20)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바닥면(12)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160)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장치에 대해 설명하며, 상술한 도 1 내지 도 7 기재의 유해동물 포획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유해동물 포획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상기 유해동물(1)의 출입을 가능하게 형성된 출입구(101)와, 상기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된 유해동물(1)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을 바닥면(12)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부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유닛(16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유닛(160)은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바닥면(12)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부에 설치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110)을 설치 장소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지지유닛(160)은 상기 하우징(110)으로 상기 유해동물(1)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통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160)은 상기 하우징(110)과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면(163)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유닛(160)은 상면에 상기 하우징(110)이 안착되는 안착면(163)이 형성된 소정 높이의 피라미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면(163)은 상기 하우징(11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 하부에 대응되고 상기 하우징(1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안착면(163)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160)은 상기 안착면(163) 또는 상기 지지유닛(160) 상에 상기 하우징(1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10)은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안착면(163)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우징(110)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유닛(160)에 고정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지지유닛(160)은 상기 유해동물(1)이 상기 출입구(10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유닛(160)의 측면은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유닛(160)은 상기 출입구(101)에 대응되는 면은 상기 유해동물(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해동물(1)은 상기 지지유닛(160)의 측면을 따라 상기 출입구(101)로 유출입이 가능하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해동물(1)이 벽을 따라 이동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상기 유해동물(1)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유닛(160) 상에 상부로 연장된 가이드(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미도시)는 상기 지지유닛(160)의 경사진 측면 상에서 상기 바닥면(12)으로부터 상기 출입구(101)까지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출입구(101)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지지유닛(160)의 측면 상에서 소정 높이를 갖는 벽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유닛(160)은 수분이 상기 지지유닛(160)의 측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부(161)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수부(161)는 상기 지지유닛(16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로서, 수분이 상기 바닥면(12) 또는 상기 지지유닛(160)의 하부를 관통하여 유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비가 많이 오는 경우 등 수분의 양이 많을 경우에도 상기 배수부(161)를 통해 상기 수분을 유동시킴으로써 수분이 상기 지지유닛(160)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까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해동물 포획 장치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빗물 등의 수분이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먹이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유입된 수분으로 인해 상기 먹이제가 손상되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해동물 포획 장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구를 통해 어린이 또는 애완 동물 등이 상기 먹이수용부를 보거나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차단시킴으로써, 어린이나 애완동물이 상기 먹이제를 먹거나 접촉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해동물 포획 장치로 유입된 유해동물이 상기 포획부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유해동물이 상기 포획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포획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부에 위치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해동물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유해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부;
    상기 유해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출입구와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경사로 형태의 안내부;
    상기 안내부 하부에서 상기 안내부를 관통하여 수분이 유동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부; 및
    상기 안내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유해동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설치 장소의 벽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서로 기계적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주 고정부와 보조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벽면에 구비되며 상기 주 고정부는 상기 보조 고정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체결부재와 체결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여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각도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70046648A 2007-05-14 2007-05-14 유해동물 포획 장치 KR10087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648A KR100877557B1 (ko) 2007-05-14 2007-05-14 유해동물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648A KR100877557B1 (ko) 2007-05-14 2007-05-14 유해동물 포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664A KR20080100664A (ko) 2008-11-19
KR100877557B1 true KR100877557B1 (ko) 2009-01-09

Family

ID=4028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648A KR100877557B1 (ko) 2007-05-14 2007-05-14 유해동물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78A (ko) 2017-02-28 2018-09-05 (주)한국아이티에스 자율 방범 시스템
KR20200008729A (ko) * 2018-07-17 2020-01-29 김호림 쥐 포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9222A (zh) * 2011-09-26 2012-06-20 高清华 捕鼠笼
US11297821B2 (en) * 2017-12-19 2022-04-12 Mark Edevold Varmint control device
US11503821B2 (en) * 2018-04-11 2022-11-22 Alex John Broskey Animal trapping device
CN112385639B (zh) * 2020-12-03 2023-01-17 陈帅 一种鼠类不育剂投放装置
KR102522411B1 (ko) * 2022-03-31 2023-04-17 주식회사 다우기업 쥐 포획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1531A (en) 1979-02-28 1980-12-30 Nelson Alfred O Mouse trap
US4395842A (en) 1979-12-10 1983-08-02 Sterling Drug Inc. Roach traps
US5943817A (en) * 1996-10-07 1999-08-31 Terminator Turtle Lp Bait holder and trap for pests having a removable bait holding tray
JP2002027888A (ja) 2000-07-17 2002-01-29 Akitoshi Ogoshi ナメクジ捕殺器
JP2002045103A (ja) 2000-07-31 2002-02-12 Yoshino Kogyosho Co Ltd 害虫捕獲容器
KR100791490B1 (ko) 2006-12-29 2008-01-04 대한민국 이동식 달팽이 유인포획트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1531A (en) 1979-02-28 1980-12-30 Nelson Alfred O Mouse trap
US4395842A (en) 1979-12-10 1983-08-02 Sterling Drug Inc. Roach traps
US5943817A (en) * 1996-10-07 1999-08-31 Terminator Turtle Lp Bait holder and trap for pests having a removable bait holding tray
JP2002027888A (ja) 2000-07-17 2002-01-29 Akitoshi Ogoshi ナメクジ捕殺器
JP2002045103A (ja) 2000-07-31 2002-02-12 Yoshino Kogyosho Co Ltd 害虫捕獲容器
KR100791490B1 (ko) 2006-12-29 2008-01-04 대한민국 이동식 달팽이 유인포획트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78A (ko) 2017-02-28 2018-09-05 (주)한국아이티에스 자율 방범 시스템
KR20200008729A (ko) * 2018-07-17 2020-01-29 김호림 쥐 포획 장치
KR102099403B1 (ko) * 2018-07-17 2020-04-09 김호림 쥐 포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664A (ko)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557B1 (ko) 유해동물 포획 장치
US8387305B2 (en) Rodent management system having a housing with an entry opening
US8839550B2 (en) Rodent station
US8857102B2 (en) Rodent trap
US20060156615A1 (en) Snap trap enclosure for trapping and killing rodents
US20060156617A1 (en) Snap trap enclosure for trapping and killing rodents
US20110252693A1 (en) Ant trap
US6263612B1 (en) Rodent trap
US20210015090A1 (en) Bait station and insert
US20100319238A1 (en) Rodent management system
KR101471875B1 (ko) 유해동물 포획장치
KR20080100990A (ko) 유해동물 포획 장치
US6877270B2 (en) Pest control device
KR20100009079U (ko) 바퀴벌레 포획 및 살충 상자
KR20100092641A (ko) 해충포집장치
KR100895505B1 (ko) 해충 포획 장치
KR200421240Y1 (ko) 바퀴벌레 포획기
KR20100007490A (ko) 유해동물 포획 장치
KR100895504B1 (ko) 유해동물 포획 장치
US20110162255A1 (en) Rodent trap
KR100871765B1 (ko) 해충 포획 장치
US5690964A (en) Non-toxic rodent deterrent
ES2944120T3 (es) Barrera
KR20120090222A (ko) 쥐포획장치
JP2007060928A (ja) ナメクジ捕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