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641A - 해충포집장치 - Google Patents
해충포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92641A KR20100092641A KR1020090011865A KR20090011865A KR20100092641A KR 20100092641 A KR20100092641 A KR 20100092641A KR 1020090011865 A KR1020090011865 A KR 1020090011865A KR 20090011865 A KR20090011865 A KR 20090011865A KR 20100092641 A KR20100092641 A KR 201000926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st
- capture
- space
- opening
- trapp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해충포집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해충포집장치는: 해충이 들어가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안심공간부와, 안심공간부에 있는 해충이 유입되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는 제1포획공간부 및 제1포획공간부에 있는 해충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1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해충포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충이 서식하거나 이동하는 길목에 설치해 두기만 하면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해충을 포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해충 번식을 예방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살충 성분을 직접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아 음식점 등과 같은 장소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해충, 안심공간부, 제1포획공간부, 제2포획공간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충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퀴벌레 등과 같은 해충을 포집하기 위한 해충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퀴벌레 등의 해충은 그 왕성한 번식력과 환경적응성으로 인해 일반 가정과 음식점은 물론이고 최근에는 사무용 고층건물에까지 광범위하게 퍼져 기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바퀴벌레와 같은 해충은 그 서식장소가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주로 주방을 비롯하여 화장실 혹은 침실의 침대 주변이나 옷장 주변 등 사람의 손길이 덜 닿는 곳을 선택하여 집단 서식하면서 각종 유해병균을 옮기거나 어린아이들에게 상처를 주는 등 혐오스러움의 대상이 된다.
때문에, 이러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 여러 방안이 강구되고 있는데, 종래에는 주로 스프레이식 분무장치나 혹은 치사 성분이 함유된 향기나 먹이를 갖는 부착식 유인구를 해충이 주로 서식하는 장소 곳곳에 위치시켜 줌으로서 유인된 해충을 퇴치시키는 방안이 주로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스프레이식 분무장치는 해충을 포착한 후 이를 박멸하기 위해 바퀴벌레에 직접적으로 분사해야하므로 그 효용도가 매우 낮고, 예방적인 효과 역시 전혀 기대할 수 없으며, 음식점 등과 같은 장소에는 사용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착식 유인구는 특정된 위치에 이를 긴밀하게 부착시켜주어야 하므로 수시로 그 부착장소를 바꾸기가 곤란하고, 부착지점이 흔적으로 남거나 혹은 먼지 및 이물질이 끼이는 등 외관이 흉하며, 스프레이식 분무장치와 마찬가지로 음식점 등과 같은 장소에는 사용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에 사용되는 스프레이식 분무장치와 부착식 유인구는, 죽은 해충을 별도로 소제해 주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위생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위생적으로 해충을 포집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해충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포집장치는: 해충이 들어가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안심공간부와, 안심공간부에 있는 해충이 유입되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는 제1포획공간부 및 제1포획공간부에 있는 해충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1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해충포획부를 포함한다.
또한 입구부에는 안심공간부의 내측을 향하여 입구가 좁아지도록 경사진 안내면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심공간부와 접하는 입구부의 내측에는 절곡된 형상의 날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날개부는, 입구부의 양측에 절곡되는 날개편을 구비하는 제1날개부재 및 입구부의 상하측에 절곡되는 날개편을 구비하는 제2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개구부는 안심공간부와 제1포획공간부 사이에 착탈되는 제1격벽부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개구부는, 안심공간부와 제1포획공간부를 구획하며 해충이 이동되기 위한 통공을 구비하는 구획부재 및 구획부재의 통공과 연통되어 제1포획공간부로 연장 형성되어서 제1해충포획부가 설치되는 안내관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해충포획부는, 안내관로와 연통되며 출구는 하측을 향하여 설치되는 절곡관로부재 및 절곡관로부재 또는 안내관로의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곡관로부재의 출구에 설치되어 일 방향 출입을 허용하는 탄성 재질의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곡관로부재 또는 안내관로는 빛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해충포획부는, 제1포획공간부의 내부와 제1개구부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는 제1포획망 및 제1포획공간부의 내부와 통로 사이에 협로가 형성되도록 제1포획망을 제1포획공간부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포획망은, 제1개구부로부터 제1포획공간부의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포획망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포획공간부에 있는 해충이 유입되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제2포획공간부 및 제2포획공간부에 있는 해충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2개구부에 설치되는 제2해충포획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심공간부와 제1포획공간부와 제2포획공간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투명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해충포획부는, 제2포획공간부의 내부와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는 제2포획망 및 제2포획공간부의 내부와 통로 사이에 협로가 형성되도록 제2포획망을 제2포획공간부에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포획망은 제2개구부로부터 제2포획공간부의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결합부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포획망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개구부는 제1포획공간부와 제2포획공간부 사이에 착탈되는 제2격벽부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포획공간부에는 제2개구부를 통해 들어온 해충이 접착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포획망이 제2포획공간부의 바닥면과 이루는 간격은 제1포획망이 제1포획공간부의 바닥면과 이루는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해충포집장치에 따르면, 안심공간부로 유입된 해충이 제1해충포획부와 제2해충포획부를 지나서 제2포획공간부에 포집되므로 해충의 탈출이 어려워지므로 해충의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충이 서식하거나 이동하는 길목에 설치해 두기만 하면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해충을 포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해충 번식을 예방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살충 성분을 직접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아 음식점 등과 같은 장소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한 위치에 부착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 장소를 바꾸기가 용이하고 흉한 설치 흔적이 남지 않으며, 죽은 해충은 내부에 그대로 포집되어 있기 때문에 죽은 해충을 별도로 소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충포집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충포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충포집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구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개구부와 제1해충포획부의 설치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개구부와 제2해충포획부의 설치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집장치(1)는, 해충이 들어가는 입구부(22)를 구비하는 안심공간부(20)와, 안심공간부(20)에 있는 해충이 유입되는 제1개구부(36)를 구비하는 제1포획공간부(30) 및 제1포획공간부(30)에 있는 해충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1개구부(36)에 설치되는 제1해충포획부(40)를 포함한다.
입구부(22)에는 안심공간부(20)의 내측을 향하여 입구가 좁아지도록 경사진 안내면(2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면(23)은 안심공간부(20)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상향 및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해충이 해충포집장치(1) 외부의 바닥면에서 입구부(22)를 통해 안심공간부(20)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입구부(22)에는 구멍(24)이 구비되어 안심공간부(20)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안심공간부(20)의 측부에 입구부(22)가 형성된다.
입구부(22)에 구비된 구멍(24)은 안심공간부(20)의 바닥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입구부(22)를 통하여 들어온 해충은 안심공간부(20)의 바닥으로 낙하되어 다시 외측으로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안심공간부(20)로 들어간 해충이 입구부(22)를 통해 다시 나오지 못하도록, 안심공간부(20)와 접하는 입구부(22)의 내측에는 절곡된 형상의 날개부(29)가 구비된다.
날개부(29)는, 입구부(22)의 양측에 절곡되는 날개편을 구비하는 제1날개부재(25) 및 입구부(22)의 상하측에 절곡되는 날개편을 구비하는 제2날개부재(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구부(22)에 형성된 구멍(24)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입구부(22)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날개부재(25)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2날개부재(27)는 안심공간부(20)와 접하는 입구부(22)의 구멍(24)에서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다.
안심공간부(20)로 유입된 해충은 입구부(22)의 구멍(24)이 안심공간부(20)의 바닥과 이격되어 상측에 설치된 것과, 입구부(22)의 구멍(24) 주위에 절곡된 편 형 상의 제1날개부재(25)와 제2날개부재(27)에 의하여, 다시 입구부(22)를 통해 외측으로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제1개구부(36)는 안심공간부(20)와 제1포획공간부(30)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안심공간부(20)와 제1포획공간부(30) 사이에 착탈되는 제1격벽부재(32)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격벽부재(32)의 양측에는 안내돌기(33)가 돌출 형성되며, 안내돌기(33)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홈부(34)가 안심공간부(20)와 제1포획공간부(30) 사이의 경계에 구비된다.
제1개구부(36)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면(37)이 구비되며, 경사면(37)의 하단은 제1포획공간부(30)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제1개구부(36)와 제1포획공간부(30)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해충포획부(40)는 제1개구부(36)를 통해 들어간 해충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1포획공간부(30)의 측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해충포획부(40)는 제1포획망(42)과 제1결합부(44)를 포함한다.
제1포획망(42)은 제1포획공간부(30)의 내부와 제1개구부(36) 사이에 통로(38)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포획망(42)의 일측은 제1개구부(36)의 상부 및 측부에 결합되고 그 타측은 제1포획공간부(30) 내부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포획망(42)에 의해 제1포획공간부(30)의 내부와 통로(38)는 서로 격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포획망(42)은 제1개구부(36)로부터 제1포획공간부(30)의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제1개구부(36)로부터 제1포획공간부(30)의 내 부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차 좁아지는 통로(38)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포획망(42)은 탄성을 갖는 섬유나, 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결합부(44)는 제1포획공간부(30)의 내부와 통로(38) 사이에 협로(46)가 형성되도록 제1포획망(42)을 제1포획공간부(30)에 결합시킨다.
협로(46)는 안심공간부(20)에 있는 해충이 제1포획공간부(30)로 이동되기 위한 이동로로 사용되며, 바퀴벌레를 포함한 해충이 협로(46)를 통과한 이후에는 협로(46)가 제1포획공간부(30)의 바닥면에 접한 상태가 되어 해충이 안심공간부(20)로 돌아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1결합부(44)는 바퀴벌레를 포함한 해충이 제1포획망(42)을 들어올려 안심공간부(20)에서 제1포획공간부(30)로 들어올 정도로 제1포획망(42)의 하단과 제1포획공간부(30)의 바닥면을 이격하여 협로(46)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고정핀을 포함한 다양한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1포획망(42)은 제1결합부(44)에 의해 제1포획공간부(3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협로(46)를 밀폐시키고, 제1포획공간부(30) 내부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협로(46)를 개방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제1포획공간부(30)에 있는 해충이 유입되는 제2개구부(56)를 구비하는 제2포획공간부(50)가 구비되며, 제2포획공간부(50)에 있는 해충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2개구부(56)에는 제2해충포획부(60)가 설치된다.
제2개구부(56)에는 제2포획공간부(50)의 내측을 향하여 입구가 좁아지도록 경사진 안내면(59)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면(59)은 제2포획공간부(50)에서 제1포획공간부(30) 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상향 및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해충이 제1포획공간부(30)의 바닥면에서 제2개구부(56)를 통해 제2포획공간부(50)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제2개구부(56)는 제1포획공간부(30)와 제2포획공간부(50)를 연통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제2포획공간부(50)의 측부에 형성된다.
제2개구부(56)에 구비된 구멍(57)은 제2포획공간부(50)의 바닥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제2개구부(56)를 통하여 들어온 해충은 제2포획공간부(50)로 낙하되어 다시 제1포획공간부(30)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개구부(56)는 제1포획공간부(30)와 제2포획공간부(50)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포획공간부(30)와 제2포획공간부(50) 사이에 착탈되는 제2격벽부재(52)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격벽부재(52)의 양측에도 제1격벽부재(32)와 같이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안내돌기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홈부가 제1포획공간부(30)와 제2포획공간부(50) 사이에 구비된다.
제2개구부(56)와 제2포획공간부(50)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2해충포획부(60)는 제2개구부(56)를 통해 들어간 해충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2포획공간부(50)의 측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해충포획부(60)는 제2포획망(62)과 제2결합부(64)를 포함한다.
제2포획망(62)은 제2포획공간부(50)의 내부와 제2개구부(56) 사이에 통 로(58)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2포획망(62)의 일측은 제2개구부(56)의 상부 및 측부에 결합되고 그 타측은 제2포획공간부(50) 내부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포획망(62)에 의해 제2포획공간부(50)의 내부와 통로(58)는 서로 격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포획망(62)은 제2개구부(56)로부터 제2포획공간부(50)의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제2개구부(56)로부터 제2포획공간부(50)의 내부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차 좁아지는 통로(58)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2포획망(62)은 탄성을 갖는 섬유나, 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포획망(62)은 제2결합부(64)에 의해 제2포획공간부(5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협로(68)를 밀폐시키고, 제2포획공간부(50) 내부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협로(68)를 개방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제2결합부(64)는 제2포획공간부(50)의 내부와 통로(58) 사이에 협로(68)가 형성되도록 제2포획망(62)을 제2포획공간부(50)에 결합시킨다.
제2결합부(64)는 바퀴벌레를 포함한 해충이 제2포획망(62)을 들어올려 제1포획공간부(30)에서 제2포획공간부(50)로 들어올 정도로 제2포획망(62)의 하단과 제2포획공간부(50)의 바닥면을 이격하여 협로(68)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고정핀을 포함한 다양한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2포획망(6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64)에는 다수의 결합부재(66)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제2결합부(64)는 제2포획망(62)의 타측을 제2포획공간부(50) 내부의 바닥면에 듬성듬성하게 결합시키되, 제2포획공간부(50) 내부의 바닥면에 결합되지 않은 부분은 제2포획공간부(50) 내부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협로(68)를 형성한다.
협로(68)는 제2포획망(62)의 타측과 제2포획공간부(50)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다.
즉, 협로(68)는 종 방향으로는 제2포획망(62)의 타측과 제2포획공간부(50)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며, 횡 방향으로는 결합부재(66)와 결합부재(66) 사이에 형성된다.
협로(68)는 제2포획공간부(50)의 내부와 통로(58) 사이를 연결하며, 협로(68)의 횡 방향 폭은 통로(58)로부터 들어오는 해충이 겨우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이러한 협로(68)는 종 방향 폭이 1㎜ 미만에 불과할 정도로 거의 밀폐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2포획망(62)이 제2포획공간부(50)의 바닥면과 이루는 간격은 제1포획망(42)이 제1포획공간부(30)의 바닥면과 이루는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제1포획망(42)과 제1포획공간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된 협로(46)는 바퀴벌레를 포함한 해충이 비교적 쉽게 진입될 수 있으며, 제2포획망(62)과 제2포획공간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된 협로(68)는 해충이 협로(68)를 비집고 들어와서는 다시 돌아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덮개부(80)는 안심공간부(20)와 제1포획공간부(30)와 제2포획공간부(50)를 포함하는 본체부(10)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하여 본체부(10)의 내부를 밀폐한다.
이러한 덮개부(80)는 투명부(82)를 구비할 수 있다. 투명부(82)는 투명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본체부(10) 내부가 외부로부터 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투명부(82)는 덮개부(80)의 일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고, 덮개부(80)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포획공간부(50)에는 제2개구부(56)를 통해 들어온 해충이 접착되는 접착부(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부(70)는 제2개구부(56)를 통해 제2포획공간부(50)의 내부로 들어온 해충을 접착시킴으로써, 해충을 제2포획공간부(50)의 내부에 잡아둘 수 있다. 접착부(70)는 제2포획공간부(50)의 바닥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제2포획공간부(50)의 바닥면에는 접착부(70)와 함께 유인부(72)가 구비될 수 있다.
유인부(72)는 해충이 좋아하는 음식물을 포함함으로써 해충을 제2해충포획부(60)의 내부로 유인하는 역할을 하며, 이 음식물에 살충 성분이 혼합됨으로써 유인된 해충을 죽이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유인부(72)는, 바람직하게는 접착부(70)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바퀴벌레를 포함한 해충은 밀폐된 공간인 안심공간부(20)로 들어오면, 좁은 틈도 헤쳐 들어가려는 습성이 있기에, 안심공간부(20)로 통하는 입구부(22)에는 포획망을 설치하지 않고, 안심공간부(20)와 제1포획공간부(30) 사이와 제1포획공간부(30)와 제2포획공간부(50) 사이에 포획망을 설치한다.
본체부(10)에서 입구부(22)와 반대편에 위치한 곳에는 측벽 대신에 공기가 통하는 통공부재(11)가 설치된다. 해충은 바람이 통하는 않는 곳 보다는 바람이 통하는 곳을 더 선호하는 습성이 있기에, 본체부(10) 내측으로 해충의 유입을 유도하도록 망사 형상의 통공부재(11)를 설치한다.
그리고, 본체부(10)의 측면을 포함하여 해충포집장치(1)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재에도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포집장치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해충포집장치(1)는 해충이 서식하거나 이동하는 길목에 설치되되, 입구부(22)의 외측이 해충포집장치(1)가 설치되는 외부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해충포집장치(1)의 근처를 지나는 해충은 유인부(72)에 포함된 음식물의 냄새에 의해 해충포집장치(1)로 유인된다. 이처럼 유인된 해충은 입구부(22)를 통해 안심공간부(20)로 진입한다. 이때 입구부(22)의 안내면(23)이 본체부(10)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해충이 용이하게 구멍(24)을 통하여 안심공간부(20)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안심공간부(20)로 진입한 해충은 제1개구부(36)와 통로(38)를 통하여 제1포획망(42)에 도달한다. 그리고, 제1포획망(42)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제1해충포획부(40)에 구비된 협로(46)를 통해 제1포획공간부(30)로 유입된다.
협로(46)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종 방향 폭이 1㎜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거의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가, 해충이 이 협로(46)를 비집고 들어올 때 해충이 겨우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벌어지게 된다.
제1포획망(42)은 제1개구부(36)로부터 제1포획공간부(30)의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협로(46)를 이루는 제1포획망(42)의 타측은 제1포획공간 부(30)의 내부 방향으로 외력이 용이하게 가해질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제1포획망(42)은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해충이 협로(46)를 비집고 들어오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해충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협로(46)의 종 방향 폭을 넓히게 된다. 해충이 협로(46)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제1포획망(42)의 타측이 다시 변형 전 상태로 복귀하면서 협로(46)는 다시 거의 밀폐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협로(46)를 통과하여 제1포획공간부(30)의 내부로 들어온 해충은 유인부(72)의 냄새에 의해 제2개구부(56)의 안내면(59)을 타고 제2포획공간부(50)로 들어간다.
제2개구부(56)와 제2포획망(62) 사이에 형성된 통로(58)를 따라 제2해충포획부(60)에 도달한 해충은 제2포획망(62)과 제2포획공간부(5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협로(68)를 비집고 들어간다. 해충이 제2포획공간부(50)의 협로(68)를 통해 이동되는 것은 제1포획공간부(30)의 협로(46)를 통해 이동되는 것과 유사하므로 이를 참조하기로 한다.
제1해충포획부(40)에 구비된 협로(46)는 제2해충포획부(60)에 구비된 협로(68)보다 크게 하여 해충이 안심공간부(20)에서 제1포획공간부(30)로 이동됨이 용이하게 하며, 제1포획공간부(30)에서 제2포획공간부(50)로 이동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나, 제2포획공간부(50)로 유입된 해충의 탈출은 보다 어려워지게 된다.
해충포집장치(1)로 유입된 해충은 제2포획공간부(50) 뿐만 아니라, 안심공간부(20)에 있거나 제1포획공간부(30)에 있어도 외부로 탈출이 어렵기에 해충의 포획 률이 높아지게 된다.
제2포획공간부(50)로 들어온 해충은 접착부(70)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유인부(72)의 살충 성분이 포함된 음식물을 먹고 죽게 된다.
제2포획공간부(50)에 있는 해충은 밀폐된 상태인 2개의 협로(46,68)를 통과하여 본체부(10)의 외부로 탈출하기는 극히 곤란하다. 제1,제2포획망(42,62)의 타측은, 경사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진입시에는 제1,제2포획망(46,68)을 들여올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머리가 상부를 향한 상태의 해충이 2개의 협로(46,68)를 비집고 나오기는 극히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번 해충포집장치(1)의 내부로 들어온 해충은 다시 해충포집장치(1)를 탈출하지 못하고 해충포집장치(1) 내부에서 죽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해충포집장치(1) 내부에는 다수의 해충이 포집되며, 이처럼 포집된 해충은 일정 기간마다 한 번씩 덮개부(80)를 개방하여 비워주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해충포집장치(1)에 따르면, 해충이 서식하거나 이동하는 길목에 설치해 두기만 하면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해충을 포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해충 번식을 예방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살충 성분을 직접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아 음식점 등과 같은 장소에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해충포집장치(1)는, 특정한 위치에 부착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 장소를 바꾸기가 용이하고 흉한 설치 흔적이 남지 않으며, 죽은 해충 은 내부에 그대로 포집되어 있기 때문에 죽은 해충을 별도로 소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해충포집장치(1)로 들어온 해충은 바닥면과 높이 설치된 구멍(24,57)을 구비한 입구부(22)와 제2개구부(56)의 형상과, 입구부(22)를 통한 탈출을 방지하는 날개부(29) 및 2개의 해충포획부와 접착부(70) 및 유인부(72)에 의하여 외부로 탈출이 방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해충포집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개구부와 제1해충포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절곡관로부재에서 차단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차단부재가 절곡관로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해충포집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충포집장치와 비교시 제1개구부(90)와 제1해충포획부(100)의 구성과 제2개구부와 제2해충포획부의 구성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기에 이에 따른 도면과 상세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구부(90)는, 안심공간부(20)와 제1포획공간 부(30)를 구획하며 해충이 이동되기 위한 통공(92)을 구비하는 구획부재(92) 및 구획부재(92)의 통공(93)과 연통되어 제1포획공간부(30)로 연장 형성되어서 제1해충포획부(100)가 설치되는 안내관로(9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부재(92)는 본체부(10)에 고정되거나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획부재(92)가 본체부(10)에서 착탈되는 경우, 구획부재(92)의 양측에 안내돌기(96)가 돌출 형성되며, 본체부(10)의 내측면에 안내돌기(96)를 상하 안내하는 레일홈부(34)가 형성된다.
해충이 이동되기 위하여 구획부재(92)에 형성된 통공(93)과, 통공(93)과 연통되어 연장 형성되는 안내관로(94)의 형상은 원형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제1해충포획부(100)는, 안내관로(94)와 연통되며 출구는 하측을 향하여 설치되는 절곡관로부재(104) 및 절곡관로부재(104) 또는 안내관로(94)의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재(102)를 포함한다.
바퀴벌레를 포함한 해충이 어두운 색을 좋아하는 특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안내관로(94) 또는 절곡관로부재(104)는 빛을 차단하는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안내관로(94) 또는 절곡관로부재(104)의 내측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안내관로(94)와 절곡관로부재(104)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검은색을 도포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안내관로(94)를 따라 이동된 해충이 절곡관로부재(104)의 출구를 따라 하측으로 낙하한 후에 다시 절곡관로부재(104)를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절곡관로부재(104)의 출구는 제1포획공간부(30)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절곡관로부재(104)의 출구는 하측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는 해충이 제1포획공간부(30)로 유입됨은 용이하게 하면서, 제1포획공간부(30)에 있는 해충이 안심공간부(20)로 이동됨은 어렵게 하기 위함이다.
걸림턱부재(102)는 제1포획공간부(30)에 있는 해충이 안내관로(94)를 타고 절곡관로부재(104)로 이동하여 다시 안심공간부(20)로 돌아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안내관로(94) 또는 절곡관로부재(104)의 외측에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재(102)는 해충이 이동되는 방향에 원뿔 형상으로 설치되며, 해충이 안내관로(94)를 따라 좌측(이하 도 6기준)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턱부재(102)의 좌측은 해충이 타고 넘을 수 없을 정도로 해충의 키보다 높은 간격으로 안내관로(94)와 이격되며, 걸림턱부재(102)의 우측은 안내관로(94)에 접하여 고정된다.
걸림턱부재(102)는 해충의 이동을 방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며, 안내관로(94) 또는 절곡관로부재(104)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관로부재(104)의 출구에 설치되어 일 방향 출입을 허용하는 탄성 재질의 차단부재(112)가 설치된다.
차단부재(112)는 절곡관로부재(104)의 출구에 협로를 형성하며, 절곡관로부재(104)를 통과한 해충이 차단부재(112)를 들어올리고 하측으로 낙하하면, 차단부재(112)는 탄성에 의해 좁아져서 다시 협로를 형성한다.
협로의 횡 방향 폭은 절곡관로부재(104)를 통하여 들어오는 해충이 겨우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이러한 협로는 종 방향 폭이 1㎜ 미만에 불과할 정도로 거의 밀폐된 상태로 유지된다.
차단부재(112)는 섬유나, 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타킹 등의 재질로 사용되는 망사 형태의 포획망도 사용될 수 있다.
차단부재(112)를 절곡관로부재(104)의 출구에 설치하기 위하여, 절곡관로부재(104)의 일단은 상측이 개구된 관로 형상인 장착부(110)를 형성하며, 장착부(110)에 차단부재(112)를 고정시키는 홀더부재(114)가 별도 구비된다.
홀더부재(114)는 차단부재(112)와 함께 장착부(110)에 구비된 양 측벽에 고정되므로, 차단부재(112)를 장착부(110)에 고정시키는 것과 함께, 차단부재(112)가 홀더부재(114)에 물려있는 위치 등을 조절하므로, 차단부재(112)에 의하여 형성된 협로의 높이가 조절된다.
안내관로(94)와 절곡관로부재(104)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바람이 통하는 곳을 선호하는 해충의 이동을 유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포획공간부(30)와 제2포획공간부(50)를 구획하는 제2개구부와 이에 설치되는 제2해충포획부의 구성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제1개구부(90)와 제1해충포획부(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충포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충포집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구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개구부와 제1해충포획부의 설치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개구부와 제2해충포획부의 설치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개구부와 제1해충포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절곡관로부재에서 차단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차단부재가 절곡관로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해충포집장치 20: 안심공간부
22: 입구부 23: 안내면
25: 제1날개부재 27: 제2날개부재
29: 날개부 30: 제1포획공간부
32: 제1격벽부재 36: 제1개구부
40: 제1해충포획부 42: 제1포획망
44: 제1결합부 50: 제2포획공간부
52: 제2격벽부재 56: 제2개구부
60: 제2해충포획부 62: 제2포획망
64: 제2결합부 66: 결합부재
90: 제1개구부 92: 구획부재
94: 안내관로 100: 제1해충포획부
102: 걸림턱부재 104: 절곡관로부재
110: 장착부 112: 차단부재
114: 홀더부재
Claims (22)
- 해충이 들어가는 입구부가 바닥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안심공간부;상기 안심공간부에 있는 해충이 유입되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는 제1포획공간부; 및상기 제1포획공간부에 있는 해충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제1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해충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에는 상기 안심공간부의 내측을 향하여 입구가 좁아지도록 경사진 안내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안심공간부와 접하는 상기 입구부의 내측에는 절곡된 형상의 날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상기 입구부의 양측에 절곡되는 날개편을 구비하는 제1날개부재; 및상기 입구부의 상하측에 절곡되는 날개편을 구비하는 제2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안심공간부와 상기 제1포획공간부 사이에 착탈되는 제1격벽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는,상기 안심공간부와 상기 제1포획공간부를 구획하며 상기 해충이 이동되기 위한 통공을 구비하는 구획부재; 및상기 구획부재의 통공과 연통되어 상기 제1포획공간부로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제1해충포획부가 설치되는 안내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해충포획부는,상기 안내관로와 연통되며 출구는 하측을 향하여 설치되는 절곡관로부재; 및상기 절곡관로부재 또는 상기 안내관로의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절곡관로부재의 출구에 설치되어 일 방향 출입을 허용하는 탄성 재질의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절곡관로부재 또는 상기 안내관로는 빛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해충포획부는,상기 제1포획공간부의 내부와 상기 제1개구부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는 제1포획망; 및상기 제1포획공간부의 내부와 상기 통로 사이에 협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포획망을 상기 제1포획공간부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제1포획망은,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제1포획공간부의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제1포획망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포획공간부에 있는 해충이 유입되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제2포획공간부; 및상기 제2포획공간부에 있는 해충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제2개구부에 설치되는 제2해충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안심공간부와 상기 제1포획공간부와 상기 제2포획공간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덮개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투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해충포획부는,상기 제2포획공간부의 내부와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는 제2포획망; 및상기 제2포획공간부의 내부와 상기 통로 사이에 협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포획망을 상기 제2포획공간부에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제2포획망은, 상기 제2개구부로부터 상기 제2포획공간부의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제2결합부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제2포획망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제1포획공간부와 상기 제2포획공간부 사이에 착탈되는 제2격벽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제2포획공간부에는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들어온 해충이 접착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제2포획망이 상기 제2포획공간부의 바닥면과 이루는 간격은 상기 제1포획망이 상기 제1포획공간부의 바닥면과 이루는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1865A KR20100092641A (ko) | 2009-02-13 | 2009-02-13 | 해충포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1865A KR20100092641A (ko) | 2009-02-13 | 2009-02-13 | 해충포집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2641A true KR20100092641A (ko) | 2010-08-23 |
Family
ID=4275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1865A KR20100092641A (ko) | 2009-02-13 | 2009-02-13 | 해충포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92641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27364A1 (en) * | 2014-02-24 | 2015-08-27 | Ecolab Usa Inc. | Bed bug trap and monitor |
US10123534B2 (en) | 2014-06-19 | 2018-11-13 | Ecolab Usa Inc. | Composition for detection and treatment of bed bugs |
US10455832B1 (en) | 2010-10-26 | 2019-10-29 | Ecolab Usa Inc. |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oduct application to target and kill all life stages of bed bugs |
US11661399B2 (en) | 2018-06-04 | 2023-05-30 | Ecolab Usa Inc.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degradation of dimethyl trisulfide |
-
2009
- 2009-02-13 KR KR1020090011865A patent/KR20100092641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55832B1 (en) | 2010-10-26 | 2019-10-29 | Ecolab Usa Inc. |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oduct application to target and kill all life stages of bed bugs |
WO2015127364A1 (en) * | 2014-02-24 | 2015-08-27 | Ecolab Usa Inc. | Bed bug trap and monitor |
CN106102457A (zh) * | 2014-02-24 | 2016-11-09 | 艺康美国股份有限公司 | 臭虫诱捕和监视 |
US10136631B2 (en) | 2014-02-24 | 2018-11-27 | Ecolab Usa Inc. | Bed bug trap and monitor |
CN106102457B (zh) * | 2014-02-24 | 2019-04-16 | 艺康美国股份有限公司 | 昆虫诱捕器 |
US10123534B2 (en) | 2014-06-19 | 2018-11-13 | Ecolab Usa Inc. | Composition for detection and treatment of bed bugs |
US10918099B2 (en) | 2014-06-19 | 2021-02-16 | Ecolab Usa Inc. | Composition for detection and treatment of bed bugs |
US11661399B2 (en) | 2018-06-04 | 2023-05-30 | Ecolab Usa Inc.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degradation of dimethyl trisulfid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79567U (ja) | 害虫駆除器 | |
KR20130069909A (ko) |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 |
KR20100092641A (ko) | 해충포집장치 | |
US7380369B1 (en) | Insect trap and method of use | |
KR200446750Y1 (ko) | 포획망 내부로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포획장치 | |
KR100877557B1 (ko) | 유해동물 포획 장치 | |
US20080256843A1 (en) | Insect Bait Station | |
KR20160008284A (ko) |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 |
CN202101981U (zh) | 一种测试柜 | |
JP4968842B2 (ja) | 飛翔昆虫類捕獲器 | |
KR20100009079U (ko) | 바퀴벌레 포획 및 살충 상자 | |
KR101201394B1 (ko) | 개미 제거용 유인구 | |
JP2001017053A (ja) | フェロモントラップによる飛翔性害虫の計数方法及びその装置 | |
KR101423262B1 (ko) | 해충 포집 장치 | |
KR101755008B1 (ko) | 해충 트랩 장치 | |
JP2005168488A (ja) | 捕虫装置 | |
KR200421240Y1 (ko) | 바퀴벌레 포획기 | |
KR101041708B1 (ko) | 해충포획장치 | |
JP5597125B2 (ja) | ハエ等の飛翔防止及び捕獲用ネット構造 | |
KR200494354Y1 (ko) | 바퀴벌레 트랩 | |
KR100912640B1 (ko) | 해충포집장치 | |
KR200190462Y1 (ko) |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 |
JP2004305162A (ja) | 捕虫器 | |
CN218649671U (zh) | 一种具有蚊虫捕捉功能的挤奶厅 | |
KR101023248B1 (ko) | 흡혈성 파리목 해충 포집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