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990A - 유해동물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유해동물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990A
KR20080100990A KR1020070047100A KR20070047100A KR20080100990A KR 20080100990 A KR20080100990 A KR 20080100990A KR 1020070047100 A KR1020070047100 A KR 1020070047100A KR 20070047100 A KR20070047100 A KR 20070047100A KR 20080100990 A KR20080100990 A KR 20080100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circuit module
switch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2225B1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070047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22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05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05Traps for animals with sticky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5/00Devices for dispensing poison for animals
    • A01M25/002Bait holders, i.e. stationary devices for holding poisonous bait at the disposal of the animal
    • A01M25/004Bait stations, i.e. boxes completely enclosing the bait and provided with animal entr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 A01N25/0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rodenticid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해충에 의해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해충 포획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해충 포획 장치는, 별도의 외부 전원 없이 작동 가능하고 해충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 유닛을 구비하고, 해충의 유입 전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대기되고 해충의 유입시 상기 스위치 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해충을 모니터링 하거나 또는 상기 해충정보를 수집하는 회로모듈을 구비한다.
따라서, 해충 포획 장치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해충 포획 장치의 수명과 유지보수 주기를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수분으로 인한 회로모듈의 오작동 또는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해충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쥐 트랩, 리드 스위치, 에너지 절감, 방수

Description

해충 포획 장치{Trap Apparatus for verm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해충 포획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해충 포획 장치에서 본체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해충 포획 장치에서 커버 케이스와 회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해충 포획 장치에서 스위치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도 5의 스위치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7은 도 4의 회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도 5의 스위치 유닛과 회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과 회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해충 포획 장치 110: 본체 케이스
111: 출입구 120: 커버 케이스
130: 포획부 150: 회로모듈
160: 실링부재 200: 스위치 유닛
211: 제1 스위치 212: 제2 스위치
213: 접촉부 217: 힌지부
300: 모니터링부 310: 통신모듈
320: 센서부 330: 촬상부
350: 전원부 370: 활성화부
371: 제3 스위치 400: 관리센터
본 발명은 쥐를 포함한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해충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박스 형태의 하우징 내부에 해충을 포획하거나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해충의 해충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해충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충은 인간 및 가축에게 해를 주는 곤충이나 동물을 말한다. 흔히 집이나 사무실 등 주변환경에서 볼 수 있는 해충은 대표적으로 쥐, 바퀴벌레, 먼지 다듬이, 개미, 진드기, 지네, 모기 등이 있다. 이런 해충들은 음식이나 직물들을 갉아 먹어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해충의 배설물 등을 통해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 근래에는 환경 오염으로 인해 해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해충의 방제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집이나 회사 혹은 지역 사회에서는 갖가지 방법으로 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기존에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 중 일반 가정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일반 가정에서 해충 포획 방법으로는, 음식물에 약을 섞은 것을 접시 혹은 박스 등의 용기에 담아 해충들이 많이 모여드는 장소나 통로 등에 배치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쥐 등 해충의 이동 경로 상에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덫을 배치하고, 덫 상에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미끼 또는 먹이를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살충제를 스프레이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해충에 직접 분사하거나, 공기 중에 포화시켜 해충이 흡입 또는 몸에 묻도록 하여 죽이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해충 포획 방법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어린이나 애완동물이 덫을 만지다가 다칠 위험이 있다. 또한, 살충제가 포함된 먹이를 어린이나 애완동물이 먹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살충제를 스프레이로 분사하는 경우 사람이나 애완동물의 몸에 살충제 성분이 직접 묻을 경우 건강에 위험을 미치게 된다. 또한, 가전 제품이나 의류, 식기 등에 묻었을 경우에도 살충제가 상기 제품의 표면에 장시간 잔류하게 되고, 이것에 접촉되는 사람이나 애완동물에게 알레르기나 피부질환과 같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박스 형태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약이나 먹이를 배치하고, 덫이나 끈끈이 등의 포획 수단을 구비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해충 포획 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해충 포획 장치는 해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나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해충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상기 해충 포획 장치의 전기적인 동작을 위한 전기부품 및 전기회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모듈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로모듈의 동작을 위해서는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하므로, 상기 해충 포획 장치에는 상기 회로모듈에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해충 포획 장치는 실외에 설치가능하고, 이동 가능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충 포획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건전지는 수명이 제한적이므로, 상기 건전지의 수명에 의해 상기 해충 포획 장치의 사용 수명이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건전지의 수명에 따라 상기 해충 포획 장치의 유지보수 주기가 결정되며, 잦은 유지보수가 요구된다.
둘째, 상기 해충 포획 장치를 옥외에 설치하는 경우 빗물 등으로 인해 상기 회로모듈에 수분이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수분으로 인해 상기 회로모듈이 오작동 또는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 포획 장치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회로모듈로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해충 포획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는, 해충의 출입이 가능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해충을 감지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회로모듈과,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해충에 의해 기구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스위치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유닛을 통해 상기 회로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게 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모듈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로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측 상부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며, 예를 들어, 상기 회로모듈은 상기 커버 케이스 내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 모듈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회로모듈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회로모듈이 장착된 커버 케이스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 케이스 내부에 상기 회로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고, 상기 커버 케이스 자체가 상기 회로모듈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상기 해충의 무게에 의해 스위칭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해충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해충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회로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스위치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로모듈과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실링부재에 전선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없고, 간접적으로 스위칭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부는 비접촉 방식에 의해 ON/OFF 가능한 리드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세하게는, 상기 실링부재 내측에 리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재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리드 스위치에 접근/후퇴 가능하도록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회로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회로모듈에 구비되어야 하는데, 상기 회로모듈이 상기 커버 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므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자성체를 상기 하우징 내측 상부에 위치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필요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해충에 의해 스위칭되므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출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칭 유닛을 상기 하우징에서 유출되는 해충에 의해서도 스위칭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유입되는 해충에 의해 상기 회로모듈을 활성화시키기고, 상기 유출되는 해충에 의해 상기 활성화된 회로모듈을 비활성화시키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유닛에서 해충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스위치 유닛이 OFF 상태가 되더라도 상기 회로모듈을 소정 시간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활성화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의 해충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해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해충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모듈은 외부로 상기 수집된 해충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 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해충이라 함은 인간에게 해로운 일체의 동물을 일컫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쥐, 바퀴벌레, 먼지 다듬이, 개미, 진드기, 지네, 모기 등을 가리킨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충 포획 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 내로 해충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출입구(111)와, 상기 하우징(101)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의 전기적 동작을 위한 회로모듈(150) 및 상기 하우징(101) 내로 유입되는 해충에 의해 상기 회로모듈(150)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포획이라 함은 해충을 살아있는 상태로 사로잡는 것뿐만 아니라, 살충수단을 사용하여 해충을 죽이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로모듈(150)은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에서 전기부품과 상기 전기부품이 실장되고 작동을 위한 전기회로, 전원부 등 일체의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1)은 개방된 상면을 갖는 본체 케이스(110)와, 상기 본체 케 이스(11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 케이스(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 케이스(110)는 내부에 소정 체적의 공간이 형성되고, 소정 높이를 갖고 다각형 단면을 갖는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케이스(110)와 상기 커버 케이스(120)는 서로 고정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케이스(120)는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상부 및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110)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측면에 대응되는 소정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버 케이스(120)와 상기 본체 케이스(110)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는 상기 커버 케이스(120)와 상기 본체 케이스(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미도시)와, 상기 커버 케이스(120)와 상기 본체 케이스(110)를 잠금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 케이스(120)는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상부에 단순히 끼우는 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10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케이스(120)는 상기 본체 케이스(1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커버 케이스(1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케이스(120)에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우징(101)의 측면에는 상기 해충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출입구(1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해충은 출구가 없는 공간에는 진입을 꺼리는 특성이 있으므로, 상기 해충이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입구와 출구가 될 수 있도 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출입구(1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충이 다양한 방향에서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구(111)는 상기 하우징(101)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출입구(111)는 상기 해충의 유출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우징(101)을 관통하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개구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구(111)는 상기 해충이 상기 출입구(111)를 통과할 때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출입구(111)의 하단부와 상기 하우징(101)의 바닥면이 단차 없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출입구(111)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101)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출입구(111)의 형태와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해충의 출입이 가능한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스(110)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01)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의 해충 포획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포획부(130)는 상기 출입구(111)로 유입된 해충이 반드시 상기 포획부(130)를 통과하거나 상기 포획부(130)로 이동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획부(130)는 상기 해충이 실질적으로 포획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해충을 유인하거나 죽일 수 있는 약을 포함하는 먹이가 제공될 수 있으며, 끈끈이나 덫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끈끈이는 상면에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해충이 상기 끈끈이 상면을 통과할 때, 상기 접착면에 의해 상기 해충이 달라붙어서 포획 된다. 그리고, 상기 덫은 상기 해충이 유인될 수 있는 미끼를 배치하여 상기 해충을 유인한 후 물리적으로 포획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약은 상기 해충을 유인하거나 죽일 수 있는 물질을 상기 해충이 섭취하도록 하여 포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약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먹이 등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먹이에 약을 혼합한 먹이제의 경우, 상기 먹이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수용부가 형성된 용기 등에 담아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에서 상기 해충의 모니터링 또는 상기 해충에 대한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획부(130)가 구비되지 않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모듈(150)은 상기 하우징(101) 내의 해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하우징(101) 내의 해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모니터링부(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상기 하우징(101) 내의 해충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나 상기 해충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상기 하우징(101) 내로 유입된 해충의 개체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등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상기 카메라나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상기 해충정보를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는 상기 포획부(130)와 상기 모니터링부(300)를 모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상기 회로모듈(150)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1) 내의 해충의 영상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상 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상기 회로모듈(150)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1) 내의 해충 존재 유무를 감지하거나, 상기 하우징(101) 내의 존재하는 또는 상기 하우징(101)을 통과하는 해충의 개체수를 세기 위한 센서부(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상기 촬상부(320)와 상기 센서부(330)에서 수집된 해충정보를 외부에 위치한 관리센터(40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31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모듈(310)은 지그비(zigbee)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모듈(150)에는 상기 촬상부(320)와 상기 센서부(330) 및 상기 통신모듈(3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50)가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로모듈(150)은 상기 커버 케이스(12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회로모듈(150)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회로모듈(150)은 상기 커버 케이스(120) 내측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회로모듈(150)은 수분에 취약하므로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는 상기 회로모듈(150)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로모듈(150)은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즉, 수분이 중력 방향의 하부로 흐른다는 특성상,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서 하부보다는 상부에 배치하는 것이 상기 회로모듈(150)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로모듈(150)을 상기 커버 케이스(120)에 배치하는 것은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서 유입된 해충의 이동 경로와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해충의 포획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10) 내 측에 상기 포획부(130)를 설치할 수 있어서 상기 하우징(101)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모듈(150)은 상기 커버 케이스(120) 내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모듈(150)의 개방된 면, 즉, 상기 하우징(101) 내부를 향한 면에는 수분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부재(1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160)는 수분 차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상기 회로모듈(150)의 개방된 면을 포함하여 상기 커버 케이스(120) 전체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는, 상기 실링부재(160)는 상기 커버 케이스(120)가 아닌 상기 회로모듈(15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160)에 의해 봉지 처리된 회로모듈(150)을 상기 커버 케이스(120)에 장착시키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 케이스(120)는 내측면 상에 상기 회로모듈(150)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안착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25) 상에 또는 상기 커버 케이스(120)의 둘레를 따라 실링부재(160)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커버 케이스(120) 자체를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 케이스(120) 내에 상기 회로모듈(150)이 수용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커버 케이스(120)의 수분 유입 차단 효과를 극대화기 위한 실링부재(160)가 추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회로모듈(150)은 상기 하우징(101) 내에 해충이 없을 때는 작동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101) 내로 해충이 유입되었을 때 작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로모듈(150)에 전원이 인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 징(101) 내로 해충이 유입되기 전에는 상기 회로모듈(150)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하우징(101)으로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하우징(101) 내로 해충이 유입되었을 때 상기 회로모듈(150)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01)으로 유입되는 해충에 의해 상기 회로모듈(150)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유닛(200)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전원부(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해충이 상기 하우징(101)으로 유입되었을 때 비로소 상기 전원부(350)를 스위칭하여 상기 회로모듈(150)을 활성화시킨다.
그런데, 상기 회로모듈(150)은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실링부재(160)에 의해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있는데, 상기 회로모듈(150)에서 전선(미도시)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전선으로 인해 상기 회로모듈(150)로 수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전선 부분은 상기 실링부재(160)로 실링처리가 어려우며, 실링 처리 후에도 다른 부분에 비해 수밀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모듈(150)과 상기 스위치 유닛(200)을 전선으로 연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전선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상기 실링부재(160)를 사이에 두고 비접촉 방식에 의해 ON/OFF 가능한 스위치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실링부재(160) 내측에 구비된 제1 스위치(211)와, 상 기 실링부재(160) 외측에 배치된 제2 스위치(2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자석에 의해 ON/OFF 되는 리드 스위치일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회로모듈(150)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스위치(211)는 상기 회로모듈(15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위치(211)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치(212)는 상기 제1 스위치(211)에 접근/후퇴하여 상기 제1 스위치(211)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자성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스위치(212)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위치 유닛(20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제1 스위치(211)와, 상기 제2 스위치(212)와, 상기 해충에 접촉되는 접촉부(213)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하우징(101)으로 유입되는 해충의 무게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하우징(101)으로 유입된 해충이 접촉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출입구(111)에 인접한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출입구(111)마다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해충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치(212)를 상기 제1 스위치(211)에 접근 또는 후퇴시킬 수 있도록 힌지부(217)에 의해 지지되되, 지렛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모듈(150)은 수분 유입 방지를 위해서 상기 커버 케이 스(120)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스위치(211)가 상기 회로모듈(150)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스위치(211)는 상기 회로모듈(150)에 구비된다. 또는, 상기 제1 스위치(211)는 상기 실링부재(160) 내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스위치(212)가 상기 제1 스위치(211)에 대응되어 상기 실링부재(160)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101) 내측 상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접촉부(213)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212)를 상기 하우징(101)의 내측 상부에 위치시키는 지지부(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접촉부(213)에 상기 해충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치(212)를 상기 제1 스위치(211)에 대해 접근 또는 후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스위치(211)는 자기장 내부에서 ON 상태가 되는 구조를 갖는 리드 스위치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스위치(212)가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을 때는OFF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스위치(212)가 상기 제1 스위치(211)가 소정 거리 이하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ON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해충의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스위치(211)가 OFF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212)의 위치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제2 스위치(212)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접촉부(213)와 상기 해충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제2 스위치(212)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212)가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제2 스위치(212)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힌지부(217)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213)와 상기 해충이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제2 스위치(212)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도록 구비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접촉부(213)에 상기 해충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스위치(212)는 상기 제1 스위치(211)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어, 상기 제1 스위치(211)가 OFF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213)에 상기 해충이 접촉하면 상기 해충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212)가 상기 제1 스위치(211)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211)가 ON 상태가 된다.
이하, 상기 스위치 유닛(2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해충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회로모듈(150)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로모듈(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제1 스위치(211)와 상기 전원부(35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해충이 접촉하면 상기 제2 스위치(212)가 상기 제1 스위치(211)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211)가 ON 상태가 되어 상기 전원부(350)가 활성화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350)에서 상기 회로모듈(15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상기 촬상부(320)와 상기 센서부(330)에서 상기 하우징(101) 내의 해충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수집된 해충정보는 상기 통신모듈(310)을 통해 외부에 위치한 관리센터(400)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센터(400)는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 를 관리하고,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로부터 수집된 해충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스위치(212)가 멀어지면, 즉, 상기 해충이 상기 접촉부(213)와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스위치(211)가 OFF 상태가 되는데, 상기 제1 스위치(211)가 OFF 상태가 되더라도 상기 회로모듈(150)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해충이 상기 하우징(101)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OFF 상태가 되지만, 상기 해충이 상기 하우징(101)에서 유출될 때까지는 상기 해충정보가 계속 수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집된 해충정보를 상기 관리센터(400)로 전송하는 데 필요한 시간 동안 상기 통신모듈(310)에 전원이 인가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모듈(150)은 상기 스위치 유닛(200)이 OFF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회로모듈(150)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더불어, 상기 해충정보 수집 및 전송이 완료된 후, 상기 회로모듈(150)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활성화부(370)는 상기 회로모듈(150)에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듈(310)에서 상기 해충정보의 송신이 완료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전원부(350)를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회로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활성화부(370)는 상기 통신모듈(310) 등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350)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35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제3 스위치(37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통신모듈(310)에서 동작이 계속 수행 중 일 때는 상기 제1 스위치(211)가 OFF 상태가 되더라도 상기 제3 스위치(371)에서 상기 전원부(350)의 활성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310)에서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활성화부(370)는 상기 제3 스위치(371)를 OFF 상태로 스위칭 함으로써 상기 회로모듈(150)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활성화부(370)는 상기 스위치 유닛(200)에 의해 상기 회로모듈(150)이 활성화된 후에 작동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스위치 유닛(200)은 상기 하우징(101)으로 유입되는 해충을 감지하여 상기 회로모듈(150)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하우징(101)에서 유출되는 해충을 감지하여 상기 회로모듈(150)을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해충 포획 장치에서 해충을 감지하고 해충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전기장치와 전기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모듈을 구비하되, 해충이 상기 해충 포획 장치로 유입되기 전에는 상기 회로모듈을 비활성화 상태로 대기시킨다. 그리고, 상기 해충 포획 장치로 유입되는 해충에 의해 상기 회로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한다. 또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작동 가능한 스위치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해충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도 상기 스위치 유닛에서 에너지가 소비되지 않으므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해충 포획 장치의 에너지 소비가 최소화됨에 따라 상기 해충 포획 장치에 구비된 전원장치의 사용기간이 길어지며, 결과적으로 상기 해충 포획 장치의 유지보수 주기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회로모듈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분에 의해 상 기 회로모듈이 오작동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해충의 모니터링 또는 해충정보 수집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셋째, 상기 스위치 유닛은 비접촉 방식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스위칭 가능하므로, 상기 회로모듈과 상기 스위치 유닛을 전선으로 연결하지 않더라도 스위칭이 가능하며, 상기 회로모듈을 외부와 완전히 격리시킬 수 있어서, 상기 회로모듈의 수분 유입 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해충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해충을 감지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회로모듈; 및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해충에 의해 기구적으로 스위칭되어 상기 회로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유닛;
    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된 커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모듈은 상기 커버 케이스 내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모듈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로모듈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모듈은 상기 커버 케이스 내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 기 커버 케이스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케이스는 내측에 상기 회로모듈이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로모듈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상기 해충의 무게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된 해충에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며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해충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회로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실링부재 내측에 구비된 제1 스위치 및 상기 실링부재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를 온(on)시키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중 어느 하나는 리드 스위치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기구적으로 연결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하우징 내측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접촉부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출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서 유출되는 해충에 의해 스위칭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유출되는 해충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회로모듈을 비활성화시키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모듈은 상기 스위치 유닛에 의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활성화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모듈은 상기 해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해충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모듈은 외부로 해충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KR1020070047100A 2007-05-15 2007-05-15 유해동물 포획 장치 KR100912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100A KR100912225B1 (ko) 2007-05-15 2007-05-15 유해동물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100A KR100912225B1 (ko) 2007-05-15 2007-05-15 유해동물 포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990A true KR20080100990A (ko) 2008-11-21
KR100912225B1 KR100912225B1 (ko) 2009-08-14

Family

ID=4028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100A KR100912225B1 (ko) 2007-05-15 2007-05-15 유해동물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2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7866A (zh) * 2017-08-23 2017-11-17 黄平宋氏心莲心设备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捕鼠板
US20210392866A1 (en) * 2018-10-22 2021-12-23 Brandenburg Connect Limited Intelligent trap and consumab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1336B2 (en) 2010-08-12 2014-04-22 Daniel J. Kay Pest control device
US8959829B2 (en) 2012-04-06 2015-02-24 Daniel Kay Rodent trap mounting member and method
KR101471874B1 (ko) * 2013-03-29 2014-12-12 주식회사 세스코 포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2326B2 (ja) * 1994-06-29 1998-03-04 株式会社キャッツ 白蟻警報装置
US5877422A (en) * 1995-12-19 1999-03-02 Cats, Inc. Termite detection apparatus and termite alarm unit employing this termite detection apparatus
KR100225801B1 (ko) * 1997-01-13 1999-10-15 김복만 쥐덫
KR200324473Y1 (ko) 2003-06-03 2003-08-25 안창수 전기 충격식 쥐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7866A (zh) * 2017-08-23 2017-11-17 黄平宋氏心莲心设备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捕鼠板
US20210392866A1 (en) * 2018-10-22 2021-12-23 Brandenburg Connect Limited Intelligent trap and consumables
US11974561B2 (en) * 2018-10-22 2024-05-07 Caucus Connect Limited Intelligent trap and consum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225B1 (ko) 200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9307A (ko) 해충 포획 장치
US7076913B1 (en) Infrared sensing for locating and aiding destruction of moles
US8316578B2 (en) Bedbug trap
CN201451113U (zh) 多功能诱捕器
JP7136927B2 (ja) 遠隔監視能力を有する電気齧歯動物捕獲装置
US20110252693A1 (en) Ant trap
KR100912225B1 (ko) 유해동물 포획 장치
KR101148281B1 (ko) 진공팩킹 쥐트랩 및 이를 이용한 쥐 포획 방법
KR100877557B1 (ko) 유해동물 포획 장치
KR101312678B1 (ko) 쥐포획장치
KR100886244B1 (ko)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
KR100895505B1 (ko) 해충 포획 장치
JPH11346629A (ja) 蚊の誘殺器又は蚊の捕獲器
KR20120132880A (ko) 해충포획기
KR100772973B1 (ko) 해충 박멸수단을 구비한 박스
KR100895507B1 (ko) 졸대형 바퀴벌레 트랩
US20150305319A1 (en) Ant trap
KR102108207B1 (ko) 벌레 유인 포획 장치
KR101471875B1 (ko) 유해동물 포획장치
KR101385360B1 (ko) 바퀴벌레 포획장치
CN209201925U (zh) 一种蟑螂智能诱捕与电杀系统
KR20230046045A (ko) 멀티 해충 센싱용 장치
KR101041708B1 (ko) 해충포획장치
KR102469792B1 (ko) 벌레퇴치 쓰레기통
KR20100007490A (ko) 유해동물 포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