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307A - 해충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307A
KR20080109307A KR1020070057461A KR20070057461A KR20080109307A KR 20080109307 A KR20080109307 A KR 20080109307A KR 1020070057461 A KR1020070057461 A KR 1020070057461A KR 20070057461 A KR20070057461 A KR 20070057461A KR 20080109307 A KR20080109307 A KR 20080109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camera module
housing
capture device
cov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070057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9307A/ko
Publication of KR2008010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해충에 의해 전기적으로 활성화되는 카메라모듈을 갖는 해충 포획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해충 포획 장치는, 하우징 내로 유입된 해충의 영상정보를 수집하기위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으로 상기 해충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해충의 감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해충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해충 포획 장치는 카메라모듈을 통해 수집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충 포획 장치 내부의 상태 및 상기 해충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충의 유입시에만 상기 카메라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카메라모듈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해충 포획 장치의 수명과 유지보수 주기를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수분으로 인한 카메라모듈의 오작동 또는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해충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쥐 트랩, 카메라모듈, 에너지 절감, 방수

Description

해충 포획 장치{Trap Apparatus for verm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해충 포획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해충 포획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해충 포획 장치에서 본체 케이스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해충 포획 장치에서 커버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해충 포획 장치에서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해충 포획 장치 103: 실링부재
110: 하우징 111: 본체 케이스
112: 출입구 113: 커버 케이스
114: 안착부 120: 포획부
130: 회로모듈 131: 전원공급부
133: 카메라모듈 135: 스위치부
137: 통신모듈 139: 센서부
150: 감지부 151: 접촉식 센서
153: 간접 센서 160: 관리센터
본 발명은 쥐를 포함한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해충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해충 포획 장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포획하거나 상기 해충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해충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충은 인간 및 가축에게 해를 주는 곤충이나 동물을 말한다. 흔히 집이나 사무실 등 주변환경에서 볼 수 있는 해충은 대표적으로 쥐, 바퀴벌레, 먼지 다듬이, 개미, 진드기, 지네, 모기 등이 있다. 이런 해충들은 음식이나 직물들을 갉아 먹어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해충의 배설물 등을 통해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 근래에는 환경 오염으로 인해 해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해충의 방제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집이나 회사 혹은 지역 사회에서는 갖가지 방법으로 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기존에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 중 일반 가 정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일반 가정에서 해충 포획 방법으로는, 음식물에 약을 섞은 것을 접시 혹은 박스 등의 용기에 담아 해충들이 많이 모여드는 장소나 통로 등에 배치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쥐 등 해충의 이동 경로 상에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덫을 배치하고, 덫 상에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미끼 또는 먹이를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살충제를 스프레이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해충에 직접 분사하거나, 공기 중에 포화시켜 해충이 흡입 또는 몸에 묻도록 하여 죽이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해충 포획 방법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어린이나 애완동물이 덫을 만지다가 다칠 위험이 있다. 또한, 살충제가 포함된 먹이를 어린이나 애완동물이 먹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살충제를 스프레이로 분사하는 경우 사람이나 애완동물의 몸에 살충제 성분이 직접 묻을 경우 건강에 위험을 미치게 된다. 또한, 가전 제품이나 의류, 식기 등에 묻었을 경우에도 살충제가 상기 제품의 표면에 장시간 잔류하게 되고, 이것에 접촉되는 사람이나 애완동물에게 알레르기나 피부질환과 같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박스 형태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약이나 먹이를 배치하고, 덫이나 끈끈이 등의 포획 수단을 구비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해충 포획 장치가 제안되었다.
한편, 종래의 해충 포획 장치는 상기 해충 포획 장치 내부로 해충의 유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해충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 한 통신모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충 포획 장치는 상기 센서 및 상기 통신모듈이 실장되고, 상기 센서와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위한 전기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모듈이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해충의 유입 여부와 같이 단순한 정보로서, 상기 유입된 해충의 포획 여부 또는 상기 유입된 해충의 종류 등과 같은 상기 해충 포획 장치 내부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불충분하다.
또한, 상기 해충 포획 장치를 옥외에 설치하는 경우 빗물 등으로 인해 상기 센서나 통신모듈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수분으로 인해 오작동 또는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 포획 장치 내의 해충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고, 수분 유입으로 인한 오작동 또는 파손을 방지하는 해충 포획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해충 포획 장치는, 해충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를 갖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된 해충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해충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해충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된 커버 케이스를 포함하고, 수분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하우징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카메라모듈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커버 케이스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모듈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커버 케이스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카메라모듈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기 하우징 내부를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카메라모듈에 대응되는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카메라모듈이 수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케이스는 자체로 내부로 수분 유입이 방지되는 밀폐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커버 케이스 내에 구비된 상기 카메라모듈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기 하우징 내부를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케이스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에 대응되는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해충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해충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부는 상기 출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해충의 상기 출입구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해충의 유입뿐만 아니라 상기 해충의 유출 역시 감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해충의 유입이 감지되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해충의 유출이 감지되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모듈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에 전원을 인가 또는 해제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나, 상기 카메라모듈에 최소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대기하는 슬립모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에 최소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해충의 유입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모듈을 활성화시켜 상기 해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해충 포획 장치는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수집된 해충의 영상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 완료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해충이라 함은 인간에게 해로운 일체의 동물을 일컫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쥐, 바퀴벌레, 먼지 다듬이, 개미, 진드기, 지네, 모기 등을 가리킨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획 장 치에 대해 설명한다.
해충 포획 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로 해충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출입구(112)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된 해충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모듈(133)과, 상기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10) 내로 해충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50) 및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부(135)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포획이라 함은 해충을 살아있는 상태로 사로잡는 것뿐만 아니라, 살충수단을 사용하여 해충을 죽이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개방된 상면을 갖는 본체 케이스(111)와,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 케이스(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 케이스(111)는 내부에 소정 체적의 공간이 형성되고, 소정 높이를 갖고 다각형 단면을 갖는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케이스(111)와 상기 커버 케이스(113)는 서로 고정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케이스(113)는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부 및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111)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측면에 대응되는 소정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버 케이스(113)와 상기 본체 케이스(111)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는 상기 커버 케이스(113)와 상기 본체 케이스(111)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미도시)와, 상기 커버 케이스(113)와 상기 본체 케이스(111)를 잠금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 케이스(113)는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부에 단순히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1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케이스(113)는 상기 본체 케이스(1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커버 케이스(1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케이스(113)에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상기 해충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출입구(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해충은 출구가 없는 공간에는 들어가는 것을 꺼리는 특성이 있으므로, 상기 해충이 상기 하우징(110) 내로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입구와 출구가 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출입구(1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출입구(112)는 상기 해충이 다양한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출입구(112)는 상기 해충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개구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구(112)는 상기 해충이 상기 출입구(112)를 통과할 때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출입구(112)의 하단부와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은 단차지지 않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출입구(112)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출입구(112)의 형태와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며, 상기 해충의 출입이 가능한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스(111)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의 해충 포획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포획부(120)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 상기 출입구(112)로 유입된 해충이 반드시 상기 포획부(120)를 통과하거나 상기 포획부(120)로 이동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획부(120)는 상기 해충이 실질적으로 포획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해충을 유인하거나 죽일 수 있는 약을 포함하는 먹이가 제공될 수 있으며, 끈끈이나 덫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끈끈이는 상면에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해충이 상기 끈끈이 상면을 통과할 때, 상기 접착면에 의해 상기 해충이 달라붙어서 포획된다. 그리고, 상기 덫은 상기 해충이 유인될 수 있는 미끼를 배치하여 상기 해충을 유인한 후 물리적으로 포획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약은 상기 해충을 유인하거나 죽일 수 있는 물질을 상기 해충이 섭취하도록 하여 포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약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먹이 등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먹이에 약을 혼합한 먹이제의 경우, 상기 먹이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수용부가 형성된 용기 등에 담아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 내에는 상기 유입된 해충의 영상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모듈(133)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통해 수집된 영 상정보는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된 해충의 종류와 개체수, 상태 등과 같은 해충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33)에서 수집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사용자가 상기 포획부(120)의 이상여부 및 상기 포획부(120)에 상기 해충의 포획여부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촬영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기 하우징(110) 내부가 최대한 포함될 수 있는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하우징(110) 내측 상부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측벽면 상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촬영 대상이 되는 역역은 상기 포획부(120)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포획부(120)에 상기 해충이 포획됐는지 여부, 또는 상기 유입된 해충이 상기 포획부(120)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포획부(120)의 이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출입구(112)를 통해 상기 해충의 유출입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상기 출입구(112) 주변영역을 촬영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촬영 대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렌즈 방향을 변경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상기 카메라모듈(133)에 의해 촬영이 어려운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 내에 복수개의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는 단순히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 내로 유입되는 해충에 대한 해충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획부(12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카메라모듈(133)만 구비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에서,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동작을 위해서는 소정의 전자회로와 전기부품이 필요하며, 상기 카메라모듈(13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31)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모듈(133)이 실장되고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동작을 위한 소정의 회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130a)을 포함하는 회로모듈(1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로모듈(130)은 상기 카메라모듈(133)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131)와, 상기 카메라모듈(133)에서 수집된 상기 해충정보를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 외부에 위치한 관리센터(16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13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센터(160)는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를 관리하고,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로부터 수집된 해충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모듈(133)과 상기 회로모듈(130)은 상기 커버 케이스(113)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모듈(133)이 상기 하우징(110) 내의 해충을 촬영 가능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카메라모듈(133) 및 상기 회로모듈(130)은 수분에 취약하여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133) 및 상기 회로모듈(130)의 각종 전장품들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하우징(110) 내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회로모듈(130)은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렌즈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커버 케이스(113)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빗물 등 수분이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모듈(133) 및 상기 회로모듈(130)로의 수분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상기 커버 케이스(113)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모듈(133)이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된 해충의 이동 경로에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해충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해충의 포획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모듈(133)과 상기 회로모듈(130)을 일 위치에 모아놓음으로써 상기 회로모듈(130)로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가 용이하며, 상기 회로모듈(130)에 포함된 카메라모듈(133), 통신모듈(137) 등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회로모듈(130)을 상기 커버 케이스(113)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본체 케이스(111) 내측에 상기 포획부(12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모듈(133) 및 상기 회로모듈(13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 상에서 상기 포획부(12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는 상기 카메라모듈(133)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케이스(113)에는 상기 카메라모듈(133) 또는 상기 카메라모듈(133)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30a)이 안착되는 안착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케이스(113)에 안착된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수분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부재(10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103)는 수분 차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포함하여 상기 커버 케이스(113) 전체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링부재(103)는 상기 회로모듈(130) 또는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103)에 의해 봉지 처리된 상기 회로모듈(130)을 상기 커버 케이스(113)에 배치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103)는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렌즈에 대응되는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케이스(113)는 상기 커버 케이스(113) 내에 상기 카메라모듈(133) 및 회로모듈(130)이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 케이스(113) 자체로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케이스(113) 내에 상기 회로모듈(130)과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회로모듈(130)의 장착이 완료되며, 동시에, 상기 회로모 듈(130)과 상기 카메라모듈(133)로 수분 유입이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 케이스(113)는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상기 카메라모듈(133)에 대응되는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케이스(113)에는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명한 윈도우(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케이스(113)의 수분 유입 차단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밀폐구조의 커버 케이스(113)에 상기 실링부재(103)가 더 구비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감지부(150)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며, 특히, 상기 출입구(112)를 통과하는 상기 해충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구(11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부(150)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서 상기 해충의 존재 여부 또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 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50)는 상기 유입된 해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150)는, 도 2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해충이 접촉하여 상기 해충을 감지하는 접촉식 센서(15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식 센서(151)로는 상기 해충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촉식 센서(151)는 상기 해충의 접촉 여부에 의해 상기 해충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상기 해충과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해충이 근접하였을 때도 상기 해충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150)는 상기 해충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출입구(112)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50)는 상기 각 출입구(112)에서의 상기 해충의 유출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출입구(112)마다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해충이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면 상기 감지부(150)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해충의 유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상기 감지부(150)는 상기 출입구(112)에 구비되어 광이나, 적외선 또는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상기 해충을 감지하는 간접 센서(153)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50)는 상기 출입구(112)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출입구(112)를 통과하는 해충에 의해 광이 반사 또는 차단됨에 따라 상기 해충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간접 센서(153)는 광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또는 초음파센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간접 센서(153)는 상기 해충과 접촉에 의하지 않고 상기 해충을 감지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감지부(15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감지부(150)는 상기 해충을 감지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 내에서 상기 해충을 감지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부(135)는 상기 감지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150)에서 상기 해충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 듈(133)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부(135)는 상기 회로모듈(130)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135)는 상기 전원공급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31)를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해충이 유입 전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비활성 상태에서 대기하고, 상기 감지부(150)에서 상기 해충의 유입이 감지되면 비로소 상기 카메라모듈(133)이 활성화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하우징(110) 내의 상기 해충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집된 영상정보는 상기 통신모듈(137)을 통해 외부의 관리센터(160)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135)는 상기 감지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스위칭하는 스위치소자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스위치부(135)는 상기 해충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부(135)는 상기 해충의 접촉 여부 또는 상기 해충의 무게에 의해 변형되는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스위칭하는 리드 스위치일 수 있다.
한편,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카메라모듈(130)을 상기 실링부재(103)로 밀봉하여 외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133)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전선으로 인해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방수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전선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링부재(103)로 실링처리가 어려우며, 실링 처 리 후에도 다른 부분에 비해 수밀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상기 실링부재(103)로 밀봉하고, 상기 실링부재(103)를 사이에 두고 비접촉 방식에 의해 ON/OFF 가능한 스위치부(135)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부(135)는 자석에 의해 ON/OFF 되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일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부(135)는 상기 실링부재(103) 내에 구비되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미도시)와, 상기 실링부재(103)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해 접근/후퇴하여 상기 리드 스위치(135)를 스위칭하는 자성체(미도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해충의 무게에 의해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해 접근/후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모듈(130)은 상기 카메라모듈(133) 이외에도 상기 하우징(110) 내의 상기 해충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해충의 개체수를 감지하는 센서부(139)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39)는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해충의 개체수를 감지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하우징(110)을 통과한 해충의 개체수를 감지하는 수단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감지부(150)에서 상기 해충이 감지되면 바로 상기 카메라모듈(133)이 활성화되어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해충이 상기 하우징(110)으로 진입 후 상기 포획부(120) 또는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촬영 영역까지 이동하는 데 소정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충이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촬영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해충이 상기 촬영 영역에 진입하면 비로소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작동시키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모듈(133)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해충이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촬영 영역으로 진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미도시)에 의해 상기 해충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활성화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150)에서 상기 해충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모듈(133)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센서에서 상기 해충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모듈(133)이 작동되어 상기 해충의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비활성 상태와,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되는 활성화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카메라모듈(133)에 최소전원이 인가되는 슬립모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립모드는 컴퓨터나 TV 등에서와 같이, 최소전원이 인가되어, 정상 작동은 하지 않고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것과 유사한 상태로 유지되고, 최소한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를 말한다. 즉,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화시키는 것에 비해 슬립모드에서 활성화시키는 것이 시간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립모드에서는 에너지 소모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카메라모듈(133) 또는 해충 포획 장치(100)의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상기 해충이 유입되기 전에는 상기 카메라모듈(133)에 최소전원이 인가되어 슬립모드로 대기하게 되고, 상기 해충의 유입이 감지되면 상기 스위치부(135)는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슬립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카메라모 듈(133)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충의 영상정보 수집이 완료되면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다시 슬립모드에서 대기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33)이 상기 해충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시간 동안 상기 카메라모듈(133)은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정보 수집이 완료된 후, 상기 영상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신모듈(137)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즉, 상기 회로모듈(130)에는 상기 전원공급부(131)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원제어부(132)가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원제어부(132)는 상기 감지부(150)에서 해충의 유입이 감지되어 상기 스위치부(135)이 상기 전원공급부(131)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카메라모듈(133) 및 상기 통신모듈(137)의 작동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전원공급부(131)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33) 및 상기 통신모듈(137)의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전원공급부(131)를 비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132)는 상기 통신모듈(137)에서 통신이 완료된 후 소정의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원공급부(131)를 비활성화시키도록 동작한다. 또는, 상기 전원제어부(132)는 상기 해충의 유출을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상기 해충의 유출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공급부(131)를 비활성화시켜 상기 카메라모듈(133)을 비활성화시키도록 동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 감지부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상기 해충의 유입을 감지하는 감지부(150)에서 상기 해충의 유출을 감지할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로 해충이 유입되기 전의 대기모드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133) 및 상기 회로모듈(13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S11).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 내로 해충이 유입시에는 상기 감지부(150)에서 상기 해충의 유입이 감지됨에 따라(S12), 상기 스위치부(135)가 스위칭되고(S13), 상기 전원공급부(131)를 활성화시킨다(S14).
상기 전원공급부(131)가 활성화되면 상기 카메라모듈(133) 및 회로모듈(130)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해충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영상정보 외에도 상기 회로모듈(130)에 포함된 센서부(139)를 통해 상기 해충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게 된다(S15).
여기서, 상기 카메라모듈(133)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대기할 수도 있으나, 상기 카메라모듈(133)이 대기 상태에서 슬립모드로 대기하게 되고, 상기 스위치부(135)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131)가 활성화되면 상기 카메라모듈(133)의 슬립모드가 해제되고 활성화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집된 해충정보들은 상기 통신모듈(137)을 통해 외부의 관리센터(160)로 전송된다(S16).
상기 해충정보 수집이 완료되고, 상기 통신모듈(137)에서 통신이 완료되면(S17), 상기 전원공급부(131)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회로모듈(130) 및 상기 카메 라모듈(133)에 전원 인가 상태가 해제되어(S18), 대기하게 된다(S11).
따라서, 상기 해충의 유입시에만 상기 카메라모듈(133)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상기 해충 포획 장치(100)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하우징 내로 유입된 해충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해충 포획 장치 내부 상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유입된 해충의 종류나 개체수 상태 등 상기 해충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해충의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상기 카메라모듈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분에 의해 상기 카메라모듈이 오작동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해충 포획 장치의 정보 수집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셋째, 상기 해충의 유입을 감지하고, 상기 해충의 유입시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충 포획 장치의 에너지 소비가 절감됨에 따라, 상기 해충 포획 장치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의 사용기간이 길어지며, 결과적으로 상기 해충 포획 장치의 유지보수 주기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해충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된 해충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해충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해충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커버 케이스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커버 케이스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기 하우징 내부를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실링부재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에 대응되는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카메라모듈이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 케이스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케이스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기 하우징 내부를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에 대응되는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해충의 유출을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해충의 유출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수집된 해충의 영상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 완료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카메라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해충의 감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최소전원이 인가되는 슬립모드로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포획 장치.
KR1020070057461A 2007-06-12 2007-06-12 해충 포획 장치 KR20080109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461A KR20080109307A (ko) 2007-06-12 2007-06-12 해충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461A KR20080109307A (ko) 2007-06-12 2007-06-12 해충 포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307A true KR20080109307A (ko) 2008-12-17

Family

ID=4036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461A KR20080109307A (ko) 2007-06-12 2007-06-12 해충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9307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2638A1 (en) * 2010-01-11 2016-07-07 Jager Pr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trapping
CN107996537A (zh) * 2017-12-11 2018-05-08 江苏飞视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监测粮仓中粮虫的装置
WO2020051030A1 (en) * 2018-09-06 2020-03-12 Verily Life Scien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sect detection
US11033018B2 (en) * 2017-01-06 2021-06-15 Bayer Cropscience Lp Sensor for a wireless animal trap detection system
US20210267187A1 (en) * 2017-03-02 2021-09-02 Woodstream Corporation Remote Monitoring Of Live Catch Rodent Traps
US20210392866A1 (en) * 2018-10-22 2021-12-23 Brandenburg Connect Limited Intelligent trap and consumables
US20220361476A1 (en) * 2014-11-21 2022-11-17 Vm Products, Inc. Pest-management apparatuses with separator to improve function of rodent sensor
EP3945802A4 (en) * 2019-04-03 2023-01-11 Dow Agrosciences LLC ADAPTIVE ACTIVE INFRARED SENSOR HARDWARE AND SOFTWARE FOR DETECTING PESTS WITH A PEST SENSOR
WO2023072550A1 (fr) 2021-10-28 2023-05-04 Société Industrielle d'équipements Urbains Piege a rongeurs et mobilier urbain comprenant un tel piege
US11864548B1 (en) * 2018-10-22 2024-01-09 Bell Laboratories, Inc. Remote sensing repeating rodent trap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4228B2 (en) * 2010-01-11 2017-11-14 Jager Pr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trapping
US10098339B2 (en) * 2010-01-11 2018-10-16 Jager Pr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trapping
US20190008138A1 (en) * 2010-01-11 2019-01-10 Jager Pr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trapping
US20230255191A1 (en) * 2010-01-11 2023-08-17 Jager Pro,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Trapping
US20160192638A1 (en) * 2010-01-11 2016-07-07 Jager Pr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trapping
US20220361476A1 (en) * 2014-11-21 2022-11-17 Vm Products, Inc. Pest-management apparatuses with separator to improve function of rodent sensor
US20230404060A1 (en) * 2017-01-06 2023-12-21 Discovery Purchaser Corporation Sensor for a wireless animal trap detection system
US11033018B2 (en) * 2017-01-06 2021-06-15 Bayer Cropscience Lp Sensor for a wireless animal trap detection system
US20210259237A1 (en) * 2017-01-06 2021-08-26 Bayer Cropscience Lp Sensor for a wireless animal trap detection system
US20210267187A1 (en) * 2017-03-02 2021-09-02 Woodstream Corporation Remote Monitoring Of Live Catch Rodent Traps
CN107996537A (zh) * 2017-12-11 2018-05-08 江苏飞视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监测粮仓中粮虫的装置
US11204440B2 (en) 2018-09-06 2021-12-21 Verily Life Scien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sect detection
WO2020051030A1 (en) * 2018-09-06 2020-03-12 Verily Life Scien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sect detection
US20210392866A1 (en) * 2018-10-22 2021-12-23 Brandenburg Connect Limited Intelligent trap and consumables
US11864548B1 (en) * 2018-10-22 2024-01-09 Bell Laboratories, Inc. Remote sensing repeating rodent trap
US11974561B2 (en) * 2018-10-22 2024-05-07 Caucus Connect Limited Intelligent trap and consumables
EP3945802A4 (en) * 2019-04-03 2023-01-11 Dow Agrosciences LLC ADAPTIVE ACTIVE INFRARED SENSOR HARDWARE AND SOFTWARE FOR DETECTING PESTS WITH A PEST SENSOR
WO2023072550A1 (fr) 2021-10-28 2023-05-04 Société Industrielle d'équipements Urbains Piege a rongeurs et mobilier urbain comprenant un tel pie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9307A (ko) 해충 포획 장치
US12016321B2 (en) Insect traps and monitoring system
US11039607B2 (en) Machine for capturing, counting and monitoring insects
US8316578B2 (en) Bedbug trap
US9999212B2 (en) Insect traps and monitoring system
US9999211B2 (en) Insect traps and monitoring system
US20230066844A1 (en) Rodent trap and method of using it
KR100912225B1 (ko) 유해동물 포획 장치
US201401159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 insect extermination
KR100949765B1 (ko) 센서와 전기충격기를 구비한 바퀴벌레 트랩
WO2021156630A1 (en) System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pests
JPH11346629A (ja) 蚊の誘殺器又は蚊の捕獲器
KR20120132880A (ko) 해충포획기
KR100772973B1 (ko) 해충 박멸수단을 구비한 박스
KR100895505B1 (ko) 해충 포획 장치
KR100895507B1 (ko) 졸대형 바퀴벌레 트랩
KR100895488B1 (ko) 해충 포획장치
US20230064467A1 (en) System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pests
KR100831364B1 (ko) 바퀴벌레 트랩
KR102469792B1 (ko) 벌레퇴치 쓰레기통
KR102677191B1 (ko) 멀티 해충 센싱용 장치
CN109197830A (zh) 一种智能捕虫防虫系统
KR20120090222A (ko) 쥐포획장치
KR20080109306A (ko) 해충 감지 장치
KR20190011378A (ko) 해충 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