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924A -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924A
KR20220078924A KR1020200168208A KR20200168208A KR20220078924A KR 20220078924 A KR20220078924 A KR 20220078924A KR 1020200168208 A KR1020200168208 A KR 1020200168208A KR 20200168208 A KR20200168208 A KR 20200168208A KR 20220078924 A KR20220078924 A KR 20220078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parcel
service
termi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신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호 filed Critical 신동호
Priority to KR102020016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8924A/ko
Publication of KR20220078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택배 신청인 단말이 택배 관리 서버로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택배 대상 물품에 대한 택배 신청인의 포장 서비스 신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택배 신청 단계, 및 택배 관리 서버가 택배 신청인 단말로부터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택배기사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게 택배 업무를 할당함으로써, 택배기사로 하여금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로 방문하여 택배 대상 물품을 수령하도록 하되 포장 서비스가 신청된 경우에는 택배 대상 물품에 대한 포장 서비스도 제공하도록 하는 업무 할당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arcel delivery service}
본 발명은 택배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 기반 택배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97153호에는 택배 배달 순서 및 도착 시간 기반 고객 SNS 알림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택배 배송자의 현재 위치와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택배 배송 물품의 배송 경로를 실시간으로 자동 산출하여 택배 배송자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택배 배송자는 실시간 갱신되는 배송 경로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송 업무를 수행할 있으며, 택배 수신인도 보다 정확한 수신 예상 시간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존 택배 시스템은 소비자 중심이 아닌 택배사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택배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불편함을 겪는다. 부연하면, 소비자는 택배로 물품을 보내기 위해서는 편의점이나 우체국에 직접 방문하여야 하며, 물품을 직접 포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97153호 (2017년 11월 14일 공고)
본 발명은 소비자 입장에서 보다 편리한 택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택배기사와 택배 수령인 모두에게 유용한 택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은 택배 신청인 단말이 택배 관리 서버로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택배 대상 물품에 대한 택배 신청인의 포장 서비스 신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택배 신청 단계, 및 택배 관리 서버가 택배 신청인 단말로부터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택배기사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게 택배 업무를 할당함으로써, 택배기사로 하여금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로 방문하여 택배 대상 물품을 수령하도록 하되 포장 서비스가 신청된 경우에는 택배 대상 물품에 대한 포장 서비스도 제공하도록 하는 업무 할당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은 택배기사 단말이 택배 대상 물품의 수취 전에 택배기사의 촬영 조작에 따라 택배 대상 물품을 촬영하며, 촬영을 통해 얻어진 물품 이미지를 택배 관리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및 택배 관리 서버가 업로드된 물품 이미지를 택배 수령인 단말로 전송하여 택배 수령인으로 하여금 배송받을 택배 물품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업무 할당 단계는 택배 신청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서 택배 대상 물품에 대한 물품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물품 이미지를 택배 수령인 단말로 전송하면서 배송받을 물품인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는 단계, 및 택배 수령인 단말로부터 배송받을 물품이라는 응답이 수신되면 택배 신청인 단말로부터의 택배 발송 신청을 정상적으로 접수하여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택배기사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게 택배 업무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은 택배 관리 서버가 택배기사가 발송지 주소에 도달한 것으로 파악되면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서 추출된 물품 이미지를 택배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택배기사 단말이 택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물품 이미지를 화면 표시하는 단계, 택배기사 단말이 택배기사 입력에 따라 택배 대상 물품과 화면 표시된 물품 이미지의 일치 여부를 택배 관리 서버로 보고하는 단계, 및 택배 관리 서버가 택배기사 단말로부터 불일치가 보고되면 택배 발송 신청 접수를 자동 취소하며 택배기사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택배 신청인과 택배기사 및 택배 수령인 모두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택배 신청인 단말(100)과 택배 수령인 단말(200) 및 택배기사 단말(300)들은 모두 통신 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택배 신청인 단말(100)은 물품 배송을 위해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를 신청하고자 하는 사용자(택배 신청인)가 사용하는 단말이고, 택배 수령인 단말(200)은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를 통해 배송되는 물품을 수령할게 될 사용자(택배 수령인)가 사용하는 단말이며, 택배기사 단말(300)은 택배 신청인으로부터 물품을 수취하여 택배 수령인에게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택배기사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택배 신청인 단말(100)과 택배기사 단말(300)에는 제 1 택배 애플리케이션(제 1 택배 앱)(400)과 제 2 택배 애플리케이션(제 2 택배 앱)(500)이 미리 설치되어 실행된다. 또한, 택배 수령인 단말(200)에도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를 위한 제 3 택배 애플리케이션(제 3 택배 앱)(600)이 미리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참고로, 제 1 택배 앱(400)과 제 3 택배 앱(600)은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위한 것으로 사실상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 주체에 따라 용어만을 달리한 것일 수 있다. 한편, 택배 관리 서버(700)는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으로서, 택배 신청인 단말(100) 및 택배기사 단말(300)과 데이터 통신하여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 과정에서 택배 수령인 단말(200)과도 데이터 통신하여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다. 택배 신청인 단말(100)은 택배 신청인의 입력에 따라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신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택배 관리 서버(700)로 전송한다(S100).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는 발송지 주소, 배송지 주소, 택배 수령인 정보, 택배 대상 물품 정보가 포함되며, 택배 수령인 정보에는 전화번호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는 택배 대상 물품을 택배기사가 직접 포장해주는 포장 서비스에 대한 택배 신청인의 신청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포장 서비스에 대해서는 택배 신청인에게 추가 요금이 부과되도록 한다.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 신청인 단말(100)로부터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그 수신된 메시지를 통해 확인된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택배기사 단말(300)들로 방문 수취 업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10). 방문 수취 업무 요청 메시지에는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서 확인된 발송지 주소와 택배 대상 물품 정보 및 포장 서비스 유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택배 관리 서버(700)로부터 방문 수취 업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택배기사 단말(300)은 메시지 내용을 화면 표시하여 택배기사가 확인할 수 있게 하며, 택배기사가 업무 수락을 위한 입력을 행하면 택배 관리 서버(700)로 업무 수락 사실을 알린다. 그리고 택배 관리 서버(700)는 가장 먼저 업무 수락한 택배기사에게 해당 업무를 할당한다(S120). 이에 택배기사는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로 찾아가 택배 대상 물품을 수취하며, 포장 서비스가 신청된 경우에는 보유중인 포장용품을 가지고 택배 대상 물품을 직접 포장하여 수취하게 된다. 이상에 따르면, 택배기사들이 배송업무 중에 주변에서 택배 발송 신청이 있으면 그 일을 할당받아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추가로, 택배기사 단말(300)은 택배 대상 물품을 수취하러 간 택배기사의 촬영 조작에 따라 택배 대상 물품을 촬영하여 물품 이미지를 획득하며(S130), 획득된 물품 이미지를 택배 관리 서버(700)로 업로드한다(S140). 그리고 택배 관리 서버(700)는 업로드된 물품 이미지를 택배 수령인 단말(200)로 전송한다(S150). 이때,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 포함된 택배 수령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택배 수령인 단말(200)로 물품 이미지를 전송한다. 이에 택배 수령인 단말(200)은 물품 이미지를 수신하여 화면 표시함으로써 택배 수령인으로 하여금 배송받을 물품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게 한다.
S150에서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 포함된 택배 수령인 전화번호를 가지고 메시지 서비스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택배 수령인 단말(200)로 물품 이미지를 전송할 수도 있고, 택배 수령인의 제 3 택배 앱(600)으로 물품 이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 포함된 택배 수령인 전화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회원 전화번호인지 확인하고 회원 전화번호로 확인될 경우 그 회원(택배 수령인)의 제 3 택배 앱(600)으로 물품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에 대해 설명한다. 택배 신청인 단말(100)은 택배 신청인의 입력에 따라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택배 관리 서버(700)로 전송한다(S200).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는 발송지 주소, 배송지 주소, 택배 수령인 정보, 택배 대상 물품 정보가 포함되고, 택배 수령인 정보에는 전화번호가 포함되며, 택배 대상 물품 정보에는 물품 카테고리 정보와 물품 이미지가 포함된다. 여기서, 물품 이미지는 택배 신청인 단말(100)이 택배 대상 물품을 촬영하여 얻어진 것이다. 또한,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는 택배 대상 물품을 택배기사가 직접 포장해주는 포장 서비스에 대한 택배 신청인의 신청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포장 서비스에 대해서는 택배 신청인에게 추가 요금이 부과되도록 한다.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 신청인 단말(100)로부터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물품 이미지를 그 수신 메시지를 통해 확인된 택배 수령인 정보에 따라 해당 택배 수령인 단말(200)로 전송하면서 택배 수령인이 배송받을 물품이 맞는지에 대한 확인 응답을 요청한다(S210). 이때,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 포함된 택배 수령인 전화번호를 가지고 메시지 서비스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택배 수령인 단말(200)로 물품 이미지를 전송하면서 확인 응답을 요청할 수도 있고, 택배 수령인의 제 3 택배 앱(600)으로 물품 이미지를 전송하면서 확인 응답을 요청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 포함된 택배 수령인 전화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회원 전화번호인지 확인하고 회원 전화번호로 확인될 경우 그 회원(택배 수령인)의 제 3 택배 앱(600)으로 물품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택배 수령인 단말(200)은 택배 관리 서버(700)로부터 수신된 물품 이미지를 화면 표시하여 택배 수령인으로 하여금 배송받을 물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며, 택배 수령인의 입력에 따라 배송받을 물품이 맞다는 긍정 응답 또는 배송받을 물품이 아니라는 부정 응답을 택배 관리 서버(700)로 회신한다. 그리고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 수령인 단말(200)로부터 회신된 응답이 부정 응답일 경우에는 택배 신청인의 택배 발송 신청을 접수하지 않으며, 긍정 응답일 경우에 한하여 택배 신청인의 택배 발송 신청을 정상적으로 접수한다(S220). 택배 발송 신청을 정상적으로 접수한 택배 관리 서버(700)는 S230과 S240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데, 이는 상술한 도 2의 S110 및 S120과 사실상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대해 설명한다. S240 이후에 택배기사는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를 방문하게 되며,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 신청인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택배기사가 해당 발송지에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 택배기사가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면,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기사 단말(300)로 긍정 응답된 물품 이미지를 전송한다(S310). 그리고 택배기사 단말(300)은 택배 관리 서버(700)로부터 물품 이미지를 수신하여 화면 표시한다(S320). 이에 택배기사는 화면 표시된 물품 이미지와 택배 신청인의 택배 대상 물품을 육안으로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하며, 택배기사 단말(300)은 택배기사의 입력에 따라 택배 대상 물품이 물품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택배 관리 서버(700)로 보고한다(S330).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기사 단말(300)로부터 택배 대상 물품이 물품 이미지와 불일치한다는 보고가 접수될 시에 S220에서 이루어진 택배 발송 신청 접수를 자동으로 취하한다(S340). 추가로,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기사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S350). 이는 택배기사의 시간 낭비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리워드는 할당 업무에 대해 정상적으로 지급되어야 할 보수 내에서 적정하게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워드는 보수금액의 30 ~ 50% 내에서 지급된다. 또한, 택배 관리 서버(700)는 불일치 보고가 접수된 경우에 택배 신청인에 대해서는 페널티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 발송 신청 자격을 제한하거나 박탈하는 등의 페널티를 부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4를 대체하는 실시예인 도 5에 대해 설명한다. S240 이후에 택배기사는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를 방문하게 되며,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 신청인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택배기사가 해당 발송지에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0). 택배기사가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면,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기사 단말(300)로 택배 대상 물품을 촬영하여 업로드할 것을 요청한다(S410). 그리고 택배 관리 서버(700)의 요청을 확인한 택배기사는 촬영 조작을 통해 택배 대상 물품을 촬영한다. 즉, 택배기사 단말(300)은 택배기사의 조작에 따라 택배 대상 물품을 촬영하여 물품 이미지를 획득하며(S420), 획득된 물품 이미지를 택배 관리 서버(700)로 업로드한다(S4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택배기사 단말(300)은 S410의 요청이 있으면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택배기사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택배기사 단말(300)로부터 물품 이미지가 업로드되면, 택배 관리 서버(700)는 그 물품 이미지를 택배 수령인에 의해 긍정 응답된 물품 이미지와 비교 분석하여 두 물품이 동일한 물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즉, 택배기사가 촬영한 물품 이미지와 택배 신청인이 촬영한 물품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두 물품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판단 결과 불일치할 경우, 택배 관리 서버(700)는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던 택배 발송 신청 접수를 자동으로 취소하고 택배기사 단말(300)로 택배기사에게 할당된 업무의 진행을 중단할 것을 지시한다(S450). 일치할 경우에는 택배기사 단말(300)로 할당 업무를 계속 진행할 것으로 지시함으로써, 택배기사로 하여금 택배 대상 물품을 수취(또는 포장 수취)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과정들 중에서 도 5의 S400과 S41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택배기사는 S240에 따라 업무를 할당받으면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를 방문하여 곧바로 S420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 발송 신청 접수를 자동 취소한 경우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택배기사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으며, 택배 신청인에게는 페널티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택배 관리 서버(700)는 택배 발송 신청 접수를 자동 취소한 경우에는 이를 택배 신청인 단말(100)과 택배 수령인 단말(200)에도 보고하여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도 3 내지 도 5에 따르면, 안전거래가 가능해진다. 부연하면, 잘 알려진 당근마켓 등과 같이 개인간 (중고)물품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의 경우에는 물품 판매자가 실제 판매 정보와 다른 물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하거나 심지어는 교환가치도 전혀 없는 물건을 배송하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고 있는데, 상술한 바에 따르면 이러한 택배 신청인의 사기 배송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서 동작의 주체로 표현된 택배 신청인 단말(100)과 택배기사 단말(300)은 각각 제 1 택배 앱(400)과 제 2 택배 앱(50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택배 신청인 단말 200 : 택배 수령인 단말
300 : 택배기사 단말 400 : 제 1 택배 앱
500 : 제 2 택배 앱 600 : 제 3 택배 앱
700 : 택배 관리 서버

Claims (5)

  1. 택배 신청인 단말은 택배 관리 서버로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택배 대상 물품에 대한 택배 신청인의 포장 서비스 신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택배 신청 단계; 및
    택배 관리 서버는 택배 신청인 단말로부터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택배기사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게 택배 업무를 할당함으로써, 택배기사로 하여금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로 방문하여 택배 대상 물품을 수령하도록 하되 포장 서비스가 신청된 경우에는 택배 대상 물품에 대한 포장 서비스도 제공하도록 하는 업무 할당 단계;
    를 포함하는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택배기사 단말은 택배 대상 물품의 수취 전에 택배기사의 촬영 조작에 따라 택배 대상 물품을 촬영하며, 촬영을 통해 얻어진 물품 이미지를 택배 관리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및
    택배 관리 서버는 업로드된 물품 이미지를 택배 수령인 단말로 전송하여 택배 수령인으로 하여금 배송받을 택배 물품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업무 할당 단계는 :
    택배 신청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서 택배 대상 물품에 대한 물품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물품 이미지를 택배 수령인 단말로 전송하면서 배송받을 물품인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는 단계; 및
    택배 수령인 단말로부터 배송받을 물품이라는 응답이 수신되면 택배 신청인 단말로부터의 택배 발송 신청을 정상적으로 접수하여 택배 신청인의 발송지 주소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택배기사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게 택배 업무를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택배 관리 서버는 택배기사가 발송지 주소에 도달한 것으로 파악되면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서 추출된 물품 이미지를 택배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택배기사 단말은 택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물품 이미지를 화면 표시하는 단계;
    택배기사 단말은 택배기사 입력에 따라 택배 대상 물품과 화면 표시된 물품 이미지의 일치 여부를 택배 관리 서버로 보고하는 단계; 및
    택배 관리 서버는 택배기사 단말로부터 불일치가 보고되면 택배 발송 신청 접수를 자동 취소하며 택배기사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택배기사 단말은 택배 대상 물품의 수취 전에 택배기사의 촬영 조작에 따라 택배 대상 물품을 촬영하며, 촬영을 통해 얻어진 물품 이미지를 택배 관리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택배 관리 서버는 업로드된 물품 이미지와 택배 발송 신청 메시지에서 추출된 물품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두 물품이 동일한 물품인지 판단하며, 판단 결과 동일하지 않으면 택배 발송 신청 접수를 자동 취소 및 택배기사 단말로 할당 업무의 진행을 중단할 것을 지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168208A 2020-12-04 2020-12-04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78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208A KR20220078924A (ko) 2020-12-04 2020-12-04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208A KR20220078924A (ko) 2020-12-04 2020-12-04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924A true KR20220078924A (ko) 2022-06-13

Family

ID=8198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208A KR20220078924A (ko) 2020-12-04 2020-12-04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89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793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시각화 정보를 이용한 상품 포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153B1 (ko) 2017-03-24 2017-11-14 합동물류 (주) 택배 배달 순서 및 도착 시간 기반 고객 sns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153B1 (ko) 2017-03-24 2017-11-14 합동물류 (주) 택배 배달 순서 및 도착 시간 기반 고객 sns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793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시각화 정보를 이용한 상품 포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5096A1 (en) Examples of delivery and/or referral service sms ordering
KR101754099B1 (ko) 어텐디드 전달/픽업 장소들의 속성들을 규정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0621619B2 (en) Gift messaging based customer acquisition
CN107491924A (zh) 一种电子物流方法及系统
US200601362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atching transportation to persons who want transportation
US20200057991A1 (en) Electronic Logistics Control Platform For Parcel Transportation
US200700110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inventory management in a supply chain
JP7118779B2 (ja) 取引制御装置、取引制御方法及び取引制御プログラム
KR102135390B1 (ko) 위치기반 배달 서비스 방법
CN108009699B (zh) 多元桶装瓦斯车队配送系统及方法
CN109784938A (zh) 线上化投诉方法和装置
US20040111337A1 (en) Virtual warehouse system
US20020147667A1 (en) Distribu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server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JP2019207693A (ja) 集配サービス仲介システム及び作業仲介システム
KR20220078924A (ko) 택배 방문 수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27389A (ko) 메신저 앱을 이용한 택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 택배 정보 단말기
CN110858348B (zh) 物流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20210011149A (ko) 복합 배송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334932A (zh) 用会话代理分配用户群组中用户产生的支出的方法和设备
JP2003128252A (ja) 荷物配送管理システム、荷物配送管理サーバ、移動体端末、および荷物配送管理方法
KR102518108B1 (ko) 빅데이터를 통한 적정재고 예측 시스템 및 방법
JP7070944B2 (ja) 情報処理装置
WO2019156135A1 (ja) 荷物の受け渡しのための装置、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4102853A (ja) 情報配信方法とシステム
KR101878705B1 (ko) 육상 및 해상 간 과금 및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240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1107

Effective date: 2023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