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641A - 전지 팩 및 운송 장비 - Google Patents

전지 팩 및 운송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641A
KR20220078641A KR1020227014805A KR20227014805A KR20220078641A KR 20220078641 A KR20220078641 A KR 20220078641A KR 1020227014805 A KR1020227014805 A KR 1020227014805A KR 20227014805 A KR20227014805 A KR 20227014805A KR 20220078641 A KR20220078641 A KR 20220078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exhaust passage
battery
box body
res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지에 유
용구앙 왕
펭 왕
싱디 첸
유 탕
제쿠안 루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7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팩 및 운송 장비에 관한 것으로, 전지 팩은, 박스 바디 어셈블리(1); 박스 바디 어셈블리(1)내에 설치되어 있는 구속 어셈블리(3)로서, 구속 어셈블리(3) 내부에 수용 캐비티(6)를 가지고, 구속 어셈블리(3)와 박스 바디 어셈블리(1) 사이에는 제1 배기 통로(7)가 있고, 구속 어셈블리(3)에는 연통 홀(33)이 설치되어 있고, 연통 홀(33)이 수용 캐비티(6)와 제1 배기 통로(7)를 연통시키는, 구속 어셈블리(3); 및 수용 캐비티(6)내에 설치된 전지 모듈(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전지 팩은 열폭주가 발생할 경우, 분출된 유체가 수용 캐비티로부터 연통홀을 통해 제1 배기 통로(7)에 유입될 수 밖에 없으므로, 유체가 기타 구속 어셈블리내에 들어가 정상적인 전지 모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전지 팩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전지 팩 및 운송 장비
본 발명은 전지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지 팩 및 운송 장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충전식 전지 팩이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지 팩 중의 여러 전지 셀은 더 큰 용량이나 전력을 구현하기 위해 직렬, 병렬 또는 혼합 연결 방식으로 연결된다.
현재 전지 팩에서 전지 셀이 있는 공간은 외부와 격리되어 있으며, 전지 셀에 열폭주가 발생하면 방출된 스파크와 뜨거운 공기가 전지 셀이 있는 챔버내로 확산되는 바, 전지 셀이 있는 챔버의 공간이 유한적이기에 열폭주 후 전지 셀에서 분출되는 스파크 및 뜨거운 공기는 챔버내의 온도를 급격히 증가시킨다. 특히, 열폭주하는 전지 셀에 가까운 위치에서 온도는 종종 전지 셀의 열폭주의 트리거 온도를 초과한다. 동시에 열폭주하는 전지 셀에서 방출된 스파크가 주변 전지 셀에 튀면 주변의 전지 셀이 차례로 열폭주하여 연쇄 반응을 일으켜 매우 큰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전지 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전지 팩은,
박스 바디 어셈블리;
박스 바디 어셈블리내에 설치되어 있는 구속 어셈블리로서, 구속 어셈블리 내부에 수용 캐비티를 가지고, 구속 어셈블리와 박스 바디 어셈블리 사이에는 제1 배기 통로가 있고, 구속 어셈블리에는 연통 홀이 설치되어 있고, 연통 홀이 수용 캐비티와 제1 배기 통로를 연통시키는, 구속 어셈블리; 및
수용 캐비티내에 설치된 전지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박스 바디 어셈블리 내부에는 복수의 고정 빔이 설치되어 있고, 구속 어셈블리는 인접한 두 개의 고정 빔에 고정되며, 구속 어셈블리, 박스 바디 어셈블리 및 고정 빔 삼자가 둘러싸서 제1 배기 통로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 셀을 포함하고, 각 전지 셀에는 모두 제1 방폭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속 어셈블리와 전지 모듈 사이에는 제2 배기 통로가 있고, 제1 방폭 밸브는 각각 제2 배기 통로와 대향하며, 연통 홀이 제2 배기 통로와 제1 배기 통로를 연통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팩은 구속 어셈블리와 전지 모듈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각 전지 셀의 제1 방폭 밸브를 덮는 내화 부재를 더 포함하고,
내화 부재와 전지 모듈과의 사이에는 제2 배기 통로가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속 어셈블리에는 복수의 연통 홀이 설치되어 있고, 각 연통 홀과 각 제1 방폭 밸브는 일대일로 대응되게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속 어셈블리의 외벽면과 박스 바디 어셈블리의 내벽면 사이에 제1 간격을 가지며, 구속 어셈블리의 외벽면과 박스 바디 어셈블리의 내벽면은 높이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며, 제1 간격이 제1 배기 통로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 셀을 포함하고, 각 전지 셀의 제1 면은 구속 어셈블리의 상단벽 또는 하단벽과 서로 대향하고, 제1 면은 전지 셀의 가장 큰 측면이고, 각 전지 셀의 제2 면에는 모두 제1 방폭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제2 면은 제1면과 수직되며,
연통 홀은 구속 어셈블리의 상단벽 또는 하단벽에 설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 전지 셀의 제2 면은 구속 어셈블리의 측벽을 향하여 설치되고, 대응하는 측의 구속 어셈블리의 측벽 내표면과의 사이에 제2 간격 설치되어 있고, 제2 간격은 제2 배기 통로를 형성하고, 연통 홀은 구속 어셈블리에서 제2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제2 배기 통로와 제1 배기 통로를 연통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팩은 내화 부재를 더 포함하고, 내화 부재는,
구속 어셈블리의 측벽의 내표면에 맞닿고, 또한 대응하는 측의 각 전지 셀의 제2 면과의 사이에 제2 간격을 형성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의 높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제2 면과 맞닿을 때까지 제2 면을 향해 연장되고, 연통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대피 홀이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방폭 밸브는 두 개의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박스 바디 어셈블리는 높이 방향에서 서로 맞물리는 박스 바디와 덮개를 포함하고, 박스 바디내에는 복수의 고정 빔이 설치되어 있으며,
구속 어셈블리는 제1 구속 부재 및 제2 구속 부재를 포함하고, 제1 구속 부재와 제2 구속 부재는 높이 방향에서 서로 맞물려서 수용 캐비티을 형성하며,
여기서 연통 홀은 제1 구속 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박스 바디와 제1 구속 부재 사이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간격을 가지고, 제1 간격이 제1 배기 통로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구속 부재는 제1 제한부 및 두 개의 제1 장착부를 포함하고, 제1 제한부는 전지 모듈의 박스 바디에 가까운 부분을 덮고, 두 개의 제1 장착부는 복수의 고정 빔의 배열 방향을 따른 제1 제한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및
제2 구속 부재는 제2 제한부 및 두 개의 제2 장착부를 포함하고, 제2 제한부는 전지 모듈의 덮개에 가까운 부분을 덮고, 두 개의 제2 장착부는 복수의 고정 빔의 배열 방향을 따른 제2 제한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여기서, 수용 캐비티는 제1제한부와 제2제한부 사이에 형성되고, 전지 모듈의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제2 장착부와 제1 장착부는 높이 방향에서 적층 설치되고 또한 동일한 고정 빔에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제한부는 제1 장착부를 기준으로 전체적으로박스 바디의 하단면에 가까운 방향으로 돌출되고, 및/또는
제2제한부는 제2 장착부를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덮개의 상단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팩은 박스 바디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제1 배기 통로와 연통되는제2 방폭 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운송 장비를 제공하는 바, 해당 운송 장비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전지 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에서, 박스 바디 어셈블리내에 구속 어셈블리를 설치하고, 구속 어셈블리의 내부에는 전지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캐비티를 갖는다. 전지 모듈이 구속 어셈블리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지 모듈에 열폭주가 발생할 때 분출되는 스파크 및 뜨거운 공기와 같은 유체는 연통 홀을 통해 수용 캐비티내로부터 직접 제1 배기 통로로 유입되어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므로, 유체가 기타 구속 어셈블리내에 들어가 정상적인 전지 모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전지 팩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출원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발명에 대한 부적절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전지 팩의 일부 실시예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지 팩에서 전지 모듈 및 구속 어셈블리를 박스 바디로부터 전체적으로 제거한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지 팩의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지 팩의 xz 평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지 팩의 yz 평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지 팩의 제1 구속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지 팩에서 내화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전지 팩의 전지 셀의 일부 실시예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9는 권회형 전극 어셈블리를 사용한 전지 셀의 xz 평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적층형 전극 어셈블리를 사용한 전지 셀의 xz 평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 단락에서, 실시예의 상이한 양태를 더 상세하게 한정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렇게 한정된 각 양태는 다른 하나의 양태 또는 여러 양태와 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간주되는 임의의 특징은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간주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동일한 명칭을 가진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서열 또는 주종 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위에" 있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해당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 위에 직접 있을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 위에 간접적으로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해당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복수"는 둘 이상(두 개 포함)을 의미하고, 마찬가지로 "복수 그룹"은 둘 이상의 그룹(두 개 그룹 포함)을 의미하고, "여러 개"는 둘 이상(두 개 포함)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각 방향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 1의 좌표계는 전지 팩의 각 방향을 정의하였는 바, x 방향은 전지 팩의 길이 방향(이하, 길이 방향이라고 함)을 나타내고, y 방향은 전지 팩의 폭 방향(이하, 폭 방향이라고 함)을 나타내고, z 방향은 x 및 y 방향이 이루는 평면에 수직되며, 전지 팩의 높이 방향(이하 높이 방향이라고 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향의 정의에 따라 "위", "아래", "상단" 및 "하단"은 모두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지 팩의 작동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지 팩 및 운송 장비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전지 팩의 일부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해당 전지 팩은 운송 장비에 사용되어 장비의 작동을 위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 장비는 차량 또는 선박등을 포함한다. 해당 전지 팩은 박스 바디 어셈블리(1), 구속 어셈블리(3) 및 전지 모듈(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속 어셈블리(3)는 박스 바디 어셈블리(1)내에 배치되고, 구속 어셈블리(3)의 내부는 수용 캐비티(6)를 형성하고, 구속 어셈블리(3)와 박스 바디 어셈블리(1) 사이에는 제1 배기 통로(7)가 있고, 구속 어셈블리(3)에는 연통 홀(33)이 설치되어 있고, 연통 홀(33)은 제1 배기 통로(7)와 수용 캐비티(6)를 연통시킨다.
전지 모듈(2)은 수용 캐비티(6)내에 설치되고, 전지 팩내에는 복수의 전지 모듈(2)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응하게 복수의 구속 어셈블리(3)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전지 모듈(2)은 각 구속 어셈블리(3)의 수용 캐비티(6)내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각 수용 캐비티(6)내에는 하나의 전지 모듈(2)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수용 캐비티(6)의 사이즈는 대응하는 전지 모듈(2)의 전체 외부 사이즈에 적합하다. 전지 모듈(2)은 복수의 전지 셀(2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지 모듈(2)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한 층 또는 복수 층의 전지 셀(20)이 적층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 모듈(2)이 구속 어셈블리(3)내에 설치되고, 구속 어셈블리(3)는 연통 홀(33) 이외의 영역에서 전지 모듈(2)을 폐쇄하고, 각 구속 어셈블리(3)는 서로 독립되어 있다. 전지 모듈(2)에 열폭주가 발생하면, 유체가 분출되는데 예를 들어 유체에는 뜨거운 공기, 뜨거운 공기에 섞인 스파크, 미스트 전해액 등이 포함된다. 유체는 수용 캐비티(6)내에서 직접 연통 홀(33)을 통해 제1 배기 통로(7)로 유입되어, 유체를 쉽게 배출할 수 있으며, 유체가 다른 구속 어셈블리(3)내에 유입되어 성능이 정상적인 전지 모듈(2)에 연쇄 반응을 일으키느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지 팩의 작동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바디 어셈블리(1)내부에는 복수개의 고정 빔(12)이 배치되어 있고, 각 고정 빔(12)은 박스 바디 어셈블리(1)에서 길이 방향(x 방향) 또는 폭 방향(y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구속 어셈블리(3)는 인접한 두 개의 고정 빔(12) 사이에 고정되며, 구속 어셈블리(3), 박스 바디 어셈블리(1) 및 고정 빔(12)이 둘러싸서 제1 배기 통로(7)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배기 통로(7)는 추가적인 구조적 부품을 추가할 필요가 없이, 박스 바디 어셈블리(1), 구속 어셈블리(3) 및 고정 빔(12)이 직접 둘러싸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구조를 단순화하고 가공의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박스 바디 어셈블리(1)는 높이 방향에서 서로 맞물리는 박스 바디(11)와 덮개(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덮개(13)는 박스 바디(11)의 개구부를 폐쇄하며, 여기서 폐쇄는 박스 바디(11)와 덮개(13)가 밀봉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외부 액체 및 수증기가 전지 팩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전지 팩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박스 바디(11)는 덮개(13)의 하부에 위치하며, 각 고정 빔(12)은 박스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빔(12)은 박스 바디(11)의 내측 하단면 또는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빔(12)의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중실구조 또는 중공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정 빔(12)의 내부에 경량화홈(122)이 설치된다. 고정 빔(12)의 단면은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C형 등일 수 있으며, 그 상부 표면은 평면으로 설치되어 고정 빔(12)의 상부 표면에 구속 어셈블리(3)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선택적으로, 구속 어셈블리(3)는 고정 빔(12)의 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지 셀(20)에는 전지 셀(2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제1 기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할 때 개방되어 전지 셀(20)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제1 방폭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 어셈블리(3)와 내부의 전지 모듈(2) 사이에는 제2 배기 통로(8)가 형성되고, 각 제1 방폭 밸브(25)는 모두 제2 배기 통로(8)와 마주하고, 연통 홀(33)은 제2 배기 통로(8)와 제1 배기 통로(7)를 연통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배기 통로(8)의 체적은 제1 배기 통로(7)의 체적보다 작으므로, 제2 배기 통로(8)의 압력이 제1 배기 통로(7)의 압력보다 커서 전지 셀(20)에서 제1방폭 밸브(25)를 통해 방출된 유체가 제2 배기 통로(8)로부터 제1 배기 통로(7)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유체가 소정 배출 경로에 따라 전지 팩의 외부로 신속하게 안내되도록 할 수 있어 기타 전지 모듈(2)에 열폭주가 발생하는 리스크를 감소시켜 전지 팩의 작동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 팩은 구속 어셈블리(3)와 전지 모듈(2) 사이에 배치되며 각 전지 셀(20)의 제1 방폭 밸브(25)를 덮는 내화 부재(4)를 더 포함하며, 내화 부재(4)와 전지 모듈(2) 사이에는 제2 배기 통로(8)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내화 부재(4)는 운모 판 등과 같은 내화 재료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한 금속 구조 부재에 내화 코팅층을 코팅할 수도 있다.
내화 부재(4)를 배치함으로써, 전지 셀(20)에 열폭주가 발생하여 제1 방폭 밸브(25)를 통해 뜨거운 공기 및 스파크 등 유체가 배출될 때 유체가 구속 어셈블리(3)에 직접 충격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속 어셈블리(3)는 일반적으로 얇은 판을 구부려서 형성되기 때문에 유체 온도가 높거나 속도가 빠를 때 구속 어셈블리(3)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므로 이를 방지하여, 유체가 안전하게 연통 홀(33)을 통해 제1 배기 통로(7)로 유입하여 전지 팩 구조의 안전성과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전지 팩을 예로 들어 상기 각 구성요소가 채택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지 모듈(2) 중의 각 전지 셀(20)은 적어도 하나의 전지 셀 어셈블리(2A)를 형성하고, 각 전지 셀 어셈블리(2A) 간의 전기적 연결은 필요에 따라 직렬, 병렬 또는 직렬-병렬로 설정되고, 전지 셀 어셈블리(2A)는 고정 빔(12)의 연장 방향에 따른 단부에 엔드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면에서 두 개의 인접한 전지 셀 어셈블리(2A)는 전극 단자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인접한 전지 셀 어셈블리(2A)의 전극 단자 사이는 안전거리를 유지해야 하며, 또는, 두 개의 인접한 전지 셀 어셈블리(2A)는 전극 단자가 서로 멀리 떨어져 설치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인접한 두 개의 전지 셀 어셈블리(2A) 사이에 냉각판을 배치하여 냉각함으로써 하나의 냉각판에 의해 두 개의 인접한 전지 셀 어셈블리(2A)를 동시에 냉각할 수 있다.
전지 셀 어셈블리(2A)는 전지 팩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전지 셀(20)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셀(20)은 제1 면(S1), 제2 면(S2) 및 제3 면(S3)을 포함하며, 제1 면(S1)은 전지 셀(20)의 가장 큰 측면이고, 제2 면(S2)은 제1 면(S1)에 수직되며, 제2 면(S2)에는 제1 방폭 밸브(25), 제1 전극 단자(242) 및 제2 전극 단자(243)가 설치되어 있고, 제3 면(S3)은 제2 면(S2)에 대향하여 설치된다.
각 전지 셀(20)의 제1 면(S1)은 구속 어셈블리(3)의 상단벽 또는 하단벽에 대향되고, 이러한 배치 방법을 눕힘 배치라고도 하며, 이는 전지 팩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지 셀 어셈블리(2A)의 높이 방향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눕힘 배치는 전지 팩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전지 팩 장착 공간이 낮은 차량에 더 적합하다. 또한, 각 전지 셀(20)의 눕힘 배치 방법에 있어서 전극 어셈블리(22)의 정극 시트와 부극 시트를 전지 팩의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여 전지 셀(20)의 팽창력을 높이 방향을 따라 전달할 수 있으므로, 구속 어셈블리(3)를 통해 전극 어셈블리(22)에서 생성된 팽창력을 억제할 수 있다. 구속 어셈블리(3)가 팽창력의 작용하에 변형되더라도 제1 배기 통로(7)가 구속 어셈블리(3)를 위한 확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 전지 셀(20)의 제2 면(S2)이 구속 어셈블리(3)의 상단벽에 대향될 수 있다.
도 1에서, 동일한 전지 셀 어셈블리(2A) 내의 각 전지 셀(20)은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다. 전지 셀 어셈블리(2A)는 폭 방향(y 방향)에서 2열 배열되고, 실제 응용함에 있어서 3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높이 방향(z 방향)에서, 한층 또는 복수 층의 전지 셀 어셈블리(2A)를 배치할 수 있고, 각 층의 전지 셀 어셈블리(2A)은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 설치될 수 있다.
열폭주가 발생한 전지 셀(20)이 인접한 전지 셀(20)로 열을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지 팩은 두 개의 인접한 전지 셀(20)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층(10)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높이 방향에서 인접한 두 층의 전지 셀(20) 사이에 단열층(10)이 설치되거나, 또는, 수평면에서 인접한 전지 셀(20) 사이에 단열층(10)이 설치된다. 단열층(10)은 단열 접착제일 수 있으며, 단열 역할을 하는 동시에 각 전지 셀(20)을 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 어셈블리(3)에는 복수의 연통 홀(33)이 설치되어 있고, 각 연통 홀(33)은 단층의 각 제1 방폭 밸브(25)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다. 두 그룹의 전지 셀 어셈블리(2A)에서 전지 셀(20)의 제2 면(S2)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실시예에서, 구속 어셈블리(3)에는 복수의 고정 빔(12)의 배열 방향을 따른 양측 영역에 모두 한 열의 연통 홀(33)이 설치되어 있고, 각 열의 연통 홀(33)은 복수의 고정 빔(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된 연통 홀(33)을 포함하며, 또한 각각 전지 셀 어셈블리(2A)의 단층 전지 셀(20)의 제1 방폭 밸브(25)에 일대일로 대응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연통 홀(33)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기타 불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지 모듈(2) 중의 임의의 전지 셀(20)에 열폭주가 발생할 경우, 방출된 유체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연통 홀(33)을 통해 최단 경로로 제1 배기 통로(7)로 유입되어, 복수의 연통 홀(33)을 통해 동시에 배출되도록 할수 있으므로, 유체 배출 시간을 줄이고, 해당 전지 모듈(2)내에 있는 다른 전지 셀(20), 또는 다른 전지 모듈(2)에 열폭주가 발생하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 어셈블리(3)의 외벽면과 박스 바디 어셈블리(1)의 내벽면 사이에는 제1 간격(L1)이 존재한다. 구속 어셈블리(3)의 외벽면과 박스 바디 어셈블리(1)의 내벽면은 높이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며 제1 간격(L1)은 제1 배기 통로(7)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구속 어셈블리(3)와 박스 바디 어셈블리(1) 사이의 공간을 모두 제1 배기 통로(7)로 사용할 수 있어, 면적이 비교적 크고, 전지 모듈(2)에 열폭주가 발생할 경우, 제1 배기 통로(7)내의 기압이 더 낮아져 열폭주에 의해 방출되는 유체가 더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수용 캐비티(6)내에 많은 유체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용 캐비티(6)내의 공기 압력과 온도를 급격히 감소시켜 전지 팩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홀(33)은 구속 어셈블리(3)의 상단벽 또는 하단벽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에서 제1 배기 통로(7)와 동일한 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지 모듈(2)에서 열폭주가 발생할 때 방출되는 유체가 별도의 가이드 경로를 거치지 않고 제2 배기 통로(8)에서 연통 홀(33)을 통해 직접 제1 배기 통로(7)로 유입될 수 있어, 유체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가 제1 배기 통로(7)로 직접 유입된 후, 제1 배기 통로(7)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유체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감소되고, 이에 따라 온도도 감소될 수 있어, 전지 팩내의 압력 및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통 홀(33)은 구속 어셈블리(3)의 하단벽에 설치되고, 구속 어셈블리(3)의 하단 부분의 외벽면과 박스 바디 어셈블리(1)의 하단 부분의 내벽면 사이의 제1 간격(L1)은 제1 배기 통로(7)을 형성한다. 전지 팩이 차량에 장착될 때 전지 모듈(2)에 열폭주가 발생할 경우, 온도가 높은 기류를 전지 팩의 하단 부분에 집중시켜 배출함으로써 차체 내의 사람과 물품에 대한 영향을 방지하고 차체 내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지 셀(20)의 제2 면(S2)은 구속 어셈블리(3)의 측벽을 향하여 설치되고, 대응되는 구속 어셈블리(3)의 측벽의 내표면과의 사이에 제2 간격(L2)을 가지고, 제2 간격(L2)은 제2 배기 통로(8)을 형성하고, 연통 홀(33)은 구속 어셈블리(3)에서 제2 간격(L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2 배기 통로(8)와 제1 배기 통로(7)을 연통시킨다.
제2 간격(L2)을 설치함으로써, 제1 전극 단자(242), 제2 전극 단자(243) 및 제1 전극 단자(242)와 제2 전극 단자(243)를 연결하는 버스바(Busbar)를 위해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제1 방폭 밸브(25)와 구속 어셈블리(3)의 측벽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전지 셀(20)에 열폭주가 발생할 경우, 제1 방폭 밸브(25)를 통해 유체를 방출한 후, 제2 배기 통로(8)에 유체가 확산되고, 복수의 연통 홀(33)을 통해 제1 배기 통로(7)에 빠르게 유입된다. 또한, 제2 배기 통로(8)의 부피가 제1 배기 통로(7)의 부피보다 작기 때문에 제2 배기 통로(8) 내의 압력이 제1 배기 통로(7)의 압력보다 높아, 유체가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 부재(4)는 고정 빔(12)의 연장 방향과 일치하고 내화 부재(4)는 제1 부분(42) 및 두 개의 제2 부분(43)을 포함하며, 제1 부분(42)은 구속 어셈블리(3)의 측벽의 내표면에 맞닿고, 또한 대응하는 측의 각 전지 셀(20)의 제2 면(S2)과의 사이에 제2 간격(L2)을 형성하고, 두 개의 제2 부분(43)은 제1 부분(42)의 높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제2 면(S2)과 맞닿을 때까지 제2 면(S2)을 향해 연장되고, 제2 부분(43)의 연통 홀(3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대피 홀(4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방폭 밸브(25)는 두 개의 제2 부분(43)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두 개의 제2 부분(43)은 각각 구속 어셈블리(3)의 상부벽 및 하부벽에 맞닿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 홀(41)은 하단 부분의 제2 부분(43)에 설치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홀(33)은 직사각형 구멍이며, 상응하게 대피 홀41도 직사각형 구멍일 수 있으며, 제2 부분(43)의 제1 부분(42)으로부터 멀어지는 측면에 개방된다. 따라서 제2 부분(43)에는 고정 빔(12)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대피 홀(41)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는 가공이 용이하고, 유체배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내화 부재(4)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내화 부재(4) 전체가 제1 방폭 밸브(25)를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하고, 각 전지 셀(20)의 제2면(S2)과의 사이에 제2 배기 통로(8)를 형성하며, 전지 셀(20)에 열폭주가 발생하여 제1 방폭 밸브(25)를 통해 뜨거운 공기 및 스파크와 같은 유체를 방출할 때 유체가 구속 어셈블리(3)에 직접 충격을 주는 것을 방지 한다. 내화 부재(4)를 구속 어셈블리(3)에 맞닿게 함으로써 내화 부재(4)의 위치를 확실하게 고정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 어셈블리(3)는 제1 구속 부재(31) 및 제2 구속 부재(32)를 포함하며, 제1 구속 부재(31)와 제2 구속 부재(32)는 높이 방향에서 서로 맞물려 수용 캐비티(6)를 형성하고, 제1 구속 부재(31)는 전지 모듈(2)이 박스 바디(11)를 향하여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유도를 제한하는 부재이고, 제2 구속 부재(32)는 전지 모듈(2)이 덮개(13)를 향하여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유도를 제한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연통 홀(33)은 제1 구속 부재(31)에 설치되고, 박스 바디(11)와 제1 구속 부재(31) 사이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간격(L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간격(L1)은 제1 배기 통로(7)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단 부분에 위치하는 제1 구속 부재(31)에 연통 홀(33)을 설치하고, 또한 제1 구속 부재(31)와 박스 바디(11) 사이의 제1 간격(L1)을 통해 제1 배기 통로(7)를 형성하므로, 전지 팩이 차량에 장착될 때 전지 모듈(2)에 열폭주가 발생할 경우, 온도가 높은 기류를 전지 팩의 하단 부분에 집중시켜 배출함으로써 차체 내의 사람과 물품에 대한 영향을 방지하고 차체 내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속 부재(31)는 제1 제한부(311) 및 두 개의 제1 장착부(312)를 포함하고, 제1 제한부(311)는 전지 모듈(2)의 박스 바디(11)에 가까운 부분을 덮고, 두 개의 제1 장착부(312)는 복수의 고정 빔(12)의 배열 방향을 따른 제1 제한부(31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제한부(311)는 제1 장착부(312)를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박스 바디(11)의 하단면에 가까운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 구속 부재(32)는 제2 제한부(321) 및 두 개의 제2 장착부(322)를 포함하며, 제2 제한부(321)는 전지 모듈(2)의 덮개(13)에 가까운 부분을 덮고, 두 개의 제2 장착부(322)는 복수의 고정 빔(12)의 배열 방향을 따른 제2 제한부(32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제한부(311)와 제2 제한부(321) 사이에 수용 캐비티(6)가 형성되고, 전지 모듈(2)의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제2 장착부(322)와 제1 장착부(312)는 높이 방향에서 적층 설치되며, 또한 한 세트의 채결 부재(5)에 의해 동일한 고정 빔(12)에 고정된다. 제2 제한부(321)는 제2 장착부(322)를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덮개(13)의 상단 면을 향하여 돌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착부(312)에는 고정 빔(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장착홀(313)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2 장착부(322)에는 고정 빔(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장착홀(313)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고정 빔(12)에는 자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3 장착홀(121)이 이격되어 설치된다. 채결 부재(5)는 제2 장착홀(323), 제1 장착홀(313) 및 제3 장착홀(121)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관통하여 제1 구속 부재(31) 및 제2 구속 부재(32)를 고정 빔(12)에 고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팩은 박스 바디 어셈블리(1)에 배치되고, 또한 제1 배기 통로(7)와 연통되며, 박스 바디 어셈블리(1)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제2 기설정된 압력 값을 초과할 때 개방되어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제2 방폭 밸브(9)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방폭 밸브(9)는 덮개(13) 중 고정 빔(12)의 일단에 위치하는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덮개(13)를 박스 바디(11)에 고정하기 위해, 박스 바디(11)의 개구 단부의 주위에는 제1 플랜지(111)가 설치되고, 덮개(13)의 주위에 제2 플랜지(131)가 설치되며,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31)는 접착 연결 또는 채결 부재로 연결하는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전지 팩은 복수의 제2 구속 부재(32)를 통해 서로 다른 전지 모듈(2)을 덮고, 대응하는 고정 빔(12)에 고정되는 바, 이는 제2 구속 부재(32)와 박스 바디(11) 사이의 고정점을 증가한 것에 해당하므로, 각 고정점 사이의 스팬을 감소시키고, 제2 구속 부재(32)의 변형 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지 셀(20)이 팽창할 때 제2 구속 부재(32)가 쉽게 변형되지 않아 전지 모듈(2)에 안정적인 가압력을 더 제공하여 높이 방향에서 전지 팩의 사이즈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2 구속 부재(32)의 변형에 의해 덮개(13)가 눌러지는 일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전지 팩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바디 어셈블리(1)의 상단벽의 내표면과 구속 어셈블리(3)의 상단벽의 외표면 사이에 제3 간격(L3)이 존재하는 바, 즉 덮개(13)의 내표면과 제2 구속 부재(32)의 외표면 사이에는 제3 간격(L3)이 존재한다. 제1 간격(L1)과 제3 간격(L3)을 설치함으로써, 구속 어셈블리(3)가 전지 셀(20)의 팽창으로 인해 변형되더라도 박스 바디 어셈블리(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지 팩에 열폭주가 발생할 때 유체 배출 방식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모듈(2)에 열폭주가 발생한 전지 셀(20)이 생기면, 제1 방폭 밸브(25)를 통해 전지 셀(20)내로부터 뜨거운 공기, 스파크 등 유체가 방출되어 제2 배기 통로(8) 내로 유입되고, 흐르는 과정에서 제1 제한부(311) 상의 복수의 연통 홀(33)을 통해 제1 배기 통로(7)로 유입된다. 도4를 참조하면, 유체는 제1 배기 통로(7) 내에서 흐르고, 구속 어셈블리(3)와 박스 바디 어셈블리(1)의 측면과의 공간으로부터 위로 흘러 제2 방폭 밸브(9)를 통해 전지 팩 밖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전지 팩은 성능이 정상적인 다른 전지 모듈(2)에 스파크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전지 모듈(2)이 뜨거운 공기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열 확산 후 복수의 전지 모듈(2)에 열폭주가 발생하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지 셀(2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8의 분해 모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지 셀(20)은 하우징(21) 및 하우징(21) 내에 배치된 전극 어셈블리(22)를 포함하며, 하우징(21)은 육면체 형상 또는 기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개구를 가진다. 전극 어셈블리(22)는 하우징(21) 내에 수용된다. 하우징(21)의 개구는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24)로 덮여진다.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24)는 커버 플레이트(241)와 커버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두 개의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두 개의 전극 단자는 각각 제1 전극 단자(242) 및 제2 전극 단자(243)이다. 여기서, 제1 전극 단자(242)는 정극 단자일 수 있고, 제2 전극 단자(243)는 부극 단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극 단자(242)는 부극 단자일 수 있고, 제2 전극 단자(243)는 정극 단자일 수도 있다.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24)와 전극 어셈블리(22) 사이에는 어댑터(23)가 설치되어 있고, 전극 어셈블리(22)의 탭은 어댑터(23)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241) 상의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댑터(23)는 두 개 인바, 즉 정극 어댑터 및 부극 어댑터가 각각 존재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내에는 두 개의 전극 어셈블리(22)가 설치되고, 두 개의 전극 어셈블리(22)는 전지 셀(20)의 높이 방향(z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여기서 전지 셀(20)의 높이 방향은 전지 팩의 높이 방향과 일치하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21) 내에는 하나의 전극 어셈블리(22)가 설치될 수도 있고, 하우징(21) 내에는 세 개 이상의 전극 어셈블리(22)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전극 어셈블리(22)는 전지 셀(20)의 높이 방향(z 방향)을 따라 적층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어셈블리(22)는 제1 전극 시트(221), 제2 전극 시트(222) 및 상기 제1 전극 시트(221)와 상기 제2 전극 시트(222)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2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극 시트(221)는 정전극 시트일 수 있고, 제2 전극 시트(222)는 부전극 시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극 시트(221)는 부전극 시트일 수 있고, 제2 전극 시트(222)는 정전극 시트일 수도 있다. 여기서 세퍼레이터(223)는 제1 전극 시트(221)와 제2 전극 시트(222) 사이의 절연체이다. 정전극 시트의 활물질은 정전극 시트의 코팅 영역에 코팅될 수 있고, 부전극 시트의 활물질은 부전극 시트의 코팅 영역에 코팅될 수 있다. 정전극 시트의 코팅 영역에서 연장된 부분은 정극 탭으로 사용되고, 부전극 시트의 코팅 영역에서 연장된 부분은 부극 탭으로 사용된다. 정극 탭은 정극 어댑터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24)의 정극 단자에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부극 탭은 부극 어댑터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24)의 부극 단자에 연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어셈블리(22)는 권회형 구조이다. 여기서, 제1 전극 시트(221), 세퍼레이터(223) 및 제2 전극 시트(222)는 모두 띠 모양의 구조이고, 제1 전극 시트(221), 세퍼레이터(223) 및 제2 전극 시트(222)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2회 이상 권취하여 전극 어셈블리(22)를 형성하고, 전극 어셈블리(22)는 편평한 모양을 갖는다. 전극 어셈블리(22)를 제조할 때 전극 어셈블리(22)를 직접 편평한 형태로 권취하거나, 또는 중공의 원통형 구조로 먼저 권취한 후 다시 편평한 형태로 누를 수도 있다. 도 9는 전극 어셈블리(22)의 외부 윤곽의 모식도로서, 전극 어셈블리(22)의 외표면은 두 개의 편평면(224)을 포함하고, 두 개의 편평면(224)은 전지 셀(20)의 높이 방향(z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전극 어셈블리(22)는 대략 육면체 구조를 가지며, 편평면(224)은 권취축과 대략 평행되고 또한 면적이 가장 큰 외표면이다. 편평면(224)은 상대적으로 편평한 표면일 수 있고, 순수한 평면일 필요는 없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어셈블리(22)는 적층 구조인 바, 즉, 전극 어셈블리(22)는 복수의 제1 전극 시트(221)와 복수의 제2 전극 시트(222)를 포함하고, 세퍼레이터(223)는 제1 전극 시트(221)와 제2 전극 시트(222)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전극 시트(221) 및 제2 전극 시트(222)는 전지 셀(20)의 높이 방향(z 방향)을 따라 적층 설치된다.
전극 어셈블리(22)는 충방전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전극 시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팽창하게 되어, 각 전극 시트의 팽창량이 겹쳐져 높이 방향으로 누적되는 팽창량이 다른 방향의 팽창량보다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속 어셈블리(3)와 박스 바디(11) 사이의 고정점을 증가시켜 전지 셀(20)의 팽창량이 가장 큰 방향을 구속할 수 있어, 전지 팩의 변형을 방지하고, 전지 팩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전지 팩 및 운송 장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위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방법 및 핵심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일 뿐이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본 발명에 대해 개선 및 수정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개선 및 수정도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1: 박스 바디 어셈블리 11: 박스 바디
111: 제1 플랜지 12: 고정 빔
121: 제3 장착 홀 122: 경량화홈
13: 덮개 131: 제2 플랜지
2: 전지 모듈 2A: 전지 셀 어셈블리
20: 전지 셀 21: 하우징
22: 전극 어셈블리 221: 제1 전극 시트
222: 제2 전극 시트 223: 세퍼레이터
224: 편평면 23: 어댑터
24: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241: 커버 플레이트
242: 제1 전극 단자 243: 제2 전극 단자
25: 제1 방폭 밸브 26: 엔드 플레이트
S1: 제1 면 S2: 제2 면
S3: 제3 면 3: 구속 어셈블리
31: 제1 구속 부재 311: 제1 제한부
312: 제1 장착부 313: 제1 장착 홀
32: 제2 구속 부재 321: 제2 제한부
322: 제2 장착부 323: 제2 장착 홀
33: 연통 홀 4: 내화 부재
41: 대피 홀 42: 제1 부분
43: 제2 부분 5: 채결 부재
6: 수용 캐비티 7: 제1 배기 통로
8: 제2 배기 통로 9: 제2 방폭 밸브
10: 단열층

Claims (14)

  1. 전지 팩에 있어서,
    박스 바디 어셈블리(1);
    상기 박스 바디 어셈블리(1)내에 설치되어 있는 구속 어셈블리(3)로서, 상기 구속 어셈블리(3) 내부에 수용 캐비티(6)를 가지고, 상기 구속 어셈블리(3)와 상기 박스 바디 어셈블리(1) 사이에는 제1 배기 통로(7)가 있고, 상기 구속 어셈블리(3)에는 연통 홀(3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통 홀(33)이 상기 수용 캐비티(6)와 상기 제1 배기 통로(7)를 연통시키는, 구속 어셈블리(3); 및
    상기 수용 캐비티(6)내에 설치된 전지 모듈(2)을 포함하는, 전지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바디 어셈블리(1) 내부에는 복수의 고정 빔(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속 어셈블리(3)는 인접한 두 개의 상기 고정 빔(12)에 고정되며, 상기 구속 어셈블리(3), 상기 박스 바디 어셈블리(1) 및 상기 고정 빔(12) 삼자가 둘러싸서 제1 배기 통로(7)를 형성하는 것인, 전지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2)은 복수의 전지 셀(20)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전지 셀(20)에는 모두 제1 방폭 밸브(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속 어셈블리(3)와 상기 전지 모듈(2) 사이에는 제2 배기 통로(8)가 있고, 상기 제1 방폭 밸브(25)는 각각 상기 제2 배기 통로(8)와 대향하며, 상기 연통 홀(33)이 상기 제2 배기 통로(8)와 상기 제1 배기 통로(7)를 연통시키는 것인, 전지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어셈블리(3)와 상기 전지 모듈(2)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각 상기 전지 셀(20)의 상기 제1 방폭 밸브(25)를 덮는 내화 부재(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화 부재(4)와 상기 전지 모듈(2)과의 사이에는 제2 배기 통로(8)가 형성되는 것인, 전지 팩.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어셈블리(3)에는 복수의 상기 연통 홀(33)이 설치되어 있고, 각 상기 연통 홀(33)과 각 상기 제1 방폭 밸브(25)는 일대일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인, 전지 팩.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어셈블리(3)의 외벽면과 상기 박스 바디 어셈블리(1)의 내벽면 사이에 제1 간격(L1)을 가지며, 상기 구속 어셈블리(3)의 상기 외벽면과 상기 박스 바디 어셈블리(1)의 상기 내벽면은 높이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며, 상기 제1 간격(L1)이 상기 제1 배기 통로(7)를 형성하는 것인, 전지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2)은 복수의 전지 셀(20)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전지 셀(20)의 제1 면(S1)은 상기 구속 어셈블리(3)의 상단벽 또는 하단벽과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1 면(S1)은 상기 전지 셀(20)의 가장 큰 측면이고, 각 상기 전지 셀(20)의 제2 면(S2)에는 모두 제1 방폭 밸브(2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면(S2)은 상기 제1면(S1)과 수직되며,
    상기 연통 홀(33)은 상기 구속 어셈블리(3)의 상기 상단벽 또는 상기 하단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전지 팩.
  8. 제7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전지 셀(20)의 상기 제2 면(S2)은 상기 구속 어셈블리(3)의 측벽을 향하여 설치되고, 대응하는 측의 상기 구속 어셈블리(3)의 측벽 내표면과의 사이에 제2 간격(L2)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간격(L2)은 제2 배기 통로(8)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 홀(33)은 상기 구속 어셈블리(3)에서 제2 간격(L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배기 통로(8)와 상기 제1 배기 통로(7)를 연통시키는 것인, 전지 팩.
  9. 제8항에 있어서,
    내화 부재(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화 부재(4)는,
    상기 구속 어셈블리(3)의 측벽의 내표면에 맞닿고, 또한 대응하는 측의 각 상기 전지 셀(20)의 상기 제2 면(S2)과의 사이에 제2 간격(L2)을 형성하는 제1 부분(42); 및
    상기 제1 부분(42)의 높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면(S2)과 맞닿을 때까지 상기 제2 면(S2)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연통 홀(3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대피 홀(41)이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제2 부분(43)
    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방폭 밸브(25)는 두 개의 상기 제2 부분(43)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전지 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바디 어셈블리(1)는 높이 방향에서 서로 맞물리는 박스 바디(11)와 덮개(13)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바디(11)내에는 복수의 고정 빔(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속 어셈블리(3)는 제1 구속 부재(31) 및 제2 구속 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속 부재(31)와 상기 제2 구속 부재(32)는 높이 방향에서 서로 맞물려서 상기 수용 캐비티(6)을 형성하며,
    여기서 상기 연통 홀(33)은 상기 제1 구속 부재(31)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박스 바디(11)와 상기 제1 구속 부재(31) 사이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간격(L1)을 가지고, 상기 제1 간격(L1)이 상기 제1 배기 통로(7)를 형성하는 것인, 전지 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 부재(31)는 제1 제한부(311) 및 두 개의 제1 장착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한부(311)는 상기 전지 모듈(2)의 상기 박스 바디(11)에 가까운 부분을 덮고, 두 개의 상기 제1 장착부(312)는 상기 복수의 고정 빔(12)의 배열 방향을 따른 상기 제1 제한부(31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및
    상기 제2 구속 부재(32)는 제2 제한부(321) 및 두 개의 제2 장착부(3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한부(321)는 상기 전지 모듈(2)의 상기 덮개(13)에 가까운 부분을 덮고, 두 개의 상기 제2 장착부(322)는 상기 복수의 고정 빔(12)의 배열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제한부(32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수용 캐비티(6)는 상기 제1 제한부(311)와 상기 제2 제한부(32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지 모듈(2)의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장착부(322)와 상기 제1 장착부(312)는 높이 방향에서 적층 설치되고 또한 동일한 상기 고정 빔(12)에 고정되는 것인, 전지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한부(311)는 상기 제1 장착부(312)를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상기 박스 바디(11)의 하단면에 가까운 방향으로 돌출되고, 및/또는
    상기 제2제한부(321)는 상기 제2 장착부(322) 를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상기 덮개(13)의 상단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인, 전지 팩.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바디 어셈블리(1)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배기 통로(7)와 연통되는 제2 방폭 밸브(9)를 더 포함하는, 전지 팩.
  14. 운송 장비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전지 팩을 포함하는, 운송 장비.
KR1020227014805A 2019-11-19 2019-11-19 전지 팩 및 운송 장비 KR202200786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19354 WO2021097644A1 (zh) 2019-11-19 2019-11-19 电池包及交通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641A true KR20220078641A (ko) 2022-06-10

Family

ID=7598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805A KR20220078641A (ko) 2019-11-19 2019-11-19 전지 팩 및 운송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49731A1 (ko)
EP (1) EP3852188A4 (ko)
JP (1) JP7417725B2 (ko)
KR (1) KR20220078641A (ko)
CN (1) CN113966565B (ko)
WO (1) WO20210976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1709A (zh) * 2019-06-27 2020-12-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及车辆
CN112331997B (zh) * 2019-10-15 2021-11-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和车辆
CN112331983B (zh) * 2019-11-29 2021-10-0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块、装置及失效电池单体的失效处理方法
EP4145603A4 (en) 2021-07-15 2024-01-24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td BATTERY AND POWER CONSUMING DEVICE
CN115312938B (zh) * 2022-09-01 2023-10-3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结构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616B1 (ko) 2004-03-31 2008-12-0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필름 외장 전기 디바이스, 테두리 부재 및 필름 외장 전기디바이스 수납 시스템
JP2008192551A (ja) 2007-02-07 2008-08-21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パック構造
JP5466906B2 (ja) * 2009-09-18 2014-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WO2014065110A1 (ja) 2012-10-25 2014-05-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のガス排出構造
JP6208238B2 (ja) * 2013-07-01 2017-10-04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6299513B2 (ja) 2014-07-31 2018-03-28 株式会社Gsユアサ 電源パック
JP6463974B2 (ja) * 2015-01-16 2019-02-06 株式会社Subaru 車載用バッテリー
WO2017130259A1 (ja) * 2016-01-26 2017-08-0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6540628B2 (ja) * 2016-07-29 2019-07-1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パック
CN108428826B (zh) * 2018-01-18 2023-12-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顶盖组件、二次电池及汽车
JP2019145245A (ja) * 2018-02-16 2019-08-29 株式会社東芝 電池装置
CN209447890U (zh) * 2019-03-07 2019-09-2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块及电池包
CN209561492U (zh) * 2019-03-28 2019-10-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及电池包
CN209401710U (zh) * 2019-03-28 2019-09-1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及电池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66565A (zh) 2022-01-21
JP7417725B2 (ja) 2024-01-18
JP2023500911A (ja) 2023-01-11
EP3852188A1 (en) 2021-07-21
EP3852188A4 (en) 2021-07-21
US20210249731A1 (en) 2021-08-12
CN113966565B (zh) 2024-05-07
WO2021097644A1 (zh)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26747B1 (en) Battery pack and apparatus
KR20220078641A (ko) 전지 팩 및 운송 장비
EP3333932B1 (en) Battery system
EP3125334B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US9437854B2 (en) Battery pack
US20220069411A1 (en) Battery pack
JP7418405B2 (ja) 電池モジュール
WO2013001585A1 (ja) 電池モジュール
US20130040174A1 (en) Battery pack
EP3809487B1 (en) Protection plate, battery cell assembly, battery module and vehicle
US20120288738A1 (en) Battery pack
KR20170044473A (ko) 배터리 팩
US20220123428A1 (en) Battery pack
CN110459710B (zh) 电池包
JP2010192209A (ja) 二次電池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電池
JP7418409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7483028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US20240063458A1 (en) Battery pack and thermal runaway protection method
US20230198091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JP6634977B2 (ja) 電池パック
EP4009425A1 (en) Pack battery
EP3951911A1 (en) Power source device
US20240063512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EP4379919A1 (en) Battery pack
US20240088513A1 (en) Battery P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