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048A -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048A
KR20220078048A KR1020200167142A KR20200167142A KR20220078048A KR 20220078048 A KR20220078048 A KR 20220078048A KR 1020200167142 A KR1020200167142 A KR 1020200167142A KR 20200167142 A KR20200167142 A KR 20200167142A KR 20220078048 A KR20220078048 A KR 20220078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gang form
cover
ca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6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8048A/ko
Publication of KR2022007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8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unfavourable weather infl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각 단이 어느 한 단에 층으로 포개진 상태로 겹쳐져 갱폼의 케이지 상단에 지지되며, 각 단이 연이어서 펼쳐지는 다단덮개부와; 상기 다단덮개부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보양막과; 상기 다단덮개부를 갱폼의 케이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다단덮개부를 갱폼의 케이지 위로 인양하기 위한 인양연결부가; 구성된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이다.

Description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Multi-stage sliding gang-form cover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갱폼에 레일을 이어서 설치하지 않고 갱폼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습동식으로 돌출되어 건축물의 시공층 위를 커버할 수 있는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도 시공 중인 건축물의 최상층인 시공층을 덮개로 덮을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공지된 바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1407호(발명의 명칭 : 갱폼 분리형 전천후 루프 시스템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도 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 중인 구조물의 최상층을 덮개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갱폼 분리형 전천후 루프 시스템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부(11)를 구비한 레일체(10),
상기 레일부(1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전후진 가능한 대차(21)와, 상기 대차(21)의 상면에 결합된 트러스(22)를 구비한 복수개의 이동체(20),
이동체들의 각 트러스(22)에 펼침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30)를 포함한 개폐형 지붕유닛(R); 및
구조물의 최상층을 형성하는 양측 갱폼에 상측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에 상기 레일체(1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4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40)는 지지대(40)의 양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레일체(10)가 억지 끼움되도록 'V'자 형 탈착부(41)를 형성하는 한 쌍의 장착바(42, 43)를 포함하여, 상기 지붕유닛을 상기 지지대(40)에서 분리한 후 지지대(40)를 갱폼과 함께 최상층으로 올린 다음 지지대(40)에 상기 지붕유닛을 재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대차(21)는 하면에 연결된 바퀴(23)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체(10)는 상기 'V'자 형 탈착부(41)의 하부 공간에 삽입되는 베이스(12), 상기 베이스(12)의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12)보다 좌우 폭 너비가 넓게 형성되어 상기 'V'자 형 탈착부(41)의 상부 공간에 억지 끼움되며 상기 바퀴(23)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레일부(11)를 구비한 레일부재(13)를 포함하는 갱폼 분리형 전천후 루프 시스템이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각각의 조각으로 되어 있는 갱폼에 고정된 각각의 지지대(40)에 레일체(10)를 설치하여 레일체(10)를 따라 대차(21)가 이동하면서 대차(21)에 연결된 덮개(30)가 펼쳐져 건축물의 최상층을 덮을 수 있는 것이며, 다음 층 시공을 위해 갱폼을 상층으로 인양할 때는 덮개(30)와 레일체(10) 등 모든 구성요소를 갱폼으로부터 모두 다 분리하여 갱폼으로부터 내리고, 갱폼 인양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모든 구성요소를 갱폼에 조립해야 하는 것이므로 갱폼 인양 시마다 반복되는 작업자의 작업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조립 시 갱폼이 조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갱폼과 다른 갱폼이 이어진 부분에 직진성을 유지해야 하는 레일체(10)를 설치할 때 유격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설치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건축물이 한층 한층 올라갈 때마다, 갱폼을 인양할 때마다 반복되는 문제점이므로 현실적인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140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갱폼에 레일을 이어서 설치하지 않고 갱폼과 갱폼 사이에 올려진 상태에서 자체적인 돌출로 건축물의 시공층 위를 커버할 수 있는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단이 어느 한 단에 층으로 포개진 상태로 겹쳐져 갱폼의 케이지 상단에 지지되며, 각 단이 연이어서 펼쳐지는 다단덮개부와; 상기 다단덮개부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보양막과; 상기 다단덮개부를 갱폼의 케이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다단덮개부를 갱폼의 케이지 위로 인양하기 위한 인양연결부가; 구성된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단이 어느 한 단에 층으로 포개진 상태로 겹쳐진 다단덮개부가 갱폼의 케이지 상단에 지지되는 인양단계와,
상기 다단덮개부의 이동되지 않는 처음 단이 갱폼의 케이지에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1차고정단계와,
상기 1차고정단계에서 고정된 다단덮개부의 처음 단으로부터 연이어서 마지막 단까지 다중레일부에 의해 가이드되며 펼쳐지는 펼침단계와,
상기 펼침단계가 완료 된 후 다단덮개부의 각 단이 각각 갱폼의 케이지에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2차고정단계와,
상기 갱폼이 설치된 건축물의 시공층 양생 후 다음층 시공을 위해 갱폼 인양 시 상기 2차고정단계에서 고정된 고정부가 해체되는 1차분리단계와,
상기 다단덮개부의 각 단이 다중레일부에 의해 가이드되며 처음 단에 층으로 포개진 상태로 겹쳐지는 겹침단계와,
상기 다단덮개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부가 단과 단을 고정시키는 펼침방지단계와,
상기 다단덮개부를 인양하는 인양장치와 연결된 후 다단덮개부의 이동되지 않는 처음 단을 갱폼의 케이지에 고정시킨 고정부가 해체되는 2차분리단계가 구성된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방법을 제공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각각의 조각으로 된 갱폼과 갱폼 사이에 직선으로 이어지도록 레일을 갱폼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간편하게 일체로 된 다단덮개부를 갱폼의 케이지에 올려서 고정시키고 각 단이 다중레일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일방으로 펼쳐지거나 층으로 포개질 수 있어서 전천후로 건축물의 시공 중인 층의 보양이 가능하면서도 자재 공급 등을 위해 필요에 따라 커버 중이 시공층을 개방할 수 있고, 작업자에게 그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공층의 작업 과정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민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다단덮개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도3의 펼쳐진 다단덮개부의 내부 구조가 나타나도록 보양막을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갱폼의 케이지가 연속적이지 않고 불규칙한 상태에서도 장롤러에 의해 다단덮개부의 펼쳐짐과 접힘이 용이하게 됨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고정부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고정부의 고정방법을 예시하는 설명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기에서 예시되는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두껍게 또는 크거나 작게, 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습동식 갱폼(100) 커버링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대략의 방향 기준을 대표도면인 도 2의 단면도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아치형으로 휘어진 넓은 면을 갖는 보양막(400)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방(하부), 상기 하방의 반대가 상방(상부)이고, 상기 보양막(400)이 덮고 있는 다단덮개부(200)의 각 다단프레임(210)이 슬라이딩 되어 돌출되는 방향이 전방(전면), 상기 전방의 반대 방향이 후방(후면)이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습동식 갱폼(100) 커버링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와 도 3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습동식 갱폼(100) 커버링 시스템은 각 단이 어느 한 단에 층으로 포개진 상태로 겹쳐져 갱폼(100)의 케이지(120) 상단에 지지되며, 각 단이 연이어서 펼쳐지는 다단덮개부(200)와,
상기 다단덮개부(200)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보양막(400)과,
상기 다단덮개부(200)를 갱폼(100)의 케이지(12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300)와,
상기 다단덮개부(200)를 갱폼(100)의 케이지(120) 위로 인양하기 위한 인양연결부(5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다단덮개부(200)는 아치형과 박공형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며, 어느 하나의 단에 같은 모양으로 된 다수의 단이 층으로 겹쳐져 포개지는 다단프레임(210)과,
상기 다단프레임(210)의 각 단이 연이어 펼쳐지는 입구의 반대측에 각 단이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프레임(220)과,
상기 다단프레임(210)의 각 단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각 단이 연이어 펼쳐지거나 층으로 포개지도록 이동시키는 다중레일부(23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중레일부(230)는 다단프레임(210)의 1단프레임(211)에 설치되는 1단레일부(231)와,
상기 다단프레임(210)의 2단프레임(212)에 설치되고 상기 1단레일부(231) 내에서 1단레일부(231)를 따라 이동하는 하중지지롤러(234)와 가이드롤러(235)가 구비된 2단레일부(232)와,
상기 다단프레임(210)의 3단프레임(213)에 설치되고 상기 2단레일부(232) 내에서 2단레일부(232)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235)가 구비된 3단레일부(233)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서는 3단을 예로 들었지만 필요에 따라 단 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중레일부(230)도 함께 줄거나 늘 수 있는 것이에서 3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하중지지롤러(234)는 설치된 레일부와 해당 다단프레임(21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가이드롤러(235)는 해당 다단프레임(210)이 상단레일부로부터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며, 상기 다단덮개부(200)는 각각의 다단프레임(210)이 서로 완전히 분리되거나 서로 어긋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의 다단프레임(210)으로부터 돌출되어 다음 단의 다단프레임(2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25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덮개부(200)는 도 4와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갱폼(100)의 케이지(120) 위를 미끄럼 이동하는 마지막 단에 시공 중인 건축물의 돌출 구간에 설치된 갱폼(100)의 케이지(120) 위에도 연이어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장롤러(240)가 구성될 수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갱폼(100)의 케이지(120) 위를 미끄럼 이동하는 마지막 단에 다단프레임(210)을 펼치거나 층으로 겹치도록 이동시키는 당김을 위한 슬라이딩고리(214)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300)는 도 7과 도 8에서 예시하여 보인 바와 같이, 다단덮개부(200)가 층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각 단을 고정시키고, 다단덮개부(200)가 펼쳐진 후에는 다단덮개부(200)의 각 다단프레임(210)과 갱폼(100)의 케이지(12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300)는 구체적으로 상기 다단덮개부(200)의 각 다단프레임(210)에 구성되어 다단프레임(210)이 겹쳐진 상태에서는 접혀있고, 다단프레임(210)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돌출되어 갱폼(100)의 케이지(120)에 연결되는 연결철(310)과, 상기 연결철(310)의 장공을 통해 상기 연결철(310)과 케이지(120)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쐐기못(320)과, 상기 연결철(310)과 케이지(120)를 관통한 쐐기못(320)이 임의적으로 빠지지 않도록 쐐기못(320)의 쐐기홈에 삽입되는 쐐기(33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양막(400)은 비나 눈이 통과되지 않는 판재, 합성수지, 망, 직물일 수 있고, 통풍을 위한 창이나 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양막(400)의 표면에 시공사의 로고나 광고, 안내문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보양막(400)에는 펼쳐져서 갱폼(100)의 외부를 덮거나 보양막(400)에 겹쳐지는 차양막이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덮개부(200)를 상층으로 인양하기 위한 인양연결부(500)는 다단덮개부(200)의 외부로 돌출된 고리 또는 후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의 갱폼 커버링 방법은 각 단이 어느 한 단에 층으로 포개진 상태로 겹쳐진 다단덮개부(200)가 갱폼(100)의 케이지(110) 상단에 지지되는 인양단계와,
상기 다단덮개부(200)의 이동되지 않는 처음 단이 갱폼(100)의 케이지(110)에 고정부(300)에 의해 고정되는 1차고정단계와,
상기 1차고정단계에서 고정된 다단덮개부(200)의 처음 단으로부터 연이어서 마지막 단까지 다중레일부(230)에 의해 가이드되며 펼쳐지는 펼침단계와,
상기 펼침단계가 완료 된 후 다단덮개부(200)의 각 단이 각각 갱폼(100)의 케이지(110)에 고정부(300)에 의해 고정되는 2차고정단계와,
상기 갱폼(100)이 설치된 건축물의 시공층 양생 후 다음층 시공을 위해 갱폼(100) 인양 시 상기 2차고정단계에서 고정된 고정부(300)가 해체되는 1차분리단계와,
상기 다단덮개부(200)의 각 단이 다중레일부(230)에 의해 가이드되며 처음 단에 층으로 포개진 상태로 겹쳐지는 겹침단계와,
상기 다단덮개부(200)가 겹쳐진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부(300)가 단과 단을 고정시키는 펼침방지단계와,
상기 다단덮개부(200)를 인양하는 인양장치와 연결된 후 다단덮개부(200)의 이동되지 않는 처음 단을 갱폼(100)의 케이지(110)에 고정시킨 고정부(300)가 해체되는 2차분리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시공 중이 시공층에 자재 공급 등의 필요에 따라 보양 중이 다단덮개부(200)의 일부 단을 이동시켜 시공층이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단계가 구성될 수 있고, 다음 층의 시공을 위해 갱폼(100) 인양을 위해 다단덮개부(200)를 인양장치가 들어 올려서 90도 회전 시킨 후 시공층에 내려놓고 갱폼(100)의 인양 완료 후 다단덮개부(200)를 갱폼(100)의 케이지(120)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인양준비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갱폼 110:폼부 120:케이지
200:다단덮개부 210:다단프레임 211:1단프레임
212:2단프레임 213:3단프레임 214:슬라이딩고리
220:마감프레임 230:다중레일부 231:1단레일부
232:2단레일부 233:3단레일부 234:하중지지롤러
235:가이드롤러 240:장롤러 250:이탈방지구
300:고정부 310:연결철 320:쐐기못
330:쐐기 400:보양막 500:인양연결부

Claims (6)

  1. 각 단이 어느 한 단에 층으로 포개진 상태로 겹쳐져 갱폼의 케이지 상단에 지지되며, 각 단이 연이어서 펼쳐지는 다단덮개부와,
    상기 다단덮개부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보양막과,
    상기 다단덮개부를 갱폼의 케이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다단덮개부를 갱폼의 케이지 위로 인양하기 위한 인양연결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덮개부는 아치형과 박공형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며, 어느 하나의 단에 같은 모양의 다수의 단이 층으로 겹쳐져 포개지는 다단프레임과,
    상기 다단프레임의 각 단이 연이어 펼쳐지는 입구의 반대측에 각 단이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프레임과,
    상기 다단프레임의 각 단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각 단이 연이어 펼쳐지거나 층으로 포개지도록 이동시키는 다중레일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레일부는 다단프레임의 1단프레임에 설치되는 1단레일부와,
    상기 다단프레임의 2단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1단레일부 내에서 1단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하중지지롤러와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2단레일부와,
    상기 다단프레임의 3단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2단레일부 내에서 2단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3단레일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덮개부는 갱폼의 케이지 위를 미끄럼 이동하는 마지막 단에 시공 중인 건축물의 돌출 구간에 설치된 갱폼의 케이지 위에도 연이어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장롤러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다단덮개부가 층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각 단을 고정시키고, 다단덮개부가 펼쳐진 후에는 다단덮개부의 각 다단프레임과 갱폼의 케이지를 연결하는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6. 각 단이 어느 한 단에 층으로 포개진 상태로 겹쳐진 다단덮개부가 갱폼의 케이지 상단에 지지되는 인양단계와,
    상기 다단덮개부의 이동되지 않는 처음 단이 갱폼의 케이지에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1차고정단계와,
    상기 1차고정단계에서 고정된 다단덮개부의 처음 단으로부터 연이어서 마지막 단까지 다중레일부에 의해 가이드되며 펼쳐지는 펼침단계와,
    상기 펼침단계가 완료 된 후 다단덮개부의 각 단이 각각 갱폼의 케이지에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2차고정단계와,
    상기 갱폼이 설치된 건축물의 시공층 양생 후 다음층 시공을 위해 갱폼 인양 시 상기 2차고정단계에서 고정된 고정부가 해체되는 1차분리단계와,
    상기 다단덮개부의 각 단이 다중레일부에 의해 가이드되며 처음 단에 층으로 포개진 상태로 겹쳐지는 겹침단계와,
    상기 다단덮개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부가 단과 단을 고정시키는 펼침방지단계와,
    상기 다단덮개부를 인양하는 인양장치와 연결된 후 다단덮개부의 이동되지 않는 처음 단을 갱폼의 케이지에 고정시킨 고정부가 해체되는 2차분리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방법.
KR1020200167142A 2020-12-03 2020-12-03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8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142A KR20220078048A (ko) 2020-12-03 2020-12-03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142A KR20220078048A (ko) 2020-12-03 2020-12-03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048A true KR20220078048A (ko) 2022-06-10

Family

ID=8198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142A KR20220078048A (ko) 2020-12-03 2020-12-03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80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407B1 (ko) 2018-11-30 2020-07-09 (주)강수생각 갱폼 분리형 전천후 루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407B1 (ko) 2018-11-30 2020-07-09 (주)강수생각 갱폼 분리형 전천후 루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7646A1 (en) Structure with rolling roof top cover
AU2016266014B2 (en) Track guided blind system
US20150308132A1 (en) Slidable barriers
KR20180111720A (ko) 고소작업차량 탑재 확장형 버켓 안전난간 구조체
JP6886173B2 (ja) 止水板および止水装置
KR102486541B1 (ko) 슬라이드형 갱폼 커버링 시스템
KR20220078048A (ko) 다단 습동식 갱폼 커버링 시스템 및 방법
IT201800011083A1 (it) Elemento di copertura mobile per un apparato di copertura, preferibilmente un frangisole di tipo regolabile
EP1847418B1 (de) Ladegutsicherung an Transportfahrzeugen
EP2604782B1 (de) Fensterflügelprofil für die Montage von Klotzbrücken oder dergleichen
JP6890465B2 (ja) エスカレーターの保守作業安全柵
AU2016100271B4 (en) Track guided blind system
EP3276100B1 (de) Abdichtsystem für ein wandungssystem
CN219771454U (zh) 一种提升平台的防护结构
KR100996117B1 (ko)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발판
DE102014104542A1 (d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Trockenbauwände
DE202013002887U1 (de) Aufnahmeeinrichtung für eine Behangeinrichtung
DE10300587A1 (de) Führungssystem für Rollen von Stufen und Paletten einer Personenförderanlage
EP4019714A1 (en) Metal section bar for an arch of a tent structure and related tent structure
DE202005007051U1 (de) Vorrichtung zum Schutz einer schlagempfindlichen Fläche, insbesondere eines Gewächshaus-Glasdaches
JP6859500B2 (ja) 重ね畳み引き戸。
JP3978629B2 (ja) オーニング装置
JPH094102A (ja) 建物の外壁構造
IT202000007121U1 (it) Profilato metallico per arcata di una tendostruttura e relativa tendostruttura
DE202014008384U1 (de) Behangein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