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985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985A
KR20220077985A KR1020200166692A KR20200166692A KR20220077985A KR 20220077985 A KR20220077985 A KR 20220077985A KR 1020200166692 A KR1020200166692 A KR 1020200166692A KR 20200166692 A KR20200166692 A KR 20200166692A KR 20220077985 A KR20220077985 A KR 20220077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pper case
air
vehicl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식
박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200166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985A/ko
Publication of KR20220077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2003/065Details for holding filter elements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를 유입하고 토출하는 유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면으로 배치되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결합되는 필터부재로 구비되는 필터;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필터안착부; 및 상기 필터안착부와 인접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가 상부케이스의 내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필터 안착부로부터 돌출된 리브와 인접되며, 신축성을 갖는 시트부재와 결합됨으로써,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의 불순물이 필터부재로 통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기의 바이패스가 방지가 되며, 유입된 공기의 불순물이 필터부재로 통과 되도록 하기에 차량의 탑승자 및 운전자에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하고 차량용 공조장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부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에 따라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팬에 의하여 공조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 등을 흡착 및 제거를 통해 탑승자에게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터가 장착된다.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필터의 안착이 불안정하여 공조케이스와의 틈새를 통하여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유입된 공기가 틈새를 통하여 바이패스가 되어 버리게 된다.
이로 인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필터의 불순물 제거가 적절하게 되지 못하게 되어 차량의 실내로 깨끗한 공기가 적절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탑승자 및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어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하는데 다소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바이패스 하여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유입되는 공기의 불순물이 필터를 통과하게 하여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갖게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를 유입하고 토출하는 유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면으로 배치되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결합되는 필터부재로 구비되는 필터;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필터안착부; 및 상기 필터안착부와 인접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시트부재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시트부재 보다 상하 높이가 작게 된다.
상기 시트부재는, 내부로 상기 필터부재를 감싸게 된다.
상기 리브는, 상기 필터안착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리브는, 상기 필터안착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상기 필터안착부의 돌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과 다르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가 상부케이스의 내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필터 안착부로부터 돌출된 리브와 인접되며, 신축성을 갖는 시트부재와 결합됨으로써,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의 불순물이 필터부재로 통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기의 바이패스가 방지가 되며, 유입된 공기의 불순물이 필터부재로 통과 되도록 하기에 차량의 탑승자 및 운전자에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하고 차량용 공조장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상부케이스가 차량용 공조장치로부터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에서 필터안착부로부터 돌출된 리브와 시트부재 및 필터부재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필터부재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를 정면에서 본 모습을 일부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상부케이스(110), 하부케이스(120), 필터(200), 리브(15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공기를 유입하고 토출되는 유입구(112,113)와 토출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2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하측에 연결된다.
상기 필터(20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내면으로 배치되는 시트부재(140)와 상기 시트부재(140)에 결합되는 필터부재(1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200)는 상기 시트부재(140)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130)가 일정한 간격으로 굴곡형상을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13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형성된 필터 삽입구(111)를 통해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130)는 상기 유입구(112,113)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여 외부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및 유해냄새를 여과하고 차량 실내의 깨끗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재(14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밀착되며, 내부로 상기 필터부재(130)를 감싸며, 공기의 바이패스가 차단되도록 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에 하기로 한다.
상기 리브(15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시트부재(140)와 이격되며, 상기 필터부재(130)와 인접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150)는 상기 유입구(112,113)로부터 불순물이 상기 필터부재(130)를 통하게 하고 공기의 바이패스가 차단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에 하기로 한다.
이하부터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에서 유입된 공기의 불순물이 상기 필터부재(130)를 통하게 하고 공기의 바이패스를 방지하도록 하는 형상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 시트부재(140)는 상하 높이가 상기 필터부재(130)보다 크게 형성되며, 내부로 상기 필터부재(130)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재(140)는 푹신한 신축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아크릴(Acrylic) 중 어느 하나 일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와 같이 상기 필터부재(130)를 감싸는 상기 시트부재(140)가 신축성을 갖게 하기에 상기 필터부재(130)가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틈새 없이 밀착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의 유입되는 공기의 바이패스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브(15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필터안착부(115)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150)는, 상기 필터안착부(115)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상기 필터안착부(115)의 돌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과 다르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150)는 상하방향(E1) 높이가 좌우방향(E2)보다 더 크거나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브(150)가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내면에 배치가 되기에 상기 유입구(112,113)로 유입된 공기의 불순물이 상기 필터부재(130)로 통과되도록 한다.
즉, 상기 유입구(112,11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불순물이 상기 필터부재(130)로 적절하게 통과되도록 되기에 먼지 및 유해냄새가 걸러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차량의 탑승자 및 운전자에게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필터의 안착이 불안정하여 공조케이스와의 틈새를 통하여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가 되어 버리게 된다.
이로 인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필터의 불순물 제거가 적절하게 되지 못하게 되어 차량의 실내로 깨끗한 공기가 적절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탑승자 및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어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하는데 다소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가 상부케이스의 내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필터 안착부로부터 돌출된 리브와 인접되며, 신축성을 갖는 시트부재와 결합됨으로써,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의 불순물이 필터부재로 통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기의 바이패스가 방지가 되며, 유입된 공기의 불순물이 필터부재로 통과 되도록 하기에 차량의 탑승자 및 운전자에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하고 차량용 공조장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10 : 상부케이스
111 : 필터삽입구 112,113 : 유입구
114 : 토출구 115 : 필터안착부
120 : 하부케이스 130 : 필터부재
140 : 시트부재 150 : 리브
200 : 필터

Claims (6)

  1. 공기를 유입하고 토출하는 유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면으로 배치되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와 결합되는 필터부재로 구비되는 필터;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필터안착부; 및
    상기 필터안착부와 인접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시트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시트부재 보다 상하 높이가 작은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내부로 상기 필터부재를 감싸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필터안착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필터안착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상기 필터안착부의 돌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과 다르게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00166692A 2020-12-02 2020-12-02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077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692A KR20220077985A (ko) 2020-12-02 2020-12-02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692A KR20220077985A (ko) 2020-12-02 2020-12-02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985A true KR20220077985A (ko) 2022-06-10

Family

ID=8198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692A KR20220077985A (ko) 2020-12-02 2020-12-02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9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1159A (en) Built-in vehicle air filtration system
EP228971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EP0684152A1 (en) Air filter mounting structure in air conditioning device
JPH04212619A (ja) トラクタ運転台のための換気装置
JP2008230597A (ja) 車両通風系統用エアフィルタ付きファン装置
US6722152B1 (en) Fresh air intake filter and multi function grill
KR2022007798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2876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747681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通風ユニット
KR100376908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설치구조
KR2009006642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05640B1 (ko) 온열 공기청정기
JP606683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5691470B2 (ja) 車両用送風装置
EP1413465A2 (en)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on system for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JP2998332B2 (ja) 天井設置型車両用クーリングユニット
JP2004122815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228722B2 (ja) 車両空調装置用吸込防止構造
KR200290337Y1 (ko) 공기 정화용 필터 조립체 고정 장치
JPH09156361A (ja) 空調機用フィルタ
JP200424990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210053669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0150334A1 (ja) 空調ユニットの配設構造
KR20230166796A (ko) 공기청정기
JPS60174316A (ja) 自動車用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