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702A - 복합방수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복합방수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702A
KR20220077702A KR1020200166899A KR20200166899A KR20220077702A KR 20220077702 A KR20220077702 A KR 20220077702A KR 1020200166899 A KR1020200166899 A KR 1020200166899A KR 20200166899 A KR20200166899 A KR 20200166899A KR 20220077702 A KR20220077702 A KR 20220077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urface
layer
construction
asphalt
water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079B1 (ko
Inventor
이갑기
소순열
Original Assignee
조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0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5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film-forming sub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면과 복합방수층의 사이에 기압(기체)을 외부로 배기하도록 된 배기통로를 형성하여 시공면과 복합방수층의 사이에 발생되는 기압(수증기 등)을 배출하도록 됨에 따라, 방수품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됨은 물론, 특히, 외부 태양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의 영역 중 적외선(열선)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로부터 방수층의 열화방지 및 콘크리트 내부로 전달되는 복사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가 상기 시공면을 평면상 분할구획하면서 적층 폐쇄하도록 된 아스팔트시트들로 형성되는 아스팔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아스팔트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면서 도포되는 수용성우레탄도막층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성우레탄도막층의 상부에 적층되면서 도포되는 차열일체형폴리우레아도막층을 형성하되; 상기 시공면과 상기 아스팔트층의 사이에는, 상기 시공면을 기밀성을 가지도록 하여 평면상 다수의 분할공간으로 구획분리하도록 되며, 상기 아스팔트시트들이 접촉하는 부위의 '틈'을 폐쇄하도록 된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들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들과 상기 시공면의 사이에는, 수증기가 유통되어 상기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에 의해 분할구획되는 각각의 공간들에 수증기를 분산하면서 외부로 기압을 배출하도록 된 수증기분산용테이프가 구비되는 복합방수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방수시공방법{Complex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아파트, 백화점, 대형마트, 학교, 전시장, 오피스 빌딩, 주차장 상부 슬래브 등의 최상부 옥상 및 정수장, 하수 처리장 관리 시설 등 최상부 바닥 등에 시공되어 방수층을 형성하도록 된 복합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면과 방수층의 사이에 기압(기체)을 외부로 배기하도록 된 배기통로를 형성하여 시공면과 방수층의 사이에 발생되는 기압(수증기 등)을 배출하도록 됨에 따라, 방수품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됨은 물론, 특히, 외부 태양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의 영역 중 적외선(열선)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로부터 방수층의 열화방지 및 콘크리트 내부로 전달되는 복사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복합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아파트, 백화점, 대형마트, 학교, 전시장, 오피스 빌딩, 주차장 상부 슬래브 등의 최상부 옥상 및 정수장, 하수 처리장 관리 시설 등 최상부 바닥 등에 시공되는 노출형 방수구조는 다양한 외부 환경 및 물리적 조건에 노출되어 있어, 다양한 요구조건에 부합되어야 한다.
첫째, 시공바닥에 부분절연 형태로 시공되지만 수증기압으로 인한 부풀음 발생이 없어야 한다.
둘째, 시공바닥에 부분절연 형태로 시공되지만 내풍압으로 인한 부풀음 발생이 없어야 한다.
셋째, 장기간 자외선노출(UV)로 인한 열화현상(잔갈림, 부스러짐)이 없어야 한다.
넷째, 콘크리트구조물의 건조수축 팽창 반복에 따른 균열발생에 대응이 가능해야 한다.
다섯째, 복합공법으로 적용 시 시트 접합부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상부에 시공되는 도막재 또는 시트재의 적용이 용이해야 한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137617호(명칭: 옥상복합방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2016.10.2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옥상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인접하게 맞댐형식으로 포설할 방수시트의 단부가 만날 프라이머 부위에 구멍이 방수시트의 포설방향에 놓이도록 하부 다중공형 시트를 포설하여 접착하는 단계; 하부 다중공형 시트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구멍이 하부 다중공형 시트 위에 구멍과 직교하도록 상부 다중공형 시트를 포설하여 접착하는 단계; 상부 다중공형 시트의 상면 중간에서 단부가 만나도록 맞댐방식으로 방수시트를 포설하여 시공면과 상부 다중공형 시트의 프라이머에 접착하는 단계; 상기 방수시트의 표면에 방수도료를 도포하여 방수도막을 마감하는 단계;의 순으로 시공하는 방수시공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77075호(명칭: 옥상 방수 시공 방법/2016.06.2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 표면에 부착된 불경화층, 부실한 시멘트층, 모래, 먼지, 유분의 오염물질을 작업자가 연삭기, 그라인더, 평삭기, 송풍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슬라브 표면 처리단계와, 상기 슬라브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의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형성하는 송풍홈 형성단계와, 상기 슬라브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며, 원통 관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송풍관을 매설하는 송풍관 설치단계와, 상기 슬라브의 상부면 중앙에 설치된 송풍관과 연결되며, 공기 또는 열풍을 상기 송풍관의 내부에 분사하여 상기 슬라브의 바닥면 내부에 습기 및 수분을 제거하는 강제열풍 분사단계와, 상기 슬라브의 바닥면 내부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슬라브의 상부면에 하도도장, 중도도장, 상도도장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상기 슬라브의 상부면에 방수도막을 형성하는 방수도장 도포단계와, 상기 슬라브의 상부면에 방수도막의 도포가 완료되면 일정 시간이상 자연건조시켜 상기 슬라브의 상부면에 방수도막의 건조를 완료하는 방수도막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옥상 방수 시공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27308호(명칭: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2012.11.1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옥상에 마련된 콘크리트 표면을 방수처리하기 위한 방수층 시공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표면을 청소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접착제층을 도포 형성하고 양생시키는 단계; 상기 접착제층의 상부에 1차 섬유보강재를 펼치고, 상기 접착제층에 하부면이 밀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1차 섬유보강재를 완전히 덮는 두께로서 1차 우레탄층을 도포하고, 상기 우레탄이 1차 섬유보강재를 침투하여 상기 접착제층에 결합되도록 하며, 1차 우레탄층을 양생시키는 단계; 상기 1차 우레탄층의 상부에 격자형 메쉬 구조로 이루어진 2차 섬유보강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2차 섬유보강재를 완전히 덮는 두께로서 2차 우레탄층을 도포하고, 상기 우레탄이 2차 섬유보강재를 침투하여 상기 접착제층에 결합되도록 하며, 2차 우레탄층을 양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2차 우레탄층의 상부에 탑 코팅층을 도포 및 양생시켜서 외부 자외선을 차단하여 우레탄층의 노화 현상 및 변색을 방지하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우레탄 방수 시공중에 발생하는 수증기 증발에 의한 에어포켓, 핀홀 그리고 기포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방수층의 시공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73079호(명칭: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 방수층 구조/2005.08.1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건물 옥상 방수 바탕 면을 평탄하게 조정하는 바탕조정단계와, 상기 건물 옥상 방수 바탕면에 다수개의 기반시트를 일측이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하여 기반층을 형성하는 기반층 형성단계와, 상기 기반시트의 겹쳐진 부분을 건물 옥상 방수 바탕면에 바탕 고정재로 부분 고정하는 기반층 고정단계와, 상기 바탕고정재가 설치된 기반층의 겹쳐진 부분을 접착고정재로 부착하는 이음부분 처리단계와, 상기 기반층에 속경성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 분사하여 방수피막을 형성하는 방수피막 형성단계와, 상기 방수피막 표면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도를 유지하고 속경성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에 의해 흩뿌려, 미끄럼방지를 위한 엠보싱 가공처리하는 엠보싱층 처리단계와, 상기 엠보싱 처리된 방수피막에 상도(Top-Coat)재를 도포하여 상도재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층 시공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137617호(2016.10.2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77075호(2016.06.2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27308호(2012.11.1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73079호(2005.08.1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옥상 노출로 적용되는 단일방수공법 또는 복합방수공법들은, 전면절연, 부분절연, 전면접착 형태로 시공되고 있다.
그런, 이러한 종래의 방수시공방법들은,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압에 의한 방수층의 부풀음 현상, 하부 바탕콘크리트의 거동 및 균열발생에 의한 방수층 동시 파단현상, 옥상부위로 바람이 이동하면서 바닥부위를 따라 발생되는 압력(내풍압)에 의해 지붕재(방수층)를 위로 들어 올리는 현상 등 물리적 조건과 외기 환경에 의해 방수층의 결함이 발생되고 이는 누수로 이어지고 있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특히, 단일 시트재료의 가장 큰 단점은 접합부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겹침 이음시 발생되는 시트 간 단차, 부착미비로 인한 누수경로 발생과 맞댄 이음 시 발생되는 고온 및 저온환경에 의한 시트변형, 맞댐 부위로 시트재료간 분리(박리 또는 파단)현상으로 누수취약부위 발생 등과 같은 하자발생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면과 방수층의 사이에 기압(기체)을 외부로 배기하도록 된 배기통로를 형성하여 시공면과 방수층의 사이에 발생되는 기압(수증기 등)을 배출하도록 됨에 따라, 방수품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하도록 됨은 물론, 특히, 외부 태양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의 영역 중 적외선(열선)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로부터 방수층의 열화방지 및 콘크리트 내부로 전달되는 복사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복합방수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은, 시공면의 상부에 복합방수층을 시공하도록 된 복합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다수개가 상기 시공면을 평면상 분할구획하면서 적층 폐쇄하도록 된 아스팔트시트들로 형성되는 아스팔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아스팔트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면서 도포되는 수용성우레탄도막층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성우레탄도막층의 상부에 적층되면서 도포되는 차열일체형폴리우레아도막층을 형성하되; 상기 시공면과 상기 아스팔트층의 사이에는, 상기 시공면을 기밀성을 가지도록 하여 평면상 다수의 분할공간으로 구획분리하도록 되며, 상기 아스팔트시트들이 접촉하는 부위의 '틈'을 폐쇄하도록 된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들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들과 상기 시공면의 사이에는, 수증기가 유통되어 상기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에 의해 분할구획되는 각각의 공간들에 수증기를 분산하면서 외부로 기압을 배출하도록 된 수증기분산용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는, 상기 시공면에 평면상 서로 직각상으로 교차는 '그물형상'으로 배치 형성되어 외부와 시공면에 대한 기밀성을 확보하면서 상부에 적층되는 다수의 아스팔트시트들의 사이공간에 대한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증기분산용테이프는, 길이를 가지며 '부직포'를 재질로 하는 상기 탈기밴드와; 상기 탈기밴드의 하부에 적층결합되며 상기 시공면에 적층고정되며 길이를 가지는 'PE 튜브'를 재질로 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성우레탄도막층 및 상기 차열일체형폴리우레아도막층을 형성하도록 각각 도포되는 액상의 도막재들은, 직선이동운동에 따라 이동되는 스퀴지가 구비된 도막균질화장치에 의해 고른 두께를 가지면서 균질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되되; 상기 도막균질화장치는, 길이를 가지며 하단에 길이를 가지는 상기 스퀴지가 탈부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양단에 구비되며 외측단에 상기 시공면에 대하여 구름운동하도록 된 주행바퀴가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시공면과의 사이간격을 각각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스쿼지의 하단과 상기 시공면의 사이간격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며 각각의 상기 주행바퀴들이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주행부들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은, 시공면과 방수층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압을 수증기분산용테이프를 통해 전체면적에 걸쳐 고르게 분산하면서 외부로 안정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종래의 방수시공방법이 가지는 노출형 방수재료의 고질적 문제점인 부풀음 현상을 해결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시공면과 방수층의 사이에 기압(기체)을 외부로 배기하도록 된 배기통로를 형성하여 시공면과 방수층의 사이에 발생되는 기압(수증기 등)을 배출하도록 됨에 따라, 방수품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도막균질화장치를 통해 시공현장에서 도막재료만을 단일로 적용하여 연속성 있는 방수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아스팔트시트의 접합부처리시에 발생되는 단차문제와 접합부 수밀 안정성을 해결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도막균질화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주행부들을 통해 시공면과 스쿼지의 사이간격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원하는 두께의 방수층을 균질하게 형성하도록 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에 적용되는 탈기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내지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에 적용되는 도막균질화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은, 단일 도막재 또는 시트재와 도막재가 복합 적용된 노출형 복합방수시공방법으로서, 무기질계 도막재를 단일 시공하는 타입, 시트재료시공 후 도막재를 시공하는 타입, 시트재료 시공 후 노출시트로 마감하는 방법에 각각 현장적용이 가능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아파트, 백화점, 대형마트, 학교, 전시장, 오피스 빌딩, 주차장 상부 슬래브 등의 최상부 옥상 및 정수장, 하수 처리장 관리 시설 등 최상부 바닥 등과 같은 시공면(100)에 복합방수층(200)을 형성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은, 시트재 방수층과 토막재 방수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복합방수층(200)을 형성하도록 된 것으로, 시트재 방수를 형성하는 아스팔트시트(4)들로 이루어지는 아스팔트방수층과 도막재 방수를 형성하는 수용성우레탄도막층(5) 및 차열일체형폴리우레아도막층(6)을 각각 시공하는 것을 이루어진다.
즉, 다수개가 상기 시공면(100)을 평면상 분할구획하면서 적층 폐쇄하도록 된 상기 아스팔트시트(4)들로 형성되는 아스팔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아스팔트시트(4)의 상부에 적층되면서 도포되는 상기 수용성우레탄도막층(5)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성우레탄도막층(5)의 상부에 적층되면서 도포되는 상기 차열일체형폴리우레아도막층(6)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복합방수층(200)은, 상기 차열일체형폴리우레아도막층(6)을 통해 외부 태양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의 영역 중 적외선(열선)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로부터 방수층의 열화방지 및 콘크리트 내부로 전달되는 복사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에서, 상기 시공면(100)과 상기 아스팔트층의 사이에는, 상기 시공면(100)을 기밀성을 가지도록 하여 평면상 다수의 분할공간으로 구획분리하도록 되며, 상기 아스팔트시트(4)들이 접촉하는 부위의 '틈'을 폐쇄하도록 된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7)들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7)들의 사이에 분할구획된 공간들이 형성되면서 상기 시공면(100)에 상기 아스팔트시트(4)들이 접착고정된다.
이때. 상기 아스팔트시트(4)들이 접촉하는 부위의 '틈'들이 안정되게 밀폐되도록 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스팔트시트(4)들이 접촉하는 부위의 '틈'들의 상부에는, 보강용메쉬(8)를 통해 접착고정하여 상기 아스팔트층의 구조적안정성을 더욱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7)들은, 상기 시공면(100)에 평면상 서로 직각상으로 교차는 '그물형상'으로 배치 형성되어 외부와 시공면(100)에 대한 기밀성을 확보하면서 상부에 적층되는 다수의 상기 아스팔트시트(4)들의 접합면들의 사이공간에 대한 기밀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에서, 상기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7)들과 상기 시공면(100)의 사이에는, 수증기가 유통되어 상기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7)에 의해 분할구획되는 각각의 공간들에 수증기를 분산하면서 외부로 기압을 배출하도록 된 수증기분산용테이프(1)가 구비되어, 상기 시공면(100)에 탈기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시공면(100)과 상기 복합방수층(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탈기통로를 통해 상기 시공면(콘크리트구조물)(10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상기 수증기분산용테이프(1)들을 통해 전체면적으로 고르게 분산시키면서 외부로 안정적으로 배출함으로써, 부풀음 현상 등과 같은 방수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방수품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에서, 상기 수증기분산용테이프(1)는, 길이를 가지며 '부직포'를 재질로 하는 상기 탈기밴드(11)와; 상기 탈기밴드(11)의 하부에 적층결합되며 상기 시공면(100)에 적층고정되며 길이를 가지는 'PE'를 재질로 하는 고정밴드(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수증기분산용테이프(1)가 상기 고정밴드(12)의 상부에 상기 탈기밴드(11)가 적층되면서 결합된 '2중 밴드구조'로 이루어져, 시공작업의 편의성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밴드(12)에는, 상기 시공면(100)에서 발생된 수증기압이 경우하여 상기 탈기밴드(11)로 유도하도록 된 관통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3)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밴드(12)가 상기 시공면(100)과 상기 탈기밴드(11)의 사이를 방수차단하여 상기 탈기밴드(11)를 경유하는 수증기압이 상기 시공면(100)으로 역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배기하도록 됨은 물론, 상기 통기공(13)들을 통해서 상기 시공면(100)에서 발생된 수증기압이 상기 탈기밴드(11)로 안정되게 유도되도록 됨에 따라, 방수구조 및 기압배출구조의 안정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에서, 상기 수용성우레탄도막층(5) 및 상기 차열일체형폴리우레아도막층(6)을 형성하도록 각각 도포되는 액상의 도막재들은, 직선이동운동에 따라 이동되는 스퀴지(21)가 구비된 도막균질화장치(2)에 의해 고른 두께를 가지면서 균질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도막균질화장치(2)를 통해 시공현장에서 상기 시공면(100)에 도막재료만을 단일로 적용하여 연속성 있는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시트재 접합부 처리 시에 발생되는 단차문제와 접합부 수밀 안정성을 해결하게 된다.
상기에서 도막균질화장치(2)는, 길이를 가지며 하단에 길이를 가지는 상기 스퀴지(21)가 탈부착되는 고정대(22)와, 상기 고정대(22)의 양단에 구비되며 외측단에 상기 시공면(100)에 대하여 구름운동하도록 된 주행바퀴(23)가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고정브라켓(24)과, 상기 고정대(22)에 회동가능하게 결속되는 손잡이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시공면(100)에 액상의 '도막재료'가 도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대(25)에 연결결속되는 손잡이봉(3)을 손으로 잡고 밀면, 상기 주행바퀴(23)가 상기 시공면(100)에 접촉하면서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고정대(22)에 고정된 상기 스퀴지(21)가 상기 도막재료를 균질한 두께를 가지도록 평탄화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브라켓(24)에는, 도 12 내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시공면(100)과의 사이간격을 각각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스쿼지(21)의 하단과 상기 시공면(100)의 사이간격(L1)(L2)(L3)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며 각각의 상기 주행바퀴(23)들이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주행부(26)들이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스퀴지(21)의 하단과 상기 시공면(100)과의 사이간격(L1)(L2)(L3)을 각각 다르게 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브라켓(24)에 고정되는 다양한 상기 주행부(26)들을 통해 상기 시공면(100)과 상기 스쿼지(21)의 사이간격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원하는 두께의 상기 방수층(200)을 균질하게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현장에서 방수층의 시공품질을 극대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행부(26)는, 상기 고정브라켓(24)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3개의 변'에 배치되며, 상기 주행부(26)상에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공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2개의 상기 주행바퀴(23)들이 1조를 이루면서 상기 주행부(26)를 형성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24)에 '3개'의 주행부(26)를 각각 형성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각각의 선택된 두께를 가지는 상기 복합방수층(200)을 형성하도록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24)은, 최소한 '3개의 변'을 가지는 '다각형'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주행부(26)들의 사이에 상기 주행바퀴(23)가 고정되는 고정변들이 각각 형성된 '6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잇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주행바퀴(23)는, 외주면이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시공면(100)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하도록 되어, 상기 주행바퀴(23)의 구름운동폭이 상기 복합방수층(200)을 침해하지 않도록 하여 방수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브라켓(24)에서 상기 고정대(22)와 접속하는 측단면에는, 상기 고정대(22)의 양단이 끼움결속하여 고정되는 결속홈(27)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속홈(27)들은, 상기 주행부(26)들의 중심과 상기 고정브라켓(24)의 중심을 직각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상에 형성되어, 상기 스퀴지(21)가 상기 주행부(26)의 중심에서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시공면(100)에 도포되는 방수도포막을 직각상으로 밀면서 균질하게 도포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대(22)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24)을 관통하면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결속나사봉(28)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924)에 나사결속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고정대(22)와 상기 손잡이대(25)는, '고관절(股關節;coxa)' 구조로 결속되어 상기 손잡이대(25)의 자유로이 절곡되어도 상기 고정대(22)의 수직 및 수평상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되어, 상기 방수층(200)의 균질화작업시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작업시 인가하는 힘이 편중되더라도, 상기 고정대(22)의 자세가 가변되지 않아 작업이 안정되게 이루어져 작업품질이 극대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방수시공방법은, 상기 시공면(100)과 상기 복합방수층(200)의 사이에 기압이 배기되도록 된 상기 탈기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시공면(100)에서 발생되는 기압(수증기)을 안정적으로 배기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수증기분산용테이프 11 : 탈기밴드
12 : 고정밴드 13 : 통기공
2 : 도막균질화장치 21 : 스퀴지
22 : 고정대 23 : 주행바퀴
24 : 고정브라켓 25 : 손잡이대
26 : 주행부 27 : 결속홈
28 : 결속나사봉 3 : 손잡이봉
4 : 아스팔트시트 5 : 수용성우레탄도막층
6 : 차열일체형폴리우레아도막층 7 :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
8 : 보강용메쉬
100 : 시공면 200 : 복합방수층

Claims (4)

  1. 시공면의 상부에 복합방수층을 시공하도록 된 복합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다수개가 상기 시공면을 평면상 분할구획하면서 적층 폐쇄하도록 된 아스팔트시트들로 형성되는 아스팔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아스팔트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면서 도포되는 수용성우레탄도막층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성우레탄도막층의 상부에 적층되면서 도포되는 차열일체형폴리우레아도막층을 형성하되;
    상기 시공면과 상기 아스팔트층의 사이에는,
    상기 시공면을 기밀성을 가지도록 하여 평면상 다수의 분할공간으로 구획분리하도록 되며, 상기 아스팔트시트들이 접촉하는 부위의 '틈'을 폐쇄하도록 된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들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들과 상기 시공면의 사이에는,
    수증기가 유통되어 상기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에 의해 분할구획되는 각각의 공간들에 수증기를 분산하면서 외부로 기압을 배출하도록 된 수증기분산용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보강실란트밴드는,
    상기 시공면에 평면상 서로 직각상으로 교차는 '그물형상'으로 배치 형성되어 외부와 시공면에 대한 기밀성을 확보하면서 상부에 적층되는 다수의 아스팔트시트들의 사이공간에 대한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분산용테이프는,
    길이를 가지며 '부직포'를 재질로 하는 상기 탈기밴드와;
    상기 탈기밴드의 하부에 적층결합되며 상기 시공면에 적층고정되며 길이를 가지는 'PE 튜브'를 재질로 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우레탄도막층 및 상기 차열일체형폴리우레아도막층을 형성하도록 각각 도포되는 액상의 도막재들은,
    직선이동운동에 따라 이동되는 스퀴지가 구비된 도막균질화장치에 의해 고른 두께를 가지면서 균질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되되;
    상기 도막균질화장치는,
    길이를 가지며 하단에 길이를 가지는 상기 스퀴지가 탈부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양단에 구비되며 외측단에 상기 시공면에 대하여 구름운동하도록 된 주행바퀴가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시공면과의 사이간격을 각각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스쿼지의 하단과 상기 시공면의 사이간격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며 각각의 상기 주행바퀴들이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주행부들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시공방법.
KR1020200166899A 2020-12-02 2020-12-02 복합방수시공방법 KR102508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899A KR102508079B1 (ko) 2020-12-02 2020-12-02 복합방수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899A KR102508079B1 (ko) 2020-12-02 2020-12-02 복합방수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702A true KR20220077702A (ko) 2022-06-09
KR102508079B1 KR102508079B1 (ko) 2023-03-09

Family

ID=8198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899A KR102508079B1 (ko) 2020-12-02 2020-12-02 복합방수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030A1 (ko) 2021-08-13 2023-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079A (ko) 2004-01-08 2005-07-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1148090B1 (ko) * 2011-04-29 2012-05-22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차열방수공법
KR20120127308A (ko)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판의 텍스처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341052B1 (ko) * 2013-09-04 2013-12-11 (주)리뉴시스템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KR20160077075A (ko) 2013-10-29 2016-07-0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부극 활물질, 부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160137617A (ko) 2014-05-02 2016-11-30 폴리텍스 스포르트베래게 프로둑티온스 게엠베하 핵형성제를 사용한 인공 잔디의 제조방법
KR101773079B1 (ko) * 2017-06-05 2017-09-12 (주)한은이앤씨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39151B1 (ko) * 2018-08-13 2019-11-22 조양산업 주식회사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079A (ko) 2004-01-08 2005-07-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1148090B1 (ko) * 2011-04-29 2012-05-22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차열방수공법
KR20120127308A (ko)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판의 텍스처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341052B1 (ko) * 2013-09-04 2013-12-11 (주)리뉴시스템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KR20160077075A (ko) 2013-10-29 2016-07-0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부극 활물질, 부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160137617A (ko) 2014-05-02 2016-11-30 폴리텍스 스포르트베래게 프로둑티온스 게엠베하 핵형성제를 사용한 인공 잔디의 제조방법
KR101773079B1 (ko) * 2017-06-05 2017-09-12 (주)한은이앤씨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39151B1 (ko) * 2018-08-13 2019-11-22 조양산업 주식회사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030A1 (ko) 2021-08-13 2023-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079B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4594B1 (en) Multi-layer covering
US4021981A (en) Insulated water impermeable roofing system
KR100524221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US20160230382A1 (en) Pre-fabricated construction panels
KR101286931B1 (ko)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20220077702A (ko) 복합방수시공방법
KR101281533B1 (ko) 복합 시트를 이용한 옥상 구조물의 단열-방수 시공 방법
US11933051B2 (en) Rolled roof standing seam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10202774B2 (en) Fitting external insulation systems to buildings
KR100913408B1 (ko) 탈기기능을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공법
KR100530801B1 (ko) 통기성 방수시트
BR112020014261B1 (pt) Elemento de cobertura para pisos suspensos, e sistema de piso suspenso
KR101557941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CN104005503A (zh) 一种平屋面模块化结构
ES2364404T3 (es) Revestimiento multicapa.
KR101963938B1 (ko) 건물 옥상의 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1083910B1 (ko) 탈기반이 제공된 방수시트, 방수층 시공용 기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DE102014108815B4 (de) Unterbauelement
KR101432938B1 (ko) 함침홀 타공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복합방수층 시공방법
CN219080855U (zh) 一种装配式地面铺设结构
KR20160143398A (ko)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슬래브용 방수공법
KR101222290B1 (ko)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CN100510288C (zh) 现场复合型轻钢维护体系保温隔汽建筑构造及施工方法
KR100682236B1 (ko) 개량아스팔트 노출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시공방법
KR101545990B1 (ko)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슬래브용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