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052B1 -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 Google Patents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052B1
KR101341052B1 KR1020130106356A KR20130106356A KR101341052B1 KR 101341052 B1 KR101341052 B1 KR 101341052B1 KR 1020130106356 A KR1020130106356 A KR 1020130106356A KR 20130106356 A KR20130106356 A KR 20130106356A KR 101341052 B1 KR101341052 B1 KR 10134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layer
degassing
weigh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영택
이종용
조일규
강효진
Original Assignee
(주)리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뉴시스템 filed Critical (주)리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10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7/00Adhesives based on reclaimed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압을 효과적으로 분산 또는 방수층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프라이머 도포 후 탈기테이프(테이프가 일정간격으로 펀칭되어 있는 타입)를 격자 형태로 부착시키고, 시트 방수재 또는 도막 방수재를 시공하는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라이머층과, 이형 필름층의 저면에 점착층이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펀칭되어 있는 탈기 테이프를 격자 형태로 설치하여 탈기 테이프층이 형성되고, 상기 탈기 테이프층의 상부에 방수재층이 시공되는 콘크리트 방수 공법에서, 상기 탈기 테이프층을 이루는 탈기 테이프의 이형 필름층은 PET, PVC, 테프론, PE, PI 필름이며, 상기 탈기 테이프의 점착층은, 부틸아크릴레이트 33 중량% 내지 43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 35 중량% 내지 45 중량%; 아크릴산 5 중량% 내지 15 중량%; 촉매제 0.5 중량% 내지 1.5 중량%; 및 계면활성제 0.5 중량% 내지 1.5 중량%;이다.

Description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Concrete water proof constructing method using exhausting tape}
본 발명은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압을 효과적으로 분산 또는 방수층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프라이머 도포 후 탈기테이프(테이프가 일정간격으로 펀칭되어 있는 타입)를 격자 형태로 부착시킨 후 자착시트 및 노출시트를 시공하거나, 탈기테이프를 격자형태로 부착시킨 후 도막재를 도포하는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방수 공법은 일반시트의 부풀음 발생(a), 일반 도막재의 부풀음 발생(b), 자외선(UV) 열화로 인한 도막재 손상(c), 및 일반 도막재의 핀홀현상(d)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은 다공질인 재료적 특성상 상시적으로 외기습기나 수분을 흡수하여 내부에 존재하고 있으며,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고 온도가 상승하여 수증기압이 발생되면서 콘크리트 상층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 발생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탈기장치가 시공되지 않은 전면접착형태의 도막방수재 또는 시트방수재 또는 시트 및 도막 복합방수재는 수증기압이 배출되지 못하고 반복적인 부풀음 현상으로 파단 및 잔갈림 등이 발생되고 하자부위로 물이 유입되면서 누수현상으로 이어지고 실정이다.
또한, 노출방수공법 중 판상형 또는 돌출형 등의 탈기장치를 설치하여 방수층을 시공하는데 장치가 시공된 부위를 제외하고 방수층이 전면 접착되어 수증기압이 국부적으로만 배출됨으로서, 부풀음 발생을 완전하게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탈기장치 주위의 보강이 미비하거나 우천시 드레인 막힘으로 인해 물이 탈기장치 내부로 역류하여 누수발생의 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펀칭되어 있는 격자 형태로 설치하는 탈기 테이프층을 이용하여 탈기 테이프와 도막 방수재, 탈기 테이프와 도막 및 시트 방수재, 이형 테이프를 이용한 탈기방법 및 방수재, 시공방법이 다른 탈기테이프와 방수재 등으로 다양하게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프라이머층과, 이형 필름층의 저면에 점착층이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펀칭되어 있는 탈기 테이프를 격자 형태로 설치하여 형성되는 탈기 테이프층과, 상기 탈기 테이프층의 상부에 방수재층이 시공되는 콘크리트 방수 공법에서, 상기 탈기 테이프층을 이루는 탈기 테이프의 이형 필름층은 PET, PVC, 테프론, PE, PI 필름이며, 상기 탈기 테이프의 점착층은, 부틸아크릴레이트 33 중량% 내지 43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 35 중량% 내지 45 중량%; 아크릴산 5 중량% 내지 15 중량%; 촉매제 0.5 중량% 내지 1.5 중량%; 및 계면활성제 0.5 중량% 내지 1.5 중량%;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탈기 테이프의 점착층은, 18~28 중량%의 재생고무와, 6~15 중량%의 연화제와, 14~24 중량%의 점착부여제와, 40~60 중량%의 충진제와, 2~6 중량%의 SBS(styrene-butadiene-styrene)계열의 열가소성 수지를 기계식으로 강제 믹싱 혼합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수재층은, 아스팔트 시트, 합성고분자계 시트, 금속 시트, 및 자착식 시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시트 방수재층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수재층은, 우레탄 도막 또는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도막 또는 점착 유연형 도막 또는 폴리우레아 도막으로 이루어진 도막 방수재층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수재층은, 아스팔트 시트, 합성고분자계 시트, 금속 시트, 및 자착식 시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시트 방수재층; 또는 우레탄 도막 또는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도막 또는 점착 유연형 도막 또는 폴리우레아 도막으로 이루어진 도막 방수재층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간격으로 펀칭된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다양한 콘크리트 방수공법을 통해 부풀음 발생(Air Pocket)을 억제함으로써, 낮에 온도 상승으로 인해 부풀어 오르고 밤에 온도 하강으로 인해 가라앉는 반복적인 부풀음에 의한 방수층의 파단, 들뜸,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돌출된 탈기장치와 달리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물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탕면에 방수층이 전면 부착되는 형태가 아닌 탈기테이프에 의한 부분 절연(방수층이 일정면적만 부착되는 시공방법)으로 시공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으로 인한 방수층의 파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일반 옥상방수공법의 하자 종류를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기 테이프 형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료별로 탈기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방수공법 시공순서로서, 옥상노출방수공법 시공순서(시트타입)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노출방수공법 시공순서(도막재 타입)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 테이프와 시트 및 시트 방수재로 구성된 실시예(a), 탈기 테이프와 도막 방수재로 구성된 실시 예(b), 탈기 테이프와 도막 및 시트 방수재로 구성된 실시 예(c), 두줄로 설치된 탈기 테이프와 방수재로 구성된 실시 예(d), 시공방법이 다른 탈기 테이프와 방수재로 구성된 실시 예(e)를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층은 프라이머층(10)과, 일정간격으로 펀칭되어 있는 탈기테이프를 격자 형태로 설치하여, 격자 형태를 따라 수증기압이 분산되고 탈기로를 따라 벽체로 배출되도록 하는 탈기 테이프층(20), 자착식 시트 방수재층(30)과, 노출용 시트 방수재층(40)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프라이머층(10)을 설치하는 단계, 격자 형태로 수증기압이 분산되고 탈기로를 따라 벽체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이형 필름층의 저면에 점착층이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펀칭된 탈기 테이프를 격자 형태로 설치하여 탈기 테이프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탈기 테이프층(20) 상부에 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기 탈기 테이프층(20)을 이루는 탈기 테이프의 이형 필름층은 PET, PVC, 테프론, PE, PI 필름이며, 상기 점착층은, 부틸아크릴레이트 33 중량% 내지 43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 35 중량% 내지 45 중량%, 아크릴산 5 중량% 내지 15 중량%, 촉매제 0.5 중량% 내지 1.5 중량%, 계면활성제 0.5 중량% 내지 1.5 중량%를 기계식으로 강제 믹싱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부틸아크릴레이트 33 중량% 이하이거나 43 중량% 이상인 경우 신장률의 변화로 인한 품질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에틸아크릴레이트 35 중량% 이하이거나 45 중량% 이상인 경우 표면 점착력의 변화로 부착력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아크릴산 5 중량% 이하인 경우 재료간 분리 현상이 발생되고, 15 중량% 이상인 경우 재료간 결합 이상반응으로 인해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촉매제 0.5 중량% 이하이거나 1.5 중량% 이상인 경우 재료들간 결합 반응이 감소하거나 가속화되어 품질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계면활성제 0.5 중량% 이하이거나 1.5 중량% 이상인 경우 재료들간 분산성을 저하시키거나 결합 이상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탈기 테이프층(20)을 이루는 탈기 테이프의 점착층은, 18~28 중량%의 재생고무와, 6~15 중량%의 연화제와, 14~24 중량%의 점착부여제와, 40~60 중량%의 충진제와, 2~6 중량%의 SBS(styrene-butadiene-styrene)계열의 열가소성 수지를 기계식으로 강제 믹싱 혼합한다.
즉, 재생고무는 18 중량% 이하인 경우 탄성이 감소되고, 28 중량% 이상인 경우 재료 배합이 원활하지 않아 품질 저하가 될 수 있다.
연화제는 6 중량% 이하인 경우 재료의 유연성이 감소되며, 15 중량% 이상인 경우 재료의 유연성이 상승하여 재료 풀림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점착부여제는 14 중량% 이하인 경우, 부착력이 감소되며, 24 중량% 이상인 경우 과도한 사용에 따른 재료분리현상으로 품질 저하가 예상된다.
충진제는 40 중량% 이하이거나 60 중량% 이상인 경우 재료들간에 결합력이 저하되어 재료분리현상 등 품질저하의 우려가 있다.
SBS(styrene-butadiene-styrene)계열의 열가소성 수지는 2 중량% 이하인 경우 인장력이 증가되고, 6 중량% 이상인 경우 경도증가로 인한 품질 저하가 예상된다.
또한, 상기 방수재층은, 아스팔트 시트, 합성고분자계 시트, 금속 시트, 및 자착식 시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자착식 시트 방수재층(30) 또는 노출용 시트 방수재층(40) 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수재층은, 우레탄 도막 또는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도막 또는 점착 유연형 도막 또는 폴리우레아 도막으로 이루어진 도막 방수재층(5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수재층은, 아스팔트 시트, 합성고분자계 시트, 금속 시트, 및 자착식 시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시트 방수재층; 및 우레탄 도막 또는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도막 또는 점착 유연형 도막 또는 폴리우레아 도막으로 이루어진 도막 방수재층(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배출되는 수증기압이 탈기 테이프를 펀칭하여 형성된 타공 부위로 배출되고 탈기 테이프(탈기로)를 따라 이동하여 분산함으로써 방수층의 부풀음 발생을 억제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은 (a) 프라이머 도포 단계, (b) 탈기 테이프 설치 단계, (c) 자착식 시트 설치 단계, (d) 노출시트 설치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은 옥상노출방수공법 시공순서(도막재 타입)로서, (a) 프라이머 도포 단계, (b) 탈기 테이프 설치 단계, (c) 도막재 도포작업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탈기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공법의 핵심기능은 여름철에 옥상 방수공사에 있어서 바탕 콘크리트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태양열에 의해 가열이 되고 수분이 팽창함과 동시에 공기층(수증기압) 상승하여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Air Pocket)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신축건물인 경우 콘크리트 내부에 혼입된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표면이 건조되었다 하더라도 내부수분에 의해 수증기압이 발생하여 방수층 부풀음의 원인이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 테이프와 시트 및 시트 방수재로 구성된 실시예(a), 탈기 테이프와 도막 방수재로 구성된 실시 예(b), 탈기 테이프와 도막 및 시트 방수재로 구성된 실시 예(c), 두줄로 설치된 탈기 테이프와 방수재로 구성된 실시 예(d), 시공방법이 다른 탈기 테이프와 방수재로 구성된 실시 예(e)를 순서대로 보여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탈기테이프와 시트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의 구성 및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바탕면에 이물질 및 고인물 등을 제거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바탕면에 로울러를 사용하여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또한 프라이머 건조 후 펀칭된 테이프(이하 탈기테이프)를 격자 형태로 부착시킨다.
계속하여 탈기테이프 부착부위 외에 자착식 시트를 부착이 되도록 압착시킨다.
그리고 열기구를 사용하여 자착식 시트 전면에 노출시트를 부착시킨다.
또한 주변정리를 하여 시공을 마무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기테이프와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의 구성 및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바탕면에 이물질 및 고인물 등을 정리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바탕면에 로울러를 사용하여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또한 프라이머 건조 후 펀칭된 탈기 테이프를 격자 형태로 부착시킨다.
그리고 도막방수재를 전면적으로 도포한다.
마지막으로 주변정리를 하여 시공을 마무리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프라이머층 20 : 탈기 테이프층
30 : 자착식 시트 방수재층 40 : 노출용 시트 방수재층
50 : 도막 방수재층

Claims (5)

  1. 프라이머층과, 이형 필름층의 저면에 점착층이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펀칭되어 있는 탈기 테이프를 격자 형태로 설치하여 탈기 테이프층이 형성되고, 상기 탈기 테이프층의 상부에 방수재층이 시공되는 콘크리트 방수 공법에서,
    상기 탈기 테이프층을 이루는 탈기 테이프의 이형 필름층은 PET, PVC, 테프론, PE, PI 필름이며, 상기 탈기 테이프의 점착층은, 부틸아크릴레이트 33 중량% 내지 43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 35 중량% 내지 45 중량%, 아크릴산 5 중량% 내지 15 중량%, 촉매제 0.5 중량% 내지 1.5 중량%, 및 계면활성제 0.5 중량%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 테이프층을 이루는 탈기 테이프의 점착층은,
    18~28 중량%의 재생고무와, 6~15 중량%의 연화제와, 14~24 중량%의 점착부여제와, 40~60 중량%의 충진제와, 2~6 중량%의 SBS(styrene-butadiene-styrene)계열의 열가소성 수지를 기계식으로 강제 믹싱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재층은,
    아스팔트 시트, 합성고분자계 시트, 금속 시트, 및 자착식 시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시트 방수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재층은,
    우레탄 도막 또는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도막 또는 점착 유연형 도막 또는 폴리우레아 도막으로 이루어진 도막 방수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재층은,
    아스팔트 시트, 합성고분자계 시트, 금속 시트, 및 자착식 시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시트 방수재층; 또는
    우레탄 도막 또는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도막 또는 점착 유연형 도막 또는 폴리우레아 도막으로 이루어진 도막 방수재층;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KR1020130106356A 2013-09-04 2013-09-04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KR10134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356A KR101341052B1 (ko) 2013-09-04 2013-09-04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356A KR101341052B1 (ko) 2013-09-04 2013-09-04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052B1 true KR101341052B1 (ko) 2013-12-11

Family

ID=4998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356A KR101341052B1 (ko) 2013-09-04 2013-09-04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0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956B1 (ko) * 2016-04-04 2018-01-02 (주)재인비엔피 물탱크용 콘크리트 벽체의 응축수 배출구조
KR101880679B1 (ko) 2017-08-18 2018-07-23 주식회사 지엘 타설 콘크리트 접착형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7702A (ko) * 2020-12-02 2022-06-09 조양산업 주식회사 복합방수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74B1 (ko) 2006-04-12 2006-11-28 에이피에스엔지니어링(주) 노출형시트 방수구조 및 공법
KR101173410B1 (ko) 2011-09-26 2012-08-20 이동훈 복합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74B1 (ko) 2006-04-12 2006-11-28 에이피에스엔지니어링(주) 노출형시트 방수구조 및 공법
KR101173410B1 (ko) 2011-09-26 2012-08-20 이동훈 복합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956B1 (ko) * 2016-04-04 2018-01-02 (주)재인비엔피 물탱크용 콘크리트 벽체의 응축수 배출구조
KR101880679B1 (ko) 2017-08-18 2018-07-23 주식회사 지엘 타설 콘크리트 접착형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7702A (ko) * 2020-12-02 2022-06-09 조양산업 주식회사 복합방수시공방법
KR102508079B1 (ko) * 2020-12-02 2023-03-09 조양산업 주식회사 복합방수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052B1 (ko) 탈기 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공법
ES2657472T3 (es) Membrana impermeable al agua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40109500A1 (en) Modular roof panels
KR20120138496A (ko) 복합형 방수방근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025806B1 (ko) 옥상 보호모르타르 표면강화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CN105980642A (zh) 防蛇行可溶胀止水带
CN212504689U (zh) 一种高分子预铺卷材用自粘搭接胶带
KR101814707B1 (ko) 신축 및 기존 건물의 옥상 바닥 내부에서 발생 되는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용 유닛 및 그 유닛을 이용한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 시공 방법
KR100949548B1 (ko) Pvc 단열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0956884B1 (ko)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98491B1 (ko) 통기층과 단열성이 구비되는 옥상 방수공법
KR101455961B1 (ko) 탈기관을 구비한 지붕방수구조 및 그를 이용한 지붕방수 시공방법
KR101117482B1 (ko)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KR102039151B1 (ko)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24760B1 (ko) Pvc 복합방수시트와 그 제작방법, 그리고 그 복합방수시트의 이음방법과 복합방수공법
JP4564031B2 (ja) 塩ビシート防水構造とこれに用いる緩衝シート。
KR101020607B1 (ko)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CN205276463U (zh) 一种钢结构整体装配式楼体及其外围防护结构
KR101553296B1 (ko) 벨크로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방수 조립체 및 그 방수 공법
KR102144470B1 (ko) 방수층과 방수보호시트 간의 내박리성이 향상된 일체화 시공방법
JP6495641B2 (ja) 防水構造、及び、防水構造の脱気方法
KR101963939B1 (ko) 건물 옥상의 비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1558458B1 (ko) 방수테이프를 이용한 옥상방수공법
KR101044052B1 (ko) 점 접착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