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899A - 차량용 에어백 쿠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899A
KR20220076899A KR1020200165848A KR20200165848A KR20220076899A KR 20220076899 A KR20220076899 A KR 20220076899A KR 1020200165848 A KR1020200165848 A KR 1020200165848A KR 20200165848 A KR20200165848 A KR 20200165848A KR 20220076899 A KR20220076899 A KR 20220076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irbag cushion
vehicle
lower panel
j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936B1 (ko
Inventor
고민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936B1/ko
Priority to DE102020134796.0A priority patent/DE102020134796B4/de
Priority to US17/134,448 priority patent/US11414040B2/en
Priority to CN202011594152.0A priority patent/CN114633712B/zh
Publication of KR2022007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2개의 패널(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상호 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많지 않아 제조 원가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고,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패키지성 및 생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에어백 쿠션의 전개속도가 향상되고, 에어백 쿠션이 차체부품에 대해 지지구조를 가짐에 따라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 가능한 차량용 에어백 쿠션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쿠션 {AIR BAG CUSHION FOR A VEHICLE}
본 발명은 2개의 패널로 이루어지면서 에어백 쿠션의 전개 형상을 자유자재로 변경 가능한 차량용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air bag system)은 차량 충돌시 순간적으로 에어백을 부풀게 하여 충격으로 인한 부상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은, 운전석의 스티어링이나 조수석 등에 장착되는 것으로, 차량에 충격 발생시 인플레이터의 가스 공급에 의해 쿠션이 전개되어 탑승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종래의 에어백 쿠션은 하나의 메인 패널과, 메인 패널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패널로 구성되고, 메인 패널과 측면 패널의 내부에 형성된 충전실에는 전개시 전후 방향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전방 테더와, 전개시 좌우 방향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측방측 가로 테더 등이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의 쿠션은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수납공간 확보의 어려움이 있었고, 메인 패널과 측면 패널이 결합된 모서리 부위까지 가스를 채워야 하므로 팽창 속도가 느려져 탑승객을 보호하는데 불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0282호(2013. 06. 27. 공개, 발명의 명칭: 조수석 에어백 쿠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2개의 패널(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상호 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많지 않아 제조 원가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고, 부피를 축소할 수 있어 패키지성 및 생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에어백 쿠션의 전개속도가 향상되고, 에어백 쿠션이 차체부품에 대해 지지구조를 가짐에 따라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 가능한 차량용 에어백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쿠션은 상부패널과 하부패널로 구획되며,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양측단이 서로 접합되고, 하부패널은 양측으로 절개되어 만입홈이 형성되는 후면패널; 및 상단부가 상부패널에 접합되고 하단부가 하부패널에 접합되어 후면패널과 함께 챔버를 형성하며, 하단부가 하부패널의 만입홈에 삽입되어 접합됨에 따라 팽창시 상단부가 탑승자에 대응되고 하단부가 차체부품에 지지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한다.
상부패널은 하부패널과 연결 부위로부터 상측으로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고, 하부패널은 상부패널과 연결 부위로부터 하측으로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패널은 만입홈의 끝단에 직경이 커지도록 함몰되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만곡 부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패널에서 절개홈의 형성 위치는 팽창시 만곡 부위가 차체부품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패널은 만입홈을 형성하는 내측단이 함몰되게 곡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만곡 부위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입홈은 하부패널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지지부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패널에서 지지부는 팽창시 차체부품에 지지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패널의 끝단 폭과 하부패널의 끝단 폭은 팽창시 챔버의 팽창 형상 및 팽창 크기에 따라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면패널은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연결 부위에 가스주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면패널은 상부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 측단접합부와 상단접합부가 형성되고, 하부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 측단접합부와 하단접합부가 형성되어 상부 측단접합부와 하부 측단접합부의 접합을 통해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양측단이 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패널의 만입홈에는 테두리를 따라 만입접합부가 형성되고, 전면패널에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전면접합부가 형성됨으로써, 전면접합부를 통해 후면패널의 상단접합부, 하단접합부 및 만입접합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면패널은 팽창시 하단부가 후면패널의 만입홈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면패널은 하단부의 직경이 만입홈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팽창시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에어백 쿠션은 2개의 패널(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상호 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많지 않아 제조 원가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고,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패키지성 및 생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에어백 쿠션의 전개속도가 향상되고, 에어백 쿠션이 차체부품에 대해 지지구조를 가짐에 따라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 가능하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쿠션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후면패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후면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전면패널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쿠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쿠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후면패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후면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전면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쿠션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로 구획되며,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의 양측단이 서로 접합되고, 하부패널(120)은 양측으로 절개되어 만입홈(130)이 형성되는 후면패널(100); 및 상단부(210)가 상부패널(110)에 접합되고 하단부(220)가 하부패널(120)에 접합되어 후면패널(100)과 함께 챔버를 형성하며, 하단부(220)가 하부패널(120)의 만입홈(130)에 삽입되어 접합됨에 따라 팽창시 상단부(210)가 탑승자에 대응되고 하단부(220)가 차체부품(B)에 지지되는 전면패널(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차체부품(B)은 차량 실내에서 탑승석 전면부의 대시보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부품이 될 수 있다.
즉, 에어백쿠션(C)은 후면패널(100)과 전면패널(200)로 구성되고, 내부에 첨버를 형성하여 팽창시 탑승자를 보호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2개의 패널(후면패널(100)과 전면패널(200)의 상호 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많지 않아 제조 원가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고, 부피를 축소할 수 있어 패키지 및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후면패널(100)은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로 구획되며,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의 형상은 에어백쿠션(C)의 팽창시 형상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은 각 양측단이 서로 접합되어 내측으로 챔버를 형성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특히, 후면패널(100)의 하부패널(120)에는 전면패널(200)이 삽입되도록 함몰된 만입홈(130)이 형성되어, 만입홈(130)을 통해 전면패널(200)이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패널(100)은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의 연결 부위에 가스주입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스주입부(140)는 인플레이터로부터 전달되는 가스가 유입되는 곳으로,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이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챔버 내부에 가스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면패널(200)은 후면패널(100)에 결합되어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여 챔버를 형성한다. 즉, 전면패널(200)은 상단부(210)가 상부패널(110)에 접합되고, 하단부(220)가 하부패널(120)에 접합되어 후면패널(100)과 함께 챔버를 형성하며, 에어백쿠션(C)의 전개시 탑승자의 대면하게 된다.
특히, 전면패널(200)은 하단부(220)가 하부패널(120)의 만입홈(130)에 삽입되어 하부패널(120)에 접합된다.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C)의 전개시 전면패널(200)은 상단부(210)가 탑승자에 대응되어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하단부(220)가 차체부품(B)에 지지됨에 따라 에어백쿠션(C)이 지지력이 향상되어 탑승자를 더욱 안전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백쿠션(C)은 후면패널(100)과 전면패널(200)이 서로 접합되는 부분을 곡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곡선 형상은 에어백쿠션(C)의 팽창시 챔버 형상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에어백쿠션(C)의 팽창시 후면패널(100)에 결합된 전면패널(200)이 탑승자를 보호함과 더불어 차체부품(B)에 대해 지지력을 가짐으로써, 에어백쿠션(C)을 통한 탑승자의 보호 성능이 향상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패널(110)은 하부패널(120)과 연결 부위로부터 상측으로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고, 하부패널(120)은 상부패널(110)과 연결 부위로부터 하측으로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110)은 상측으로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고, 하부패널(120)은 하측으로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의 결합되는 전면패널(200)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의 폭을 크게 형성할 경우, 후면패널(100)에 접합되는 전면패널(200)의 크기도 커짐에 따라 팽창 부피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C)은 전면패널(200)을 통한 탑승자의 보호범위가 확보되어 탑승자를 안전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은 각각 직경이 점차 커져 삼각형 형태를 이룸에 따라,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의 양측단을 접합시 후면패널(100)이 나팔 형태를 가짐으로써, 전면패널(200)과 접합을 통해 챔버를 가지는 에어백쿠션(C)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종류, 내부 구조, 다른 부품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의 직경이 결정될 수 있으며,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의 직경을 조절하여 에어백쿠션(C)의 전개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종이나 에어백쿠션(C)의 설치환경에 따라 에어백쿠션(C)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하부패널(120)은 만입홈(130)의 끝단에 직경이 커지도록 함몰되는 절개홈(121)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만곡 부위(A)가 형성된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하부패널(120)의 만입홈(130)에는 만입된 부분의 끝단에 절개홈(121)이 형성됨에 따라 내측으로 만곡 부위(A)가 돌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또한, 하부패널(120)은 만입홈(130)을 형성하는 내측단이 함몰되게 곡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만곡 부위(A)가 만입홈(13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면패널(200)의 하단부(220)는 만입홈(130)과 절개홈(121)에 매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만입홈(130)에서 만곡 부위(A)가 돌출되는 형태와 동일하게 하단부(220)가 돌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처럼, 전면패널(200)은 하단부(220)가 만곡 부위(A)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차체부품(B)에 대해 지지되는 면적이 확보되어 지지력 상승에 따른 에어백쿠션(C)의 구속력이 향상된다.
여기서, 절개홈(121)의 형성 위치는 에어백쿠션(C)의 팽창시 만곡 부위(A)가 차체부품(B)에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C)의 팽창시, 후면패널(100)의 만곡 부위(A)가 차체부품(B)에 지지되고, 전면패널(200)도 만곡 부위(A)에서 만곡되게 돌출되는 형태를 이룸에 따라 차체부품(B)에 대해 지지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입홈(130)은 하부패널(120)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지지부(131)가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만입홈(130)은 하부패널(120)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하부패널(120)은 양측으로 분기되고, 전면패널(200)의 하단부(220)가 만입홈(130)에 삽입되어 접합된다. 여기서, 만입홈(130)에는 지지부(131)가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후면패널(100)과 함께 전면패널(200)이 차체부품(B)에 대해 지지되는 면적이 확보되어 지지력 상승에 따른 에어백쿠션(C)의 구속력이 향상된다.
특히, 하부패널(120)에서 지지부(131)는 팽창시 차체부품(B)에 지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C)의 팽창시, 후면패널(100)에서 만입홈(130)에 돌출된 지지부(131)가 차체부품(B)에 지지되고, 만입홈(130)에 접합된 전면패널(200)도 지지부(131)가 돌출됨에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차체부품(B)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후면패널(100)을 이루는 하부패널(120)의 만입홈(130)에는 절개홈(121)에 의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만곡 부위(A)를 형성하거나, 만입홈(130)의 내측으로 지지부(131)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만입홈(130)에 접합되는 전면패널(200)의 하단부(220)도 하부패널(120)의 돌출 형상과 동일하게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C)의 팽창시 후면패널(100)에 접합된 전면패널(200)의 상단부(210)를 통해 탑승자를 보호함과 더불어, 전면패널(200)의 하단부(220)가 후면패널(100)의 만곡 부위(A) 또는 지지부(131)의 돌출 형상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에어백쿠션(C)이 차체부품(B)에 대해 지지되어 에어백쿠션(C)의 구속력이 향상된다.
한편, 상부패널(110)의 끝단 폭과 하부패널(120)의 끝단 폭은 팽창시 챔버의 팽창 형상 및 팽창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종류, 내부 구조, 다른 부품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상부패널(110)의 끝단 폭과 하부패널(120)의 끝단 폭을 조절함으로써, 에어백쿠션(C)의 전개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종이나 에어백쿠션(C)의 설치환경에 따라 에어백쿠션(C)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면패널(200)은 팽창시 하단부(220)가 후면패널(100)의 만입홈(130)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전면패널(200)은 하단부(220)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에어백쿠션(C)의 팽창시 전면패널(200)의 하단부(220)가 차체부품(B)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면패널(200)은 하단부(220)의 직경이 만입홈(1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팽창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면패널(200)은 하단부(220)의 직경이 만입홈(1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른 길이차이에 의해 전면패널(200)의 변형량이 확보된다.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C)의 팽창시 전면패널(200)의 하단부(220)는 가스에 의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차체부품(B)에 대한 지지력이 확보된다.
한편, 후면패널은 상부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 측단접합부(150)와 상단접합부(160)가 형성되고, 하부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 측단접합부(170)와 하단접합부(180)가 형성되어 상부 측단접합부(150)와 하부 측단접합부(170)의 접합을 통해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양측단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즉, 후면패널(100)의 상부패널(110)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부 측단접합부(150)와 상단접합부(160)가 형성되고, 하부패널(120)에는 테두리를 따라 하부 측단접합부(170)와 하단접합부(180)가 형성되며, 상부패널(110)의 양측단에 마련되는 상부 측단접합부(150)와 하부패널(120)의 양측단에 하부 측단접합부(170)의 접합을 통해 후면패널(100)이 에어백쿠션(C)의 후방 형상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은 양측단의 형상 및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부 측단접합부(150)와 하부 측단접합부(170)가 원활히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접합부(150)와 하부접합부(160)는 봉제되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면패널(100)은 상부 측단접합부(150)와 하부 측단접합부(170)가 서로 봉제됨으로써 에어백쿠션(C)의 후방부 형상을 형성함에 따라 에어백쿠션(C)의 팽창시 돌출량의 크기가 결정된다.
한편, 하부패널(120)의 만입홈(130)에는 테두리를 따라 만입접합부(132)가 형성되고, 전면패널(200)에는 상단부(210)와 하단부(220)의 테두리를 따라 전면접합부(230)가 형성됨으로써, 전면접합부(230)를 통해 후면패널(100)의 상단접합부(160), 하단접합부(180) 및 만입접합부(132)에 접합된다.
이처럼, 전면패널(200)에는 상단부(210)와 하단부(220)의 테두리를 따라 전면접합부(230)가 형성됨으로써, 후면패널(100)의 상단접합부(160), 하단접합부(180)에 접합되어 에어백쿠션(C)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패널(120)의 만입홈(130)에도 테두리를 따라 만입접합부(132)가 형성됨으로써, 전면패널(200) 하단부(220)의 전면접합부(230)가 만입접합부(132)에 접합된다. 이렇게, 전면패널(200)이 전면접합부(230)를 통해 후면패널(100)의 상단접합부(160), 하단접합부(180) 및 만입접합부(132)에 접합됨으로써, 에어백쿠션(C)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에어백 쿠션은 2개의 패널(전면패널(200)과 후면패널(100))의 상호 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많지 않아 제조 원가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고,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패키지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차량의 에어백 쿠션을 제공한다. 또한, 에어백 쿠션의 전개속도가 향상되고, 에어백 쿠션이 차체부품(B)에 대해 지지구조를 가짐에 따라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후면패널 110:상부패널
120:하부패널 121:절개홈
130:만입홈 131:지지부
132;만입접합부 140:가스주입부
150:상부 측단접합부 160:상단접합부
170:하부 측단접합부 180:하단접합부
200:전면패널 210:상단부
220:하단부 230:전면접합부

Claims (13)

  1. 상부패널과 하부패널로 구획되며,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양측단이 서로 접합되고, 하부패널은 양측으로 절개되어 만입홈이 형성되는 후면패널; 및
    상단부가 상부패널에 접합되고 하단부가 하부패널에 접합되어 후면패널과 함께 챔버를 형성하며, 하단부가 하부패널의 만입홈에 삽입되어 접합됨에 따라 팽창시 상단부가 탑승자에 대응되고 하단부가 차체부품에 지지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패널은 하부패널과 연결 부위로부터 상측으로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고, 하부패널은 상부패널과 연결 부위로부터 하측으로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패널은 만입홈의 끝단에 직경이 커지도록 함몰되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만곡 부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4. 청구항 3에 있어서,
    하부패널에서 절개홈의 형성 위치는 팽창시 만곡 부위가 차체부품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5. 청구항 3에 있어서,
    하부패널은 만입홈을 형성하는 내측단이 함몰되게 곡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만곡 부위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만입홈은 하부패널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지지부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7. 청구항 6에 있어서,
    하부패널에서 지지부는 팽창시 차체부품에 지지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패널의 끝단 폭과 하부패널의 끝단 폭은 팽창시 챔버의 팽창 형상 및 팽창 크기에 따라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9.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면패널은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연결 부위에 가스주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면패널은 상부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 측단접합부와 상단접합부가 형성되고, 하부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 측단접합부와 하단접합부가 형성되어 상부 측단접합부와 하부 측단접합부의 접합을 통해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양측단이 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하부패널의 만입홈에는 테두리를 따라 만입접합부가 형성되고,
    전면패널에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전면접합부가 형성됨으로써, 전면접합부를 통해 후면패널의 상단접합부, 하단접합부 및 만입접합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면패널은 팽창시 하단부가 후면패널의 만입홈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전면패널은 하단부의 직경이 만입홈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팽창시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쿠션.
KR1020200165848A 2020-12-01 2020-12-01 차량용 에어백 쿠션 KR10258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848A KR102589936B1 (ko) 2020-12-01 2020-12-01 차량용 에어백 쿠션
DE102020134796.0A DE102020134796B4 (de) 2020-12-01 2020-12-23 Airbagkissen für ein Fahrzeug
US17/134,448 US11414040B2 (en) 2020-12-01 2020-12-27 Air bag cushion for vehicle
CN202011594152.0A CN114633712B (zh) 2020-12-01 2020-12-29 用于车辆的安全气囊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848A KR102589936B1 (ko) 2020-12-01 2020-12-01 차량용 에어백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899A true KR20220076899A (ko) 2022-06-08
KR102589936B1 KR102589936B1 (ko) 2023-10-17

Family

ID=8158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848A KR102589936B1 (ko) 2020-12-01 2020-12-01 차량용 에어백 쿠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14040B2 (ko)
KR (1) KR102589936B1 (ko)
CN (1) CN114633712B (ko)
DE (1) DE10202013479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894A (ko) 2022-06-22 2023-12-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쿠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142A (ja) * 1999-12-07 2001-06-19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立体エアバッグ
JP2002046563A (ja) * 2000-08-07 2002-02-12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
KR20090118650A (ko) * 2008-05-14 2009-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쿠션
JP2018075970A (ja) * 2016-11-09 2018-05-17 タカタ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及び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4347A1 (de) * 1993-04-30 1994-11-03 Trw Repa Gmbh Aufblasbarer Gassack für Rückhaltesysteme in Fahrzeugen
DE19707997C2 (de) 1997-02-27 2000-10-26 Hs Tech & Design Beifahrerairbagvorrichtung
JP4923562B2 (ja) * 2005-11-10 2012-04-2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7216724A (ja) * 2006-02-14 2007-08-30 Autoliv Development Ab エアバッグ装置
KR101453417B1 (ko) * 2007-04-20 2014-10-2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US20110260436A1 (en) 2010-04-27 2011-10-27 Park Hae Kwon Passenger airbag apparatus
JP5837285B2 (ja) * 2010-04-28 2015-12-24 芦森工業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20130070282A (ko) 2011-12-19 2013-06-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쿠션
JP6085470B2 (ja) * 2012-12-21 2017-02-22 スズ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EP2955066B1 (en) 2013-02-07 2018-06-13 Autoliv Development AB Vehicular side airbag device
CN203793276U (zh) * 2014-03-05 2014-08-27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置于仪表板内的安全气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142A (ja) * 1999-12-07 2001-06-19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立体エアバッグ
JP2002046563A (ja) * 2000-08-07 2002-02-12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
KR20090118650A (ko) * 2008-05-14 2009-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쿠션
JP2018075970A (ja) * 2016-11-09 2018-05-17 タカタ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及び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33712A (zh) 2022-06-17
US11414040B2 (en) 2022-08-16
CN114633712B (zh) 2024-01-30
US20220169198A1 (en) 2022-06-02
DE102020134796A1 (de) 2022-06-02
KR102589936B1 (ko) 2023-10-17
DE102020134796B4 (de)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775B2 (en) Frontal airbag assemblies for reducing rotational velocity of a head of an occupant
EP3468844B1 (en) Frontal airbag assemblies for reducing rotational velocity of a head of an occupant
US9650010B2 (en) 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KR102171930B1 (ko) 에어백 모듈
JP6294963B2 (ja) 巻き付け型側面衝突エアバッ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988975B1 (en) Top tether for curtain airbag
EP2581276B1 (en) Tubular Airbag
EP1632405B1 (en) Airbag device
US8439395B2 (en) Air bag and air bag device
KR102614144B1 (ko) 차량 테이블용 에어백
KR101637205B1 (ko) 자동차용 측면 에어백
US7967327B2 (en) Knee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EP2059420B1 (en) AN AlRBAG
US20070057498A1 (en) Airbag device
US8931802B2 (en) Variable volume airbag
KR102589936B1 (ko) 차량용 에어백 쿠션
KR101250413B1 (ko) 통합형 에어백 모듈
KR20150022257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210050671A (ko) 에어백 시스템의 쿠션
WO2020174892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40083547A (ko) 조수석 에어백
KR20220000557A (ko) 차량의 에어백 쿠션
KR102638130B1 (ko)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2352146B1 (ko)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1360340B1 (ko) 차량의 커튼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