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039A -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039A
KR20220076039A KR1020200164802A KR20200164802A KR20220076039A KR 20220076039 A KR20220076039 A KR 20220076039A KR 1020200164802 A KR1020200164802 A KR 1020200164802A KR 20200164802 A KR20200164802 A KR 20200164802A KR 20220076039 A KR20220076039 A KR 20220076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unit
pressing
holding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694B1 (ko
Inventor
여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여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여동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20016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6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0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deforming the overlapping ends of the strip or 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을 결속하기 위해 제공된 밴드의 전방부가 코일의 외주면을 한바퀴 감싼 후, 중첩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플레이싱 유닛; 플레이싱 유닛 일측의 상부에 제공되어,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부를 상하로 가압하여 홀딩하는 더블 홀딩 유닛; 및 플레이싱 유닛 타측의 상부에 제공되어, 밴드의 중첩 부위의 타부를 상하로 가압하여 홀딩하는 싱글 홀딩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System for holding of band used for packing coil through selective pressurization}
본 발명은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철강 제품 중 코일(coil)을 포장하기 위해서 코일의 외면을 감싸는 밴드(band)를 결속하기 위해서 밴드의 중첩 부위를 가압하여 홀딩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철강 산업은 철을 녹여서 쇳물을 만들고 연주 및 압연 과정을 거쳐서 열연강판, 냉연강판, 후판, 철근, 강관 등의 철강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생산된 철강 제품은 자동차, 조선, 가전, 기계, 건설 등의 다양한 산업의 소재로 공급된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 19 펜데믹으로 인해 대부분의 산업이 셧다운 되면서, 철강 산업도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받게 되었다. 한국철강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2020년 1~7월의 명목소비량은 2860만톤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1.3% 감소하였으며, 이런 추세라면 연간 명목소비는 2009년 이후 11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세계 시장에서도 자동차, 조선 등의 전반적인 산업의 부진으로 인해 철강재 수출이 지난해 동기 6.5% 감소하여 타격이 클 것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철강 제품의 수요가 점차 둔화되면서 제한적인 수요 내에서 철강사들이 수익성과 성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철강 제품의 고부가가치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고부가가치화의 철강 제품을 생산 과정의 최종 단계에서는 철강 제품의 완벽한 포장이 중요하다. 철강 제품의 포장 및 결속의 과정에서 철강 제품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속이 철강 제품의 양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등록번호 제10-0530080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코일제품의 포장작업시 밴드를 통한 결속작업을 수행하는 코일제품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리프팅기의 코일제품 양측으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2 메인 샤트트를 갖춘 프레임부;와, 제 1 메인 샤프트의 전방에 수평하게 연결 고정된 제 1베이스에 설치된 제 1 밴드 유도판(44)과, 제 1 베이스에 설치된 실린더로서 유도판을 통과하는 밴드의 코일 쪼임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을 갖춘 제 1 결속부; 및, 제 2 메인샤트트의 전방에 설치된 제 2 베이스에 설치된 제 2 밴드 유도판과, 베이스의 상,하측에 일체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용접기와 밴드 피딩기 및, 제 2 베이스의 후방에 설치되어 유도판측으로 밴드를 공급하는 밴드 디스펜서를 갖춘 제 2 결속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등록번호 제10-1801839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제1 방향으로 코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에 접근하여 코일의 둘레에 밴드를 감아 결속하는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는,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프레임과, 승강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승강 프레임과 함께 하강한 후 코일에 접촉하여 코일의 둘레에 감긴 밴드를 접합하는 제1 헤드부 및 제2 헤드부와, 제1 헤드부 및 제2 헤드부의 각각에 밴드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와, 이동 프레임과 함께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컨베이어 상의 결속 위치로 이동하여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를 통과한 밴드가 코일의 둘레에 감기도록 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 및 제2 안내부를 구비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 (등록번호 제10-1701205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강판 코일을 포장을 위한 결속기에 적용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에 있어서, 다수의 플레이트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프레임; 프레임 일측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밴드의 곡률을 제거하여 교정하는 교정부; 교정부를 통과한 밴드를 이송하며, 밴드가 코일을 완전히 권취한 후에는 밴드에 장력을 인가하는 피딩부; 피딩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밴드를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고, 밴드에 작용하는 장력을 감지하는 가이드부; 밴드의 끝단을 클램핑하고, 절단하는 그립부; 및 겹쳐진 밴드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코일 밴드 결속 장치 (등록번호 제10-2027485호, 이하 특허문헌4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원통형상의 코일 양측면 끝단에 결합하는 외주링 외면을 밴드 결속하기 위한 코일 밴드 결속 장치에 있어서, 서로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2개의 단위 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 각 단위 베이스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코일의 측면을 지지하여 외주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2개의 지지부; 단위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 및 좌우로 이송하는 이송장치; 이송장치에 부착되어 밴드를 결속 작업을 수행하는 헤드모듈; 단위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포장용 코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장치; 및 지지부, 이송장치, 헤드모듈 및 컨베이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번호 제10-0530080호 등록번호 제10-1801839호 등록번호 제10-1701205호 등록번호 제10-2027485호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코일을 포장하기 위한 밴드를 결속하기 전에 밴드를 중첩시켜, 중첩 부위를 선택적으로 홀딩하고자 한다.
둘째,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부와 타부에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하여, 밴드를 고정시킨 후 결속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은 코일을 결속하기 위해 제공된 밴드의 전방부가 상기 코일의 외주면을 한바퀴 감싼 후, 상기 밴드의 상기 전방부가 중첩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플레이싱 유닛(placing unit); 상기 플레이싱 유닛 일측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플레이싱 유닛에 배치된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일부를 상하로 가압하여 홀딩하는 더블 홀딩 유닛(double holding unit); 및 상기 플레이싱 유닛 타측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플레이싱 유닛에 배치된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타부를 상하로 가압하여 홀딩하는 싱글 홀딩 유닛(single hold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상기 플레이싱 유닛은, 상기 플레이싱 유닛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의 외주면을 한바퀴 감싼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를 중첩하여 안착시키는 플레이트(plate)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 제1할로우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 제2할로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상기 플레이싱 유닛은, 상기 밴드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면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되는 가이딩(guiding)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상기 더블 홀딩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부 일측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하 이동되는 몸체를 형성하여, 상기 밴드 중 상기 중첩 부위의 일부의 상하를 가압하여 홀딩하는 더블 바디(double body)부; 상기 더블 바디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더블 바디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일부에 하향 만곡시켜 가압하는 더블 프레싱(double pressing)부; 및 상기 더블 바디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더블 바디부가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더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상기 더블 프레싱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일부의 상면을 가압하면 상기 더블 프레싱부와 상기 제1할로우부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밴드의 일부가 상기 제1할로우부로 만곡되어 상기 밴드가 홀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상기 더블 프레싱부는, 상기 더블 프레싱부의 외면에 소정의 링클이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정의 링클이 상기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면에 접촉하여 가압하면, 상기 밴드에 대한 홀딩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상기 싱글 홀딩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부 타측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하 이동되는 몸체를 형성하여, 상기 밴드 중 상기 중첩 부위의 타부의 상하를 가압하여 홀딩하는 싱글 바디(single body)부; 상기 싱글 바디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싱글 바디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타부에 하향 만곡시켜 가압하는 싱글 프레싱(single pressing)부; 및 상기 싱글 바디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싱글 바디부가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싱글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상기 싱글 프레싱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타부의 상면을 가압하면 상기 싱글 프레싱부와 상기 제2할로우부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밴드의 타측의 일부가 상기 제2할로우부로 만곡되어 상기 밴드가 홀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상기 더블 프레싱부는, 상기 싱글 프레싱부가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타부를 홀딩한 후,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일부를 가압하여 홀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상기 제1할로우부는, 상기 밴드는 상기 중첩 부위의 타부에 인접한 부위가 커팅되면, 상기 밴드의 결속 부위의 좌우 운동에 따른 마찰열의 발생시, 상기 좌우 운동의 고정 축을 형성하도록 홀딩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코일의 외주면을 한 바퀴 감싼 코일 포장용 밴드의 중첩 부위를 홀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더블 홀딩 유닛과 싱글 홀딩 유닛을 통해 코일 포장용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부와 타부를 하향 만곡시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밴드 결속 부위의 접합 시,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부와 타부에 홀딩력을 유지하여 코일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이 적용된 다양한 실시예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플레이싱 유닛에 밴드가 제공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더블 홀딩 유닛과 싱글 홀딩 유닛에 의해 밴드의 중첩 부위가 가압 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플레이싱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플레이싱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플레이싱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더블 홀딩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싱글 홀딩 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이 적용된 다양한 실시예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플레이싱 유닛에 밴드가 제공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더블 홀딩 유닛과 싱글 홀딩 유닛에 의해 밴드의 중첩 부위가 가압 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플레이싱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플레이싱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플레이싱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더블 홀딩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싱글 홀딩 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경우, 철강 제품 중 코일(coil, C)을 포장하기 위해서 코일(C)의 외면을 감싸는 밴드(band)를 결속하기 위해서 홀딩을 콘트롤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 코일(C)을 감싸는 밴드는 일정한 텐션을 가지고 코일(C)의 외주면을 한 바퀴 감싸게 되며, 코일(C)을 한 바퀴 돌아서 원점으로 온 밴드에 중첩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밴드의 중첩 부위를 결속하기 위해 홀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싱 유닛(placing unit, 100), 더블 홀딩 유닛(double holding unit, 200), 및 싱글 홀딩 유닛(single holding unit, 300)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가 코일(C)을 한 바퀴 돌아서 원점으로 돌아와 플레이싱 유닛(100)에 위치되도록 하며, 더블 홀딩 유닛(200)과 싱글 홀딩 유닛(300)은 플레이싱 유닛(100) 위로 배치되는 밴드의 중첩 부위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고 홀딩 하며, 밴드가 홀딩 되면 밴드의 결속 부위에 접합을 발생시켜 코일(C)을 결속 및 포장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말하는 밴드의 중첩 부위는 밴드가 코일(C)을 한 바퀴 돌아서 밴드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만나서 중첩되는 전체 부분 또는 일부분을 중첩 부위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밴드의 결속 부위는 밴드의 중첩 부위 중에서도 결속을 위해 밴드에 접합을 가하는 위치로 정의되며, 밴드의 결속 부위를 용접하여 코일(C)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플레이싱 유닛(100)은, 코일(C)을 결속하기 위해 제공된 밴드는 전방부가 코일(C)의 외주면을 한바퀴 감싼 후, 밴드의 전방부가 중첩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플레이싱 유닛(100)은 코일(C)의 상면에 배치되어, 코일(C)의 외주면을 한 바퀴 돈 밴드가 원점으로 돌아오는 곳에 구비되어, 밴드가 중첩 부위에 세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플레이싱 유닛(100)의 경우,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plate)부(110), 제1할로우부(120), 제2할로우부(130), 및 가이딩(guiding)부(14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플레이트부(110)는 도1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싱 유닛(100)의 몸체를 형성하며, 코일(C)의 외주면을 한 바퀴 감싼 밴드의 중첩 부위를 중첩하여 안착시키는 구성이다.
플레이트부(110)는 코일(C)의 외면 위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코일(C)을 결속하기 위해 제공되는 밴드는 플레이트부(110)의 상면을 지나서 코일(C)의 외주면을 한 바퀴 감싼 후 다시 플레이트부(110)로 돌아오게 된다. 밴드의 전방부는 플레이트부(110) 위에 위치하며, 밴드의 후방부는 밴드의 전방부 위에 위치하여 밴드가 중첩될 수 있게 된다.
제1할로우부(1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 구성이다.
제2할로우부(13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1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 구성이다.
제1할로우부(120)와 제2할로우부(130)는 더블 홀딩 유닛(200)과 싱글 홀딩 유닛(300)에 의해 밴드가 가압될 때, 더블 홀딩 유닛(200)과 싱글 홀딩 유닛(300)의 가압력에 의해 만곡 되는 밴드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제1할로우부(120)와 제2할로우부(130)는 더블 홀딩 유닛(200)과 싱글 홀딩 유닛(300)의 하향 이동에 따라 밴드의 일부를 수용하며, 밴드의 결속하기 위해서 밴드를 홀딩하고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가이딩부(140)의 경우,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가 플레이트부(110)의 상면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되는 구성이다.
가이딩부(140)는 제1할로우부(120)와 제2할로우부(130)의 사이에 제공되어, 플레이트부(11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가이딩부(140)는 플레이트부(110) 위로 이동하는 밴드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밴드가 코일(C)의 외주면의 중앙부에 감길 수 있도록 경로를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더블 홀딩 유닛(200)의 경우,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싱 유닛(100) 일측의 상부에 제공되어, 플레이싱 유닛(100)에 배치된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부(1a)를 상하로 가압하여 홀딩하는 구성이다.
더블 홀딩 유닛(200)은, 밴드의 중첩 부위에 존재하는 밴드의 전방부와 밴드의 후방부를 가압하여 홀딩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 바디(double body)부(210), 더블 프레싱(double pressing)부(220), 및 더블 동력부(23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더블 바디부(210)의 경우, 플레이트부(110)의 일측 상부에 제공되어, 상하 이동되는 몸체를 형성하여 밴드 중 중첩 부위의 일부(1a)의 상하를 가압하여 홀딩하는 구성이다.
더블 프레싱부(220)는 더블 바디부(21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더블 바디부(210)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부(1a)에 하향 만곡시켜 가압하는 구성이다. 이때, 더블 프레싱부(220)의 돌출 부위는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부(1a)를 가압하더라도 밴드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블 프레싱부(220)는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부(1a)의 상면을 가압하면, 더블 프레싱부(220)와 제1할로우부(120)가 맞물리게 되어, 밴드의 일부가 제1할로우부(120)로 만곡되어 밴드가 홀딩되도록 한다. 이때, 제1할로우부(120)는, 밴드의 중첩 부위의 타부(1b)에 인접한 부위가 커팅되면, 밴드의 결속 부위의 좌우 운동에 따른 마찰열 발생시, 좌우 운동의 고정 축을 형성하도록 홀딩력을 유지하는 역할까지 한다.
더블 프레싱부(220)의 외면에 소정의 링클이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링클이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면(1a)에 접촉하여 가압할 경우, 밴드와의 접촉 면적이 좁아짐에 따라 가압력을 증가하여, 홀딩력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더블 프레싱부(220)와 제1할로우부(120)의 형상으로만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부(1a)를 홀딩하기 때문에 마찰 용접이 진행될 때, 분진이 발생할 확률이 줄어든다.
더블 동력부(230)는 더블 바디부(210)의 상부에 연결되어 더블 바디부(210)가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더블 동력부(230)의 하부에는 더블 동력 전달부(231)가 연결되며, 더블 동력 전달부(231)를 통해서 더블 바디부(210)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싱글 홀딩 유닛(300)의 경우,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싱 유닛(100) 타측의 상부에 제공되어, 플레이싱 유닛(100)에 배치된 밴드의 중첩 부위의 타부(1b)를 상하로 가압하려 홀딩하는 구성이다.
싱글 홀딩 유닛(300)은 중첩 부위의 타부(1b)에 인접한 부위가 커팅된 다음, 커팅된 밴드의 중첩 부위의 타부(1b)를 가압하여 홀딩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의 싱글 홀딩 유닛(300)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 바디(single body)부(310), 싱글 프레싱(single pressing)부(320), 및 싱글 동력부(33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싱글 바디부(310)의 경우, 플레이트부(110) 타측 상부에 제공되어 상하 이동되는 몸체를 형성하여, 밴드 중 중첩 부위의 타부(1b) 상하를 가압하여 홀딩하는 구성이다.
싱글 프레싱부(320)의 경우, 싱글 바디부(31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싱글 바디부(3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밴드의 중첩 부위의 타부(1b)에 하향 만곡시켜 가압하는 구성이다.
싱글 프레싱부(320)의 돌출 부위 역시, 밴드의 중첩 부위의 타부(1b)를 가압하더라도 밴드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싱글 프레싱부(320)는 밴드의 중첩 부위의 타부(1b)의 상면을 가압하면, 싱글 프레싱부(320)는 제2할로우부(130)와 맞물리게 되어, 밴드의 타측의 일부가 제2할로우부(130)로 만곡되어 밴드가 홀딩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싱글 프레싱부(320)와 제2할로우부(130)의 형상으로만 밴드의 중첩 부위의 타부(1b)를 홀딩하기 때문에 마찰 용접이 진행될 때, 분진이 발생할 확률이 줄어든다.
싱글 동력부(330)의 경우, 싱글 바디부(3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싱글 바디부(310)가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싱글 동력부(33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워부(331), 제1전달부(332), 제2파워부(333), 제2전달부(334)로 구성된다.
싱글 동력부(330)에서는 제1파워부(331)와 제2파워부(333)로부터 발생하는 각각의 동력을 제1전달부(332)와 제2전달부(334)를 통해 싱글 바디부(31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제1전달부(332)는 제1파워부(331)와 싱글 바디부(310)의 상부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제2전달부(334) 역시, 제2파워부(333)와 싱글 바디부(310)의 측면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여 싱글 바디부(310)의 이동을 돕게 된다.
아울러, 코일(C)의 외주면에 감긴 밴드의 중첩 부위의 타부(1b)에 인접한 부위가 커팅된 후, 싱글 프레싱부(320)가 커팅된 밴드의 중첩 부위의 타부(1b)를 홀딩한 후, 더블 프레싱부(220)가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부(1a)를 가압하여 홀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밴드의 중첩 부위의 타부(1b)가 먼저 감겨서 있는 쪽이므로, 밴드의 중첩 부위 타부(1b)가 홀딩되지 않으면, 밴드의 전체가 코일(C)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감기지 못하고, 헐거워져서 풀릴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밴드 100: 플레이싱 유닛
110: 플레이트부 120: 제1할로우부
130: 제2할로우부 140: 가이딩부
200: 더블 홀딩 유닛 210: 더블 바디부
220: 더블 프레싱부 230: 더블 동력부
231: 더블 동력 전달부 300: 싱글 홀딩 유닛
310: 싱글 바디부 320: 싱글 프레싱부
330: 싱글 동력부 331: 제1파워부
332: 제1전달부 333: 제2파워부
334: 제2전달부 C: 코일

Claims (10)

  1. 코일을 결속하기 위해 제공된 밴드의 전방부가 상기 코일의 외주면을 한바퀴 감싼 후, 상기 밴드의 상기 전방부가 중첩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플레이싱 유닛(placing unit);
    상기 플레이싱 유닛 일측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플레이싱 유닛에 배치된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일부를 상하로 가압하여 홀딩하는 더블 홀딩 유닛(double holding unit); 및
    상기 플레이싱 유닛 타측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플레이싱 유닛에 배치된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타부를 상하로 가압하여 홀딩하는 싱글 홀딩 유닛(single hold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싱 유닛은,
    상기 플레이싱 유닛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의 외주면을 한바퀴 감싼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를 중첩하여 안착시키는 플레이트(plate)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 제1할로우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 제2할로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싱 유닛은,
    상기 밴드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면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되는 가이딩(guiding)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홀딩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부 일측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하 이동되는 몸체를 형성하여, 상기 밴드 중 상기 중첩 부위의 일부의 상하를 가압하여 홀딩하는 더블 바디(double body)부;
    상기 더블 바디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더블 바디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일부에 하향 만곡시켜 가압하는 더블 프레싱(double pressing)부; 및
    상기 더블 바디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더블 바디부가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더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프레싱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일부의 상면을 가압하면 상기 더블 프레싱부는 상기 제1할로우부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밴드의 일부가 상기 제1할로우부로 만곡되어 상기 밴드가 홀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프레싱부는,
    상기 더블 프레싱부의 외면에 소정의 링클이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정의 링클이 상기 밴드의 중첩 부위의 일면에 접촉하여 가압하면, 상기 밴드에 대한 홀딩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홀딩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부 타측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하 이동되는 몸체를 형성하여, 상기 밴드 중 상기 중첩 부위의 타부의 상하를 가압하여 홀딩하는 싱글 바디(single body)부;
    상기 싱글 바디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싱글 바디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타부에 하향 만곡시켜 가압하는 싱글 프레싱(single pressing)부; 및
    상기 싱글 바디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싱글 바디부가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싱글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프레싱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타부의 상면을 가압하면 상기 싱글 프레싱부는 상기 제2할로우부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밴드의 타측의 일부가 상기 제2할로우부로 만곡되어 상기 밴드가 홀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프레싱부는,
    상기 싱글 프레싱부가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타부를 홀딩한 후, 상기 밴드의 상기 중첩 부위의 일부를 가압하여 홀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할로우부는,
    상기 밴드는 상기 중첩 부위의 타부에 인접한 부위가 커팅되면,
    상기 밴드의 결속 부위의 좌우 운동에 따른 마찰열의 발생시, 상기 좌우 운동의 고정 축을 형성하도록 홀딩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KR1020200164802A 2020-11-30 2020-11-30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KR102482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802A KR102482694B1 (ko) 2020-11-30 2020-11-30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802A KR102482694B1 (ko) 2020-11-30 2020-11-30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039A true KR20220076039A (ko) 2022-06-08
KR102482694B1 KR102482694B1 (ko) 2022-12-29

Family

ID=8198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802A KR102482694B1 (ko) 2020-11-30 2020-11-30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6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606A (ja) * 1997-04-28 1998-11-10 Shigunoode Kk コイルの結束機
KR100530080B1 (ko) 2001-12-26 2005-11-2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KR101701205B1 (ko) 2016-04-08 2017-03-02 주식회사 삼정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
KR101801839B1 (ko) 2016-03-09 2017-11-28 주식회사 신우기전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KR102027486B1 (ko) * 2016-12-02 2019-10-0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의 제어 방법
KR102027485B1 (ko) 2016-12-02 2019-10-0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밴드 결속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606A (ja) * 1997-04-28 1998-11-10 Shigunoode Kk コイルの結束機
KR100530080B1 (ko) 2001-12-26 2005-11-2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KR101801839B1 (ko) 2016-03-09 2017-11-28 주식회사 신우기전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KR101701205B1 (ko) 2016-04-08 2017-03-02 주식회사 삼정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
KR102027486B1 (ko) * 2016-12-02 2019-10-0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의 제어 방법
KR102027485B1 (ko) 2016-12-02 2019-10-0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밴드 결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694B1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795B1 (ko) 코일 포장용 내부보호링 제조장치
KR101993923B1 (ko) 코일 포장용 밴드의 결속을 위한 용접 시스템
KR102027486B1 (ko)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의 제어 방법
CN108473217A (zh) 线圈包装用捆扎头模块
KR20080089844A (ko) 테이핑 및 밴딩장치
DE602005007335D1 (de) Bindesystem und -verfahren zum binden von aufgestapelten produkten
KR101062133B1 (ko) 코일 포장시스템
KR102027485B1 (ko) 코일 밴드 결속 장치
CN102171118B (zh) 用于输送扁平工件的方法和装置
KR102127683B1 (ko) 강판 코일 랩핑용 포장재 공급장치, 이를 이용한 강판 코일 랩핑 장치 및 방법
KR100816280B1 (ko) 코일 포장용 내부보호재 삽입장치
KR101950986B1 (ko) 박스 다중 밴딩 포장장치
KR20220076039A (ko)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KR101716699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US8820227B2 (en) Strapping machine for tying packages, in particular metal strips wound into coils
KR20200040584A (ko) 코일 포장용 밴드의 텐션 콘트롤 시스템
KR102482693B1 (ko) 레버리지 밸런싱의 콘트롤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커팅 시스템
KR102512642B1 (ko) 웰딩 디스턴스의 콘트롤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결속 시스템
KR101138090B1 (ko) 방청지 방사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용 방청지권취장치
KR102573557B1 (ko)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CN207756604U (zh) 厚规格高强钢卷取设备
KR102547770B1 (ko) 코일의 손실 없이 권취된 코일을 결속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59290B1 (ko)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KR101062063B1 (ko) 코일 포장용 방청지 공급장치
CN114269650B (zh) 用于包装钢铁产品的捆扎带捆扎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