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839B1 -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839B1
KR101801839B1 KR1020160028293A KR20160028293A KR101801839B1 KR 101801839 B1 KR101801839 B1 KR 101801839B1 KR 1020160028293 A KR1020160028293 A KR 1020160028293A KR 20160028293 A KR20160028293 A KR 20160028293A KR 101801839 B1 KR101801839 B1 KR 101801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ead
band
fram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282A (ko
Inventor
우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우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우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우기전
Priority to KR102016002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83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6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rolled-up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제1 방향으로 코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에 접근하여 코일의 둘레에 밴드를 감아 결속하는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는,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프레임과, 승강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승강 프레임과 함께 하강한 후 코일에 접촉하여 코일의 둘레에 감긴 밴드를 접합하는 제1 헤드부 및 제2 헤드부와, 제1 헤드부 및 제2 헤드부의 각각에 밴드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와, 이동 프레임과 함께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컨베이어 상의 결속 위치로 이동하여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를 통과한 밴드가 코일의 둘레에 감기도록 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 및 제2 안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Banding machine for coil steel}
실시예들은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번의 작업으로 2개의 밴드를 코일의 둘레에 결속할 수 있는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의 냉연공정에서 최종적으로 압연 가공된 강판은 두루마리와 같은 롤 형상의 코일(rolled coil steel)로 출고된다. 가공이 완료된 코일은 금속 밴드에 의해 결속된다. 금속 밴드는 코일의 외측에 감겨져 코일의 단부가 풀리지 않도록 코일을 결속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코일에 금속 밴드를 감아서 고정하는 결속 작업(banding)은 결속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022619호와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35567호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2667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결속장치는 코일의 외측에 금속 밴드를 감고 금속 밴드의 연결 부위를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헤드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속장치는 하나의 헤드를 구비하므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2개 이상의 금속 밴드를 사용하여 코일을 결속하기 위해서는 코일의 외측에 금속 밴드를 감은 후 금속 밴드의 연결 부위를 고정하는 결속작업을 2회 실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헤드를 구비하는 결속장치에서는 2회에 걸쳐 결속작업이 수행됨으로 인해 결속작업에 소요되는 공정시간(cycle time)이 두 배로 증가하여 라인 진행 속도(line speed)를 떨어트려 생산성 저하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하나의 헤드를 구비하는 결속장치에서 헤드의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결속장치를 수리하기 전까지 생산라인을 정지해야 한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022619호(2004.03.16.)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35567호(2003.05.0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26674호(2014.07.30)
실시예들의 목적은 한 번의 작업으로 2개의 밴드를 코일의 둘레에 결속할 수 있는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율적인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이나 수리나 정비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는, 제1 방향으로 코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에 접근하여 코일의 둘레에 밴드를 감아 결속하는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로서, 컨베이어를 향하거나 컨베이어로부터 멀어지도록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에 배치되어 이동 프레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프레임과, 승강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승강 프레임과 함께 하강한 후 코일에 접촉하여 코일의 둘레에 감긴 밴드를 접합하는 제1 헤드부 및 제2 헤드부와, 제1 헤드부 및 제2 헤드부의 각각에 밴드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와, 이동 프레임의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이동 프레임과 함께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컨베이어 상의 결속 위치로 이동하여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를 통과한 밴드가 코일의 둘레에 감기도록 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 및 제2 안내부를 구비한다.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는 이동 프레임을 구동하는 구동부와, 승강 프레임을 구동하는 승강 구동부와, 구동부와 승강 구동부와 제1 헤드부 및 제2 헤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의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정비가 필요한 경우, 제어부는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 중 작동이 가능한 다른 하나만을 이용하여 코일의 둘레에 밴드를 결속하는 작업을 2회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가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 중 작동이 가능한 다른 하나를 이용하여 코일의 둘레에 밴드를 결속하는 작업을 2회 실시할 때에는 제어부가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의 사이의 이격된 간격만큼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다.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는 이동 프레임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이동 레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는 승강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승강 레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에 의하면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가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코일의 둘레에 두 개의 밴드를 결속하는 작업이 한 번에 완료되므로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의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수리 또는 정비가 필요한 경우,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의 다른 하나만을 이용하여 두 개의 밴드를 결속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코일을 생산하는 전체 생산라인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의 구성요소들과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에 결속 작업이 진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는 코일(5)을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00)에 접근함으로써 결속 위치(P)에 위치한 코일(5)의 둘레에 밴드(7)를 감아 결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는, 컨베이어(100)를 향하거나 컨베이어(100)로부터 멀어지도록 제1 방향(Y축 방향)을 수직하게 가로지르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0)에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프레임(20)과, 승강 프레임(20)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헤드부(31) 및 제2 헤드부(32)와, 제1 헤드부(31) 및 제2 헤드부(32)의 각각에 결속용 밴드(7a)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41) 및 제2 공급부(42)와, 결속용 밴드(7a)가 코일(5)의 둘레에 감기도록 결속용 밴드(7a)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51) 및 제2 안내부(52)를 구비한다.
냉연공정에서 최종적으로 압연 가공된 강판은 두루마리와 같은 롤 형상으로 감긴 코일(5)로 완성된다. 완성된 코일(5)은 컨베이어(100)의 위에 배치된 상태로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에서 컨베이어(100)가 코일(5)을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는 이와 같은 컨베이어(100)의 이동방식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컨베이어(100)는 곡선적인 경로를 따라 코일(5)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는 컨베이어(100)가 코일(5)을 이동시키는 제1 방향을 수직하게 가로지르는 제2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컨베이어(100) 상의 결속위치(P)에 접근함으로써 코일(5)의 둘레에 밴드(7)를 감아 결속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의 이동 프레임(10)은 컨베이어(100)를 향하거나 컨베이어(100)로부터 멀어지도록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동 프레임(10)은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구동부(15)가 구동력을 발생함으로써 이동 프레임(10)을 X축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동 프레임(10)에는 이동 프레임(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프레임(20)이 배치된다. 승강 프레임(20)은 이동 프레임(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 승강 레일(21)을 따라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다.
이동 프레임(10)에는 승강 프레임(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승강 구동부(25)가 설치된다. 실시예에서 승강 구동부(25)는 유압 액추에이터로 구현되었다. 유압 액추에이터의 실린더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됨에 따라 승강 프레임(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는 승강 구동부(25)의 구현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승강 구동부(25)는 전기모터와 볼스크류나 직선 모터(linear motor)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승강 프레임(20)에는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의 각각에는 제1 공급부(41) 및 제2 공급부(42)로부터 결속용 밴드(7a)가 공급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공급부(41) 및 제2 공급부(42)는 X축 방향에서 이동 프레임(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에 결속용 밴드(7a)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공급부(41) 및 제2 공급부(42)의 각각의 구동모터들(45a, 45b)이 구동됨으로써 결속용 밴드(7a)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결속용 밴드(7a)는 중계 라인들(38a, 38b)을 거쳐서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의 각각에 공급된다.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는 제2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승강 프레임(20)에 배치된다.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가 서로 이격되는 간격은 코일(5)에 감기는 밴드(7)의 사이의 폭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다.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는 제1 공급부(41) 및 제2 공급부(42)로부터 공급된 결속용 밴드(7a)를 지지함과 동시에 결속용 밴드(7a)를 제1 안내부(51) 및 제2 안내부(52)로 보내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는 승강 프레임(20)과 함께 하강함으로써 코일(5)의 둘레에 감긴 밴드(7)를 접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는 코일(5)의 둘레에 감긴 밴드(7)의 겹쳐진 부분을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밴드(7)를 접합하고, 밴드(7)를 절단하여 코일(5)의 둘레에 밴드(7)를 결속하는 작업을 완료한다.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의 사이에는 센서(37)가 배치된다. 승강 프레임(20)이 하강할 때에 센서(37)가 코일(5)의 상단에 가장 먼저 접촉한다. 승강 프레임(20)이 하강하는 중에 센서(37)가 코일(5)에 접촉하면 센서(37)가 승강 프레임(20)의 내부로 상측을 향해 삽입되면서, 승강 프레임(20)의 하강 속도가 감소되며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가 코일(5)에 접촉할 때까지 승강 프레임(20)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하강 운동을 한다.
이동 프레임(10)에서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 안내부(51)와 제2 안내부(52)가 배치된다. 제1 안내부(51) 및 제2 안내부(52)도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가 서로 이격되는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다.
제1 안내부(51)와 제2 안내부(52)는 이동 프레임(10)과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안내부(51)와 제2 안내부(52)는 컨베이어(100) 상의 결속 위치(P)와 컨베이어(100)에서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의 사이에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안내부(51)와 제2 안내부(52)는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를 통과한 밴드(7)가 코일(5)의 둘레에 감기도록 밴드(7)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공급부(41) 및 제2 공급부(42)로부터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로 공급된 결속용 밴드(7a)는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를 통과한 이후에 제1 안내부(51)와 제2 안내부(5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코일(5)의 둘레에 감기기 위하여 코일(5)을 둘러싸도록 변형된다.
도 4는 도 1의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의 구성요소들과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70)는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의 각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으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70)는 제어용 컴퓨터나, 반도체칩과 회로로 구현되며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회로보드나, 컴퓨터나 회로보드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구동부(15)를 제어하는 구동부 제어부(71)와, 승강 구동부(25)를 제어하는 승강 구동부 제어부(72)와, 제1 헤드부(31) 및 제2 헤드부(32)를 제어하는 헤드부 제어부(73)와, 센서(37)의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수신부(74)와, 제1 공급부(41) 및 제2 공급부(42)를 제어하는 공급 제어부(75)를 구비한다.
도 5는 도 2의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에 결속 작업이 진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의 외측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던 이동 프레임(10)이 컨베이어(100) 상의 결속 위치(P)로 이동을 한 후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승강 프레임(20)이 Z축 방향으로 하강 운동을 하고, 제1 헤드부(31) 및 제2 헤드부(32)에 의해 코일(5)의 둘레에 밴드(7)를 결속하는 작업이 동시에 실시된다.
코일(5)의 둘레에 밴드(7)를 결속하는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승강 프레임(20)과 제1 헤드부(31) 및 제2 헤드부(32)가 Z축 방향으로 상승 운동을 한 후, 이동 프레임(10)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베이어(100)의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로 복귀한다.
컨베이어(100)의 결속 위치(P)에 위치하던 코일(5)의 둘레에 밴드(7)를 결속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컨베이어(100)가 이동하여 다음 작업 대상의 코일(5)이 결속 위치(P)로 이동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헤드부(31) 및 제2 헤드부(32)에 의한 결속 작업이 반복된다.
상술한 구성의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에 의하면,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가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코일(5)의 둘레에 두 개의 밴드(7)를 결속하는 작업이 한 번에 완료되므로,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의 어느 하나가 고장이 나는 경우나 수리나 정비가 필요한 경우,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 중 고장이 발생한 부속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분리한 후에,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 중 나머지 부속을 이용하여 두 개의 밴드(7)를 코일(5)의 둘레에 결속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 중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 중 작동이 가능한 다른 하나를 이용하여 밴드(7)를 결속하는 작업을 2회 실시할 수 있다.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 중 작동이 가능한 다른 하나를 이용할 때에는, 첫 번째 결속 작업을 실시하여 코일(5)의 둘레에 하나의 밴드(7)를 결속한 후 두 번째 결속 작업을 실시하여 코일(5)의 둘레에 두 번째 밴드(7)를 결속한다. 첫 번째 결속 작업을 실시한 이후에는, 승강 프레임(20)을 Z축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동시켜 코일(5)로부터 제1 헤드부(31)나 제2 헤드부(32)를 이격시킨 후에 이동 프레임(10)을 제1 헤드부(31)와 제2 헤드부(32)의 간격만큼 이동시킴으로써 두 번째 결속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밴드(7)를 결속하는 작업을 2회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5: 코일 42: 제2 공급부
7a: 결속용 밴드 51: 제1 안내부
7: 밴드 52: 제2 안내부
10: 이동 프레임 70: 제어부
11: 레일 71: 구동부 제어부
15: 구동부 72: 승강 구동부 제어부
20: 승강 프레임 73: 헤드부 제어부
21: 승강 레일 74: 센서 수신부
25: 승강 구동부 75: 공급 제어부
31: 제1 헤드부 38a, 38b: 중계 라인들
32: 제2 헤드부 45a, 45b: 구동모터들
37: 센서 100: 컨베이어
41: 제1 공급부

Claims (7)

  1. 제1 방향으로 코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에 접근하여 상기 코일의 둘레에 밴드를 감아 결속하는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를 향하거나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이동 레일;
    상기 이동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승강 레일;
    상기 승강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승강 프레임과 함께 하강한 후 상기 코일에 접촉하여 상기 코일의 둘레에 감긴 상기 밴드를 접합하는 제1 헤드부 및 제2 헤드부;
    상기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2 헤드부의 각각에 밴드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기 제1 헤드부와 상기 제2 헤드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과 함께 상기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상의 결속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헤드부와 상기 제2 헤드부를 통과한 상기 밴드가 상기 코일의 둘레에 감기도록 상기 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 및 제2 안내부;
    상기 승강 프레임에서 상기 제1 헤드부와 상기 제2 헤드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이 하강할 때에 상기 코일의 상단에 가장 먼저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코일에 접촉한 이후에 상기 승강 프레임의 내부로 상측을 향해 삽입되는 센서;
    상기 이동 프레임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승강 프레임을 구동하는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승강 구동부와 상기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2 헤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결속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던 상기 이동 프레임을 상기 컨베이어 상의 상기 결속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승강 프레임을 하강 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프레임이 하강하는 중에 상기 센서가 상기 코일에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키며 상기 제1 헤드부와 상기 제2 헤드부가 상기 코일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승강 프레임을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하강시키고,
    상기 제1 헤드부와 상기 제2 헤드부가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상기 코일의 둘레에 두 개의 밴드를 결속하며,
    상기 코일의 둘레에 밴드를 결속하는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프레임을 상승시킨 후 상기 이동 프레임을 상기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부와 상기 제2 헤드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28293A 2016-03-09 2016-03-09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KR101801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293A KR101801839B1 (ko) 2016-03-09 2016-03-09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293A KR101801839B1 (ko) 2016-03-09 2016-03-09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282A KR20170105282A (ko) 2017-09-19
KR101801839B1 true KR101801839B1 (ko) 2017-11-28

Family

ID=6003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293A KR101801839B1 (ko) 2016-03-09 2016-03-09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8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178A (ko)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밴딩장치
KR20220076039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KR20220076040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레버리지 밸런싱의 콘트롤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커팅 시스템
KR20220100268A (ko)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웰딩 디스턴스의 콘트롤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결속 시스템
KR20230050512A (ko) 2021-10-07 2023-04-17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789B1 (ko) * 2018-02-26 2019-10-22 대은산업(주) 스트래핑 머신
KR102088015B1 (ko) * 2018-02-26 2020-03-11 대은산업(주) 스트래핑 머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428A (ja) * 2003-01-27 2004-08-12 Advance Engineers:Kk 長尺体結束装置
KR100752911B1 (ko) * 2006-08-31 2007-08-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컴비네이션 스트래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428A (ja) * 2003-01-27 2004-08-12 Advance Engineers:Kk 長尺体結束装置
KR100752911B1 (ko) * 2006-08-31 2007-08-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컴비네이션 스트래핑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178A (ko)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밴딩장치
KR20220076039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KR20220076040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레버리지 밸런싱의 콘트롤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커팅 시스템
KR20220100268A (ko)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웰딩 디스턴스의 콘트롤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결속 시스템
KR20230050512A (ko) 2021-10-07 2023-04-17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282A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839B1 (ko)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CN103434828B (zh) 一种自动翻转发电机外壳的设备
CN104002033B (zh) 自动碰焊机
CN107394557B (zh) 多种散粒端子压接系统及压接方法
CN105848872B (zh) 压力机
KR101382867B1 (ko) 용접다이
CN106764559B (zh) Led灯管柔性自动生产线卧式驱动器全自动装配机
JP2011189999A (ja) パレット搬送装置及びパレット搬送方法
CN102303189B (zh) 用于双界面焊接封装机的ic卡焊接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660576A (zh) 一种电感线圈线头折弯裁切装置及其使用方法
CN102528247A (zh) 新型自动龙门焊机
CN105070595A (zh) 一种继电器参数自动调整装置
CN101367472B (zh) 输送设备、清洁设备和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207917905U (zh) 压合机
CN201783756U (zh) 抽油烟机机械人激光焊接系统
CN108941984A (zh) 一种用于栅格板加工的高效加工机构及其工作方法
CN211162300U (zh) 变压器自动送线焊锡机
CN109789464A (zh) 用于加工板状工件的工具和机床以及方法
CN207735813U (zh) 多车型柔性生产线
CN202594313U (zh) 电机生产线电枢部件专用输送机
CN202479676U (zh) 新型自动龙门焊机
CN103273322A (zh) 蒸发器的丝管焊接装置和焊接方法
CN208662804U (zh) 一种移动式自动焊钳装置
JP5332790B2 (ja) 曲げ加工装置
CN106426108B (zh) 全磁悬浮式三次元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