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0512A -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0512A
KR20230050512A KR1020210133116A KR20210133116A KR20230050512A KR 20230050512 A KR20230050512 A KR 20230050512A KR 1020210133116 A KR1020210133116 A KR 1020210133116A KR 20210133116 A KR20210133116 A KR 20210133116A KR 20230050512 A KR20230050512 A KR 20230050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trap
unit
coil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557B1 (ko
Inventor
여동훈
손형호
황준식
박균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주)포스코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주)포스코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210133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5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0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5Details of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철강 코일의 외주면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스트랩의 텐션을 가하고, 스트랩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 헤드에 있어서, 코일을 결속하기 위한 스트랩을 일부 수용하여, 스트랩의 상부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블레이드부; 및 블레이드부가 결속 헤드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소정의 픽싱 포스를 선택적으로 발휘하는 어드저스팅부를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System for adjusting the blade for tension force control of binding of strap for packing coil}
본 발명은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코일을 포장하기 위한 스트랩에 소정의 텐션을 선택적으로 가하여, 스트랩이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절단하여 코일을 결속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철강 산업은 철을 녹여서 쇳물을 만들고 연주 및 압연 과정을 거쳐서 열연강판, 냉연강판, 후판, 철근, 강관 등의 철강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생산된 철강 제품은 자동차, 조선, 가전, 기계, 건설 등의 다양한 산업의 소재로 공급된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 19 펜데믹으로 인해 대부분의 산업이 셧다운 되면서, 철강 산업도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받게 되었다. 한국철강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2020년 1~7월의 명목소비량은 2860만톤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1.3% 감소하였으며, 이런 추세라면 연간 명목소비는 2009년 이후 11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세계 시장에서도 자동차, 조선 등의 전반적인 산업의 부진으로 인해 철강재 수출이 지난해 동기 6.5% 감소하여 타격이 클 것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철강 제품의 수요가 점차 둔화되면서 제한적인 수요 내에서 철강사들이 수익성과 성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철강 제품의 고부가가치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고부가가치화의 철강 제품을 생산 과정의 최종 단계에서는 철강 제품의 완벽한 포장이 중요하다. 철강 제품의 포장 및 결속의 과정에서 철강 제품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속이 철강 제품의 양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등록번호 제10-0530080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코일제품의 포장작업시 밴드를 통한 결속작업을 수행하는 코일제품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리프팅기의 코일제품 양측으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2 메인 샤트트를 갖춘 프레임부;와, 제 1 메인 샤프트의 전방에 수평하게 연결 고정된 제 1베이스에 설치된 제 1 밴드 유도판(44)과, 제 1 베이스에 설치된 실린더로서 유도판을 통과하는 밴드의 코일 쪼임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을 갖춘 제 1 결속부; 및, 제 2 메인샤트트의 전방에 설치된 제 2 베이스에 설치된 제 2 밴드 유도판과, 베이스의 상,하측에 일체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용접기와 밴드 피딩기 및, 제 2 베이스의 후방에 설치되어 유도판측으로 밴드를 공급하는 밴드 디스펜서를 갖춘 제 2 결속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등록번호 제10-1801839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제1 방향으로 코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에 접근하여 코일의 둘레에 밴드를 감아 결속하는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는,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프레임과, 승강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승강 프레임과 함께 하강한 후 코일에 접촉하여 코일의 둘레에 감긴 밴드를 접합하는 제1 헤드부 및 제2 헤드부와, 제1 헤드부 및 제2 헤드부의 각각에 밴드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와, 이동 프레임과 함께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컨베이어 상의 결속 위치로 이동하여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를 통과한 밴드가 코일의 둘레에 감기도록 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 및 제2 안내부를 구비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 (등록번호 제10-1701205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강판 코일을 포장을 위한 결속기에 적용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에 있어서, 다수의 플레이트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프레임; 프레임 일측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밴드의 곡률을 제거하여 교정하는 교정부; 교정부를 통과한 밴드를 이송하며, 밴드가 코일을 완전히 권취한 후에는 밴드에 장력을 인가하는 피딩부; 피딩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밴드를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고, 밴드에 작용하는 장력을 감지하는 가이드부; 밴드의 끝단을 클램핑하고, 절단하는 그립부; 및 겹쳐진 밴드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코일 밴드 결속 장치 (등록번호 제10-2027485호, 이하 특허문헌4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원통형상의 코일 양측면 끝단에 결합하는 외주링 외면을 밴드 결속하기 위한 코일 밴드 결속 장치에 있어서, 서로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2개의 단위 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 각 단위 베이스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코일의 측면을 지지하여 외주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2개의 지지부; 단위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 및 좌우로 이송하는 이송장치; 이송장치에 부착되어 밴드를 결속 작업을 수행하는 헤드모듈; 단위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포장용 코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장치; 및 지지부, 이송장치, 헤드모듈 및 컨베이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번호 제10-0530080호 등록번호 제10-1801839호 등록번호 제10-1701205호 등록번호 제10-2027485호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코일을 포장하기 위한 코일 포장용 스트랩을 코일의 외주면에 결속하고자 한다.
둘째, 코일 포장용 스트랩이 소정의 텐션을 가하여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조이고자 한다.
셋째,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쉽게 코일 포장용 스트랩을 결속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은 철강 코일의 외주면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스트랩의 텐션을 가하고, 상기 스트랩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 헤드에 있어서, 코일을 결속하기 위한 스트랩을 일부 수용하여, 상기 스트랩의 상부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블레이드부; 및 상기 블레이드부가 상기 결속 헤드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소정의 픽싱 포스를 선택적으로 발휘하는 어드저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스트랩의 상부면을 가압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바디부; 및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스트랩의 하부면을 선택적으로 서포팅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는,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의 하부에 제공되어, 소정의 날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상기 블레이드 팁부는, 외측의 인입로는 슬롭 사이드(slope side)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스트랩이 내향 인입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블레이드부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어드저스팅부와 상호 결합되기 위한 소정의 홀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커넥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상기 어드저스팅부는, 상기 블레이드 커넥팅부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상기 결속 헤드에 고정되는 앵글을 선택적으로 행사하는 픽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상기 어드저스팅부는, 상기 픽싱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픽싱부가 상기 블레이드 커넥팅부를 상기 앵글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면 상기 앵글을 기준으로 소정의 텐션이 발휘되도록 하는 어드저스팅 텐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픽싱부의 상기 소정의 픽싱 포스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택적으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상기 블레이드 팁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로 틸팅 됨에 따라서 상기 스트랩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스트랩을 선택적으로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코일을 포장하기 위한 코일 포장용 스트랩에 소정의 텐션을 가하여 코일의 외주면에 완벽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코일 포장용 스트랩에 미리 설정된 텐션이 가해지면, 드라이빙 유닛은 미리 설정된 회전력으로 자동 감속될 수 있게 된다.
셋째, 사용자에 의해 블레이드부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틸팅되어 코일 포장용 스트랩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 코일 포장용 스트랩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텐션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텐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블레이드부와 어드저스팅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블레이드 팁부의 웨이브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텐션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텐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블레이드부와 어드저스팅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블레이드 팁부의 웨이브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강 제품 중 코일(coil)을 포장하기 위하여 코일의 외면을 감싸는 스트랩(strap)에 텐션을 가하고 스트랩을 결속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 코일 포장용 스트랩은 일정한 텐션을 가지고 코일의 외주면을 한 바퀴 돌아서 코일에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한 후 결속되어야 한다.
예컨대, 코일 포장용 스트랩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은 동력 생성부와 텐션 콘트롤이 가능한 몸체, 감속기 등으로 구성되며, 구성 요소들은 구조가 단순하며 고성능, 저소음, 경량화의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나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경우,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유닛(tension unit, 100), 드라이빙 유닛(driving unit, 200), 트랜스미션 유닛(transmission unit, 300), 및 리덕션 유닛(reduction unit, 400)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텐션 유닛(10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을 결속하기 위한 스트랩을 수용하여, 스트랩에 소정의 텐션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텐션 유닛(100)은 드라이빙 유닛(2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텐션을 발생시켜, 스트랩이 코일의 외주면에 완전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코일의 외주면을 한 바퀴 돌아온 스트랩이 텐션 유닛(100)으로 인입되면, 텐션 유닛(100)은 인입된 스트랩이 코일의 외주면에 완전하게 밀착될 때까지 소정의 텐션 포스로 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텐션 유닛(10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10), 플레이트부(120), 블레이드부(130), 어드저스팅부(140), 텐션 휠부(150), 사이드 커버부(16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하우징부(11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하우징부(110)는 외측은 개방되어 있고, 내측은 폐쇄되어 있어 코일의 외주면을 감싼 스트랩의 일단 또는 타탄이 하우징부(110)의 외측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부(110)의 상단에는 핸들이 장착되어, 사용자 또는 작업자로 하여금 핸들을 잡고 스트랩의 텐션을 용이하게 콘트롤할 수 있도록 하며, 핸들을 놓더라도 스트랩에 가해지는 텐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부(13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을 결속하기 위한 스트랩을 일부 수용하여, 스트랩의 상부 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구성이다.
블레이드부(130)는 하우징부(11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전방에 위치한 스트랩의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의 블레이드부(130)의 경우, 블레이드 바디부(131), 플레이트부(120), 블레이드 팁부(132), 및 블레이드 커넥팅부(133)을 포함하게 된다.
블레이드 바디부(131)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의 상부면을 가압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블레이드부 바디부(131)는 플레이트부(120)의 상부에 제공되는 동시에 하우징부(11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전방에 위치한 스트랩의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플레이트부(12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바디부(131)의 하부에 제공되어, 스트랩의 하부면을 선택적으로 서포팅하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부(120)는 하우징부(110)의 하부에 제공되어, 스트랩의 하부면을 선택적으로 서포팅하며, 인입되는 스트랩이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부(120)는 스트랩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후술하게 될 텐션 휠부(150)의 회전에 의해 스트랩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트랩을 서포팅하며 스트랩이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하우징부(110)와 플레이트부(120)의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소정의 틈 사이로 스트랩이 인입되어, 플레이트부(12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플레이트부(120)의 외측은 개방되고, 내측은 폐쇄되어, 플레이트부(120)의 외측으로만 스트랩이 인입될 수 있으며, 하우징부(110)와 플레이트부(120)의 내측은 상호 고정 결합되어, 스트랩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블레이드 팁부(132)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바디부(131)의 하부에 제공되어, 소정의 날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블레이드 팁부(132)의 외측의 인입로는 슬롭 사이드(slope side)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스트랩이 내향 인입을 유도하도록 한다.
블레이드 팁부(132)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날 중 외측의 날이 슬롭 사이드 또는 비탈면을 형성하게 되며, 슬롭 사이드로 인해, 스트랩이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 팁부(132)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블레이드 팁부(132) 전방부의 엣지에는 첨예하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스트랩의 상부면을 가압하면 스트랩이 커팅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블레이드 팁부(132)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과 맞닿게 되는 하부면에 웨이브 패턴(132a)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블레이드 팁부(132)에 형성된 웨이브 패턴(132a)이 구비될 경우, 스트랩 절단 시, 웨이브 패턴(132a)이 스트랩의 상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때, 웨이브 패턴(132a)만이 스트랩의 상면에 접촉하면, 블레이드 팁부(132) 하부면 중, 웨이브 패턴(132a)이 형성된 부분만 스트랩에 접촉하게 되므로, 블레이드 팁부(132)가 스트랩에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트랩을 가압하는 힘은 증가되도록 한다.
블레이드 커넥팅부(133)의 경우, 블레이드부의 상부에 제공되어, 어드저스팅부(140)와 상호 결합되기 위한 소정의 홀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블레이드 커넥팅부(133)를 통해 블레이드부(130)가 하우징부(110)에 고정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 커넥팅부(133)는 블레이드 바디부(131)와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여 소정의 홀에 결합된 어드저스팅부(140)가 함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드저스팅부(14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130)가 결속 헤드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소정의 픽싱 포스를 선택적으로 발휘하는 구성이다.
어드저스팅부(140)는, 블레이드부(130)가 하우징부(110)의 전방에 고정결합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픽싱 포스는 블레이드부(130)가 하우징부(110)에 고정되기 위한 힘, 즉, 죄는 힘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어드저스팅부(140)의 경우, 픽싱부(141)와 어드저스팅 텐션부(142)로 구성된다.
픽싱부(141)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커넥팅부(133)를 통해 블레이드부(13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며, 블레이드부(131)를 결속 헤드에 고정되는 픽싱 앵글을 선택적으로 행사하는 구성이다.
픽싱부는 픽싱 너트(141a), 픽싱 볼트(141b) 및 어드저스팅 텐션부(142)으로 구성되며, 픽싱 너트(141a), 픽싱 볼트(141b), 어드저스팅 텐션부(142)의 결합을 통해 블레이드부(130)를 고정결합 할 수 있게 된다.
어드저스팅 텐션부(142)는 픽싱부(141)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픽싱부(141)가 블레이드 커넥팅부(133)를 고정시키는 픽싱 앵글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면, 픽싱 앵글을 기준으로 소정의 텐션이 발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픽싱부(141)에 소정의 픽싱 포스에 따라서, 블레이드부(131)의 픽싱 앵글이 세팅되며, 이 고정된 픽싱 앵글을 기준으로 어드저스팅 텐션부(142)에서 추가적인 텐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컨대, 픽싱부(141)의 소정이 픽싱 포스와 픽싱 앵글에 의해서 블레이드부(130)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택적으로 틸팅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130)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틸팅되면, 스트랩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게 되어 스트랩을 커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미리 설정된 각도는 블레이드부(130)가 스트랩의 상면에 접촉하기 위한 각도로서, 해당 각도는 스트랩의 강도, 두께, 재질, 유연성(flexibility)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각도를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하우징부(110)의 상부에 부착된 핸들을 통해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스트랩의 전방부는 가압하는 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블레이드부(130)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틸팅되어, 블레이드부 팁부(133)가 스트랩을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텐션 휠부(15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10)의 일측에 제공되어, 드라이빙 유닛(2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며, 스트랩에 소정의 텐션을 선택적으로 가하는 구성이다.
텐션 휠부(150)는 드라이빙 유닛(200)으로부터 발생된 소정의 회전력을 트랜스미션 유닛(300)을 통해 상호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텐션 휠부(150)는 하우징부(110)의 일측에 제공되며 플레이트부(1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텐션 휠부(15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부(110)와 플레이트부(120)의 틈 사이로 인입된 스트랩의 상면과 접촉하여 스트랩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텐션 휠부(150)의 회전력에 따라서 스트랩에 소정의 텐션이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텐션 휠부(150)는 외면에는 소정의 홈(151)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형성되어, 텐션 휠부(150)가 회전함에 따라서 소정의 홈(151)에 의해 스트랩이 내향되도록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스트랩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방향은 스트랩을 하우징부(110)의 타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방향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텐션 휠부(150)의 하부에는 가이드 휠(15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휠(152)은 텐션 휠부(15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텐션 휠부(150)에 평행하게 회전하며, 스트랩의 하면과 접촉하여 스트랩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가이드 휠(152)은 플레이트부(120)의 상부 또는 플레이트부(120)의 내측에 함입되어, 텐션 휠부(150)와 맞물리며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휠(152)의 외면에도 소정의 홈(151)이 형성되어 스트랩이 내향될 수 있도록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 휠(152)에 형성되는 소정의 홈(151)은 텐션 휠부(150)의 홈과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텐션 휠부(150)와 가이드 휠(152)을 통해 인가되는 소정의 텐션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텐션을 선택적으로 콘트롤하고자 한다.
사이드 커버부(16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휠부(150)의 일측에 제공되어 텐션 휠부(150)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구성이다.
사이드 커버부(160)는 텐션 휠부(150)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며, 하우징부(110)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어 고정 결합된다.
사이드 샤프트(161)는 하우징부(110)의 상부에 구비된 홀에 삽입되어, 일측은 사이드 커버부(160)에 고정 결합되며, 타측은 트랜스미션 유닛(300)에 고정 결합되어 힌지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라이빙 유닛(200)의 경우,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유닛(100)에 제공되어,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시켜 텐션 유닛(1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드라이빙 유닛(200)은 에어 모터부, 에어 조절부, 및 에어 밸브부로 구성되어 있다.
드라이빙 유닛(20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을 이용하여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에어 모터부와 에어 밸브부는 경량화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드라이빙 유닛(200)을 비롯한 에어 모터부, 에어 조절부, 에어 밸브부는 이미 상용화된 공압기와 모터, 밸브 등의 원리와 기능을 활용하면 되는 바, 자세한 기작은 생략하도록 한다.
트랜스미션 유닛(300)의 경우,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텐션 유닛(100)에 제공되며, 타측은 드라이빙 유닛(200)에 제공되어 드라이빙 유닛(200)의 구동력을 텐션 유닛(100)으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트랜스미션 유닛(300)은 프레싱부(310) 및 트랜스미션 기어부(320)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싱부(31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하우징부(110)가 제공되고, 타측이 트랜스미션 유닛(300)에 고정 배치되어, 블레이드부(130)와 사이드 커버부(160)가 하우징부(110)를 향해 내력이 발생하도록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구성이다.
프레싱부(310)는 사이드 샤프트(161)의 타측과 힌지 연결로 고정 결합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하는 구성이다.
프레싱부(310)는 하우징부(110)의 상부에 구비된 홀을 통과한 사이드 샤프트(161)와 상호 결합된다.
프레싱부(310)는 텐션 휠부(150)가 소정의 텐션으로 스트랩을 가압하고, 블레이드부(130)가 스트랩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프레싱부(310)의 양단부는 하우징부(110)와 사이드 커버부(160)를 동시 가압하게 된다.
즉, 프레싱부(310)의 소정의 탄성력은 블레이드부(130)와 텐션 휠부(150)가 서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눌러주되 스트랩을 가압하여 플레이트부(1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트랜스미션 기어부(320)는 드라이빙 유닛(200)으로부터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텐션 휠부(15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스미션 기어부(320)의 축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텐션 휠부(150)와 상호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트랜스미션 기어부(320)는 회전력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여 텐션 휠부(1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리덕션 유닛(400)의 경우, 드라이빙 유닛(200)에 연동되어, 드라이빙 유닛(20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정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감속시키는 구성이다.
리덕션 유닛(400)은 트랜스미션 유닛(300)과 드라이빙 유닛(200)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드라이빙 유닛(200)의 소정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고자 한다.
리덕션 유닛(400)은 텐션 휠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텐션이 미리 설정된 텐션이 되면, 드라이빙 유닛(200)의 소정의 회전력을 미리 설정된 회전력으로 감속시키게 된다.
예컨대, 텐션 휠부(150)로부터 인가되는 텐션이 미리 설정된 텐션이 된다는 것은 스트랩이 코일의 외주면에 완전하게 밀착된 것과 같은 것이다.
스트랩에 미리 설정된 텐션 이상의 텐션이 인가되면 스트랩이 변형되거나 손상되어 코일 포장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동력을 낭비하게 된다.
따라서, 리덕션 유닛(400)은 텐션 휠부(150)로부터 인가되는 텐션 정보를 전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텐션 휠부(150)에 미리 설정된 텐션이 인가되면, 드라이빙 유닛(200)을 미리 설정된 회전력으로 감속시키도록 한다.
또한, 드라이빙 유닛(200)이 미리 설정된 회전력이 되면, 텐션 휠부(150)는 소정의 타이밍에 브레이킹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리덕션 유닛(400)은 이미 상용화된 감속기의 원리와 구성 및 기능을 활용하면 되는 바, 자세한 기작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텐션 유닛
110: 하우징부
120: 플레이트부
130: 블레이드부
131: 블레이드 바디부
132: 블레이드 팁부
132a: 웨이브 패턴
133: 블레이드 커넥팅부
140: 어드저스팅부
141: 픽싱부
141a: 픽싱 너트
141b: 픽싱 볼트
142: 어드저스팅 텐션부
150: 텐션 휠부
151: 소정의 홈
152: 가이드 휠
160: 사이드 커버부
161: 사이드 샤프트
200: 드라이빙 유닛
300: 트랜스미션 유닛
310: 프레싱부
320: 트랜스미션 기어부
400: 리덕션 유닛

Claims (9)

  1. 철강 코일의 외주면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스트랩의 텐션을 가하고, 상기 스트랩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 헤드에 있어서,
    코일을 결속하기 위한 스트랩을 일부 수용하여, 상기 스트랩의 상부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블레이드부; 및
    상기 블레이드부가 상기 결속 헤드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소정의 픽싱 포스를 선택적으로 발휘하는 어드저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스트랩의 상부면을 가압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바디부; 및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스트랩의 하부면을 선택적으로 서포팅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는,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의 하부에 제공되어, 소정의 날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팁부는,
    외측의 인입로는 슬롭 사이드(slope side)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스트랩이 내향 인입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블레이드부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어드저스팅부와 상호 결합되기 위한 소정의 홀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커넥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팅부는,
    상기 블레이드 커넥팅부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상기 결속 헤드에 고정되는 앵글을 선택적으로 행사하는 픽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팅부는,
    상기 픽싱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픽싱부가 상기 블레이드 커넥팅부를 상기 앵글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면 상기 앵글을 기준으로 소정의 텐션이 발휘되도록 하는 어드저스팅 텐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픽싱부의 상기 소정의 픽싱 포스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택적으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팁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로 틸팅 됨에 따라서 상기 스트랩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스트랩을 선택적으로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KR1020210133116A 2021-10-07 2021-10-07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KR102573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116A KR102573557B1 (ko) 2021-10-07 2021-10-07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116A KR102573557B1 (ko) 2021-10-07 2021-10-07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512A true KR20230050512A (ko) 2023-04-17
KR102573557B1 KR102573557B1 (ko) 2023-09-01

Family

ID=8612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116A KR102573557B1 (ko) 2021-10-07 2021-10-07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5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9507A (en) * 1975-09-01 1977-03-05 Kubota Ltd Condenser
KR100530080B1 (ko) 2001-12-26 2005-11-2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KR20150044906A (ko) * 2012-08-30 2015-04-27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스트랩을 위한 배터리 전력형 텐셔닝 툴
KR101701205B1 (ko) 2016-04-08 2017-03-02 주식회사 삼정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
KR101801839B1 (ko) 2016-03-09 2017-11-28 주식회사 신우기전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US20180346160A1 (en) * 2014-05-21 2018-12-06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Tensioner/cutter tool for hose clamps and/or bands and attachments for tensioner/cutter
KR102027485B1 (ko) 2016-12-02 2019-10-0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밴드 결속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9507A (en) * 1975-09-01 1977-03-05 Kubota Ltd Condenser
KR100530080B1 (ko) 2001-12-26 2005-11-2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KR20150044906A (ko) * 2012-08-30 2015-04-27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스트랩을 위한 배터리 전력형 텐셔닝 툴
US20180346160A1 (en) * 2014-05-21 2018-12-06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Tensioner/cutter tool for hose clamps and/or bands and attachments for tensioner/cutter
KR101801839B1 (ko) 2016-03-09 2017-11-28 주식회사 신우기전 코일용 밴드 결속장치
KR101701205B1 (ko) 2016-04-08 2017-03-02 주식회사 삼정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
KR102027485B1 (ko) 2016-12-02 2019-10-0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밴드 결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557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1492B2 (en) Strapping head module for coil packaging
US20030093973A1 (en) Packing procedure and machine for putting into practice thereof
JP2545530Y2 (ja) 2つの動輪の回転角度の相対位相調整装置
CA2673144A1 (en) Wire tensioning arrangement
WO2011060696A1 (zh) 一种带材卷连续供料的装置及方法
KR102573557B1 (ko)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US11760514B2 (en) Machine for stabilizing palletised loads with tensioning fins
CN109500139B (zh) 冷轧厚带钢皮带助卷器
KR100530080B1 (ko)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KR101716699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US11103908B2 (en) Coiled material passing device and coiled material passing method
AU2010305041B2 (en) Strapping machine for tying packages, in particular metal strips wound into coils
CN108285060A (zh) 生产规格可调的折叠机和折叠方法
JP2635919B2 (ja) 変圧器鉄心の巻付け装置
US11027866B2 (en) Strapping apparatus
JP2002166906A (ja) 包装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ハンドリング装置
CN201124193Y (zh) 带钢卷取机的抱紧力可调的皮带助卷器
KR20220076039A (ko)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CA2467257A1 (en) Strapping machine with pivoting weld blade
CN211336632U (zh) 一种可调节肥皂包装纸传输架
CN218967271U (zh) 一种运行平稳的包装箱捆扎转向机构
CN219545291U (zh) 一种保鲜膜包膜设备
CN217836343U (zh) 一种装盒机下说明书输送装置
KR101145021B1 (ko) 코일 포장재의 벤딩장치
KR101197374B1 (ko) 코일 포장용 외주링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