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874A - 고형 석재 외관을 갖는 다층체를 기재로 하는 led 조명 소자 - Google Patents

고형 석재 외관을 갖는 다층체를 기재로 하는 led 조명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874A
KR20220074874A KR1020227010089A KR20227010089A KR20220074874A KR 20220074874 A KR20220074874 A KR 20220074874A KR 1020227010089 A KR1020227010089 A KR 1020227010089A KR 20227010089 A KR20227010089 A KR 20227010089A KR 20220074874 A KR20220074874 A KR 20220074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yer
led lighting
lighting unit
colo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르스텐 투스트
토르스텐 슐츠
라이너 하겐
치로 피르마테오
마리우스 로고프스키
아르민 베르거
얀 헬미크
Original Assignee
코베스트로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베스트로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코베스트로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22007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8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04F15/087The lower layer being of organic plastic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2Mixture of at least two particl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9/00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9/00Household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32B2607/02Wall papers, wall cov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21Y2113/17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forming a single encapsulated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부 조명 및 임의로 또한 백라이팅에 의해 조광될 수 있고 석재 외관을 갖는 다층체에 관한 것이다. 석재 층 외에도,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층이 제공되며, 여기서 반투명 암색 층이 석재 층의 뒷면에 제공된다. 상기 구조물은 건물의 내장 및 외장 디자인에서 주간/야간 디자인을 갖는 매력적인 디자인 요소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 산업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형 석재 외관을 갖는 다층체를 기재로 하는 LED 조명 소자
본 발명은 석재 외관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진 캐리어 층 및 석재 층을 갖는 조광 가능한 다층체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내장 건축 및 또한 자동차 내장 분야에서는, 표면에 자연스러운 외관을 부여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특히 목재 및 석재의 인상은 편안함, 자연과의 친밀감 및 고급스러운 현대성의 분위기를 연출한다. 석재는 이러한 재료로부터 풍겨지는 중량감 및 부피감이 고가의 재료임을 암시하기 때문에 표면재로서 관심을 받고 있다. 화강암 요소는, 예를 들어 세면대 장착물, 주방 조리대, 바닥 또는 벽 클래딩으로서 선택된 경우에, 재료의 가격 때문에, 실제로 고가의 요소이다. 이와 동시에, 그것은 그 자체의 무거운 중량 때문에 설치를 복잡하게 한다. 석재 외관을 갖는 구성 요소가 필요하다. 상응하는 요소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과거에는, 고형 석재 요소 대신에, 석재 층의 두께가 감소되고 그 대신에 안정화를 위해 캐리어 층이 제공된 다층체를 사용하는 요소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DE 102005038022 A1에는, 접착 층 없이 투명 천연 석재 층에 결합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유연한 캐리어 층을 갖는 복합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특히 벽 및 외장 클래딩을 위한 클래딩 요소로서의 복합 재료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독일 실용 신안에는, 석재뿐만 아니라 가요성 캐리어 층을 갖는, 천연 석재 표면을 갖는 가요성 2차원 재료가 기술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2차원 재료는 고형 외관을 갖는 장식용 석재 표면의 제조를 위해 바닥 커버링으로서뿐만 아니라 벽 표면, 가구 등을 위한 클래딩 요소로서도 사용되도록 의도되기 때문에, 상기 2차원 재료에는 기재에의 고정을 위한 접착 층이 제공되었다.
WO 2000/068530 A1에는 또한 착색된 캐리어 층, 및 표면에서 볼 수 있으며 캐리어 층의 색상에 의해 부여된 특정한 색상 강도가 인지되는 얇은 천연 석재 층을 갖는 다층 성형체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성형체는 바람직하게는 천연 석재 층의 분해된 그레인 미세구조를 갖기 때문에 유연하다. 상기 성형체는 석재 층의 그레인 미세구조의 분해에도 불구하고 균질하고 매끄럽고 가능하다면 또한 반짝이는 외관을 성형체에 부여하는 투명 외부 층을 갖는다. 언급된 가능한 용도는 특히 외장 및 내장 벽 패널, 및 자동차 대시보드이다.
WO 2004/052561 A1에는, 중합체를 석재 요소에 도포하여 표면에 결합시키고 석재 층과 함께 석재 요소로부터 떼어내는, 석재 층을 갖는 다층체의 제조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밀봉재를 다층체의 가시면에 제공할 수 있다. 동일한 두께의 고형 석재 판상체에 비해, 다층체는 현저하게 감소된 중량을 갖는다. 바닥 커버링 및 벽 패널로서의 다층체의 유용성이 기술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자동차 및 건축 분야 둘 다에서, 내장 구성의 필수적인 양태는 광을 부여하는 것이다. 복잡한 디자인의 램프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램프뿐만 아니라, 조명 소자는 벽, 찬장 또는 바닥 영역에 눈에 띄지 않게 포함된다.
LED 광원은 긴 수명, 낮은 에너지 소비량 및 우수한 광 수율을 갖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 항공, 내장 조명, 외장 구성 등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LED는 반도체 재료 및 도핑에 따라 달라지는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하므로, LED는 심지어 적외선 범위 또는 UV 범위에서도 사실상 단색 광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적색, 녹색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하는 RGB-LED가 존재한다. 백색 LED 광을 위해서는, 서로 상이한 파장의 광이 조합되어야 한다. 이는 전형적으로 청색-방출, 적색-방출 및 녹색-방출 LED를 조합하여, 백색으로 인지될 수 있는 조합된 광을 방출하는 소위 RGB (적색-녹색-청색)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거나, LED 방사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예를 들어, 인광체를 사용하여 상이한 파장으로 전환시키는 광학 기술에 의해 달성된다.
예를 들어, 백색 광은, 가시광선 영역의 청색 영역에서 방출하는 LED로부터 시작하여, 청색 영역의 방사선의 일부를 적색/황색 광으로 전환시키는 단일 인광체의 첨가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백색 광 생성은 비용 및 청색 LED의 높은 효율 때문에 상업적 응용품에서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RGB 모듈에 상응하는 파장을 방출하는 3종의 상이한 인광체를 사용하여 LED에 의해 생성된 UV 광으로부터 백색 광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에, UV 방사선에 대한 안정성이 증진된, 즉, 예를 들어 UV 안정화가 제공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LED 모듈에서 "백색"으로부터 벗어난 전체 색상 인상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광원도 필요에 따라 추가로 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개조는 예를 들어
- 인광 염료와의 조합 또는
- 상이한 방출 특성을 갖는 추가적인 광원과의 조합
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서 이미 석재 외관을 조명 소자와 조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WO 2009/110870 A1에는 유리,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또 다른 적합한 재료로 이루어진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캐리어 층 상의, 역시 투명한, 두께 0.3 내지 1.5 mm의 석재 층으로 구성된 베니어가 기술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요소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뒷면으로부터의 조명은 언급된 한 가지 옵션이다.
그러나, 암시된 고품질 표면을 고려한, 매우 보기 좋은 주간/야간 디자인을 갖는 석재 외관을 가지면서도 최소의 고유 중량을 갖는 대안적인 장식용 또는 기능성 요소가 여전히 필요하다. 석재 외관을 갖는 요소는 주간 디자인의 경우에는 최대의 부피감을 갖는 매우 두꺼운 석재처럼 보여야 하지만, 이와 동시에 야간 디자인의 경우에는 조명 효과의 높은 다변성 및 개인화를 가능하게 해야 한다. 따라서 논의된 문제는 상응하는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상기 문제는 본 발명에 따라
a) 다층체 및
b) 제1 LED 광원
을 포함하는 LED 조명 유닛에 의해 해결되며,
여기서 다층체는 하기 층:
a1) 반투명 흑색 또는 반투명 회색 열가소성 조성물의 캐리어 층,
a2) 석재 층의 총 면적에 걸쳐 2 mm 이하의 평균 두께를 갖는 석재 층,
a3) LED 조명 유닛에서 다층체의 가시면을 구성하는 석재 층 a2의 면 상의, 총 면적에 걸쳐 1 내지 6 mm의 평균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투명 층
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1 LED 광원은 투명 층 a3이 LED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에 대해 이용가능하도록 투명 층 a3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연부에 배치된다.
다층체는, 석재 층의 매우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0.05 mm 내지 0.3 mm 이하의 두께의 경우에도, 반투명 암색, 즉 반투명 흑색 또는 반투명 회색 캐리어 층으로 인해, 훨씬 더 두껍고 매우 부피감 있는 석재 층을 갖는 것처럼 보인다. 다층체는 사용된 캐리어 재료가 반투명 흑색 재료인 경우에 특히 고품질 외관을 갖는다. 이러한 재료는 WO 2019/020478 A1에 기술되어 있고, 그 내용은, 상응하는 색상 효과를 갖는 적합한 조성물과 관련해서, 개별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것으로 명시된 실시양태 및 가능성을 보이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본 개시내용에 포함될 것이다.
LED 조명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다층체를 백라이팅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즉 뒤쪽으로부터 다층체를 통해 비출 수 있도록 배치된 제2 광원을 갖는다. 백라이팅의 경우에, LED 광원은, 반투명 캐리어 층, 석재 층 및 투명 층이 백라이팅되도록, 캐리어 층의 뒤쪽에 존재한다.
투명 층 a3이 LED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에 대한 도광판으로서 이용가능하다는 사실이 연부 조명이 계속 작동 상태로 있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 대신에, 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한 가지 기술적으로 규정된 옵션이다. 특히 주간에 일반적으로 그렇듯이, 연부 조명도 물론 꺼질 수 있다. 광원을 또한 센서 기술 또는 타임스위치 기술을 사용하여 상응하게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추가적인 백라이팅이 제공되는 경우에, 이것은 백라이팅의 대안으로서 선택되거나 그것과 동시에 켜질 수 있다. LED 조명 유닛은 또한 백라이팅 및 연부 조명 둘 다가 꺼진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광, 연부 조명뿐만 아니라 뒤쪽으로부터의 백라이팅으로 인해, 본 발명의 구조물은 보기 좋은 주간 디자인뿐만 아니라 LED 광의 색상의 선택에 따라 추가로 개조될 수 있는 고품질 야간 디자인을 갖는다.
여기서 "LED 조명 유닛"은 기계적으로 결합된 개별 부품의 패키지라는 좁은 의미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더 넓게는 유닛을 형성하도록 기능적으로 (단순히) 결합된 개별 부품의 단순 조합으로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기계적으로 결합된 조합도 마찬가지로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 조명 유닛"은 본 발명의 방식으로 LED 광원과 기능적으로 결합된 다층체를 갖는 임의의 장치 또는 임의의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바닥 커버링의 형성 또는 가구 제작을 위한 요소, 벽 또는 도어 패널, 램프 및 조명 소자의 부품, 가전제품 또는 전기 설비의 하우징, 또는 자동차 분야로부터의 구성요소, 특히 자동차 내장 구성 분야로부터의 구성요소, 예건대 내장 트림의 부품, 대시보드의 부품, 계기판의 부품, 장식용 스트립, 문턱 스트립, 팔걸이의 부품, 센터 콘솔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ED 조명 유닛은 보기 좋은 주간/야간 디자인을 갖는다. LED 광원이 켜지지 않은 경우에, 관찰자는 보기 좋은 천연 석재 외관을 보게 된다. 제1 LED 광원이 켜지면, 그 결과 현저하게 상이한 외관이 나타나는데, 왜냐하면 투명 구성요소의 연부 조명이 석재 층의 3차원 토포그래피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사용된 석재의 유형에 따라 반짝이는 요소 또는 거울 요소가 추가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연부 조명은 백라이팅과 조합되어 추가의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특정한 디자인 양태가 반투명 암색 층에 의해 본 발명의 LED 조명 유닛에 부여된다. 이는 특히 고형 외관을 주간 디자인에 부여할 뿐만 아니라 재료가 암색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착색된 광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착색된 LED가 광원으로서,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예를 들어 RGB LED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 그것의 다이오드는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적절하게 착색된 광은 또한 다층체를 통과한다. 예를 들어, 백라이팅으로서 켜진 적색 LED(들)를 갖는 야간 디자인의 다층체는 석재 층에 의해 뚜렷한 패턴을 갖고서 적색으로 빛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다층체"는 적어도 층 a1, a2 및 a3을 포함하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임의의 구조물이다. 추가의 층, 특히 내긁힘성 층이, 예를 들어 다층체의 외부의, 다층체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평평한 면 상에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다층체의 외부의"란 석재 층 a2와 결합된 층과 반대편에 있는 캐리어 층 a1 또는 투명 층 a3의 면을 의미한다.
다층체는 시트의 형태, 또는 시트 이외의 기하구조를 갖는다. 시트는 벽 요소, 타일 요소, 또는 바닥 커버링을 위한 요소의 경우에 통상적인 형태를 갖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3차원 형상의 가시적 표면을 갖는, 시트 이외의 기하구조를 갖는 LED 조명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내장 응용품, 예를 들어 자동차 대시보드의 경우에 사용된다. 3차원 형상의 부품은 직접 사출 성형에 의해,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조 공정에 의해, 3차원으로 가공된 석재 판상체를 사용하여 제조되거나, 시트 형태의 다층체의 후속 열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투명"이 의미하는 것은 적어도 8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6%,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8%의, 2 mm의 두께에서 ISO 13468-2:2006에 따라 측정된 투과율 Ty, 및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미만,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미만의, ASTM D1003:2013에 따라 2 mm의 층 두께에서 결정된 헤이즈를 갖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LED 광원"은 200 nm 내지 3000 nm의 범위에서 방출된 강도의 70% 초과가 스펙트럼의 가시광선 범위에 있는 방사 특성을 갖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가시광선 범위는 360 nm 내지 780 nm의 파장 범위로서 규정된다. 강도의 5% 미만이 360 nm 미만의 범위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360 nm 내지 500 nm의 범위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맥락에서 LED 광은, 360 nm 내지 46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nm 내지 46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430 nm 내지 460 nm, 또는 대안적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 nm 내지 405 nm의, 강도 측면에서의 피크 파장, 즉 최대 강도의 파장을 갖는다. 피크 파장을 결정하기 위해, 방사-등가 매개변수, 예를 들어 방사속(radiation flux)이 스펙트럼 분해능을 사용하여 측정되고 데카르트 좌표계에 표시된다. y축에는 방사-등가 매개변수가 표시되고 x축에는 파장이 표시된다. 이러한 곡선의 절대 최대값은 "피크 파장"이다 (DIN 5031-1 (1982)에 따른 규정). 용어 "... 내지 ..."는 명시된 임계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LED 광"은 바람직하게는 60 n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 nm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0 nm 이하의 반치전폭을 갖는 좁은 방출 폭을 가지며, 단색 광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치전폭은 절반의 강도에서의 방출 피크의 전체 폭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모든 상기-기술된 LED/LED 기술은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광판"으로서의 이용이란, LED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 반사에 의해 투명 층 a3을 통해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LED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층 a3과 석재 층 a2의 계면에서 및/또는 투명 층 a3과 주변 공기 또는 다층체의 외부에 있는 추가의 추가적인 투명 층의 계면에서 전반사됨을 의미한다. 여기서 "계면"은 다층체의 두 개 이상의 층 또는 주변 공기가 서로 결합되거나 서로 직접 결합된 표면 및/또는 그렇게 해 주는 표면이다. 계면은 재료 전이에 의해 형성된다.
연부 조명은 비교적 적은 수의 LED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기 좋은 조명 효과를 발휘하는 비교적 에너지-효율적인 수단이다.
캐리어 층 a1은 반투명 흑색 또는 반투명 회색 열가소성 조성물의 층이다. "~의"가 의미하는 것은 캐리어 층이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반투명" 성형 배합물은 40% 미만 및 적어도 2.5%, 바람직하게는 2.5%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미만 및 2.7%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및 2.9% 초과의, 2 mm의 두께에서 ISO 13468-2:2006 (D65, 10°)에 따라 측정된 투과율 Ty, 및 바람직하게는 95%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99% 초과의, ASTM D1003:2013에 따라 2 mm의 층 두께에서 측정된 헤이즈를 갖는 성형 배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흑색 조성물은, 2 mm의 두께에서 ISO 13468-2:2006 (D65, 10°)에 따라 결정된, CIELab 색좌표에서 40 미만의 L*, 15 미만 및 -15 초과,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및 -10 초과의 a*, 및 15 미만 또는 -15 초과,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및 -10 초과의 b*에 의해 기술되는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색 조성물은, 2 mm의 두께에서 ISO 13468-2:2006 (D65, 10°)에 따라 결정된, CIELab 색좌표에서 적어도 40 및 65 미만의 L*, 15 미만 및 -15 초과,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및 -10 초과의 a*, 및 15 미만 또는 -15 초과,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및 -10 초과의 b*에 의해 기술되는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중량%,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비율로 열가소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기재로 한다.
적합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PC),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PS),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알킬렌, 예컨대 폴리에틸렌 (PE) 또는 폴리프로필렌 (PP),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PET-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체 (PETG),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폴리- 또는 코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이미드 (예를 들어 PMMI), 폴리에테르술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시클릭 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COP 또는 COC) 또는 그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클릭 올레핀 중합체,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이다. 서로 상이한 중합체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에,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와 PMMA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층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합체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단독 또는 또 다른 중합체, 특히 폴리에스테르와의 혼합물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층의 열가소성 조성물은 열가소성 중합체로서 오로지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만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모든 공지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이것은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어디에서나 단지 "폴리카르보네이트"만이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이 의미하는 것은 특히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다층체의 층 중 하나에 존재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특정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서로 상이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혼합물, 즉, 예를 들어, 2종의 상이한 방향족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2종의 상이한 방향족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1종의 방향족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1종의 방향족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카르보네이트 기의 80 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mol% 내지 50 mol%의 부분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탄산으로부터 유도된 산 라디칼뿐만 아니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산 라디칼을 분자 사슬에 포함하는 이러한 유형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라고 지칭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그것은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라는 포괄적인 용어에 의해 표현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 탄산 유도체, 및 임의로 사슬 종결제 및 분지화제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지난 40여년 동안 많은 특허 명세서에서 제시되었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문헌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ume 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문헌 (D. Freitag, U. Grigo, P.R. Mueller, H. Nouvertn
Figure pct00001
, BAYER AG, "Polycarbonate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ume 11, Second Edition, 1988, pages 648-718) 및 마지막으로 문헌 (Dres. U. Grigo, K. Kirchner and P.R. Mueller "Polycarbonate" [폴리카르보네이트] in Becker/Braun, Kunststoff-Handbuch [플라스틱 핸드북], volume 3/1, Polycarbonate, Polyacetale, Polyester, Celluloseester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스 에스테르],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pages 117-299)이 참조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합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예를 들어,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파이드,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폭시드, 알파-알파'-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이사틴 또는 페놀프탈레인의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프탈이미드, 및 그의 고리-알킬화, 고리-아릴화 및 고리-할로겐화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에탄, 1,3-비스[2-(4-히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 (비스페놀 M), 1,1-비스(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 술폰, 2,4-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3-비스[2-(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비스페놀 TMC) 및 화학식 (I) 내지 (III)의 비스페놀이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각각의 R'은 C1- 내지 C4-알킬 라디칼, 아르알킬 라디칼 또는 아릴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메틸 라디칼 또는 페닐 라디칼,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낸다.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하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4,4'-디히드록시디페닐, 1,1-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비스페놀 TMC), 및 또한 화학식 (I), (II) 및/또는 (III)의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이다.
이러한 및 추가의 적합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예를 들어, US 2 999 835 A, 3 148 172 A, 2 991 273 A, 3 271 367 A, 4 982 014 A 및 2 999 846 A, 독일 공개 명세서 1 570 703 A, 2 063 050 A, 2 036 052 A, 2 211 956 A 및 3 832 396 A, 프랑스 특허 1 561 518 A1, 논문("H.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64, p. 28 ff.; p.102 ff."), 및 ("D.G. Legrand, J.T. Bendler, Handbook of Polycarbonate Science and Technology, Marcel Dekker New York 2000, p. 72ff.")에 기술되어 있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에, 단지 1종의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만이 사용되며;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에 2종 이상의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이 사용된다.
적합한 탄산 유도체의 예는 포스겐 또는 디페닐 카르보네이트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적합한 사슬 종결제는 모노페놀 및 모노카르복실산 둘 다를 포함한다. 적합한 모노페놀은 예를 들어 페놀 그 자체, 알킬페놀, 예컨대 크레졸, p-tert-부틸페놀, 쿠밀페놀, p-n-옥틸페놀, p-이소옥틸페놀, p-n-노닐페놀 및 p-이소노닐페놀, 할로페놀, 예컨대 p-클로로페놀, 2,4-디클로로페놀, p-브로모페놀 및 2,4,6-트리브로모페놀, 2,4,6-트리아이오도페놀, p-아이오도페놀 및 그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사슬 종결제는 또한 선형 또는 분지형, 바람직하게는 치환되지 않은 C1 내지 C30 알킬 라디칼 또는 tert-부틸로 일치환 또는 다중치환된 페놀이다. 특히 바람직한 사슬 종결제는 페놀, 쿠밀페놀 및/또는 p-tert-부틸페놀이다.
적합한 모노카르복실산은 또한 벤조산, 알킬벤조산 및 할로벤조산이다.
사용되는 사슬 종결제의 양은 각각의 경우에 사용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의 몰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mol%이다. 사슬 종결제는 탄산 유도체와의 반응 전에, 동안 또는 후에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분지화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화학에 공지된 삼관능성 또는 삼관능성 초과의 화합물, 특히 세 개 또는 세 개 초과의 페놀계 OH 기를 갖는 것들이다.
적합한 분지화제는 예를 들어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트-2-엔,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헥사(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닐) 오르토테레프탈레이트,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및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 및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및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다.
사용되는 임의의 분지화제의 양은 역시 각각의 경우에 사용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의 몰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05 mol% 내지 2.00 mol%이다.
분지화제는, 포스겐화 전에, 수성 알칼리 상에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 및 사슬 종결제와 함께 초기 충전물을 형성하거나, 유기 용매에 첨가되고 용해될 수 있다. 에스테르교환 방법의 경우에, 분지화제는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과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계면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15,000 및 25,000 g/mol, 바람직하게는 15,000-24,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0-23,500 g/mol, 더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00-22,500 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Mw를 갖는다. 상기 값은 디클로로메탄을 용리액으로서 사용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결정, 독일 소재의 페에스에스 폴리머 스탠다즈 서비스 게엠베하(PSS Polymer Standards Service GmbH)로부터의 공지된 몰 질량 분포의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비스페놀 A 및 포스겐으로 구성됨)를 사용한 보정; 레버쿠젠 소재의 쿠렌타 게엠베하 운트 코, 오하게(Currenta GmbH & Co. OHG)의 방법 2301-0257502-09D (2009 독일판)에 따른 보정에 적용 가능하다. 보정을 위한 용리액도 마찬가지로 디클로로메탄이다. 가교된 스티렌-디비닐벤젠 수지의 컬럼 조합. 분석 컬럼의 직경: 7.5 mm; 길이: 300 mm. 컬럼 재료의 입자 크기: 3 μm 내지 20 μm. 용액의 농도: 0.2 중량%. 유량: 1.0 ml/min, 용액의 온도: 30℃. 굴절률 (RI) 검출기를 사용한 검출.
ISO 1133:2012-03에 따라 300℃ 및 1.2 kg에서 측정된 (순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MVR 값은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7 cm3/(10 min), 더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65 cm3/(10 min)이다.
기록된 MW 및 MVR 값은 조성물에 존재하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전체에 기초한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하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1,3-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를 기재로 하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2종 단량체인 비스페놀 A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을 기재로 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반투명 열가소성 조성물이 추가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원칙적으로, 이것은 열가소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매우 다양하고도 상이한 성분들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임의의 반투명 흑색 또는 반투명 회색 열가소성 조성물이 유용하며, 단 성형 배합물의 점도는 석재 표면의 충분한 습윤 및 석재 내의 틈새 및 기공에의 충분한 침투를 방해하는 정도로 상승해서는 안 된다.
캐리어 층에 적합한 반투명 열가소성 조성물은
a) 적어도 9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 성분 a),
b) 0.1 중량% 이하의 총량으로, 적어도 2종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분 c 및 성분 e 이외의 착색제로 구성된 착색제 혼합물,
c) 0.00001 중량% 내지 0.05 중량%의 카본 블랙,
d) 0.00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 첨가제,
e) 임의로 1.0 중량%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백색 안료,
f) 임의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는 또한, 반올림 범위를 포함하여, 각각의 한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2 중량% 이하"는 2 중량% 및 그보다 작은 값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2.2 중량%도 포함한다.
중량%로 나타내어진 수치는 각각 전체 조성물에 기초한다.
적합한 반투명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서 언급된 착색제 (성분 b)는 바람직하게는 안트라퀴논, 안트라피리돈, 페리논, 메틴 또는 퀴놀린을 기재로 하는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특정한 맥락에서 "을/를 기재로 하는"은 성분 b)의 착색제의 기본 구조가, 각각의 경우에 기본 구조로서 명시된, 여전히 인지될 수 있는 화합물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본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갖는다.
원칙적으로 적합한 착색제는 하기 구조 (4a) 내지 (24)의 착색제이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펜틸, 네오펜틸, 헥실, 텍실 또는 Cl,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 Cl, 특히 바람직하게는 Cl이고,
- n은, 각각의 R에 대해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자연수이고, 여기서 상기 라디칼은 n = 0일 때 수소이고;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Ra 및/또는 Rb는 Cl이고 아민 관능기를 보유하는 탄소 원자에 대해 o- 및/또는 p 위치에 존재하고, 예를 들어 디오르토클로로나프탈리노, 디오르토-, 모노-파라-클로르나프탈리노, 및 모노오르토나프탈리노이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a 및 Rb은 각각 질소 관능기를 보유하는 탄소 원자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메타 위치에 존재하는 tert-부틸 라디칼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모든 고리에서 n = 0이고, 따라서 모든 Ra 및 Rb = H이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 Rc 및 Rd는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펜틸, 네오펜틸, 헥실, 텍실 또는 Cl,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 Cl, 특히 바람직하게는 Cl이고,
- n은, 각각의 R에 대해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자연수이고, 여기서 상기 라디칼은 n = 0일 때 수소이고;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Rc 및/또는 Rd는 Cl이고 아민 관능기를 보유하는 탄소 원자에 대해 o- 및/또는 p 위치에 존재하고, 예를 들어 디오르토클로로나프탈리노, 디오르토-, 모노-파라-클로르나프탈리노, 및 모노오르토나프탈리노이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c 및 Rd은 각각 질소 관능기를 보유하는 탄소 원자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메타 위치에 존재하는 tert-부틸 라디칼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모든 고리에서 n = 0이고, 따라서 모든 Rc 및 Rd = H이다.
구조 (4a) 및 (4b), 및 (5a) 및 (5b)는 서로의 이성질체이다. 각각의 이성질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4a) 및 (4b) 또는 (5a) 및 (5b)의 1:1 이성질체 혼합물 (중량%로 나타내어진, 이성질체 혼합물에 존재하는 이성질체의 각각의 양에 기초함)이 사용된다.
Figure pct00005
라디칼 R(5-20)은 각각의 경우에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펜틸, 네오펜틸, 헥실, 텍실, 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술폰, CN이다.
바람직하게는, R(5-20)은 모든 위치에서 동일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R(5-20)은 모든 위치에서 H이다. 대안적인 실시양태에서 R(5-20)은 모든 위치에서 Cl이다.
M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여기서 R = H: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CAS: 14154-42-8), 니켈 (여기서 R = H: 니켈 프탈로시아닌, CAS: 14055-02-8), 코발트 (여기서 R = H: 코발트 프탈로시아닌, CAS: 3317-67-7), 철 (여기서 R = H: 아이언 프탈로시아닌, CAS: 132-16-1), 아연 (여기서 R = H: 징크 프탈로시아닌, CAS: 14320-04-08), 구리 (여기서 R = H: 쿠퍼 프탈로시아닌, CAS: 147-14-8; 여기서 R = H 및 Cl: 폴리클로로 쿠퍼 프탈로시아닌, CAS: 1328-53-6; 여기서 R = Cl: 헥사데카클로로프탈로시아닌, CAS: 28888-81-5; 여기서 R = Br: 헥사데카브로모프탈로시아닌, CAS: 28746-04-5), 망가니즈 (여기서 R = H: 망가니즈 프탈로시아닌, CAS: 14325-24-7) 및/또는 마그네슘이다.
모든 위치에 대해 M = Cu와 R = H의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M = Cu 및 R(5-20) = H인 구조 (6b)의 화합물은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아게(BASF AG)로부터 헬리오겐(Heliogen)® 블루(Blue) K 6911D 또는 헬리오겐® 블루 K 7104 KW로서 입수 가능하다.
구조 (6a)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아게로부터 헬리오겐® 블루 L 7460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펜틸, 네오펜틸, 헥실, 텍실 또는 Cl,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 Cl, 특히 바람직하게는 Cl이고,
- n은 0 내지 4의 자연수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모든 고리에서 n = 0이고, 따라서 모든 R1 및 R2 = H이다.
이러한 구조 (7)의 착색제는 바스프 아게로부터 팔리오겐(Paliogen) 블루 시리즈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구조 (7)의 착색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2 l/kg-10 l/kg, 바람직하게는 3 l/kg-8 l/kg의 벌크 부피 (DIN ISO 787-11에 따라 결정됨), 5 m2/g-60 m2/g, 바람직하게는 10 m2/g-55 m2/g의 비표면적 (DIN 66132:1975-07에 따라 결정됨), 및 4-9의 pH (DIN ISO 787-9:1995-04에 따라 결정됨)을 갖는 안료가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R은 H 및 p-메틸페닐아민 라디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 = H이다.
이러한 종류의 착색제는, 예를 들어, 란세스 아게(Lanxess AG)로부터 마크롤렉스(Macrolex)® 바이올렛(Violet) B라는 상품명 하에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R3은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특히 바람직하게는 Cl이고, 여기서, 더 바람직하게는 n = 4이다. 추가로 n = 0이어서 R3 = H인 실시양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착색제는, 예를 들어, 란세스 아게로부터 마크롤렉스® 오렌지(Orange) 3G 또는 마크롤렉스® 레드(RED) EG로서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09
이러한 종류의 착색제는, 예를 들어, 란세스 아게로부터 마크롤렉스® 레드 E2G라는 브랜드명 (CAS 번호 89106-94-5) 하에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10
색상 지수 68210을 갖는 이러한 착색제는 "마크롤렉스® 레드 5B" 또는 "솔벤트(Solvent) 레드 52"라는 명칭 하에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11
구조 (12)의 착색제는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Lanxess Deutschland GmbH)로부터 마크롤렉스 그린(Green) 5B라는 명칭 (색상 지수 번호 61565, CAS 번호: 128-90-3) 하에 공지되어 있으며, 안트라퀴논 염료이다.
Figure pct00012
이러한 착색제는 "키플라스트 블루(Keyplast Blue) KR" 또는 "솔벤트 블루(Blue) 104"라는 명칭 (CAS 번호 116-75-6, 색상 지수-번호: 61568) 하에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13
이러한 착색제는 "마크롤렉스 블루 3R 그란(Gran)"이라는 명칭 (CAS 번호 41611-76-1) 하에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14
색상 지수 615290을 갖는 이러한 착색제는 "키플라스트 블루 E", "마크롤렉스® 블루 RR" 또는 "솔벤트 블루 97"라는 명칭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15
CAS 번호 81-48-1을 갖는 이러한 착색제는 란세스 아게로부터 "마크롤렉스 바이올렛 B" 또는 "솔벤트 바이올렛 13"이라는 명칭 (색상 지수 60725) 하에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16
이러한 착색제는 "마크롤렉스® 바이올렛 3R" 또는 "솔벤트 바이올렛 36"이라는 명칭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17
이러한 종류의 착색제는, 예를 들어, 란세스 아게로부터 "마크롤렉스 그린 G"라는 상품명 하에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18
이러한 착색제는 "마크롤렉스 레드바이올렛(RedViolet) R"이라는 명칭 (CAS 번호 6408-72-6) 하에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19
이러한 착색제는 색상 지수 48160을 갖는 "마크롤렉스 옐로우(Yellow) 3G" 또는 "솔벤트 옐로우 93"이라는 명칭 하에 입수 가능하다.
Figure pct00020
이러한 착색제는 색상 지수 47020을 갖는 "마크롤렉스 옐로우 G" 또는 "솔벤트 옐로우 114"라는 명칭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성형 배합물 중 성분 b)의 착색제의 총량은 0.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 중량% 내지 0.02 중량%이다.
성형 배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안트라퀴논을 기재로 하는 착색제 및 안트라퀴논 또는 안트라피리돈을 기재로 하는 추가의 착색제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성형 배합물은 그 외의 임의의 추가의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성형 배합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4)의 적어도 하나의 착색제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21
상기 식에서,
R1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아민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아민 라디칼이고,
R2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아민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p-메틸페닐아민 라디칼 또는 2,6-디에틸-4-메틸페닐아민 라디칼이고,
n은 0 내지 4,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의 자연수이고,
m은 0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의 자연수이다.
n = 0이면, H를 대체할 치환기가 각각의 라디칼 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5)의 적어도 하나의 착색제가 존재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7)의 착색제가 추가의 착색제로서 존재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1)의 착색제가 대안적으로 추가의 착색제로서 존재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착색제 (15) 및 (17) 또는 (15) 및 (11) 및 임의로 (13) 외에, 추가의 착색제가 본 발명의 성형 배합물에 존재하지 않는다.
성분 b)의 적어도 2종의 착색제 중 하나를 대표하는 대안적으로 바람직한 착색제는
- 구조 (23)의 착색제,
- 구조 (22)의 착색제,
- 화학식 (9)의 착색제, 특히 색상 지수 564120을 갖는 "마크롤렉스 레드 EG" 또는 "솔벤트 레드 135"라는 명칭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착색제,
- 구조 (16)의 착색제,
- 구조 (12)의 착색제
이다.
어떤 경우에도 성분 b의 착색제는 성분 c 및 e의 임의의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반투명 캐리어 층에 적합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00001 중량% 내지 0.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3 중량% 내지 0.0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04 중량% 내지 0.015 중량%의 카본 블랙,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45 중량% 내지 0.014 중량%의 카본 블랙 (성분 c)을 함유한다.
카본 블랙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 매트릭스에 미세하게 분산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노규모 형태로 존재하며, 특히 나노규모 착색 카본 블랙이다. 적합한 카본 블랙은 바람직하게는 100 n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mm 미만,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n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40 nm 미만의,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해 결정된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며, 평균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0.5 nm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 nm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5 nm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nm,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nm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적합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카본 블랙은 다수의 상품명 및 형태로, 예컨대 펠릿 또는 분말로서 수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적합한 카본 블랙은 캐보트 코포레이션(Cabot Corporation)으로부터 블랙 펄즈(BLACK PEARLS)®라는 상품명, 습식-가공된 펠릿으로서 엘프텍스(ELFTEX)®, 레갈(REGAL)® 및 CSX®라는 명칭, 박편 형태로서 모나크(MONARCH)®, 엘프텍스®, 레갈® 및 모굴(MOGUL)®로서 입수 가능하다. 블랙 펄즈®라는 상품명 (CAS 번호 1333-86-4)하에 판매되는 카본 블랙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카본 블랙 유형은 10 nm-30 nm, 특히 10 내지 20 mm의 입자 크기, 및 ISO 9277:2014-01 (BET 방법)에 따라 결정된, 바람직하게는 g당 35 m2-138 m2 (m2/g)의 비표면적을 갖는다. 카본 블랙은 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본 블랙은 특정한 가스 또는 실리카 또는 유기 물질, 예를 들어 부틸리튬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표면의 개질 또는 기능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응하게 사용되는 매트릭스와의 상용성이 증진될 수 있다. 블랙 펄즈®라는 상품명 (CAS 번호 1333-86-4) 하에 판매되는 카본 블랙이 특히 바람직하다.
캐리어 층의 반투명 재료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산란 첨가제 (성분 d)를 특히 0.00001 중량%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5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산란 첨가제는 단일 산란 첨가제 또는 2종 이상의 산란 첨가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산란 첨가제는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군으로부터의 하나의 산란 첨가제 또는 대안적으로 혼합물이 존재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를 산란제로서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으로, 실리콘-기재 산란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산란 첨가제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개별 성분으로서 언급된 백색 안료 (성분 e)가 아니다.
산란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가공 온도에서 분해되지 않기 위해 300℃까지의 우수한 열안정성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산란 첨가제는 중합체 사슬의 상당한 분해를 초래하는 임의의 관능기를 가져서는 안 된다. 바람직하게는, 산란 첨가제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중합체 사슬의 임의의 분해를 초래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제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기에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μm 내지 80 μm, 바람직하게는 2 μm 내지 40 μm, 특히 3 μm 내지 15 μm, 특히 3 μm 내지 9 μm의 평균 입자 크기 (수 평균)를 갖는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이다.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이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단독- 또는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제는 가교되었다. 적합한 가교제는 아크릴레이트의 경우에 공지된 가교제이다. 바람직한 가교제는 글리콜-기재 가교제, 예컨대, 특히,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함유 산란제, 예를 들어 코어-쉘 모폴로지를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성 입자, 예를 들어, 롬앤하스(Rohm&Haas)로부터 파랄로이드(Paraloid)® EXL 5136 또는 파랄로이드® EXL 5137로서 입수 가능한 것들,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교된 구형 또는 비-구형 아크릴레이트 입자, 예를 들어 세키스이 플라스틱스(Sekisui Plastics)로부터의 테크폴리머(Techpolymer)® MBX 시리즈의 것들인, 테크폴리머® MBX-S 또는 MBX-8이다. 코어-쉘 모폴로지를 갖는 산란 첨가제는, 예를 들어, EP 0 634 445 B1에 "중합체성 입자 (b)"로서 기술되어 있다.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0.5 μm 내지 100 μm, 바람직하게는 0.5 μm 내지 20 μm, 특히 1 μm 내지 6 μm의, ISO 13320:2009에 따라 레이저 산란에 의해 결정된 평균 입자 크기 (수-평균)를 갖는다.
적합한 실리콘-기재 산란제는 유기 규소 화합물인 실세스퀴옥산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실세스퀴옥산은 화학식 [RSiO3/2]n (여기서 R = H, 알킬, 아릴 또는 알콕시)을 갖는다.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적합한 실세스퀴옥산은, 예를 들어, 미국 모멘티브(Momentive)로부터의 토스펄(Tospearl)® 제품군으로부터의 제품인 토스펄® TSR9000 또는 120S 또는 간즈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Ganz Chemical Co., Ltd)로부터의 간즈펄(Ganzpearl) Si-020이다.
캐리어 층을 위해 선택된 재료가 반투명 흑색이 아니라 반투명 회색인 경우에, 각각의 조성물은 1.0 중량% 이하의 백색 안료를 함유한다. 존재하는 백색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산화아연, 황화아연, 황산바륨 및/또는 이산화티타늄,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타늄 및/또는 황산바륨이며; 이산화티타늄이 백색 안료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존재한다. 백색 안료는 이러한 2종 성분 중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이러한 목록으로부터의 또는 일반적인 백색 안료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른 백색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황산바륨이 존재하는 경우에, 전체 조성물 중 비율은 전형적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황산바륨이다.
백색 안료가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경우에, 백색 안료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 내지 0.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이다. 여기서 백색 안료의 총량에 기초하여 백색 안료의 95 중량%가 이산화티타늄인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이산화티타늄이 유일한 백색 안료이다.
캐리어 층의 조성물은 임의로 성분 b) 내지 e) 이외의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성분 f)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 이것은 반투명성의 손실을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 전형적으로 0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추가의 첨가제가 존재한다. 여기서 어디에서나,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중량 백분율은 각각의 전체 조성물에 기초한다.
성분 f로서 존재할 수 있는 통상적인 중합체 첨가제는, 예를 들어, EP-A 0 839 623, WO-A 96/15102, EP-A 0 500 496 또는 문헌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 Zweifel, 5th Edition 2000, Hanser Verlag, Munich)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추가의 첨가제는, 예를 들어,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점적방지제, 열 안정화제, 광학 증백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UV 흡수제 및/또는 IR 흡수제이다.
캐리어 층의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존재하는 추가의 첨가제는 오로지 하나 이상의 이형제, UV 흡수제, 착색제, 산란 입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열 안정화제이다.
적합한 열 안정화제는 포스페이트, 포스파이트, 포스포나이트 및 포스핀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그 예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이르가포스(Irgafos)® 168),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쿠밀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tert-부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tert-부틸-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 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 에틸 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tert-부틸-12-메틸-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tert-부틸-1,1'-비페닐-2,2'-디일) 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tert-부틸-1,1'-비페닐-2,2'-디일) 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PEP-36), 5-부틸-5-에틸-2-(2,4,6-트리-tert-부틸페녹시)-1,3,2-디옥사포스피란, 트리페닐포스핀 (TPP), 트리알킬페닐포스핀, 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 또는 트리나프틸포스핀이다. 트리페닐포스핀 (TPP), 이르가포스® 168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및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PEP-36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포스페이트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화학식 (IV)의 포스페이트 또는 이러한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이다.
Figure pct00022
상기 식에서, R1은 독립적으로 분지형 알킬 라디칼 및/또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서 알킬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18-알킬,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8-알킬 라디칼이다. 포스페이트 안정화제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것은 더 바람직하게는 트리(2-에틸헥실) 포스페이트 (트리이소옥틸 포스페이트)이다.
아릴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8-알킬, 분지형 C1- 내지 C8-알킬, 또는 쿠밀에 의해 치환되며, 여기서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지만 치환기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아릴 라디칼이 위치 2 및 4 또는 2, 4 및 6에서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에서의 tert-부틸 치환기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모든 R1이 동일한 것이 더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페놀계 산화방지제, 예를 들어 알킬화 모노페놀, 알킬화 티오알킬페놀,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르가녹스(Irganox)® 1010 (펜타에리트리톨 3-(4-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CAS: 6683-19-8) 및/또는 이르가녹스 1076® (2,6-디-tert-부틸-4-(옥타데카녹시카르보닐에틸)페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르가녹스 1076® (2,6-디-tert-부틸-4-(옥타데카녹시카르보닐에틸)페놀)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포스핀 화합물은 포스파이트 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두 가지의 후자의 화합물의 혼합물과 함께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안정화제 시스템은 트리페닐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과 페놀계 산화방지제, 예컨대 이르가녹스® 1076 또는 이르가녹스® 1010의 혼합물, 및/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포스파이트의 조합, 바람직하게는 이르가녹스® 1076 또는 이르가녹스® 1010과 이르가포스® 168 또는 PEP-36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안정화제 시스템은 포스핀, 포스파이트 및 페놀계 산화방지제,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스핀, 이르가녹스® 1076 및 이르가포스® 168로 이루어진다.
적합한 이형제는, 예를 들어, 1가 내지 6가 알콜, 특히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게르베(Guerbet) 알콜의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이다. 1가 알콜은, 예를 들어, 스테아릴 알콜, 팔미틸 알콜 및 게르베 알콜이다. 2가 알콜의 예는 글리콜이고; 3가 알콜의 예는 글리세롤이고; 4가 알콜의 예는 펜타에리트리톨 및 메소에리트리톨이고; 5가 알콜의 예는 아라비톨, 리비톨 및 크실리톨이고; 6가 알콜의 예는 만니톨, 글루시톨 (소르비톨) 및 둘시톨이다.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포화 지방족 C10 내지 C36 모노카르복실산 및 임의로 히드록시모노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포화 지방족 C14 내지 C32 모노카르복실산 및 임의로 히드록시모노카르복실산의,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 펜타에스테르 및 헥사에스테르 또는 그의 혼합물, 특히 통계학적 혼합물이다.
특히 펜타에리트리톨의 및 글리세롤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지방산 에스테르는 제조 결과 60% 미만의 서로 상이한 부분 에스테르를 함유할 수 있다.
10 내지 3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예는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아라크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세로트산 및 몬탄산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 f)로서 특히 적합한 이형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PETS) 또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GMS)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전체 조성물은 이형제를 전체 조성물의 질량에 기초하여 0 ppm 내지 3000 ppm, 바람직하게는 100 ppm 내지 1000 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ppm 내지 500 ppm의 비율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UV 흡수제는 400 nm 미만에서 최소 투과율 및 400 nm 초과에서 최대 투과율을 갖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는 문헌을 통해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EP-A 0 839 623, WO-A 96/15102 및 EP-A 0 500 496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벤조페논 및/또는 아릴화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이다.
매우 특히 적합한 자외선 흡수제는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예컨대 2-(3',5'-비스(1,1-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티누빈(Tinuvin)® 234,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Ciba Spezialitaetenchemie)),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티누빈® 329,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 2-(2'-히드록시-3'-(2-부틸)-5'-(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티누빈® 350,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 비스(3-(2H-벤즈트리아졸릴)-2-히드록시-5-tert-옥틸)메탄, (티누빈® 360,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티누빈® 1577,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 및 벤조페논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키마소르브(Chimasorb)® 22,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 및 2-히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 (키마소르브® 81, 바젤 소재의 시바), 2-시아노-3,3-디페닐-2-프로펜산 2-에틸헥실 에스테르, 2,2-비스[[(2-시아노-1-옥소-3,3-디페닐-2-프로페닐)옥시]메틸]-1,3-프로판디일 에스테르 (9CI) (우비눌(Uvinul)® 3030,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아게),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GX UVA 006,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 또는 테트라에틸 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호스타빈(Hostavin)® B-캡(Cap), 클라리안트 아게(Clariant AG))이다.
특별히 바람직한 UV 흡수제는, 예를 들어, 티누빈® 360, 티누빈® 350, 티누빈® 329, 호스타빈® B-캡, 더 바람직하게는 TIN 329 및 호스타빈® B-캡이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조성물에 존재하는 자외선 흡수제의 양과 관련해서는 어떠한 특정한 제한도 없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전체 조성물에 기초하여 0 ppm 내지 6000 ppm, 바람직하게는 500 ppm 내지 5000 ppm,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ppm 내지 2000 ppm의 양으로 포함한다.
점적방지제는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린-함유 점적방지제, 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다.
캐리어 층의 두께는 각각의 원하는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캐리어 층의 두께는 캐리어 층이 충분한 안정성을 다층체에 부여하도록 선택되지만, 필요한 것보다 더 많지 않은 재료가 사용되는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으면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중량이 불필요하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자동차 내장 요소의 경우에, 기능성 구성요소를 위해 최소 중량을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두께는 0.5 내지 6 m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 mm의 범위,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mm의 범위이다. 이러한 두께는 열가소성 재료의 캐리어 층의 총 면적에 걸쳐 평균내어진다. 총 면적에 걸쳐 평균내어진 두께로부터 층의 임의의 개별 지점에서의 두께의 편차는 바람직하게는 ±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 5% 이하이다. 석재 층은 전형적으로 약간 불규칙한 표면을 가지며 이 경우 재료가 간극에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 평균값으로부터 미미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캐리어 층은 바람직하게는 석재 층을 완전히 커버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연부에서 석재 층을 넘어 돌출된다.
석재 층 a2는 변성암 또는 퇴적암의 층이다. 여기서 천연 석재 재료로부터 얇은 층으로서 제거될 수 있는 비교적 개별적인 다수의 층이 존재한다. 적합한 석재 재료는, 예를 들어, 슬레이트와 유사한 형태의 점토암 또는 슬레이트 점토, 석회석, 사암, 이암, 점토 셰일, 규암, 천매암, 운모 셰일, 녹니석 편암, 편마암, 활석 편암, 청색 편암 또는 남섬석 편암, 착색 슬레이트, 프라시나이트(prasinite), 녹렴석-각섬암, 각섬암, 엠브레카이트(embrechite), 아그마타이트(agmatite), 석회석 편암, 압쇄석, 규질 점토암, 미그마타이트(migmatite), 대리석, 사문암, 유휘암, 편암, 프러치시에퍼(fruchtschiefer) 또는 백립암이다. 석재 층은 바람직하게는 착색 슬레이트, 운모 셰일, 석회석, 사암 또는 대리석을 포함하고; 그것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암석으로 이루어진다. 원칙적으로, 석재 층은 서로 상이한 석재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석재 유형의 모자이크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석재 층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석재 유형으로 이루어지고 단일체로서 취급되어 왔다.
석재 층의 두께는 2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mm 이하이며, 여기서 두께는 석재 층의 전체 2차원 면에 걸쳐 평균내어진다. "2차원 면"은 다층체의 가시면을 향하는, 즉 다층체의 시각적 외관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석재 층의 면, 및 그러한 면의 반대편에 있는 면이다. 선택된 석재는 어떤 경우에도 얇아서, 여전히 원하는 정도로 투명해야 한다. 석재 층은 바람직하게는 결집성(coherent) 그레인 미세구조를 갖는다.
석재 층은, 적어도 투명 층에 대면하는 평평한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 μm,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00 μm,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0 μm의 최대 조도 Rz를 갖는 토포그래피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최대 조도 Rz는 최대 프로파일 피크 높이와 최대 프로파일 계곡 깊이 사이의 절대 수직 거리로서 규정된다. 여기서 측정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cm이다. 이러한 최대 조도 Rz 값은, 광이 측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측면 연부를 통해 입사하는 경우에 이러한 토포그래피가 거친 석재 표면에서 그림자의 형성, 광의 굴절 등에 의해 광학적으로 강조되고 우리 눈에 의해 인지되는 3차원 인상이 향상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투명 층 a3은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조성물의 층이다. 캐리어 층과 관련하여 이미 제공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투명한 조성물이 수득되도록 열가소성 조성물의 성분이 선택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이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투명 층의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존재하는 추가의 첨가제는 오로지 하나 이상의 이형제, UV 흡수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열 안정화제이다.
투명 층은 이러한 층을 통한 다층체의 연부-조명이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하면서도 너무 두껍지 않은 두께를 가져야 한다. 이와 동시에, LED 조명 유닛의 중량이 불필요하게 증가하지 않게 하기 위해 투명 층 a3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두께는 1 내지 6 m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mm의 범위,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 mm의 범위이며, 여기서 두께는 투명 층의 총 면적에 걸쳐 평균내어진다. 총 면적에 걸쳐 평균내어진 두께로부터 투명 층의 임의의 개별 지점에서의 두께의 편차는 바람직하게는 ± 10% 이하이다.
열가소성 조성물의 충분한 유동성 및 그에 따른 충분히 우수한 가공성을 보장하기 위해, 조성물의 MVR 값 (ISO 1133:2012-03에 따라 300℃ 및 1.2 kg에서 측정됨)은 바람직하게는 14 cm3/(10 min) 내지 80 cm3/(10 min),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cm3/(10 min) 내지 80 cm3/(10 min),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cm3/(10 min) 내지 80 cm3/(10 min), 특히 바람직하게는 32 cm3/(10 min) 내지 75 cm3/(10 min)이어야 한다.
우수한 기계적 안정성을 위해, ISO 179/1eA:2010에 따라 실온에서 두께 3 mm의 시편을 사용하여 측정된 열가소성 조성물의 노치 충격 내성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kJ/m2,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kJ/m2 내지 130 kJ/m2,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kJ/m2 내지 120 kJ/m2,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kJ/m2 내지 80 kJ/m2이다.
본 발명의 조명 유닛의 다층체의 층들인, 캐리어 층 a1, 석재 층 a2 및 투명 층 a3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mm,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mm이다.
투명 층은 석재 층을 매우 실질적으로 전체 면적에 걸쳐, 특히 적어도 90%의 정도로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LED 조명 유닛은
a) 다층체 및
b) 제1 LED 광원
을 포함하고,
여기서 다층체는 하기 층:
a1)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반투명 흑색 또는 반투명 회색 열가소성 조성물의 캐리어 층,
a2) 석재 층의 총 면적에 걸쳐 2 mm 이하의 평균 두께를 갖는 석재 층,
a3) LED 조명 유닛에서 다층체의 가시면을 구성하는 석재 층 a2의 면 상에 존재하는, 총 면적에 걸쳐 1 내지 6 mm의 평균 두께를 갖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투명 층
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1 LED 광원은 투명 층 a3이 LED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을 위해 이용가능하도록 투명 층 a3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연부에 배치되고,
여기서 캐리어 층의 조성물은
a) 적어도 9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바람직하게는 안트라퀴논, 안트라피리돈, 페리논, 메틴 또는 퀴놀린을 기재로 하는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분 c 및 e 이외의 착색제의 착색제 혼합물로서,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착색제가 안트라퀴논-기재 착색제이고 다른 착색제가 마찬가지로 안트라퀴논-기재 착색제 또는 안트라피리돈-기재 착색제이고 특히 구조 (15) 및 (11) 또는 (15) 및 (17)의 착색제의 혼합물이고 성분 b)의 착색제의 총량이 0.1 중량% 이하인, 착색제 혼합물
c) 0.0003 중량% 내지 0.020 중량%, 특히 0.0004 중량% 내지 0.0015 중량%의 카본 블랙, 더 바람직하게는 유일한 카본 블랙으로서, 특히 나노규모 카본 블랙,
d) 0.05 중량% 내지 1.0 중량%, 특히 0.50 중량%의,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 첨가제로서, 여기서 실세스퀴옥산이 바람직하게는 산란 첨가제로서 존재하며, 그것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성분 d)의 유일한 산란 첨가제인 산란 첨가제,
e) 임의로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 내지 1.0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타늄 및/또는 황산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백색 안료,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유일한 백색 안료로서, 특히 0.04 중량% 내지 0.08 중량%의 이산화티타늄,
f) 임의로, 바람직하게는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점적방지제, 열 안정화제, 광학 증백제, UV 흡수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및/또는 IR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라 더욱 바람직한 LED 조명 유닛은
a) 다층체 및
b) 제1 LED 광원,
c) 바람직하게는 제2 LED 광원
을 포함하고,
여기서 다층체는 하기 층:
a1) 캐리어 층의 총 면적에 걸쳐 0.5 내지 6 mm의 평균 두께를 갖는 반투명 흑색 또는 반투명 회색 열가소성 조성물의 캐리어 층,
a2) 바람직하게는 착색 슬레이트, 운모 셰일, 석회석, 사암 또는 대리석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2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투명 석재 층,
a3) LED 조명 유닛에서 다층체의 가시면을 구성하는 석재 층 a2의 면 상에 존재하는, 총 면적에 걸쳐 1 내지 6 mm의 평균 두께를 갖는, 적어도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중량%,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투명 층
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1 LED 광원은 투명 층 a3이 LED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을 위해 이용가능하도록 투명 층 a3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연부에 배치되고,
존재하는 임의의 제2 LED 광원이 다층체를 백라이팅(backlighting)하도록 배치되고,
여기서 캐리어 층의 조성물은
a) 적어도 9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9.95 중량% 이하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적어도 2종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분 c 및 성분 e 이외의 착색제의 착색제 혼합물로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착색제는 안트라퀴논-기재 착색제이고 다른 착색제는 안트라피리돈-기재 착색제이고 여기서 성분 b)의 착색제의 총량이 0.1 중량% 이하인, 착색제 혼합물,
c) 0.002 중량% 내지 0.020 중량%의 카본 블랙으로서, 여기서 존재하는 카본 블랙은,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유일한 카본 블랙으로서, 특히 나노규모 카본 블랙, 매우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나노규모 착색 카본 블랙인 카본 블랙,
d) 0.05 중량% 내지 1.0 중량%, 특히 0.5 중량%의,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 첨가제,
f) 임의로,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점적방지제, 열 안정화제, UV 흡수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및/또는 IR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를 함유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백색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더 더욱 바람직한 LED 조명 유닛은
a) 다층체 및
b) 제1 LED 광원,
c) 바람직하게는 제2 LED 광원
을 포함하고,
여기서 다층체는 하기 층:
a1) 캐리어 층의 총 면적에 걸쳐 0.5 내지 6 mm의 평균 두께를 갖는 반투명 흑색 열가소성 조성물의 캐리어 층,
a2) 바람직하게는 착색 슬레이트, 운모 셰일, 석회석, 사암 또는 대리석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석재 층의 총 면적에 걸쳐 2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 mm 이하의 평균 두께를 갖는 석재 층,
a3) LED 조명 유닛에서 다층체의 가시면을 구성하는 석재 층 a2의 면 상에 존재하는, 총 면적에 걸쳐 1 내지 6 mm의 평균 두께를 갖는, 적어도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중량%,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투명 층
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1 LED 광원은 투명 층 a3이 LED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을 위해 이용가능하도록 투명 층 a3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연부에 배치되고,
존재하는 임의의 제2 LED 광원이 다층체를 백라이팅하도록 배치되고,
여기서 캐리어 층의 조성물은
a) 적어도 9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9.95 중량% 이하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적어도 2종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분 c 및 성분 e 이외의 착색제의 착색제 혼합물로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착색제는 안트라퀴논-기재 착색제이고 다른 착색제는 안트라피리돈-기재 착색제이고 여기서 성분 b)의 착색제의 총량이 0.1 중량% 이하인, 착색제 혼합물,
c) 0.002 중량% 내지 0.02 중량%의 카본 블랙으로서, 여기서 존재하는 카본 블랙은,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유일한 카본 블랙으로서, 특히 나노규모 카본 블랙, 매우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나노규모 착색 카본 블랙인 카본 블랙,
d) 0.05 중량% 내지 1.0 중량%, 특히 0.50 중량%의,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 첨가제로서, 여기서 실세스퀴옥산이 바람직하게는 산란 첨가제로서 존재하며, 그것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성분 d)의 유일한 산란 첨가제인 산란 첨가제,
f) 임의로,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점적방지제, 열 안정화제, UV 흡수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및/또는 IR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를 함유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백색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층의 반투명 열가소성 조성물은 임의의 추가의 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여기서 추가의 첨가제의 군 f는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UV 흡수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IR 흡수제, 점적방지제, 광학 증백제 및/또는 열 안정화제의 군으로 이루어진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층체는 층 a1 내지 a3 및 존재하는 임의의 보호 층, 특히 투명 내긁힘성 층 이외의 임의의 추가의 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된 층 및 궁극적으로 다층체의 층을 위한 성형 배합물은 배합, 혼합 및 균질화에 의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단력의 인가에 의해 용융물 상태에서 수행되는 균질화에 의한, 표준 혼입 방법에 의해, 기술된 성분으로부터 제조된다. 이를 위해,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배합물의 임의의 추가의 성분은 통상적인 용융 혼합 장비, 예를 들어 단축 또는 다축 압출기 또는 혼련기에서 통상적인 조건 하에 용융물 상태에서 혼합, 압출 및 펠릿화된다. 첨가제는 개별적으로 과립/펠릿으로서 계량 저울 또는 측부 공급 장치를 통해 계량 첨가되거나, 적합한 위치에서 승온에서 용융물로서 계량 펌프에 의해 압출기의 고체 운반 영역에 또는 중합체 용융물에 계량 첨가될 수 있다. 과립 또는 펠릿 형태의 마스터배치는 또한 다른 미립자 화합물과 조합되어 예비혼합물을 제공할 수 있고, 이어서 계량 호퍼 또는 측부 공급 장치를 통해 압출기의 고체 운반 영역에 또는 압출기 내의 중합체 용융물에 전부 공급될 수 있다. 배합 장비는, 예를 들어, 이축 압출기, 더 바람직하게는 동방향회전 스크류를 갖는 이축 압출기이고, 여기서 이축 압출기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4, 더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0의 스크류 길이/직경 비를 갖는다. 이러한 이축 압출기는 용융 구역 및 혼합 구역 또는 조합된 용융 및 혼합 구역 및 임의로 탈기 구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800 mbar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0 mbar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0 mbar 이하의 절대 압력 p가 설정된다. 압출기 내의 혼합물 조성물의 평균 체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20초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80초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0초 이하로 제한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압출기 출구에서의 중합체/중합체 합금의 용융물의 온도는 200℃ 내지 400℃이다.
성형 배합물이 제조된 후에, 이것은 압출, 열압착, 사출-압축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상응하는 성형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물의 제조를 위해, 여기서는 사출 성형 또는 사출-압축 성형, 특히 사출 성형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단계에서 석재 판상체를 사출 금형에 삽입하고 그것을 성형 배합물로 오버몰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형 및 추가의 냉각 기간 후에, 응고되어 열가소성 성형물을 제공한 성형 배합물을 석재 판상체로부터 떼어내어 성형물 상에 얇은 석재 층이 남게 한다. 얇은 석재 층을 갖는 이러한 성형물을 제2 단계에서 사출 금형에 재삽입하고 석재 층 면을 추가의 성형 배합물로 오버몰딩한다. 냉각 시간이 경과된 후에, 완성된 다층체를 이형한다.
사출 성형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문헌 ("Handbuch Spritzgießen" [사출 성형 핸드북], Friedrich Johannnaber/Walter Michaeli, Munich; Vienna: Hanser, 2001, ISBN 3-446-15632-1) 또는 문헌 ("Anleitung zum Bau von Spritzgießwerkzeugen" [Introduction to the Construction of Injection Molds], Menges/Michaeli/Mohren, Munich; Vienna: Hanser, 1999, ISBN 3-446-21258-2)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사출 성형은 다중요소(multicomponent) 사출 성형 및 사출-압축 성형 공정을 포함하는 모든 사출 성형 공정을 포함한다.
사출-압축 성형 공정은 사출 및/또는 응고 절차가 금형판 이동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통상적인 사출 성형 공정과 상이하다. 공지된 사출-압축 성형 공정에서는, 후속 응고 동안 발생하는 수축을 보상하고 필요한 사출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출 절차 전에 이미 금형판을 약간 개방한다. 그러므로 예비-확대된 공동이 이미 사출 절차 시작 시에 존재한다. 금형의 플래시(flash) 면은 심지어 금형판이 약간 개방된 경우에도 예비-확대된 공동이 여전히 충분히 누출 방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플라스틱 재료를 이러한 예비-확대된 공동에 사출하고, 금형이 폐쇄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후속적으로 압축한다. 특히 긴 유동 경로를 갖는, 넓은 표면적 및 얇은 벽을 갖는 성형물의 제조에 있어서, 더 복잡한 사출-압축 성형 기술이 바람직하며 어떤 경우에는 필수적이다. 큰 성형물에 필요한 사출 압력의 감소는 이러한 방식으로만 달성된다. 더욱이, 높은 사출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출 성형 부품의 응력/휨은 사출-압축 성형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
다층체는 시트 형태로 존재할 수 있거나, 3차원 표면, 즉 시트 형상 이외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시트는 면 a1, a2 및 a3의 세 쌍의 대향 면들이, 서로에 대해 및 모두 전체적으로, 서로 평면-평행하거나 적어도 거의 평면-평행한 형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층체는 보호 층의 일부로서 또는 보호 층으로서 내긁힘성 래커를 외부 2차원 면 중 하나 또는 둘 다 상에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졸-겔 공정에 의해 제조된 폴리실록산 래커이다. 보호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UV 흡수제를 함유한다. 보호 층은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내긁힘성을 가지므로 특히 내긁힘성 코팅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터리얼즈(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로부터의 AS4000, SHC5020 및 AS4700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US 5,041,313 A, DE 3,1213,85 A1, US 5,391,795 A 및 WO 2008/109072 A1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는 전형적으로 산 또는 염기 촉매의 존재 하에 알콕시- 및/또는 알킬알콕시실란의 축합을 통해 합성된다. 나노입자가 임의로 혼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용매는 알콜, 예컨대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에탄올 및 이것들의 혼합물이다.
내긁힘성 코팅을 플라스틱 물품에 도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내긁힘성 코팅은, 예를 들어, 침지 방법, 스핀-코팅, 분무 방법 또는 유동-코팅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침지 또는 유동 방법을 통해 도포될 수 있다. 경화는 열적으로 또는 UV 조사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내긁힘성 코팅은 예를 들어 직접 또는 기재 표면의 준비를 위한 프라이머 사용 후에 도포될 수 있다. 내긁힘성 코팅은 또한 플라즈마-보조 중합 방법을 통해, 예를 들어 SiO2 플라즈마를 통해 도포될 수 있다. 김서림방지 또는 반사방지 코팅이 마찬가지로 플라즈마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특정한 사출 성형 공정, 예를 들어 표면-처리 필름의 오버몰딩을 사용하여, 내긁힘성 코팅을 생성된 성형 물품에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긁힘성 층은 다양한 첨가제, 예를 들어 UV 흡수제, 예를 들어 트리아졸 또는 트리아진으로부터 유도된 UV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층은 단층 또는 다층 시스템일 수 있고 따라서 또한 두 개 이상의 층의 조합일 수 있다. 더 특히, 보호 층은 탑코트 층 a´ 및 프라이머 층 a″인 층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프라이머 층은 탑코트 층과 보호될 층 사이에 배치된다.
폴리실록산-기재 내긁힘성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침지 또는 유동 방법을 통해 도포된다. 경화는 50℃-140℃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보호될 층에 대한 내긁힘성 래커의 접착을 개선하기 위해, UV 흡수제-함유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는 추가의 안정화제, 예를 들어 HALS 시스템 (입체 장애 아민을 기재로 하는 안정화제), 접착 촉진제 및/또는 유동 향상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 층의 기재를 형성하는 각각의 수지는 다수의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문헌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5th Edition, Vol. A18, pp. 368-426, VCH, Weinheim 1991)에 기술되어 있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페놀-기재 시스템, 멜라민-기재 시스템, 에폭시 시스템 및 알키드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지는 통상적으로 적합한 용매, 종종 알콜에 용해된다. 선택된 수지에 따라, 경화는 실온 또는 승온에서 실행될 수 있다. 종종 대부분의 용매가 실온에서 짧은 기간에 걸쳐 제거된 후에, 50℃ 내지 140℃의 온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프라이머 시스템의 예는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터리얼즈로부터의 SHP470, SHP470-FT2050 및 SHP401을 포함한다. 이러한 코팅은, 예를 들어, US 6,350,512 B1, US 5,869,185 A, EP 1308084 A1 및 WO 2006/108520 A1에 기술되어 있다.
특히 우수한 풍화 안정성을 달성하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보호 층은
i. 벤조페논, 레조르시놀,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옥살아닐리드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UV 흡수제
및/또는 입체 장애 아민 (HALS) 군으로부터의 UV 억제제, 특히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또는 그의 유도체를 기재로 하는 UV 억제제;
ii. 유기개질된 실란과 실리카 졸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 (유기개질된 실란은, 예를 들어, 메틸트리알콕시- 또는 디메틸디알콕시실란임)
을 포함하는 폴리실록산-기재 내긁힘성 코팅,
및 임의로,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추가적으로, 벤조페논, 레조르시놀,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옥살아닐리드 및/또는 입체 장애 아민 (HALS)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UV 흡수제, 특히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및 그의 유도체를 기재로 하는 UV 흡수제를 포함하고, 0.3 μm 내지 8 μm, 바람직하게는 1.1 μm 내지 4.0 μm의 두께를 갖는, 코팅될 층 상에 배치되어 폴리실록산-기재 내긁힘성 코팅과 코팅될 층 사이의 접착 촉진제로서 작용하는 프라이머 층 (층 a″)
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보호 층은 임의의 추가의 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체"는 수소 원자 또는 관능기 대신에 상이한 원자 또는 상이한 원자 군을 갖거나 하나 이상의 원자/원자 군이 제거된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모 화합물은 여전히 인식 가능하다.
폴리실록산 층은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RnSiX4-n의 규소 화합물 및/또는 그의 부분 축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R 라디칼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단일- 또는 다중불포화 또는 방향족 히드로카르빌 라디칼이고, X 라디칼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가수분해 가능한 기 또는 히드록실 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특히 염소 또는 브로민, 알콕시 기, 알킬카르보닐 기 또는 아실옥시 기이고, n은 0, 1, 2 또는 3,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이다. R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거나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단일- 또는 다중불포화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알케닐 라디칼 또는 6 내지 12개의 탄소를 갖는 방향족 기를 나타낸다. 알킬/알케닐 라디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12개 이하,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8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모든 라디칼은 메틸 및/또는 페닐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X는 알콕시 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알콕시 기, 예를 들어 메톡시 기 또는 에톡시 기이다.
규소 화합물 RnSiX4-n은 X 라디칼을 통해 가수분해 가능하며 축합 가능하다. 이러한 가수분해적으로 축합 가능한 기는 Si-O-Si 단위체를 포함하는 무기 망상구조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X 라디칼과 대조적으로, R 라디칼은 전형적인 축합 조건 하에 가수분해에 대해 안정하다.
전술된 실록산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 건조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 μm-2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μm-15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6 μm-12 μm이다. 여기서 "건조 층 두께"는 도포 및 후속 용매 증발 및 후속 열 또는 UV 경화 후의 래커의 층 두께를 의미한다.
프라이머/내긁힘성 코팅 조합 대신에, 본 발명의 다층 물품을 위해 열 경화성 또는 UV-경화성인 1성분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EP 0570165 A2 또는 WO 2008/071363 A2 또는 DE 2804283 A에 기술되어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예를 들어,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터리얼즈로부터 PHC 587, PHC 587C라는 명칭 하에 열 경화성 래커로서 및 UVHC 3000 및 UVHC 5000이라는 명칭 하에 UV-경화성 래커로서 수득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추가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UV-경화 래커 시스템은 레드스폿(Redspot)으로부터의 UVT 610 및 UVT 820이다.
본 발명의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한 특히 바람직한 공정에서, 보호 층은 유동-코팅 공정에 의해 도포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공정에 의해 우수한 광학 품질을 갖는 코팅된 부품이 제조되기 때문이다.
유동-코팅 공정은 호스 또는 적합한 코팅 헤드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실행되거나 연속 절차에서 유동-코팅 로봇 및 임의로 슬롯 다이를 통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추가의 가능한 도포 방법은 침지, 블레이드 코팅, 롤링, 분무 또는 스핀-코팅이다. 여기서 구성요소들은 적절한 홀더에 매달리거나 장착된 상태에서 코팅될 수 있다.
더 큰 및/또는 3D 구성요소의 경우에, 즉, 시트의 기하구조와 다른 기하구조를 갖는 3차원 표면을 갖는 구성요소의 경우에, 코팅될 구성요소는 적합한 홀더에 매달리거나 장착된다.
소규모 구성요소의 경우에, 코팅 절차는 또한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 층의 형성을 위해 적층될 액체 프라이머 또는 래커 용액은 작은 부품의 상단 연부로부터 시작하여 길이 방향으로 시트 상에 부어지며, 이와 동시에 시트 상의 래커의 시작 지점은 시트의 폭에 걸쳐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옮겨진다. 코팅된 시트는 클램프에 의해 수직으로 매달려 있는 동안에 각각의 제조업체 지침에 따라 공기가 공급되고 경화된다.
본 발명은 특히 하기 실시양태에 관한 것이다:
1. a) 다층체 및
b) 제1 LED 광원
을 포함하는 LED 조명 유닛이며,
여기서 다층체는 하기 층:
a1) 반투명 흑색 또는 반투명 회색 열가소성 조성물의 캐리어 층,
a2) 석재 층의 총 면적에 걸쳐 2 mm 이하의 평균 두께를 갖는 석재 층,
a3) LED 조명 유닛에서 다층체의 가시면을 구성하는 석재 층 a2의 면 상의, 총 면적에 걸쳐 1 내지 6 mm의 평균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투명 층
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1 LED 광원은 투명 층 a3이 LED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에 대해 이용가능하도록 투명 층 a3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연부에 배치된 것인,
LED 조명 유닛.
2. 제1 실시양태에 있어서, 캐리어 층 a1의 조성물 및/또는 투명 층 a3의 조성물이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3.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층의 총 면적에 걸쳐 평균내어진, 캐리어 층 a1의 두께가 0.5 내지 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4.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층체가 시트 기하구조 이외의 기하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5.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층체가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층 외에는 임의의 추가의 층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6.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석재 층 a2의 총 면적에 걸친 석재 층의 평균 두께가 0.3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7.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석재 층 a2가, 적어도 투명 층 a3에 대면하는 평평한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 μm,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00 μm,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0 μm의 최대 조도 Rz를 갖는 토포그래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8.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투명 층 a3이 석재 층 a2를 매우 실질적으로 전체 면적에 걸쳐, 특히 적어도 90%의 정도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9.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층 a1이 석재 층 a2를 전체 면적에 걸쳐 커버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연부에서 석재 층을 넘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0.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LED 조명 유닛이 다층체를 백라이팅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제2 LED 광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1.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LED 광원이 하나 이상의 RGB LE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2.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층 a1의 반투명 열가소성 조성물이
a) 적어도 9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적어도 2종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분 c 및 성분 e 이외의 착색제로 구성된 착색제 혼합물로서, 여기서 성분 b)의 착색제 총량은 0.1 중량% 이하인 착색제 혼합물,
c) 0.00001 중량% 내지 0.05 중량%의 카본 블랙,
d) 0.00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 첨가제,
e) 임의로 1.0 중량%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백색 안료,
f) 임의로, 바람직하게는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점적방지제, 열 안정화제, 광학 증백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UV 흡수제 및/또는 IR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3. 제1 내지 제11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층 a1의 반투명 열가소성 조성물이
a) 95 중량% 내지 99.95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0.0005 중량% 내지 0.02 중량%의 총량으로, 안트라퀴논, 안트라피리돈, 페리논, 메틴 및 퀴놀린을 기재로 하는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분 c 및 성분 e 이외의 착색제로 구성된 착색제 혼합물,
c) 0.00001 중량% 내지 0.02 중량%의 카본 블랙,
d) 0.00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 첨가제,
e) 임의로 1.0 중량%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백색 안료,
f) 임의로,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UV 흡수제, IR 흡수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점적방지제, 광학 증백제 및/또는 열 안정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4. 제1 내지 제11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층 a1의 반투명 열가소성 조성물이
a) 적어도 9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적어도 2종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분 c 이외의 착색제의 착색제 혼합물로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착색제가 안트라퀴논-기재 착색제이고 다른 착색제가 안트라피리돈-기재 착색제이며, 여기서 성분 b)의 착색제의 총량이 0.1 중량% 이하인, 착색제 혼합물,
c) 0.002 중량% 내지 0.020 중량%의 카본 블랙,
d) 0.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 첨가제,
f) 임의로,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점적방지제, 열 안정화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UV 흡수제 및/또는 IR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를 함유하고,
백색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5. 제1 내지 제11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층의 반투명 열가소성 조성물이
a) 적어도 9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안트라퀴논, 안트라피리돈, 페리논, 메틴 및 퀴놀린을 기재로 하는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분 c 및 성분 e 이외의 착색제로 구성된 착색제 혼합물 (여기서 성분 b)의 착색제의 총량은 0.1 중량% 이하임),
c) 0.0003 중량% 내지 0.020 중량%의 카본 블랙,
d) 0.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 첨가제,
e) 0.03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백색 안료,
f) 임의로, 특히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점적방지제, 열 안정화제, 광학 증백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UV 흡수제 및/또는 IR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6. 제12 내지 제15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카본 블랙이 나노규모 카본 블랙이고, 존재하는 산란 첨가제가 적어도 하나의 실세스퀴옥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7.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LED 조명 유닛이 바닥 커버링의 형성을 위한 요소, 가구 제작을 위한 요소, 벽 패널, 도어 패널, 램프의 부품, 조명 소자, 가전제품 또는 전기 설비의 하우징, 또는 자동차 분야의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8.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LED 조명 유닛이 자동차 분야로부터의 요소, 특히 조명 소자, 내장 트림의 부품, 대시보드의 부품, 계기판의 부품, 장식용 스트립, 문턱 스트립, 팔걸이의 부품, 센터 콘솔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된 재료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Covestro Deutschland AG)로부터의 투명 마크롤론(Makrolon)® Ai: 300℃ 및 1.2 kg에서 DIN ISO 1133:2012-03에 따라 결정된 19 cm3/(10 min)의 MVR을 갖고 UV 흡수제 및 이형제를 함유하는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2 mm의 두께에서 ISO 13468-2:2006 (D65, 10°)에 따라 측정된 Ty: 88.07%. ASTM D1003:2013에 따라 2 mm의 층 두께에서 결정된 헤이즈: 0.68%.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반투명 흑색 마크롤론® Ai: 300℃ 및 1.2 kg에서 DIN ISO 1133:2012-03에 따라 결정된 19 cm3/(10 min)의 MVR을 갖고 UV 흡수제 및 이형제를 함유하는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2 mm의 두께에서 ISO 13468-2:2006 (D65, 10°)에 따라 측정된 Ty: 3.84%. ASTM D1003:2013에 따라 2 mm의 층 두께에서 결정된 헤이즈: 100%.
전처리를 위해, 폴리카르보네이트를 120℃의 무수 공기 중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200 mm x 150 mm의 치수로 절단된, 각각 약 3 mm의 두께를 갖는 착색 슬레이트의 석재 판상체, 운모 셰일의 석재 판상체 및 사암의 석재 판상체.
성형체의 제조
각각의 석재 판상체를 위해, 200 mm x 150 mm x 6 mm의 치수를 갖는 다층 성형물을 크라우스마페이 그룹 게엠베하(KraussMaffei Group GmbH)로부터의 KM GX400 사출 성형기에서 제조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1 단계에서, 150℃에서 15분 동안 가열 캐비닛에서 미리 예열된 석재 판상체를 200 mm x 150 mm x 6 mm의 내부 금형 치수를 갖는 강철 금형의 제1 절반부에 삽입하였다. 금형을 폐쇄한 후에, 305℃에서 용융된 형태의 투명 폴리카르보네이트 재료를 약 2000 bar의 최대 비(specific) 사출 압력에서 금형 내의 석재 표면 상에 사출하였다. 이젝터(ejector) 면 상의 금형 벽의 온도는 100℃이고 반대편 사출면 상에서의 온도는 90℃였다. 사출 시간은 2.5초였다. 15초의 보압 시간 (비 보압: 850 bar) 및 35초의 냉각 시간 후에, 금형을 개방하고 성형물을 회수하였다.
이러한 성형물을 실온에서 약 5분 동안 냉각시킨 후에, 석재 표면 상에 사출된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상체를 석재 판상체로부터 떼어냈다. 이로써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상체에 고착된, 총 면적에 걸쳐 평균내어진 2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매우 얇은 석재 층이 남겨졌다.
3 mm를 약간 초과하는 평균 두께를 갖는 얇은 석재 층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상체를 115℃의 가열된 캐비닛에서 15분 동안 다시 예열하였다. 이와 동시에, 사출 통 내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재료는 투명으로부터 반투명 흑색으로 전환되었다. 후속적으로, 이러한 판상체를, 석재 층을 갖는 표면이 금형의 제2 절반부와 대면하게 하면서, 200 x 150 x 6 mm의 내부 금형 치수를 갖는 강철 금형의 제1 절반부에 재삽입하였다. 금형을 폐쇄한 후에, 305℃에서 용융된 형태의 반투명 흑색 폴리카르보네이트 재료를 약 2000 bar의 최대 비 사출 압력에서 금형 내의 석재 표면을 갖는 투명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상체 상에 사출하였다. 이젝터 면 상의 금형 벽의 온도는 90℃이고 반대편 사출면 상에서의 온도는 65℃였다. 사출 시간은 2.2초였다. 15초의 보압 시간 (비 보압: 800 bar) 및 30초의 냉각 시간 후에, 금형을 개방하고 약 6 mm의 총 두께를 갖는 완성된 성형물을 회수하였다.
성형체의 조명을 위해, 이것을 200 mm x 150 mm의 치수를 갖는 판상체를 수용하도록 제조된 라이트박스 내에 클램프로 고정하였다. 이러한 라이트박스는 판상체 주변을 둘러싸는 연부 조명을 위한 LED 스트립 및 다층체를 백라이팅을 위한 RGB LED 인쇄 회로 기판을 갖는다. 여기서 연부 조명 및 백라이팅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서 작동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설명에서 언급된 효과가 달성되었다.

Claims (18)

  1. a) 다층체 및
    b) 제1 LED 광원
    을 포함하는 LED 조명 유닛이며,
    여기서 다층체는 하기 층:
    a1) 반투명 흑색 또는 반투명 회색 열가소성 조성물의 캐리어 층,
    a2) 석재 층의 총 면적에 걸쳐 2 mm 이하의 평균 두께를 갖는 석재 층,
    a3) LED 조명 유닛에서 다층체의 가시면을 구성하는 석재 층 a2의 면 상의, 총 면적에 걸쳐 1 내지 6 mm의 평균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투명 층
    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1 LED 광원은 투명 층 a3이 LED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에 대해 이용가능하도록 투명 층 a3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연부에 배치된 것인,
    LED 조명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 층 a1의 조성물 및/또는 투명 층 a3의 조성물이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캐리어 층의 총 면적에 걸쳐 평균내어진, 캐리어 층 a1의 두께가 0.5 내지 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층체가 시트 기하구조 이외의 기하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층체가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층 외에는 임의의 추가의 층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석재 층 a2의 총 면적에 걸친 석재 층의 평균 두께가 0.3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석재 층 a2가, 적어도 투명 층 a3에 대면하는 평평한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 μm,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00 μm,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0 μm의 최대 조도 Rz를 갖는 토포그래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명 층 a3이 석재 층 a2를 매우 실질적으로 전체 면적에 걸쳐, 특히 적어도 90%의 정도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층 a1이 석재 층 a2를 전체 면적에 걸쳐 커버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연부에서 석재 층을 넘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층체를 백라이팅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제2 LED 광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LED 광원이 하나 이상의 RGB LE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층 a1의 반투명 열가소성 조성물이
    a) 적어도 9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적어도 2종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분 c 및 성분 e 이외의 착색제로 구성된 착색제 혼합물로서, 여기서 성분 b)의 착색제의 총량은 0.1 중량% 이하인 착색제 혼합물,
    c) 0.00001 중량% 내지 0.05 중량%의 카본 블랙,
    d) 0.00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 첨가제,
    e) 임의로 1.0 중량%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백색 안료,
    f) 임의로, 바람직하게는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점적방지제, 열 안정화제, 광학 증백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UV 흡수제 및/또는 IR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층 a1의 반투명 열가소성 조성물이
    a) 95 중량% 내지 99.95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0.0005 중량% 내지 0.02 중량%의 총량으로, 안트라퀴논, 안트라피리돈, 페리논, 메틴 및 퀴놀린을 기재로 하는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분 c 및 성분 e 이외의 착색제로 구성된 착색제 혼합물,
    c) 0.00001 중량% 내지 0.02 중량%의 카본 블랙,
    d) 0.00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 첨가제,
    e) 임의로 1.0 중량%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백색 안료,
    f) 임의로,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UV 흡수제, IR 흡수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점적방지제, 광학 증백제 및/또는 열 안정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층 a1의 반투명 열가소성 조성물이
    a) 적어도 9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적어도 2종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분 c 이외의 착색제의 착색제 혼합물로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착색제는 안트라퀴논-기재 착색제이고 다른 착색제는 안트라피리돈-기재 착색제이며, 여기서 성분 b)의 착색제의 총량은 0.1 중량% 이하인, 착색제 혼합물,
    c) 0.002 중량% 내지 0.020 중량%의 카본 블랙,
    d) 0.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 첨가제,
    f) 임의로,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점적방지제, 열 안정화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UV 흡수제 및/또는 IR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를 함유하고,
    백색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층의 반투명 열가소성 조성물이
    a) 적어도 9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안트라퀴논, 안트라피리돈, 페리논, 메틴 및 퀴놀린을 기재로 하는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종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성분 c 및 성분 e 이외의 착색제로 구성된 착색제 혼합물로서, 여기서 성분 b)의 착색제의 총량은 0.1 중량% 이하인 착색제 혼합물,
    c) 0.0003 중량% 내지 0.020 중량%의 카본 블랙,
    d) 0.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아크릴레이트-기재 산란 첨가제 및/또는 실리콘-기재 산란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 첨가제,
    e) 0.03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백색 안료,
    f) 임의로, 특히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점적방지제, 열 안정화제, 광학 증백제, 유동개선제, 성분 d 이외의 불투명화제, 대전방지제, UV 흡수제 및/또는 IR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본 블랙이 나노규모 카본 블랙이고, 존재하는 산란 첨가제가 적어도 하나의 실세스퀴옥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 커버링의 형성을 위한 요소, 가구 제작을 위한 요소, 벽 패널, 도어 패널, 램프의 부품, 조명 소자, 가전제품 또는 전기 설비의 하우징, 또는 자동차 분야의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 분야로부터의 요소, 특히 조명 소자, 내장 트림의 부품, 대시보드의 부품, 계기판의 부품, 장식용 스트립, 문턱 스트립, 팔걸이의 부품, 센터 콘솔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유닛.
KR1020227010089A 2019-09-30 2020-09-21 고형 석재 외관을 갖는 다층체를 기재로 하는 led 조명 소자 KR202200748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0453.9 2019-09-30
EP19200453 2019-09-30
DE202020101945.7U DE202020101945U1 (de) 2019-09-30 2020-04-08 LED-Beleuchtungselemente auf Basis von Mehrschichtkörpern mit Massivsteinoptik
DE202020101945.7 2020-04-08
PCT/EP2020/076247 WO2021063719A1 (de) 2019-09-30 2020-09-21 Led-beleuchtungselemente auf basis von mehrschichtkörpern mit massivsteinopti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874A true KR20220074874A (ko) 2022-06-03

Family

ID=6810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089A KR20220074874A (ko) 2019-09-30 2020-09-21 고형 석재 외관을 갖는 다층체를 기재로 하는 led 조명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32089A1 (ko)
EP (1) EP4037900A1 (ko)
KR (1) KR20220074874A (ko)
CN (1) CN114423599A (ko)
DE (1) DE202020101945U1 (ko)
WO (1) WO2021063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101944U1 (de) * 2019-09-30 2021-01-15 Covestro Deutschland Ag LED-Beleuchtungselemente auf Basis von Mehrschichtkörpern mit Steinoptik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7996B (de) 1955-03-26 1957-05-09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thermoplastischer Kunststoffe
US2991273A (en) 1956-07-07 1961-07-04 Bayer Ag Process for manufacture of vacuum moulded parts of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polycarbonates
US3148172A (en) 1956-07-19 1964-09-08 Gen Electric Polycarbonates of dihydroxyaryl ethers
US2999846A (en) 1956-11-30 1961-09-12 Schnell Hermann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aromatic sulfoxy polycarbonates
US2999835A (en) 1959-01-02 1961-09-12 Gen Electric Resinous mixture comprising organo-polysiloxane and polymer of a carbonate of a dihydric phenol, and products containing same
GB1122003A (en) 1964-10-07 1968-07-31 Gen Electric Improvements in aromatic polycarbonates
NL152889B (nl) 1967-03-10 1977-04-15 Gen Electric Werkwijze ter bereiding van een lineair polycarbonaatcopolymeer, alsmede orienteerbare textielvezel van dit copolymeer.
DE2036052A1 (en) 1970-07-21 1972-01-27 Milchwirtschafthche Forschungs und Untersuchungs Gesellschaft mbH, 2100 Hamburg Working up of additives in fat and protein - contng foodstuffs
DE2063050C3 (de) 1970-12-22 1983-12-15 Bayer Ag, 5090 Leverkusen Verseifungsbeständige Polycarbon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2211956A1 (de) 1972-03-11 1973-10-2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erseifungsstabiler blockcopolycarbonate
US4101513A (en) 1977-02-02 1978-07-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atalyst for condensation of hydrolyzable silanes and storage stable compositions thereof
US4395463A (en) 1980-06-03 1983-07-26 General Electric Company Article comprising silicone resin coated, methacrylate-primed substrate
DE3832396A1 (de) 1988-08-12 1990-02-15 Bayer Ag Dihydroxydiphenylcycloalkan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n polycarbonaten
NO170326C (no) 1988-08-12 1992-10-07 Bayer Ag Dihydroksydifenylcykloalkaner
US5041313A (en) 1990-05-11 1991-08-2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making silicone hardcoat composites and primer compositions
TW222292B (ko) 1991-02-21 1994-04-11 Ciba Geigy Ag
CA2093686A1 (en) 1992-05-11 1993-11-12 Gautam A. Patel Heat curable primerless silicone hardcoat compositions, and thermoplastic composites
GB9314604D0 (en) 1993-07-14 1993-08-25 Dow Deutschland Inc Light diffuser composition
US5391795A (en) 1994-02-18 1995-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Silylated agents useful for absorbing ultraviolet light
DE69509952T2 (de) 1994-03-04 1999-11-04 Gen Electric Beschichtungen geeignet zur Absorption von Ultraviolettlicht
CN1046707C (zh) 1994-11-10 1999-11-24 巴斯福股份公司 2-氰基丙烯酸酯
CA2203595A1 (en) 1996-04-26 1997-10-26 Robert F. Hurley Cross-linked polyolefin tape
EP0839623B1 (de) 1996-10-30 2001-01-31 Ciba SC Holding AG Stabilisatorkombination für das Rotomolding-Verfahren
DE19920492A1 (de) 1999-05-05 2001-03-22 Rochus Jogers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körpers mit einer oberflächlich sichtbaren dünnen Natursteinschicht
JP2002205500A (ja) * 2000-11-13 2002-07-23 Toyoda Gosei Co Ltd 発光装飾装置
EP1308084A1 (en) 2002-10-02 2003-05-07 Ciba SC Holding AG Synergistic UV absorber combination
BR0317137A (pt) 2002-12-10 2005-10-25 Smartslate Inc Métodos para fabricar um laminado de rocha e para produzir uma placa de rocha dotada de uma espessura desejada, e, laminado de rocha
DE102005017023A1 (de) 2005-04-13 2006-10-19 Bayer Materialscience Ag UV-stabilisierte Polycarbonatformkörper
DE102005038022A1 (de) 2005-08-09 2007-02-15 Granitglas GmbH Dünnsteintechnologie Verbundwerkstoff
DE202006013010U1 (de) 2006-08-24 2007-02-01 Ehrlich, Gernot Flexibles Flachmaterial mit Natursteinoberfläche
GB2444053A (en) 2006-11-23 2008-05-28 Eques Coatings Hybrid UV-curable resins
US7857905B2 (en) 2007-03-05 2010-12-28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Flexible thermal cure silicone hardcoats
WO2009110870A1 (en) 2007-08-06 2009-09-11 Fraser James D Process and apparatus for creating ultra-thin stone veneer for exterior or interior cladding or decor
US11351764B2 (en) * 2016-11-17 2022-06-07 Covestro Deutschland Ag Opaque multi-layer body of polycarbonate for heat management
WO2019020478A1 (de) 2017-07-24 2019-01-31 Covestro Deutschland Ag Led-beleuchtungselemente mit formteilen aus transluzenten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mit tiefenglanzeffekt
DE202020101944U1 (de) * 2019-09-30 2021-01-15 Covestro Deutschland Ag LED-Beleuchtungselemente auf Basis von Mehrschichtkörpern mit Steinopti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37900A1 (de) 2022-08-10
WO2021063719A1 (de) 2021-04-08
DE202020101945U1 (de) 2021-01-15
US20220332089A1 (en) 2022-10-20
CN114423599A (zh)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6374B2 (en) Colour-stable LED substrates
US11353165B2 (en) Covers for LED light sources
KR102258329B1 (ko) 우수한 가공 특성을 갖는 유기 착색제 및 착색된 중합체 조성물
KR101992509B1 (ko) 고도 광택 효과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로 제조된 다층체
US20140233243A1 (en) Use of a light-diffusing polycarbonate sheet as a light cover
KR101983403B1 (ko) 부분 전기도금을 위한 전기도금될 수 있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KR20220074875A (ko) 석재-유사 외관을 갖는 다층 요소를 기재로 하는 led 조광 요소
US6893689B2 (en) Heat-absorbent multi-layer structure
KR102557663B1 (ko) 고도 광택 효과를 갖는 반투명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 부품을 포함하는 led 조명 소자
KR20220074874A (ko) 고형 석재 외관을 갖는 다층체를 기재로 하는 led 조명 소자
JP2010159318A (ja) 蓄光蛍光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5577596B2 (ja) 蛍光発光性透明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20190087470A (ko) 열 관리를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불투명한 다층체
KR20210016563A (ko) 풍화 안정성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로 만들어진 불투명한 다층체
TW201331509A (zh) 光擴散聚碳酸酯板作為光罩之用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