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182A -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182A
KR20220074182A KR1020200162389A KR20200162389A KR20220074182A KR 20220074182 A KR20220074182 A KR 20220074182A KR 1020200162389 A KR1020200162389 A KR 1020200162389A KR 20200162389 A KR20200162389 A KR 20200162389A KR 20220074182 A KR20220074182 A KR 20220074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ashbasin
height
sink
dr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태영
정찬휘
하상형
박상언
김세진
Original Assignee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2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4182A/ko
Publication of KR2022007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connected to the wall only
    • E03C1/324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connected to the wall only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90Basins movable between several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검출하거나 간단한 입력 조작으로 사용자가 세면대를 이용하는데 맞는 세면대 높이로 자동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 및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면대 본체; 상기 세면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세면대 본체를 승강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세면대 구동장치; 상기 세면대 본체에 구비되거나, 상기 세면대 본체가 구비되는 공간의 입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출입과 사용자의 키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검출 수단; 및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세면대 본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WASHSTAND APPARATUS CAPABLE OF AUTO ADJUSTING HEIGHT THEREOF}
본 발명은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검출하거나 간단한 입력 조작으로 사용자가 세면대를 이용하는데 맞는 세면대 높이로 자동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 및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는 욕실에 주로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세면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는, 물을 담수할 수 있는 담수홈(1)이 형성된 세면대(2)가 벽면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관(3,4)에 설치되는 레버형 수도꼭지(5)와, 세면대(2)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6)를 개폐시키는 마개(7)를 구비한다. 도면 중 부호 8의 구성은 거울이다.
이러한 욕실용 고정식 세면대는, 담수홈(1)에 물을 채워 세수 또는 양치질을 하는 등으로 이용된다.
종래의 세면대는 대부분 화장실이나 욕실 벽면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하여 왔었으나, 이는 그 고정부착된 세면대의 높이에 알맞는 키를 가진 사람은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는 반면에, 세면대의 높이에 대해 키가 크거나 또는 작은 사람의 경우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없었다.
예컨대 세면대의 설치 높이에 비해 사용자의 키가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세면대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필요 이상으로 허리를 많이 구부려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또한 사용자의 키가 작을 경우에는 세면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허리를 곶게 편 상태로 세면하여야 하므로 세면시 옷소매는 물론이고 상의가 젖게되는 등의 폐단이 있을 뿐 아니라, 대부분의 세면대의 설치높이는 어른을 기준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아이일 경우에는 세면대의 설치 높이가 높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실1990-0008465(1990.09.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12147(2007.04.2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55949(2007.09.0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92640(2014.05.07.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134528(2006.12.2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18855(2005.02.28.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8372(2002.03.16.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면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검출하거나 간단한 입력 조작으로 사용자가 세면대를 이용하는데 맞는 세면대 높이로 자동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 및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세면대가 설치되는 공간에 설비되어 세면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면대 본체; 상기 세면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세면대 본체를 승강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세면대 구동장치; 상기 세면대 본체에 구비되거나, 상기 세면대 본체가 구비되는 공간의 입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출입과 사용자의 키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검출 수단; 및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세면대 본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본체는 그 세면대 본체에 구비되는 수전구에서 물을 공급받도록 벽면의 급수구에 연결되는 플렉시블한 물 공급 호스, 및 상기 세면대 본체의 배수구와 공간의 바닥면의 배수구 간을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배출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는 유압 실린더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은 TOF 센서 또는 라이다 센서로 구성되거나, 물체 검출 센서와 상기 세면대 본체가 구비되는 공간의 입구의 상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키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장치 온/오프 스위치부; 사용자의 키에 따른 세면대 높이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설정높이 저장부;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신호 수신부; 상기 검출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검출 신호를 통해 검출되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설정높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높이로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구동장치 제어부; 및 제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터치식으로 입력하는 터치패널형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설정되는 사용자 단축키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등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정보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 단축키에 대한 입력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축키에 따른 높이로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세면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자동 인식하여 해당 상용자의 키 높이에 맞는 높이로 세면대를 자동 조절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간단한 조작 명령으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설정된 높이로 세면대가 자동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세면대의 높이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어린아이가 발 디딤대를 딛고 올라설 필요 없이 세면대를 용이하게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발 디딤대의 벗어남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세면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는, 세면대가 설치되는 공간에 설비되어 세면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세면대 본체(100); 세면대 구동장치(200); 사용자 검출 수단(300); 및 제어 모듈(4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는, 세면대가 설치되는 공간에 설비되어 세면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면대 본체(100); 상기 세면대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세면대 본체(100)를 승강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세면대 구동장치(200); 상기 세면대 본체(100)에 구비되거나, 상기 세면대 본체(100)가 구비되는 공간의 입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출입과 사용자의 키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검출 수단(300); 및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300)의 검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세면대 본체(100)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400);를 포함한다.
상기 세면대 본체(100)는 통상적인 세면대와 같은 형태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이 오목하게 담수부(101)를 형성하며, 바닥 후측 중앙에 배수구가 형성된다.
상기 세면대 본체(100)의 배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마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 마개는 일단부가 세면대 본체(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줄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면대 본체(100)의 상면 후측 중앙부에는 수전구(1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세면대 본체(100)는 세면대 구동장치(200)에 의해 승강 구동되므로, 상기 수전구(110)에서 물을 공급받도록 벽면의 급수구에 연결되는 물 공급 호스는 플렉시블하게 구성되거나 승강 구동에 방해되지 않게(승강 구동에 연동하여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 충분한 길이를 갖고 구비되며, 또한 사용된 물이 배출시키도록 상기 세면대 본체의 배수구와 바닥면의 배수구 간을 연결하는 배출 호스도 플렉시블하게 구성되거나 승강 구동에 연동하여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충분한 길이를 갖고 구비된다.
계속해서,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200)는 상기 세면대 본체(100)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면대 본체(100)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200)는 유압 방식으로 승강 구동시킬 수 있는 유압 실린더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 구동 방식으로 승강 구동시킬 수 있는 리니어모터 구동 장치 또는 정역회전모터와 랙기어 구동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200)는 세면대 본체(100)의 최대 승강 위치를 제한하기 위하여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300)은 상기 세면대 본체(100)에 구비되거나, 상기 세면대 본체(100)가 구비되는 공간의 입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출입과 사용자의 키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세면대 본체(100)의 사용 시 사용자의 키에 맞게 세면대 본체(100)의 높이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300)은, 일 실시 예로, 상기 세면대 본체(100)에 구비되거나, 세면대 본체(100)가 구비되는 공간의 입구에 구비되거나 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 모듈(400)의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물체 및 거리를 검출하는 TOF 센서(31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300)은,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세면대 본체(100)에 구비되거나, 세면대 본체(100)가 구비되는 공간의 입구에 구비되거나 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 모듈(400)의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해당 공간으로의 사용자의 입장을 검출함과 아울러, 거리를 검출할 수 있는 라이다 센서(Lidar)(3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300)은,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세면대 본체(100)에 구비되거나, 세면대 본체(100)가 구비되는 공간의 입구에 구비되거나 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 모듈(400)의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물체 검출 센서, 및 상기 세면대 본체(100)가 구비되는 공간의 입구의 상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키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레이저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300)의 각 실시 예에서, 그 사용자 검출 수단(300)을 구성하는 구성부가 세면대 본체(100)가 구비되는 공간의 입구에 구비되는 경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400)과 통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모듈(400)은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300)의 검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세면대 본체(100)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2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모듈(400)은 장치 온/오프 스위치부(410)와, 사용자의 키에 따른 세면대 높이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설정높이 저장부(420)와,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300)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신호 수신부(430)와, 상기 검출신호 수신부(430)에서 수신된 검출 신호를 통해 검출되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설정높이 저장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높이로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200)를 제어하는 구동장치 제어부(440), 및 제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50)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터치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널형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400)은 터치패널형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450)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설정되는 단축키(사용자 단축키)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등록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사용자 검출 수단(200)의 오류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450)를 통하여 사용자 단축키에 대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정보 등록부(460)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 정보(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로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200)를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에 의하면, 세면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자동 인식하여 해당 상용자의 키 높이에 맞는 높이로 세면대를 자동 조절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간단한 조작 명령으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설정된 높이로 세면대가 자동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세면대의 높이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어린아이가 발 디딤대를 딛고 올라설 필요 없이 세면대를 용이하게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발 디딤대의 벗어남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세면대 본체
101: 담수부
110: 수전구
200: 세면대 구동장치
300: 사용자 검출 수단
310: TOF 센서
320: 라이다 센서
400: 제어 모듈
410: 장치 온/오프 스위치부
420: 설정높이 저장부
430: 검출신호 수신부
440: 구동장치 제어부
450: 디스플레이부
460: 사용자정보 등록부

Claims (4)

  1. 세면대가 설치되는 공간에 설비되어 세면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면대 본체;
    상기 세면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세면대 본체를 승강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세면대 구동장치;
    상기 세면대 본체에 구비되거나, 상기 세면대 본체가 구비되는 공간의 입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출입과 사용자의 키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검출 수단; 및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세면대 본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본체는 그 세면대 본체에 구비되는 수전구에서 물을 공급받도록 벽면의 급수구에 연결되는 플렉시블한 물 공급 호스, 및 상기 세면대 본체의 배수구와 공간의 바닥면의 배수구 간을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배출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는 유압 실린더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은 TOF 센서 또는 라이다 센서로 구성되거나, 물체 검출 센서와 상기 세면대 본체가 구비되는 공간의 입구의 상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키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장치 온/오프 스위치부;
    사용자의 키에 따른 세면대 높이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설정높이 저장부;
    상기 사용자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신호 수신부;
    상기 검출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검출 신호를 통해 검출되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설정높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높이로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구동장치 제어부; 및
    제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터치식으로 입력하는 터치패널형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설정되는 사용자 단축키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등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정보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 단축키에 대한 입력 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축키에 따른 높이로 상기 세면대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KR1020200162389A 2020-11-27 2020-11-27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KR20220074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89A KR20220074182A (ko) 2020-11-27 2020-11-27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89A KR20220074182A (ko) 2020-11-27 2020-11-27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182A true KR20220074182A (ko) 2022-06-03

Family

ID=8198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389A KR20220074182A (ko) 2020-11-27 2020-11-27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4182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465A (ko) 1988-11-30 1990-06-03 주식회사 금성사 광 정보 기록재료
KR200268372Y1 (ko) 2001-12-05 2002-03-16 김덕성 이동식 세면대
KR20050018855A (ko) 2005-01-21 2005-02-28 주식회사 백등원 이동형 간이 세면기
KR20060134528A (ko) 2005-06-23 2006-12-28 김대성 욕실용 이동식 세면대
KR100712147B1 (ko) 2006-03-10 2007-04-27 에어컨뉴스닷컴 주식회사 이동식 세면대
KR100755949B1 (ko) 2004-04-23 2007-09-06 엄창진 휴대용 다기능 세면대
KR101392640B1 (ko) 2011-08-26 2014-05-07 박석조 이동용 입식 다기능 세면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465A (ko) 1988-11-30 1990-06-03 주식회사 금성사 광 정보 기록재료
KR200268372Y1 (ko) 2001-12-05 2002-03-16 김덕성 이동식 세면대
KR100755949B1 (ko) 2004-04-23 2007-09-06 엄창진 휴대용 다기능 세면대
KR20050018855A (ko) 2005-01-21 2005-02-28 주식회사 백등원 이동형 간이 세면기
KR20060134528A (ko) 2005-06-23 2006-12-28 김대성 욕실용 이동식 세면대
KR100712147B1 (ko) 2006-03-10 2007-04-27 에어컨뉴스닷컴 주식회사 이동식 세면대
KR101392640B1 (ko) 2011-08-26 2014-05-07 박석조 이동용 입식 다기능 세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9975B2 (en) Shower system and apparatus
US20210164203A1 (en) Foot actuated contactless electronically controlled device
KR20220074182A (ko)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KR20180024997A (ko) 수전
JP4419974B2 (ja) 排水栓操作装置
JP2002364933A (ja) 浴槽排水装置
JP6035646B2 (ja) 自動水栓
ITTV20080122A1 (it) Rubinetto di comando e regolazione di flusso d'acqua
KR101144441B1 (ko) 절수 기능이 구비된 욕실의 샤워장치
JPS6334429A (ja) 浴室装置
KR200432582Y1 (ko)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IT201900000643A1 (it) Sanitario a scomparsa con "washlet"
JP6895777B2 (ja) 給湯システム
JP4745890B2 (ja) 自動水栓装置
CN219080511U (zh) 护理用浴缸
KR101685668B1 (ko) 세면대 시스템
KR101006979B1 (ko) 화장실용 선반 시스템
JP3149590B2 (ja) 吐水装置
KR20060086754A (ko) 자동 물내림 변기
KR20190072080A (ko) 절수형 자동 수전
JP2006158529A (ja) シャワーシステム
KR20220136770A (ko) 샤워수전 및 그 제어방법
JPH10151090A (ja) シャワー装置
JP2023111745A (ja) 電動排水栓装置
US20050235748A1 (en) Automatic level sensing device used in massage t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