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372Y1 - 이동식 세면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372Y1
KR200268372Y1 KR2020010037448U KR20010037448U KR200268372Y1 KR 200268372 Y1 KR200268372 Y1 KR 200268372Y1 KR 2020010037448 U KR2020010037448 U KR 2020010037448U KR 20010037448 U KR20010037448 U KR 20010037448U KR 200268372 Y1 KR200268372 Y1 KR 200268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 basin
water supply
washing water
pip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성
Original Assignee
김덕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성 filed Critical 김덕성
Priority to KR2020010037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3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37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이.미용실 등의 영업장이나 또는 병원 등에서 고객이나 환자 등에게 세면 및 세발을 시키도록 하는 세면대를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미용실의 고객이나 환자 등에게 매우 편리하고도 손쉽게 세면과 세발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저면에 바퀴(11)를 가지면서 구름작동이 가능한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관(21)과, 이 고정관(21)에 체결되어 고정레버(23)에 의해 나사조임되고 승강작동으로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유동관(22)과, 유동관(22)의 중심부에 조절레버(24)의 나사조임에 의해 그 각도를 조절토록 형성되는 관절부()를 갖춘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상단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저면에 배수구(32)를 가지면서 세면 및 세발이 가능한 세면기(30)와;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고 뚜껑(51)에 의해 개폐되면서 내부에는 세척수가 저수되는 세척수공급통(50)과; 상기 세척수공급통(50)의 타측에 형성되고 뚜껑(61)에 의해 개폐되면서 세면기(30)의 저면 배수구(32)와 후렉시블한 주름관의 배수관(33)으로 연결되어 세면기(30)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저장토록 하는 폐수통(60)과; 상기 세면기(30)의 후단에 형성된 설치대(34)에 체결되면서 후렉시블한 공급관(41)에 의해 세척수공급통(50)과 연결되고, 공급관(41)의 끝단에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수중펌프(53)가 장착되어 세척수공급통(50)내의 물을 강제적으로 펌핑분사토록 하는 샤워기(40);를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세면대{Movable type washbowl}
본 고안은 이동식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용실 등의 영업장이나 또는 병원 등에서 고객이나 환자 등에게 세면 및 세발을 시키도록 하는 세면대를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미용실의 고객이나 환자 등에게 매우 편리하고도 손쉽게 세면과 세발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용실 등의 영업장에서는 고객의 머리를 퍼머, 컷터, 염색 등을 행한 후에는 필연적으로 세발을 하여야 하며, 이 경우 고객의 세발은 작업자가 서비스로 시행하고 있다.
즉, 미용실 또는 이용실 등에서는 의자에 손님을 앉힌 다음 퍼머, 컷트, 염색 등 이,미용의 작업을 실시하고, 이의 작업이 완료되면 고객을 세면기의 앞으로 이동시켜 세발 및 세면을 실시하고 있다.
이같이 세면 및 세발을 행하는 세면기는 수도와 배수구가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의 특정장소에 시설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세면 및 세발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필연적으로 세면기 앞으로 이동을 한 후에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이.미용실, 병원 등에서는 움직임이 곤란한 고객이나 환자에게 세면 및 세발을 시키기가 매우 번거럽고도 힘든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즉, 이.미용실에서는 고객이 퍼머, 컷터, 염색 등을 행한 후 세면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머리카락이나 염색약 등이 날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한 곳에서 모든 이.미용작업이 시행되지 못하고 이동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동선으로 인한 불편함도 있었다.
특히, 병원에서 움직임이 곤란한 환자에게 세면 및 세발을 할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점은 더욱 더 가중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세면 및 세발을 행하는 세면대를 구름작동에 의한 이동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미용실이나 병원 등에서 고객이나 환자들에게 손쉽고도 편리하게 세면 및 세발을 시킬 수가 있는 이동식 세면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동시에 전.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에 따라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세면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동식 세면대는 베이스판의 저면에 다수개의 바퀴가 장착되어 어디든지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는 움직이지 않고 의자나 침대에 편안하게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세면 및 세발을 시킬 수가 있고, 또한 세면기를 상.하 높낮이는 물론이고 전.후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1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도1의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펌프의 설치구성을 달리한 실시도
도 6은 도5의 다른 실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0:베이스판
11:바퀴 20:지지대
21:고정관 22:유동관
23:고정레버 24:조절레버
30:세면기 31:목받이홈
32:배수구 33:배수관
34:설치대 40:샤워기
41:공급관 42:연결소켓
50:세척수공급통 51,61:뚜껑
52,62:투시창 53:수중펌프
54:전원선 55:스위치
56,57:펌프 60:폐수통
70:고정부재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이동식 세면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세면대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이동식 세면대(100)는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판(10)의 저면에 다수개의 바퀴(11)가 설치되어 구름작동에 의해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판(10)의 중심부에는 지지대(20)가 설치된다.
지지대(20)는 봉체형으로 구성되면서도 하부의 고정관(21)에 상.하 승강작동이 가능한 유동관(22)이 안테나식으로 장착되어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들이 결합되는 고정관(21)의 상단에는 고정레버(23)가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고정관(21)의 상부에서 유동관(22)이 상.하 슬라이드 작동됨으로써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 후에는 고정레버(23)의 나사조임에 따라 유동관(22)이 고정관(21)에 견고히 고정된다.
또, 상기 유동관(22)은 절곡형성되면서도 중심부에는 조절레버(24)에 의해 고정되는 관절부(25)를 갖추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며, 조절레버(24)는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유동관(22)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관(22)의 상단에는 세면기(30)가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세면기(30)는 사기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통상의 세면기로서 세면 및 세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고, 전면에는 세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받이홈(31)이 형성된다.
목받이홈(31)은 사용자의 머리를 뒤로 젖혀서 세발시킬 경우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세면기(30)의 저면에는 배수구(32)가 형성되어 사용된 폐수가 배수될 수 있고, 이 배수구(32)에는 도면에서 미도시되어 있지만 공지된 통상의 세면기와 같이 개폐마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의 하부에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관(33)이 연결되어 폐수통과 연결된다.
또, 세면기(30)의 상부 소정위치에는 설치대(34)가 형성되어 샤워기(40)가 장착된다.
상기 샤워기(40)는 후렉시블한 공급관(41)으로서 후술할 세척수공급통(50)과 연결되어 펌프의 작동에 의해 세척수공급통(50)내의 세척수를 펌핑 분사토록 구성된다.
상기 세척수공급통(50)은 베이스판(10)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고 뚜껑(51)에 의해 개폐되어 내부에 일정량의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전면에는 저수량를 육안으로 식별토록 하는 투시창(52)이 형성된다.
뚜껑(51)의 중심부에는 샤워기(40)와 연결되는 공급관(41)이 세척수공급통(50)내로 삽입체결되고, 이 공급관(41)의 끝단에는 수중펌프(53)가 장착되어 전원의 공급에 의해 세척수공급통(50)내의 물을 공급관(41)을 통해샤워기(40)로 분사토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중펌프(53)는 수중에서도 작동되는 소형으로서 외부의 전원선(54)과 스위치(55) 등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상기 수중펌프(53)는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의 도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중펌프가 아닌 일반적인 펌프(56)로 형성하여 뚜껑(51)의 상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도면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펌프(57)를 베이스판(10)상에 고정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 4에서는 세면기(30)와 세척수공급통(50)을 연결하는 공급관(4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도면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중심부에 연결소켓(42)을 이용하여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선택에 따라 세척수공급통(50)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수도전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수도전이 가까이 있을 경우에는 세척수공급통(50)을 사용하지 않고 수도전에 직접연결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공급통(50)의 반대편에는 페수통(60)이 안착된다.
상기 폐수통(60)은 세면기(30)로 부터 배수구(32) 및 배수관(33)을 통해 배수되는 폐수를 담아서 버리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세척수공급통(50)과 같은 외형을 가지면서 뚜껑(61)으로 개폐가능토록 구성되고, 전면의 상부에는 저수되는 양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62)이 형성된다.
또, 뚜껑(61)의 중심부에는 세면기(30)와 연결되는 주름관형태의 배수관(33)이 장착되어 세면기(30)로부터 배수되는 폐수를 폐수통(60)내로 원활하게 안내토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상에 설치되는 세척수공급통(50) 및 폐수통(60)은 지지대(20)의 고정봉(21)에 설치되는 고정부재(70)에 의해 유동없이 안전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70)는 지지대(20)의 고정봉(21)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체결링을 갖추어 구성됨으로써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공급통(50) 및 폐수통(60)을 상부에서 삽입체결시 이들을 안전하게 고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이동식 세면대(100)는 이.미용실 등의 영업장이나 또는 병원 등에서 널리 사용할 수가 있고, 손님이나 환자를 세면은 물론이고 세발을 손쉽고도 용이하게 시킬수가 있다.
즉, 이.미용실에서는 통상에서와 같이 손님이 의자에 누워서 머리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세면 및 세발을 시킬 수가 있고, 병원 등에서는 환자를 침대에 눕힌 상태에서 세면 및 세발을 편리하게 시킬 수가 있다.
이를 사용시에는 먼저 세척수공급통(50)내에 뚜껑(51)을 열고 깨끗한 물을 충분히 담은 후, 세면대의 본체(100)를 필요로 하는 장소까지 이동하고, 이동후에는 고정레버(23)와 조절레버(24)를 이용하여 세면기(30)의 높낮이와 각도를 적절히 조절한다.
즉, 사용위치나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에 따라서 세면기(30)의 높낮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는데, 이 경우 고정레버(23)의 작동에 따라 고정관(21)과 유동관(22)의 길이를 가변할 수가 있음으로써 세면기(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조절레버(24)의 나사조임에 의해 고정되는 유동관(22)의 관절부(25)의 절곡위치에 따라 세면기(30)의 사용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100)의 설치위치가 조절완료되면 전원선(54)을 통해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스위치(55)를 온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세척수공급통(50)내에 설치된 수중펌프(53)가 작동되면서 공급통(50)내의 물을 공급관(41)을 통하여 샤워기(30)로 펌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샤워기(40)로 물이 분사됨으로써 통상에서와 같이 세면기(30)를 통하여 손님이나 환자 등을 용이하고도 손쉽게 세면 및 세발을 시킬 수가 있고, 이때 발생되는 폐수는 세면기(30)의 배수구(32) 및 배수관(33)을 거쳐 폐수통(60)으로 환수된다.
이때, 상기 샤워기(30)는 세면기(30)의 설치대(34)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음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이 도모된다.
한편, 세척수공급통(50)과 페수통(60)은 뚜껑(51)(61)을 개방한 상태에서 본체(100)와 분리가 됨으로써 필요로 하는 세척수를 수시로 보충할 수가 있고, 또한 폐수통의 폐수를 수시로 버릴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이동식 세면대는 본체의 저면에 구름바퀴가 형성됨으로써 실내에서는 어디던지 이동하여 세면 및 세발을 시킬 수가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도모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즉, 이.미용실 등에서는 손님에게 세면 및 세발을 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한 곳의 의자에서 손님의 미용가 더불어 세면 및 세발을 용이하게 시킬 수가 있음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이고 효과적인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병원에서 환자를 움직이지 않고 침대에 편안하게 눕힌 상태에서나 또는 장애인을 휠체어 등에 앉힌 상태에서도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세면 및 세발을 시킬 수가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효과외에도 본 고안은 세면기의 높낮이는 물론이고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조건하에서도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가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저면에 바퀴(11)를 가지면서 구름작동이 가능한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관(21)과, 이 고정관(21)에 체결되어 고정레버(23)에 의해 나사조임되고 승강작동으로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유동관(22)과, 유동관(22)의 중심부에 조절레버(24)의 나사조임에 의해 그 각도를 조절토록 형성되는 관절부()를 갖춘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상단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저면에 배수구(32)를 가지면서 세면 및 세발이 가능한 세면기(30)와;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고 뚜껑(51)에 의해 개폐되면서 내부에는 세척수가 저수되는 세척수공급통(50)과;
    상기 세척수공급통(50)의 타측에 형성되고 뚜껑(61)에 의해 개폐되면서 세면기(30)의 저면 배수구(32)와 후렉시블한 주름관의 배수관(33)으로 연결되어 세면기(30)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저장토록 하는 폐수통(60)과;
    상기 세면기(30)의 후단에 형성된 설치대(34)에 체결되면서 후렉시블한 공급관(41)에 의해 세척수공급통(50)과 연결되고, 공급관(41)의 끝단에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수중펌프(53)가 장착되어 세척수공급통(50)내의 물을 강제적으로 펌핑분사토록 하는 샤워기(40);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면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공급통(50)의 뚜껑(51)의 외부에 펌프(56)를 구성하여 공급관(41)을 통해 샤워기(40)로 물을 펌핑분사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면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의 일측에 펌프(57)를 고정설치하고, 이 펌프(57)를 세척수공급통(50)과 연결구성토록 함으로써 세척수공급통(50)의 물을 샤워기(40)로 펌핑분사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면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40)로 연결되는 공급관(41)은 중심부에 연결소켓(42)을 이용하여 연결 및 분리토록 구성하여 사용의 선택에 따라 세척수공급통(50)과 연결하거나 수도전에 직접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면대.
KR2020010037448U 2001-12-05 2001-12-05 이동식 세면대 KR200268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48U KR200268372Y1 (ko) 2001-12-05 2001-12-05 이동식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48U KR200268372Y1 (ko) 2001-12-05 2001-12-05 이동식 세면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418A Division KR100419675B1 (ko) 2001-12-05 2001-12-05 이동식 세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372Y1 true KR200268372Y1 (ko) 2002-03-16

Family

ID=7311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448U KR200268372Y1 (ko) 2001-12-05 2001-12-05 이동식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37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423B1 (ko) * 2009-11-06 2011-03-24 송광소 유아용 이동식 양치대
KR101604775B1 (ko) 2015-09-24 2016-03-18 (주)포인트원 탈부착 순환 분사장치
KR20200048412A (ko) 2018-10-30 2020-05-08 서부건 이동식 탈부착 세면대
KR20220074182A (ko) 2020-11-27 2022-06-03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KR20220107801A (ko) 2021-01-26 2022-08-02 이숙희 휴대형 간병용 세면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423B1 (ko) * 2009-11-06 2011-03-24 송광소 유아용 이동식 양치대
WO2011055910A3 (ko) * 2009-11-06 2011-09-09 Song Kwang So 유아용 이동식 양치대
KR101604775B1 (ko) 2015-09-24 2016-03-18 (주)포인트원 탈부착 순환 분사장치
KR20200048412A (ko) 2018-10-30 2020-05-08 서부건 이동식 탈부착 세면대
KR20220074182A (ko) 2020-11-27 2022-06-03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높이조절 세면대 장치
KR20220107801A (ko) 2021-01-26 2022-08-02 이숙희 휴대형 간병용 세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2903B2 (en) Bathroom fixtures and components
KR100419675B1 (ko) 이동식 세면대
US20090000967A1 (en) Toilet utensil kit
US4512043A (en) Portable hair shampoo and scalp treatment basin
KR200268372Y1 (ko) 이동식 세면대
EP1774868A1 (en) Automatic hair self-washing device and automatic hair self-care device for hair and scalp
AU2017100566A4 (en) A Portable Salon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4298436A (ja) 洗面化粧台
JP3168754U (ja) 移動式テーブル洗面台
EP3313237B1 (en) Work station
US4638826A (en) Dishwashing apparatus
JPH0421514Y2 (ko)
KR100576055B1 (ko)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CA3216008A1 (en) A portable basin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FR2709940A1 (fr) Dispositif ergonomique de projection d&#39;eau sous forme de jets, destiné à se doucher ou se faire masser tout ou partie du corps.
JP2000144832A (ja) ホース収納式水栓
KR200275771Y1 (ko) 의자가 구비된 이동식 샴푸대
JP3228031B2 (ja) 洗面化粧台
KR200390019Y1 (ko) 수납식 샴푸도기
JPH07197500A (ja) 洗面化粧台
JPH0313265Y2 (ko)
JPH0337475Y2 (ko)
JPH09266864A (ja) 洗面化粧台
JPH09242147A (ja) 洗面化粧台
JPH03374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