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055B1 -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 Google Patents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055B1
KR100576055B1 KR1020060011323A KR20060011323A KR100576055B1 KR 100576055 B1 KR100576055 B1 KR 100576055B1 KR 1020060011323 A KR1020060011323 A KR 1020060011323A KR 20060011323 A KR20060011323 A KR 20060011323A KR 100576055 B1 KR100576055 B1 KR 10057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hair
pipe
hot wat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909A (ko
Inventor
김정욱
Original Assignee
김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욱 filed Critical 김정욱
Priority to KR1020060011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0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10Head-rests; Ne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매트리스(mattress)가 배치된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후단이 하수구로 연결되는 신축식 배수관;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후단이 상수도에 연결되어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냉수관;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후단이 온수 공급 배관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온수관; 및 상기 냉수관 및 온수관에 연결되는 수도꼭지 및 샤워기와, 세발시 낙수를 받아낼 수 있는 수조와, 출구가 상기 배수관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마련되고, 상기 매트리스 하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세발용구함(washbowl);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이 편안한 자세로 누워서 세발을 할 수 있고, 미용사도 의자에 앉아서 고객의 머리를 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발을 하지 않을 경우 맛사지용 침대로 전용하여 사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미용실, 모발, 세척

Description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HAIR CLEANING BED FOR BEAUTY SHOP}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의 매트리스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매트리스를 적치하여 완성된 본 발명의 사용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보관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의 매트리스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절단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서 세발용구함의 수도꼭지 및 샤워기에 냉수관을 열결하고, 세발용구함의 배수구에 배수관을 연결한 상태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d는 도 2c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매트리스를 적치하여 완성된 본 발명의 사용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침대프레임 12 : 레일가이드
14a ~ 14d : 배수관 16 : 냉수관
18 : 온수관 20 : 냉수밸브
22 : 온수밸브 24a, 24b : 세발용구함
26 : 수도꼭지 28 : 샤워기
30 : 수조 32 : 배수구
34 : 레일(rail) 36 : 매트리스(mattress)
38 : 캐스터(caster) 40, 42 : 연결구
44 : 패킹 46 : 포켓
48 : 나팔관
본 발명은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미용실 의 고객이 누운 상태에서 미용사, 미용보조자, 이용사, 피부관리사, 맛사지사 등(이하, 이들을 단순히 "미용사"라고 함)이 이용자의 머리를 감겨 줄 수 있고, 피부관리 또는 맛사지를 위한 침상 등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이미용실에는 미용(美容) 또는 이용(理容)을 끝낸 고객의 머리를 감아 주는 모발 세척대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 이미용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발 세척대는 고객이 앉아서 머리를 뒤로 젖힐 수 있는 의자와, 의자 뒤에 배치되는 세면대로 구성된다. 미용사는 일어선 자세로 세면대에 마련된 샤워기를 이용하여 고객의 머리를 세발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모발 세척대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그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우선, 종래의 모발 세척대는 세발(洗髮)을 하는 고객의 자세가 불안하여 편안한 세발을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세발을 위해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고개를 젖힌 채로 10여분 동안 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불안하고 불편한 것이다.
다음, 종래의 모발 세척대를 사용할 경우 미용사가 항상 서서 머리를 감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고객이 의자에 앉아 있기 때문에 고객의 머리 위치가 높아 미용사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감길 수 없고, 항상 일어선 자세에서 세발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로 인해 세발은 하루에도 많은 고객을 상대로 서서 미용작업을 해야 하는 미용사에게, 매우 고단한 작업이 되는 것이다.
다음, 최근의 미용실은 한정된 공간 내에서 머리를 다듬을 뿐만 아니라, 피부관리, 맛사지 등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피부관리 또는 마사지를 위해서는 고객이 누울 수 있는 침대가 필요하다. 그러나, 한정된 공간 내 에 침대, 미용의자, 모발 세척대 등을 모두 마련하는 것은 여러가지 제약이 따른다.
상술한 종래 모발 세척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고객이 편안한 자세로 누워서 세발을 할 수 있는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의 모발 세척을 하는 미용사가 의자에 앉아서 머리를 감길 수 있는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용실의 한정된 공간에 배치되어, 피부관리 또는 맛사지용 침대로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는 상부에 매트리스(mattress)가 배치된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후단이 하수구로 연결되는 신축식 배수관;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후단이 상수도에 연결되어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냉수관; 상기 침대프 레임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후단이 온수 공급 배관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온수관; 및 상기 냉수관 및 온수관에 연결되는 수도꼭지 및 샤워기와, 세발시 낙수를 받아낼 수 있는 수조와, 출구가 상기 배수관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마련되고, 상기 매트리스 하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세발용구함(washbowl);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의 매트리스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매트리스를 적치하여 완성된 본 발명의 사용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보관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는 상부에 매트리스(mattress)(36)가 배치될 수 있는 침대프레임(10)을 마련하고, 그 하부 내측 또는 외측에 세발에 필요한 냉수 및 온수를 이송하는 냉수관(16) 및 온수관(18)과, 세발시 낙하하는 물을 받아내고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수조(30)와, 세발 후 오염된 물을 하수구에 배출하는 배수관(14a ~ 14b)를 마련하여, 고객이 침대에 누운 자세에서 미용사가 고객의 머리를 감길 수 있게 한 데 그 특징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고객은 오랜 시간 동안 고개를 뒤로 젖혀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되고, 고객이 의자에 앉아서 세발을 할 때보다 머리 위치가 낮아져, 미용사가는 의자(도면 미도시)에 편히 앉아 고객의 머리를 감길 수 있게 된다.
상기 침대프레임(10)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후단이 하수구로 연결되는 신축식 배수관(14a ~ 14b)에서, 지름이 가장 작은 제1배수관(14b)의 외경은 이에 결합되는 제2배수관(14b)의 내경과 작은 공차를 두고 일치하고, 제2배수관(14b)의 외경은 이에 결합되는 제3배수관(14c)의 내경과 작은 공차를 두고 일치하고, 제3배수관(14c)의 외경은 이에 결합되는 제4배수관(14d)의 내경과 작은 공차를 두고 일치한다. 이 배수관(14a ~ 14d)은 고무 패킹 등 기밀 수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한 채 신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배수관(14a ~ 14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발용구함(24a, 24b)을 침대프레임(10) 하부 내측에 수납할 때 수축하고, 세발용구함(24a, 24b)을 세발을 위해 침대프레임(10) 하부 외측으로 인출할 때 신장한다.
상기 침대프레임(10)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후단이 상수도에 연결되어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냉수관(16) 및 상기 침대프레임(10)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후단이 온수 공급 배관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온수관(18)은 모두 길이가 여유있는 고무나 합성수지 소재의 호스로 제작하여, 세발용구함(24a, 24b)을 침대 프레임(10) 하부 내측에 수납할 때 휘어지고, 세발용구함(24a, 24b)을 침대프레임(10) 하부 외측으로 인출할 때 펴지도록 한다. 상기 냉수관(16)에는 냉수를 개폐할 수 있는 냉수밸브(20)를 구비하고, 상기 온수관(18)에는 온수를 개폐할 수 있는 온수밸브(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세발시 낙수를 받아낼 수 있는 수조(30)를 상기 매트리스(36) 하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세발용구함(washbowl)(24a, 24b)에 마련한다. 상기 세발용구함(24a, 24b)에는 수조(30) 이외에도 상기 냉수관(16) 및 온수관(18)에 연결되는 수도꼭지(26) 및 샤워기(28)와, 출구가 상기 배수관(14a)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30)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32)가 더 마련된다.
또한, 상기 세발용구함(24a)의 측면에는 슬라이드용 레일(34)이 마련되고, 상기 침대프레임(10)의 내측에는 상기 세발용구함(24a)의 레일(34)을 안내하여 세발용구함(24a)을 상기 침대프레임(10)의 하부로 수납하게 하거나 침대프레임(10) 외부로 인출하게 하는 레일가이드(1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수조(30)의 측벽에는 샴퓨, 린스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46)을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침대프레임(10) 상부에는 비닐 커버 등 방수용 시트 (sheet)가 쒸워진 매트리스(36)가 적치되고, 고객은 세발시, 상기 세발용구함(24a)이 침대프레임(10)의 하부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36)에 누워 머리를 세발용구함(24a) 가까이에 두게 된다. 매트리스(36)의 선단 상부 양측에는 상방으로 돌출한 돌출부(35a, 35b)를 형성하여 고객의 머리가 안착되기 쉽고, 물이 세발용구함(24a)측으로 흘러 들어 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트리스(36)의 선단 상부 중심부에는 물이 통과하여 상기 세발용구함(24a)으로 유입될 수 있는 배수공(37)을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용사는 의자에 앉아 상기 세발용구함(24a)에 마련된 샤워기(28), 샴퓨 등을 이용하여 고객의 머리를 감기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세척대를 이용한 세발이 끝나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34) 및 레일가이드(12)를 이용하여 상기 세발용구함(24a)을 침대프레임(10) 하부 내측에 수납하고, 피부관리, 맛사지 등을 위한 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침대프레임(10)의 외측에 물 튀김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가 마련된 외곽프레임을 더 구비하면, 병원, 양로원 등에서 환자의 몸을 씻길 수 있는 샤워 침대로도 전용이 가능하게 된다. 샤워 침대로 사용할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머리를 용이하게 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을 용이하게 닦아 줄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의 매트리스 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도 2b는 도 2a의 A-A'절단선에 대한 단면도를, 도 2c는 도 2a에서 세발용구함의 수도꼭지 및 샤워기에 냉수관을 열결하고, 세발용구함의 배수구에 배수관을 연결한 상태를 보여 주는 사시도를, 도 2d는 도 2c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매트리스를 적치하여 완성된 본 발명의 사용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실시 예는 세발용구함(24a)의 배수구(32) 출구가상기 배수관(14a)으로 부터 삽탈 가능하게 하고, 상기 냉수관(16) 및 온수관(18)이 탈착 가능하게 하여, 침대프레임(10)으로 세발용구함(24b)을 완전히 분리하여 독립적을 활용할 수 있게 형성한 데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세발용구함(24b)의 하면에는 캐스터(caster)(38)를 구비하여 바닥에서 세발용구함(24b)이 이동가능하게 한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배수관(14a)의 선단은 나팔관(48) 형상으로 성형하여, 상기 세발용구함(24a)을 배수관(14a)에 가까이 접근시켰을 경우에 용이하게 배수구(32)의 출구(47)가 배수관(14a)의 선단 내부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세발용구함(24a)의 배수구(32)의 출구는 2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지하다. 즉 하나는 상기 배수관(14a)에 연결되는 출구(47)이고, 다른 하나는 직하방으로 배수하는 출구(45)이다. 직하방으로 배수하는 출구(45)에는 세발용구함(24a)을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 호스를 연결하여 배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냉수관(16) 및 온수 관(18)의 일정한 지점은 분리하여, 각 단에 암연결구(40) 및 수열결구(42)를 마련하고, 세발시에는 세발용구함(24b)을 침대프레임(10)에 접근시킨 후 이들을 연결하고, 세발 후에는 이들을 분리하여 세발용구함(24b)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냉수관(16) 및 온수관(18)으로는 유연성이 좋은 긴 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 예에 있어서도 상기 수조(30)의 측벽에는 샴퓨, 린스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46)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모발 세척대는 침대프레임(10) 상면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36)가 적치되고,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세발이 이루어 지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이 편안한 자세로 누워서 세발을 할 수 있고, 미용사도 의자에 앉아서 고객의 머리를 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발을 하지 않을 경우 피부관리 및 맛사지용 침대 혹은 의료용 침대로 전용하여 사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상부에 매트리스(mattress)(36)가 배치된 침대프레임(10);
    상기 침대프레임(10)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후단이 하수구로 연결되는 신축식 배수관(14a ~ 14b);
    상기 침대프레임(10)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후단이 상수도에 연결되어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냉수관(16);
    상기 침대프레임(10)의 하부에 마련되고, 그 후단이 온수 공급 배관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온수관(18); 및
    상기 냉수관(16) 및 온수관(18)에 연결되는 수도꼭지(26) 및 샤워기(28)와, 세발시 낙수를 받아낼 수 있는 수조(30)와, 출구가 상기 배수관(14a)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30)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32)가 마련되고, 상기 매트리스(36) 하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세발용구함(washbowl)(24a, 24b);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발용구함(24a)의 측면에는 슬라이드용 레일(34)이 마련되고, 상기 침대프레임(10)의 내측에는 상기 세발용구함(24a)의 레일(34)을 안내하여 세발용구함(24a)을 상기 침대프레임(10)의 하부로 수납하게 하거나 침대프레임(10) 외부로 인 출하게 하는 레일가이드(1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발용구함(24b)의 하면에는 캐스터(caster)(38)가 구비되어 바닥에서 세발용구함(24b)이 이동가능하고, 상기 배수관(14a)의 선단은 나팔관(48)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세발용구함(24b)의 배수구(32)의 출구가 삽탈 가능하며, 상기 냉수관(16) 및 온수관(18)은 일정한 지점이 분리되어 연결구(40, 42)에 의하여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30)의 측벽에는 샴퓨, 린스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46)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KR1020060011323A 2006-02-06 2006-02-06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KR100576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323A KR100576055B1 (ko) 2006-02-06 2006-02-06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323A KR100576055B1 (ko) 2006-02-06 2006-02-06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909A KR20060017909A (ko) 2006-02-27
KR100576055B1 true KR100576055B1 (ko) 2006-05-03

Family

ID=3712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323A KR100576055B1 (ko) 2006-02-06 2006-02-06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320B1 (ko) * 2012-03-21 2014-03-10 송기현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909A (ko) 2006-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184B2 (en) Portable personal hygiene apparatus
US7469430B2 (en) Portable shampoo sink
US3068491A (en) Hair washer
US4512043A (en) Portable hair shampoo and scalp treatment basin
KR100576055B1 (ko)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EP1774868A1 (en) Automatic hair self-washing device and automatic hair self-care device for hair and scalp
US20140283293A1 (en) Portable hygiene station
US20220053917A1 (en) A hair washing station
JP4606914B2 (ja) フットバス用椅子
JP2008154997A (ja) 浴室ユニット
US6728977B1 (en) In-bed shampoo system
KR20060134528A (ko) 욕실용 이동식 세면대
AU2011249222A1 (en) Infant car seat
JP2008110181A (ja) 携帯移動式洗髪台
CN105962819B (zh) 沐浴排便椅
JP6358714B2 (ja) ミストシャワー入浴装置
JP3690210B2 (ja) 携帯用シャワー装置
CN215307707U (zh) 一种简易可折叠肩背式洗头盆
CN212913014U (zh) 一种辅助精神病人洗澡装置
KR200395187Y1 (ko) 욕실용 이동식 세면대
JP2004016582A (ja) 密閉型洗髪器及び洗髪装置
KR20170021132A (ko) 샴푸 세면대
JP4187048B2 (ja) 浴室ユニット
TWM544234U (zh) 護理用洗頭浴盆結構
JP2001149254A (ja) 浴室洗い場用の引き出しシャワ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