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320B1 -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 Google Patents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320B1
KR101371320B1 KR1020120028798A KR20120028798A KR101371320B1 KR 101371320 B1 KR101371320 B1 KR 101371320B1 KR 1020120028798 A KR1020120028798 A KR 1020120028798A KR 20120028798 A KR20120028798 A KR 20120028798A KR 101371320 B1 KR101371320 B1 KR 101371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mpoo
shampoo stand
backrest
stan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034A (ko
Inventor
송기현
Original Assignee
송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현 filed Critical 송기현
Priority to KR102012002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32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등받이로 이루어진 미용의자로서, 상기 등받이의 배면부에는 하부에 스토퍼를 갖는 한쌍의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는 샴푸대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샴푸대는 일면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자바라구조의 배출호스의 상부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배출호스의 하부가 연결되도록 경사진 구조의 인출관부가 형성되어, 미용의자에서 모발을 자르거나 염색수 샴푸대가 있는 샴푸실까지 이동하지 않고 자른 미용의자에서 바로 샴푸할 수 있고, 등받이가 수평되게 회동시킨 후 샴푸할 수 있어 사용자의 목에 무리가 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로 샴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 beauty chair having shampoostand }
본 발명은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용의자에서 모발을 자르거나 염색수 샴푸대가 있는 샴푸실까지 이동하지 않고 자른 미용의자에서 바로 샴푸할 수 있고, 등받이가 수평되게 회동시킨 후 샴푸할 수 있어 사용자의 목에 무리가 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로 샴푸할 수 있는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미용실에서 모발을 자르거나 염색 등을 하기 위해서는 미용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미용사에 의해 손질 받게 되고, 손질 받은 후 에는 샴푸를 하기 위해 샴푸실로 이동하여서 샴푸를 하게 된다.
또한, 샴푸실에서 샴푸를 할 때에는 머리를 뒤쪽으로 젖힌 상태에서 미용사에 의하여 잘려지거나 염색된 모발을 샴푸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방식에 의하여 미용실에서 모발을 자르거나 염색 후 샴푸하기 위해서는 샴푸대가 있는 샴푸실 까지 곳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커트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커트된 머리카락이 사용자의 목덜미나 의복 및 바닦에 떨어져 불쾌감을 유발시키거나 바닦이 더렵혀 지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샴푸과정에서 두부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미용사에 의하여 샴푸를 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목 부분에 무리가 가고 자세 또한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용의자에서 모발을 자르거나 염색수 샴푸대가 있는 샴푸실까지 이동하지 않고 자른 미용의자에서 바로 샴푸할 수 있고, 등받이가 수평되게 회동시킨 후 샴푸할 수 있어 사용자의 목에 무리가 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로 샴푸할 수 있는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인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등받이로 이루어진 미용의자로서, 상기 등받이의 배면부에는 하부에 스토퍼를 갖는 한쌍의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는 샴푸대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샴푸대는 일면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자바라구조의 배출호스의 상부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배출호스의 하부가 연결되도록 경사진 구조의 인출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에는 상기 샴푸대를 덮으면서 덮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샴푸대를 감싸면서 상기 등받이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덮개본체와 상기 인출관부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덮개본체의 하부와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를 연결하며 설치되는 자바라 구조의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샴푸대에는 외부에서 냉수 및 온수를 공급받도록 수전밸브가 설치되고, 일면에는 지지홀더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홀더에는 샤워호스가 구비된 샤워헤드가 탈착가능하게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샴푸대의 상면에는 격벽부가 더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배출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본체의 상부에는 절곡된 구조의 지지대가 더 형성되어, 샴푸대를 이동시켜 상기 레일에서 분리한 후 상기 지지대에 배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인출되도록 곡선의 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는 미용의자에서 모발을 자르거나 염색수 샴푸대가 있는 샴푸실까지 이동하지 않고 자른 미용의자에서 바로 샴푸할 수 있고, 등받이가 수평되게 회동시킨 후 샴푸할 수 있어 사용자의 목에 무리가 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로 샴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10)(이하 미용의자)는 베이스부(20)와 상기 베이스부(20)의 상부에 마련되는 축부(30)와 상기 축부(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부(40)와 상기 시트부(4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등받이(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등받이(50)는 레버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시트부(4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미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어 지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축부(30)는 사용자의 승강레버 조작에 의해 상,하로 상기 시트(40)를 승강시도록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등받이(50)의 배면부에는 하부에 스토퍼(511)를 갖는 한쌍의 레일(51)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레일(51)에는 샴푸대(6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샴푸대는 일면에 배출구(6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61)에는 자바라구조의 배출호스(62)의 상부가 접착 또는 융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부(20)에는 상기 배출호스(62)의 하부가 연결되도록 경사진 구조의 인출관부(63)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관부(63)는 관통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20)에 형성되는 배수공에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상부에는 상기 배출호수(62)의 하부가 접착 또는 융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인출관부(63)는 외부와 연결되게 구성되어 샴푸 후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고, 상기 배출호스(62)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자바라 구조로 형성되어 삼푸대(60)의 이동에 따라 탄성에 의해 길이가 신장된 후 샴푸대(60)의 복귀에 의해 신장된 길이가 축소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샴푸대(60)의 측면 하부에는 단부에 후크(651)를 갖는 고정로프(65)를 융착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등받이(50)에는 상기 후크(651)가 끼움되도록 걸림공(52)을 형성하여 샴푸대를 이동 후 고정시킴으로서, 배출호스(62)의 탄성에 의해 이동된 샴푸대가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고정로프(65)와 걸림공(52)의 구성은 상기 샴푸대가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킬 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샴푸대를 통상의 석재로 형성시킬 경우 자체 무게에 의해 배출호스의 탄성으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상기 샴푸대(60)에는 상기 레일(21)에 안내되도록 한쌍의 가이드바(64)가 나사체결되거나 접착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바(64)에는 안내홈(641)을 갖는 긴 체결돌부(642)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51)에는 상기 안내홈(641)에 끼움되도록 긴 안내돌기(512)가 형성된다.
즉, 미용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를 미용자가 손질한 후 레버를 조작하여 최초 직각 상태의 등받이(50)는 수평상태가 유지되게 회동시킨 후 상기 샴푸대(60)를 레일(51)을 따라 이동시켜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배치시킨 후 외부의 물(호스나 용기)을 이용하여 머리를 감긴 후 샴푸대(60)를 레일(51)을 따라 원위치로 배치시킴과 아울러 등받이(50)를 직립되게 회동시켜 배출구(61)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머리를 감는 과정에서 일부는 배출구(61)를 통해 배출되며 잔존하는 물은 회동과정에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샴푸대(60)의 상면에는 격벽부(66)가 더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61)로 배출되는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회동되는 샴푸대(60) 내부의 물이 격벽부(66)에 의해 하부에 모여짐과 아울러 배출구(61)로 배출됨으로서, 급격한 등받이(50)의 회전에 따라 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격벽부(66)는 패널구조로 형성되며 샴푸대의 상부 일측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50)의 높이는 사용자의 어깨부분에 위치되는 높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머리를 손질하기 위한 통상의 미용의자의 등받이 높이도 이도 동일하고 대략 70~90cm의 높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받이(50)에는 상기 샴푸대(60)를 덮으면서 덮개부(70)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70)는 상기 샴푸대(60)를 감싸면서 상기 등받이(50)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덮개본체(71)와 상기 인출관부(63)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하부덮개(72)와 상기 덮개본체(71)의 하부와 상기 하부덮개(72)의 상부를 연결하며 설치되는 자바라 구조의 커버부재(73)로 이루어진다.
즉,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도록 샴푸대(60), 배출호수(62) 및 인출관부(63)를 감싸면서 설치되며, 상기 덮개부(70)는 상기 등받이(50)에 나사체결 또는 융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부덮개(72)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20)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커버부재(73)는 상기 덮개본체(71)와 상기 하부덮개(72)를 연결하여 융착된다. 이때 상기 하부덮개(72)는 관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20)에는 상기 하부덮개(72)와 연통되어 후술된 샤워호스 및 수전밸브 호스가 관통하도록 한쌍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재(73)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자바라구조로 형성되어 등받이(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덮개본체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샴푸대(60)에는 외부에서 냉수 및 온수를 공급받도록 수전밸브(80)가 설치되고, 일면에는 지지홀더(H)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홀더(H)에는 샤워호스(90)가 구비된 샤워헤드(91)가 탈착가능하게 더 설치된다.
즉,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도록 샤워호스(90)가 상기 덮개부(7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샴푸대(60)의 외면에 구비되는 지지홀더(H)에 샤워호스(90)의 샤워헤드(91)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샤워호스(90)의 호스 부분은 덮개부(70)의 내부에 곡선지게 배치되어 샴푸대(60)의 이동 및 머리를 감는 과정에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고, 하부에 무게추(도시생략)를 달아 사용 후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본체(71)의 상부에는 절곡된 구조의 경사진 지지대(711)가 더 형성되어, 샴푸대(60)를 이동시켜 상기 레일(51)에서 분리한 후 상기 지지대(711)에 배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5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인출되도록 곡선의 홈부(53)를 더 형성시키게된다.
즉, 직립된 등받이(5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120~130)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샴푸대(60)를 인출하여 지지대(711)에 배치한 후 사용자의 머리를 감길 수 있게 되며, 상기 덮개본체(71)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구(712)가 마련되어 상기 지지구(712)를 통해 상기 샴푸대(60)가 상기 지지대(711)에 배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미용의자 20 : 베이스부
30 : 축부 40 : 시트부
50 : 등받이 60 : 샴푸대
70 : 덮개부 80 : 수전밸브
90 : 샤워호스 51 : 레일
511 : 스토퍼 512 : 안내돌기
52 : 걸림공 61 : 배출구
62 : 배출호스 63 : 인출관부
64 : 가이드바 641 : 안내홈
65 : 고정로프 651 : 후크
66 : 격벽부 71 : 덮개본체
711 : 지지대 712 : 지지구
72 : 하부덮개 73 : 커버부재
91 : 샤워헤드 H : 지지홀더

Claims (5)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등받이로 이루어진 미용의자로서,
    상기 등받이의 배면부에는 하부에 스토퍼를 갖는 한쌍의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는 샴푸대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샴푸대는 일면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자바라구조의 배출호스의 상부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배출호스의 하부가 연결되도록 경사진 구조의 인출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에는 상기 샴푸대를 덮으면서 덮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샴푸대를 감싸면서 상기 등받이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덮개본체와 상기 인출관부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덮개본체의 하부와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를 연결하며 설치되는 자바라 구조의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샴푸대에는 외부에서 냉수 및 온수를 공급받도록 수전밸브가 설치되고, 일면에는 지지홀더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홀더에는 샤워호스가 구비된 샤워헤드가 탈착가능하게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4. 삭제
  5. 삭제
KR1020120028798A 2012-03-21 2012-03-21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KR101371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798A KR101371320B1 (ko) 2012-03-21 2012-03-21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798A KR101371320B1 (ko) 2012-03-21 2012-03-21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034A KR20130107034A (ko) 2013-10-01
KR101371320B1 true KR101371320B1 (ko) 2014-03-10

Family

ID=4963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798A KR101371320B1 (ko) 2012-03-21 2012-03-21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1097A (zh) * 2016-12-26 2017-05-31 湖北文理学院 一种带有洗头功能的儿童折叠式手推车
KR102381919B1 (ko) * 2020-03-02 2022-04-01 주식회사 어스트 마사지 베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464Y1 (ko) * 1987-03-13 1990-09-22 최상열 의자가 부설된 이, 미용업소용 세발기
KR200341780Y1 (ko) 2003-10-07 2004-02-14 이동우 누운 자세에서 커트와 샴푸가 가능한 미용샴푸 장치.
KR20060017909A (ko) * 2006-02-06 2006-02-27 김정욱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KR20080030513A (ko) * 2006-09-29 2008-04-04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이미용용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464Y1 (ko) * 1987-03-13 1990-09-22 최상열 의자가 부설된 이, 미용업소용 세발기
KR200341780Y1 (ko) 2003-10-07 2004-02-14 이동우 누운 자세에서 커트와 샴푸가 가능한 미용샴푸 장치.
KR20060017909A (ko) * 2006-02-06 2006-02-27 김정욱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KR20080030513A (ko) * 2006-09-29 2008-04-04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이미용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034A (ko)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53545A1 (en) Long hair shampoo basin
KR101404474B1 (ko) 이동식 세면장치
US20060085905A1 (en) Shower curtain holder
KR101371320B1 (ko)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US20230017366A1 (en) Long Hair Shampooing and Washing Bowl
US2261476A (en) Shampoo bowl
US20220053917A1 (en) A hair washing station
KR20200101780A (ko) 일체형 샴푸대 미용 의자
KR100419675B1 (ko) 이동식 세면대
AU2017100566A4 (en) A Portable Salon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40255374A1 (en) Automatic shampoo machine
US2315153A (en) Hair washing sink
KR200466096Y1 (ko) 머리받침기능을 구비한 샴푸 보조장치
KR200268372Y1 (ko) 이동식 세면대
US20050210574A1 (en) Salon shampoo bed
KR100576055B1 (ko)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US20120096636A1 (en) Portable shampoo bowl and chair
JP3156879B2 (ja) 洗髪器
JP5548546B2 (ja) 洗髪機
JP2001149254A (ja) 浴室洗い場用の引き出しシャワー
JP5732610B2 (ja) シャワー浴装置
JPH0313265Y2 (ko)
KR200431470Y1 (ko) 머리 세척용 의자에 부착된 얼굴 가림장치
JPH0716338Y2 (ja) 洗面化粧台
JP4089777B2 (ja) 自動洗髪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