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474B1 - 이동식 세면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세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474B1
KR101404474B1 KR1020120025173A KR20120025173A KR101404474B1 KR 101404474 B1 KR101404474 B1 KR 101404474B1 KR 1020120025173 A KR1020120025173 A KR 1020120025173A KR 20120025173 A KR20120025173 A KR 20120025173A KR 101404474 B1 KR101404474 B1 KR 101404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tank
water suppl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042A (ko
Inventor
최요한
Original Assignee
금호테크 주식회사
최요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테크 주식회사, 최요한 filed Critical 금호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47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4Portable wash 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90Basins movable between several 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5)가 구비되어, 전(全)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샴푸 또는 세면이 이루어지고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구(24)가 구비되는 세면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24)와 서로 연결되어 세척수를 수거하는 폐수탱크(30)와; 상기 폐수탱크(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세척수를 보관하는 급수탱크(60)와; 상기 급수탱크(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부(70)와; 상기 히터부(70)의 일측에 구비되어,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00)와; 상기 온도센서(100)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100)에 의해 감지된 세척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부(70)를 제어하는 컨트롤부(110)와; 상기 급수탱크(60)의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탱크(60)의 세척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 또는 배출하는 순환모터(82);를 포함하는 이동식 세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고객이 세면대로 이동할 필요없이 작업자가 고객의 앉아 있는 의자 또는 고객이 누워있는 침대 등에 이동시켜 손쉽게 샴푸 및 세면이 가능하다.
또한, 폐수통이 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오수를 버리기가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위생을 위한 세척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식 세면장치{Moveable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세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용실, 두피마사지 또는 병원 등에서 고객이나 환자 등에게 세면 및 세발을 시키도록 하는 세면대를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미용실, 두피마사지, 병원의 고객이나 환자 등에게 매우 편리하고도 손쉽게 세면과 세발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세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실, 두피관리실 등에서는 의자에 손님을 앉힌 후 퍼머, 컷트, 염색, 약품처리 등 미용의 작업을 실시하고, 이의 작업이 완료되면 고객을 세면기의 앞으로 이동시켜 샴푸 및 세면을 실시하고 있다. 샴푸 및 세면을 행하는 세면기는 수도와 배수구가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의 특정장소에 시설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샴푸 및 세면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필연적으로 세면기 앞으로 이동을 한 후에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미용실, 두피관리실, 병원 등에서는 움직임이 곤란한 고객이나 환자에게 세면 및 샴푸을 시키기가 매우 불편하고 힘든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즉, 미용실, 두피관리실에서는 고객이 퍼머, 컷트, 염색, 약품처리 등을 행한 후 세면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머리카락이나 염색약, 약품 등이 날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한곳에서 모든 미용작업 및 두피관리작업이 시행되지 못하고 이동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동선으로 이한 불편함도 있다.
특히, 병원에서 움직임이 곤란한 환자에게 세면 및 샴푸를 할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점은 더욱 더 가중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면 및 샴푸를 행하는 세면대를 이동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미용실, 두피관리실, 병원 등에서 고객이나 환자들에게 손쉽고도 편리하게 세면 및 샴푸를 시킬 수가 있는 이동식 세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폐수탱크가 구비되어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폐수탱크를 분리하여 손쉽게 오수를 버릴 수 있으며, 폐수탱크의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내부에 순환모터와 히터가 구비되어 온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일정한 온도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이동식 세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면장치는, 하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전(全)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샴푸 또는 세면이 이루어지고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구가 구비되는 세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와 서로 연결되어 세척수를 수거하는 폐수탱크와, 상기 폐수탱크의 일측에 설치되며 세척수를 보관하는 급수탱크와, 상기 급수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세척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급수탱크의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탱크의 세척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 또는 배출하는 순환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탱크의 일측에는 상기 급수탱크의 세척수가 상기 순환모터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순환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순환모터에서 배출하는 세척수를 안내하는 배출유로와, 상기 배출유로와 연결되며 세척수의 공급방향을 조절하는 절환부와, 상기 절환부와 연결되며 세척수를 상기 급수탱크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유입유로와, 상기 절환부와 연결되며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분사호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부에 설정된 세척수의 온도가 상기 온도센서에 감지되면 상기 히터부를 정지시킨다.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폐수탱크의 유동을 방지하는 안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폐수탱크를 하부모서리를 구속하는 하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폐수탱크의 측면을 구속하는 측면지지대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폐수탱크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폐수탱크(30)의 전방모서리를 구속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일측에 경사면을 가지며 바닥면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재가 상,하 이동되는 삽입홈과, 상기 돌출부재와 삽입홈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와 상기 삽입홈의 하단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고객이 세면대로 이동할 필요없이 작업자가 고객의 앉아 있는 의자 또는 고객이 누워있는 침대 등에 이동시켜 손쉽게 샴푸 및 세면이 가능하다.
또한, 폐수통이 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오수를 버리기가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위생을 위한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급수탱크의 세척수를 순환모터를 이용하여 순환시켜 세척수를 대류시키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수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켜 전력소모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보다 빠르게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세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폐수탱크와 급수탱크가 장착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부의 바닥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탈방지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급수탱크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급수탱크의 후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면장치의 일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세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면장치는 하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5)가 구비되어 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샴푸 또는 세면이 이루어지고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구(24)가 구비되는 세면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24)와 서로 연결되어 세척수를 수거하는 폐수탱크(30)와, 상기 폐수탱크(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세척수를 보관하는 급수탱크(60)와, 상기 급수탱크(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부(70)와, 상기 히터부(70)의 일측에 구비되어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00)와, 상기 온도센서(100)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100)에 의해 감지된 세척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부(70)를 제어하는 컨트롤부(110)와, 상기 급수탱크(60)의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탱크(60)의 세척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 또는 배출하는 순환모터(8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굴곡된 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중공된 사각형 육면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에는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할 폐수탱크(30), 급수탱크(60) 등의 다수 부품을 지지하며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부(10)의 우측면에는 본체커버(12)가 결합된다. 상기 본체커버(12)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커버(12)는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본체커버(12)는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커버(12)의 좌측면 중앙부에는 걸림부재(14)가 설치된다. 상기 걸림부재(14)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형성되며, 일부분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4)는 아래에서 설명한 개폐수단(16)과 서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커버(12)를 상기 본체부(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부재(14)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폐수단(16)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수단(16)은 상기 본체부(10)에 상기 본체커버(12)가 맞닿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수단(16)은 일반적인 클램프장치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폐수단(16)이 상기 걸림부재(14)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부(10)에 상기 본체커버(12)가 고정된다.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는 세면부(20)가 설치된다. 상기 세면부(20)는 사기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세면기로서 샴푸 또는 세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면부(20)의 우측 상부면에는 일정한 깊이로 함몰되어, 샴푸 또는 세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받이홈(22)이 형성된다. 상기 목받이홈(22)은 사용자의 머리를 뒤로 젖혀서 샴푸 시킬 경우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세면부(20)의 저면에는 배수구(24)가 형성되어 사용된 폐수가 배수될 수 있고, 상기 배수구(24)에는 미도시 되어 있지만 통상의 세면기와 같이 개폐마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구(24)의 하부에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관(26)이 연결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폐수탱크(3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세면부(20) 상부 소정위치에는 노즐고정부(62)가 설치된다. 상기 노즐고정부(62)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전방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노즐고정부(62)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져, 나사로 세면부(20)에 고정된다. 상기 노즐고정부(62)에는 아래에서 설명한 분사노즐(9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즐고정부(62)에는 분사노즐(92)이 장착된다. 상기 분사노즐(92)은 일반적인 샤워기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분사노즐(92)에는 플렉시블한 분사호스(90)가 결합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급수탱크(6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는 이동바퀴(5)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5)는 상기 본체부(1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를 지지하며 전,후,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는 컨트롤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부(1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온도센서(100), 절환부(86) 또는 순환모터(82)와 연결되어 세척수의 온도조절, 세척수의 온도표시, 세척수의 분사 등, 기타 일련의 작동관계를 회로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컨트롤부(110)는 내부에 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을 내설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스위치(S)와 표시부(P)를 기능별 형태로 다수개 구비한 별도의 부품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4 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폐수탱크와 급수탱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부의 바닥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탈방지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폐수탱크(30)와 급수탱크(60)가 설치된다. 상기 폐수탱크(30)는 내부가 중공된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형성된다. 상기 폐수탱크(30)는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 등으로 이루어져 폐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폐수탱크(30)의 상부면에는 원형으로 관통된 관통홀(3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2)에는 상기 배수관(26)이 삽입되어 폐수를 상기 폐수탱크(30)에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는 상기 폐수탱크(30)를 고정하는 안착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안착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폐수탱크(30)의 하부모서리를 구속하는 하부거치대(42)와, 상기 하부거치대(42)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폐수탱크(30)의 측면을 구속하는 측면지지대(44)와,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폐수탱크(3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폐수탱크(30)의 전방모서리를 구속하는 이탈방지부(46)를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거치대(42)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 "┏" "┓"의 형상을 가지며, 상부로 일정 높이 만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거치대(42)는 상기 폐수탱크(30)의 하부면 후방 모서리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거치대(42)와 이격된 위치에는 측면지지대(44)가 설치된다. 상기 측면지지대(44)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폐수탱크(3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지지대(44)의 중앙부에는 이탈방지부(46)가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부(46)는, 일측에 경사면(50)을 가지며 상하로 돌출되는 돌출부재(48)와, 상기 돌출부재(48)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삽입홈(54)과, 상기 돌출부재(48)와 삽입홈(54)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재(48)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6)와, 상기 돌출부재(48)의 내측 상부면과 상기 삽입홈(54)의 하부면에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6)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재(5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재(48)는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48)의 일방향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48)는 경사면(50)이 상기 폐수탱크(30)가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되며, 수직면(52)이 상기 폐수탱크(30)가 배출되는 방향에 위치된다. 즉, 상기 폐수탱크(30)가 삽입될 때에는 경사면(50)을 따라 쉽게 삽입 되어지고 상기 폐수탱크(3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수직면(52)에 의해 상기 폐수탱크(30)의 전방모서리부가 고정되어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돌출부재(48)의 양측면에는 걸이부재(53)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재는 측방으로 일정한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재(53)는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단(55)에 의해 상기 돌출부재(48)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돌출부재(48)의 하부에는 삽입홈(5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54)은 직사각형 육면체의 형상으로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54)의 내부에는 돌출부재(48)가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삽입홈(54)의 상부에는 걸림단(5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55)은 상기 삽입홈(54)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55)은 상기 돌출부재(48)의 걸이부재(53)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재(48)와 상기 삽입홈(54)의 내부에는 탄성부재(56)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56)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부재(48)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56)는 상기 돌출부재(48)와 상기 삽입홈에 형성되는 지지부재(58)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58)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면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58)는 상기 돌출부재(48)의 하부면과 상기 삽입홈(54)의 상부면에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58) 사이에 탄성부재(56)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재(58)는 상기 탄성부재(56)가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재(48)를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폐수탱크(30)가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재(48)가 하부로 이동되어 폐수탱크가 쉽게 삽입되고, 상기 폐수탱크(30)가 완전하게 삽입되면 탄성부재(56)에 의해 상기 돌출부재(48)가 원상태로 돌출되어 상기 폐수탱크(3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폐수탱크(30)의 우측에는 급수탱크(60)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탱크(60)는 열에 강한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중공된 직사각형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급수탱크(60)의 하부면에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 상기 급수탱크(6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6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62)는 상기 급수탱크(6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62)에는 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 바닥면에 형성된 나사홀(64)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급수탱크(60)를 위치시켜 나사와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급수탱크(60)를 상기 본체부(10)에 고정한다.
상기 급수탱크(60)의 상부면에는 커버부(66)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66)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급수탱크(60)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66)는 상기 급수탱크(60)의 상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부(66)에는 세척수공급홀(68)이 형성된다. 상기 세척수공급홀(68)은 원형으로 관통되어, 상기 급수탱크(60)의 내부로 외부의 세척수공급호스(미도시)를 삽입하여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급수탱크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급수탱크의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탱크(60)의 내부에는 히터부(70)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부(70)는, 상기 급수탱크(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부(72)와, 상기 급수탱크(60)의 외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72)는 상기 급수탱크(6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열부(72)에는 시스(sheath)히터, 면상발열체 등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는 다양한 가열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72)의 후단에는 전원공급부(74)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공급부(74)는 상기 가열부(72)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가열부(72)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수탱크(60)의 하부에는 공급유로(8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유로(80)는 내부가 중공된 호스로 일단은 상기 급수탱크(6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순환모터(82)의 하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공급유로(80)는 상기 급수탱크(60)의 하부의 세척수를 상기 순환모터(82)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유로(80)의 상부에는 순환모터(82)가 설치된다. 상기 순환모터(82)는 일반적인 온수순환펌프모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순환모터(82)는 상기 공급유로(80)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60) 하부의 세척수를 유입하고, 아래에서 설명할 배출유로(84)로 배출시킨다.
상기 순환모터(82)의 측면에는 배출유로(84)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유로(84) 중공된 호스로 일단은 상기 순환모터(82)와 연결되고 타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절환부(86)와 연결된다. 상기 배출유로(84)는 상기 순환모터(82)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절환부(86)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유로(84)는 절환부(86)와 연결된다. 상기 절환부(86)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밸브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절환부(86)는 상기 배출유로(84)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아래에서 설명한 컨트롤부(110)의 제어에 따라 유입유로(88) 또는 분사호스(90)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환부(86)의 우측면에는 유입유로(88)가 설치된다. 상기 유입유로(88)는 중공된 호스로 일단은 상기 절환부(86)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급수탱크(60)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상기 유입유로(88)는 상기 절환부(86)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급수탱크(60)에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환부(86)의 상부에는 분사호스(90)가 설치된다. 상기 분사호스(90)는 중공된 호스로 일단은 절환부(86)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노즐(92)에 연결된다. 상기 분사호스(90)는 상기 절환부(86)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분사노즐(92)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수탱크(6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100)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센서(100)는 컨트롤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탱크(60) 내부의 세척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이동식 세면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는 본체부(10)의 본체커버(12)를 개방한다.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폐수탱크(30)를 안착시킨다. 상기 폐수탱크(30)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 설치된 돌출부재(48)의 경사면(50)을 따라 내부로 삽입하여 장착한다. 상기 돌출부재(48)는 상기 폐수탱크(30)의 하중에 의해 삽입홈(54)으로 이동되고 상기 폐수탱크(30)가 완전하게 삽입되면 탄성부재(56)에 의해 상부로 돌출된다. 즉, 상기 폐수탱크(30)를 상기 본체부(10)에 삽입시킬 때는 상기 돌출부재(48)의 경사면(50)을 따라 손쉽게 삽입하고, 상기 폐수탱크(30)가 완전하게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재(48)의 수직면(52)에 의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폐수탱크(30)의 장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급수탱크(60)에 세척수공급홀(68)을 통해 세척수를 상기 급수탱크(60)에 공급한다. 상기 급수탱크(60)에 세척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컨트롤부(110)를 조작하여 세척수의 온도를 설정한다. 상기 컨트롤부(110)의 온도설정이 완료되면 히터부(70)에 전원이 공급되고 가열부(72)가 가열된다.
상기 히터부(70)가 작동되면 순환모터(82)가 작동되어 공급유로(80)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60) 하부의 세척수가 상기 순환모터(82)에 유입된다. 상기 순환모터(82)는 유입된 세척수를 배출유로(84)를 통해 배출한다. 상기 배출유로(84)에 의해 배출된 세척수는 절환부(86)로 공급된다. 상기 절환부(86)는 배출된 세척수를 유입유로(88)로 배출하여 상기 급수탱크(60)로 순환시킨다. 즉, 상기 컨트롤부(110)에 설정된 온도까지 세척수가 빠르게 가열되도록 순환모터(82)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대류시킨다.
상기 급수탱크(60)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100)가 상기 급수탱크(60)의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부(11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온도센서(100)에 설정된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부(110)는 히터부(7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컨트롤부(110)의 분사스위치(S)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절환부(86)가 절환된다. 상기 절환부(86)가 절환되면 상기 배출유로(84)에서 상기 유입유로(88)로 배출되던 세척수는 차단되고, 상기 배출유로(84)는 분사호스(90)와 연결되어 세척수는 상기 분사호스(90)에 공급된다.
상기 분사호스(90)에 세척수가 공급되면 상기 분사호스(90)와 연결된 분사노즐(92)에 세척수가 공급되어 외부로 분사된다. 사용자는 외부로 분사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샴푸 또는 세면을 실시한다. 이때 발생되는 폐수는 상기 세면부(20)에 형성된 배수구(24)를 통해 폐수탱크(30)로 유입된다.
상기 폐수탱크(30)에 일정량 이상의 폐수가 저장되면 사용자는 본체커버(12)를 개방하고, 상기 폐수탱크(30)를 돌출부재(48) 보다 높게 들어 외부로 상기 폐수탱크(30)배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본체부 12. 본체커버
14. 걸림부재 16. 개폐수단
20. 세면부 22. 목받이홈
30. 폐수탱크 40. 안착부
46. 이탈방지부 60. 급수탱크
70. 히터부 80. 공급유로
82. 순환모터 84. 배출유로
86. 절환부 88. 유입유로
90. 분사호스 92. 분사노즐
100. 온도센서 110. 컨트롤부

Claims (5)

  1. 하부에 다수개의 이동바퀴(5)가 구비되어, 전(全)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샴푸 또는 세면이 이루어지고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구(24)가 구비되는 세면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24)와 서로 연결되어 세척수를 수거하는 폐수탱크(30)와;
    상기 폐수탱크(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세척수를 보관하는 급수탱크(60)와;
    상기 급수탱크(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부(70)와;
    상기 히터부(70)의 일측에 구비되어,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00)와;
    상기 온도센서(100)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100)에 의해 감지된 세척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부(70)를 제어하는 컨트롤부(110)와;
    상기 급수탱크(60)의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탱크(60)의 세척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 또는 배출하는 순환모터(82)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는 상기 폐수탱크(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안착부(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폐수탱크(30)를 하부모서리를 구속하는 하부거치대(42)와;
    상기 하부거치대(42)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폐수탱크(30)의 측면을 구속하는 측면지지대(44)와;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폐수탱크(3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폐수탱크(30)의 전방모서리를 구속하는 이탈방지부(46);를 포함하는 이동식 세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46)는,
    일측에 경사면을 가지며, 바닥면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부재(48)와;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재(48)가 상,하 이동되는 삽입홈(54)과;
    상기 돌출부재(48)와 삽입홈(54)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재(48)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6)와,
    상기 돌출부재(48)와 상기 삽입홈(54)의 하단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6)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8)를 포함하는 이동식 세면장치.
KR1020120025173A 2012-03-12 2012-03-12 이동식 세면장치 KR101404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173A KR101404474B1 (ko) 2012-03-12 2012-03-12 이동식 세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173A KR101404474B1 (ko) 2012-03-12 2012-03-12 이동식 세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042A KR20130104042A (ko) 2013-09-25
KR101404474B1 true KR101404474B1 (ko) 2014-06-10

Family

ID=4945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173A KR101404474B1 (ko) 2012-03-12 2012-03-12 이동식 세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633A (ko) 2018-09-07 2020-03-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샴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300B1 (ko) * 2015-04-13 2016-11-09 최요한 이동식 세면장치
KR200487973Y1 (ko) * 2016-12-30 2018-11-28 이애순 안구세척기가 구비된 이동형 샤워기
KR102273915B1 (ko) * 2019-07-24 2021-07-05 구영남 가축용 급수장치
KR102273914B1 (ko) * 2019-07-24 2021-07-05 구영남 조립식 가축용 급수장치
KR102273911B1 (ko) * 2019-07-24 2021-07-05 구영남 점검커버가 구비된 가축용 급수장치
KR102580440B1 (ko) * 2021-11-16 2023-09-19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 세척로봇의 자동 급배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720Y1 (ko) * 2005-12-26 2006-03-08 김종빈 이동식 세면 장치
KR200439347Y1 (ko) * 2007-05-17 2008-04-04 송형선 이동식 세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720Y1 (ko) * 2005-12-26 2006-03-08 김종빈 이동식 세면 장치
KR200439347Y1 (ko) * 2007-05-17 2008-04-04 송형선 이동식 세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633A (ko) 2018-09-07 2020-03-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샴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042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474B1 (ko) 이동식 세면장치
US20110017147A1 (en) Pet grooming station and system
US4901378A (en) Shampoo basin
KR102416611B1 (ko) 좌식변기 부착형 발 세척 장치
US20140283293A1 (en) Portable hygiene station
JP4202776B2 (ja) シャワーユニット付き椅子
US20180100297A1 (en) Auto Sink Spray
JP5631615B2 (ja) 自動洗髪機
KR20060134528A (ko) 욕실용 이동식 세면대
KR102379764B1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KR200402782Y1 (ko) 헤어세척대용 가압형 샤워장치
JP3933963B2 (ja) シャワー装置
KR102629926B1 (ko) 세척이 용이한 샴푸대
KR101670300B1 (ko) 이동식 세면장치
KR100576055B1 (ko)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KR20130107034A (ko) 샴푸대가 일체로 구비된 미용 의자
JP2004173969A (ja) 入浴・洗髪装置
KR102546642B1 (ko) 반려동물 목욕 시스템
JPH09192194A (ja) 身体洗浄装置及びその椅子
JP5631617B2 (ja) 自動洗髪機
KR200334184Y1 (ko) 이동식 세척기
JP4422641B2 (ja) シャワー装置
JP3100560B2 (ja) 支持体および自動洗髪機
JP2004267355A (ja) 椅子型ミストサウナ装置
KR200395187Y1 (ko) 욕실용 이동식 세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