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633A - 이동식 샴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샴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633A
KR20200028633A KR1020180106948A KR20180106948A KR20200028633A KR 20200028633 A KR20200028633 A KR 20200028633A KR 1020180106948 A KR1020180106948 A KR 1020180106948A KR 20180106948 A KR20180106948 A KR 20180106948A KR 20200028633 A KR20200028633 A KR 20200028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supply tank
water supply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술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8633A/ko
Publication of KR2020002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45D19/08Adaptations of wash-basins
    • A45D19/10Backward lavabo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5Shampooing; Conditioning; Washing hair for hairdress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 A45D2019/005
    • A45D2019/005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샴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형성되어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샴푸 또는 세면이 이루어지는 세면부, 상기 세면부는 사용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폐수를 수집하는 폐수탱크, 상기 세면부에 공급할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부착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부,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부착되어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위치하며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부, 설정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수온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샴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샴푸 장치{POTABLE SHAMPOO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샴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형성되어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샴푸 또는 세면이 이루어지는 세면부, 상기 세면부는 사용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폐수를 수집하는 폐수탱크, 상기 세면부에 공급할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부착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부,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부착되어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위치하며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 발생부, 설정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수온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샴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식 샴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실, 이발소에서 펌, 커트, 염색 등의 미용 작업 후 손님을 샴푸실로 이동하여 샴푸실에 설치된 의자에 뉘인 상태에서 머리를 감겨주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샴푸를 받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9675호에는 저면에 바퀴를 가져 이동 가능한 이동식 세면대가 제시된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온수를 제공하지 못하며 세척수공급통이 오염되었을 시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 제10-041967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 제20-04487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 제10-14044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형성되어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온수 유지 히터를 통해 일정한 수온을 제공하고, 오존수 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살균 및 정화 가능한 세면수를 제공하는 샴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샴푸대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물 튀김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샴푸대가 본체와 분리 가능하여 개별 세척, 수리가 가능한 샴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샴푸장치는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형성되어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샴푸 또는 세면이 이루어지는 세면부, 상기 세면부는 사용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폐수를 수집하는 폐수탱크, 상기 세면부에 공급할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부착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부,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부착되어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위치하며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부, 설정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수온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면대는 물 튀김, 물 넘침을 방지하는 턱이 형성되며, 상기 턱은 일측에 두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사용자의 목을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면대는 하부에 원통형으로 돌출된 머리 받침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전원 ON/OFF, 온도 설정, 오존 소독 ON/OFF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수온과 상기 입력부에서 설정한 온도 값을 비교하며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형성되어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온수 유지 히터를 통해 일정한 수온을 제공하고, 오존수 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살균 및 정화 가능한 세면수를 제공하는 샴푸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샴푸대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물 튀김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샴푸대가 본체와 분리 가능하여 개별 세척, 수리가 가능한 샴푸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샴푸 장치를 나타낸 전면도, 측면도, 배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샴푸 장치 본체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샴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사용하는 기존의 히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DC/DC 컨버터 회로이다.
도 6은 도 5의 PWM컨트롤러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5의 과열감지회로도이다.
도 8은 도 5의 PWM 제어기의 회로이다.
도 9는 PWM제어기에서 PWM의 주파수를 정하기 위한 외부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각 구성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나은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피시술자의 두피 질환 개선을 위해 급수탱크에 오존수 변환기 장착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되고, 두피 질환을 예방하는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균일한 농도의 오존을 생산하는 오존수 변환 장치를 포함한 세면대가 필요하다.
산업기술 분야에서 오존은 강력한 산화작용, 미생물과 진균 및 바이러스의 살균 작용을 하여 공기의 소독, 풀장의 소독, 음용수(미네랄워터, 상수도)와 양식장의 소독에서부터 왁스, 셀룰로오즈 섬유의 표백, 탈취, 미생물과 중금속의 제거, 의약품 제조, 폐수처리 등 다방면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특히 미용에서 오존(O3)수는 두피에서 발생하는 상처에 대한 소독, 상처 회복 증진, 모근 강화 등의 효과가 임상적으로 증명되어왔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었던 고정식 샴푸대를 이동식으로 개발하여 피부미용실에서 서비스 품질 개선에 이바지하고, 요양병원, 복지시설 등에 보급하여 요양보호사, 간병인들의 신체적 노동을 줄여주어 인력수급 및 인력비를 감소하고, 사용자 위생관리에 도움을 주는 샴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샴푸 장치를 나타낸 전면도, 측면도, 배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샴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샴푸장치는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형성되어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부(200)와 본체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샴푸 또는 세면이 이루어지는 세면부(100)로 이루어진다. 세면부(100)는 본체부(200)의 상부에 탈부착 이동 가능하며, 세면부(100)는 사용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샴푸 장치 본체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샴푸 장치 본체부(200)는 급수탱크(210), 히터(220), 오존발생부(230), 순환모터(240), 폐수탱크(250), 온도센서(260), 제어부(270)로 구성된다.
급수탱크(210)는 세면부(100)에 공급할 물을 저장하고, 히터(220)는 급수탱크(210) 내부에 부착되어 물을 가열한다. 폐수탱크(250)는 본체부(200) 내부에 위치하며, 배출구(150)와 연결되어 폐수를 수집한다.
배출구(150)는 세면대의 배수 개폐를 하는 개폐부(151), 개폐부(151)가 열렸을 때 배수되는 물이 흘러 폐수탱크(250)까지 이동하도록 하는 파이브(152)를 포함하여 폐수탱크(250)와 연결된다. 배출구(150)의 구성 및 결합은 기존 배수관의 구성 및 결합을 적용하여 구현한다.
순환모터(240)는 급수탱크(210)의 세척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 또는 배출한다.
온도센서(260)는 급수탱크(210) 내부에 부착되어 수온을 측정하고, 오존발생부(250)는 급수탱크(210) 내부에 위치하며 오존을 발생한다.
제어부(270)는 설정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설정 온도와 온도센서(260)에서 측정한 수온을 비교하여 히터부(220)를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전원 ON/OFF, 온도 설정, 오존 소독 ON/OFF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71), 온도센서(260)에서 측정한 수온과 입력부(271)에서 설정한 온도 값을 비교하며 히터부(220)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를 포함한다.
샴푸장치는 히터부(220), 급수펌프(240), 오존 발생부(250) 등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부(280)를 더 포함한다. 전원부(280)는 본체부에 전원을 접속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거나, 본체부 내부에 외부전원 또는 자가발전기를 통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자가발전기는 본체부 외면에 태양광을 설치하여 구현한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이 어려운 야외에서 미용 시 미리 충전해놓은 배터리, 태양광발전 패널을 이용해 자체적으로 전원공급, 구동되는 샴푸장치를 제공한다.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DC/DC 컨버터 회로는 과열 등 외부요인에 의하여 PWM 주파수가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입출력의 과전압보호기, 과열감지 회로가 없어서 회로가 오작동하는 현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DC-DC 컨버터를 전원부(280)에 적용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해보자면 입력전압이 입력되면 필터(401)를 거치고, 입력 과전압보호기(404, Input OVP)에 의하여 과전압은 제거되고, 이는 PWM 컨트롤러(406)에 의하여 반파, 전파 입력 스위칭되고, 다시 트랜스포머(402)를 거쳐 전압이 승압되거나 강압된다.
PWM 주파수에 의해 스위칭 된 신호는 FET 소자에 의해 스위칭이 일어나며, 이는 또한, 트랜스포머(402)의 전류를 센싱하여 PWM 제어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트랜스포머(402)에 의해 승압된 신호는 저주파 필터인 LC 필터(403)에 의해 필터링되어 출력전압이 된다. 출력전압단에는 과전압보호기(405)를 두어 과전압이 발생한 경우, 이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PWM 컨트롤러(406)는 입력 전압을 분할하기 위한 PWM 입력주파수 발생 회로이며, 상기 PWM 컨트롤러(406)는 과열보호회로(408)와 연결된다.
과열보호회로(408)의 기능은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DC/DC 컨버터회로에 과열을 감지하며, 과열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또한, 트랜스포머(402)는 입력전압을 증폭 혹은 강하하게 되며, 통상적으로 트랜스포머(402)의 1차측과 2차측의 감은 수의 비에 비례하여 전압이 결정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포머(2)의 전류를 계측하기 위하여 전류감지기(407)를 두며, 통상적으로 전류감지기(407)는 홀효과를 이용한 전류감지기, 전류 루프를 이용한 전류감지기 등이 이용된다.
전류감지기(407)의 전류값이 일정 전압 이상인 경우, 제어회로에서 이를 감지하여 과전류 메시지를 보내고, 필요한 경우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DC/DC 컨버터회로내에 교류전압을 스위칭 디바이스는 통상 FET를 사용하며, FET의 게이트 단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FET를 ON/OFF 하게 된다.
출력전압단에 연결된 LC필터(403)는 저주파 통과 필터로서, 전압을 평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PWM 제어기는 원격으로 통신시호를 전송하여 원격지에 모니터링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PWM 컨트롤러(406) 회로는 도6과 같으며, 과열보호회로(407)는 도7과 같다. 도8은 PWM 제어기 회로로서, PWM 출력주파수는 도9의 R3,C2,C34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PWM의 출력주파수는 DC/DC컨버터의 과열에 의하여 온도가 올라가면, 주파수의 왜곡(Fluctuation)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Tantalum 커패시터에서 온도상승에도 커패시턴스값이 안정적인 MLCC 커패시터로 바꾸어 커패시턴스값의 안정성이 증대되어 온도에 따른 주파수 왜곡 현상을 방지한다.
입력부(271)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로 형성되거나, 기계적 입력장치, 예를 들어 스위치, 버튼, 다이얼 등으로 형성된다. 입력부(271)가 기계적 입력장치로 형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출력부(271)를 더 포함하여 본체 내부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입력부(271)가 터치형 디스플레이로 형성된 경우 입력 버튼이 표시되는 화면과 내부 상태를 알려주는 화면을 함께 표시하거나, 입력 버튼에 내부 상태 확인 버튼을 추가로 형성하여, 내부 상태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내부 상태를 알려주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내부 상태는, 설정한 수온, 현재 수온 값, 급수탱크 잔여량. 폐수탱크 높이, 오존 농도, 잔여 배터리 등이 된다.
일실시 예에서는 잔여 배터리를 표시하며, 또 다른 예에서는 잔여 배터리가 일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예를 들어 배터리에 저장 가능한 전체 전력의 10% 이하로 떨어지면, 배터리 부족 문구, 또는 배터리 이미지를 화면에 표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제어부는 온도제어부로 구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본체부의 급수탱크, 폐수탱크에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각 수위센서로부터 수위 값을 입력받아 물 부족, 물 넘침 알림을 생성하여,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입력부(271)나, 추가된 출력부에 표출한다.
또 다른 예에서 제어부(270)는 용존 오존 측정기를 더 포함하여 측정된 오존 농도값에 따라 오존발생부(230)를 켜거나 끄거나, 1ppm을 초과하면 오존 농도 경고 알림을 화면에 표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존 발생부(230)는 1ppm이하의 오존을 생성하지만, 오존 발생부(230)의 오작동, 세척수에 이물질 유입 등에 의한 돌발 상황에서 오존 농도가 식약청 기준인 1ppm을 넘는 경우 '오존 농도 초과' 등과 같은 문구, 이미지를 표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271)는 본체부(200) 전면에 설치되며, 온도센서, 순환펌프, 오존 공급장치 연결되어 세척수의 온도조절, 세척수의 온도표시, 세척수의 분사 등 일련의 작동관계를 회로상으로 제어하도록 설계하였고, 회전이 자유로우며 거치가 용이한 샤워 헤드(310) 보장으로 사용자의 편의성도 추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오존발생부(230)는 무성방전관을 이용해 구현한다.
일반적으로 무성방전법, 전해법, 광화학반응법, 방사선 조사법 등을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데, 그 중 무성방전법은 오존 발생 효율이 높고 안정성, 조작 및 편리성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무선방전관을 이용한다.
무선방전관은 두 전극 사이에 유전율이 큰 유리나 세라믹 등의 절연체를 배치하여 공기나 산소를 불어 넣고, 두 전극에 6~15[kV] 정도의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서 하기의 식과 같은 반응에 의해 오존이 생성 및 분해된다.
O2 + e- -----> 2Oㆍ+ e- (1)
Oㆍ + O2 + O2 -----> O3 + O2 (2)
0ㆍ + O3 -----> 2O2 (3)
O2 + e -----> O2 + Oㆍ + e (4)
상기와 같은 반응에 의해 오존이 생성된 오존수는 식약청 오존농도 기준인 1ppm 이하가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오존 공급장치로 무성방전관(CZ-OG, Chamjeon Co.)을 이용한다. 오존 공급장치 작동을 위해 입력전압 DC 100V의 고압 트랜스 전달하고 변압기를 이용하여 DC 16,000V를 생성한다.
오존 발생된 오존수는 도 4에 도시된 기존의 막대기형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샴푸 장치에 적용하는 히터(230')는 급수탱크(210) 내에 설치되며 상단에 온도조절손잡이(231), 고무 패킹(232), 걸림용 고리(233)와 온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온도제어 컨트롤부(234), 전원등(235)이 장착된 상부 부분과, 니크롬선으로 구성된 하부 발열부(2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열부(236)의 니크롬선은 W자 모양과 같이 상하로 여러번 구부려 물을 가열할 때 물과의 접촉면을 늘려 신속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세면대(100)는 물 튀김, 물 넘침을 방지하는 턱이 형성되며, 상기 턱은 일측에 두 개의 돌출부(110a, 110b)가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돌출부(110a, 110b) 사이에 사용자의 목을 놓아 사용자의 머리를 고정한다.
더불어, 세면대(100)는 하부에 원통형으로 돌출된 머리 받침부(12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친다.
도 3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머리 받침부(120)는 원통형으로 머리와 맞닿는 부분이 평평하였지만, 다른 예에서는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가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면을 늘려 편안함을 주고 오목하게 들어간 중심부에 배수구를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한 물을 배수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중앙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즉 원뿔의 윗부분을 자른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 머리와 접촉 면적을 줄여 사용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세면대(100)는, 사용자의 머리가 세면대(100)안으로 들어오며, 목받이 부분의 높이가 목받이 부분 외의 테두리보다 높게 설계되어 물 튀김을 방지하고, 머리 받침부(120)에 머리를 받침으로써 편안한 사용감을 주는 인체공학적 구조를 제공한다.
본체부(100) 외부에는 세면, 샴푸를 하기위한 물을 제공하는 호스(300)가 설치되며, 호스(300) 말단에는 물 분사를 위한 샤워헤드(310)가 형성된다. 세면대(100)에는 샤워헤드(310)를 고정하기 위한 샤위헤드 고정부가 형성되는 데, 이는 나사,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반영구적이거나 또 다른 예에서는 세면대(100)와 분리할 수 있다. 샤워헤드(310)는 미세분사 샤워헤드를 사용하여 적은 물로도 강한 수압을 제공한다.
호스(300)는 본체부(100)의 내부의 급수탱크(210), 순환모터(240)와 연결되어, 본체부(100) 외부로 오존화된 온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순환모터(240)는 샴푸장치 전원이 ON되면 자동 구동되며, 호스(300)를 지나 샤워헤드(310)로 공급된 물은 샤워헤드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개폐 장치에 의해 공급되거나 공급 중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순환모터(240)는 제어부(270)와 연결되며, 입력부(271)에 물 공급을 ON/OFF 하는 버튼을 더 포함하여, 물 공급 ON이 입력되면 순환모터(240)를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세면대(100)는 본체부(200)와 분리되어 개별 세척 가능에 따라 청결하고, 별도 보수 및 AS가 가능하다.
도 1,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면대(100)와 본체부(200)는 조립 시 미끄러짐 없이 결합되는데, 이는 세면대(100)와 본체부(200)의 결합은 결합 단면이 서로 일치하게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결합되게 하거나, 한 면에 자성을 띄게 하고 다른 면에 반대 자성을 띄게 하거나, 한 면에 자성을 띄게하고 다른 면에 강자상체(ferromagnetic : 자석과 끌어당기는 성질이 강한 물질, 철, 니켈 등)를 붙여 자기적 결합을 이루거나, 또 다른 예에서는 매미고리를 장착하여 세면대(100)와 본체부(200)를 고정하며 상판부와 본체부는 본딩처리를 통해 누수를 방지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본체부(200) 내부장치에 아크릴 투명창을 추가하여 폐수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부(200) 상부는 가장자리 턱을 세워 폐수장치 조립 시 미끄러짐이 없도록 한다.
정격 전압을 유지하는 히터를 사용하여, 이미 가열된 온수를 목표 온도까지 증가시킨 다음 목표 온도로 유지하거나, 목표 온도 도달 후 기준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어부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온도를 30도로 하고, 목표 온도를 38도로 설정하여, 온수를 사용하는 동안은 목표 온도인 38도 유지를 수행하고, 세안 및 샴푸가 완료되어 온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기준온도인 30도를 유지하게 하여, 이후 재가열에 따른 가열 대기 시간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세면대
200 : 본체부
210 : 급수탱크
220 : 히터
230 : 오존발생부
240 : 순환모터
250 : 폐수탱크
260 : 온도센서
270 : 제어부

Claims (4)

  1.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형성되어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샴푸 또는 세면이 이루어지는 세면부;
    상기 세면부는 사용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폐수를 수집하는 폐수탱크;
    상기 세면부에 공급할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부착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부;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부착되어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위치하며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부;
    설정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수온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샴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는 물 튀김, 물 넘침을 방지하는 턱이 형성되며,
    상기 턱은 일측에 두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사용자의 목을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샴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는 하부에 원통형으로 돌출된 머리 받침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샴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ON/OFF, 온도 설정, 오존 소독 ON/OFF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수온과 상기 입력부에서 설정한 온도 값을 비교하며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샴푸 장치
KR1020180106948A 2018-09-07 2018-09-07 이동식 샴푸 장치 KR20200028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48A KR20200028633A (ko) 2018-09-07 2018-09-07 이동식 샴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48A KR20200028633A (ko) 2018-09-07 2018-09-07 이동식 샴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633A true KR20200028633A (ko) 2020-03-17

Family

ID=7000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948A KR20200028633A (ko) 2018-09-07 2018-09-07 이동식 샴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86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32060A1 (it) * 2021-12-22 2022-03-22 Rocco Lagano S R L Lavabo disinfettante portat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675B1 (ko) 2001-12-05 2004-02-21 김덕성 이동식 세면대
KR200448786Y1 (ko) 2008-03-27 2010-05-18 김홍만 이동식 세면장치
KR101404474B1 (ko) 2012-03-12 2014-06-10 금호테크 주식회사 이동식 세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675B1 (ko) 2001-12-05 2004-02-21 김덕성 이동식 세면대
KR200448786Y1 (ko) 2008-03-27 2010-05-18 김홍만 이동식 세면장치
KR101404474B1 (ko) 2012-03-12 2014-06-10 금호테크 주식회사 이동식 세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32060A1 (it) * 2021-12-22 2022-03-22 Rocco Lagano S R L Lavabo disinfettante portatile
EP4201895A1 (en) * 2021-12-22 2023-06-28 Rocco Lagano S.r.l. Portable disinfectant washbas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10268A1 (en) Disinfecting Device Having a Power Supply and a Fluid Outlet
JP4072110B2 (ja) 殺菌装置
KR20200028633A (ko) 이동식 샴푸 장치
KR102106913B1 (ko) 배수구용 플라즈마 살균 장치
CN203841949U (zh) 一种单片机控制电磁加热医用护理洗头车
CN206486315U (zh) 一种紫外线杀菌消毒设备
CN212369327U (zh) 口罩专用消毒柜
KR102525449B1 (ko)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
CN213721695U (zh) 一种杀菌消毒马桶盖及马桶
KR20180134594A (ko) 자외선을 이용한 자동 살균 쿠션 콤팩트 케이스
CN112043843A (zh) 一种消毒供应室用自动洗涤消毒装置
CN213190755U (zh) 一种医用护理洗头车
CN206867168U (zh) 一种自动启停臭氧洗浴护理设备
CN213837872U (zh) 一种隔离医院用的模块化洗漱方舱
CN213964430U (zh) 一种妇科护理用消毒架
CN216317128U (zh) 带童锁功能的触摸按钮饮水设备
CN210158532U (zh) 一种老年护理清洁用多功能椅子
CN213897331U (zh) 一种可扫码付费使用的洗手池
CN215181470U (zh) 一种杀菌智能水杯的控制电路
KR20040106939A (ko)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CN213897353U (zh) 一种具有手机杀菌装置的洗手池
CN209611600U (zh) 一种清洗设备
CN213865484U (zh) 一种污水处理池快速杀菌装置
CN211214673U (zh) 多功能智能化卫生健康保洁清洗装置
KR20140000817U (ko) 초음파진동자를 이용한 치아 세정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