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939A -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939A
KR20040106939A KR1020030036244A KR20030036244A KR20040106939A KR 20040106939 A KR20040106939 A KR 20040106939A KR 1020030036244 A KR1020030036244 A KR 1020030036244A KR 20030036244 A KR20030036244 A KR 20030036244A KR 20040106939 A KR20040106939 A KR 20040106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water
supplying
ozon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9757B1 (ko
Inventor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양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동 filed Critical 양원동
Priority to KR10-2003-003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757B1/ko
Publication of KR2004010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05Microfluid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4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for obtaining ultra-pur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오존과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세정수를 이용하여 의사 및 식품관련 종사자 또는 병원의 환자들이 보다 깨끗하게 손을 세척·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일반 수도물을 중공사와 DI필터를 거쳐 정수하여 순수한 물로 만들고, 상기 정수된 물에 오존과 프리라디칼을 혼입하여 살균된 세정수로 만든 후, 상기 세정수를 손을 씻기에 적절한 온도로 전기히터를 이용해서 가열한 다음, 사용자가 급수구 근처에 손을 접근시키면 적외선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일정시간동안 자동으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오존과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이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정수·살균된 세정수를 적정한 온도로 가열한 후,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시간동안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를 이용하는 의사나 환자 혹은 식품관련 종사자들이 강력한 살균효과를 가진 세정수를 낭비함이 없이 쾌적하고 편리하게 손을 씻을 수 있다.
이 장치는 특히 의사들이나 식품관련 종사자들처럼 수시로 손을 씻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해야만 하는 사람들에게 대단히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환자들과 같이 장치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다중의 사람들이 이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들이 장치의 사용 미숙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세정수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 An antiseptic solution contained ozone and free-radical in water saving type }
본원발명은 병원에 종사하는 의사 혹은 간호원들이나 환자, 그리고 요식업계에 종사하는 요식업종사자, 기타 연구실, 실험실 등의 크린룸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같이 자주 손을 세척하거나 항상 청결을 유지해야만 하는 사람들이 손을 씻을 경우 적정한 온도의 세정수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만큼 자동으로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이온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 혹은 요식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처럼 항상 청결을 유지해야만 하는 사람들은 습관적 혹은 의무적으로 하루에도 수십 회 이상 손을 세척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병원에 종사하는 의사의 경우, 언제나 치료나 진료를 위해 수없이 많은 환자들을 반복해서 접촉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은 불원중에 전염병원의 이동 통로로서 악역을 담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의사들은 일단 한 명의 환자를 대하고 나서는 의사 자신은 물론이거니와 다음 환자를 위해서도 의무적으로 손을 씻는 것이 습관화되어 있다
또한 최근의 대형 병원 등의 진료실을 보면 항상 진료를 받기 위한 환자들로붐비고 있다. 그 이유는 한 사람의 의사에게 진료를 받아야 할 환자와 수가 지나치게 많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환자 한 사람이 약 2-3분 정도의 진료를 받기 위해 최소한 반나절 이상을 기다리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바로 이때 의사들은 환자가 바뀔 때마다 손을 씻게 되는 바, 이에 소비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면 진료의 능률은 훨씬 높아질 수 있다.
특히 환자를 바꾸어 진료할 적마다 반복적으로 손을 씻어야만 하는 의사가 밀려드는 환자에 밀려서 시간에 쫓길 경우, 자칫하면 손을 청결히 하는 일에 소홀해 지기 쉬우며, 이때 잘못하면 의사나 환자들의 위생에 치명적인 상황이 조성될 수 있다. 특히 요즘의 사스바이러스와 같이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전염성이 높은 병이 유행할 경우 더욱 그러하다. 또한 언제나 전염성이 강한 환자를 접촉해야만 하는 안과나 피부과, 그리고 내과 의사들의 경우 그 위험성은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이들이 손을 씻는데 필요한 절차를 간소화하는 것은 물론 간단한 손세척 절차에 의해서도 위생상태가 훼손되지 않고 철저히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여기에서 의사가 일반적으로 손을 씻는 과정을 살펴보면 수도의 손잡이를 틀어 냉수와 온수의 양을 조절하여 적절한 온도로 맞추고 난 후, 물로 간단히 손을 씻고 나서, 비누를 칠한 다음, 다시 손을 깨끗이 세척하고 그 다음 수도를 잠그고 수건으로 손을 닦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복잡한 단계를 거쳐 손을 씻는 과정은 그 절차가 번거롭기 때문에 바쁠 경우 이를 대충 해 버리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수돗물을 사용하는 냉수의 경우 수돗물 자체가 완전한 세정수로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특히 보일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온수의 경우 그 위생상태를 장담하기가 더욱 어렵다. 더구나 손을 닦기 전에 물을 틀기 위해 만진 수도꼭지의 손잡이는 손을 닦고 나서 이를 잠그는 동안에 다시 세척한 손을 다시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비누를 칠하거나 더운물을 틀어 놓고 수돗물의 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맞추는 동안에 낭비되는 물의 양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또 손을 세척하고 난 후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면수건을 사용하거나 일회용 종이수건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면수건의 경우 반복 사용에 의한 수분의 누적으로 수건 자체가 세균의 온상이 됨에 따라 청결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고, 일회용 종이수건의 경우 소비되는 종이의 양이 많아 자원의 낭비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현재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 살균수를 공급하는 장치라던가 자동으로 물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 혹은 히터에 의해 손을 건조시키는 드라이어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는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장치들은 상기 문제점들을 부분적으로 해결하고 있을 뿐, 이를 통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단계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수요자들은 이를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여야만 하므로 구입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여러 종류의 장치를 중복하여 설치하게 됨에 따라 설치공간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첫째, 정수되고 살균된 세정수를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여 공급함으로서 세정수의 쾌적성과 청결성을 동시에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원발명에서는 근래 오존과 함께 강력한 살균성능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어 새로이 각광을 받고 있는 프리라디칼을 채택하여 살균력을 더욱 보강함으로서 청결 성능을 한층 더 높이도록 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쾌적하고 청결한 세정수가 센서에 의해 필요한 시간동안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를 손으로 직접 조작함에 따라 세척된 손이 2차적으로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세정수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상기와 같은 모든 과정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자동화되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손을 세척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을 대폭 절감함으로서 업무의 능률을 높임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손 세척에 이은 건조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 자동화함으로서 면수건의 사용에 비해 손을 건조하는 과정에서의 보다 확실하게 위생을 확보하는 한편, 일회용 종이수건에 비해서는 자원의 낭비를 예방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세정수 공급장치의 사용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세정수 공급장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세정수 공급장치(도2)의 블록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드라이어가 추가된 상태도이다.
도6은 드라이어가 추가된 본원발명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정수 공급장치 20 : 급수부
30 : 물비누 공급부 40 : 세면대
50 : 배수관 60 : 입수관
110 : 정수기 120 : 저장고
130 : 에어펌프 131 : 오존 발생기
132 : 프리라디칼발생기 140 : 개폐밸브
150 : 전열부 151 : 히터부
152 : 세정수온도감지센서 160 : 제1(급수용)적외선센서
170 : 릴레이부 171 : 제1릴레이
172 : 제2릴레이 173 : 마이콤
174 : 메모리 175 : 비교부
180 : 전원부 181 : PCB
182 : 제어전원부 183 : 상용전원부
190 : 외함
191 : 비누공급부 191a : 비누저장고
191b : 버튼 191c : 비누토출구
800 : 드라이어부 810 : 제2(드라이어용)적외선센서
820 : 전열선(히터) 830 : 팬
840 : 망사 850 : 에어덕트
860 : 제3(드라이어용)릴레이
본원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발명의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10)가 적용되는 사용환경 및 전체적인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도1과 같다.
먼저 세정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의 벽면 상단의 일정한 높이에 본원발명의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10)가 고정 부착되고 그 하단의 벽면에 세면대(40)가 고정 부착된다.
세정수 공급장치(10)의 후부에는 수도관으로부터 세정수 공급장치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입수관(60)이 연결되어 있어 세정수 공급장치로 수돗물을 공급한다. 입수된 물은 본원발명에 의한 세정수 공급장치 내에서 정수·살균·가온 처리된다.
세정수 공급장치(10)의 하단에는 사용전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급수부(20)와 비눗물을 공급하는 물비누 공급부(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정수·살균·가온 처리된 세정수와 물비누가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세정수 공급장치의 측부에는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수 공급장치(10)의 하단 벽면에 고장 부착된 세면대(40)의 하부에는 손을 세척하고 난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50)이 연결되어 있어 이를 통해 사용한 세정수를 배출하게 된다.
본원발명은 상기한 구성 중 세정수 공급장치(10)와 이에 부속되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일련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키 위한 본원발명의 구성은 도2에서와 같이,
입수관(60)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정수하기 위한 정수기(110)와;
상기 정수기(110)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된 물을 일단 저장하는 저장고(120)와;
상기 저장고(120)에 저장된 물에 공급될 살균용 오존을 발생하는오존발생기(131)와;
상기 저장고(120)에 저장된 물에 공급될 살균용 프리라디칼을 발생하는 프리라디칼발생기(132)와;
상기 오존발생기(131) 및 프리라디칼발생기(132)로부터 발생된 오존 및 프리라디칼을 에어형태로 저장고(120)에 저장된 정수에 공급·혼입시켜 세정수로 만드는 에어펌프(130)와;
사용자가 손을 씻기 위해 급수부(20) 근처에 손을 접근시키면 이를 감지하여 급수밸브를 개폐시킴과 동시에 히터를 가동시키기 위한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제1(급수용)적외선센서(160)와;
상기 제1적외선센서(160)로부터 신체(손)의 접근을 감지한 신호가 전달되어 오면 손을 씻는데 필요한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해 급수밸브를 여는 한편, 상기 급수를 가온하기 위한 히터 가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부(170)와;
상기 릴레이의 동작에 따라 전원이 공급·차단되면 세정수를 공급·차단하는 개폐밸브(140)와;
상기 릴레이부나 급수온도센서의 동작에 따라 전원이 공급·차단되면 히터를 가동하여 급수를 적정온도까지 가온하는 전열부(150)와;
상기 전열부(150)를 통과한 세정수를 세면대(40) 측으로 공급하여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하는 급수부(20)와;
외부로부터 AC 220V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히터 전열부(150)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거나, 상용전원을 장치의 제어에 사용되는 DC전원으로 변압·정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180)와;
상기 세정수의 공급과는 별개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저장하였다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일정량의 물비누를 공급하는 비누공급부(191)와;
상기 장치를 고정·지지하는 외함(19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열부(150)는 세정수의 온도를 상시 체크하여 세정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히터의 동작을 차단하는 세정수 온도감시센서(152)와; 상기 세정수 온도감지센서(152)의 제어를 받아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15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180)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전자 부품이 거치된 PCB(181)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상용전원을 변압·정류하여 제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전원부(182)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릴레이접점을 타고 직접 장치로 공급하는 상용전원부(183)와; 각종 센서의 검지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릴레이부(170)로 구성된다.
상기 릴레이부(170)는 적외선센서(160)에 의해 신체(손)의 접근이 감지되면 급수밸브(140)를 동작시키거나 전열부(150)를 동작시키는 제1릴레이(171)와; 세정수 온도감지센서(152)에 의해 세정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를 초과하거나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이에 따라 히터의 동작을 가동 혹은 중지시키는 제2릴레이(172)로구성된다.
상기 비누공급부(191)은 물비누를 저장하는 비누저장고(191a)와; 상기 비누를 공급·차단하기 버튼(191b)과; 상기 비누를 공급하기 위한 비누토출구(191c)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의 동작과정을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수관(60)을 통해 입수된 수돗물은 정수기(110)를 통해 정수된 후, 저장고(120)에 저장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정수용 필터는 정해진 것은 없으나 이미 시중에 나와 있는 정수기 필터 중 의료용으로 적합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저장고(120)의 용량은 정수의 빠른 순환으로 저장고의 위생상태를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2-3회 사용 분량을 저장할 크기이면 충분하다. 하지만 단수 등의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그 이상의 용량으로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저장된 정수의 상태를 보다 확실히 확보하기 위해 자외선 램프(미도시)를 설치하는 등의 추가적인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
저장고(120)에 정수가 저장된 상태는 의료용으로 적합할 정도로 멸균(살균)된 상태는 아니다. 따라서 이를 의료용에 적합하게 살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오존발생기(131)에서 발생된 오존과 프리라디칼발생기(132)에서 발생된 라티컬을 에어펌프(130)를 이용해 저장고(120)에 저장된 정수에 공급한다. 에어펌프(130)를 통해 에어형태로 저장고(120)로 공급된 오존 및 프리라디칼은 기포형태로 떠오르면서 저장고(120)에 저장된 정수에 자연스럽게 흡수되며, 아울러 정수에 잔존하는 유해한 균을 살균하다. 이 상태가 되면 저장고(120)에 있는 정수는 의료용 세정수로 바뀌게 되어 사용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본원발명의 특징적인 살균재로서 채택한 오존과 프리라디칼의 살균효능에 대해 부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존은 교류의 양극에 고전압(6,000~18,000V)을 가하고 반대의 전극사이에 유리와 세라믹과 같은 유전체를 넣고 이 방전 공간에 공기 또는 산소를 주입하여 추출하는 것이고,
프리라디칼은 한계 PH값 위에서 유기물과 반응하기에 앞서 간접반응하는 오존의 특성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으로서,
오존 및 프리라디칼은 강력한 살균, 탈취, 독성 분해 등과 같은 뚜렷한 효능을 가지고 있으나 이와 아울러 이들은 인체에 유해한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과거에는 주로 산업폐기물이나 폐수의 처리 등과 같은 산업용 공업분야에 국한하여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오존 및 프리라디칼의 효능이 각종 상처의 치료나 염증의 완화 혹은 치과 등에서 치주질환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이들을 의료용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다각도로 강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물의 소독(살균)에 주로 사용하는 염소에 비해 프리라디칼은 7배 이상의 강력한 살균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많은 유해 박테리아를 수초내에 사멸시키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본원발명은 이러한 오존 및 프리라디칼을 세정수 및 건조기(드라이어)의 살균효능을 증대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유력한 방안의 하나로 추진되어진 것이다.
즉 오존 및 프리라디칼의 채택은 본원발명이 추진하는 여러 가지의 주요과제 중 하나가 되고 있으며, 이들을 살균재로 채택하는 것은 본원발명의 작용효과를 높이는데 일조를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세정수가 완성되어 대기중인 상태에서 손을 세척하기 위한 사람이 세정수 공급장치(10)의 하단에 위치한 샤워기 모양의 급수관(20) 아래에 손을 들이밀면 상기 외함(190) 하단의 급수관(20) 측부에 설치된 제1적외선센서(160)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1릴레이(171) 및 전열부(150)의 제2릴레이(172)에 알린다. 이 감지신호에 의해 릴레이(171, 172)가 동작하면 개폐밸브(140)가 열리고 히터가 작동한다. 상기 개폐밸브(140)가 열림과 동시에 세정수가 공급되며 이 세정수는 전열부(150) 내에 코일형태로 설치된 급수관로(210)를 따라 이동하면서 히터부(151)에 의해 가열되어 급수관(20)을 통해 세면대(40)로 공급된다.
이때 급수관로(210)를 따라 통과하는 세정수의 온도는 세정수 온도검지센서(152)에 의해 검지되며 이 온도는 마이컴(173)으로 전달되어 메모리(174)에 미리 설정·저장되어 있는 기준온도와 비교부(175)에 의해 비교되어 기준온도를 초과하거나 미달될 경우 히터부(151)를 가열하거나 가열 중인 히터부(15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기준온도는 제품의 제작 당시 계절, 일반적인 사용상황 등에 맞추어 기본값으로 제작자가 세팅시키게 되며, 사용중에는 마이컴(173)의 타임체크 기능에 의해 연월일이 체크되면서 계절이나 사용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기준온도가 변경되게 된다. 그러나 사용도중 사용자가 필요로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조작부(70)에 설치된 리셋버튼(미도시)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제작사에서 기본값으로 설정한 기준온도를 변경·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리셋과정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사항이므로 여기에서는 동작과정 중의 한 단계로서 취급될 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사용자는 세정수 공급장치(10)의 우측 하단에 설치된 비누공급부(191)의 조작버튼(191b)을 눌러 비누저장고(191a)에 저장되어 있는 비누를 비누토출구(191c)공급받아 손을 청결히 세척한다. 이때 손이 제1적외선센서(160)에서 멀어지게 되므로 히터부(151)의 동작이 멈추고 세정수를 공급하던 개폐밸브(140)가 닫히면서 세정수의 공급은 차단된다.
사용자가 비누를 다 칠하고 나서 다시 급수구(50)에 손을 대면 상기와 같은동일한 과정을 거쳐 세정수가 급수구(50)를 통해 세면대(40)로 공급되며 사용자는 계속해서 손을 닦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손을 다 닦고 난 후, 급수구(50)로부터 이동하면 제1적외선센서(160)는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히터부(151)의 동작이 멈추고 세정수를 공급하던 개폐밸브(140)가 닫히면서 세정수의 공급은 차단되며 세정수 공급장치는 대기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도5 및 도7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원발명의 세정수 공급장치에 오존과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살균 에어드라이어 기능을 추가로 부여한 것이다. 이는 세정수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손을 세척한 후 손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에어 드라이어에 오존과 프리라디칼 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오존과 프리라디칼을 함유시킴으로서 손의 건조과정에서도 완전한 살균력을 갖추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5는 살균 에어드라이어가 추가로 구비된 세정수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6은 살균 에어드라이어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추가된 살균 에어드라이어는 본원발명의 세정수 공급장치의 오존 및 프리라디칼발생기를 공유하며 시차를 두고 이를 번갈아 가며 사용하게 된다. 즉 1인용일 경우 두 개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지는 않기 때문에 이를 공유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만약 다중이 사용하는 장소에서 세정수 공급장치와 에어드라이어를 분리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살균용 에어드라이어를 분리형으로 설계 제작한 후 전원만을 공유하여 두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는 살균용 에어드라이어가 세정수 공급장치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벽면에 부착·설치되게 된다.
상기 추가로 구성된 살균용 에어드라이어의 구성은,
세정수 공급장치와 공유하는 에어펌프(130), 오존발생기(131), 프리라디칼발생기(132)와;
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2적외선감지센서(810)와;
에어를 가열하기 위한 전열선(히터)(820)과;
상기 가열된 에어를 하단에 설치된 에어덕트(850)로 송출하기 위한 팬(830)과;
상기 제2적외선감지센서(810)의 신호를 받아 동작하면서 상기 팬(830), 히터(820), 에어펌프(30), 오존발생기(131), 프리라디칼발생기(132)를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3릴레이(860)로 ;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전원은 세정수 공급장치와 공유하는 것임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제3릴레이(860)는 세정수 공급장치의 회로기판(181)에 같이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다. 만일 살균 에어드라이어를 분리하여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세정수 공급장치와 공유되고 있는 상기 에어펌프(130), 오존발생기(131), 프리라디칼발생기(132)를 추가로 구성할 필요가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살균 에어드라이어의 동작과정을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세정수 공급장치에서 손을 닦고 난 후, 물기가 있는 손을 에어덕트(850)의 하단에 접근시키면 에어덕트(850)의 측면에 부착된 제2적외선센서(810)가 이를 감지한다. 상기 제2적외선센서(810)가 손의 접근을 감지하면 제3릴레이(860)가 동작하여 상기 팬(830), 히터(820), 에어펌프(130), 오존발생기(131), 프리라디칼발생기(132)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여 이들을 동작시킨다. 이때 오존발생기(131)과 프리라디칼발생기(132)에서 발생된 오존 및 프리라디칼은 에어펌프(130)에 의해 이송되어 에어덕트(850)로 이송되어 히터(820)에 의해 가열된 에어에 혼합되면서 건조과정에 있는 손의 살균을 도우므로서 살균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에어드라이어와 세정수 공급장치는 시차를 두고 동작하게 되므로 작동 중에 상호 충돌은 없게 되며, 에어드라이어와 세정수공급장치에 공용되는 에어펌프(130), 오존발생기(131), 프리라디칼발생기(132)는 전자 회로적으로 병렬 연결하여 어느 하나의 회로만 성립되어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과정을 갖는 본원발명에 의하면
오존과 함께 살균성능이 있는 것으로 새롭게 인정되어 각광을 받고 있는 프리라디칼을 채택하여 세정수의 살균력을 보강함으로서 청결성능을 더욱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정수되고 살균된 세정수를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여 공급함으로서 세정수를 사용하는데 쾌적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쾌적하고 청결한 세정수가 센서에 필요한 시간동안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를 손으로 직접 조작함에 따라 세척된 손이 2차적으로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세정수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모든 과정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자동화되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손을 세척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을 대폭 절감함으로서 업무의 능률을 높임과 함께 대고객 서비스를 크게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 환자들과 같이 장치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여러 사람들이 사용할 경우에는 장치의 사용상 미숙함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세정수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정수 공급장치에서 손을 닦고 난 후, 물기가 있는 손을 에어드라이어로 건조시키는 과정에서도 추가로 손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살균효과를 배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입수관(60)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정수하기 위한 정수기(110)와;
    상기 정수기(110)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된 물을 일단 저장하는 저장고(120)와;
    상기 저장고(120)에 저장된 물에 공급될 살균용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131)와;
    상기 저장고(120)에 저장된 물에 공급될 살균용 프리라디칼을 발생하는 프리라디칼발생기(132)와;
    상기 오존발생기(131) 및 프리라디칼발생기(132)로부터 발생된 오존 및 프리라디칼을 에어형태로 저장고(120)에 저장된 정수에 공급하여 세정수로 만드는 에어펌프(130)와;
    사용자가 손을 씻기 위해 급수부(20) 근처로 손을 접근시키면 이를 감지하여 급수밸브를 개폐시킴과 동시에 히터를 가동시키기 위한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제1적외선센서(160)와;
    상기 제1적외선센서(160)로부터 신체(손)의 접근을 감지한 신호가 전달되어 오면 손을 씻는데 필요한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해 급수밸브를 여는 한편 상기 급수를 가온하기 위한 히터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부(170)와;
    상기 릴레이의 동작에 따라 전원이 공급·차단되면 세정수를 공급·차단하는 개폐밸브(140)와;
    상기 릴레이나 급수온도센서의 동작에 따라 전원이 공급·차단되면 히터를 가동하여 급수를 적정온도까지 가온하는 전열부(150)와;
    상기 전열부(150)를 통과한 세정수를 세면대(40) 측으로 공급하여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하는 급수부(20)와;
    외부로부터 AC 220V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히터 전열부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거나, 상용전원을 장치의 제어에 사용되는 DC전원으로 변압·정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180)와;
    상기 세정수의 공급과는 별개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저장하였다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일정량의 물비누를 공급하는 비누공급부(191)와;
    상기 장치를 고정·지지하는 외함(19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150)는 세정수의 온도를 상시 체크하여 세정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히터의 동작을 차단하는 세정수 온도감시센서(152)와; 상기 세정수 온도감지센서(152)의 제어를 받아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15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80)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전자 부품이 거치된 PCB(181)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상용전원을 변압·정류하여 제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전원부(182)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릴레이접점을 타고 직접 장치로 공급하는 상용전원부(183)와; 각종 센서의 검지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릴레이부(1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170)는 적외선센서(160)에 의해 신체(손)의 접근이 감지되면 급수밸브를 동작시키거나 전열부를 동작시키는 제1릴레이(171)와; 세정수 온도감지센서(152)에 의해 세정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를 초과하거나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이에 따라 히터의 동작을 가동 혹은 중지시키는 제2릴레이(17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공급부(191)은 물비누를 저장하는 비누저장고(191a)와; 상기 비누를 공급·차단하기 버튼(191b)과; 상기 비누를 공급하기 위한 비누토출구(191c)로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장치에 오존과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살균 에어드라이어부를 추가로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에어드라이어부는 세정수 공급장치와 공유하는 에어펌프(130), 오존발생기(131), 프리라디칼발생기(132); 외에 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2적외선 감지센서(810)와; 에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820)와, 상기 가열된 에어를 하단에 설치된 에어덕트로 송출하기 위한 팬(830)과; 상기 제2적외선 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동작하면서 상기 팬(830), 히터(820), 에어펌프(130), 오존발생기(131), 프리라디칼발생기(132)를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3릴레이(860)를 ; 추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KR10-2003-0036244A 2003-06-05 2003-06-05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KR100479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244A KR100479757B1 (ko) 2003-06-05 2003-06-05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244A KR100479757B1 (ko) 2003-06-05 2003-06-05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939A true KR20040106939A (ko) 2004-12-20
KR100479757B1 KR100479757B1 (ko) 2005-04-06

Family

ID=3738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244A KR100479757B1 (ko) 2003-06-05 2003-06-05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7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727B1 (ko) * 2006-06-05 2007-07-24 주식회사 한손하이젠 패용 손 소독 타이밍 인디케이터
CN100513925C (zh) * 2006-07-13 2009-07-15 文炜 感应、遥控式太阳能净化热水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727B1 (ko) * 2006-06-05 2007-07-24 주식회사 한손하이젠 패용 손 소독 타이밍 인디케이터
CN100513925C (zh) * 2006-07-13 2009-07-15 文炜 感应、遥控式太阳能净化热水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9757B1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030B1 (ko) 배설물 처리장치
KR100522571B1 (ko) 자동 손 살균 소독 장치
KR100955105B1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US68723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ozone as disinfectant
JP4072110B2 (ja) 殺菌装置
CN211027249U (zh) 一种方便使用的清洗消毒器
KR100479757B1 (ko)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CN213030561U (zh) 一种手术室护师用消毒清洁装置
KR200325952Y1 (ko) 오존 및 프리라디칼이 함유된 절수형 세정수 공급장치
KR20040010482A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20090053003A (ko) 초음파를 이용한 손 세척(살균)장치
KR20050006518A (ko) 세척 및 살균, 건조가 가능한 핸드 크리닝 장치
CN212078799U (zh) 自动消毒净化的独立卫生间
KR20050081192A (ko) 욕탕물의 가열 및 정화장치.
CN211634493U (zh) 一种手术室护理人员全方位消毒装置
CN113262317A (zh) 一种医院公共区域传染病防治消杀方法
CN219539232U (zh) 一种手部消毒用自动消毒设备
KR102450262B1 (ko) 살균수에 의한 세정 및 정화풍에 의한 건조가 가능한 수전
KR20090107104A (ko) 치과용 바 세척 및 살균기
KR200333379Y1 (ko) 세척 및 살균, 건조가 가능한 핸드 크리닝 장치
JPH09234238A (ja) 電解消毒装置
KR101018887B1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KR20200028633A (ko) 이동식 샴푸 장치
CN212477948U (zh) 一种杀菌消毒洗手盆系统
CN216456510U (zh) 消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