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038B1 - 이동식 샤워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샤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038B1
KR102569038B1 KR1020230056291A KR20230056291A KR102569038B1 KR 102569038 B1 KR102569038 B1 KR 102569038B1 KR 1020230056291 A KR1020230056291 A KR 1020230056291A KR 20230056291 A KR20230056291 A KR 20230056291A KR 102569038 B1 KR102569038 B1 KR 102569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accommodating
bucket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진
Original Assignee
김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진 filed Critical 김민진
Priority to KR1020230056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8Independent, movable shower units operated by weight, by hand or by foot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이동식 샤워 장치로서, 물을 외측으로 유출시킴과 동시에 유출되는 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샤워헤드 모듈; 및 상기 샤워헤드 모듈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샤워헤드 모듈을 통해 흡입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샤워 장치{PORTABLE SHOWER UNI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동식 샤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를 감기 위해서는 배수 시설 및 샤워 시설이 마련된 욕실이나 화장실로 이동해야만 하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장애인이 머리를 감고자 하는 경우 이동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 머리를 감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즉, 노약자, 장애인에게는 신체적 제약, 거동 문제 등으로 샤워 자체가 어려운 작업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욕실이나 화장실의 출입구의 단차가 높거나 지지대가 없는 경우 거동이 불편한 관계상 샤워 시설로 이동 자체가 어렵고, 샤워 시설 바닥이 미끄러워 넘어져 다칠 수 있는 위험도 있다.
일부 노약자나 장애인의 모발 청결을 위해 누군가의 도움으로 머리를 감기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거동이 불편한 대상자를 배수 시설 및 샤워 시설이 마련된 장소로 이동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상기의 어려움에 대한 대안으로, 장애인 또는 노약자를 위한 휴대용 샤워기 또는 샤워 캐리어 등이 발명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97858호는 장애인, 노약자용 샤워캐리어로서, 캐리어 하단부에 삽입되는 저수통과, 상단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세면대, 수압을 상승시켜 저수통의 물이 상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가 부착된 샤워기를 구비한 샤워캐리어 본체; 상기 샤워캐리어에 용수의 배수를 위해 형성되는 배수구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9920호는, 휴대용 샤워기로서, 물을 공급받아 분사하는 샤워헤드, 상기 샤워헤드에 연결되고, 내부에 가열관을 구비한 호스, 상기 호스에 연결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에 장착되어 상기 가열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유니트, 상기 파이프에 연결되고 신축 재질로 이루어져 수전의 출수구에 연결되는 커넥터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발명들은, 용이하게 샤워시설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샤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나, 머리를 감기는 과정에서 물이 튀어 옷이 젖어버리거나 하방으로 물이 유출되어 배수시설이 마련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을 유출시킴과 동시에 유출된 물을 흡입함으로써 옷이 젖거나 하방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게 머리를 감거나 헹구도록 할 수 있고, 착탈 가능한 수용버킷을 마련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된 물을 용이하게 폐수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안전을 위해 장치가 지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자동으로 작동을 정지시키고, 저장되는 폐수의 만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여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식 샤워 장치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7858호(2017.08.2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9920호(2016.06.17)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휴대용 샤워기의 문제점을 개선한 이동식 샤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을 유출시킴과 동시에 유출된 물을 흡입함으로써 옷이 젖거나 하방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게 머리를 감거나 헹구도록 할 수 있는 이동식 샤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착탈 가능한 수용버킷을 마련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된 물을 용이하게 폐수로 저장시킬 수 있는 이동식 샤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안전을 위해 장치가 지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자동으로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이동식 샤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저장되는 폐수의 만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여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샤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샤워 장치는, 물을 외측으로 유출시킴과 동시에 유출되는 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샤워헤드 모듈; 및 상기 샤워헤드 모듈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샤워헤드 모듈을 통해 흡입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샤워헤드 모듈은, 상기 샤워헤드 모듈의 일 영역에 구비되고 물을 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냉온수 유출부; 상기 냉온수 유출부의 주변 영역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 유출부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폐수흡입부; 및 상기 냉온수 유출부의 주변 영역에 복수로 구비되고, 물이 유출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돌출 형성되는 지압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샤워헤드 모듈은, 상기 냉온수 유출부와 상기 본체 모듈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냉온수 유출부로 이동하는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출유로; 상기 폐수흡입부와 상기 본체 모듈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폐수흡입부로부터 상기 본체 모듈로 이동하는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흡입유로; 및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 모듈로부터 물을 펌핑하여 상기 냉온수 유출부로 물을 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급펌핑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 모듈은, 물 공급영역과 폐수 수용영역으로 2분할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버킷; 상기 수용버킷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용버킷의 개폐를 구현시키는 버킷커버; 및 상기 수용버킷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수용버킷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버킷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식 샤워 장치는, 상기 버킷수용부의 일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버킷수용부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수용버킷의 만수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만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물을 유출시킴과 동시에 유출된 물을 흡입함으로써 옷이 젖거나 하방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게 머리를 감거나 헹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착탈 가능한 수용버킷을 마련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된 물을 용이하게 폐수로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안전을 위해 장치가 지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자동으로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저장되는 폐수의 만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여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에서 수용버킷 및 버킷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를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에 구비되는 유출유로 및 흡입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수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10)에서 수용버킷(210) 및 버킷커버(22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10)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10)를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센서(4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100)에 구비되는 유출유로(170) 및 흡입유로(18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수센서(5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1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10)는, 물을 외측으로 유출시킴과 동시에 유출되는 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샤워헤드 모듈(100), 샤워헤드 모듈(100)에 물을 공급하고, 샤워헤드 모듈(100)을 통해 흡입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모듈(200) 및 본체 모듈(200) 내부에 수용되고, 샤워헤드 모듈(100)과 연결되어 샤워헤드 모듈(100)의 물에 대한 흡입을 구현시키도록 구성되는 흡입 터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100)은, 샤워헤드 모듈(100)의 일 영역에 구비되고 물을 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냉온수 유출부(120), 냉온수 유출부(120)의 주변 영역에 복수로 구비되고, 냉온수 유출부(120)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폐수흡입부(130) 및 냉온수 유출부(120)의 주변 영역에 복수로 구비되고, 물이 유출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돌출 형성되는 지압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지압돌출부(140)는, 각각 개별적으로 음파진동을 구현하는 별도의 음파진동 모듈(미도시)과 연동되어 음파진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압돌출부(140)가 두피에 접촉하는 경우, 모발의 세척과 함께 두피에 대한 마사지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100)은, 일단이 볼록하게 형성되되 전면 영역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냉온수 유출부(120), 폐수흡입부(130) 및 지압돌출부(140)가 구비될 수 있고, 타단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연결 호스와 연결되는 파지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유출부(120)는, 샤워헤드 모듈(100)의 일단의 평평한 전면 영역의 중앙에 단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유출부(120)에서 유출되는 물이 샤워헤드 모듈(100)의 평평한 전면 영역을 따라 넓게 확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흡입부(130)는, 샤워헤드 모듈(100)의 일단의 평평한 전면 영역의 중앙을 기준으로 겹겹이 환형을 이루도록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압돌출부(140)는, 샤워헤드 모듈(100)의 일단의 평평한 전면 영역의 중앙을 기준으로 겹겹이 환형을 이루도록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흡입부(130) 및 지압돌출부(140)는, 샤워헤드 모듈(100)의 평평한 전면 영역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호 겹겹이 교차하며 환형을 이루도록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100)의 평평한 전면 영역에는, 중앙에 단일의 냉온수 유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고, 중앙에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복수의 지압돌출부(140)와 복수의 폐수흡입부(130)가 교번하며 환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워헤드 모듈(100)이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두피)에 접촉할 시, 냉온수 유출부(120)에 유출되는 물이 사용자의 두피를 적시며 샤워헤드 모듈(100)의 전면 영역을 따라 확산함과 동시에 지압돌출부(140)와 충돌하여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고, 확산되는 물이 폐수흡입부(130)가 구비되는 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되어 흡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유출부(120)는, 폐수흡입부(130)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폐수흡입부(130)는, 냉온수유출부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되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유출부(120)에 의해 유출되는 물의 수압보다 폐수흡입부(130)에 의해 흡입되는 물의 수압이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온수 유출부(120)를 통해 유출되는 물의 용량을 폐수흡입부(130)에 의해 흡입되는 물의 용량으로 상호 동일하게 상쇄시킬 수 있고, 냉온수 유출부(120)를 통해 유출되는 물의 수압보다 폐수흡입구를 통한 흡입압이 다 강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냉온수 유출부(120)를 통해 유출되는 물이 샤워헤드 모듈(100)의 전면 영역 외측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용이하게 폐수흡입부(130)로 흡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압돌출부(140)는, 물이 유출되는 방향(즉, 전면 방향)으로 점차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일단 영역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신체에 가해지는 자극을 줄이고, 부드러운 촉감을 일으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100)은, 냉온수 유출부(120)와 본체 모듈(200) 사이를 연결하고, 냉온수 유출부(120)로 이동하는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출유로(170) 및 폐수흡입부(130)와 본체 모듈(200) 사이를 연결하고, 폐수흡입부(130)로부터 본체 모듈(200)로 이동하는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흡입유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출유로(170) 및 흡입유로(180)는, 샤워헤드 모듈(100)의 파지부(16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출유로(170)는, 본체 모듈(200)과 연결되어 공급펌핑스위치(110)에 의해 작동하는 냉/온수 펌핑에 의해 본체 모듈(200)에 수용된 물이 냉온수 유출부(120)로 이동할 시 물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유로(180)는, 본체 모듈(200)과 연결되어 흡입 터빈(300)의 작동에 따라 폐수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본체 모듈(200)로 이동하는 물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100)은, 내부에 2개의 유로가 형성되어 각각 유출유로(170) 및 흡입유로(180)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일의 샤워헤드 모듈(100)로 물 공급과 흡입을 동시에 구현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100)은, 조작에 따라 본체 모듈(200)로부터 물을 펌핑하여 냉온수 유출부(120)로 물을 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급펌핑스위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펌핑스위치(110)는, 샤워헤드 모듈(100)의 일 영역(예를 들어, 측면 영역)에 구비되고, 소정 압력이 가해지면 버튼 방식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샤워헤드 모듈(100)(또는, 본체 모듈(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펌프(미도시)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가압될 시 본체 모듈(200)(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버킷(210)의 냉온수 부분)에 수용된 물을 냉온수 유출부(120)로 유출시키도록 펌핑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펌핑스위치(110) 및 공급펌핑스위치(110)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펌프는, 분당 1600mL의 냉/온수를 냉온수 유출부(120)로 펌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100)은, 파지부(160)와 본체 모듈(2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호스(150)는, 샤워헤드 모듈(100)과 본체 모듈(200)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 역할을 수행하며, 유출유로(170) 및 흡입유로(180)를 수용하는 단일의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연결호스(150)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자바라 형상으로 연장 또는 단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연결호스(150)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자바라 형상으로 연장 또는 단축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연결호스(150) 내측에 구비되는 유출유로(170) 및 흡입유로(180)도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자바라 형상으로 연장 또는 단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200)은, 물 공급영역과 폐수 수용영역으로 2분할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버킷(210), 수용버킷(21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용버킷(210)의 개폐를 구현시키는 버킷커버(220) 및 수용버킷(2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 공간을 갖고, 수용버킷(2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버킷수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버킷(210)은, 수용공간이 2분할되어 일측에 냉온수 유출부(120)로 유출되는 냉온수가 수용되는 냉온수 수용공간(211) 및 타측에 폐수흡입부(130)로부터 흡입되는 물(즉, 폐수)가 수용 저장되는 폐수 수용공간(21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버킷(210)은, 수용공간을 분할시키는 차단플레이트에 의해 수용공간이 양분됨으로써, 일측에 냉온수 유출부(120)로 펌핑될 냉온수를 수용할 수 있고, 타측에 폐수흡입부(130)를 통해 흡입된 물을 수용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버킷(210)은, 본체 모듈(2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200)은, 수용버킷(2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킷수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버킷(210)은, 버킷수용부(230)에 삽입되어 결합하거나 또는 버킷수용부(230)로부터 탈거되어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버킷(210)은, 상측에 버킷커버(220)가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버킷커버(220)의 착탈에 따라 수용버킷(210)의 개폐가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커버(220)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버킷커버(220) 자체를 수용버킷(210)으로부터 탈거시키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해당 도어를 통해 냉온수를 수용버킷(210)의 냉온수 수용공간(211)에 공급 저장시킬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버킷(210)은, 냉온수 수용공간(211)에 약 2.3L의 물 용량을 수용할 수 있고, 폐수 수용공간(212)에 약, 2.8L의 물 용량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버킷(210)의 바닥 영역에는, 냉온수 수용공간(211)에 수용된 물이 유출유로(170)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밸브연결홈(213)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연결홈(213)은, 수용버킷(210)의 냉온수 수용공간(211) 바닥 영역에 구비되고, 유출유로(170)를 따라 샤워헤드 모듈(100) 측으로 이동하는 물의 유로에 대한 밸브(미도시)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버킷(210)에 저장된 물이 밸브연결홈(213)을 통해 유출유로(170)로 이동하고 냉온수 유출부(120)로 유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수용부(230)는, 흡입유로(180)를 통해 흡입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흡입수 배출구(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수 배출구(231)는, 흡입유로(180)와 연결되어 폐수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물이 흡입유로(180)를 따라 이동하고 흡입유로(180)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수용버킷(210)의 폐수 수용공간(212)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버킷(210)은, 버킷수용부(230)에 결합 시 버킷수용부(230)의 흡입수 배출구(231)에 대응하는 영역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수 배출구(231)를 통해 배출되는 폐수가 용이하게 수용버킷(210)의 폐수 수용공간(212)으로 진입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모듈(200)은, 수용버킷(210)의 폐수 수용공간(212)에 수용(또는, 저장)된 물(즉, 폐수)를 정화하여 냉온수 수용공간(211)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수용버킷(210)의 폐수 수용공간(212) 및 냉온수 수용공간(211)을 형성하는 각각의 영역의 저면에는 상호 폐수 수용공간(212) 및 냉온수 수용공간(211)을 연결하는 추가적인 연결밸브(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밸브에는 정화필터 및 펌핑장치가 구비되어 폐수 수용공간(212)에 수용된 물(즉, 폐수)를 정화함과 동시에 냉온수 수용공간(21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10)는, 버킷수용부(230)의 일 영역에 구비되고, 버킷수용부(230)에 결합된 상태의 수용버킷(210)의 만수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만수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수센서(500)는, 버킷수용부(230)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소정 길이를 갖고 지면과 수직하게 세워지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수센서(500)는, 버킷수용부(230)에 수용버킷(210)이 결합 시 수용버킷(210)의 내측으로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수센서(500)가 용이하게 수용버킷(210)의 폐수 수용공간(212)에 수용되는 물의 만수 여부를 용이하게 센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수센서(500)는, 수용버킷(210)의 폐수 수용공간(212)에 수용 저장되는 물(즉, 폐수)가 소정 높이 이상 차오르는 경우 만수 상태로 판단하여 이동식 샤워 장치(1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속적인 이동식 샤워 장치(10)의 사용으로 인해 수용버킷(210)의 폐수 수용공간(212)의 용량을 넘어 폐수가 외부로 넘쳐흐르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200)은, 버킷수용부(230), 흡입 터빈(300) 등을 수용하고 본체 모듈(200)의 외관 역할을 수행하는 본체 하우징(2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24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240)은, 버킷수용부(230)가 구비되는 영역의 상단 양측에 커버이탈용 홈(241)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이탈용 홈(241)으로 손가락을 끼워 넣고 용이하게 버킷커버(220)를 수용버킷(210)으로부터 탈거시키거나 또는 버킷수용부(230)에서 수용버킷(210)을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240)의 일 영역(예를 들어, 후측 영역)에는 제1 배출통공(2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 하우징(240)의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 터빈(30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외부와의 공기 순환을 구현하는 제1 배출통공(242)이 본체 하우징(240)의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200)은, 본체 하우징(240)의 하측에 결합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플레이트(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250)는, 본체 하우징(240)의 하측에 결합하여 본체 모듈(200)의 구성들을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50)의 일 영역에는 제2 배출통공(251)이 형성됨으로써, 제1 배출통공(242)과 함께 본체 하우징(240)의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 터빈(30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외부와의 공기 순환을 구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250)의 저면의 각 모서리 영역마다 고무 소재의 지지부(25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수용부(230)는, 수용버킷(210)이 결합될 시 수용버킷(210)의 냉온수 수용공간(211)을 수용하는(또는, 감싸는) 영역에 히팅패드(예를 들어, 알루미늄 히팅패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수용버킷(210)의 냉온수 수용공간(211)에 수용된 물이 용이하게 히팅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수용부(230)는, 수용버킷(210)의 냉온수 수용공간(211)에 수용되는 물을 히팅패드를 통해 약 36℃ 내지 42℃의 범위 내에서 히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10)는, 지면과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고, 지면과의 비-접촉을 센싱하는 경우 이동식 샤워 장치(1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안전센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센서(400)는, 지지플레이트(250)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단이 지지플레이트(250)를 관통하여 외측 방향(참고로, 도 5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센서(400)는, 전원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410), 지지플레이트(250)의 관통된 일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센서고정부(420) 및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지면과의 접촉을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지면접촉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면접촉부(430)는, 소정 길이로 돌출되되,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일 방향으로 가압될 시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후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센서(400)는, 지면접촉부(430)가 소정 길이만큼 후퇴한 경우 지면과 접촉한 상태로 판단하여 이동식 샤워 장치(10)의 작동을 유지시키고, 지면접촉부(430)가 지면에서 떨어져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경우 지면과 비-접촉한 상태로 판단하여 이동식 샤워 장치(10)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센서(400)는,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스위치 방식으로 구현됨으로써 지면과의 접촉 여부 자체를 센싱하고, 지면과의 비-접촉을 센싱하는 경우 이동식 샤워 장치(10)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부(410)는, 전원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면접촉부(430)의 지면과의 접촉 또는 비-접촉 센싱 여부에 따라 이동식 샤워 장치(10)의 작동을 위한 전원부(600)의 전원 공급을 유지 또는 차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식 샤워 장치(10)가 지면에서 넘어지거나 이동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이동식 샤워 장치(10)의 작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이동식 샤워 장치(1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10)는, 폐수흡입부(130)에 의한 폐수 흡입을 구현시키도록 구성되는 흡입 터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터빈(300)은, 본체 하우징(24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작동함에 따라 흡입유로(180) 및 폐수흡입부(130)를 통해 흡입압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터빈(300)은, 본체 하우징(240)의 일 영역(참고로, 도 1 및 도 3에서 상면 영역)에 구비되는 흡입 스위치(310)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터빈(300)은, 흡입 스위치(310)가 눌러지는 경우 작동되어 폐수흡입부(130)를 통해 흡입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10)는, 흡입 스위치(310)를 조작하여 샤워헤드 모듈(100)의 흡입이 수행될 수 있고, 흡입이 수행되면서 공급펌핑스위치(110)를 조작하여 냉온수 유출부(120)를 통해 냉수 또는 온수 등의 물을 유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10)는,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600)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로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샤워헤드 모듈(100), 본체 모듈(200), 흡입 터빈(300), 안전센서(400), 만수센서(500) 등에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600)가, 임시 전력 배터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동식 샤워 장치(10)가 일시적으로 전원 연결이 끊긴 상태에서도 일정 시간동안 외부의 전력 공급 없이도 동작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100)은, 냉온수 유출부(120)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에어커튼(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190)은, 샤워헤드 모듈(100)의 원형 형상의 정면의 테두리 영역에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190)은, 공급펌핑스위치(110)의 동작에 따른 냉온수 유출부(120)의 물 유출과 동시에 작동하여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온수 유출부(120)에서 유출되는 물이 샤워헤드 모듈(100)의 원형 형상의 정면 테두리 영역의 외측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두피에 대한 드라이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커튼(190)은, 샤워헤드 모듈(100)의 원형 형상의 정면의 테두리 영역에 구비되되, 4분할되어 제1 에어커튼(190-a), 제2 에어커튼(190-b), 제3 에어커튼(190-c) 및 제4 에어커튼(190-d)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에어커튼(190-a), 제2 에어커튼(190-b), 제3 에어커튼(190-c) 및 제4 에어커튼(190-d)은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샤워헤드 모듈(100)은, 중력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미도시) 또는 자이로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제1 에어커튼(190-a), 제2 에어커튼(190-b), 제3 에어커튼(190-c) 및 제4 에어커튼(190-d)은, 공급펌핑스위치(110)가 조작되고(즉, 눌러지고), 또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의 중력 감지 방향에 따라 중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4분할되는 각각의 제1 내지 제4 에어커튼(190-a, 190-b, 190-c, 190-d)은, 중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위치할 경우 작동하여 냉온수 유출부(120)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 예시적인 이동식 샤워 장치(10)는, 주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장애인 등의 머리를 감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강아지,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모를 감기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물을 유출시킴과 동시에 유출된 물을 흡입함으로써 옷이 젖거나 하방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게 머리를 감거나 헹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착탈 가능한 수용버킷을 마련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된 물을 용이하게 폐수로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안전을 위해 장치가 지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자동으로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저장되는 폐수의 만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여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이동식 샤워 장치
100: 샤워헤드 모듈
110: 공급펌핑스위치
120: 냉온수 유출부
130: 폐수흡입부
140: 지압돌출부
150: 연결호브
160: 파지부
170: 유출유로
180: 흡입유로
190: 에어커튼
200: 본체 모듈
210: 수용버킷
211: 냉온수 수용공간
212: 폐수 수용공간
213: 밸브연결홈
220: 버킷커버
230: 버킷수용부
231: 흡입수 배출구
240: 본체 하우징
241: 커버이탈용 홈
242: 제1 배출통공
250: 지지플레이트
251: 제2 배출통공
252: 지지부
300: 흡입 터빈
310: 흡입 스위치
400: 안전센서
410: 전원연결부
420: 센서고정부
430: 지면접촉부
500: 만수센서
600: 전원부

Claims (5)

  1. 이동식 샤워 장치로서,
    물을 외측으로 유출시킴과 동시에 유출되는 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샤워헤드 모듈; 및 상기 샤워헤드 모듈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샤워헤드 모듈을 통해 흡입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샤워헤드 모듈은,
    상기 샤워헤드 모듈의 일 영역에 구비되고 물을 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냉온수 유출부; 상기 냉온수 유출부의 주변 영역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 유출부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폐수흡입부; 상기 냉온수 유출부의 주변 영역에 복수로 구비되고, 물이 유출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돌출 형성되는 지압돌출부; 상기 냉온수 유출부와 상기 본체 모듈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냉온수 유출부로 이동하는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출유로; 상기 폐수흡입부와 상기 본체 모듈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폐수흡입부로부터 상기 본체 모듈로 이동하는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흡입유로; 및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 모듈로부터 물을 펌핑하여 상기 냉온수 유출부로 물을 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급펌핑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모듈은,
    물 공급영역과 폐수 수용영역으로 2분할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버킷; 상기 수용버킷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용버킷의 개폐를 구현시키는 버킷커버; 및 상기 수용버킷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을 갖고, 상기 수용버킷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버킷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샤워 장치는, 상기 버킷수용부의 일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버킷수용부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수용버킷의 만수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만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버킷은, 수용공간이 2분할되어 일측에 상기 냉온수 유출부로 유출되는 냉온수가 수용되는 냉온수 수용공간 및 타측에 상기 폐수흡입부로부터 흡입되는 물이 수용되는 폐수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버킷의 상기 폐수 수용공간 및 상기 냉온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각각의 영역의 저면에는, 상기 폐수 수용공간 및 상기 냉온수 수용공간을 연결하는 연결밸브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밸브에는 정화필터 및 펌핑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폐수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을 정화함과 동시에 상기 냉온수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식 샤워 장치는, 지면과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고, 지면과의 비-접촉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이동식 샤워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안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센서는, 소정 길이로 돌출되되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일 방향으로 가압될 시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후퇴되도록 구성되는 지면접촉부; 및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면접촉부의 지면과의 접촉 또는 비-접촉 센싱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식 샤워 장치의 작동을 위한 상기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유지 또는 차단시키도록 구성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센서는, 상기 지면접촉부가 소정 길이만큼 후퇴한 경우 지면과 접촉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식 샤워 장치의 작동을 유지시키고, 상기 지면접촉부가 지면에서 떨어져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경우 지면과 비-접촉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식 샤워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샤워헤드 모듈은, 상기 냉온수 유출부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에어커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커튼은, 상기 샤워헤드 모듈의 원형 형상의 정면의 테두리 영역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공급펌핑스위치의 동작에 따른 상기 냉온수 유출부의 물 유출과 동시에 작동하여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동식 샤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56291A 2023-04-28 2023-04-28 이동식 샤워 장치 KR102569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291A KR102569038B1 (ko) 2023-04-28 2023-04-28 이동식 샤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291A KR102569038B1 (ko) 2023-04-28 2023-04-28 이동식 샤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038B1 true KR102569038B1 (ko) 2023-08-22

Family

ID=8779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291A KR102569038B1 (ko) 2023-04-28 2023-04-28 이동식 샤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0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973A (ko) * 2011-03-09 2012-09-19 김도형 국부 및 바디 세척기
KR20160069920A (ko) 2014-12-09 2016-06-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휴대용 샤워기
KR20170097858A (ko) 2016-02-19 2017-08-29 조동영 장애인, 노약자용 샤워캐리어
KR20220089844A (ko) * 2020-12-22 2022-06-29 조정일 이동식 샤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973A (ko) * 2011-03-09 2012-09-19 김도형 국부 및 바디 세척기
KR20160069920A (ko) 2014-12-09 2016-06-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휴대용 샤워기
KR20170097858A (ko) 2016-02-19 2017-08-29 조동영 장애인, 노약자용 샤워캐리어
KR20220089844A (ko) * 2020-12-22 2022-06-29 조정일 이동식 샤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2505B2 (en) Lavatory system with hand dryer
US6973683B2 (en) Bath apparatus
JPH08215089A (ja) 可搬式浴槽装置
WO2018097164A1 (ja) 洗浄ヘッド及び洗浄システム
KR101404474B1 (ko) 이동식 세면장치
KR102416611B1 (ko) 좌식변기 부착형 발 세척 장치
CN113142775A (zh) 一种高舒适性智能助浴设备
JP3629636B2 (ja) 手洗い乾燥装置
CN106691274A (zh) 一种洗澡器
KR102569038B1 (ko) 이동식 샤워 장치
WO2010134656A1 (ko) 좌변기용 비데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102354338B1 (ko)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WO2019225384A1 (ja) 洗浄ヘッド及び洗浄装置
CN207476631U (zh) 一种自助式宠物清洗机
KR102379764B1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KR20160066117A (ko) 손 건조기가 구비된 수전
KR200489322Y1 (ko)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KR101492376B1 (ko) 이동식 절수형 샤워장치
KR100460591B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KR200292250Y1 (ko) 애완견 목욕함
KR102334895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구비한 에어 타월
JP6049057B2 (ja) 温浴療法用浴槽
JP2000288058A (ja) シャワーシステム
JPH0730902U (ja) 自動捨て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