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997A - 수전 - Google Patents

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997A
KR20180024997A KR1020160112142A KR20160112142A KR20180024997A KR 20180024997 A KR20180024997 A KR 20180024997A KR 1020160112142 A KR1020160112142 A KR 1020160112142A KR 20160112142 A KR20160112142 A KR 20160112142A KR 20180024997 A KR20180024997 A KR 20180024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nsor
discharge port
controller
adjust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이경태
이효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997A/ko
Publication of KR20180024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8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토출구로 접근한 물체와 상기 토출구의 거리차를 감지하는 거리측정센서;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출수량을 조절하는 제1조절모듈;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 및 상기 제1조절모듈과 통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거리차에 따라 출수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조절모듈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전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수전{FAUCET}
실시 예는 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은 공공건물, 일반 주택, 아파트 등의 주방이나 화장실에 설치되는데, 수전의 수도꼭지나 밸브를 손으로 자주 개폐하여 물을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물의 낭비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사람의 손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물을 출수하는 수전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 중인 수전들은 물에 대한 정량적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먼저, 기존의 수전은 사람 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양의 물을 출수하므로 사람이 수전의 토출구 가까이 손을 위치한 경우 물이 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을 인식한 후에 물이 출수되기까지 딜레이가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수온으로 조절되는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면대나 욕조에 물을 받는 경우 원하는 위치까지 물을 받기 위해 사용자가 계속 지켜보며 기다려야 하며, 매번 받는 물 높이가 다른 문제가 있다.
실시 예는 물의 정량적인 제어가 가능한 수전을 제공한다.
또한, 손의 위치에 따라 출수량 및 수압이 제어되는 수전을 제공한다.
또한, 손을 접근시키면 바로 물이 출수되는 수전을 제공한다.
또한, 원하는 온도로 즉시 온도 제어가 가능한 수전을 제공한다.
또한, 간편한 방법으로 원하는 양의 물을 받을 수 있는 수전을 제공한다.
또한, 물의 사용 정보를 학습하는 수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전은, 토출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토출구로 접근한 물체와 상기 토출구의 거리차를 감지하는 거리측정센서;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출수량을 조절하는 제1조절모듈;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 및 상기 제1조절모듈과 통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거리차에 따라 출수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조절모듈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물의 수압을 조절하는 제2조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출수량 조절시 수압이 일정해지도록 상기 제2조절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모듈은 직경 조절이 가능한 배관, 및 상기 배관의 직경을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 배치되어 수전의 전방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의 감지영역과 상기 거리측정센서의 감지영역 사이의 영역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로부터 순차적으로 신호가 입력되면 물을 출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출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차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어 물을 출수하는 경우 현재 물의 온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물 사용 정보를 학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물 사용 정보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물의 총 사용량, 시간대별 사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제1기간 동안의 평균 사용량을 기준 사용량으로 설정하고, 현재 물 사용량이 상기 기준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현재 물 사용량이 상기 기준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출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물받이 모드로 동작시 수조에 사용자의 손이 위치한 높이를 목표 수위로 설정하고, 상기 목표 수위까지 물이 채워질 때까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전은, 토출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토출구로 접근한 물체와 상기 토출구의 거리차를 감지하는 거리측정센서;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출수량을 조절하는 제1조절모듈;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 및 상기 제1조절모듈과 통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물받이 모드로 동작시 물체가 위치한 높이를 목표 수위로 설정하고, 상기 목표 수위까지 물이 채워질 때까지 물을 출수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출수하는 물의 정량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손의 위치에 따라 출수량 및 수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손을 접근시키면 타임 딜레이 없이 물이 출수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온도로 즉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간편한 방법으로 원하는 양의 물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물의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전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전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사용자의 손 위치에 따라 출수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온도를 조절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전의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물받이 모드를 선택하여 목표 수위를 측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물을 출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수조에 물을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실시 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 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실시 예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 예에서 구성 A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다른 실시 예에서 구성 B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였다면, 구성 A와 구성 B가 결합된 실시 예가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더라도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전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전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사용자의 손 위치에 따라 출수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실시 예에 따른 수전(1)은, 토출구(71a)를 포함하는 몸체(70), 센서 모듈(10), 출수량을 조절하는 제1조절모듈(30), 수압을 조절하는 제2조절모듈(20), 온도센서(42), 유량센서(41), 디스플레이(60), 메모리(81), 및 이들과 통신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한다.
몸체(70)는 수조(2)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제1몸체부(71), 및 수조(2)의 중앙으로 연장된 제2몸체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몸체부(72)는 물(3)이 수조(2)로 배출되는 토출구(71a)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71a)로 출수되는 물은 소정의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제2몸체부(72)는 수조(2)의 중심으로 갈수록 위로 휘어질 수 있으나, 제2몸체부(72)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토출구(71a)는 도 1에서 도시한 형상에 한하지 않고, 도 2와 같이 제2몸체부(72)의 하부면 끝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센서모듈(10)은 제2몸체부(72)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모듈(10)은 제1, 제2센서(11, 12) 및 위치센서(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센서(11, 12) 및 위치센서(13)는 기능상 구별된 개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나의 센서모듈(10)은 제1, 제2센서(11, 12) 및 위치센서(13)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제1센서(11)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제1센서(11)는 적외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제1센서(11)는 전방 감시 영역(S1)에서 접근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예: 근접 센서)가 모두 선택될 수 있다.
제2센서(12)는 수조(2)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센서(12)는 손 이외의 다양한 세척 대상물이 수조(2)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2센서(12)는 적외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제2센서(12)는 수조 내측(S2)으로 접근하는 손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거리측정센서(13)는 수조의 바닥면을 감지(S3)한다. 거리측정센서(13)는 사용자가 손을 토출구(71a)와 수조(2) 사이로 위치시키는 경우, 토출구(71a)와 손의 높이 차를 측정할 수 있다.
제1조절모듈(30)은 몸체(70)의 유로(71b)로 유입되는 물의 출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조절모듈(30)은 물을 몸체(70)의 유로로 유입시키는 펌프일 수 있다. 모터의 출력이 높아지면 몸체(70)의 유로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많아질 수 있고, 출수량은 많아질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제1센서(11)와 제2센서(12)로부터 순차적으로 신호가 입력되면 제1조절모듈(30)에 출력신호를 인가하여 물이 출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80)는 제1센서(11)의 신호에 의해 사람이 접근한 것으로 인지하고, 제2센서(12)의 신호에 의해 사람이 손을 씻기 위해 수조에 손(또는 세척 대상물)을 집어넣고 있다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센서(12)는 제1센서의 감지영역(S1)과 거리측정센서(13)의 감지 영역(S3) 사이의 영역(S2)을 감지하므로 신속히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센서(12)는 수조의 바닥면(2a)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전방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 토출구(71a)에 도달되기 전에 미리 출수를 제어하므로 손이 토출구(71a)에 도달하는 순간에는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제2센서(12)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슬립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되고, 현재 물의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60)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수될 물의 온도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온도 조절을 원하는 경우, 기능 조작부(43)를 조정하여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기능 조작부(43)는 버튼일 수도 있고 다이얼 방식일 수도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컨트롤러(80)는 거리측정센서(13)에서 출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거리차를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거리측정센서(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토출구(71a)와 손(4a, 4b)의 높이차를 산출하고, 높이 차이에 따라 출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종래 수전은 토출구에 접근한 사람의 손을 감지하면 손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양의 물을 배출하였다. 따라서, 사람이 토출구에 너무 가까이 손을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물이 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르면, 손이 가까이 배치된 것으로 인식하면 출수량을 줄여 물이 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컨트롤러(80)는 수조(2)의 바닥면(2a)과 토출구(71a) 사이의 중간 지점을 기준 위치로 설정하고, 사람의 손이 기준 위치에서 토출구(71a)쪽에 더 가깝게 배치하는 경우 출수량을 줄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80)는 사람의 손이 기준 위치에서 바닥면(2a)에 더 가깝게 배치하는 경우 출수량을 늘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거리측정센서(13)의 신호값에 따라 적정 출수량을 배출하도록 제1조절모듈(30)에 출력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메모리(81)에는 제1신호의 신호값에 따른 출수량 환산 테이블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제2조절모듈(20)은 물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출수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어도 수압이 일정해지도록 제2조절모듈(20)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조절모듈(20)은 직경 조절이 가능한 배관(21), 및 배관(21)의 직경을 조절하는 구동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의 직경을 조절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조리개와 유사하게 모터의 구동에 의해 내부 직경이 조절되는 방식일 수도 있고, 고무 배관의 외측을 구동부가 가압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컨트롤러(80)는 출수량이 감소하도록 제1조절모듈(30)을 제어한 경우, 배관(21)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출력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출수량이 감소하여도 동일한 수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컨트롤러(80)는 출수량이 증가한 경우에는 배관(21)의 직경이 넓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출수량이 달라져도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출수량이 변화하여도 사용자는 동일한 수압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물이 튀지 않으면서도 손을 세척하는데 불편함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사용자의 물 사용 패턴을 학습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공 시기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60)를 수동 조작하는 경우에 동작할 수도 있고, 정해진 기간마다 자동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80)는 유량 센서(41)를 이용하여 물 사용량은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홀 센서 등을 이용하여 물의 출수량을 직접 측정할 수도 있고, 물 출수구의 밸브가 열리고 닫히는 시간을 측정하는 RTC (Real Time Clock) 방식으로 사용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실시 예에 따른 수전은 물 사용 정보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물의 총 사용량, 시간대별 사용량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60)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수전(1)에서 사용한 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제1기간 동안 평균 사용량을 기준 사용량으로 설정하고, 현재 물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을 초과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컨트롤러(80)는 일주일간 물의 평균 사용량을 기준 사용량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매일 또는 정해진 기간마다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의 사용량이 많아졌음을 알 수 있어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물 사용량에 따라 계속적으로 학습하여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80)는 현재 물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출수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감소량은 세척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의 사용량을 줄이지 않은 경우에도 절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사용자가 유사한 양의 물을 반복적으로 받는 경우 이를 기준 수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는 사용자는 물받이 모드만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수위를 조절하지 않아도 동일한 물의 양을 받을 수도 있다. 기준 수위는 용자의 물 사용량에 따라 계속적으로 학습하여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제3조절모듈(50)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사용자가 온도 조절을 원하는 경우 고온수(W1)와 냉수(W2)가 유입되는 채널의 비율을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3조절모듈(50)은 고온수가 유입되는 제1채널(51), 냉수가 유입되는 제2채널(52), 및 이들이 혼합되는 구간(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조절모듈(50)은 제1채널과 제2채널의 면적비를 조절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고온수가 유입되는 제1채널(51)의 면적이 줄어들고 냉수가 유입되는 제2채널(52)의 면적이 늘어나면 혼합수의 온도는 낮아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고온수가 유입되는 제1채널(51)의 면적이 증가하고 냉수가 유입되는 제2채널(52)의 면적이 감소하면 혼합수의 온도는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전의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60)는 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물에 대한 정보는 물의 온도(61), 사용량 정보(63), 수압 등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는 다양한 조작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버튼을 조작하여 온도 조절, 사용정보, 및 물받기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의 조작 버튼은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물받이 모드에서 목표 수위를 측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7a와 같이 디스플레이(60)에서 물받이 모드(64)를 선택하고, 도 7b와 같이 몇 초간 원하는 수위를 손으로 제스쳐하는 경우, 컨트롤러(80)는 거리측정센서(13)의 신호를 읽어 목표 수위를 설정할 수 있다. 목표 수위가 설정된 경우 비퍼음 등을 출력하여 수위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80)는 목표 수위까지 물이 채워지도록 제1조절모듈(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물의 온도를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위를 계속 확인할 필요도 없으며,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버튼을 번거롭게 조절할 필요가 없다.
도 8은 물을 출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 예에 따른 출수 방법은,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물을 출수하는 단계(S11), 사용자의 손의 높이를 감지하여 출수량 및 수압을 조절하는 단계(S12),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출수를 종료하는 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물을 출수하는 단계(S11)에서 컨트롤러(80)는 제1센서(11)와 제2센서(12)로부터 순차적으로 신호가 입력되면 제1조절모듈(30)에 출력신호를 인가하여 물이 출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80)는 제1센서(11)의 신호에 의해 사람이 접근한 것으로 인지하고, 제2센서(12)의 신호에 의해 사람이 손을 씻기 위해 수조에 손(또는 세척 대상물)을 집어넣고 있다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제2센서(12)는 수조의 바닥면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전방을 감지하므로 신속히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이 토출구(71a)에 도달되기 전에 출수를 제어하므로 손이 토출구(71a)에 도달하는 시간에는 거의 동시에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출수량 및 수압을 조절하는 단계(S12)에서, 컨트롤러(80)는 거리측정센서(13)에서 출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높이 차를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거리측정센서(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토출구(71a)와 사람 손의 거리를 산출하고, 거리에 따라 출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출수량이 변화하여도 사용자는 동일한 수압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물이 튀지 않으면서도 손을 세척하는데 불편함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출수를 종료하는 단계(S13)는, 제2센서 및/또는 거리측정센서에서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출수를 종료할 수 있다.
도 9는 수조에 물을 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 예에 따른 물받이 방법은, 물받이 모드 선택시 사용자의 손의 높이를 감지하여 목표 수위를 결정하는 단계(S21), 및 목표 수위까지 출수하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목표 수위를 결정하는 단계(S21)는 물받이 모드 선택시 거리측정센서(13)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손이 위치한 높이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목표 수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수조 또는 욕조의 바닥면의 거리 정보는 미리 메모리(81)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를 제어할 필요가 없으며, 직관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를 지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1: 수전
2: 수조
11: 제1센서
12: 제2센서
13: 거리측정센서
20: 제2조절모듈
30: 제1조절모듈
60: 디스플레이
70: 몸체
80: 컨트롤러

Claims (11)

  1. 토출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토출구로 접근한 물체와 상기 토출구의 거리차를 감지하는 거리측정센서;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출수량을 조절하는 제1조절모듈;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 및 상기 제1조절모듈과 통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거리차에 따라 출수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조절모듈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물의 수압을 조절하는 제2조절모듈을 포함하는 수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출수량 조절시 수압이 일정해지도록 상기 제2조절모듈을 제어하는 수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모듈은 직경 조절이 가능한 배관, 및 상기 배관의 직경을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수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배치되어 수전의 전방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의 감지영역과 상기 거리측정센서의 감지영역 사이의 영역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수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로부터 순차적으로 신호가 입력되면 물을 출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출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차를 산출하는 수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어 물을 출수하는 경우 현재 물의 온도 정보를 표시하는 수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물 사용 정보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물의 총 사용량, 시간대별 사용량 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제1기간 동안의 평균 사용량을 기준 사용량으로 설정하고, 현재 물 사용량이 상기 기준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수전.
  10. 토출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토출구로 접근한 물체와 상기 토출구의 거리차를 감지하는 거리측정센서;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출수량을 조절하는 제1조절모듈;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 및 상기 제1조절모듈과 통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물받이 모드로 동작시 사용자가 선택한 목표 수위를 설정하고,
    상기 목표 수위까지 물이 채워질 때까지 물을 출수하는 수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물체의 높이를 상기 목표 수위로 설정하는 수전.
KR1020160112142A 2016-08-31 2016-08-31 수전 KR20180024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142A KR20180024997A (ko) 2016-08-31 2016-08-31 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142A KR20180024997A (ko) 2016-08-31 2016-08-31 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997A true KR20180024997A (ko) 2018-03-08

Family

ID=6172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142A KR20180024997A (ko) 2016-08-31 2016-08-31 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9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599B1 (ko) * 2019-12-09 2020-09-14 다로스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 기반의 급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028132A (zh) * 2021-03-03 2021-06-25 瑞昌市金宇铜业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检修功能的水龙头及检修方法
WO2023280651A1 (de) * 2021-07-06 2023-01-12 Grohe Ag Sanitärarmatu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sanitärarmat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599B1 (ko) * 2019-12-09 2020-09-14 다로스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 기반의 급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028132A (zh) * 2021-03-03 2021-06-25 瑞昌市金宇铜业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检修功能的水龙头及检修方法
WO2023280651A1 (de) * 2021-07-06 2023-01-12 Grohe Ag Sanitärarmatu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sanitärarmat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9375B2 (en) Touchless faucet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on
US8572772B2 (en) Electronic faucet with voice, temperature, flow and volume control
US20180148912A1 (en) Smart water supply valv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7690395B2 (en) Multi-mode hands free automatic faucet
US20170050201A1 (en) Smart shower head
KR20180024997A (ko) 수전
KR100673657B1 (ko) 온수 제어장치
US20170101766A1 (en) Faucet with Auto-Fill Feature
US20210164203A1 (en) Foot actuated contactless electronically controlled device
US20220325508A1 (en) Electronic faucet with auto focus
JP6964404B2 (ja) 風呂給湯装置
US8876025B1 (en) Variable flow showerhead
KR100701228B1 (ko) 화장실 장치 및 화장실 장치의 인체 검출 방법
KR20180034053A (ko) 수전
JP2020143464A (ja) 吐水装置
KR20190113001A (ko) 자동샤워 제어장치
CN113605505A (zh) 一种自动调整清洗器喷嘴位置的智能马桶及其控制方法
EP2342389A1 (en) Water flow control and adjusting tap
JP3993415B2 (ja) 自動水栓
JP4674654B1 (ja) 給湯機
JP3149590B2 (ja) 吐水装置
JP2012136868A (ja) 自動水栓装置及び水栓制御方法
KR101944668B1 (ko) 서로 다른 기능의 이중 센서를 구비한 자동 급수 장치
CN115715648A (zh) 智能浴缸及智能浴缸的控制方法
JP2021055981A (ja) 自動給湯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