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856A - 입력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856A
KR20220073856A KR1020227016957A KR20227016957A KR20220073856A KR 20220073856 A KR20220073856 A KR 20220073856A KR 1020227016957 A KR1020227016957 A KR 1020227016957A KR 20227016957 A KR20227016957 A KR 20227016957A KR 20220073856 A KR20220073856 A KR 20220073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ignal
clock
signal
command
poly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유 이
강용 김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filed Critical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73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Control signal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72Latency related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입력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예시적인 장치는,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내부 클록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클록 경로, 및 커맨드를 수신하고, 내부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커맨드를 커맨드 경로를 통해 전파하고, 클록 신호의 타이밍을 반영하는 타이밍을 갖는 내부 커맨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커맨드 경로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장치는, 데이터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다상 클록 신호들을 제공하고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클록 경로를 더 포함하고,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내부 커맨드에 응답하여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을 래칭하도록 구성된 클록 동기화 회로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PHASE RELATIONSHIP BETWEEN AN INPUT CLOCK SIGNAL AND A MULTIPHASE CLOCK SIGNAL}
반도체 메모리는 나중에 검색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많은 전자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더욱 빠르며 더 큰 연산 능력을 갖고 전력 소비량이 덜한 전자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고,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전력을 덜 사용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가, 변화하는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한 개발의 일부는, 전자 시스템에서 메모리의 성능을 개선하도록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사양이 변경되면서 반도체 메모리를 제어하고 액세스하기 위한 새로운 사양을 만드는 것을 포함한다.
반도체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메모리에 커맨드 신호, 어드레스 신호, 클록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제어된다. 다양한 신호는 예를 들어 메모리 제어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커맨드 신호는, 다양한 메모리 동작, 예를 들어,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는 판독 동작 및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입 동작을 수행하도록 반도체 메모리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가 새롭게 개발됨에 따라, 메모리에는, 예를 들어, 커맨드 신호와 어드레스 신호를 타이밍(timing) 맞추도록 사용되는 시스템 클록 신호가 제공될 수 있고, 또한, 메모리에 의해 제공되는 판독 데이터를 타이밍하고 및 메모리로부터 제공되는 기입 데이터를 타이밍 맞추도록 사용되는 데이터 클록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전형적인 설계에서, 판독 데이터는, 메모리에 의해 연관된 판독 커맨드의 수신에 대하여 알려진 타이밍을 갖는 메모리에 의해 제공된다. 알려진 타이밍은 판독 레이턴시 정보(RL)에 의해 정의된다. 유사하게, 기입 데이터는, 메모리에 의해 연관된 기입 커맨드의 수신에 대하여 알려진 타이밍을 갖는 메모리에 의해 수신된다. 알려진 타이밍은 기입 레이턴시 정보(WL)에 의해 정의된다. RL 정보와 WL 정보는 전형적으로 시스템 클록 신호 CK 및 CKF의 클록 사이클의 수에 의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RL 정보는 시스템 클록 신호 tCK의 18개 클록 사이클의 RL을 정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판독 데이터는, 메모리에 의해 판독 커맨드가 수신된 후 18개의 tCK로 메모리에 의해 제공된다. RL 정보와 WL 정보는 메모리 제어기에 의해 메모리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데이터 클록 신호를 사용하는 메모리 설계와 관련하여, 데이터 클록 신호는, 판독 데이터의 제공 또는 메모리에 의한 기입 데이터의 수신을 동기화하도록 (예를 들어, 메모리 제어기로부터) 메모리에 제공된다. 데이터 클록 신호에는,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데이터를 수신하여 RL/WL 정보를 만족시키도록 메모리 커맨드의 수신에 대한 타이밍이 사양에 따라 제공된다. 메모리는, 활성 데이터 클록 신호에 응답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수신한다.
반도체 메모리에 포함된 클록 회로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되는 내부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클록 회로는 데이터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상 클록 신호는, 예를 들어, 메모리에 의한 데이터의 제공 및/또는 수신을 타이밍 맞추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상 클록 신호는, 서로 상대 위상(예를 들어, 90도) 및 데이터 클록 신호와의 상대 위상을 갖는다. 일부 메모리에서, 클록 회로는, 하나 이상의 다상 클록 신호의 평가에 의해 결정될 때까지 알려지지 않은 데이터 클록 신호에 대한 위상 관계를 갖는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한다.
메모리의 적절한 동작을 위해 다상 클록 신호와 데이터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의 결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결정은, 메모리의 적절한 동작이 최소 지연 및 전력 소비로 시작되거나 재개될 수 있도록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일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의 장치의 클록 분할기 회로의 동작에 관련된 다양한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클록 분할기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의 장치의 동작에 관련된 다양한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의 장치의 동작에 관련된 다양한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피터 회로(repeater circuit)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세부 사항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이러한 소정의 세부 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들은, 예로서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 특정 실시형태로 한정하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되어 있는 회로, 제어 신호, 타이밍 프로토콜, 및 소프트웨어 동작은 상세히 예시하지 않았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이다. 장치는 반도체 장치(100)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지칭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반도체 장치(100)는, 예를 들어, 단일 반도체 칩에 통합된 저 전력 DDR(LPDDR) 메모리와 같은 DRAM 장치를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장치(100)는 메모리 다이를 포함한다. 다이는, 외부 기판, 예를 들어, 메모리 모듈 기판, 마더보드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100)는 메모리 어레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어레이(150)는 복수의 뱅크(bank)를 포함하고, 각 뱅크는, 복수의 워드 라인(WL), 복수의 비트 라인(BL), 및 복수의 워드 라인(WL)과 복수의 비트 라인(BL)의 교차점에 배열된 복수의 메모리 셀(MC)을 포함한다. 워드 라인(WL)의 선택은 행 디코더(140)에 의해 수행되고, 비트 라인(BL)의 선택은 열 디코더(145)에 의해 수행된다. 감지 증폭기(SAMP)는 대응하는 비트 라인(BL)에 대해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로컬 I/O 라인 쌍(LIOT/B)에 접속되고, 이러한 라인 쌍은 다시 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전송 게이트(TG)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각 메인 I/O 라인 쌍(MIOT/B)에 접속된다.
반도체 장치(100)는,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N:0>)를 수신하도록 커맨드/어드레스 버스에 연결된 커맨드 및 어드레스 단자, 클록 신호(CK와 CKF)를 수신하기 위한 클록 단자, 데이터 클록 신호(WCK와 WCKF)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클록 단자, 데이터 단자(DQ, RDQS, DBI, DMI), 전원 단자(VDD, VSS, VDDQ, VSSQ) 및 ZQ 교정 단자(ZQ)를 포함하는 복수의 외부 단자를 사용할 수 있다.
커맨드/어드레스 단자에는 외부로부터 어드레스 신호 및 뱅크 어드레스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어드레스 단자에 공급된 어드레스 신호 및 뱅크 어드레스 신호는 커맨드/어드레스 입력 회로(105)를 통해 어드레스 디코더(112)로 전송된다. 어드레스 디코더(112)는,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고, 디코딩된 행 어드레스 신호를 행 디코더(140)에 공급하고, 디코딩된 열 어드레스 신호를 열 디코더(145)에 공급한다. 어드레스 디코더(112)는, 또한, 뱅크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고, 뱅크 어드레스 신호를 행 디코더(140) 및 열 디코더(145)에 공급한다.
커맨드/어드레스 단자에는, 또한, 예를 들어, 메모리 제어기와 같이 외부로부터 커맨드 신호(CA<N:0>)가 공급될 수 있다. 커맨드 신호(CA<N:0>)는, 커맨드/어드레스 입력 회로(105)를 통해 커맨드 경로(115)에 커맨드 신호(ICMD<N:0>)로서 제공될 수 있다. 커맨드 경로(115)는, 워드 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행 커맨드 신호 및 비트 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열 커맨드 신호를 포함하는 다양한 내부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커맨드 신호(ICMD<N:0>)를 디코딩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내부 커맨드는, 클로킹된 커맨드(CMDCK) 및 동기화 커맨드(CMDSYNC)와 같은 출력 및 입력 활성화 커맨드도 포함한다.
판독 커맨드가 발행되고 판독 커맨드가 행 어드레스와 열 어드레스에 적시에 공급되면, 판독 데이터는, 이들 행 어드레스 및 열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 어레이(150)의 메모리 셀로부터 판독된다. 판독 커맨드는 커맨드 경로(115)에 의해 수신되고, 이러한 커맨드 경로는 내부 커맨드를 입력/출력 회로(160)에 제공하여, 판독 데이터가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에 따라 데이터 단자(DQ, RDQS, DBI, DMI)로부터 판독/기입 증폭기(155) 및 입력/출력 회로(16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판독 데이터는, 반도체 장치에서, 예를 들어, 모드 레지스터(도 1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판독 레이턴시 정보(RL)에 의해 정의된 시각에 제공된다. 판독 레이턴시 정보(RL)는 CK 클록 신호의 클록 사이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독 레이턴시 정보(RL)는, 연관된 판독 데이터가 제공될 때 반도체 장치(100)에 의해 판독 커맨드가 수신된 후의 CK 신호의 다수의 클록 사이클일 수 있다.
기입 커맨드가 발행되고 기입 커맨드가 행 어드레스와 열 어드레스에 적시에 공급되면, 기입 데이터는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에 따라 데이터 단자(DQ, DBI, DMI)에 공급되고, 기입 커맨드는 커맨드 경로(115)에 의해 수신되고, 이러한 커맨드 경로는 내부 커맨드를 입력/출력 회로(160)에 제공하여, 기입 데이터가, 입력/출력 회로(160)의 데이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고, 입력/출력 회로(160) 및 판독/기입 증폭기(155)를 통해 메모리 어레이(150)에 공급되고, 행 어드레스와 열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 셀에 기입된다. 기입 데이터는 기입 레이턴시 WL 정보에 의해 정의된 시각에 데이터 단자에 제공된다. 기입 레이턴시(WL) 정보는, 반도체 장치(100)에서, 예를 들어, 모드 레지스터(도 1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기입 레이턴시(WL) 정보는 CK 클록 신호의 클록 사이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입 레이턴시 정보(WL)는, 연관된 기입 데이터가 제공될 때 기입 커맨드가 반도체 장치(100)에 의해 수신된 후의 CK 신호의 다수의 클록 사이클일 수 있다.
반도체 장치(100)에 포함된 외부 단자의 설명을 참조하면, 클록 단자 및 데이터 클록 단자에는 외부 클록 신호 및 상보적 외부 클록 신호가 공급된다. 외부 클록 신호(CK, CKF, WCK, WCKF)는 클록 입력 회로(120)에 공급될 수 있다. 클록 입력 회로(120)는 내부 클록 신호(ICK, IWCK, IWCKF)를 생성하도록 외부 클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내부 클록 신호(ICK, IWCK, IWCKF)는 내부 클록 회로(130)에 공급된다.
내부 클록 회로(130)는, 수신된 내부 클록 신호 및 커맨드/어드레스 입력 회로(105)로부터의 클록 인에이블 신호(CKE)에 기초하여 다양한 위상 및 주파수 제어된 내부 클록 신호를 제공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내부 클록 회로(130)는, ICK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내부 클록 신호(ICK 및 ICKD)를 제공하는 클록 경로(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ICKD는 내부 클록 신호(ICK)와 동일하지만 지연에 의해 ICK 클록 신호에 대하여 지연된 것이다. ICK 클록 신호 및 ICKD 클록 신호는 커맨드 경로(115)에 제공될 수 있다. 내부 클록 회로(130)는, IWCK 클록 신호 및 IWCKF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내부 클록 신호(IWCK 및 IWCKF)에 기초하여 다상 클록 신호(IWCKn)를 제공하는 데이터 클록 경로(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상 클록 신호(IWCKn)는 서로 상대 위상을 갖고,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와의 위상 관계를 갖는다. 다상 클록 신호(IWCKn)는, 또한, 판독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 및 기입 데이터의 입력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입력/출력 회로(160)에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클록 경로는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IWCKD)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신호는 더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IWCKn) 중 하나이다.
클록 동기화 회로(175)에는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IWCKD) 및 동기화 커맨드(CMDSYNC)가 제공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클록 동기화 회로는, 다상 클록 신호(IWCKn)와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논리 레벨을 갖는 출력 신호(SYNCINFO)를 제공한다.
전원 단자에는 또한 전원 전위(VDD 및 VSS)가 제공된다. 이들 전원 전위(VDD 및 VSS)는 내부 전압 생성 회로(170)에 공급된다. 내부 전압 생성 회로(170)는, 전원 전위(VDD 및 VSS)에 기초하여 다양한 내부 전위(VPP, VOD, VARY, VPERI 등) 및 기준 전위(ZQVREF)를 생성한다. 내부 전위(VPP)는 주로 행 디코더(140)에 사용되고, 내부 전위(VOD 및 VARY)는 주로 메모리 어레이(150)에 포함된 감지 증폭기에 사용되고, 내부 전위(VPERI)는 다른 많은 회로 블록에 사용된다. 기준 전위(ZQVREF)는 ZQ 교정 회로(165)에서 사용된다.
전원 단자에는 전원 전위(VDDQ)가 공급된다. 전원 전위(VDDQ)는 전원 전위(VSS)와 함께 입력/출력 회로(160)에 공급된다. 전원 전위(VDDQ)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서 전원 전위(VDD)와 동일한 전위일 수 있다. 전원 전위(VDDQ)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전원 전위(VDD)와는 다른 전위일 수 있다. 그러나, 전용 전원 전위(VDDQ)는, 입력/출력 회로(160)에 의해 생성되는 전원 노이즈가 다른 회로 블록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입력/출력 회로(160)를 위해 사용된다.
교정 단자(ZQ)는 ZQ 교정 회로(165)에 접속된다. ZQ 교정 회로(165)는, ZQ 교정 커맨드(ZQ_com)에 의해 활성화될 때 RZQ의 임피던스 및 기준 전위(ZQVREF)를 참조하여 교정 동작을 수행한다. 교정 동작에 의해 취득되는 임피던스 코드(ZQCODE)는 입력/출력 회로(160)에 공급되어, 입력/출력 회로(160)에 포함된 출력 버퍼(도시되지 않음)의 임피던스가 특정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일부의 블록도이다. 도 2의 장치의 일부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 1의 반도체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장치는 클록 경로(210), 커맨드 경로(230), 데이터 클록 경로(250), 및 클록 동기화 회로(270)를 포함한다. 클록 경로(210), 커맨드 경로(220), 또는 데이터 클록 경로(230) 중 하나 이상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나머지 경로들 중 어떠한 것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수정될 수 있다.
클록 경로(210)는, 상보적 클록 신호(CK 및 CKF)를 수신하고 내부 클록 신호(ICK)를 제공하는 수신기 회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 회로(212)는 도 1의 클록 입력 회로(120)에 포함될 수 있다. 내부 클록 신호(ICK)는 CK 클록 신호 및 CKF 클록 신호에 기초한다. 클록 신호는, 제1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가 제2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와 동시에 발생하고 제2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가 제1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 상보적이다. 리피터 회로(214)는 ICK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ICK' 클록 신호를 지연 회로(216)에 제공한다. 리피터 회로(214)는 수신기 회로(212)로부터 지연 회로(216)로 클록 라인을 통해 ICK' 클록 신호를 구동한다. ICK' 클록 신호는 지연된 ICK 클록 신호(ICKD)를 제공하도록 지연 회로(216)에 의해 지연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연 회로(216)는 커맨드 경로(230)에서의 회로의 전파 지연을 모델링한다. 리피터 회로(218)는, ICKD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ICKD' 클록 신호를 커맨드 레이턴시 회로(242)의 FF 회로(244(0) 내지 244(N))에 제공한다. 리피터 회로(218)는 ICKD' 클록 신호를 클록 라인을 통해 FF 회로(244(0) 내지 244(N))로 구동한다.
커맨드 경로(230)는 커맨드(CA<N:0>)를 수신하고 커맨드 신호(ICMD<N:0>)를 제공하는 수신기 회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 회로(232)는 도 1의 커맨드/어드레스 입력 회로(105)에 포함될 수 있다. 커맨드(CA<N:0>)는 (N+1) 커맨드 신호로 표현되는 (N+1) 이진수("비트")를 포함하고, 커맨드(ICMD<N:0>)는 (N+1) 커맨드 신호로 표현되는 (N+1) 비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N은 0이 아닌 양수이다. 수신기 회로(232)는 (N+1)개의 수신기 회로를 포함하고, 각 수신기 회로는 CA<N:0>의 커맨드 신호 각각을 수신하고 각 커맨드 신호(ICMD<N:0>)를 제공한다.
커맨드 신호(ICMD<N:0>)는 리피터 회로(234)에 제공되며, 리피터 회로는 커맨드 신호를 커맨드 라인을 통해 플립-플롭(FF) 회로(236)로 구동하도록 커맨드 신호(ICMD<N:0>')를 제공한다. 리피터 회로(234)는 (N+1)개의 리피터 회로의 복수의 그룹을 포함한다. (N+1)개의 리피터 회로의 각 그룹은 커맨드 신호(ICMD<N:0>) 중 하나를 위한 것이다. FF 회로(236)는, (N+1)개의 FF 회로를 포함하는데, 각 커맨드 신호(ICMD<N:0>')에 대하여 하나의 FF 회로를 포함한다. 커맨드 신호(ICMD<N:0>')는, FF 회로(236)에 의해 래칭되고 래칭된 커맨드 신호(CMDLAT<N:0>)로서 제공된다. FF 회로(236)는 클록 경로(210)의 리피터 회로(214)에 의해 제공되는 ICK' 클록 신호에 의해 클로킹된다. 이어서, 래칭된 커맨드 신호(CMDLAT<N:0>)가 리피터 회로(238)에 제공되며, 리피터 회로는 래칭된 커맨드 신호(CMDLAT<N:0>')를 커맨드 라인을 통해 커맨드 디코더 회로(240)로 구동한다. 리피터 회로(238)는, (N+1)개의 리피터 회로를 포함하는데, CMDLAT 신호의 각각에 대해 하나의 리피터 회로를 포함한다.
커맨드 디코더 회로(240)는 래칭된 커맨드 신호(CMDLAT<N:0>')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커맨드(CMDDEC)를 제공한다. 커맨드 디코더 회로(240)는 클록 경로(210)에 의해 제공되는 지연된 내부 클록(ICKD')에 의해 클로킹될 수 있다. 커맨드 레이턴시 회로(242)는, 디코딩된 커맨드(CMDDEC)를 수신하고, 커맨드 레이턴시 정보(LAT)에 따른 지연만큼 그 디코딩된 커맨드를 지연한다. 커맨드 레이턴시 정보(LAT)는, 클록 신호, 예를 들어, 클록 경로(210)에 제공되는 클록 신호(CK)의 다수의 클록 사이클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때 커맨드에 연관된 데이터는, 반도체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며(예를 들어, 연관된 판독 커맨드에 대한 판독 데이터에 해당) 또는 반도체 장치(100)에 의한 연관된 커맨드의 수신에 후속하여 반도체 장치(100)에 제공된다(예를 들어, 연관된 기입 커맨드에 대한 기입 데이터에 해당한다). 커맨드 레이턴시 정보(LAT)는, 커맨드(CA<N:0>)(예를 들어, 판독 커맨드 또는 기입 커맨드)에 따라 판독 레이턴시 정보(RL) 또는 기입 레이턴시 정보(WL)를 나타낼 수 있다.
리피터 회로(214)를 통한 수신기 회로(212)로부터의 전파 지연은 리피터 회로(234)를 통한 수신기 회로(232)로부터의 전파 지연과 정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CK(및 CKF) 클록 신호의 클록 에지가 수신기 회로(212)에 의해 수신되는 것과 동시에 커맨드(CA<N:0>)가 수신기 회로(232)에 의해 수신될 때, (클록 신호(ICLK')에 대한) 클록 에지는 그 커맨드에 대한 커맨드 신호(ICMD<N:0>')를 래칭하도록 FF 회로(236)를 클로킹한다. 리피터 회로(238)를 통한 전파 지연은 지연 회로(216)에 의해 모델링될 수 있어서, FF 회로(236)에 의해 제공되는 CMDLAT<N:0> 신호와 커맨드 디코더 회로(240)에 의해 수신되는 CMDLAT<N:0>' 신호 간의 임의의 지연은, ICK' 클록 신호와 지연된 클록 신호(ICKD) 간의 지연과 정합될 수 있다. 리피터 회로(238)와 지연 회로(216)의 지연이 정합함으로써, 커맨드(CA<N:0>)와 동시에 수신되는 CK 클록 신호의 클록 에지가 커맨드 디코더 회로(240)도 클로킹하여 그 커맨드에 대한 CMDLAT<N:0>' 신호를 디코딩하게 된다.
커맨드 레이턴시 회로(242)는, 지연된 클록 신호(ICKD')에 의해 클로킹되어 커맨드 레이턴시 회로(242)에 의해 제공되는 디코딩된 커맨드(CMDDEC)를 클로킹된 커맨드(CMDCK)로서 지연하는 복수의 FF 회로(244(0) 내지 244(N))를 포함한다. 지연된 클록 신호(ICKD)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록 경로(210)에 의해 제공된다. 클로킹된 커맨드(CMDCK)는 ICK' 클록 신호에 따라 FF 래치 회로(236)에 의한 ICMD<N:0>' 커맨드 신호의 래칭에 의해 CK(및 CKF) 클록 신호에 대한 타이밍을 갖고, 디코딩된 커맨드(CMDDEC)는 ICKD' 클록 신호에 의해 FF 회로(244(0) 내지 244(N))를 통해 클로킹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ICK, ICK', ICKD 및 ICKD' 클록 신호는 CK 및 CKF 클록 신호에 기초한다. 결과적으로, 클로킹된 커맨드(CMDCK)는 CK 클록 신호의 타이밍을 반영한다. 클로킹된 커맨드(CMDCK)는 CK 클록 도메인의 타이밍을 갖는 것이라고 칭할 수 있다. 클로킹된 커맨드(CMDCK)는 커맨드를 수행하기 위한 회로를 활성화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독 커맨드에 대해, 클로킹된 커맨드(CMDCK)는, (예를 들어, IO 회로(160)의) 출력 회로를 활성화하여 판독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클로킹된 커맨드(CMDCK)는, 동기화 커맨드(CMDSYNC)를 클록 동기화 회로(270)에 제공하도록 커맨드 라인을 통해 클로킹된 커맨드(CMDCK)를 구동하는 리피터 회로(246)에 제공된다. 동기화 커맨드(CMDSYNC)는, 클로킹된 커맨드(CMDCK)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CK 클록 신호 및 CKF 클록 신호에 대한 타이밍 관계도 갖는다. 클록 동기화 회로(2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서 FF 회로일 수 있다. FF 회로와는 다른 회로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클록 동기화 회로(270)에 포함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동기화 커맨드(CMDSYNC)는 클록 동기화 회로(270)를 클로킹하는 데 사용된다. 클록 동기화 회로(270)는, 데이터 클록 경로(250)에 의해 제공되는 IWCK90D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을 래칭하고, 래칭된 IWCK90D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을 갖는 출력 신호(SYNCINFO)를 제공한다. 커맨드 신호(ICMD<N:0>, ICMD<N:0>', CMDLAT<N:0>, CMDLAT<N:0>'), 디코딩된 커맨드(CMDDEC), 클로킹된 커맨드(CMDCK), 및 동기화 커맨드(CMDSYNC)는, 커맨드(CA<N:0>)에 기초하는 내부 커맨드로 간주할 수 있다.
데이터 클록 경로(250)는 수신기 회로(252)로부터 상보적 내부 클록 신호(IWCK 및 IWCKF)를 수신한다. 수신기 회로(252)는, 상보적 클록 신호(WCK 및 WCKF)를 수신하고,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상보적 내부 클록 신호(IWCK 및 IWCKF)를 제공한다. 수신기 회로(252)는 도 1의 클록 입력 회로(120)에 포함될 수 있다. IWCK 클록 신호 및 IWCKF 클록 신호는,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통칭하여 다상 클록 신호(IWCKn)라고 함)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클록 분할기 회로(254)에 제공된다. 다상 클록 신호는, 서로에 대한 상대 위상을 갖고,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보다 작은 클록 주파수를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서, IWCK0, IWCK90, IWCK180 및 IWCK270 클록 신호는 서로 90도의 상대 위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IWCK90 클록 신호는 IWCK0 클록 신호에 대해 90도의 위상을 갖고, IWCK180 클록 신호는 IWCK0 클록 신호에 대해 180도의 위상(및 IWCK90 클록 신호에 대해 90도의 위상)을 갖고, IWCK270 클록 신호는 IWCK0 클록 신호에 대해 270도의 위상(및 IWCK180 클록 신호에 대해 90도의 위상)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는 "직교" 위상 클록 신호라고 칭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서, IWCK0, IWCK90, IWCK180 및 IWCK270 클록 신호는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의 절반인 클록 주파수를 갖는다.
다상 클록 신호는 리피터 회로(256)에 제공된다. 리피터 회로(256)는 다상 클록 신호(IWCKn)의 각각에 대한 리피터 회로를 포함한다. 리피터 회로(256)는, 클록 분할기 회로(254)로부터 클록 분배 회로(258)로 클록 라인을 통해 다상 클록 신호(IWCKn)를 구동한다. 클록 분배 회로(258)는 다상 클록 신호(IWCKn)를 다상 클록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양한 회로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다상 클록 신호(IWCKn)는, 데이터를 제공 및 수신하도록(도 2에서 "DQ 블록으로"라고 되어 있음) 클록 입력/출력 회로(도 2에 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될 수 있다. 클록 분배 회로(258)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클록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는 회로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서, 클록 분배 회로(258)는, 다상 클록 신호(IWCKn)에 고 전압의 고 클록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고 클록 레벨의 전압 레벨을 저 전압에서 고 전압으로 시프트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리피터(256)에 의해 제공되는 다상 클록 신호의 고 클록 레벨의 전압 레벨은, 클록 분배 회로(258)에 의해 제공되는 다상 클록 신호(IWCKn)의 고 클록 레벨의 전압 레벨보다 작을 수 있다.
클록 분배 회로(258)로부터의 다상 클록 신호(IWCKn(IWCK0, IWCK90, IWCK180 및 IWCK270)) 중 적어도 하나가 지연 회로(260)에 또한 제공된다. 지연 회로(260)는, 클록 분배 회로(258)에 의해 제공되는 다상 클록 신호에 대한 지연을 갖는 클록 신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서, IWCK90 클록 신호는, IWCK90 클록 신호에 대한 지연을 갖는 IWCK90D 클록 신호를 제공하는 지연 회로(260)에 제공된다. 지연 시간은, 클록 경로(210)에 의해 제공되는 클록 신호(ICK, ICK', ICKD 및 ICKD')에 의해 클로킹될 때 데이터 클록 경로(250)의 경로 지연과 커맨드 경로(230)의 경로 지연 간의 차에 기초할 수 있다. 경로 지연은 일반적으로 경로를 통한 신호의 전파 지연이다. 데이터 클록 경로(250)의 경로 지연은, 수신기 회로(252)로부터 지연 회로(260)를 통해 클록 동기화 회로(270)로 향하는 전파 지연이다. 커맨드 경로(230)의 경로 지연은 수신기 회로(232)로부터 리피터(246)를 통해 클록 동기화 회로(270)로 향하는 전파 지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록 분할기 회로(254)는 IWCK 클록 신호 및 IWCKF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IWCK 클록 신호 및 IWCKF 클록 신호는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IWCK 클록 신호 및 IWCK 클록 신호는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와 동일한 클록 주파수를 가지며, IWCK 클록 신호는 WCK 클록 신호에 대응하고, IWCKF 클록 신호는 WCKF 클록 신호에 대응한다.
클록 분할기 회로(254)에 의해 제공되는 다상 클록 신호(IWCKn)는, 서로에 대한 상대 위상을 가지며,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및 IWCK 클록 신호 및 IWCKF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보다 작은 클록 주파수를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서, 다상 클록 신호는 IWCK 클록 신호 및 IWCKF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의 절반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다상 클록 신호(IWCKn)의 1개의 클록 사이클에 대하여 IWCK 클록 신호 및 IWCKF 클록 신호의 2개의 클록 사이클이 존재한다.
클록 분할기 회로(254)에 의해 제공되는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및 IWCK270)는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에 대한 2개의 위상 관계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제1 위상 관계와 제2 위상 관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위상 관계에서, IWCK0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320)는 IWCK(및 WCK) 클록 신호의 제1 상승 에지(310)에 연관되고, IWCK90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322)는 IWCK/WCK 클록 신호의 제1 하강 에지(312)에 연관되고, IWCK180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324)는 IWCK/WCK 클록 신호의 제2 상승 에지(314)에 연관되고, IWCK270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326)는 IWCK/WCK 클록 신호의 제2 하강 에지(316)에 연관된다. 제1 위상 관계는 "순차적"(in order) 위상 관계라고 칭할 수 있다.
제2 위상 관계에서, IWCK0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330)는 IWCK(및 WCK) 클록 신호의 제1 상승 에지(310)에 연관되고, IWCK90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332)는 IWCK/WCK 클록 신호의 제1 하강 에지(312)에 연관되고, IWCK180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334)는 IWCK/WCK 클록 신호의 제2 상승 에지(314)에 연관되고, IWCK270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336)는 IWCK/WCK 클록 신호의 제2 하강 에지(316)에 연관된다. 제2 위상 관계는 "비순차적"(out of order) 위상 관계라고 칭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위상 관계는, WCK 및 WCKF(및 IWCK 및 IWCKF)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가 변할 때에도, 예를 들어, IWCK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316)에 후속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록 주파수가 증가할 때에도, 유지된다.
클록 분할기 회로(254)에 의해 제공되는 다상 클록 신호(IWCKn)의 위상 관계는, 결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알려지지 않을 수 있다. 다상 클록 신호(IWCKn)의 위상 관계는, 예를 들어, 다상 클록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평가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클록 동기화 회로(270)에 의해 제공되는 출력 신호(SYNCINFO)는 다상 클록 신호(IWCKn)의 위상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서, 출력 신호(SYNCINFO)의 논리 레벨은 다상 클록 신호(IWCKn)의 위상 관계를 나타낸다.
다상 클록 신호(IWCKn)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반도체 장치(100)의 적절한 동작이 위상 관계들 중 하나의 위상 관계를 갖는 다상 클록 신호에 기초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상 클록 신호가 "순차적" 위상 관계를 가질 때 반도체 장치(100)에 의해 판독 데이터가 적절히 제공될 수 있고 기입 데이터가 적절히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다상 클록 신호(IWCKn)가 "비순차적" 위상 관계를 갖는 것으로 결정되면, 다상 클록 신호들 중 다양한 다상 클록 신호가 "순차적"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순차적 다상 클록 신호들 중 IWCK180 클록 신호와 IWCK0 클록 신호가 스위칭될 수 있고, 비순차적 다상 클록 신호들 중 IWCK270 클록 신호와 IWCK90 클록 신호가 스위칭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순차적" 다상 클록 신호는 "순차적" 다상 클록 신호들로 스위칭된다.
출력 신호(SYNCINFO)의 논리 레벨이 다상 클록 신호들의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서, 출력 신호(SYNCINFO)는 다상 클록 신호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논리 회로 또는 다른 회로를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신호(SYNCINFO)가 다상 클록 신호들이 "순차적" 위상 관계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제1 논리 레벨을 갖는 경우, 제어 논리 회로는 다상 클록 신호를 스위칭하지 않도록 스위칭 회로(예를 들어, 멀티플렉서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출력 신호(SYNCINFO)가 다상 클록 신호들이 "비순차적" 위상 관계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논리 레벨을 갖는 경우, 제어 논리 회로는, "비순차적" 다상 클록 신호가 "순차적" 다상 클록 신호로 스위칭되도록,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다상 클록 신호를 스위칭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출력 신호(SYNCINFO)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다르게 사용될 수 있고, 다상 클록 신호의 위상 관계를 정정하는 방안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또한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정확한 위상 관계를 갖는 다상 신호를 제공하도록 클록 분할기 회로를 제어하고, 다상 클록 신호를 반전하는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클록 분할기 회로(400)의 개략도이다. 클록 분할기 회로(400)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서 클록 분할기 회로(254)로서 사용될 수 있다. 클록 분할기 회로(400)는, 상보적 클록 신호(IWCK 및 IWCKF)를 수신하고 상보적 클록 신호(ICLK 및 ICLKF)를 제공하는 수신기 회로(405)를 포함한다. ICLK 클록 신호 및 ICLKF 클록 신호는 플립-플롭(FF) 회로(410 및 420)의 클록 입력에 제공된다. FF 회로(410 및 420)는, ICLK 클록 신호 및 ICLKF 클록 신호에 의해 클로킹되어 각각의 데이터 입력(D 및 DF)에서 상보적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출력(Q 및 QF)에서 상보적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IWCK0' 클록 신호는 FF 회로(410)의 데이터 출력(Q)에 제공되고, IWCK90' 클록 신호는 FF 회로(420)의 데이터 출력(Q)에 제공되고, IWCK180' 클록 신호는 FF 회로(410)의 데이터 출력(QF)에 제공되고, IWCK270' 클록 신호는 FF 회로(420)의 데이터 출력(QF)에 제공된다. IWCK0' 클록 신호는 FF 회로(420)의 데이터 입력(D)에 제공되고, IWCK90' 클록 신호는 FF 회로(410)의 데이터 입력(DF)에 제공되고, IWCK180' 클록 신호는 FF 회로(420)의 데이터 입력(DF)에 제공되고, IWCK270' 클록 신호는 FF 회로(410)의 데이터 입력(D)에 제공된다. 클록 분할기 회로(400)는 멀티플렉서(MPX)(430 내지 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PX(431 및 432) 각각은 IWCK0' 클록 신호 및 IMC180' 클록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MPX(432 및 433) 각각은 IWCK90' 클록 신호 및 IWCK270' 클록 신호를 수신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SYNCINFO 신호가 저 논리 레벨인 경우, MPX(430, 431, 432 및 433)는, 각각, IWCK0' 클록 신호를 IWCK0 클록 신호로서, IWCK180' 클록 신호를 IWCK180 클록 신호로서, IWCK90' 클록 신호를 IWCK90 클록 신호로서, IWCK270' 클록 신호를 IWCK270 신호로서 선택 및 출력할 수 있다. 반면, SYNCINFO 신호가 고 논리 레벨인 경우, MPX(430, 431, 432, 433)는, 각각, IWCK180' 클록 신호를 IWCK0 클록 신호로서, IWCK0' 클록 신호를 IWCK180 클록 신호로서, IWCK270' 클록 신호를 IWCK90 클록 신호로서, IWCK90' 클록 신호를 IWCK270 클록 신호로서 선택 및 출력할 수 있다.
클록 분할기 회로(400)의 동작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작 시, 클록 분할기 회로(400)는 서로 90도의 상대 위상을 갖는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및 IWCK270)를 제공한다. 다상 클록 신호는 IWCK 클록 신호 및 IWCKF 클록 신호에 기초하며, 이러한 클록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에 기초할 수 있다. 클록 분할기 회로(400)는, IWCK 클록 신호 및 IWCKF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의 절반인 클록 주파수를 갖는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IWCK 클록 신호 및 IWCKF 클록 신호의 2개의 클록 사이클은 다상 클록 신호의 1개의 클록 사이클과 동일한 시간이 걸린다.
IWCK와 IWCKF(및 ICLK와 ICLKF) 클록 신호가 고 클록 레벨과 저 클록 레벨 간에 클로킹될 때, FF 회로(410 및 420)는, 각각의 데이터 협력(D, DF)에 인가되는 논리 레벨을 수신하고 각각의 데이터 출력(Q, QF)에서 논리 레벨을 제공하도록 클로킹된다. 출력의 논리 레벨이 변함에 따라, 각각의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및 IWCK270')가 인가되는 데이터 입력(D, DF)에서의 논리 레벨이 변경된다. 그 결과, IWCK 클록 신호와 IWCKF 클록 신호가 다시 고 클록 레벨과 저 클록 레벨 간에 클로킹되는 경우, 각각의 데이터 입력(D, DF)에서의 새로운 논리 레벨이 수신되어 각각의 데이터 출력(Q, QF)에서 제공된다. IWCK 클록 신호 및 IWCKF 클록 신호의 연속적 클로킹으로 인해, 데이터 입력과 데이터 출력에서의 논리 레벨이 지속적으로 주기적으로 변경된다. FF 회로(410 및 420)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인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및 IWCK270)는 IWCK 및 IWCKF(및 ICLK 및 ICLKF)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의 절반을 갖는다.
클록 분할기 회로(400)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2개의 위상 관계 중 하나를 갖는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클록 분할기 회로(400)는, 다상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가 IWCK 클록 신호의 클록 에지에 연관된 (예를 들어, "순차적") 제1 위상 관계를 갖거나 다상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가 IWCK 클록 신호의 클록 에지에 연관된 (예를 들어, "비순차적") 제2 위상 관계를 갖는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와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의 위상 관계는, 동기화 커맨드(CMDSYNC)가 활성화될 때 IWCK90D 클록 신호를 평가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동기화 커맨드(CMDSYNC)가 활성화되면, 클록 동기화 회로(270)는 IWCK90D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을 래칭하고 래칭된 논리 레벨을 출력 신호(SYNCINFO)로서 제공하도록 클로킹된다.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출력 신호(SYNCINFO)의 결과적인 논리 레벨은, 다상 클록 신호가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와의 제1 위상 관계를 갖는지 또는 제2 위상 관계를 갖는지를 나타낸다.
도 5와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의 장치의 동작에 관련된 다양한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5와 도 6은 판독 커맨드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판독 동작과 관련하여 다양한 신호를 도시한다. 판독 데이터(DQ)는 판독 커맨드의 수신에 관하여 판독 레이턴시 정보(RL)에 의해 정의된 시각에 제공된다.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 5는 제1 위상 관계("순차적")를 나타내고, 도 6은 제2 위상 관계("비순차적")를 나타낸다. 출력 신호(SYNCINFO)의 논리 레벨은 결정된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논리 레벨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5는 "순차적" 제1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저 논리 레벨을 갖는 출력 신호(SYNCINFO)를 도시하고, 도 6은 "비순차적" 제2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고 논리 레벨을 갖는 출력 신호(SYNCINFO)를 도시한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판독 커맨드(READ)는 시각(T0)에 CK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수신기 회로(232)에 의해 수신된다. (커맨드(CA<N:0>)로 표현되는) 판독 커맨드(READ)는 리피터 회로(234)를 통해 FF 회로(236)에 제공된다. 시각(T0)에서의 CK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는, 판독 커맨드를 래칭하도록 FF 회로(236)를 클로킹하기 위한 ICK 및 ICKF 클록 신호로서 제공된다. 래칭된, 판독 커맨드는 리피터 회로(238)를 통해 커맨드 디코더 회로(240)에 제공되고, (시각(T0)에서의 CK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에 대응하는) ICK의 상승 에지는, 판독 커맨드를 디코딩하는 커맨드 디코더 회로(240)를 클로킹하기 위한 ICKD 클록 신호로서 사용되도록 지연 회로(216)에 의해 지연된다. 디코더 회로(240)는, 판독 레이턴시 정보(RL)에 따라 디코딩된 판독 커맨드에 지연을 추가하도록, 디코딩된 판독 커맨드를 커맨드 레이턴시 회로(242)에 제공한다. FF 회로(244(0) 내지 244(N))는, 디코딩된 판독 커맨드를 커맨드 레이턴시 회로(242)를 통해 시프트하도록 ICKD 클록 신호에 의해 클로킹된다. FF 회로(244(0))는, 시각(T0)에서의 CK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에 대응하는 ICKD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에 의해 클로킹된다. 판독 커맨드(READ)의 전파는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본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시각(T1)에서,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가 활성화된다. 활성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는 고 클록 레벨과 저 클록 레벨 간에 주기적으로 변경된다. 시각(T1) 전에,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는 일정한 클록 레벨에서 유지되며, 이를 "정적 기간"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서, WCK 클록 신호는 CK 클록 신호의 1.5배 클록 사이클(즉, 1.5tCK)의 정적 기간 동안 저 클록 레벨에서 유지된다.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에 대한 정적 기간은, WCK 클록 신호의 초기 상승 에지 앞에 있는 화살표 및 WCK 클록 신호의 초기 하강 에지 앞에 있는 화살표에 의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정적 기간은 도 5에서 1.5tCK로 도시되어 있지만, 정적 기간의 길이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이할 수 있다.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는, 초기에 제1 클록 주파수에서 제공되지만, 나중에 제1 클록 주파수보다 높은 제2 클록 주파수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는 1개의 클록 사이클 동안 제1 클록 주파수에서 제공되고 이어서 제1 주파수의 두 배의 주파수에서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는 수신기 회로(252)를 통해 클록 분할기 회로(254)에 제공된다. 클록 분할기 회로(254)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 위상을 갖고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보다 낮은 클록 주파수를 갖는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를 제공한다. 도 5는, IWCK0, IWCK90, IWCK180, IWCK270 클록 신호가 서로에 대해 90도 위상을 갖고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의 절반인 클록 주파수를 갖는 본 개시내용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서, 시각(T3)에서의 IWCK0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는 시각(T1)에서의 WCK 클록 신호의 제1 상승 에지에 연관되고, 시각(T4)에서의 IWCK90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는 시각(T2)에서의 WCK 클록 신호의 제1 하강 에지에 연관되고, IWCK180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는 WCK 클록 신호의 제2 상승 에지에 연관되고, IWCK270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는 WCK 클록 신호의 제2 하강 에지에 연관된다.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는 클록 분배 회로(258)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 및 수신하는 클록 입력/출력 회로에 제공된다. IWCK90 클록 신호는, 시각(T6)에서 IWCK90D 클록 신호를 클록 동기화 회로(270)에 제공하도록 지연 회로(260)에 의해 지연된다.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의 정적 기간은,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다상 클록 신호 및 IWCK90D 클록 신호에 대한 클록 경로를 통해 전파된다. 지연 회로(260)의 지연을 포함하는, IWCK90 클록 신호와 IWCK90D 클록 신호 간의 지연은, 시각(T4)과 시각(T6) 사이에 해당한다. 수신기 회로(252)로부터 지연 회로(260)를 통한 클록 경로의 총 경로 지연은 시각(T1)과 시각(T6) 사이에 해당한다.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가 클록 경로에 제공되고 다상 IWCK0, IWCK90, IWCK180 및 IWCK270 클록 신호가 입력/출력 회로에 제공되는 동안뿐만 아니라 IWCK90D 클록 신호가 클록 동기화 회로(270)에 제공되는 동안, 판독 커맨드는, ICKD 클록 신호에 의해 커맨드 레이턴시 회로(242)를 통해 디코딩된 커맨드 CMDDEC로서 시프트되는 것을 포함하여 커맨드 경로(230)를 통해 계속 전파된다. 판독 커맨드는, 마지막 FF 회로(244(N))에 의해 클로킹되어 커맨드(CMDCK)로서 제공되고, 이어서 리피터 회로(246)를 통해 클록 동기화 회로(270)에 동기화 커맨드(CMDSYNC)로서 제공된다. 동기화 커맨드(CMDSYNC)의 상승 에지는 도 5에서 시각(T5)에 도시되어 있다. 동기화 커맨드(CMDSYNC)의 상승 에지는 시각(T0)에서 수신된 판독 커맨드에 대응한다. 판독 레이턴시 정보(RL)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판독 커맨드에 대한 판독 데이터(DQ)는 시각(T7)에서 제공된다.
시각(T5)에서의 동기화 커맨드(CMDSYNC)의 상승 에지는 클록 동기화 회로(270)를 클로킹하여 IWCK90D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을 래칭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커맨드(CMDSYNC)는 IWCK90D 클록 신호의 정적 기간 동안 클록 동기화 회로(270)를 클로킹한다. 시각(T5)에서, IWCK90D는 저 논리 레벨이며,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신호(SYNCINFO)의 논리 레벨이 시각(T5)에 후속하여 낮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 논리 레벨 출력 신호(SYNCINFO)는,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와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 간의 "순차적" 위상 관계를 나타낸다. "순차적" 위상 관계의 표시는, 시각(T1)에서의 WCK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에 연관된 시각(T3)에서의 IWCK0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와 일치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클록 분할기 회로(400)는 "순차적" 위상 관계를 갖는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를 계속 생성한다.
정적 기간 동안 다상 클록 신호들 중 하나(예를 들어, IWCK90D 클록 신호)를 평가함으로써,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의 위상 관계는, 정적 기간 이후까지 대기하는 것보다, 예를 들어, 다상 클록 신호가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와 동기화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보다 빨리 결정될 수 있다. 정적 기간 동안 다상 클록 신호를 평가하는 것은, 또한, 정적 기간 후에 결정하는 것보다 큰 타이밍 마진으로 위상 관계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정적 기간에 후속하여, 클록 신호의 듀티 사이클 왜곡, 프로세스로 인한 경로 지연의 타이밍 편차, 전압 및 온도의 변동 등에 의해 타이밍 마진이 좁아질 수 있다.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와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 간의 "비순차적" 위상 관계의 일례를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시각(T3)에서의 IWCK0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가 시각(T1)에서의 WCK 클록 신호의 제1 상승 에지에 연관되고, 시각(T4)에서의 IWCK90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가 시각(T2)에서의 WCK 클록 신호의 제1 하강 에지에 연관되고, IWCK180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가 WCK 클록 신호의 제2 상승 에지에 연관되고, IWCK270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가 WCK 클록 신호의 제2 하강 에지에 연관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5의 타이밍 도와 유사하다. 대조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각(T3)에서의 IWCK0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는 시각(T1)에서의 WCK 클록 신호의 제1 상승 에지에 연관되고, 시각(T4)에서의 IWCK90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는 시각(T2)에서의 WCK 클록 신호의 제1 하강 에지에 연관된다.
WCK90 클록 신호는 IWCK90D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지연 회로(260)를 통해 제공된다. 시각(T4)에서의 IWCK90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는 시각(T6)에서의 IWCK90D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를 초래한다. IWCK90 클록 신호의 고 논리 레벨 정적 기간은, 시각(T6)에서의 IWCK90D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에 선행하는 도 6에 도시된 IWCK90D 클록 신호의 고 논리 레벨 정적 기간을 초래한다.
도 5의 예에서와 같이, 시각(T0)에서의 판독 커맨드(READ)는 시각(T5)에서의 동기화 커맨드(CMDSYNC)의 상승 에지를 초래한다. 판독 레이턴시 정보(RL)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판독 커맨드(READ)에 대한 판독 데이터(DQ)는 시각(T7)에 제공된다. 시각(T5)에서의 동기화 커맨드(CMDSYNC)의 상승 에지는, 시각(T5)에서의 IWCK90D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을 래칭하도록 클록 동기화 회로(270)를 클로킹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커맨드(CMDSYNC)는 IWCK90D 클록 신호의 정적 기간 동안 클록 동기화 회로(270)를 클로킹한다. IWCK90D 클록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IWCK90D 클록 신호의 정적 기간 동안 시각(T6) 전에 고 논리 레벨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클록 동기화 회로(270)는 시각(T5)에 후속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 논리 레벨을 갖는 출력 신호(SYNCINFO)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 논리 레벨 출력 신호(SYNCINFO)는, WCK 클록 신호 및 WCKF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의 "비순차적" 위상 관계를 나타낸다. "비순차적" 위상 관계의 표시는, 시각(T1)에서의 WCK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에 연관된 시각(T3)에서의 IWCK0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와 일치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SYNCINFO 신호의 고 논리 레벨은, 클록 분할기 회로(400)가 다상 클록 신호(IWCK0, IWCK90, IWCK180, IWCK270)를 "비순차적" 위상 관계로부터 "순차적" 위상 관계로 변경하게 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피터 회로(700)의 개략도이다. 리피터 회로(700)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클록 경로(210), 커맨드 경로(220), 및/또는 데이터 클록 경로(250)에서 리피터 회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리피터 회로(700)는 인버터 회로(710) 및 인버터 회로(720)를 포함한다. 인버터 회로(710 및 720)는 직렬 연결된다. 인버터 회로(710 및 720) 각각은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입력 신호의 보수인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인버터 회로가 논리 레벨이 높은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인버터 회로는 논리 레벨이 낮은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반대로, 인버터 회로가 논리 레벨이 낮은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 인버터 회로는 논리 레벨이 높은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입력 신호의 보수를 출력 신호(OUT)로서 제공함에 있어서, 인버터 회로는 출력 신호(OUT)를 고 논리 레벨 및 저 논리 레벨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구동한다.
동작 시, 입력 신호(IN)가 인버터 회로(710)에 제공된다. 인버터 회로(710)는 입력 신호(IN)의 상보적 논리 레벨을 갖는 출력 신호(OUTIN)를 제공한다. 출력 신호(OUTIN)는 인버터 회로(720)에 입력 신호로서 제공된다. 인버터 회로(720)는 입력 신호(OUTIN)의 상보적 논리 레벨을 갖는 출력 신호(OUT)를 제공한다. 입력 신호(IN)를 반전하여 출력 신호(OUTIN)를 제공한 후 출력 신호(OUTIN)를 반전하여 출력 신호((OUT)를 제공한 결과, 리피터 회로(700)에 의해 제공되는 결과 출력 신호(OUT)는, 입력 신호(IN)와 동일한 논리 레벨을 갖고, 논리 레벨의 전체 전압으로 구동되었다. 입력 신호(IN)는 동일한 논리 레벨을 해당 논리 레벨의 전체 전압으로 구동함으로써 반복되었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를 예시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서, 장치는, 클록 경로, 커맨드 경로, 데이터 클록 경로, 및 클록 동기화 회로를 포함한다. 클록 경로는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내부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커맨드 경로는, 커맨드를 수신하고, 내부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커맨드 경로를 통해 커맨드를 전파하고, 클록 신호의 타이밍을 반영하는 타이밍을 갖는 내부 커맨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클록 경로는, 데이터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클록 경로는, 또한,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클록 동기화 회로는,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내부 커맨드에 응답하여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을 래칭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 클록 경로는, 데이터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클록 분할기 회로를 포함하고, 여기서 다상 클록 신호는 서로에 대한 위상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서로에 대해 위상을 갖는 다상 클록 신호는 직교 위상 클록 신호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클록 분할기 회로는, 데이터 클록 신호와의 제1 위상 관계 또는 데이터 클록 신호와의 제2 위상 관계를 갖는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은 제1 위상 관계에 대한 제1 논리 레벨이고,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은 제2 위상 관계에 대한 제2 논리 레벨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 클록 경로는, 다상 클록 신호들 중 하나의 다상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그 하나의 다상 클록 신호를 지연하여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지연 회로를 더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클록 동기화 회로는,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을 래칭하기 위해 내부 커맨드에 의해 클로킹되도록 구성된 플립-플롭 회로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커맨드 경로는, 내부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커맨드 신호를 래칭하고 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플립-플롭 회로를 포함한다. 커맨드 디코더는, 플립-플롭 회로에 연결되고, 래칭된 커맨드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커맨드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내부 커맨드는 디코딩된 커맨드 신호에 기초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커맨드 경로는, 커맨드 디코더에 연결되고 디코딩된 커맨드 신호에 지연을 추가하도록 구성된 커맨드 레이턴시 회로를 더 포함한다. 지연은 레이턴시 정보에 의해 정의되고, 디코딩된 커맨드 신호는, 클록 경로에 의해 제공되는 지연된 내부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커맨드 레이턴시 회로를 통해 시프트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일 양태에서, 장치는, 클록 경로, 데이터 클록 경로, 커맨드 경로, 및 클록 동기화 회로를 포함한다. 클록 경로는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내부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클록 경로는, 데이터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서로 상대적인 위상을 갖는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고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를 또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클록 신호는 데이터 클록 신호의 활성화에 선행하는 정적 기간을 갖고,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는 동일한 정적 기간을 갖는다. 커맨드 경로는, 커맨드 및 내부 클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클록 신호의 클록 도메인에서 타이밍을 갖는 내부 커맨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클록 동기화 회로는, 지연된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커맨드 경로로부터의 활성 내부 커맨드에 의해 클로킹되어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를 래칭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클록 경로의 경로 지연 및 커맨드 경로의 경로 지연은, 지연된 클록 신호의 정적 기간 동안 활성 내부 커맨드를 FF 회로에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커맨드 경로는 플립-플롭 회로, 커맨드 디코더, 및 커맨드 레이턴시 회로를 포함한다. 플립-플롭 회로는 내부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커맨드 신호를 래칭하고 래칭된 커맨드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커맨드 디코더는, 래칭된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고 래칭된 커맨드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커맨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커맨드 레이턴시 회로는, 디코딩된 커맨드를 수신하고 지연된 내부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디코딩된 커맨드를 시프트하여 내부 커맨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 클록 신호의 정적 기간은 클록 신호의 클록 사이클에 기초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 클록 경로는, 데이터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직교 위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클록 분할기 회로를 포함한다. 직교 위상 클록 신호는 데이터 클록 신호보다 낮은 클록 주파수를 갖는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직교 위상 클록 신호는 데이터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의 절반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클록 동기화 회로는 래칭된 지연 데이터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래칭된 지연 데이터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은 다상 클록 신호와 데이터 클록 신호의 위상 관계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일 양태에서, 장치는 데이터 클록 경로, 커맨드 경로, 및 클록 동기화 회로를 포함한다. 데이터 클록 경로는, 데이터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상 클록 신호는 데이터 클록 신호와의 제1 위상 관계 또는 제2 위상 관계를 갖는다. 데이터 클록 경로는, 또한, 다상 클록 신호들 중 하나의 다상 클록 신호에 대하여 지연을 갖는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커맨드 경로는, 커맨드를 수신하고 커맨드를 디코딩하고 내부 클록 도메인에서 타이밍을 갖는 내부 커맨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클록 동기화 회로는,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의 정적 기간 동안 논리 레벨을 래칭하도록 내부 커맨드에 의해 클로킹되고, 데이터 클록 신호에 대한 다상 클록 신호의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논리 레벨을 갖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 클록 경로는, 데이터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클록 분할기 회로를 포함한다. 클록 분할기 회로는, 데이터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 데이터 클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회로를 포함하고, 직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플립-플롭(FF) 회로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FF 회로는, 활성 내부 커맨드가 활성화될 때 클로킹되도록 구성된다. 제1 FF 회로는 제1 및 제2 다상 클록 신호를 제2 FF 회로의 데이터 입력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2 FF 회로는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를 제1 FF 회로의 데이터 입력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커맨드 경로는 커맨드 경로 지연을 갖고, 데이터 클록 경로는 데이터 클록 경로 지연을 갖는다. 커맨드 경로 지연 및 데이터 클록 경로 지연에 의해,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의 정적 기간 동안 활성화된 내부 커맨드가 커맨드 경로에 의해 클록 동기화 회로에 제공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 클록 경로는, 다상 클록 신호들 중의 다상 클록 신호에 대한 지연된 다상 클록 신호의 지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지연 회로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커맨드 경로는 내부 클록 신호 및 지연된 내부 클록 신호에 의해 클로킹되도록 구성된다. 내부 클록 신호 및 지연된 내부 클록 신호는 내부 클록 도메인에서 각각의 타이밍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메모리 어레이 및 입력/출력 회로가 추가로 포함된다. 메모리 어레이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고, 복수의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메모리 셀로부터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입력/출력 회로는, 내부 커맨드에 의해 활성화되고 다상 클록 신호에 의해 클로킹될 때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제공하고 메모리 어레이에 저장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일 양태에서, 방법은, 데이터 클록 신호가 활성화되기 전에 일정한 클록 레벨을 갖는 데이터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다상 클록 신호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상 클록 신호는 데이터 클록 신호와 위상 관계를 갖는다. 다상 클록 신호들 중 하나의 다상 클록 신호는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지연된다.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는 활성화되는 데이터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된다.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은,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가 활성화되기 전에 래칭된다.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은, 다상 클록 신호와 데이터 클록 신호의 위상 관계를 나타낸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다상 클록 신호들을 제공하는 단계는, 데이터 클록 신호의 제1 상승 에지에 연관된 클록 에지를 갖는 제1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데이터 클록 신호의 제1 하강 에지에 연관된 클록 에지를 갖는 제2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데이터 클록 신호의 제2 상승 에지에 연관된 클록 에지를 갖는 제3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데이터 클록 신호의 제2 하강 에지에 연관된 클록 에지를 갖는 제4 다상 클록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의 클록 에지는 상승 에지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의 클록 에지는 하강 에지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위상 관계는, 상승 에지인 제1, 제2,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의 클록 에지에 의해 표현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위상 관계는, 하강 에지인 제1, 제2,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의 클록 에지에 의해 표현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 클록 신호는 정적 기간 동안 일정한 클록 레벨을 갖고,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는 활성화에 선행하는 정적 기간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가 활성화되기 전에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을 래칭하는 단계는,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의 정적 기간 동안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을 래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커맨드 경로에서 커맨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커맨드를 디코딩하여 내부 커맨드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의 논리 레벨은, 내부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지연된 데이터 클록 신호가 활성화되기 전에 래칭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일 양태에서, 방법은, 커맨드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내부 커맨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상 클록 신호는 데이터 클록 단자에서 수신된 데이터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제공된다. 데이터 클록 신호는 정적 기간을 갖고, 다상 클록 신호는 데이터 클록 신호와 복수의 위상 관계 중 하나의 위상 관계를 갖는다. 내부 커맨드에 응답하여, 다상 클록 신호 중 지연된 하나의 다상 클록 신호의 정적 기간 동안 다상 클록 신호 중 그 지연된 하나의 다상 클록 신호가 평가된다. 다상 클록 신호들 중 지연된 하나의 다상 클록 신호의 정적 기간은 데이터 클록 신호의 정적 기간에 기초한다. 다상 클록 신호와 데이터 클록 신호의 복수의 위상 관계 중 하나의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논리 레벨을 갖는 출력 신호가 제공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 클록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된다. 내부 커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커맨드 경로의 커맨드를 디코딩하여 내부 커맨드를 제공하고 내부 커맨드를 내부 클록 신호에 따라 커맨드 경로를 통해 전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다상 클록 신호들을 제공하는 단계는 서로 90도 위상 관계를 갖는 클록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 클록 신호와의 복수의 위상 관계는 제1 위상 관계 및 제2 위상 관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출력 신호가 제1 위상 관계를 나타낼 때 제1 위상 관계를 갖는 다상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출력 신호가 제2 위상 관계를 나타낼 때 다상 신호를 제2 위상 관계로부터 제1 위상 관계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위상 관계는 순차적 위상 관계를 포함하고, 제2 위상 관계는 비순차적 위상 관계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내부 커맨드에 응답하여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메모리 어레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른 변형예들은 본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전술한 특정하게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7)

  1. 단일 반도체 칩에 통합된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으로서,
    복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어레이;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커맨드 및 어드레스 단자들, 클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클록 단자, 데이터 클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클록 단자, 및 상기 커맨드 및 어드레스 단자들에 공급되는 판독 커맨드 및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부터의 판독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커맨드 및 어드레스 단자들에 공급되는 기록 커맨드 및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의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들을 포함하는 외부 단자들;
    상기 데이터 클록 신호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내부 데이터 클록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노드 및 제1, 제2, 제3 및 제4 출력 노드를 포함하는 클록 분할기 회로 - 상기 클록 분할기 회로는 상기 내부 데이터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다상 클록 신호, 상기 제1 다상 클록 신호에 대해 90도의 위상을 갖는 제2 다상 클록 신호, 상기 제1 다상 클록 신호에 대해 180도의 위상을 갖는 제3 다상 클록 신호, 및 상기 제1 다상 클록 신호에 대해 270도의 위상을 갖는 제4 다상 클록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가 제1 레벨을 취할 때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출력 노드에 각각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제2 레벨을 취할 때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출력 노드에 각각 상기 제3, 제4, 제1, 및 제2 다상 클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의 각각은 상기 내부 데이터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보다 적은 클록 주파수를 갖고,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의 각각은 상기 내부 데이터 클록 신호의 타이밍을 반영하는 타이밍을 가짐 -;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제2 내부 커맨드/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클록 신호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내부 클록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답하여 제1 내부 커맨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플립-플롭 회로 - 상기 제1 내부 커맨드 신호는 상기 클록 신호의 타이밍을 반영하는 타이밍을 가짐 -; 및
    제1 입력 노드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출력 노드 중 하나에 공급되는 다상 클록 신호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다상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입력 노드가 상기 제1 내부 커맨드 신호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제3 내부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노드에 상기 제어 신호가 공급되는 추가적인 플립-플롭 회로를 포함하는 클록 동기화 회로를 포함하는, DRAM.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가 각각 상기 내부 데이터 클록 신호의 제1 상승 에지, 상기 제1 상승 에지에 후속하는 제1 하강 에지, 상기 제1 하강 에지에 후속하는 제2 상승 에지, 및 상기 제2 상승 에지에 후속하는 제2 하강 에지에 대응하는 제1 위상 관계를 가질 때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레벨을 취하고,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가 각각 상기 내부 데이터 클록 신호의 제1 상승 에지, 상기 제1 상승 에지에 후속하는 제1 하강 에지, 상기 제1 하강 에지에 후속하는 제2 상승 에지, 및 상기 제2 상승 에지에 후속하는 제2 하강 에지에 대응하는 제2 위상 관계를 가질 때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레벨을 취하는, DRAM.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분할기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 노드에 상기 제1 및 제3 다상 클록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회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출력 노드에 상기 제2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2 회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출력 노드에 상기 제3 및 제1 다상 클록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3 회로;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출력 노드에 상기 제4 및 제2 다상 클록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4 회로를 포함하는, DRAM.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동기화 회로는 상기 제1 입력 노드가 상기 제2 회로의 제2 출력 노드에 공급되는 다상 클록 신호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다상 클록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추가적인 플립-플롭 회로를 포함하는, DRAM.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회로의 각각은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DRAM.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클록 신호는 고 클록 레벨과 저 클록 레벨 간에 주기적으로 변하기에 앞서 소정 기간 동안 일정한 클록 레벨로 유지되는, DRAM.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클록 신호는 최초에 제1 클록 주파수로 제공되고, 그 후에 상기 제1 클록 주파수보다 높은 제2 클록 주파수로 제공되는, DRAM.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클록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답하여 상기 내부 데이터 클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회로를 더 포함하는, DRAM.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들은 상기 데이터 클록 신호에 상보적인 추가적인 데이터 클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적인 데이터 클록 단자를 더 포함하는, DRAM.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회로는 상기 데이터 클록 신호 및 상기 추가적인 데이터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데이터 클록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DRAM.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답하여 상기 내부 클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수신기 회로를 더 포함하는, DRAM.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들은 상기 클록 신호에 상보적인 추가적인 클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적인 클록 단자를 더 포함하는, DRAM.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수신기 회로는 상기 클록 신호 및 상기 추가적인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클록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DRAM.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다상 클록 신호의 각각은 상기 내부 데이터 클록 신호의 클록 주파수의 절반인 클록 주파수를 갖는, DRAM.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AM은 LPDDR을 포함하는, DRAM.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AM은 메모리 모듈 기판 상에 장착된, DRAM.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AM은 마더보드 상에 장착된, DRAM.
KR1020227016957A 2017-02-28 2018-02-27 입력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073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45,935 2017-02-28
US15/445,935 US10210918B2 (en) 2017-02-28 2017-02-28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phase relationship between an input clock signal and a multiphase clock signal
KR1020197028140A KR102401526B1 (ko) 2017-02-28 2018-02-27 입력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CT/US2018/019861 WO2018160533A1 (en) 2017-02-28 2018-02-27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phase relationship between an input clock signal and a multiphase clock sign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140A Division KR102401526B1 (ko) 2017-02-28 2018-02-27 입력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856A true KR20220073856A (ko) 2022-06-03

Family

ID=632453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140A KR102401526B1 (ko) 2017-02-28 2018-02-27 입력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27016957A KR20220073856A (ko) 2017-02-28 2018-02-27 입력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140A KR102401526B1 (ko) 2017-02-28 2018-02-27 입력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210918B2 (ko)
EP (2) EP4376005A2 (ko)
KR (2) KR102401526B1 (ko)
CN (1) CN110366754B (ko)
WO (1) WO2018160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0918B2 (en) 2017-02-28 2019-02-19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phase relationship between an input clock signal and a multiphase clock signal
US10090026B2 (en) 2017-02-28 2018-10-02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nal memory commands and control signals in semiconductor memories
US10269397B2 (en) 2017-08-31 2019-04-23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tive and inactive clock signals
US10762947B2 (en) * 2018-10-04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s
US10802535B1 (en) * 2019-04-02 2020-10-13 Micron Technology, Inc. Resetting clock divider circuitry prior to a clock restart
KR20200137738A (ko) 2019-05-31 2020-12-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KR20210029614A (ko) 2019-09-06 2021-03-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US11145352B2 (en) * 2019-12-06 2021-10-12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with adjustable TSV delay
KR20210079122A (ko) 2019-12-19 2021-06-2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CN114187942A (zh) * 2020-09-15 2022-03-15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时钟电路以及存储器
US11588474B2 (en) 2021-06-15 2023-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powered clock driving
US11727979B2 (en) * 2021-07-07 2023-08-1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reducing clock domain crossing timing violations, and related device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5984A (en) * 1980-06-25 1983-11-15 Burroughs Corporation Synchronous clock regenerator for binary serial data signals
IL96808A (en) 1990-04-18 1996-03-31 Rambus Inc Introductory / Origin Circuit Agreed Using High-Performance Brokerage
US6247138B1 (en) * 1997-06-12 2001-06-12 Fujitsu Limited Timing signal generating circuit,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system to which the timing signal generating circuit is applied, and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6484244B1 (en) 1997-06-17 2002-11-1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and processing multiple memory commands
US6202119B1 (en) 1997-12-19 2001-03-1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pipelined memory commands
US6029252A (en) 1998-04-17 2000-02-2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phase clock signals, and circuitry, memory devices, and computer systems using same
US6178488B1 (en) 1998-08-27 2001-01-2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ipelined memory commands
US6338127B1 (en) 1998-08-28 2002-01-0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ynchronizing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used to latch respective digital signals, and memory device using same
US6279090B1 (en) 1998-09-03 2001-08-2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ynchronizing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used in latching respective digital signals applied to a packetized memory device
US6434684B1 (en) 1998-09-03 2002-08-1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ignals across different clock domains, and memory device and computer system using same
JP3953206B2 (ja) * 1998-09-24 2007-08-08 富士通株式会社 高速クロックに対応可能な入力バッファを持つ集積回路装置
US6178133B1 (en) 1999-03-01 2001-01-2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rows in multiple memory banks within an integrated circuit
US6301322B1 (en) 1999-04-23 2001-10-09 Micron Technology, Inc. Balanced dual-edge triggered data bit shifting circuit and method
US6446180B2 (en) 1999-07-19 2002-09-03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 with synchronized output path
JP4045064B2 (ja) 2000-03-30 2008-02-1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450293B2 (ja) 2000-11-29 2003-09-22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クロック制御回路及びクロック制御方法
US6522160B1 (en) 2001-06-13 2003-02-18 Micron Technology, Inc. Input buffer with automatic switching point adjustment circuitry, and synchronous DRAM device including same
US7508893B1 (en) * 2004-06-04 2009-03-24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s and methods with statistics-based input data signal sample timing
US7660183B2 (en) * 2005-08-01 2010-02-09 Rambus Inc. Low power memory device
KR100808052B1 (ko) 2005-09-28 2008-03-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227809B2 (en) 2005-10-14 2007-06-05 Micron Technology, Inc. Clock generator having a delay locked loop and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 in a parallel configuration
KR100646271B1 (ko) 2005-12-08 2006-11-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656464B1 (ko) * 2005-12-28 2006-1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KR100752671B1 (ko) * 2006-09-06 200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M 행 n 열의 레이턴시 래치들을 이용하는 레이턴시 신호생성기 및 레이턴시 신호 생성 방법
US7577056B2 (en) * 2007-04-14 2009-08-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DLL for signal timing control in a eDRAM
KR100910852B1 (ko) * 2007-12-26 2009-08-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1499176B1 (ko) * 2008-04-08 2015-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럭 신호의 위상 튜닝 방법 및 그 장치
US7642827B2 (en) 2008-05-28 2010-01-05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hase clock generation
KR101009335B1 (ko) * 2008-12-29 2011-01-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594028B1 (ko) * 2009-01-13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드/라이트 명령 및 스캔 명령을 중재하는 중재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US7969813B2 (en) 2009-04-01 2011-06-28 Micron Technology, Inc. Write command and write data timing circuit and methods for timing the same
KR101034967B1 (ko) 2009-05-29 2011-05-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데이터 입출력 제어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출력 방법
KR101004664B1 (ko) * 2009-06-03 2011-0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1061350A (ja) * 2009-09-08 2011-03-24 Renesas Electronics Corp 受信装置及びその受信方法
KR20110052941A (ko)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디티브 레이턴시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
EP2519949B1 (en) 2009-12-30 2020-02-26 Micron Technology, Inc. Controlling clock input buffers
US8984320B2 (en) * 2011-03-29 2015-03-17 Micron Technology, Inc. Command path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mmand to a data block
US8509011B2 (en) * 2011-04-25 2013-08-13 Micron Technology, Inc. Command paths, apparatuses, memorie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nal commands to a data path
US8643418B2 (en) 2011-06-02 2014-02-04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ltering the timing of a clock signal
KR101930779B1 (ko) * 2012-04-04 2018-12-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US9001594B2 (en) 2012-07-06 2015-04-07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path delay of a command path
KR101998750B1 (ko) 2012-07-16 2019-10-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US9329623B2 (en) * 2012-08-22 2016-05-03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integrated circuit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data signals with a command signal
US8879337B1 (en) * 2013-04-22 2014-11-04 Micron Technology, Inc. Dynamic burst length output control in a memory
KR102190962B1 (ko) * 2013-12-30 2020-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맨드 처리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US9508417B2 (en) 2014-02-20 2016-11-2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timing paths and latency based on a loop delay
US9531363B2 (en) * 2015-04-28 2016-12-2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including command latency control circuit
KR102272259B1 (ko) 2015-07-01 202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맨드 연동 클럭 생성 스키마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70055786A (ko) * 2015-11-12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기입 및 독출 레이턴시를 제어하는 레이턴시 제어 회로를 갖는 메모리 장치
KR102623542B1 (ko) * 2016-10-07 202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플 클럭 도메인 메모리 장치의 클럭 동기화 방법
US10090026B2 (en) 2017-02-28 2018-10-02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nal memory commands and control signals in semiconductor memories
US10210918B2 (en) 2017-02-28 2019-02-19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phase relationship between an input clock signal and a multiphase clock signal
US10269397B2 (en) 2017-08-31 2019-04-23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tive and inactive clock signals
US10467158B2 (en) 2017-11-29 2019-11-05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including memory commands for semiconductor memories
US10593383B1 (en) 2018-09-04 2020-03-17 Micron Technology, Inc. System-level timing budget improvements
US10762947B2 (en) * 2018-10-04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526B1 (ko) 2022-05-24
EP4376005A2 (en) 2024-05-29
US10210918B2 (en) 2019-02-19
EP3590114A4 (en) 2020-12-23
US10825495B2 (en) 2020-11-03
KR20190112838A (ko) 2019-10-07
WO2018160533A1 (en) 2018-09-07
US10984844B2 (en) 2021-04-20
CN110366754B (zh) 2023-06-02
EP3590114B1 (en) 2024-04-10
US20200143859A1 (en) 2020-05-07
US20190311753A1 (en) 2019-10-10
US10515676B2 (en) 2019-12-24
US20190027199A1 (en) 2019-01-24
US20180247683A1 (en) 2018-08-30
EP3590114A1 (en) 2020-01-08
CN110366754A (zh)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526B1 (ko) 입력 클록 신호와 다상 클록 신호 간의 위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347666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including memory commands for semiconductor memories
CN110366755B (zh) 在半导体存储器中提供内部存储器命令及控制信号的设备及方法
CN111066084B (zh) 用于提供活动及非活动时钟信号的设备及方法
US11262941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including memory commands for semiconductor memories
US728342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70070677A1 (en) Internal signal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798795B1 (ko)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