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591A -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 - Google Patents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591A
KR20220072591A KR1020200160376A KR20200160376A KR20220072591A KR 20220072591 A KR20220072591 A KR 20220072591A KR 1020200160376 A KR1020200160376 A KR 1020200160376A KR 20200160376 A KR20200160376 A KR 20200160376A KR 20220072591 A KR20220072591 A KR 20220072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writing
stroke
learning
horizont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해원
Original Assignee
임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해원 filed Critical 임해원
Priority to KR102020016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2591A/ko
Publication of KR2022007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한글, 알파벳 및/또는 숫자를 쓰기 연습할 수 있는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는 보드(Board), 상기 보드를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쓰기 부분(Writing Portion), 상기 쓰기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보드에 표시되며 상기 쓰기 부분의 쓰기 순서를 알리는 순서 알림부(Procedure Inform Portion), 상기 쓰기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보드에 표시되며 상기 쓰기 부분의 쓰기 방향을 알리는 방향 알림부(Direction Inform Portion), 상기 보드의 후면(Rear Surface)에 배치되며, 실리콘 재질 또는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부(Anti-Slip Portion) 및 상기 보드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에 형성되며,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보드 색인부(Board Index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STUDYING BOARD AND STUDYING KI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한글, 알파벳 및/또는 숫자를 쓰기 연습할 수 있는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이 한글을 익히기 위해서는 말하기와 듣기 및 쓰기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이 중에서도 한글쓰기 과정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연습이 요구된다.
현재, 유아들의 한글쓰기 연습은 평면 백지 위에 연필 등의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ㄱ, ㄴ, ㄷ...등의 자음과, ㅏ, ㅑ, ㅓ...등의 모음을 쓰며 익히게 되는 바, 이러한 한글쓰기 연습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한글쓰기에 익숙하지 못한 유아들은 글씨를 곧고 바르게 쓰지 못하고, 삐뚤어지거나 일정한 글씨체 없이 바르지 않은 한글쓰기 연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한글쓰기 연습은 처음 시작하는 단계에서 바르고 곧게 쓰기 연습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삐뚤어지고 바르지 못한 글씨체로 쓰는 것이 익숙해져 차후에 좋지 않은 쓰기 습관을 갖게 된다.
따라서 유아들이 바른 한글쓰기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바른 한글쓰기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교재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글씨 쓰기를 위한 교재로는 종이 표면에 사각형태의 구획선이 인쇄된 교재(일명, 쓰기 노트)가 사용되고 있으며, 또는 종이 표면에 쓰고자 하는 글씨가 점선 형태로 인쇄되어 있어 사용자가 점선을 따라 글씨를 쓰는 방식의 교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글씨 쓰기 교재를 이용하여 외국인이나 어린이들이 한글쓰기 연습을 한다면, 유아들이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쓰는 것이 익숙하지 못하고 균형감각과 판단력이 떨어지므로 곧은 직선 및 곡선처리가 용이하지 못하여 글씨가 삐뚤어지고, 한글의 자음과 모음에 대해 글자를 쓰는 순서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쓰며, 자음과 모음의 독음에 대해 정확하게 알지 못한 채 글씨 연습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학습 교재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8911호[문헌 1]에서는 획의 순서에 따라 색을 다르게 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따른 학습 교재에서는 획의 쓰기 순서를 익히는 것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글자를 미려하게 쓰기 위한 연습을 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문헌 1에 따른 학습 교재에서는 글자부의 홈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어서 유아들이 글자 쓰기 연습을 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또 다른 학습 교재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1936호[문헌 2]에서는 음각 글자가 형성된 글자판에서 음각 글자는 글자판 두께의 1/2 내지 2/3의 깊이를 갖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2에 따른 학습 교재에서도 글자를 미려하게 쓰기 위한 연습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글자판이 종래 재질이기 때문에 주의력이 부족한 유아들이 연습 중에 글자판을 찢는 등의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8911호 [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1936호
본 발명은 유아들이 한글 또는 알파벳 등의 글자 또는 숫자의 정확한 쓰기 순서 뿐 아니라 글자 또는 숫자를 미려하게 쓰기 연습할 수 있는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는 보드(Board), 상기 보드를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쓰기 부분(Writing Portion), 상기 쓰기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보드에 표시되며 상기 쓰기 부분의 쓰기 순서를 알리는 순서 알림부(Procedure Inform Portion), 상기 쓰기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보드에 표시되며 상기 쓰기 부분의 쓰기 방향을 알리는 방향 알림부(Direction Inform Portion), 상기 보드의 후면(Rear Surface)에 배치되며, 실리콘 재질 또는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부(Anti-Slip Portion) 및 상기 보드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에 형성되며,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보드 색인부(Board Index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드의 상기 제 1 단변과 인접하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에 형성되며, 상기 보드의 하부에 위치하는 용지부와의 정렬(Align)을 위한 정렬부(Align Por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쓰기 부분에 삽입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퍼즐부(Puzzle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퍼즐부는 상기 쓰기 부분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지부는 스케치북에 대응되고, 정렬부는 상기 용지부의 홀더링과 맞물리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입구의 폭이 중앙부분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여기서, 홀더링은 링 형태 혹은 코일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정렬부는 상기 용지부의 양쪽 끝단에 대응되는 끝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끝단 돌출부는 상기 보드의 상기 제 1 장변(LS1)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연장부(First Extending Portion) 및 상기 보드의 상기 제 1 장변(LS1)의 타측 끝단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연장부(Second Extend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 2 연장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 3 연장부(Third Extending Portion) 및 상기 제 2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연장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 4 연장부(Fourth Extending Por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쓰기 부분은 복수의 문자 쓰기 부분(Character Writing Portion)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문자 쓰기 부분 중 제 1 문자 쓰기 부분은 제 1 획 및 상기 제 1 획과 교차하여 연결되는 제 2 획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획의 쓰기 순서는 상기 제 1 획의 이후 순서이고, 상기 제 1 획의 하측부와 상기 제 2 획의 좌측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획과 상기 제 2 획의 연결부분에서 상기 제 1 획의 쓰기 방향은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획의 쓰기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문자 쓰기 부분은 상기 제 1 획과 상기 제 2 획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상기 제 1 문자 쓰기 부분의 폭을 줄이도록 돌출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1 획과 상기 제 2 획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방향으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상기 제 1 문자 쓰기 부분의 폭을 줄이도록 돌출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제 1 돌출부의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문자 쓰기 부분 중 제 2 문자 쓰기 부분은 제 3 획 및 상기 제 3 획과 교차하여 연결되는 제 4 획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획의 쓰기 순서는 상기 제 3 획의 이후 순서이고, 상기 제 3 획의 좌측부와 상기 제 4 획의 상측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3 획과 상기 제 4 획의 연결부분에서 상기 제 3 획의 쓰기 방향은 상기 수평방향으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획의 쓰기 방향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문자 쓰기 부분은 상기 제 3 획과 상기 제 4 획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방향으로 좌측부에서 우측을 향해 상기 제 2 문자 쓰기 부분의 폭을 줄이도록 돌출되는 제 3 돌출부 및 상기 제 3 획과 상기 제 4 획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방향으로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 상기 제 2 문자 쓰기 부분의 폭을 줄이도록 돌출되는 제 4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돌출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돌출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제 4 돌출부의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쓰기 부분은 복수의 숫자 쓰기 부분(Numeral Writing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보드를 상기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수학 연산 기호를 나타내는 연산 기호 부분(Calculating Symbol Portion) 및 상기 숫자 쓰기 부분에 대응되며 상기 보드를 상기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포함하는 홀 부분(Hole Portion)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 부분에 포함된 상기 홀의 개수는 대응되는 상기 숫자 쓰기 부분이 나타내는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숫자 쓰기 부분의 평균 폭은 홀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쓰기 연습을 색연필 혹은 크레파스 등 두꺼운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는 학습용 보드 및 상기 학습용 보드가 배치되는 베이스부(Base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용 보드는 보드(Board), 상기 보드를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쓰기 부분(Writing Portion), 상기 쓰기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보드에 표시되며 상기 쓰기 부분의 쓰기 순서를 알리는 순서 알림부(Procedure Inform Portion), 상기 쓰기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보드에 표시되며 상기 쓰기 부분의 쓰기 방향을 알리는 방향 알림부(Direction Inform Portion), 상기 보드의 후면(Rear Surface)에 배치되며, 실리콘 재질 또는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부(Anti-Slip Portion) 및 상기 보드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에 형성되며,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보드 색인부(Board Index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보드의 전면(Front Surface)의 중심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전면부(Front Part), 상기 보드의 후면을 덮는 후면부(Rear Part) 및 상기 보드의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3개의 측면을 덮는 측면부(Side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쓰기 부분, 상기 순서 알림부 및 상기 방향 알림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는 상기 보드의 상기 제 1 단변과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상기 제 1 단변 및 상기 제 2 단변에 인접하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및 상기 제 1 단변 및 상기 제 2 단변에 인접하며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을 덮고, 상기 보드 색인부는 상기 베이스부보다 더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용 보드는 상기 쓰기 부분이 복수의 한글 문자 쓰기 부분(Hangeul Character Writing Portion)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학습용 보드(First Studying Board), 상기 쓰기 부분이 복수의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Alphabet Character Writing Portion)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학습용 보드(Second Studying Board) 및 상기 쓰기 부분이 복수의 숫자 쓰기 부분(Numeral Writing Portion)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학습용 보드(Third Studying Board)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 1 학습용 보드, 상기 제 2 학습용 보드 및 상기 제 3 학습용 보드를 포장하는 포장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학습용 보드는 상기 보드를 상기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수학 연산 기호를 나타내는 연산 기호 부분(Calculating Symbol Portion) 및 상기 숫자 쓰기 부분에 대응되고, 상기 보드를 상기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포함하는 홀 부분(Hole Portion)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 부분에 포함된 상기 홀의 개수는 대응되는 상기 숫자 쓰기 부분이 나타내는 개수와 동일하고, 상기 홀 부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Ball)을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보드의 색과 다른 색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학습용 보드에서 상기 보드 색인부의 위치, 상기 제 2 학습용 보드에서 상기 보드 색인부의 위치 및 상기 제 3 학습용 보드에서 상기 보드 색인부의 위치는 각각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학습용 키트는 받침판부(Supporting Plate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부는 상기 보드와 나란한(수평한)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분(Horizontal Part) 및 상기 수평부분에서 상기 보드의 제 2 장변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분(Vertical Part)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보드의 제 2 장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수직부분은 상기 보드의 제 2 장변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는 주의력과 집중력이 부족한 유아들이 용이하게 글자 또는 숫자를 쓰기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정렬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쓰기 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쓰기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학습용 보드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 내지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 내지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및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과 교차(수직)하고, 제 2 방향(DR2)은 제 3 방향(DR3)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방향(DR2)은 보드의 장변(Long Side)을 가로지르는 방향, 제 1 방향(DR1)은 보드의 단변(Short Side)을 가로지르는 방향, 제 3 방향(DR3)은 보드를 관통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하고,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Studying Board, 10)는 보드(Board, 100), 쓰기 부분(Writing Portion, 110), 미끄럼 방지부(Anti-Slip Portion, 130) 및 보드 색인부(Board Index Portion, 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드(100)는 수평방향(DRH, DR1, DR2)으로의 단면이 대략 4각형인 판(Plat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드(100)는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드(1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아크릴(Acrylic)과 같은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드(100)는 광 투과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보드(100)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과 마주보는(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과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과 인접하고 제 1 단변(SS1)과 마주보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의 길이는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보드(100)를 기준으로 제 1 장변(LS1)측을 상측이라 하고, 제 2 장변(LS2)측을 하측이라 하고, 제 1 단변(SS1)측을 우측이라 하고, 제 2 단변(SS2)측을 좌측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보드(100)를 기준으로 보드(100)의 전면(Front Surface, FS)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보드(100)의 후면(Rear Surface, RS)이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쓰기 부분(110)은 보드(100)를 수직방향(DRV, DR3)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드(100)의 전면(FS)에서 소정의 필기수단을 이용하여 쓰기 부분(110)을 따라 글자 등을 쓰게 되면, 보드(100)의 후면(RS)에 위치한 종이 등의 용지부(Paper Part)에 글자가 표시될 수 있다.
쓰기 부분(110)은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 쓰기 부분(Hangeul Character Writing Portion, 110a), 적어도 하나의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Alphabet Character Writing Portion, 110b)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숫자 쓰기 부분(Numeral Writing Portion, 110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글 문자 쓰기 부분(100a)과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을 통칭하여 문자 쓰기 부분(Character Writing Portion)이라고 할 수 있다.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은 '가', '나', '다' 등의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한글을 쓰기 위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은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부분 및/또는 모음만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은 'A', 'B', 'C' 등의 알파벳 문자를 쓰기 위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은 알파벳 대문자 뿐 아니라 알파벳 소문자를 쓰기 위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숫자 쓰기 부분(110c)은 '1', '2', '3' 등의 숫자를 쓰기 위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쓰기 부분(110) 이라고 하면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 및 숫자 쓰기 부분(110c)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보드 색인부(120)는 보드(100)의 제 1 단변(SS)에 형성되며, 수평방향(DRV)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드 색인부(120)는 학습용 보드(10)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드 색인부(120)에는 '가', '나', '다', 'A', 'B', 'C', '1', '2', '3' 등 학습용 보드(10)가 포함하는 쓰기 부분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혹은 보드(100)에서의 보드 색인부(120)의 위치가 학습용 보드(10)가 포함하는 쓰기 부분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미끄럼 방지부(130)는 보드(100)의 후면(RS)에 배치되며, 실리콘 재질 또는 수지 재질 등의 부드러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부(130)는 학습용 보드(10)가 학습용 보드(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종이 등의 용지부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학습용 보드(10)는 순서 알림부(Procedure Inform Portion, 140) 및 방향 알림부(Direction Inform Portion, 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서 알림부(140)는 쓰기 부분(110)에 대응하여 보드(100)에 쓰기 부분(110)에 인접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순서 알림부(140)는 쓰기 부분(110)의 쓰기 순서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순서 알림부(140)는 점의 개수를 이용하여 숫자를 익거나 인지하지 못하는 단계의 사용자(유아 등)에게 문자 혹은 숫자의 쓰기 순서를 표시하여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방향 알림부(141)는 쓰기 부분(110)에 대응하여 보드(100)에 쓰기 부분(110)에 인접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알림부(141)는 쓰기 부분(110)의 쓰기 방향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알림부(141)는 화살표를 이용하여 문자 혹은 숫자의 쓰기 방향을 표시하여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학습용 보드(10)는 이름 알림부(142)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름 알림부(142)는 쓰기 부분(110)에 대응하여 보드(100)에 쓰기 부분(110)에 인접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이름 알림부(142)는 쓰기 부분(110)의 이름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알림부(141)는 '기역', '니은' 등의 문자 혹은 숫자의 이름을 표시하여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서는 보드 색인부(120)에 '가', 'A', '1'이 표시될 수 있다. 이는, 학습용 보드(10)에 가나다 등의 한글 문자에 대응되는 한글 문자 쓰기 부분(100a), ABC 등의 알파벳 문자에 대응되는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 및 123 등의 숫자에 대응되는 숫자 쓰기 부분(110c)이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여 미끄럼 방지부(1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드(100)의 후면(RS)에 미끄럼 방지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130)는 보드(100)의 제 2 장변(LS2)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보드(100)의 수평방향(DRH) 중 제 2 방향(DR2)으로 제 2 장변(LS2)과 미끄럼 방지부(130) 사이의 간격(E1)은 제 1 장변(LS1)과 미끄럼 방지부(130) 사이의 간격(E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유아 등의 사용자가 학습용 보드(10)를 사용하는 경우, 보드(100)의 제 2 장변(LS2)에 인접한 부분에 손목 혹은 손바닥 등을 거치한 상태에서 쓰기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미끄럼 방지부(130)가 보드(100)의 제 2 장변(LS2)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학습용 보드(10)와 종이 등을 정렬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보드 색인부(120)는 사용자의 쓰기 연습에 방해가 되지 않기 위해 보드(100)의 제 1 단변(SS1)에서 제 1 장변(LS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보드(100)의 수평방향(DRH) 중 제 2 방향(DR2)으로 제 2 장변(LS2)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1)은 제 1 장변(LS1)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2)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방향(DR2)으로 제 1 장변(LS1)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2)은 실질적으로 0인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도 3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부(130)는 보드(100)의 후면(RS)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보드(100)가 투명한 경우에는 보드(100)의 전방에서도 미끄럼 방지부(130)가 관찰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보드(100)가 투명하여 보드(100)의 전방에서 미끄럼 방지부(130)가 관찰이 가능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보드(100)의 후방에 종이 등을 용이하게 정렬시켜 위치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은 정렬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10)는 정렬부(Align Portion, 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부(150)는 보드(100)의 제 1 장변(LS1)에 형성되며, 보드(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용지부(Paper Part, PP)와 학습용 보드(10)의 정렬(Align)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부(150)는 제 1 연장부(First Extending Portion, 151) 및 제 2 연장부(Second Extending Portion, 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장부(151)는 보드(100)의 제 1 장변(LS1)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 연장부(152)는 보드(100)의 제 1 장변(LS1)의 타측 끝단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연장부(152)는 보드 색인부(12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보드 색인부(120)는 수평방향(DRH)으로 보드(100)의 제 1 장변(LS1)보다 상측을 향해 더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렬부(150)는,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학습용 보드(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용지부(PP)의 양쪽 끝단에 대응될 수 있다.
용지부(PP)는 유아 등의 사용자가 문자 혹은 숫자의 쓰기 연습에 사용하는 종이 등의 용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지부(PP)는 스케치북(Sketch Book)인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스케치북은 유아들이 글자 및 숫자 등의 쓰기 연습, 그림 그리기 등에 자주 사용하는 용품일 수 있다. 더욱이, 8절 스케치북은 유치원, 어린이집 등에서 빈번하게 사용하는 용품일 수 있다.
이러한 스케치북은 적어도 하나의 종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Holder, H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홀더(HR)는 복수의 독립적인 링(Ring)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홀더(HR)는 코일(Coil)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학습용 보드(10)의 후방에 스케치북 형태의 용지부(PP)가 위치한 상태에서는, 용지부(PP)의 홀더(HR)가 제 1 방향(DR1)으로 제 1 연장부(151)와 제 2 연장부(15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학습용 보드(10)와 용지부(PP)를 충분히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도 7의 (A) 및 (B)를 살펴보면, 정렬부(150)는 제 3 연장부(Third Extending Portion, 153)와 제 4 연장부(Fourth Extending Portion, 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연장부(153)는 제 1 연장부(151)의 끝단에서 제 2 연장부(15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4 연장부(154)는 제 2 연장부(152)의 끝단에서 제 1 연장부(15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연장부(153)와 제 4 연장부(154)의 적어도 일부는, 도 7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케치북 형태의 용지부(PP)의 홀더(HR)에 삽입될 수 있어서, 학습용 보드(10)와 용지부(PP)가 보다 안정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8에는 또 다른 형태의 정렬부(150)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정렬부(150)는 보드(100)의 제 1 장변(LS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렬부(150)는 보드(100)의 제 1 장변(LS1)을 따라 올록볼록한 물결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정렬부(150)는 보드(100)의 제 1 장변(LS1)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Convex Portion, 156)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Concave Portion, 1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155)와 볼록부(156)는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부(150)가 올록볼록한 물결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정렬부(150)는 스케치북 형태의 용지부(PP)의 홀더(HR)와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목부(155)에 홀더(HR)가 대응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학습용 보드(10)와 스케치북 형태의 용지부(PP)를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을 살펴보면, 오목부(155)의 입구 부분의 폭(W1)은 오목부(155)의 내측 부분의 폭(W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오목부(155)의 폭은 제 1 방향(DR1)으로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155)의 입구 부분과 내측 부분을 정리하면, 오목부(155)의 입구 부분과 보드(100)의 제 2 장변(LS2) 사이의 거리는 오목부(155)의 내측 부분과 보드(100)의 제 2 장변(LS2)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오목부(155)는 보드(100)의 제 1 장변(LS1)에서 제 2 장변(LS2)쪽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렬부(150)는 스케치북 형태의 용지부(PP)의 홀더(HR)와 더욱 안정적으로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다.
오목부(155)를 홀더(HR)와 비교하면, 오목부(155)의 입구 부분에서의 폭(W1)은 홀더(HR)의 폭(W3)보다는 작고, 오목부(155)의 내측 부분에서의 폭(W2)은 홀더(HR)의 폭(W3)보다는 큰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용지부(PP)와 학습용 보드(10)의 정렬과 이탈을 모두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오목부(155)의 입구 부분에서의 폭(W1)과 홀더(HR)의 폭(W3)의 차이(W3-W1)는 오목부(155)의 입구 부분에서의 폭(W1)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 11에는 링 형태의 홀더(HR)가 오목부(155)와 볼록부(156)를 포함하는 정렬부(150)에 대응되는 경우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쓰기 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쓰기 부분(110)에서 두 개의 획의 연결부분에 대해 중심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 및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 등의 문자 쓰기 부분은 두 개의 획의 연결 부분에서의 폭이 다른 부분에서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은 제 1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제 1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1)에 대해 한글 '바'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의 (A) 내지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1)은 제 1 획(㉠), 제 2 획(㉡), 제 3 획(㉢), 제 4 획(㉣), 제 5 획(㉤) 및 제 6 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쓰기 순서는 제 1, 2, 3, 4, 5, 6 획(㉠㉡㉢㉣㉤㉥)의 순서일 수 있다.
서로 교차하여 연결되는 제 1 획(㉠)과 제 4 획(㉣)을 비교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 4 획(㉣)의 쓰기 순서는 제 1 획(㉠)의 이후 순서이다.
제 1 획(㉠)의 하측부와 제 4 획(㉣)의 좌측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획(㉠)과 제 4 획(㉣)의 연결부분에서 제 1 획(㉠)의 쓰기 방향은 수평방향(DRH)으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제 4 획(㉣)의 쓰기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1)은 제 1 획(㉠)과 제 4 획(㉣)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는 제 1 돌출부(First Protruding Portion, 111)와 제 2 돌출부(Second Protruding Portion, 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111)는 제 1 획(㉠)과 제 4 획(㉣)의 연결부분에서 수평방향(DRH)으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2 돌출부(112)는 제 1 획(㉠)과 제 4 획(㉣)의 연결부분에서 수평방향(DRH)으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돌출부(111)와 제 2 돌출부(112)에 의해, 제 1 획(㉠)과 제 4 획(㉣)의 연결부분에서는 제 1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1)의 폭(S3)이 제 1 획(㉠)의 중앙 부분에서의 폭(S1) 및 제 4 획(㉣)의 중앙 부분에서의 폭(S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 12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111)는 수평방향(DRH)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돌출부(111)는 수평방향(DRH)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제 1 비율로 감소하다가 이후에 제 1 비율보다 작은 제 2 비율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돌출부(112)는 수평방향(DRH)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돌출부(112)는 수평방향(DRH)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제 3 비율로 감소하다가 이후에 제 3 비율보다 작은 제 4 비율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돌출부(112)의 높이(H2)는 제 1 돌출부(111)의 높이(H1)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아 등의 사용자는 제 1 획(㉠)과 제 4 획(㉣)의 쓰기 순서, 형태 뿐 아니라, 제 1 획(㉠)과 제 4 획(㉣)의 연결부분에서의 형태도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제 1 획(㉠)과 제 4 획(㉣)의 연결부분에서 쓰기 부분(110)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유아 등의 사용자는 제 1 획(㉠)의 쓰기를 완성한 이후 연속적으로 제 4 획(㉣)의 쓰기를 수행하는 것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 등의 사용자는 '바'의 'ㅂ'부분을 쓰는 과정에서 제 1 획(㉠)과 제 4 획(㉣)을 연속적으로 'ㄴ'과 같은 형태 및 타입으로 쓰는 것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아울러, 제 2 돌출부(112)의 높이(H2)가 제 1 돌출부(111)의 높이(H1)보다 더 큰 경우에,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제 1 획(㉠)의 쓰기를 완성한 이후 연속하여 제 4 획(㉣)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쓰는 것에 더 큰 불편함을 부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아 등의 사용자는 제 1 획(㉠)의 쓰기를 완성한 이후 연속하여 제 4 획(㉣)을 'ㄴ'과 같은 형태 및 타입으로 쓰지 않고, 필기도구를 제 1 획(㉠)으로부터 이탈시켜 제 4 획(㉣)의 좌측부로 이동시키고, 이후 제 4 획(㉣)의 쓰기를 완성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교차하여 연결되는 두 개의 획의 연결부분에서 돌출부를 형성하여 집중력이 부족한 유아 등의 사용자로 하여금 올바른 방법으로 한글, 알파벳 등의 문자의 쓰기 연습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유아는 근육의 발달이 미약하여 손의 조절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는 글씨를 쓰거나 수저 및 젓가락을 사용할 때 정교하고 올바른 조작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쓰기 부분(110)은 소근육 발달이 미약한 유아 등의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쓰기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폭(S1, S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아 등의 사용자가 색연필, 크레파스 등 상대적으로 두꺼운 심을 갖는 필기도구(유아가 손에 쥐고 이용하기 용이한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쓰기 부분(110)에 용이하게 쓰기 연습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유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10)를 이용하여 쓰기 연습을 수행한다면 소근육 발달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 시기에 소근육을 많이 사용하면 할수록 눈과 손의 협응력 및 관련감각의 발달이 촉진되면서 뇌 발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10)를 빈번하게 사용하게 된다면 유아의 뇌 발달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사용자를 유아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학습용 보드(10)는 노년기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노년기의 사용자는 뇌 기능 저하 등의 이유로 치매가 발생할 수 있는데, 노년기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10)를 사용하여 쓰기 연습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손의 소근육을 자극하여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획(㉠)과 제 4 획(㉣)의 연결부분에서 제 1 획(㉠)과 제 4 획(㉣)을 단절시키지 않음으로써, 유아 등의 사용자가 색연필 또는 크레파스 등의 필기도구를 제 1 획(㉠)과 제 4 획(㉣)을 이어서 쓰기 연습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글자 쓰기에 익숙하지 않은 유아 등의 사용자도 글자를 미려하게 쓰기 위한 연습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은 제 2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제 2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2)에 대해 한글 '다'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의 (A) 내지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2)은 제 1 획(ⓐ), 제 2 획(ⓑ), 제 3 획(ⓒ) 및 제 4 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쓰기 순서는 제 1, 2, 3, 4 획(ⓐⓑⓒⓓ)의 순서일 수 있다.
서로 교차하여 연결되는 제 1 획(ⓐ)과 제 2 획(ⓑ)을 비교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 2 획(ⓑ)의 쓰기 순서는 제 1 획(ⓐ)의 이후 순서이다.
제 1 획(ⓐ)의 좌측부와 제 2 획(ⓑ)의 상측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획(ⓐ)과 제 2 획(ⓑ)의 연결부분에서 제 1 획(ⓐ)의 쓰기 방향은 수평방향(DRH)으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획(ⓑ)의 쓰기 방향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2)은 제 1 획(ⓐ)과 제 2 획(ⓑ)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는 제 3 돌출부(Third Protruding Portion, 113)와 제 4 돌출부(Fourth Protruding Portion,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돌출부(113)는 제 1 획(ⓐ)과 제 2 획(ⓑ)의 연결부분에서 수평방향(DRH)으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4 돌출부(114)는 제 1 획(ⓐ)과 제 2 획(ⓑ)의 연결부분에서 수평방향(DRH)으로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돌출부(113)와 제 4 돌출부(114)에 의해, 제 1 획(ⓐ)과 제 2 획(ⓑ)의 연결부분에서는 제 2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2)의 폭(S6)이 제 1 획(ⓐ)의 중앙 부분에서의 폭(S4) 및 제 2 획(ⓑ)의 중앙 부분에서의 폭(S5)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 13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돌출부(113)는 수평방향(DRH)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돌출부(113)는 수평방향(DRH)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폭이 제 5 비율로 감소하다가 이후에 제 5 비율보다 작은 제 6 비율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4 돌출부(114)는 수평방향(DRH)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돌출부(114)는 수평방향(DRH)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폭이 제 7 비율로 감소하다가 이후에 제 7 비율보다 작은 제 8 비율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돌출부(113)의 높이(H3)는 제 4 돌출부(114)의 높이(H4)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아 등의 사용자는 제 1 획(ⓐ)과 제 2 획(ⓑ)의 쓰기 순서, 형태 뿐 아니라, 제 1 획(ⓐ)과 제 2 획(ⓑ)의 연결부분에서의 형태도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유아 등의 사용자는 '다'의 'ㄷ'부분을 쓰는 과정에서 제 1 획(ⓐ)과 제 2 획(ⓑ)을 연속적으로 누워있는 알파벳 대문자 'U'와 같은 형태 및 타입으로 쓰는 것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아울러, 제 3 돌출부(113)의 높이(H3)가 제 4 돌출부(114)의 높이(H4)보다 더 큰 경우에, 제 1 획(ⓐ)을 거꾸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쓴 이후 연속하여 제 2 획(ⓑ)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쓰는 것에 더 큰 불편함을 부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아 등의 사용자는 제 1 획(ⓐ)의 쓰기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완성한 이후 연속하여 제 2 획(ⓑ)을 누워있는 알파벳 대문자 'U'와 같은 형태 및 타입으로 쓰지 않고, 필기도구를 제 1 획(ⓐ)으로부터 이탈시켜 제 2 획(ⓑ)의 상측부로 이동시키고, 이후 제 2 획(ⓑ)의 쓰기를 완성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또 다른 방식으로 교차하여 연결되는 두 개의 획의 연결부분에서 돌출부를 형성하여 유아 등의 사용자로 하여금 올바른 방법으로 한글, 알파벳 등의 문자의 쓰기 연습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제 1 돌출부(111), 제 2 돌출부(112), 제 3 돌출부(113) 및 제 4 돌출부(114)에 대한 내용은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 뿐 아니라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에도 유사 혹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1)에 대해 알파벳 대문자 'D'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1)은 제 1 획(㉦) 및 제 2 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쓰기 순서는 제 1, 2 획(㉦㉧)의 순서일 수 있다.
서로 교차하여 연결되는 제 1 획(㉦)과 제 2 획(㉧)을 비교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 2 획(㉧)의 쓰기 순서는 제 1 획(㉦)의 이후 순서이다.
제 1 획(㉦)의 하측부와 제 2 획(㉧)의 좌측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획(㉦)과 제 2 획(㉧)의 연결부분에서 제 1 획(㉦)의 쓰기 방향은 수평방향(DRH)으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획(㉧)의 쓰기 방향은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A)를 앞선 도 12의 경우와 비교하면, 도 14의 (A)에서 제 2 획(㉧)의 쓰기 방향이 앞선 도 12의 제 4 획(㉣)의 쓰기 방향과 반대인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유사 혹은 동일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제 1 획(㉦)과 제 2 획(㉧)의 연결부분에는 제 1 돌출부(111)와 제 2 돌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돌출부(111)와 제 2 돌출부(112)에 대해서는 앞선 도 12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2)에 대해 알파벳 대문자 'E'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2)은 제 1 획(ⓔ), 제 2 획(ⓕ) 및 제 3 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쓰기 순서는 제 1, 2, 3 획(ⓔⓕⓖ)의 순서일 수 있다.
서로 교차하여 연결되는 제 1 획(ⓔ)과 제 2 획(ⓕ)을 비교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 2 획(ⓕ)의 쓰기 순서는 제 1 획(ⓔ)의 이후 순서이다.
제 1 획(ⓔ)의 좌측부와 제 2 획(ⓕ)의 상측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획(ⓔ)과 제 2 획(ⓕ)의 연결부분에서 제 1 획(ⓔ)의 쓰기 방향은 수평방향(DRH)으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획(ⓕ)의 쓰기 방향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B)를 앞선 도 13의 경우와 비교하면, 도 14의 (B)의 제 2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2)은 도 13의 제 2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2)과 제 1 획(ⓐ, ⓔ)과 제 2 획(ⓑ, ⓕ)의 연결부분에서 유사 혹은 동일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제 1 획(ⓔ)과 제 2 획(ⓕ)의 연결부분에는 제 3 돌출부(113)와 제 4 돌출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돌출부(113)와 제 4 돌출부(114)에 대해서는 앞선 도 13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8은 쓰기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 및/또는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 등의 문자 쓰기 부분 및/또는 숫자 쓰기 부분(110c)은 구부러지는 굽은 부분(Curved Portion)에서 폭이 다른 부분에서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쓰기 부분(110)의 굽은 부분의 폭이 다른 부분에서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15에서는 굽은 부분에 대해 한글 '가'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쓰기 부분(110, 110a, 110b, 110c)인 '가'는 한글 자음 '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글 자음 'ㄱ'은 하나의 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한글 자음 'ㄱ'의 쓰기 방향은 먼저 좌측에서 우측, 그리고 우측 끝단에서 비스듬하게 좌하측을 향할 수 있다.
한글 자음 'ㄱ'의 쓰기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부분의 수직방향(DRV)으로의 단면(A1-A2)이 도 15의 (B)에 나타나 있다.
도 15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글 자음 'ㄱ'의 쓰기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부분(유지 부분)은 쓰기 부분(110)의 폭이 보드(100)의 전면(FS)에서 후면(RS)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제 1 영역(First Area, AR1), 쓰기 부분(110)의 폭이 보드(100)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 2 영역(Second Area, AR2) 및 쓰기 부분(110)의 폭이 보드(100)의 전면(FS)에서 후면(RS)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 3 영역(Third Area, AR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방향(DRV)으로 제 1 영역(AR1)의 두께(T1)는 제 2 영역(AR2)의 두께(T2)보다 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색연필, 크레파스 등의 필기도구가 용이하게 쓰기 부분(110)에 삽입될 수 있어서 쓰기 과정에서 필기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직방향(DRV)으로 제 2 영역(AR2)의 두께(T2)는 제 3 영역(AR3)의 두께(T3)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색연필, 크레파스 등의 필기도구가 쓰기 부분(110)에 더욱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서는 제 1 영역(AR1)의 최대 폭(S8)은 제 3 영역(AR3)의 최대 폭(S9)보다 더 클 수 있다. 물론, 제 2 영역(AR2)의 최대 폭(S7)은 제 1 영역(AR1)의 최대 폭(S8) 및 제 3 영역(AR3)의 최대 폭(S9)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 2 영역(AR2)에서의 폭(S7)은 보드(100)의 총 두께(T4)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색연필, 크레파스 등의 필기도구가 쓰기 부분(110)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 필기감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글 자음 'ㄱ'의 쓰기 방향이 변경되어 굽은 부분도 유지 부분과 마찬가지로 제 1 영역(AR1), 제 2 영역(AR2) 및 제 3 영역(AR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한글 자음 'ㄱ'에서 굽은 부분의 단면(A3-A4)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2, 3 영역(AR1, AR2, AR3)에서의 두께는 앞서 설명한 도 15의 (B)와 유사 혹은 동일할 수 있다.
굽은 부분에서도 제 1 영역(AR1)의 최대 폭(S11)은 제 3 영역(AR3)의 최대 폭(S12)보다 더 클 수 있다. 물론, 제 2 영역(AR2)의 최대 폭(S10)은 제 1 영역(AR1)의 최대 폭(S11) 및 제 3 영역(AR3)의 최대 폭(S1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굽은 부분과 유지 부분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굽은 부분에서 제 2 영역(AR2)의 폭(S10)은 유지 부분에서 제 2 영역(AR2)의 폭(S7)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굽은 부분에서 제 1 영역(AR1)의 폭(S11)과 제 2 영역(AR2)의 폭(S10)의 차이(S11-S10)는 유지 부분에서 제 1 영역(AR1)의 폭(S8)과 제 2 영역(AR2)의 폭(S7)의 차이(S8-S7)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굽은 부분에서 제 1 영역(AR1)의 폭(S11)과 유지 부분에서 제 1 영역(AR1)의 폭(S8)의 차이(S11-S8)는 굽은 부분에서 제 2 영역(AR2)의 폭(S10)과 유지 부분에서 제 2 영역(AR2)의 폭(S7)의 차이(S10-S7)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겉으로 나타나는 쓰기 부분(110)의 형태, 예를 들면 한글 자음 'ㄱ'의 형태가 왜곡되는 것을 충분히 억제 또는 방지하면서도 굽은 부분에서의 필기감을 충분히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굽은 부분에 대해 한글 자음 '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한글 자음에도 굽은 부분이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7의 (A), (B), (C), (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글 자음 'ㄴ', 'ㄷ', 'ㄹ'. 'ㅁ'에도 'ㄱ'과 마찬가지로 굽은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한글 자음 'ㄴ', 'ㄷ', 'ㄹ'. 'ㅁ'의 굽은 부분에도 'ㄱ'의 굽은 부분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한글 자음 'ㄴ', 'ㄷ', 'ㄹ'. 'ㅁ'에서 굽은 부분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17의 내용을 고려하면, 한글 자음에서 굽은 부분은 획의 쓰기 방향이 대략 90˚(도) 이상으로 꺾인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굽은 부분의 내용은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 뿐만 아니라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 및 숫자 쓰기 부분(110c)에도 동일 혹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의 (A), (B), (C), (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알파벳 대문자 'E', 'L' 및 숫자 '4', '7'도 굽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굽은 부분에 대해서는 앞서 한글 자음을 통해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알파벳 대문자 및 숫자의 굽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학습용 보드(10)에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 및 숫자 쓰기 부분(110c)이 모두 포함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학습용 보드(10)에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 및 숫자 쓰기 부분(110c)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9 내지 도 21은 학습용 보드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9의 (A) 및 (B)를 살펴보면, 쓰기 부분(110) 중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으로 제 1 학습용 보드(First Studying Board, 10A)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제 1 학습용 보드(10A)라고 하면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을 포함하는 학습용 보드(10)를 의미하거나 혹은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 및 숫자 쓰기 부분(110c)은 포함하지 않고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만을 포함하는 학습용 보드(10)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9의 (B)에는 제 1 학습용 보드(10A)가 받침을 포함하는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을 포함하는 경우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20의 (A)를 살펴보면, 쓰기 부분(110) 중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a)으로 제 2 학습용 보드(Second Studying Board, 10B)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제 2 학습용 보드(10B)라고 하면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을 포함하는 학습용 보드(10)를 의미하거나 혹은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 및 숫자 쓰기 부분(110c)은 포함하지 않고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만을 포함하는 학습용 보드(10)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0의 (B)를 살펴보면, 쓰기 부분(110) 중 숫자 쓰기 부분(110c)으로 제 3 학습용 보드(Third Studying Board, 10C)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제 3 학습용 보드(10C)라고 하면 숫자 쓰기 부분(110c)을 포함하는 학습용 보드(10)를 의미하거나 혹은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 및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은 포함하지 않고 숫자 쓰기 부분(110c)만을 포함하는 학습용 보드(10)를 의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제 1 학습용 보드(10A), 제 2 학습용 보드(10B) 및/또는 제 3 학습용 보드(10C)는 학습용 보드(10)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제 3 학습용 보드(10C)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학습용 보드(10C)는 복수의 숫자 쓰기 부분(10c) 뿐 아니라, 연산 기호 부분(Calculating Symbol Portion, 170) 및 홀 부분(Hole Portion, 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산 기호 부분(170)은 보드(100)를 수직방향(DRV)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 '-', '=' 등의 수학 연산 기호를 나타낼 수 있다.
홀 부분(160)은 숫자 쓰기 부분(110c)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홀은 보드(100)를 수직방향(DRV)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보드(100)의 전면(FS)의 일부가 후면(RS)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홀 부분(160)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대응되는 숫자 쓰기 부분(110c)이 나타내는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숫자 쓰기 부분(110c)의 하나인 '5'에 대응하는 홀 부분(160)에 포함된 홀의 개수는 5개일 수 있다.
유아 등의 사용자는 홀 부분(160)에 포함된 홀의 개수를 이용하여 해당 숫자 쓰기 부분(110c)의 숫자 개념을 익히는 것이 가능하다.
숫자 쓰기 부분(110c)의 수평방향(DRH)의 폭은 홀 부분(160)에 포함된 홀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학습용 보드(10)를 이용하여 학습 키트(Studying Kit)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키트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문서에서 '학습용 키트'는 '학습 키트'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20)는 쓰기 부분(110)이 복수의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학습용 보드(10C), 쓰기 부분(110)이 복수의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학습용 보드(10B) 및 쓰기 부분(110)이 복수의 숫자 쓰기 부분(110b)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학습용 보드(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적어도 하나의 제 1 학습용 보드(10A), 적어도 하나의 제 2 학습용 보드(10B) 및 적어도 하나의 제 3 학습용 보드(10C)를 묶어서 학습 키트(2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한글을 학습하는 경우에 제 1 학습용 보드(10A)를 사용하고, 알파벳을 학습하는 경우에 제 2 학습용 보드(10B)를 사용하고, 숫자를 학습하는 경우에 제 3 학습용 보드(10C)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학습 키트(20) 내에서 서로 다른 학습용 보드(10)를 구분하기 위해 보드 색인부(120)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3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학습용 보드(10A)에서는 제 2 방향(DR2)으로 제 2 장변(LS2)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4)은 제 1 장변(LS1)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3)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방향(DR2)으로 제 1 장변(LS1)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3)은 실질적으로 0인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도 23의 (B)를 살펴보면, 제 2 학습용 보드(10B)에서는 제 2 방향(DR2)으로 제 2 장변(LS2)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6)은 제 1 장변(LS1)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5)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제 2 학습용 보드(10B)의 제 2 장변(LS2)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6)은 제 1 학습용 보드(10A)의 제 2 장변(LS2)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4)보다 더 작고, 제 2 학습용 보드(10B)의 제 1 장변(LS1)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5)은 제 1 학습용 보드(10A)의 제 1 장변(LS1)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3)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표현하면, 제 2 학습용 보드(10B)에서는 보드 색인부(120)가 제 1 학습용 보드(10A)에 비해 제 2 장변(LS2)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3의 (C)를 살펴보면, 제 3 학습용 보드(10C)에서는 제 2 방향(DR2)으로 제 2 장변(LS2)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8)은 제 1 장변(LS1)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7)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제 3 학습용 보드(10C)의 제 2 장변(LS2)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8)은 제 2 학습용 보드(10B)의 제 2 장변(LS2)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6)보다 더 작고, 제 3 학습용 보드(10C)의 제 1 장변(LS1)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7)은 제 2 학습용 보드(10B)의 제 1 장변(LS1)과 보드 색인부(120) 사이의 간격(F5)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표현하면, 제 3 학습용 보드(10C)에서는 보드 색인부(120)가 제 2 학습용 보드(10B)에 비해 제 2 장변(LS2)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 1 학습용 보드(10A)에서 보드 색인부(120)의 위치, 제 2 학습용 보드(10B)에서 보드 색인부(120)의 위치 및 제 3 학습용 보드(10C)에서 보드 색인부(120)의 위치는 각각 서로 다른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학습용 보드(10A), 제 2 학습용 보드(10B) 및 제 3 학습용 보드(10C)를 겹쳐 놓은 상태에서 제 1 학습용 보드(10A)의 보드 색인부(120), 제 2 학습용 보드(10B)의 보드 색인부(120) 및 제 3 학습용 보드(10C)의 보드 색인부(120)는 서로 일부가 중첩(Partially Overlap)되거나 혹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 등의 사용자는 학습 키트(20) 내에서 손쉽게 원하는 학습용 보드(10A, 10B, 10C)를 구분하거나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쓰기 연습 과정(학습 과정)에서도 보드 색인부(120)가 유아 등의 사용자에게 방해가 되는 것을 충분히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제 1 학습용 보드(10A)의 보드 색인부(120)에는 제 1 학습용 보드(10A)에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리기 위해 '가', '나', '다' 등의 한글이 표시될 수 있다.
제 2 학습용 보드(10B)의 보드 색인부(120)에는 제 2 학습용 보드(10B)에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리기 위해 'A', 'B', 'C' 등의 알파벳이 표시될 수 있다.
제 3 학습용 보드(10C)의 보드 색인부(120)에는 제 3 학습용 보드(10C)에 숫자 쓰기 부분(110c)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리기 위해 '1', '2', '3' 등의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쓰기 부분(110)을 통해 사용자가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쓰기 연습을 수행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쓰기 부분(110)을 이용하여 퍼즐(Puzzle) 놀이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글, 알파벳, 숫자 등을 익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20)는 퍼즐부(Puzzle Part, PZ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퍼즐부(PZP)는 쓰기 부분(11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퍼즐부(PZP)는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에 대응되는 한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아 등의 사용자가 퍼즐부(PZP)를 한글 문자 쓰기 부분(110a)에 끼워 맞추는 놀이를 하면서 쓰기 학습 이전에 자연스럽게 한글을 익히는 학습을 먼저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유아 등의 사용자가 퍼즐부(PZP)에서 자음 부분(ㄱ,ㄴ,ㄷ 등)을 먼저 학습하고, 이후에 모음(ㅏ 등)을 학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자음은 관계없이 모음만을 학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유아 등의 사용자는 퍼즐 조합을 통해 자음과 모음의 분리 혹은 결합하면서 학습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유아 등의 사용자가 어려워하는 특정 특정 글자를 선별하여 집중 학습하는 등,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10)를 이용하여 다양한 패턴의 학습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5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퍼즐부(PZP)는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110b)에 대응되는 알파벳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숫자 쓰기 부분(110c)에 대응되는 숫자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학습용 보드(10)와 퍼즐부(PZP)를 묶어서 학습 키트(2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20)는 제 3 학습용 보드(10C)에 형성되는 홀 부분(160)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Ball, BP)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BP)은 보드(100)의 색과 다른 색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아 등의 사용자는 제 3 학습용 보드(10C)를 이용하여 숫자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볼(BP)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아 등의 사용자가 숫자 쓰기 부분(110c) 중 하나인 숫자 '5'를 학습하면서 5개의 볼(BP)을 홀 부분(160)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유아 등이 사용자는 숫자 '5'를 쓰는 것을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숫자 '5'가 의미하는 숫자 개념을 익히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20)는 베이스부(Base Part, 21)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베이스부(21)는 전면부(Front Part, 200), 후면부(Rear Part, 210) 및 측면부(Side Part, 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200)는 학습용 보드(10)의 보드(100)의 전면(FS)의 중심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Opening, 201)를 포함하고, 보드(100) 전면(FS)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부(200)의 개구부(201)는 보드(100)의 전면(FS)의 가장자리를 덮고, 보드(100)의 전면(FS)의 나머지 부분은 노출시킬 수 있다.
후면부(210)는 보드(100)의 후면(RS)을 덮을 수 있다.
베이스부(21)는 수평방향(DRH)으로의 단면이 대략 4각형인 육면체(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부(21)는 제 1 장변(LS1), 제 2 장변(LS2),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 중에서 제 1 단변(SS1)측이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닫힐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측면부(220)는 베이스부(21)의 제 1 장변(LS1), 제 2 장변(LS2) 및 제 2 단변(SS2)을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1)의 제 1 단변(SS1)측으로부터 학습용 보드(10)가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부(21)에 학습용 보드(1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측면부(220)는 학습용 보드(10)의 보드(100)의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3개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측면부(220)는 보드(100)의 제 1 장변(LS1), 제 2 장변(LS2) 및 제 2 단변(SS2)을 덮을 수 있다.
아울러, 도 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1)에 학습용 보드(10)가 삽입된 상태에서 보드 색인부(120)는 베이스부(21)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드 색인부(120)는 베이스부(21)의 제 1 단변(SS1)측에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 등의 사용자는 학습용 보드(10)가 베이스부(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학습용 보드(10)를 식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베이스부(21)로부터 학습용 보드(10)를 용이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베이스부(21)에 학습용 보드(10)가 배치된 상태에서는 베이스부(21)의 개구부(201)를 통해 쓰기 부분(110)이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21)의 개구부(201)를 통해 쓰기 부분(110) 뿐 아니라 순서 알림부(140) 및 방향 알림부(141)가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베이스부(21)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용 보드(10)를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쓰기 연습 과정(학습 과정)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1)에 학습용 보드(10)를 삽입한 상태에서 학습용 보드(10)의 후면(RS)과 베이스부(21)의 후면부(210)의 사이에 종이 등의 용지부(PP)를 삽입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아 등의 사용자가 베이스부(21)의 개구부(201)를 통해 노출된 쓰기 부분(110)을 이용하여 쓰기 연습(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학습용 보드(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용지부(PP)에 사용자가 수행한 쓰기 연습의 결과(한글, 알파벳 및/또는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용지부(PP)는 베이스부(21)에 의해 고정이 되기 때문에 유아 등의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쓰기 연습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쓰기 연습의 결과물의 품질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베이스부(21)에 복수의 학습용 보드(1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20)는 하나의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학습용 보드(10A), 적어도 하나의 제 2 학습용 보드(10B) 및 적어도 하나의 제 3 학습용 보드(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학습용 보드(10A)의 보드 색인부(120), 제 2 학습용 보드(10B)의 보드 색인부(120) 및 제 3 학습용 보드(10C)의 보드 색인부(120)가 각각 베이스부(21)의 제 1 단변(SS1)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베이스부(21)는 소정의 포장물(Package)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도 32의 (A)에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용 보드(10)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물(21A)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32의 (A)의 포장물(21A)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용 보드(10)가 포장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포장물(21A)에는 제 1 커팅라인(First Cutting Line, CL1)과 제 2 커팅라인(Second Cutting Line, CL2)이 형성(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팅라인(CL1)과 제 2 커팅라인(CL2)은 해당되는 부분을 소정의 커팅수단을 이용하여 커팅하라는 표시일 수 있다.
도 32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커팅라인(CL1)에 따라 포장물(21A)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거하면 개구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커팅라인(CL2)에 따라 포장물(21A)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거하면 포장물(21A)에 포장되어 있던 적어도 하나의 학습용 보드(10)의 보드 색인부(120)가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장물(21A)에 형성(표시)된 제 1 커팅라인(CL1)과 제 2 커팅라인(CL2)을 따라 포장물(21A)의 일부를 커팅하여 제거하면 베이스부(21)가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20)에서는 베이스부(21)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도, 적어도 하나의 학습용 보드(10)를 포장하는 포장물(21A)의 일부를 떼어내는 방식으로 베이스부(21)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부(21)는 소정의 액자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 등의 사용자가 수행한 쓰기 연습에 따른 결과물(한글, 알파벳, 숫자 등이 필기된 종이 등)을 베이스부(21) 내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면, 베이스부(21)에 형성된 개구부(201)를 통해 쓰기 연습에 따른 결과물을 전시하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20)는 받침판부(Supporting Plate Part, 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판부(22)는 종이 등의 용지부(PP)를 효과적으로 받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판부(22)는 수평부분(Horizontal Part, 230) 및 수직부분(Vertical Part,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분(230)은 학습용 보드(10)의 보드(100)와 나란하고,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수평부분(230)은 종이, 스케치북 등의 용지부(PP) 및 학습용 보드(10)가 놓이는 부분일 수 있다.
수직부분(240)은 수평부분(230)의 끝단으로부터 수직방향(DRV)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부분(240)은 보드(100)의 제 2 장변(LS2)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받침판부(22)에 학습용 보드(10)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수직부분(240)은 학습용 보드(10)의 보드(100)의 제 2 장변(LS2)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34의 (A)를 살펴보면, 받침판부(22)의 수직부분(240)에 보드(100)의 제 2 장변(LS2)이 인접하도록 받침판부(22)에 학습용 보드(10)를 배치하고, 학습용 보드(10)의 후방과 받침판부(22)의 수평부분(230)의 사이에 종이, 스케치북 등의 용지부(PP)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면, 도 34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34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유아 등의 사용자는 색연필, 크레파스 등의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쓰기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판부(22)가 용지부(PP) 뿐 아니라 학습용 보드(10)를 충분히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쓰기 연습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쓰기 연습 과정에서의 필기감의 향상을 위해 받침판부(22)의 수직부분(240)의 높이는 충분히 낮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받침판부(22)의 수평부분(230)에 용지부(PP)와 학습용 보드(10)가 배치된 상태에서 수직방향(DRV)으로 학습용 보드(10)는 받침판부(22)의 수직부분(240)보다 소정 높이(X1)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아 등의 사용자가 쓰기 연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직부분(240)이 필기에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3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학습용 보드(10)의 미끄럼 방지부(130)가 받침판부(22)의 수평부분(230)에 맞닿는 형태(접촉하는 형태)로 받침판부(22)의 수평부분(230)에 학습용 보드(10)와 용지부(PP)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학습용 보드(10)의 미끄럼 방지부(130)가 받침판부(22)의 수평부분(230)에 맞닿음으로써 학습용 보드(10)가 받침판부(22)에 충분히 강하게 밀착될 수 있어서 유아 등의 사용자로 하여금 쓰기 연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학습용 보드(10)의 미끄럼 방지부(130)가 받침판부(22)의 수평부분(230)에 맞닿는 경우에도 수직방향(DRV)으로 학습용 보드(10)는 받침판부(22)의 수직부분(240)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도 37을 살펴보면, 받침판부(22)의 수평부분(230)의 전면(FS)에는 필름(231)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231)은 받침판부(22)의 수평부분(230)의 전면(FS)에 라미네이팅(Laminating)되는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쓰기 연습 과정에서의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수평부분(230)의 전면(FS)에 필름(231)이 부착된 상태에서도, 학습용 보드(10)의 미끄럼 방지부(130)가 받침판부(22)의 수평부분(230)에 맞닿는 경우에는 학습용 보드(10)가 받침판부(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충분히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키트(20)는 연산판(Calculating Plate, 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산판(23)은 숫자 선택부(250), 연산기호 선택부(260) 및 결과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숫자 선택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숫자 쓰기 부분(110c)을 포함하는 제 3 학습용 보드(10C)에서 적어도 두 개의 숫자를 선택하기 위한 부분일 수 있다.
연산기호 선택부(260)는 제 3 학습용 보드(10C)에서 연산기호를 선택하기 위한 부분일 수 있다.
숫자 선택부(250)와 연산기호 선택부(260)는 색이 연산판(23)의 다른 부분의 색과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부(270)는 유아 등의 사용자로 하여금 연산의 결과를 쓰도록 유도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부(270)는 연산판(23)의 일부가 수직방향(DRV)으로 개방(Open)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산판(23)은 숫자 쓰기 부분(110c)을 포함하는 제 3 학습용 보드(10C) 및 용지부(PP)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9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학습용 보드(10C)의 후방에 연산판(23)을 배치하고, 연산판(23)의 후방에 용지부(PP)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용지부(PP)의 후방에 받침부(22) 혹은 베이스부(21)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39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학습용 보드(10C)의 후방에 연산판(23)이 배치된 상태에서는 숫자 선택부(250)가 제 3 학습용 보드(10C)에 포함된 숫자 쓰기 부분(110c)의 숫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숫자 선택부(250)가 소정의 색을 이용하여 숫자 '2'와 숫자 '5'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숫자 선택부(250)가 숫자 '2'와 숫자 '5'를 선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숫자 선택부(250)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임의의 두 개의 숫자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3 학습용 보드(10C)의 후방에 연산판(23)이 배치된 상태에서는 연산기호 선택부(260)가 제 3 학습용 보드(10C)에 포함된 연산 기호 부분(170)의 연산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연산기호 선택부(260)는 더하기 기호 '+'와 등호 기호 '='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숫자 선택부(250)가 숫자 '2'와 숫자 '5'와 연산기호 선택부(260)는 더하기 기호 '+'와 등호 기호 '='를 조합하면 '2+5=□'이라는 식이 성립할 수 있다.
위 식의 답은 명확하게도 숫자 '7'일 수 있다.
여기서, 결과부(270)는 제 3 학습용 보드(10C)의 숫자 쓰기 부분(110c)의 숫자 '7'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연산판(23)에서 제 3 학습용 보드(10C)의 숫자 쓰기 부분(110c)의 숫자 '7'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개방된 부분이 결과부(270)일 수 있다.
유아 등의 사용자는 결과부(270)를 통해 숫자 쓰기 부분(110c)의 숫자 '7'을 통해 숫자 쓰기 연습을 하면서 2+5라는 숫자 연산을 함께 익히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보드(Board);
    상기 보드를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쓰기 부분(Writing Portion);
    상기 쓰기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보드에 표시되며 상기 쓰기 부분의 쓰기 순서를 알리는 순서 알림부(Procedure Inform Portion);
    상기 쓰기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보드에 표시되며 상기 쓰기 부분의 쓰기 방향을 알리는 방향 알림부(Direction Inform Portion);
    상기 보드의 후면(Rear Surface)에 배치되며, 실리콘 재질 또는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부(Anti-Slip Portion); 및
    상기 보드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에 형성되며,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보드 색인부(Board Index Portion);
    를 포함하는 학습용 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부분에 삽입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퍼즐부(Puzzle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퍼즐부는 상기 쓰기 부분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학습용 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부분은 복수의 문자 쓰기 부분(Character Writing Portion)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문자 쓰기 부분 중 제 1 문자 쓰기 부분은
    제 1 획; 및
    상기 제 1 획과 교차하여 연결되는 제 2 획;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획의 쓰기 순서는 상기 제 1 획의 이후 순서이고,
    상기 제 1 문자 쓰기 부분은
    상기 제 1 획과 상기 제 2 획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1 획과 상기 제 2 획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방향으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제 1 돌출부의 높이보다 더 큰 학습용 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문자 쓰기 부분 중 제 2 문자 쓰기 부분은
    제 3 획; 및
    상기 제 3 획과 교차하여 연결되는 제 4 획;
    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획의 쓰기 순서는 상기 제 3 획의 이후 순서이고,
    상기 제 2 문자 쓰기 부분은
    상기 제 3 획과 상기 제 4 획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방향으로 좌측부에서 우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 3 돌출부; 및
    상기 제 3 획과 상기 제 4 획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방향으로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 4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돌출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돌출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제 4 돌출부의 높이보다 더 큰 학습용 보드.
  5. 학습용 보드; 및
    상기 학습용 보드가 배치되는 베이스부(Base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용 보드는
    보드(Board);
    상기 보드를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쓰기 부분(Writing Portion);
    상기 쓰기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보드에 표시되며 상기 쓰기 부분의 쓰기 순서를 알리는 순서 알림부(Procedure Inform Portion);
    상기 쓰기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보드에 표시되며 상기 쓰기 부분의 쓰기 방향을 알리는 방향 알림부(Direction Inform Portion);
    상기 보드의 후면(Rear Surface)에 배치되며, 실리콘 재질 또는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부(Anti-Slip Portion); 및
    상기 보드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에 형성되며,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보드 색인부(Board Index Portion);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보드의 전면(Front Surface)의 중심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전면부(Front Part);
    상기 보드의 후면을 덮는 후면부(Rear Part); 및
    상기 보드의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3개의 측면을 덮는 측면부(Side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쓰기 부분, 상기 순서 알림부 및 상기 방향 알림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학습 키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용 보드는
    상기 쓰기 부분이 복수의 한글 문자 쓰기 부분(Hangeul Character Writing Portion)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학습용 보드(First Studying Board);
    상기 쓰기 부분이 복수의 알파벳 문자 쓰기 부분(Alphabet Character Writing Portion)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학습용 보드(Second Studying Board); 및
    상기 쓰기 부분이 복수의 숫자 쓰기 부분(Numeral Writing Portion)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학습용 보드(Third Studying Board);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 1 학습용 보드, 상기 제 2 학습용 보드 및 상기 제 3 학습용 보드를 포장하는 포장물로부터 제작되는 학습 키트.
KR1020200160376A 2020-11-25 2020-11-25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 KR20220072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376A KR20220072591A (ko) 2020-11-25 2020-11-25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376A KR20220072591A (ko) 2020-11-25 2020-11-25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591A true KR20220072591A (ko) 2022-06-02

Family

ID=8198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376A KR20220072591A (ko) 2020-11-25 2020-11-25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259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911A (ko) 2005-02-11 2006-03-02 유성실 글자 쓰기 순서 교정판
KR20200001936U (ko) 2019-02-25 2020-09-02 김활 음각 글자가 형성된 한글쓰기 글자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911A (ko) 2005-02-11 2006-03-02 유성실 글자 쓰기 순서 교정판
KR20200001936U (ko) 2019-02-25 2020-09-02 김활 음각 글자가 형성된 한글쓰기 글자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5967Y1 (ko)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
US20160253909A1 (en) Multisensory literacy instruction system
US1103369A (en) Educational device
KR20220072591A (ko) 학습용 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학습 키트
Wotzkow The Art of Hand-Lettering: Techniques for Mastery and Practice
KR200493135Y1 (ko) 음각 글자가 형성된 한글쓰기 글자판
KR102160938B1 (ko)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KR20210056204A (ko)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JP2016118666A (ja) 文字練習枠、文字練習紙および文字練習帳
JP3048738U (ja) 文字学習パネルセット
JP7061824B2 (ja) テーブルマナーかるた
US4846688A (en) Educational device for use in teaching writing skills
JP7054292B2 (ja) かるた
US20110027763A1 (en) Reading education tool
JPH1091306A (ja) キートツプ並びに文字キヤツプ並びに文字カバー
JP3240428U (ja) 文字練習枠、当該枠を複数表示した文字練習用紙及び文字練習用紙を複数枚編綴して作成する文字練習帳
CN2178187Y (zh) 凹痕习字板
KR102219416B1 (ko) 글씨 교정기
KR200495324Y1 (ko) 숫자 학습용 교구
US20020171200A1 (en) Playing cards comprising no axis of symmetry
KR102184332B1 (ko) 문자표시용 조립블록세트
ES2425479T3 (es) Fuente tipográfica alfanumérica para ciegos y personas con discapacidad visual
KR200400061Y1 (ko) 어린이 학습용 마술 책
KR200310246Y1 (ko) 문자블록
JP3044337U (ja) 語学学習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