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559A -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 Google Patents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559A
KR20220072559A KR1020200160308A KR20200160308A KR20220072559A KR 20220072559 A KR20220072559 A KR 20220072559A KR 1020200160308 A KR1020200160308 A KR 1020200160308A KR 20200160308 A KR20200160308 A KR 20200160308A KR 20220072559 A KR20220072559 A KR 20220072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urniture
height
horizontal
inclin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249B1 (ko
Inventor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퍼스
Priority to KR1020200160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2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05Support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6Self-levelling leg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의 설치에 있어서 가구가 설치 위치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경우 가구에 탑재되는 다리 높이 조절 장치에서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가구의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를 타겟 높이로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설치기사의 도움 없이도 가구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SMART FURNITURE WITH AUTOMATIC LEVELING}
본 발명은 가구의 수평 조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를 설치함에 있어서 가구가 설치 위치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경우 가구에 탑재되는 다리 높이 조절 장치에서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가구의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를 타겟 높이로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설치기사의 도움 없이도 가구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의 다리에는 가구의 수평을 맞출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구비된다.
이러한 수평을 맞추는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구의 하부에 가구의 다리가 가구의 몸체부와 나사결합되도록 하고, 나사결합의 상태에 따라 가구의 다리 길이가 변화되도록 하여 가구의 수평을 조절하는 구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가구의 수평 조절 구성은 가구가 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가구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다리를 회전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가구가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가구의 뒤쪽 또는 다른 가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다리를 회전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가구 설치 전문가가 아닌 경우, 위와 같은 수평 조절 구성을 이용하더라도 정확하게 가구의 수평을 조절할 수 없어, 장기적으로 수평 불균형에 의해 가구에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974406호(등록일자 2019년 05월 02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를 설치함에 있어서 가구가 설치 위치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경우 가구에 탑재되는 다리 높이 조절 장치에서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가구의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를 타겟 높이로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설치기사의 도움 없이도 가구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로서, 가구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높이가 조절되는 복수의 가구 다리와, 상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를 상기 타겟 높이로 조절시키는 다리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구 다리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길이로 설치되는 제1 다리부와, 상기 제1 다리부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제2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는 바닥부와, 상기 제2 다리부를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제2 다리부가 상기 제1 다리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하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 높이 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와, 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동력을 상기 승강부로 전달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고,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가 상기 타겟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 가구 다리의 하우징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구 다리의 하우징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제1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 전달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벨트는, 직선형 기어 형태로 구성되며, 상하부에 복수개의 제1 돌기가 제1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가구 다리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간격으로 제2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는,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가구 다리는, 상기 동력 전달 벨트의 회전시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2 돌기를 수직방향으로 밀어올리거나 내리는 것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 높이 조절부는, 수평 조절 기능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으로부터 수평 조절 기능을 온시키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 다시 상기 수평 기울기값을 수신하고, 상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며,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가 상기 타겟 높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다리부의 하단에는 기설정된 제1 깊이의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1 깊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나사산이 상기 나사홈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다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다리부 사이의 제1 높이는, 상기 나사홈과 상기 나사산의 결합 상태에 따라 가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기준 시간 경과시마다 상기 기울기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몸체부가 수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시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다시 계산하고,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가 상기 타겟 높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 높이 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충격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센서를 통해 상기 몸체부에 기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의 충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기준 시간과 관계 없이 상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다시 측정하고, 다시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다시 계산하고,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가 상기 타겟 높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의 설치에 있어서 가구가 설치 위치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경우 가구에 탑재되는 다리 높이 조절 장치에서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가구의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를 타겟 높이로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설치기사의 도움 없이도 가구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 가구 다리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의 가구 다리의 상세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의 다리 높이 조절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의 가구 다리의 상세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의 다리 높이 조절부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의 구조와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200)는 가구의 몸체부(210), 복수의 가구 다리(230), 다리 높이 조절부(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가구에서 가구 다리를 제외한 전체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는 예를 들어 침대 등의 가구의 경우 몸체부는 가구 다리를 제외한 상부의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고, 책상 등의 가구의 경우 몸체부는 가구 다리를 제외한 상판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가구 다리는 가구에서 몸체부를 가구가 설치되는 바닥면(29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탱하여 주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구 다리는 종래에는 일정 길이로 고정되어 있거나, 나사 방식으로 구현되어 높이 조절에 한계가 문제점이 있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가구 다리에 대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되,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이 아니라 다리 높이 조절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 다리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다리부(310), 제2 다리부(350), 바닥부(370), 승강부(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리부(310)는 몸체부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길이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1 다리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등으로 형성되어 제2 다리부가 제1 다리부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제1 다리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다리부(350)는 제1 다리부의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다리부는 승강부의 동작에 따라 제1 다리부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제1 다리부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바닥부(370)는 제2 다리부에 연결되며 가구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바닥부는 고정된 길이로 제2 다리부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나사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다리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설치되어 수동 조작을 통해 어느 정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승강부(340)는 제1 다리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제1 다리부의 벽면과 제2 다리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는 다리 높이 조절부의 모터부(450)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제2 다리부를 제1 다리부의 내부에서 바닥면 방향으로 하강시키거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다리부의 내부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다리부의 일측에는 승강부와 기어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승강부의 구동에 따라 제2 다리부가 제1 다리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될 수 있게 된다.
승강부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320), 동력 전달 벨트(3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320)는 제2 다리부의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는 복수개의 기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피니언 기어는 다리 높이 조절부의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경우 회전하여 동력 전달 벨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동력 전달 벨트(345)는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어 제1 다리부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큰 연장 형성되며, 피니언 기어에 의헤 제2 다리부의 수직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동력 전달 벨트는 직선형 기어 형태로 구성되며, 상하부에 복수개의 제1 돌기(330)가 제1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다리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부는 제1 돌기에 대응되는 제2 돌기(355)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돌기와 제2 돌기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다리부는 동력 전달 벨트의 회전시 제1 돌기가 제2 돌기를 수직방향으로 밀어올리거나 내리는 것을 통해 제1 다리부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다리 높이 조절부(220)는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를 타겟 높이로 조절시킨다.
이러한, 다리 높이 조절부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420), 충격 센서(430), 조작버튼(410), 배터리부(460), 모터부(450), 제어부(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버튼(410)은 다리 높이 조절부의 수평 동작을 명령하기 위한 수평 조절 기능키 등을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수평 조절키가 입력되는 경우 수평 조절 기능키에 대응하는 키데이터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인가할 수 있다.
배터리부(460)는 모터부로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부는 충전지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가구의 무게에 대응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용량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터부(450)는 배터리부로부터 공급받은 동작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예를 들어 기설정된 수준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회전력을 제2 다리부의 승강을 위한 동력으로서 승강부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모터리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이 승강부의 피니언 기어로 전달되는 것을 통해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면서 동력 전달 벨트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다리부가 제1 다리부의 내부에서 승강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42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측정한다.
충격 센서(43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외부로부터 몸체부에 가해진 충격의 세기를 측정한다.
제어부(440)는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고, 각 가구 다리에 설치된 각 승강부를 제어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가 타겟 높이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예를 들어 각 승강부에 연결된 모터부의 회전력을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르게 인가하는 것을 통해 승강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제어부의 가구 다리 높이 조절 동작은 사용자로부터 조작 버튼을 통해 수평 조절 기능키가 입력되는 경우 실행될 수 있으며, 주어직 조건에 따라 주기적으로 실행되거나, 충격이 발생하는 등과 같은 특별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실행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는 조작 버튼으로부터 수평 조절 기능키를 온시키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기울기 센서로부터 다시 수평 기울기값을 수신하고,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는 승강부를 제어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가 타겟 높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기설정된 기준 시간 경과시마다 기울기 센서를 제어하여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몸체부가 수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시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다시 계산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는 승강부를 제어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가 타겟 높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충격센서를 통해 몸체부에 기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의 충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한 경우, 기준 시간과 관계 없이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다시 측정하고, 다시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다시 계산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는 승강부를 제어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가 타겟 높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의 설치에 있어서 가구가 설치 위치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경우 가구에 탑재되는 다리 높이 조절 장치에서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가구의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를 타겟 높이로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설치기사의 도움 없이도 가구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210 : 몸체부 220 : 다리 높이 조절부
230 : 가구 다리 410 : 조작 버튼
420 : 기울기 센서 430 : 충격 센서
440 : 제어부 450 : 모터부
460 : 배터리부

Claims (8)

  1.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로서,
    가구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높이가 조절되는 복수의 가구 다리와,
    상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를 상기 타겟 높이로 조절시키는 다리 높이 조절부
    를 포함하는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다리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길이로 설치되는 제1 다리부와,
    상기 제1 다리부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제2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는 바닥부와,
    상기 제2 다리부를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제2 다리부가 상기 제1 다리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하는 승강부
    를 포함하는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높이 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와,
    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동력을 상기 승강부로 전달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고,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가 상기 타겟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 가구 다리의 하우징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구 다리의 하우징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제1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 전달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벨트는,
    직선형 기어 형태로 구성되며, 상하부에 복수개의 제1 돌기가 제1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가구 다리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간격으로 제2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는,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가구 다리는,
    상기 동력 전달 벨트의 회전시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2 돌기를 수직방향으로 밀어올리거나 내리는 것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는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높이 조절부는,
    수평 조절 기능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으로부터 수평 조절 기능을 온시키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 다시 상기 수평 기울기값을 수신하고, 상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계산하며,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가 상기 타겟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는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리부의 하단에는 기설정된 제1 깊이의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1 깊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나사산이 상기 나사홈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다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다리부 사이의 제1 높이는,
    상기 나사홈과 상기 나사산의 결합 상태에 따라 가변 조절되는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기준 시간 경과시마다 상기 기울기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몸체부가 수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시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다시 계산하고,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가 상기 타겟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는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높이 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충격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센서를 통해 상기 몸체부에 기설정된 기준 세기 이상의 충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기준 시간과 관계 없이 상기 몸체부의 수평 기울기값을 다시 측정하고, 다시 측정된 수평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가구 다리의 타겟 높이를 다시 계산하고,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여 각 가구 다리의 높이가 상기 타겟 높이가 되도록 제어하는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KR1020200160308A 2020-11-25 2020-11-25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KR102515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308A KR102515249B1 (ko) 2020-11-25 2020-11-25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308A KR102515249B1 (ko) 2020-11-25 2020-11-25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559A true KR20220072559A (ko) 2022-06-02
KR102515249B1 KR102515249B1 (ko) 2023-03-29

Family

ID=8198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308A KR102515249B1 (ko) 2020-11-25 2020-11-25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24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068Y1 (ko) * 1999-10-14 2000-03-15 김규환 씽크대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130058153A (ko) * 2011-11-25 2013-06-04 (주)씨에스 높이조절형 교단
KR20170042920A (ko) * 2015-10-12 2017-04-20 조기환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KR20180093755A (ko) * 2017-02-14 2018-08-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테이블 및 그의 자동 수평 조정방법
KR101974406B1 (ko) 2017-07-20 2019-05-02 김종원 가구용 수평조절형 받침
KR20190107657A (ko) * 2016-11-17 2019-09-20 휠.미 아에스 가구 또는 디바이스를 위한 안정화 디바이스
KR20200010943A (ko) * 2018-07-23 2020-01-31 강명훈 수평조절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가구장치
KR102110246B1 (ko) * 2018-12-14 2020-05-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멀미 방지 의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068Y1 (ko) * 1999-10-14 2000-03-15 김규환 씽크대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130058153A (ko) * 2011-11-25 2013-06-04 (주)씨에스 높이조절형 교단
KR20170042920A (ko) * 2015-10-12 2017-04-20 조기환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KR20190107657A (ko) * 2016-11-17 2019-09-20 휠.미 아에스 가구 또는 디바이스를 위한 안정화 디바이스
KR20180093755A (ko) * 2017-02-14 2018-08-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테이블 및 그의 자동 수평 조정방법
KR101974406B1 (ko) 2017-07-20 2019-05-02 김종원 가구용 수평조절형 받침
KR20200010943A (ko) * 2018-07-23 2020-01-31 강명훈 수평조절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가구장치
KR102110246B1 (ko) * 2018-12-14 2020-05-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멀미 방지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249B1 (ko)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286B1 (ko) 가구 또는 디바이스를 위한 안정화 디바이스
CN106988082B (zh) 一种洗衣机的自动调平装置、洗衣机以及调平方法
KR101704526B1 (ko) 내진용 조절발
KR101409187B1 (ko)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용 삼각대의 지면충격 보호장치
KR102083195B1 (ko)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20220072559A (ko)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KR100570115B1 (ko)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KR101924046B1 (ko) 측량용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US10709242B2 (en) Appliance with a base wall having a contact surface including at least three internal leveling extension platforms and method of use
CN109780793A (zh) 冰箱及其安装方法
KR101513267B1 (ko)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493705B1 (ko) 싱크대 가구설치용 브라켓
KR100941607B1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벽체
KR101768879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EP1083379A1 (en) Leveling and securing apparatus
KR101585833B1 (ko) 건축물 벽체 수평 조절장치
CN115421209A (zh) 地脚支座及安检设备
KR102251027B1 (ko) 수평유지가 가능한 물탱크 지지장치
KR0145536B1 (ko) 냉장고의 수평조절장치
KR102523644B1 (ko) 캠퍼용 승하강장치
CN217846667U (zh) 地脚支座及安检设备
CN113865227B (zh) 安装底脚以及具有其的冰箱
CN220766383U (zh) 一种木制柜体安装用可调节稳定器
KR100253193B1 (ko) 세탁기의수평조절장치
CN218720124U (zh) 一种机电设备安装支撑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