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644B1 - 캠퍼용 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캠퍼용 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644B1
KR102523644B1 KR1020210094563A KR20210094563A KR102523644B1 KR 102523644 B1 KR102523644 B1 KR 102523644B1 KR 1020210094563 A KR1020210094563 A KR 1020210094563A KR 20210094563 A KR20210094563 A KR 20210094563A KR 102523644 B1 KR102523644 B1 KR 10252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support
camper
c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748A (ko
Inventor
유기석
Original Assignee
유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석 filed Critical 유기석
Priority to KR102021009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6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22Means for attaching lifting, supporting, or manoeuvring devices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는 캠퍼의 지지대에 연결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 하부에 이격되며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클램프부재, 및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클램프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캠퍼용 승하강장치{Elevating device for camper}
본 발명은 캠퍼용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카는 탑승자 칸이 주택처럼 만들어진 자동차로서, 장기간의 드라이브 여행을 할 수 있도록 각종 생활설비를 갖춘 자동차이다. 캠핑카에는 침대, 샤워시설, 주방, TV 등이 구비되어 있어, 여행 중 어디서나 편안하게 캠핑을 즐길 수 있으며, 바캉스 성수기에 숙박시설을 예약하기 위한 고민을 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캠핑카를 선호하고 있지만 가격이 매우 비싸고, 주차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원하는 차량 예를 들어, 트럭 등에 탑재해 이동이 가능하며, 캠핑카보다 가격이 저렴한 캠퍼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캠퍼는 이동 시에는 결속장치를 통해 트럭에 탑재해 이동을 하고, 이동하지 않을 시에는 주로 주자창이나 캠핑 사이트에 주차를 해놓고 사용한다.
캠퍼를 주차하는 경우, 캠퍼의 네 구석에는 캠퍼를 고정하고,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지지대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지대는 각각을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네 군데의 수평을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캠퍼 지지대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캠퍼용 승하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캠퍼 지지대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캠퍼용 승하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는 캠퍼의 지지대에 연결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 하부에 이격되며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클램프부재, 및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클램프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모터의 하면에 위치하고, 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전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와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전동모터를 동시에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는 상기 전동모터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수직하게 연결된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연결부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부는 상기 클램프부재와 체결되는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복수의 세레이션이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부재는 상기 지지대를 감싸고, 상기 제3 연결부와 마주보는 면에 복수의 세레이션이 구비된 클램프부, 상기 클램프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부를 내부를 향해 가압시켜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3 연결부와 상기 클램프부를 체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모터 상에 구비되는 수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는 제1수평계, 제2 수평계, 및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동모터가 구비됨으로써, 캠퍼 지지대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감지부가 지면으로부터 지지대까지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용이하게 캠퍼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클램프부재와 연결부재 각각에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위치를 조절해줌으로써, 전동모터가 지지대에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전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지지대가 변형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가 적어도 둘 이상의 전동모터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캠퍼 지지대 각각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지대를 설치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과 수고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100)는 캠퍼(200)의 지지대(30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100)는 전동모터(10), 클램프부재(20), 연결부재(30), 제어부(50), 스위치부(60), 및 수평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모터(10)는 지지대(300)에 연결될 수 있다. 클램프부재(20)는 전동모터(10)와 이격되어 지지대(300)에 연결될 수 있다. 클램프부재(20)는 전동모터(10)가 지지대(30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동모터(10)의 하부에서 전동모터(10)의 위치를 조절해주고, 전동모터(10)의 무게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부재(30)는 전동모터(10)와 클램프부재(20)를 연결할 수 있다.
캠퍼(200)는 주로 사각형태를 가질 수 있다. 캠퍼(200)를 주차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캠퍼(200)의 네 모서리 각각에는 지지대(30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100)는 캠퍼(200)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지지대(30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 모서리에 설치된 네 개의 지지대(300)대 각각에 전동모터(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네 개의 전동모터(10)는 하나의 제어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스위치부(60)를 통해, 네 개의 전동모터(1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네 개의 전동모터(10)를 이용하여, 네 개의 지지대(300)를 동시에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서로 대각선에 위치한 두 개의 전동모터(1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서로 일직선에 위치한 두 개의 전동모터(1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수평부재(70)는 두 개 이상의 수평계와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수평계에 수평이 유지되는 경우, LED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동모터가 구비됨으로써, 캠퍼 지지대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가 적어도 둘 이상의 전동모터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캠퍼 지지대 각각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지대를 설치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과 수고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평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지지대의 수평을 유지 및 보수할 수 있고, 수평유지 시 LED 램프가 점등되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지지대의 수평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 탈착장치는 전동모터(10), 클램프부재(20), 연결부재(30), 감지부(40), 제어부(50), 스위치부(60), 및 수평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모터(10)는 캠퍼의 지지대에 결합될 수 있다. 캠퍼의 지지대에는 전동모터(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육각형상의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전동모터(10)는 지지대의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10a)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10a)은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육각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동모터가 지지대에 연결됨으로써, 캠퍼 지지대를 자동으로 승강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클램프부재(20)는 연결부재(30)에 의해 전동모터(10)와 연결될 수 있다. 클램프부재(20)는 클램프부(21), 가압부(23), 및 결합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부(21)는 캠퍼의 지지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0)의 제3 연결부(35)와 마주보는 클램프부(21)의 일 면에는 복수의 세레이션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세레이션은 제3 연결부(35)에 형성된 복수의 세레이션과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3)는 클램프부(21)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가압부(23)는 클램프부(21)를 내측으로 가압시켜, 지지대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가압부(23)는 클램프부(21)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볼트, 및 클램프부(21)가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5)는 제3 연결부(35)에 구비된 체결홀(35a)을 관통하여, 연결부재(30)와 클램프부(21)를 체결할 수 있다. 결합부(25)는 제3 연결부(35)에 삽입되는 볼트(25a)와 볼트를 고정하는 너트(25b)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연결부(35)의 체결홀(35a)에 볼트(25a)를 삽입하고, 볼트를 너트(25b)로 고정함으로써, 클램프부재(20)와 연결부재(3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클램프부재(20)가 구비됨으로써, 전동모터(10)를 캠퍼 지지대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클램프부재에 세레이션이 구비되어 위치를 제어줌으로써, 전동모터가 지지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전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지지대가 변형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30)는 모터하우징(10)과 클램프부재(2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30)는 제1 연결부(31), 제2 연결부(33), 및 제3 연결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31)는 전동모터(10)가 관통하는 관통홀(31a)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31a)은 전동모터(10)의 회전부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1a)은 전동모터(10)의 회전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회전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3)는 지지대 방향으로 제1 연결부(31)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3)의 일 면에는 전동모터(10)와 제어부(50)를 연결하는 리드부(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리드홀(33a)이 구비될 수 있다. 리드홀(33a)은 전동모터(10)와 연결부재(30)의 결합 시, 전동모터(10)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2 연결부(33)의 일 면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리드홀(33a)은 전동모터(10)와 연결부재(30)의 결합 시, 리드부(70)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동모터(10)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인 제2 연결부(33)의 일 면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부(35)는 제1 연결부(31)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2 연결부(33)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부(35)는 지면방향으로 제2 연결부(33)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부(35)는 클램프부재(20)와 체결되는 체결홀(35a)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부재(20)와 마주보는 제3 연결부(35)의 일 면에는 복수의 세레이션(3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연결부(35)의 일면에는 형성된 복수의 세레이션(35b)과 클램프부재(20)의 일면에는 형성된 복수의 세레이션(20b)은 서로 톱니 형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부재(20)와 연결부재(30)가 결합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부재(20)와 연결부재(30)가 결합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부(13)와 지지대 돌출부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회전부(13)와 지지대의 정확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클램프부재(20)와 연결부재(30) 각각에 복수의 세레이션이 구비되어 위치를 제어줌으로써, 모터하우징(10)의 회전부(13)가 지지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회전부(13)의 회전에 의해 지지대가 변형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클램프부재(20)와 연결부재(30) 각각에 복수의 세레이션이 형성된 것을 일 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클램프부재(20)와 연결부재(30) 각각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클램프부재(20)와 연결부재(30)가 체결되는 위치를 설정해주기 위하여, 클램프부재(20)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30)에는 각각의 볼록부가 삽입되도록 볼록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연결부재(20)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클램프부재(30)에 각각의 볼록부가 삽입되도록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감지부(40)는 모터하우징(10)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감지부(40)는 제어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감지부(40)는 지면으로부터 지지대의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0)로 감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감지부(40)가 지면으로부터 지지대까지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용이하게 캠퍼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감지부(40)가 모터하우징(10)의 하면에 부착된 것을 일 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감지부(40)는 지면과 지지대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어디든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4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는 지지대에 부착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전동모터(10), 및 감지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지지대의 높이를 저장하고, 전동모터(10)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동모터(10)가 1회 회전함에 따라, 지지대는 5센티미터씩 하강할 수 있다. 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지지대까지의 높이가 20센티미터로 저장될 경우, 제어부(50)는 전동모터(10)로 4회 회전 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 전동모터(10)가 하강방향으로 4회 회전함에 따라, 지지대는 하강방향으로 20센티미터 하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대를 상승시킬 경우, 제어부(50)는 모터하우징(10)으로 상승 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 탈착장치는 자동으로 지지대를 하강시키고 상승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캠퍼를 주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는 스위치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60)는 제어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스위치부(60)에 의해, 제어부(50)와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전동모터(1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부(60)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버튼은 각각의 전동모터(10)를 제어하는 버튼, 서로 대각선에 위치된 전동모터(10)를 동시에 제어하는 버튼, 서로 일직선에 위치된 전동모터(10)를 동시에 제어하는 버튼, 및 복수 개의 전동모터(10) 모두를 동시에 제어하는 버튼일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캠퍼에는 복수 개의 캠퍼용 승하강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캠퍼용 승하강장치(100)는 캠퍼의 모서리 네 군데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전동모터(10) 각각은 하나의 제어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동모터(1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50)가 복수의 전동모터(10)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캠퍼 지지대 각각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평부재(80)는 전동모터(1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수평부재(80)는 지지대의 수평을 확인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수평부재(80)는 캠퍼(200)의 가로측 수평을 확인하는 제1 수평계, 제1 수평계와 수직하게 위치되어 세로측 수평을 확인하는 제2 수평계, 및 제1, 제2 수평계와 연결된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평계에 수평이 유지되면 LED 램프가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평부재(80)가 구비됨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지지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부재(80)는 하기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퍼용 승하강장치(100)는 차단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는 제1 연결부(31)의 상부에 연결되어, 비, 눈 및 먼지 등으로부터 전동모터(10), 클램프부재(20), 및 연결부재(3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부는 전동모터(10), 클램프부재(20), 및 연결부재(30) 상부에서 위치되며, 전동모터(10), 클램프부재(20), 및 연결부재(30)를 감싸도록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동모터(10), 클램프부재(20), 및 연결부재(30)에서 비 및 눈에 의해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래나 이물 등에 의해 연결부분들이 마모되거나, 연결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부재(80)는 전동모터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수평부재(80)는 제1 수평계(81), 제2 수평계(82), LED 램프(83), 스위칭부(84), 배터리(85), 및 배터리연결부(8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계(81)는 제1 축으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축은 가로축일 수 있다. 제1 수평계(81)는 제1 접지단자(81a), 제1 접지단자연결부(81b), 및 제1 용액부(8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지단자(81a)는 제1 접지단자연결부(81b), 및 배터리연결부(86)를 통하여 배터리(85)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접지단자(81a)는 도전성 물질일 수 있다. 제1 접지단자(81a)는 제1 스위칭부(84a)와 접속되어 led 램프(83)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접지단자(81a)는 제1 스위칭부(84a)와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접지단자(81a)는 제1 용액부(81c)보다 가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지단자(81a)는 제1 용액부(81c) 위에 떠 있을 수 있다. 제1 접지단자(81a)는 제1 용액부(81c) 상에 비어 있는 공간인 공기방울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방울의 위치가 제1 수평계(81)의 정중앙에 위치하여 수평이 유지되는 경우, 제1 접지단자(81a)는 제1 스위칭부(84a)와 접속되어 led 램프(8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접지단자연결부(81b)는 제1 접지단자(8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접지단자연결부(81b)는 도전성이 있으며, 제1 용액부(81c)의 유동성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얇은 금속 실일 수 있다. 제1 접지단자연결부(81b)는 제1 접지단자(81a)와 배터리(85)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용액부(81c)는 제1 수평계(8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용액부(81c)는 액체 형태로 제1 수평계(81)의 내부를 채울 수 있다. 이 경우, 제1 용액부(81c)는 제1 수평계(81) 내부를 가득 채우지 않도록 구비되며, 제1 수평계(81) 내부에는 용액에 채워지지 않은 영역인 공기방울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방울영역은 비어있는 공간일 수 있다. 제1 접지단자(81a)는 공기방울영역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방울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점선을 참고하면, 지지대가 왼쪽으로 치우칠 경우, 액체보다 가벼운 공기방울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지단자(81a)는 공기방울과 동일한 방향 즉,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지지대가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 공기방울은 제1 수평계(81)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지단자(81a)는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정중앙 상부에 위치한 제1 스위칭부(84a)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위칭부(84a)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제2 수평계(82)는 제1 수평계(81)와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평계(82)는 제1 축과 수직한 제2 축으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축이 가로축인 경우 제2 축은 세로축일 수 있다. 제2 수평계(82)는 제2 접지단자(82a), 제2 접지단자연결부(82b), 및 제2 용액부(8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평계(82)는 제2 접지단자(82a), 제2 접지단자연결부(82b), 및 제2 용액부(8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지단자(82a)는 제2 접지단자연결부(82b), 및 배터리연결부(86)를 통하여 배터리(85)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접지단자(82a)는 도전성 물질일 수 있다. 제2 접지단자(82a)는 제2 스위칭부(84b)와 접속되어 led 램프(83)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접지단자(82a)는 제2 스위칭부(84b)와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접지단자(82a)는 제2 용액부(82c)보다 가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지단자(82a)는 제2 용액부(82c) 위에 떠 있을 수 있다. 제2 접지단자(82a)는 제2 용액부(82c) 상에 비어 있는 공간인 공기방울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방울의 위치가 제2 수평계(82)의 정중앙에 위치하여 수평이 유지되는 경우, 제2 접지단자(82a)는 제2 스위칭부(84b)와 접속되어 led 램프(8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접지단자연결부(82b)는 제2 접지단자(82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접지단자연결부(82b)는 도전성이 있으며, 제2 용액부(82c)의 유동성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얇은 금속 실일 수 있다. 제2 접지단자연결부(82b)는 제2 접지단자(82a)와 배터리(85)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용액부(82c)는 제2수평계(8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용액부(82c)는 액체 형태로 제2 수평계(82)의 내부를 채울 수 있다. 이 경우, 제2 용액부(82c)는 제2 수평계(82) 내부를 가득 채우지 않도록 구비되며, 제2 수평계(82) 내부에는 용액에 채워지지 않은 영역인 공기방울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방울영역은 비어있는 공간일 수 있다. 제2 접지단자(82a)는 공기방울영역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방울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점선을 참고하면, 지지대가 왼쪽으로 치우칠 경우, 액체보다 가벼운 공기방울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지단자(82a)는 공기방울과 동일한 방향 즉,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지지대가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 공기방울은 제2 수평계(82)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지단자(82a)는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정중앙 상부에 위치한 제2 스위칭부(84b)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위칭부(84b)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LED 램프(83)는 스위칭부(84)와 연결될 수 있다. LED 램프(83)는 제1 스위칭부(84a)가 제1 접지단자(81a)와 연결되고, 제2 스위칭부(84b)가 제2 접지단자(8ba)와 연결되는 경우, 외부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LED 램프(83)가 발광함에 따라, 사용자는 지지대의 수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야간에도 캠퍼를 지지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칭부(84)는 LED 램프(83)와 연결되어, LED 램프(83)를 발광시키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스위칭부(84)는 제1 스위칭부(84a), 및 제2 스위칭부(8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84a)는 제1 수평계(81)가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 제1 접지단자(81a)와 접속될 수 있다. 제2 스위칭부(84b)는 제2 수평계(81)가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 제2 접지단자(82a)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부(84)가 제1 및 제2 접지단자(81a, 82a)와 연결됨에 따라, LED 램프(83)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지단자(81a, 82a)와 연결되는 스위칭부의 끝단은 제1 및 제2 접지단자(81a, 82a)와 효율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85)는 배터리연결부(86)와 연결되며, 제1 스위치부(84a)와 제1 접지단자(81a)가 접속되고, 제2 스위치부(84b)와 제2 접지단자(82a)가 접속되는 됨에 따라, LED 램프(83)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ED램프(83)는 발광할 수 있다.
배터리연결부(86)는 제1 수평계(81) 및 제2 수평계(82)와 배터리(85)를 연결할 수 있다. 배터리연결부(86)는 제1 배터리연결부(86a) 및 제2 배터리연결부(8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터리연결부(86a)는 제1 접지단자연결부(81b)와 연결되고, 제2 배터리연결부(86b)는 제2 접지단자연결부(82b)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평부재(80)가 구비됨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지지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부재에 수평이 유지되는 경우 LED 램프(83)가 발광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지지대의 수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야간에도 캠퍼를 지지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캠퍼 탈착장치
10: 전동모터
20: 클램프부재 21: 클램프부
23: 가압부 25: 결합부
25a: 볼트 25b: 너트
30: 연결부재 31: 제1 연결부
31a: 관통홀 33: 제2 연결부
33a: 리드홀 35: 제3 연결부
35a: 체결홀 40: 감지부
50: 제어부 60: 스위치부
80: 수평부재 83: LED 램프
200: 캠퍼
300: 지지대

Claims (6)

  1. 캠퍼의 지지대에 연결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 하부에 이격되며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클램프부재; 및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클램프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동모터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수직하게 연결된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연결부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클램프부재와 체결되는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복수의 세레이션이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지지대를 감싸고, 상기 제3 연결부와 마주보는 면에 복수의 세레이션이 구비된 클램프부;
    상기 클램프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부를 내부를 향해 가압시켜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3 연결부와 상기 클램프부를 체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캠퍼용 승하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의 하면에 위치하고, 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전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캠퍼용 승하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전동모터를 동시에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캠퍼용 승하강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94563A 2021-07-20 2021-07-20 캠퍼용 승하강장치 KR10252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563A KR102523644B1 (ko) 2021-07-20 2021-07-20 캠퍼용 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563A KR102523644B1 (ko) 2021-07-20 2021-07-20 캠퍼용 승하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748A KR20230013748A (ko) 2023-01-27
KR102523644B1 true KR102523644B1 (ko) 2023-04-19

Family

ID=8510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563A KR102523644B1 (ko) 2021-07-20 2021-07-20 캠퍼용 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6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37B1 (ko) * 2012-01-10 2013-09-0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레일러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094U (ja) * 1991-07-19 1993-02-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ミラー取付用回転式サブステー取付構造
KR20170017134A (ko) * 2015-08-05 2017-02-15 한정남 자키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37B1 (ko) * 2012-01-10 2013-09-0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레일러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748A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0543A (en) Trailer jack
CN205369982U (zh) 一种建筑用支撑架
KR102523644B1 (ko) 캠퍼용 승하강장치
JP2010095848A (ja) 充電機能を備えた多段式立体駐車装置
US9771249B2 (en) Sporting vehicle lift
KR102075078B1 (ko) 캠퍼
US6840541B2 (en) Trailer level
CN202416937U (zh) 一种新型升降式地下车库
CN108708558A (zh) 一种自动安装楼板的机械设备
US20090184067A1 (en) Adjustable boot racking assembly
CN214942919U (zh) 一种车位用智能升降桩
CN211286234U (zh) 一种自动升降天花
KR102162251B1 (ko) 스마트 회전식 파라솔
CN209750383U (zh) 水平调平工具
JP4024664B2 (ja) パレット用排水装置
CN215367797U (zh) 一种可升降观景房
CN209348095U (zh) 一种高度可调的赛车游戏座位升降装置
CN215553670U (zh) 一种适用于麦轮的agv底盘结构及其制成的移动机器人
KR102515249B1 (ko)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CN217234236U (zh) 一种车载设备的调平减震装置
GB2402662A (en) Automatic levelling system for a caravan or camper van
KR20150110869A (ko) 승하강 테이블 겸용 조명장치를 갖는 이동식 기능성 임시주택
CN218297152U (zh) 一种建筑倾斜警示装置
CN218182843U (zh) 一种智能欧式箱变
US20240010466A1 (en) Car floor for an elevator car and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