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920A -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920A
KR20170042920A KR1020150142137A KR20150142137A KR20170042920A KR 20170042920 A KR20170042920 A KR 20170042920A KR 1020150142137 A KR1020150142137 A KR 1020150142137A KR 20150142137 A KR20150142137 A KR 20150142137A KR 20170042920 A KR20170042920 A KR 20170042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transmission shaft
driving
heigh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환
Original Assignee
조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환 filed Critical 조기환
Priority to KR102015014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2920A/ko
Publication of KR2017004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6Leg adjustment with a motor, e.g. an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02Adjustable furniture construction
    • A47B2220/0008Table or tray, height adjustable on parasol pole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연결부재들의 상호 결합을 통해 마련되는 프레임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레그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레그부가 서로 연동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레그부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레그부는 연결체인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스프로킷 및 제2 스프로킷이 길이방향에 따른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된 구동레그 및 상기 구동레그가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연결체인이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둘 이상의 구동레그의 제1 스프로킷들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제1 전달축, 상기 제1 전달축에 의해 연결된 구동레그 외, 다른 둘 이상의 구동레그의 제1 스프로킷들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제2 전달축 및 상기 제1 전달축과 상기 제2 전달축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하는 전달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레그부의 높이 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높이조절 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FRAM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 가정용 가구 및 각종 작업용 설비에 적용 가능하며,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작업환경에 따라 간편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책상, 식탁, 선반, 수납장 등과 같은 가구들은 사용목적에 맞춰 그 크기와 높이가 다양하게 제작되지만, 제작 시 정해진 크기와 높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사용자의 신체조건이 다양한 만큼 이러한 가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편안함과 불편함이 갈릴 수 있는 책상 및 각종 테이블,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 사용해야 하는 주방의 개수대의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앞서 가정용 가구뿐만 아니라 작업용 선반 및 작업대와 같은 각종 작업용 테이블 역시 다양한 작업목적 및 작업환경에 맞춰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를 주거나 작업능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가정용 가구 및 작업용 설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 가정용 가구 및 각종 작업용 설비에 적용 가능하며,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작업환경에 따라 간편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들의 상호 결합을 통해 마련되는 프레임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레그부; 상기 복수 개의 레그부가 서로 연동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레그부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레그부는, 연결체인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스프로킷 및 제2 스프로킷이 길이방향에 따른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된 구동레그; 및 상기 구동레그가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연결체인이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둘 이상의 구동레그의 제1 스프로킷들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제1 전달축; 상기 제1 전달축에 의해 연결된 구동레그 외, 다른 둘 이상의 구동레그의 제1 스프로킷들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제2 전달축; 및 상기 제1 전달축과 상기 제2 전달축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하는 전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레그부의 높이 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높이조절 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이때,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1 전달축상에 마련되는 제1 체인기어; 상기 제2 전달축상에 마련되는 제2 체인기어; 및 상기 제1 전달축과 상기 제2 전달축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인기어와 상기 제2 체인기어에 감겨지는 전달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1 전달축상에 마련되는 제1 링기어;
상기 제2 전달축상에 마련되는 제2 링기어; 및 상기 제1 링기어 및 상기 제2 링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제1 피니언기어 및 제2 피니언기어가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과 타단에 각각 마련된 제3 전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전달축 또는 상기 제2 전달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전달축 또는 상기 제2 전달축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전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전달축 또는 상기 제2 전달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웜휠; 및 상기 웜휠에 치합되어 상기 웜휠을 회전시키는 웜기어가 구비된 구동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그부는, 상기 고정레그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구동레그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액추에이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유닛은, 상기 구동레그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상단이 상기 구동레그의 일측에 고정되는 피스톤바; 상기 피스톤바를 밀어 올리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바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실린더바; 및 상기 피스톤바가 상기 실린더바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되었을 시 상기 피스톤바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피스톤바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실린더바로부터 승강하도록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레그부는, 상기 구동레그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의 연결부재 내측면에 고정되어,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일체형 구조로 마련되기 때문에 간단한 체결작업만으로도 다양한 가정용 가구 및 작업용 설비에 설치가 가능하며, 필요에 의한 제거 또한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복수 개의 레그부의 높이조절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레그부에 포함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마련된 레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가 설치된 테이블 및 개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프레임부(100), 레그부(200) 및 동력전달부(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110)들의 상호 결합을 통해 마련되는 상부 골격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가 설치될 시 각종 설비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100)를 구성하는 연결부재(110)는 강성을 갖는 형강재(channel), 빔(beam), 바(bar)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 등 그 소재 역시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다.
레그부(2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전술한 프레임부(1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구동레그(210) 및 고정레그(22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레그(210)의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부(100)의 연결부재(110) 내측면에 연결되도록 세워져 설치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레그(210)는 연결체인(215)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스프로킷(211) 및 제2 스프로킷(213)이 길이방향에 따른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구동레그(210)의 하단에는 고정레그(220)의 내측면에 맞닿아 유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유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적은 구동레그슬리브(217)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레그슬리브(217)는 고정레그(220)의 내부에 끼워 맞춰져 삽입될 수 있도록 외곽을 형성하며, 제1 스프로킷(211)과 제2 스프로킷(213)을 연결하는 연결체인(215)이 통과되는 홀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고정레그(220)는 상기 구동레그(210)가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연결체인(215)이 내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구동레그(210)의 연결체인(215)은 별도의 체결부재(예컨대, 나사, 볼트, 핀, 리벳, 클립 등)을 통해 고정레그(22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레그(220)의 상단에는 구동레그(210)의 외곽에 대응하는 내부 둘레를 갖는 고정레그슬리브(2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레그슬리브(221) 및 전술한 구동레그슬리브(217)은 미끄럼베어링으로 대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레그(210)는 고정레그(2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스프로킷(211) 또는 제2 스프로킷(213)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해 고정레그(220)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레그(220)의 하단이 뚫려 있도록 개방형성됨으로써, 구동레그(210)가 고정레그(220)로부터 하강할 시 상기 구동레그(210)의 하단이 상기 고정레그(220)의 하단을 통과하여 바닥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구동레그(210)의 하단에는 캐스터(219)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구동레그(210)의 하강 시 상기 캐스터(219)가 상기 고정레그(22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부(100) 및 상기 레그부(200)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구동레그(210)의 상승 시에는 상기 고정레그(220)의 내부로 수납되어 상기 고정레그(220)의 하단이 바닥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레그부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장치가 설치된 각종 설비의 높이조절뿐만 아니라 이동까지 가능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레그(210) 및 고정레그(220)를 포함하여 구성된 레그부(200)는 프레임부(100)를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100)를 통해 각종 설비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각종 설비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300)는, 전술한 복수 개의 레그부(200)가 서로 연동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그부(200)들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제1 전달축(310), 제2 전달축(330) 및 전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달축(310)은 둘 이상의 구동레그의 제1 스프로킷(211)들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전달축(330)은 상기 제1 전달축(310)에 의해 연결된 구동레그(210) 외, 다른 둘 이상의 구동레그(210)의 제1 스프로킷(211)들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전달축(310) 및 제2 전달축(330)은 프레임부(100)의 연결부재(110)의 내측면에 마련된 베어링유닛(12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프레임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전달유닛은 제1 전달축(310)과 제2 전달축(33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달축(310)과 상기 제2 전달축(33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달유닛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1 전달축(310) 또는 제2 전달축(330)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다른 하나에 전달함으로써, 전술한 복수 개의 레그부(200)의 높이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데 그 일례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유닛은 제1 전달축(310)상에 마련되는 제1 체인기어(351), 제2 전달축(330)상에 마련되는 제2 체인기어(352), 상기 제1 전달축(310)과 상기 제2 전달축(33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인기어(351)와 상기 제2 체인기어(352)에 감겨지는 전달체인(3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달유닛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축(310)상에 마련되는 제1 링기어(342), 제2 전달축(330)상에 마련되는 제2 링기어(344), 상기 제1 링기어(342) 및 상기 제2 링기어(344)에 각각 치합되는 제1 피니언기어(346) 및 제2 피니언기어(348)가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과 타단에 각각 마련된 제3 전달축(3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전달유닛은, 제1 전달축(310) 또는 제2 전달축(330)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다른 하나에 전달함으로써, 전술한 복수 개의 레그부(200)를 서로 연동시켜 동시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전달축(310) 또는 제2 전달축(330)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본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축(310) 또는 제2 전달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구동기어(410) 및 상기 구동기어(4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전달축(310) 또는 상기 제2 전달축(330)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전동모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동모터(430)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프레임부(100) 일측에 마련된 배터리를 통해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전원공급케이블를 이용해 설치장소에 설비되어 있는 전원콘센트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축(310) 또는 제2 전달축(33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웜휠(510)과 상기 웜휠(510)에 치합되어 상기 웜휠(510)을 회전시키는 웜기어(521)가 구비된 구동핸들(5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모터(430) 및 구동핸들(520) 등을 이용해 제1 전달축(310) 및 제2 전달축(330)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복수 개의 레그부(200)를 통해 프레임부(100)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의 전동모터(430) 및 구동핸들(520)과는 구동방식의 차이가 있으나, 레그부(200)의 높이를 조절하여 프레임부(100)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레그부(200)에 액추에이터유닛(23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이터유닛(230)은 전술한 레그부(20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고정레그(220)의 내부에 삽입된 구동레그(21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피스톤바(231), 실린더바(233) 및 고정레버(2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바(231)는 구동레그(2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상단이 상기 구동레그(2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바(233)는 앞서의 피스톤바(231)를 밀어 올리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바(231)가 내부에 산입된 상태로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레버(235)는 피스톤바(231)가 실린더바(233)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되었을 시 상기 피스톤바(231)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피스톤바(231)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실린더바(233)로부터 상승하도록 고정을 해체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성들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유닛(23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고정레버(235)를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간단하게 레그부(2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액추에이터유닛(230)이 복수 개의 레그부(200) 중 어느 하나에만 포함되더라도 전술한 동력전달부(300)에 의해 복수 개의 레그부(200)가 연동하여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하여 손쉽게 프레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유닛(230)은 전술한 탄성부재뿐만 아니라 전기, 유압 및 공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해 피스톤바(2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전기를 이용한 방식을 취하는 액추에이터유닛(230)은 리니어모터와 같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꿀 수 있는 전동기 및 그에 따른 전기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유압 및 공압을 이용한 방식을 취하는 액추에이터유닛(230)의 경우에는, 실린더 및 피스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실린더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압력 변화를 이용하여 실린더바(233)에 연결된 피스톤바(231)를 운동시킴으로써 레그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부(200)가 필요에 따라 프레임부(100)의 내부로 접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레그부(200)는 구동레그(210)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부(100)의 연결부재(110) 내측면에 고정되어,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로 접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레그부(200)는 구동레그(210)의 상단 및 제1 스프로킷(211)을 관통하여 프레임부(100)의 연결부재(110)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되는 제1 전달축(310) 또는 제2 전달축(330)에 의해 프레임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전달축(310) 또는 제2 전달축(330)이 연결부재(110)의 내측면에는 베어링(15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전달축(310) 또는 상기 제2 전달축(330)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레그(210)의 상단에는 고정용브래킷(240)이 마련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레그부(200)가 원하지 않은 회전에 의해 프레임부(100)의 내부를 향해 접히는 걸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100)의 연결부재(110)의 아래 측면에는 구동레그(210)의 상단에 마련된 고정용브래킷(240)에 형성된 홀에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 걸림핀(1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레그(210) 및 연결부재(110)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용브래킷(240)과 걸림핀(130)의 결합을 통해 레그부(200)는 세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10)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잠금유닛(140)에 의해 상기 고정용브래킷(240)은 상기 걸림핀(130)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는 프레임부(100)의 내부를 향해 레그부(200)가 접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전체 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관 시 동일 공간 대비 더 많은 프레임 장치를 수납할 수 있으며, 좁은 틈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도 수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등을 이용해 운반할 시에도 더 많은 수량의 프레임 장치를 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그부(200)를 안정적으로 프레임부(100)의 내부로 접어 수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프레임 장치를 쌓아 올리거나 세워 넣을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내부를 향해 레그부(200)가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고정용브래킷(240)을 이용하여 견고한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테이블(T) 및 선반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레그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레그(210)의 하단에 마련된 캐스터(219, 도 2 참조)를 통해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도 11과 같이 구동레그(210)를 승강시켜 상기 캐스터(219)를 고정레그(220)의 내부로 수납시킴으로써 고정레그(220)의 하단을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동성과 안정성을 두루 갖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각종 테이블 및 선반뿐만 아니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를 숙여 사용해야 하는 주방의 개수대(S)와 같은 설비에도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높이조절이 필요한 가구 및 설비 등에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독립되어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일반 가정용 가구 및 각종 작업용 설비에 적용 가능하며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작업환경에 따라 간편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00: 프레임부
110: 연결부재
200: 레그부
210: 구동레그
220: 고정레그
230: 액추에이터유닛
300: 동력전달부
310: 제1 전달축
330: 제2 전달축
340~350: 전달유닛

Claims (8)

  1. 복수 개의 연결부재들의 상호 결합을 통해 마련되는 프레임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레그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레그부가 서로 연동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레그부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는,
    연결체인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스프로킷 및 제2 스프로킷이 길이방향에 따른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된 구동레그; 및
    상기 구동레그가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연결체인이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둘 이상의 구동레그의 제1 스프로킷들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제1 전달축;
    상기 제1 전달축에 의해 연결된 구동레그 외, 다른 둘 이상의 구동레그의 제1 스프로킷들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제2 전달축; 및
    상기 제1 전달축과 상기 제2 전달축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하는 전달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레그부의 높이 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높이조절 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1 전달축상에 마련되는 제1 체인기어;
    상기 제2 전달축상에 마련되는 제2 체인기어; 및
    상기 제1 전달축과 상기 제2 전달축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인기어와 상기 제2 체인기어에 감겨지는 전달체인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1 전달축상에 마련되는 제1 링기어;
    상기 제2 전달축상에 마련되는 제2 링기어; 및
    상기 제1 링기어 및 상기 제2 링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제1 피니언기어 및 제2 피니언기어가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과 타단에 각각 마련된 제3 전달축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축 또는 상기 제2 전달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전달축 또는 상기 제2 전달축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전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축 또는 상기 제2 전달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웜휠; 및
    상기 웜휠에 치합되어 상기 웜휠을 회전시키는 웜기어가 구비된 구동핸들을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고정레그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구동레그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액추에이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유닛은,
    상기 구동레그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상단이 상기 구동레그의 일측에 고정되는 피스톤바;
    상기 피스톤바를 밀어 올리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바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실린더바; 및
    상기 피스톤바가 상기 실린더바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되었을 시 상기 피스톤바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피스톤바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실린더바로부터 승강하도록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구동레그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부의 연결부재 내측면에 고정되어,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 내부로 접혀 수용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구동레그의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레그의 승하강을 따라 상기 고정레그의 내부에서 함께 승하강되어, 상기 구동레그가 하사점으로 하강했을 때 상기 고정레그의 하단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캐스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구동레그의 하강 시 상기 고정레그의 하단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레그부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구동레그의 상승 시 상기 고정레그의 내부로 수납되어 상기 고정레그의 하단이 바닥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KR1020150142137A 2015-10-12 2015-10-12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KR20170042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137A KR20170042920A (ko) 2015-10-12 2015-10-12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137A KR20170042920A (ko) 2015-10-12 2015-10-12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20A true KR20170042920A (ko) 2017-04-20

Family

ID=5870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137A KR20170042920A (ko) 2015-10-12 2015-10-12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29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0568A (zh) * 2020-12-27 2021-04-23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保护颈椎作用的可折叠课桌
KR20220072559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뉴퍼스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559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뉴퍼스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CN112690568A (zh) * 2020-12-27 2021-04-23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保护颈椎作用的可折叠课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8981B2 (en) Height adjustable table
JP6552807B2 (ja) 上下調節可能な脚を有する家具
EP3179885B1 (en) Height adjustable desk system and method
CA2590413C (en) Workstation system and workstation with multiple, adjustable height, work tops
EP3035821B1 (en) Height adjustable desk system and method
US99805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using assisted storage
US5188323A (en) Ambulatory support apparatus
AU2015200113B9 (en) Furnishing element having a folding support shelf and/or a folding support structure
KR102137298B1 (ko) 힌지와 리프팅 부재를 갖춘 파이프 가공 장치 및 파이프 가공 장치용 지지 부재
KR20170042920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장치
US20180235360A1 (en) Adaptable workstation
KR20150101797A (ko) 높이조절 책상
KR20160063602A (ko) 스프링로드식 바퀴구조체
US20110291339A1 (en) Positioning device for workpieces
US20140260735A1 (en) Counterbalance system for assisting a user
KR101696417B1 (ko)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CN207260953U (zh) 一种带伸缩托架的家用人字梯
US9470109B2 (en) Turbine blade insertion tool
CN203003831U (zh) 手动旋动装置及包含该手动旋动装置的摆动工具
KR101548002B1 (ko) 전동테이블의 높이조절 구동장치
KR200470476Y1 (ko) 전동 테이블
KR20100022886A (ko) 바퀴 회전 자동 고정장치
CN207679361U (zh) 升降组件及卫浴装置
CN107567222A (zh) 一种家电外壳
NZ556103A (en) Adjustable work surface with slippable belt dr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