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246B1 - 멀미 방지 의자 - Google Patents

멀미 방지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246B1
KR102110246B1 KR1020180162468A KR20180162468A KR102110246B1 KR 102110246 B1 KR102110246 B1 KR 102110246B1 KR 1020180162468 A KR1020180162468 A KR 1020180162468A KR 20180162468 A KR20180162468 A KR 20180162468A KR 102110246 B1 KR102110246 B1 KR 102110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at
coupled
ship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용
박영일
이철수
김대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2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B63B29/12Self-levelling moun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8Chair or stool bases for uneve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B63B2029/043Seat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B2709/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미 방지 의자에 관한 발명으로, 등받이부와 좌판부를 구비하는 시트 본체 유닛 시트 본체 유닛에 결합되는 정보 수집 유닛, 시트 본체 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시트 조절 유닛 및 시트 본체 유닛, 정보 수집 유닛 및 시트 조절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정보 수집 유닛으로부터 제어 유닛이 선박에 대한 X,Y,Z축의 데이터를 수신 받고, 제어 유닛이 시트 조절 유닛의 X,Y,Z 축을 제어하여 시트 조절 유닛이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미 방지 의자{A nuisance chair}
본 발명은 멀미 방지 의자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부와 좌판부를 구비하는 시트 본체 유닛, 상기 시트 본체 유닛 하부에 결합되는 정보 수집 유닛, 시트 조절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집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어 유닛이 선박에 대한 X, Y, Z축의 데이터를 수신 받고,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시트 조절 유닛의 X, Y, Z 축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 조절 유닛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미는 사람이 오랜 기간 동안 하나 이상의 특정한 거동 혹은 동작에 노출될 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온도, 냄새, 감정 및 소화력 등과 같은 요소가 멀미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멀미는 어지럼증의 일종으로 귀 속의 세반 고리관이 선박 혹은 차량의 지속적인 흔들림에 과도하게 반응하여 발생되고, 자율 신경계를 중심의 일과성의 반응 증세로, 얼굴이 하얗게 질리거나 식은땀을 흘리고 메스꺼움, 구토 등이 일어난다.
또한, 선박 혹은 차량의 흔들림 외에도 시각, 후각적 자극, 정신적인 요인, 내부의 온도와 습도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멀미의 가장 잘 알려진 형태로는 뱃멀미와 차멀미가 있다. 특히, 뱃멀미는 연안을 오가는 배, 연근해 유람선, 가족들과 주말 나들이로 떠나는 낚시 여행 등의 주변 상황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증상으로 탑승자 중에서 1~5% 정도로 전체 탑승객의 비율 중 많은 부분을 차지 한다.
이에 따라, 여행, 이동 및 운송의 수단으로 선박을 이용해야 하는 탑승객들은 의도치 않게 발생되는 뱃멀미로 인하여 활동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운항이 종료되어도 일정 시간을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 선박을 이용해야 하는 탑승객들은 멀미를 방지하기 위한 완전한 대책이 없이 단순한 보조 방법으로 식품, 제품 및 잠자기 등에 방법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불편함이 증대되고 있다.
게다가, 대량 선박 혹은 유람선 같은 경우에는 온도 조절을 개개인에 맞출 수 없어 탑승객들이 멀미 증상에 노출되기 쉽고, 멀미약 복용은 신경계에 작용해 두통이 생기거나 정신이 혼미해 지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멀미에 대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선박 혹은 배를 이용하는 탑승객들이 운항 시간 동안 멀미를 예방하여 다양한 활동들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멀미로 인해 선박 혹은 배의 탑승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8725호
본 발명은 멀미 방지 의자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부와 좌판부를 구비하는 시트 본체 유닛, 상기 시트 본체 유닛 하부에 결합되는 정보 수집 유닛, 시트 조절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집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어 유닛이 선박에 대한 X, Y, Z축의 데이터를 수신 받고,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시트 조절 유닛의 X, Y, Z 축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 조절 유닛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유도하여 멀미를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는 등받이부와 좌판부를 구비하는 시트 본체 유닛; 상기 시트 본체 유닛에 결합되는 정보 수집 유닛; 상기 시트 본체 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시트 조절 유닛; 및 상기 시트 본체 유닛, 상기 정보 수집 유닛 및 상기 시트 조절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집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어 유닛이 선박에 대한 X,Y,Z축의 데이터를 수신 받고,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시트 조절 유닛의 X,Y,Z 축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 조절 유닛이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정보 수집 유닛으로부터 상기 정보 데이터를 수신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가 수신 받은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 조절 유닛이 수평 하도록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 조절 유닛을 제어하는 신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상기 정보 수집 유닛은, 상기 시트 본체 유닛 하부에 결합되되, 탑승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및 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초음파 센서로 구비된 정보 센서부;를 구비하되, 상기 정보 센서부로부터 획득된 정보 데이터는 상기 입력부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상기 시트 조절 유닛은, 복수 개로 구비되되, 상기 좌판부의 하면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상기 시트 조절 유닛은, 원통 형상으로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내부에 삽입되되, 수직 방향의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 및 상기 가변부 상부에 결합되되, 회전 운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수집 유닛으로부터 선박의 X, Y, Z 좌표 값의 정보를 제어 유닛에 전송하고, 제어 유닛은 신호부를 통해 시트 조절 유닛을 구동하여 선박의 운용환경 특성 상 파도에 의해 선체가 기울어지는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어 탑승자들의 멀미로 인한 불편함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시트 조절 유닛이 좌판부의 하부에서 각각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수직 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좌판부에 착석하는 탑승자의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고, 각각의 모서리인 네 군데의 지점에서 제어가 됨으로 수평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변부의 수직 방향으로의 운동 및 구동 볼의 좌,우 및 전,후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함에 따라 좌판부가 계산부에 의해 업데이트 되는 좌표 값에 실시간으로 대응하여 위치하여 좌판부가 지속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 유닛을 구비하여 선박 내부에서 실무자에 의해 직접 시트 조절 유닛을 제어할 수 있어 선박 내부의 각각의 탑승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시트 조절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사용 실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시트 조절 유닛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사용 실시 예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는 정보 수집 유닛(100), 시트 본체 유닛(200), 시트 조절 유닛(300), 제어 유닛(400) 및 스마트 유닛(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미 방지 의자는 물에 떠서 사람, 가축, 물자를 싣고, 물 위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물을 일컫는 선박(10)의 일 예로, 배 혹은 객선, 화물선과 같은 선박(10) 내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의자의 형태를 포함하며, 모터와 연동하여 파도에 따라 기울어지는 선박(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시트 본체 유닛(200)을 설명하도록 한다.
시트 본체 유닛(200)은 선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의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등받이부(210) 및 좌판부(22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에서 시트 본체 유닛(200)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등받이부(210) 및 좌판부(220)만을 구비하였지만, 종래의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인 의자가 구비하는 시트, 손잡이 및 팔걸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부(210)는 종래 의자의 등판으로, 등을 받쳐 줄 수 있는 형상으로 소정의 곡률을 포함할 수 있고, 여러 각도를 구비하여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좌판부(220)는 종래 의자에서 사람의 엉덩이가 닿는 부분으로, 사람의 체중을 실을 수 있는 재질로 구현할 수 있고, 장시간 앉을 경우를 대비하여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등받이부(210)와 좌판부(220)는 직각으로 인접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좌판부(220)의 내부에 정보 수집 유닛(10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수집 유닛(100)은 정보 센서부(110)로 구비되고, 정보 센서부(110)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가속도 및 방향을 감지하는 G 센서, X,Y,Z 좌표계로 X,Y,Z 축 변위와 각속도 및 각가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카메라 센서 및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판부(220)의 내부에 결합되는 압력 센서 및 카메라 센서로 인하여 탑승자가 좌판부(220)에 앉았을 때에, 탑승자의 무게를 감지하여 좌석의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탑승자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탑승자의 움직임, 자세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센서는 다이어프램의 굴절이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을 생성하는 원리로, 비증폭 출력 압력센서(Unamplified), 증폭 출력 압력센서(Amplified), 디지털 출력 압력센서(Digit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는 가시광선을 받아들이는 방식을 주로 이용하며, 이미지를 통해 대상이 있고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전기 에너지와 세라믹 변환기를 사용하여 음파 형태로 기계 에너지를 방출 및 수신하는 센서로, 고체, 액체 및 기체를 통과하는 음파로 거리를 측정하거나, 대상이 있고 없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G 센서, 자이로 센서 및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선박(10)이 파도로 인해 요동치고, 기울어짐에 따라 수시로 변화하는 X,Y,Z 축의 좌표 값의 정보를 제어 유닛(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400)이 후술할 시트 조절 유닛(300)을 제어하여 파도에 따라 선박(10)과 같이 요동치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의 운용환경 특성 상 파도에 의해 선체가 기울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함에 따라 선박(10)을 이용하는 탑승자들의 멀미로 인한 불편함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선박(10)을 이용하는 탑승자들 중 신체의 특성에 따라 멀미가 심한 탑승자들은 멀미로 인해 탑승 시간 동안 잠을 선택하지 않고, 다른 활동을 선택할 수 있으며, 장시간의 운항 조건에 따라, 식사, 공연 등과 같은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또한, 선박(10) 운전에 대한 불편한 요소를 제거할 수 있고, 운반되는 물품에 대하여 파손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즉, 파도에 의한 선박(10)의 X,Y,Z축에 대한 기울어짐을 사전에 감지하여 제어 유닛(400)에 전송하고, 제어 유닛(400)은 수신 받은 정보 데이터에 따라 탑승자가 착석하는 후술할 시트 조절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어 유닛(400)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 유닛(400)은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를 수신 및 출력을 공급하여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지시하는 공지의 제어장치(control unit)로, 정보 수집 유닛(100), 시트 조절 유닛(300) 및 스마트 유닛(50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유닛(400)은 입력부(410), 계산부(420) 및 신호부(430)를 구비한다.
입력부(410)는 정보 수집 유닛(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선박(10)의 X,Y,Z 축 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
계산부(420)는 입력부(410)가 수신 받은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박(1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계산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계산부(420)는 파도에 따라 요동하는 외부 환경에 의해 X,Y,Z 축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선박(10)의 각각의 좌표를 데이터로 수신 받은 입력부(410)의 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선박(10)이 수평하도록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1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 좌표 값이 (0,0,0)이라 함은, 수신 받은 X,Y,Z의 데이터가 (0, 20, 10)일 경우에, (0, -20, -10)으로 계산부(420)는 계산하여 선박(1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 내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시트 본체 유닛(200)에는 각각의 정보 수집 유닛(100)을 결합하여 지속적으로 선박(1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아 후술할 시트 조절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신호부(430)는 계산부(420)에 의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좌표 값을 통해 후술할 시트 조절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신호부(430)는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계산부(420)에 의해 계산된 X,Y,Z축의 좌표 값에 기초하여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모터를 회전 및 구동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호부(430)는 지속적으로 선박(10)의 움직임에 대해 시트 조절 유닛(300)을 모터를 통해 구동하여 시트 조절 유닛(30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부(430)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계산부(420)의 좌표 값으로 시트 조절 유닛(300)을 위치시켜, 후술할 시트 조절 유닛(300)이 파도에 따라 변동되는 움직임에 따라 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대응될 수 있어 멀미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 조절 유닛(300)이 신호부(430)에 의해 X,Y,Z축의 위치가 변동되는 간격은 설계자의 임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시트 조절 유닛(300)을 설명하도록 한다.
시트 조절 유닛(300)은 좌판부(220)의 하부에 결합되고,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조절 유닛(300)은 좌판부(220)의 하부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수 개의 시트 조절 유닛(300)이 좌판부(220)의 하부에서 각각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수직 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좌판부(220)에 착석하는 탑승자의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고, 각각의 모서리인 네 군데의 지점에서 제어가 됨으로 수평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좌판부(220) 하부에 직접 결합되는 구동 플레이트(331)가 도 4에 도시된 구동 플레이트(331A), (331B), (331C), (331D)와 같이 좌판부(220)의 하부에서 시계 방향으로 결합되어 서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조절 유닛(300)은 고정부(310), 가변부(320) 및 구동부(330)로 구비된다.
도 2와 같이, 각각의 가변부(310)는 원통 형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선박(10)의 바닥에 볼트, 리벳, 용접과 같은 공지의 결합 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가변부(320)는 원통 형상으로, 고정부(310) 내부에 삽입되고, 수직 방향으로 가변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변부(320)는 고정부(310) 내부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을 하여 계산부(420)에 의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Z축의 좌표 값을 구현할 수 있다.
구동부(330)는 구동 플레이트(331) 및 구동 볼(332)을 구비하여 가변부(320)의 상부에 결합된다.
구동 플레이트(331)는 좌판부(220)의 하부에 직접 결합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동 볼(332)과 좌판부(220)가 결합되기 위해 결합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동 볼(332)의 상부는 구동 플레이트(331)와 결합되고, 하부는 가변부(320)와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는 볼헤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헤드 방식은 공지된 기술인 바, 볼의 구조로 상, 하, 좌, 우로 운동이 가능하여 롤(roll) 운동 및 피치(pitch)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원리이다. 여기서, 롤 운동은 도 1을 기준으로, 좌판부(220)가 x축 방향으로 좌, 우로 기울게 되는 운동을 의미하며, 피치 운동은 좌판부(220)가 y축 방향으로 전, 후방으로 기울게 되는 운동을 의미한다.
즉, 구동 볼(332)은 계산부(420)에 의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X, Y축의 좌표 값을 신호부(43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구동 볼(332)이 회전되기 위해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지만, 모터가 설치 및 이용된다. 여기서, 모터는 회전각의 조정이 가능한 스텝 모터일 수 있으며, 제어 유닛(400)의 신호부(430)에 따라 그 회전각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실시 예로써, 도 3과 같이, 가변부(320)의 수직 방향으로의 운동 및 구동 볼(332)의 좌,우 및 전,후방으로의 회동으로 좌판부(220)가 계산부(420)에 의해 업데이트 되는 좌표 값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으므로 좌판부(220)가 지속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 볼(332)의 볼 형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각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미세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선박(10)의 움직임에 인한 좌표 값에 대응하는 정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에서는 스마트 유닛(500)을 이용하여, 시트 조절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유닛(500)은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선박(10) 내에서 탑승자가 착석한 모든 시트 조절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는 실무자가 소지하는 휴대폰, 전자장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유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써,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 핸드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e-리더(e-read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유닛(500)은 본 발명에 의한 멀미 방지 의자의 제어 유닛(400)을 통해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고, 휴대용 전자 장치들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지원되는 무선 통신 방식들 중의 하나인 블루투스 등의 수단을 포함하여, LAN, IrDA, HomeRF,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무선 USB(Wireless USB)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들로 수 미터 내지 수십 미터의 통신 가능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 내부에서 실무자에 의해 직접 시트 조절 유닛(300)을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각각의 탑승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ROM, RAM, 플레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정보 수집 유닛, 110 : 정보 센서부,
200 : 시트 본체 유닛, 210 : 등받이부,
220 : 좌판부, 300 : 시트 조절 유닛,
310 : 고정부, 320 : 가변부,
330 : 구동부, 331 : 구동 플레이트,
332 : 구동 볼, 400 : 제어 유닛,
410 : 입력부, 420 : 계산부,
430 : 신호부, 500 : 스마트 유닛.

Claims (5)

  1. 등받이부(210)와 좌판부(220)를 구비하는 시트 본체 유닛(200);
    상기 시트 본체 유닛(200)에 결합되는 정보 수집 유닛(100);
    상기 시트 본체 유닛(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시트 조절 유닛(300); 및
    상기 시트 본체 유닛(200), 상기 정보 수집 유닛(100) 및 상기 시트 조절 유닛(300)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집 유닛(100)으로부터 상기 제어 유닛(400)이 선박에 대한 X,Y,Z축의 데이터를 수신 받고,
    상기 제어 유닛(400)이 상기 시트 조절 유닛(300)의 X,Y,Z 축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 조절 유닛(300)이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 유닛(400)은,
    상기 정보 수집 유닛(100)으로부터 선박에 대한 상기 X,Y,Z 축의 데이터를 수신 받는 입력부(410);
    상기 입력부(410)가 수신 받은 선박에 대한 상기 X,Y,Z 축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 조절 유닛(300)이 수평 하도록 계산하는 계산부(420); 및
    상기 계산부(420)에서 계산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 조절 유닛(300)을 제어하는 신호부(4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보 수집 유닛(100)은,
    상기 시트 본체 유닛(200) 하부에 결합되되,
    탑승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및
    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초음파 센서로 구비된 정보 센서부(110);를 구비하되,
    상기 정보 센서부(110)로부터 획득된 정보 데이터는 상기 입력부(410)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시트 조절 유닛(300)은,
    복수 개로 구비되되,
    상기 좌판부(220)의 하면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시트 조절 유닛(300)은,
    원통 형상으로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고정부(310);
    상기 고정부(310) 내부에 삽입되되, 수직 방향의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320); 및
    상기 가변부(320) 상부에 결합되되, 회전 운동하는 구동부(3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좌판부(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 플레이트(331); 및
    상부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331)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가변부(320)와 결합되는 구동 볼(332);로 구비되되,
    상기 구동 볼(332)은 볼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변부(320)의 상부에서 상,하,좌,우로 회동할 수 있고,
    상기 구동 볼(332)은 상기 신호부(430)에 의해 회전각이 조절되는 것인
    멀미 방지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62468A 2018-12-14 2018-12-14 멀미 방지 의자 KR102110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468A KR102110246B1 (ko) 2018-12-14 2018-12-14 멀미 방지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468A KR102110246B1 (ko) 2018-12-14 2018-12-14 멀미 방지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246B1 true KR102110246B1 (ko) 2020-05-13

Family

ID=7073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468A KR102110246B1 (ko) 2018-12-14 2018-12-14 멀미 방지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559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뉴퍼스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069A (ja) * 1992-09-11 1994-04-05 Sony Corp 防振台
JP2000038194A (ja) * 1998-07-23 2000-02-08 Kayaba Ind Co Ltd 船舶用座席の免震装置
JP2006199188A (ja) * 2005-01-21 2006-08-03 Teruaki Ito 椅子及び船酔い防止椅子
KR20130135138A (ko) * 2012-05-30 2013-12-10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실시간 해양 구조물에 대한 유체역학적 환경 내외력, 선체 응력, 6자유도 운동 및 운용 위치를 예측 모니터링 및 제어함을 통한 연료절감, 안전운용 및 유지보수정보 제공 방법
KR20160108725A (ko) 2015-03-05 2016-09-20 (주)유일 멀미방지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069A (ja) * 1992-09-11 1994-04-05 Sony Corp 防振台
JP2000038194A (ja) * 1998-07-23 2000-02-08 Kayaba Ind Co Ltd 船舶用座席の免震装置
JP2006199188A (ja) * 2005-01-21 2006-08-03 Teruaki Ito 椅子及び船酔い防止椅子
KR20130135138A (ko) * 2012-05-30 2013-12-10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실시간 해양 구조물에 대한 유체역학적 환경 내외력, 선체 응력, 6자유도 운동 및 운용 위치를 예측 모니터링 및 제어함을 통한 연료절감, 안전운용 및 유지보수정보 제공 방법
KR20160108725A (ko) 2015-03-05 2016-09-20 (주)유일 멀미방지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559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뉴퍼스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KR102515249B1 (ko) 2020-11-25 2023-03-29 주식회사 뉴퍼스 자동 수평 조절 가능한 스마트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2941B2 (ja) 船舶用ドッキング制御
JP5024652B2 (ja) 車両
US9120021B2 (en) Interactive lean sensor for controlling a vehicle motion system and navigating virtual environments
US5822813A (en) Motion compensated apparatus
KR102028231B1 (ko) 전복 위험도 산출 시스템
KR20180101338A (ko) 대형 변위 중에 각도 궤적 계획을 갖는 차량 좌석
EP379386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ne or more actuators arranged to actively suspend a seat in a vehicle and system therefor
KR102110246B1 (ko) 멀미 방지 의자
US20170355282A1 (en) Seat position detection for seat assemblies
US20190126918A1 (en) Moving body
KR101559665B1 (ko) 유모차
CN107323613B (zh) 一种无人船中探测设备的减摇装置和无人船
KR20160092112A (ko) 휠체어용 자세 유지 장치
US11397429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tilt, lean, movement, rotation, of a user, rider, payload
JP5270307B2 (ja) 移動体
JPWO2016199311A1 (ja) 移動筐体
JP2006199188A (ja) 椅子及び船酔い防止椅子
JP5044515B2 (ja) 移動体、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9021356A1 (ja) 凝り誘発姿勢検出装置
KR101880123B1 (ko)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착석자의 상태에 따라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카시트
US10532681B2 (en) Seat including a head sensor
WO2018230202A1 (ja) 椅子及び姿勢判定方法
JP2010119199A (ja) 移動体、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656710B1 (ko) 선박 동요 상쇄 침대
JP2011105051A (ja) 移動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