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649A -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가압 장치 - Google Patents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가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649A
KR20220071649A KR1020200159020A KR20200159020A KR20220071649A KR 20220071649 A KR20220071649 A KR 20220071649A KR 1020200159020 A KR1020200159020 A KR 1020200159020A KR 20200159020 A KR20200159020 A KR 20200159020A KR 20220071649 A KR20220071649 A KR 20220071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infusion
pressurizing
storage sp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854B1 (ko
Inventor
이명숙
Original Assignee
이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숙 filed Critical 이명숙
Priority to KR102020015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854B1/ko
Priority to PCT/KR2021/008502 priority patent/WO2022114433A1/ko
Priority to JP2022508901A priority patent/JP7355355B2/ja
Publication of KR2022007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483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using flexible bags externally pressurised by fl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백 가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액이 수용되어 있는 수액백을 가압할 수 있는 장치로서,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기 저장 공간; 상기 공기 저장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면 팽창함으로써 상기 수액백를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압백;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저장 공간은, 간격 유지 부재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나누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공기 저장 공간에 배치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가압백의 일단부 내면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가압백의 타단부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압백이 과도하게 팽창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백이 과도하게 팽창하거나 뒤틀리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수액의 배출 흐름이 방해를 받지 않고, 사용자가 수액의 배출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며, 수액백에 수용된 수액을 남김 없이 배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가압 장치{A Fluid Bag Pressing Device with a Pressure Bag}
본 발명은 수액백 가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압백이 과도하게 팽창하거나 뒤틀리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는 수액백 가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액(fluid)은, 쇼크, 탈수증, 영양실조 등이 발생했을 때 인체에 주입하는 액체로서, 혈액 및 혈액과 삼투압이 같은 생리적 식염수ㆍ링거액 따위의 여러 가지 전해질 용액을 포함하는 약물(medicine)의 일종이다.
이러한 수액(fluid)은, 수술, 치료, 쇼크, 탈수증, 영양실조 등이 발생했을 데 환자의 정맥을 통해 주입하는 액체로서, 혈액, 전해질 용액, 혈액과 유사한 약물 등을 포함하며, 사람의 체액과 삼투압이 같은 생리적 식염수, 링거액, 영양제, 정맥주사 용액 등을 포함하는 약물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수액을 공급하기 위한 약물 주입 장치로서, 수액백(fluid bag)을 거꾸로 매달아 인체보다 높은 곳에 위치시키고, 상기 수액백에 연결된 주사 튜브와 주사 바늘에 의하여 인체에 약물을 주입하는 장치가 사용되어었다.
그러나 수술실 등에서는 다량의 약물을 수술 환자에게 정확한 유량 및 정확한 용량을 신속히 투입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종래의 약물 주입 장치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스톤(Piston) 방식 약물 주입 장치, 실린지(Syringe) 방식 약물 주입 장치 등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의 위험이 높고, 전체적인 제조 원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이러한 약물 주입 장치의 일례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특2003-0095847, 공개일자: 2003년12월24일)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개특허공보의 도 2에는 추(1)를 올려놓음으로써, 피스톤(2)의 원리로 압축된 공기가 관(3)을 통해 전달되어, 수액백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고 공기로 부풀어 오를 수 있는 커프(cuff)(4)의 내부 압력을 높이고, 부풀어 오른 상기 커프(4)가 수액백을 짜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방식 펌프, 전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공기 펌프 등 다양한 구성의 공기 주입 장치를 사용하여, 가압백을 팽창시킴으로써 수액백을 가압할 수 있는 수액백 가압 장치도 개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등록번호 10-2070393, 등록일 2020-01-20)에 그러한 가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등록번호 10-2070393)의 가압백은, 경계선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나누어져 있는 복수 개의 단위 공간부를 포함하고 있는데, 공기가 상기 단위 공간부에 주입되어 팽창하는 과정에서, 가압백이 팽창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과도한 수측이 발생함으로써, 가압백과 수액백이 뒤틀리는 현상이 유발되고, 그로 인하여 수액의 배출 흐름이 방해를 받고, 사용자가 수액의 배출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가압백의 소재가 비교적 얇은 경우에 더욱 심각해진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등록번호 10-2070393)의 가압백은, 공기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시트가 직접적으로 접착됨으로써, 주입될 수 있는 최대 공기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유발하여, 수액백에 수용된 수액을 남김 없이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압백이 과도하게 팽창하거나 뒤틀리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액백 가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가압 장치는, 수액이 수용되어 있는 수액백을 가압할 수 있는 장치로서,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기 저장 공간; 상기 공기 저장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면 팽창함으로써 상기 수액백를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압백;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저장 공간은, 간격 유지 부재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나누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공기 저장 공간에 배치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가압백의 일단부 내면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가압백의 타단부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압백이 과도하게 팽창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전단력에 실질적으로 저항하지 못하는 유연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두께와 폭을 가진 띠 형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위 공간부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팽창 속도로 팽창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가압백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가압백의 하단부까지 연장된 가상의 제1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공간부들의 상단부들과 하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액백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액백 수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액백이 상기 가압백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액이 수용되어 있는 수액백을 가압할 수 있는 장치로서,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기 저장 공간; 상기 공기 저장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면 팽창함으로써 상기 수액백를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압백;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저장 공간은, 간격 유지 부재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나누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공기 저장 공간에 배치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가압백의 일단부 내면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가압백의 타단부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압백이 과도하게 팽창하거나 뒤틀리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수액의 배출 흐름이 방해를 받지 않고, 사용자가 수액의 배출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며, 수액백에 수용된 수액을 남김 없이 배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수액백 가압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액백 가압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액백 가압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액백 가압 장치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압백이 팽창된 상태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액백 가압 장치의 C-C선 및 D-D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액백 가압 장치의 VII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수액백 가압 장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수액백 가압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액백 가압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액백 가압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액백 가압 장치(100)는, 수액이 수용되어 있는 수액백(30)을 가압하여 수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본체(10)와 가압백(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와 가압백(20)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상기 수액백(3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액백(30)은, 인체에 주입하는 의료용 수액(fluid)을 저장하기 위한 봉지(bag)형 용기로서, 비교적 얇은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수액(fluid)은, 수술, 치료, 쇼크, 탈수증, 영양실조 등이 발생했을 데 환자의 정맥을 통해 주입하는 액체로서, 혈액, 전해질 용액, 혈액과 유사한 약물 등을 포함하며, 사람의 체액과 삼투압이 같은 생리적 식염수, 링거액, 영양제, 정맥주사 용액 등을 포함하는 약물이다.
상기 수액백(30)은, 폴리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염화비닐 등를 소재로 하는 유연한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액백(30)은,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두께는 18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320㎛이다.
상기 수액백(30)은, 수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액 저장 공간(31)과, 상기 수액 저장 공간(31)에 저장된 수액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수액 배출구(32)와, 상기 수액 배출구(32)의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수액 배출구(32)를 밀봉할 수 있는 캡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수액 배출구(32)는, 상기 수액백(3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수액 저장 공간(31)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캡부(33)는, 점적통(미도시)과 연결된 도입침(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며, 이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액백(30)은, 의료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표준 규격 제품일 수도 있고, 비표준 제품일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는, 비교적 얇은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부분으로서, 중앙부에 걸이용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소재로 하는 유연한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용 구멍(11)은,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100)를 별도의 스탠드 등에 걸어 놓기 위한 구멍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가압백(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백(20)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가압백(20)의 상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가압백(20)은, 공기에 의하여 팽창함으로써 상기 수액백(30)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 봉지(bag)형 용기로서, 비교적 얇은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가압백(20)은, 상기 본체(10)와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소재로 하는 유연한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백(20)은,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본체(10)의 필름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가압백(20)은,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와 제3 시트(23)와 공기 저장 공간(24)와 공기 주입구(25)와 수액백 걸이(26)과 간격 유지 부재(2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백(20)은 미리 정한 가로 길이(W)와 세로 길이(L)를 가진다.
상기 제1 시트(21)는, 직사각형상의 비교적 얇은 합성 수지 필름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백(2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시트(22)는, 직사각형상의 비교적 얇은 합성 수지 필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백(2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시트(22)는, 상기 제1 시트(21)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트(21)와 동일한 두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의 테두리가 열융착 공법에 의하여 서로 융착됨으로써, 후술할 상기 공기 저장 공간(24)이 기밀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3 시트(23)는, 상기 제1 시트(21)의 전방에 배치된 얇은 합성 수지 필름이다.
상기 제3 시트(23)의 좌우 양단부가 상기 가압백(20)의 좌우 양단부에 열융착 공법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백 수용부(231)가 형성된다.
상기 수액백 수용부(231)은, 상기 수액백(30)을 탈착 가능하게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이다.
상기 수액백 수용부(231)의 상단부에는 상단개구부(2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액백 수용부(231)의 하단부에는 하단개구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3 시트(23)는 일종의 "벨트" 형태로 상기 제1 시트(21)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액백(30)을 가압할 수 있는 부재이다.
상기 수액백 수용부(231)는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수액백 수용부(231)의 상단개구부(232) 또는 하단개구부(233)을 통하여 수액백(30)을 쉽게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저장 공간(24)은, 외부에서 주입되는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시트(21)의 내부 표면과 제2 시트(22)의 내부 표면이 서로 협력하여 형성된다.
상기 공기 주입구(25)는, 상기 공기 저장 공간(24)과 연통되어 있는 공기 주입구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백(20)의 뒷면 하단부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액백 걸이(26)는, 상기 수액백(30)을 걸어 놓기 위한 고리형 부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백(20)의 앞면 상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는, 상기 가압백(20)이 팽창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팽창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는, 상기 공기 저장 공간(24)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제1 시트(21)의 내면에 열융착 공법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시트(22)의 내면에 열융착 공법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력에 실질적으로 저항하지 못하는 유연한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는 공기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장력에는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는 상기 제1 시트(21)와 동일한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백(20)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가압백(20)의 하단부까지 연장된 가상의 제1 중심축(C1)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는,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제1 중심축(C1)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W1)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두께(T)와 폭(H+2S)을 가진 띠 형상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의 폭(H+2S)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백(20)이 최대로 팽창하였을 때, 상기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 사이의 최대 이격 거리(H)를 결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공기 저장 공간(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나누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공간부(24a)를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가 2개 마련되어 동일한 간격(W1)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위 공간부(24a)가 3개 형성되며 동일한 용량의 내부 공간을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의 길이(L1)는 상기 가압백(20)의 길이(L)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공간부(24a)부들의 상단부들 및 하단부들이 모두 서로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공간부(24a)부들의 상단부들 및 하단부들이 모두 서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단위 공간부(24a)들이 모두 동일한 용량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공기 주입구(25)가 상기 가압백(20)의 뒷면 하단부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위 공간부(24a)들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팽창 속도로 팽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수액백 가압 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액백 수용부(231)에 수액백(30)을 장착하고, 수액백(30)을 상기 수액백 걸이(26)에 걸어서 고정한다.
상기 가압백(20)의 공기 저장 공간(24)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백(20)이 팽창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도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공기 주입구(25)에 별도의 공기 주입 장치(미도시)를 연결한 후, 상기 공기 주입 장치를 가동시키면, 상기 공기 저장 공간(24)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가압백(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하게 된다.
상기 공기 주입 장치(미도시)는 피스톤 방식 펌프, 전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공기 펌프 등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압백(20)의 공기 저장 공간(24)에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가압백(20)은 점점 부풀어오르게 되며,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가 되며, 상기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 사이의 간격(H)을 미리 정한 값 이상으로 증가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공간부(24a)부들의 상단부들 및 하단부들이 모두 서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단위 공간부(24a)들이 모두 동일한 용량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공기 주입구(25)가 상기 가압백(20)의 뒷면 하단부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위 공간부(24a)들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팽창 속도로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저장 공간(24)에 공기가 최대로 주입되었을 때, 가압백의 가운데 부분이 가장자리 부분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는 종래의 가압백과는 달리, 3개의 단위 공간부(24a)들의 두께(h1, h2, h3)는 모두 거의 동일하다.
상기 공기 저장 공간(24)의 내부 공기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그 공기 압력에 의하여 쥐어짜는 압력을 받게 되며, 상기 수액백(30)에 저장된 수액 압력과 외부 대기압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수액백(30)의 수액 저장 공간(31)에 저장된 수액이 상기 수액 배출구(3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수액 배출구(32)를 통하여 배출되는 수액은, 상기 캡부(33) 및 점적통(미도시) 등을 거쳐서 인체의 내부로 주사된다.
상술한 구성의 수액백 가압 장치(100)는, 수액이 수용되어 있는 수액백(30)을 가압할 수 있는 장치로서,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기 저장 공간(24); 상기 공기 저장 공간(24)에 공기가 유입되면 팽창함으로써 상기 수액백(30)를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압백(20);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저장 공간(24)은, 간격 유지 부재(27)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나누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공간부(24a)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는, 상기 공기 저장 공간(24)에 배치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가압백(20)의 일단부 내면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가압백(20)의 타단부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압백(20)이 전후 방향(C3)으로 과도하게 팽창하거나 뒤틀리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100)는, 공기가 상기 공기 저장 공간(24)에 주입되어 팽창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백(20)이 전후 방향(C3)으로 지나치게 둥글게 팽창하지 않으므로, 상기 가압백(20)이 좌우 방향(C2)으로도 과도한 수측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가압백(20)과 수액백(30)이 뒤틀리는 현상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결국,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100)를 사용하면 상기 가압백(20)과 수액백(30)의 "뒤틀림 현상"이 없으므로 종래와 달리 수액의 배출 흐름이 방해를 받지 않고, 사용자가 수액의 배출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공기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시트가 직접적으로 접착됨으로써 주입될 수 있는 최대 공기량이 감소하는 종래의 등록특허(등록번호 10-2070393)의 가압백보다, 더 많은 공기를 상기 가압백(20)에 주입할 수 있어, 수액백(30)에 수용된 수액을 남김 없이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100)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가, 전단력에 실질적으로 저항하지 못하는 유연한 부재를 포함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백(20)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가 접혀질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보관 부피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100)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가, 길이 방향인 제1 중심축(C1)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두께(T)와 폭(H+2S)을 가진 띠 형상 부재를 포함하므로, 상기 단위 공간부(24a)를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길게 형성하기 용이하며,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가 감당할 수 있는 공기력의 최대 크기가 증가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를 상기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에 열융착 공법으로 결합시키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100)는, 상기 단위 공간부(24a)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팽창 속도로 팽창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팽창 속도로 인하여 상기 가압백(20)이 팽창하면서 뒤틀릴 위험이 없으며, 상기 수액백(30)의 전체 영역을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100)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가, 상기 가압백(20)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가압백(20)의 하단부까지 연장된 가상의 제1 중심축(C1)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제1 중심축(C1)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W1)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열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백(20)이 팽창하면서 상기 수액백(30)을 포위하듯이 둘러감싸도록 쉽게 변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100)는,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공간부(24a)들의 상단부들과 하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위 공간부(24a)들이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팽창 속도로 팽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100)는, 상기 수액백(30)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액백 수용부(231)를 더 구비하므로, 수액백(30)만 교체하면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수액백 가압 장치(2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200)는 상술한 수액백 가압 장치(100)과 대부분의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양자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200)는, 상기 수액백(30)을 탈착 가능하게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인 상기 수액백 수용부(231)을 구비하지 않는 대신에, 상기 수액백(30)이 상기 가압백(2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시트(21)와 제3 시트(23a)가 서로 협력하여 상기 수액백(30)의 수액 저장 공간(31)이 형성된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200)는, 재사용이 가능한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100)와 달리, 1회용 장치이지만 의료진이 별도의 수액백을 장착하는 과정이 필요 없는 바, 응급 환자의 경우에도 신속한 처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교차 오염(cross contamination) 등의 의료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가, 전단력에 실질적으로 저항하지 못하는 유연한 필름형 부재를 포함하나, 일정한 크기의 전단력과 굽힘력에 저항할 수 있는 보(beam) 형태의 부재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가 보(beam) 형태의 부재일 경우에는, 상기 가압백(20)이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가해지는 외부 굽힘력에 잘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백(20)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가압백(20)의 하단부까지 연장된 가상의 제1 중심축(C1)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으나, 상기 제1 중심축(C1)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 공간부(24a)들이, 상기 가압백(20)의 좌단부로부터 상기 가압백(20)의 우단부까지 나열되어 있으나, 상기 가압백(20)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가압백(20)의 하단부까지 나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27)가 상기 제1 시트(21)와 동일하게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필름 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나, 공기 투과가 허용되는 다른 재질의 부재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 및 가압백(20)이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으나, 다른 합성 수지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액백 가압 장치(100)의 다양한 요소들이 열융착 공법에 의하여 서로 융착되고 있으나, 고주파 융착, 본딩 융착 등 다양한 융착 또는 접착 공법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백(20)이, 상기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 2장의 필름을 서로 겹쳐서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되나, 1개의 파이프형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럴 경우에는 열융착 공법의 시행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수액백 가압 장치
10: 본체
11: 걸이용 구멍
20: 가압백
21: 제1 시트
22: 제2 시트
23: 제3 시트
23a: 제3 시트
24: 공기 저장 공간
24a: 단위 공간부
25: 공기 주입구
26: 수액백 걸이
27: 간격 유지 부재
30: 수액백
31: 수액 저장 공간
32: 수액 배출구
33: 캡부
231: 수액백 수용부
232: 상단개구부
233: 하단개구부

Claims (8)

  1. 수액이 수용되어 있는 수액백을 가압할 수 있는 장치로서,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기 저장 공간; 상기 공기 저장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면 팽창함으로써 상기 수액백를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압백;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저장 공간은, 간격 유지 부재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나누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공기 저장 공간에 배치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가압백의 일단부 내면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가압백의 타단부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압백이 과도하게 팽창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가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전단력에 실질적으로 저항하지 못하는 유연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가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두께와 폭을 가진 띠 형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가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공간부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팽창 속도로 팽창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가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가압백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가압백의 하단부까지 연장된 가상의 제1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가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공간부들의 상단부들과 하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가압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액백 수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가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이 상기 가압백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가압 장치.
KR1020200159020A 2020-11-24 2020-11-24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가압 장치 KR102412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020A KR102412854B1 (ko) 2020-11-24 2020-11-24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가압 장치
PCT/KR2021/008502 WO2022114433A1 (ko) 2020-11-24 2021-07-05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가압 장치
JP2022508901A JP7355355B2 (ja) 2020-11-24 2021-07-05 加圧バックを備えた輸液バック加圧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020A KR102412854B1 (ko) 2020-11-24 2020-11-24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가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649A true KR20220071649A (ko) 2022-05-31
KR102412854B1 KR102412854B1 (ko) 2022-06-23

Family

ID=8175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020A KR102412854B1 (ko) 2020-11-24 2020-11-24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가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55355B2 (ko)
KR (1) KR102412854B1 (ko)
WO (1) WO202211443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135B1 (ko) * 1998-10-19 2002-05-13 김종훈 기압차에의한수액주입방법및그장치
JP2005058694A (ja) * 2003-08-12 2005-03-10 Saikosu:Kk 加圧バッグ及び定圧加圧バッグシステム
KR20050030180A (ko) * 2005-02-15 2005-03-29 이남준 휴대용 링겔공급장치
KR20110019762A (ko) * 2008-05-30 2011-02-28 케이씨아이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팽창가능한 주머니를 구비하는 상처용 드레싱
KR102070393B1 (ko) * 2019-01-30 2020-01-28 이명숙 복수 개의 단위 공간부를 포함하는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843A (ja) * 1997-01-27 1998-08-04 Terumo Corp 薬液供給具
NL1024370C2 (nl) * 2003-09-24 2005-04-05 Fornix Medical Systems Holding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afgeven van vloeistof, in het bijzonder voor medische toepassing.
JP2013192600A (ja) * 2012-03-16 2013-09-30 Nipro Corp 経管栄養注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135B1 (ko) * 1998-10-19 2002-05-13 김종훈 기압차에의한수액주입방법및그장치
JP2005058694A (ja) * 2003-08-12 2005-03-10 Saikosu:Kk 加圧バッグ及び定圧加圧バッグシステム
KR20050030180A (ko) * 2005-02-15 2005-03-29 이남준 휴대용 링겔공급장치
KR20110019762A (ko) * 2008-05-30 2011-02-28 케이씨아이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팽창가능한 주머니를 구비하는 상처용 드레싱
KR102070393B1 (ko) * 2019-01-30 2020-01-28 이명숙 복수 개의 단위 공간부를 포함하는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433A1 (ko) 2022-06-02
JP7355355B2 (ja) 2023-10-03
KR102412854B1 (ko) 2022-06-23
JP2023507700A (ja)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0533A (en) Multiple chamber container for delivering liquid under pressure
CN110475532B (zh) 加压袋
JP2008501391A (ja) すすぎ洗いシステムを一体化した輸液バッグ
CN102355912A (zh) 用于排布和排气充注静脉输液组件的系统和方法
EP0711243B1 (en) Liquid delivery device
JPH0833710A (ja) 加圧注入装置
US5571261A (en) Liquid delivery device
JP5191145B2 (ja) 輸液バッグ
EP0077189B1 (en) An infusion unit
US6135989A (en) Pressurized intravenous infusion bag
KR102412854B1 (ko)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가압 장치
US20050240157A1 (en) Multi-stage drug administration device and method
HU231224B1 (hu) Nyomásmérő és nyomáshatároló egységgel ellátott tartóegység, infúziós zsák rögzítésére és az infúziós rendszer gravitációtól független, szabályozható működtetésére
US3074402A (en) Blood handling equipment
KR102070393B1 (ko) 복수 개의 단위 공간부를 포함하는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KR102032211B1 (ko) 가압백을 구비한 수액백
JP4787646B2 (ja) 医療用容器
US20220193331A1 (en) Infusion bag pressing device having pressing bag
JP4599918B2 (ja) 薬剤収納封止体及び薬剤収納封止体の形成方法
JP2000262589A (ja) 複室容器
JP4365948B2 (ja) 輸液バッグ
US20240000659A1 (en) Pressure bag
JPH1147235A (ja) 複室容器
KR101118769B1 (ko) 약포 일체형 수액용기
JP2006141857A (ja) 包装材に収納された医療用複室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