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419A -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419A
KR20220070419A KR1020220063669A KR20220063669A KR20220070419A KR 20220070419 A KR20220070419 A KR 20220070419A KR 1020220063669 A KR1020220063669 A KR 1020220063669A KR 20220063669 A KR20220063669 A KR 20220063669A KR 20220070419 A KR20220070419 A KR 20220070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le
game
image
processor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002B1 (ko
Inventor
김병주
소송희
손의준
윤성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220063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0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3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the player, e.g. authoring using a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에서 수행하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된 이벤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의 전투에 참가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TERMINAL AND METHODS FOR PROVIDING GAME COMBAT EXPERIENCE}
아래의 실시예들은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롤플레잉 게임(role-playing game)은 게임 이용자가 게임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한 인물의 역할을 맡아 직접 수행하는 형식으로 된 컴퓨터 게임으로서, 롤플레잉 게임 플레이어는 게임 관리자가 정해 놓은 규칙에 따라 모험과 상상의 세계를 여행하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므로 마치 게임 속의 주인공이 된 듯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온라인게임은 컴퓨터 게임이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 컴퓨터 게임으로서, 온라인 게임 플레이어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타인과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최근 롤플레잉 게임이 온라인 게임화 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는 수천 내지 수만명의 동시접속자수를 자랑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이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어들은 효율적으로 PVP 또는 PVE를 수행하기 위하여 게임 캐릭터들의 조합인 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는 생성한 상기 덱에 포함된 캐릭터들의 특성에 따라 캐릭터들의 역할을 지정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한 역할에 맞는 게임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들에게 장착할 수 있다.
인터넷이 발달하게 되면서 종래 방송국의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던 미디어들은 공중파 및 인터넷을 통해 방송되고, 특히 인터넷과 영상 압축기술의 발전으로 개인들도 특정 콘텐츠에 관하여 방송하거나 특정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한 콘텐츠를 인터넷 상에 업로드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된 이벤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의 전투에 참가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의 전투에 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에서 수행하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된 이벤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의 전투에 참가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는, 전투 덱, 상기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 게임 아이템, 전투상황, 상대 몬스터, 상대 플레이어, 전투 스타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투에 참가하는 동작은, 전투 준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디스플레이 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에서 전투 덱을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한 전투 덱을 이용하여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의 전투에 참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투 덱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덱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전투 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투 덱을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한 전투 덱에 포함된 상기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에게 게임 아이템을 장착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아이템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게임 아이템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게임 아이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투에 참가하는 동작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스타일로 상기 전투에 참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게임 상의 화면 터치, 음성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이벤트 이미지는 소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에 있어서, 상기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된 이벤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의 전투에 참가한다.
또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는, 전투 덱, 상기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 게임 아이템, 전투상황, 상대 몬스터, 상대 플레이어, 전투 스타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전투 준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 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에서 전투 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전투 덱을 이용하여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의 전투에 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투 덱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덱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전투 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한 전투 덱에 포함된 상기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에게 게임 아이템을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아이템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게임 아이템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게임 아이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스타일로 상기 전투에 참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게임 상의 화면 터치, 음성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이벤트 이미지는 소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된 이벤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의 전투에 참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의 전투에 참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이 서버 및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투 준비 화면에서 전투 덱을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이 서버 및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게임 전투 경험 제공 게임 단말은(100)은 서버(200) 및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 또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은 일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smart phone),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TV(Smart TV),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방송 수신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게임 플레이 데이터 -게임 소프트웨어 자체의 데이터 및 타 게이머들의 게임 플레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 를 제공한다.
서버(200)는 게임 전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의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되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서버'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은 제1 프로세서(110), 제1 통신장치(120), 입력 장치(130), 출력 장치(140) 및 제1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한다.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을 구성하는 제1 프로세서(110), 제1 통신장치(120), 입력 장치(130), 출력 장치(140) 및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포함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제1 통신장치(12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입력 장치(13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출력 장치(14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ⅰ) 사용자의 입력 획득
제1 프로세서(110)는 게임 전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을 출력 장치(1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입력 장치(1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된 이벤트 이미지에 대한 화면 터치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이 VOD(video on demand, 이하 VOD라 함)인 경우 상기 VOD의 재생이 끝난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이 스트리밍 방송인 경우 상기 스트리밍 방송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예컨대, 전투 종료 후 승자 결정)에만 상기 이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된 이벤트 이미지에 대한 마우스 클릭을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된 이벤트 이미지에 대한 전자 펜에 의한 터치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된 이벤트 이미지에 대한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음성(예컨대, "도전"이라고 말함)을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텍스트(예컨대, 채팅창에 "도전"이라고 타이핑함)를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사용자 입력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ⅱ) 전투 준비 화면 생성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프로세서(110)는 게임 전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되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실행 중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이탈 없이 전투 준비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게임 내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버(200)가 출력한 게임 전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을 이용하여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가 출력한 게임 전투 영상 및 서버(200)가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의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출력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하는 정보들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획득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 및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정보들을 반영할 수 있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전투 덱, 상기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 게임 아이템, 전투상황, 상대 몬스터, 상대 플레이어 또는 전투 스타일(예컨대, 상대방 힐러 캐릭터 우선 공격) 정보일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전투 준비 화면에서 전투 덱을 선택할 수 있는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투 덱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덱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전투 덱 일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덱과 사용자가 보유한 전투 덱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복수의 전투 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에서 새로운 전투 덱을 추가하기 위한 추가 슬롯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에 전투 덱을 구성하는 게임 캐릭터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캐릭터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전투 덱을 생성할 수 있는 전투 덱 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릭터들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일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에게 게임 아이템들을 장착시킬 수 있는 게임 아이템 장착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 아이템들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게임 아이템들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게임 아이템들 일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스타일(예컨대, 상대방 힐러 캐릭터 우선 공격)로 상기 전투에 참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전투 스타일 결정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창모드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전용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용뷰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배포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웹뷰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투 준비 화면 디스플레이 형태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버(200)는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되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하고,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 전투 덱 생성 인터페이스, 게임 아이템 장착 인터페이스 및 전투 스타일 결정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 및 생성한 상기 인터페이스들을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은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되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하고,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 전투 덱 생성 인터페이스, 게임 아이템 장착 인터페이스 및 전투 스타일 결정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 및 생성한 상기 인터페이스들을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출력 장치(14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 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에서 제1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전투 덱, 게임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고, 전투 스타일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전투 덱을 생성할 수 있다.
ⅲ)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결정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전투 준비 화면에서의 선택, 생성 또는 결정을 기초로 전투 참가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참가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출력 장치(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실행 중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이탈 없이 전투 참가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출력 장치(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투 참가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투 참가 화면을 창모드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투 참가 화면 전용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용뷰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배포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투 참가 화면을 웹뷰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형태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버(20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에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 (300)은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에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출력 장치(140)가 디스플레이 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도록 이벤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동영상 재생 종료 후 10초)이 지나면 상기 이벤트 이미지가 소멸하도록 상기 이벤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참가 화면을 출력 장치(14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 한 상기 전투 참가 화면에서 제1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선택한 전투 덱, 게임 아이템, 전투 스타일 또는 생성한 전투 덱을 이용하여 상기 전투 참가 화면에서 전투에 참가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제1 통신장치(120)를 통하여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과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 사이에 게임 클라이언트들을 기초로 통신적 연결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프로세서(110)는 형성한 상기 통신적 연결통로를 이용하여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로부터 직접 게임 전투 영상 또는 전투 준비 화면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장치(1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00)와 연결된다.
제1 통신장치(120)는 서버(200)가 전송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장치(120)는 서버(200)가 전송한 전투 준비 화면 및 인터페이스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장치(1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신장치(12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이 전송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장치(12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이 전송한 전투 준비 화면 및 인터페이스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장치(120)는 서버(200)가 출력한 게임 전투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장치(120)는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가 출력한 게임 전투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장치(120)는 서버(200)가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의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출력한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30)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한다.
입력 장치(130)는 제1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한다.
입력 장치(130)는 키보드, 마우스, 전자 펜, 터치 패드 또는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입력 장치의 형태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장치(13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입력 장치(13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에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입력 장치(13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에서 동작되는 게임 전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출력 장치(140)는 제1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들을 화면 내의 적어도 한 부분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사용자의 입력(예컨대, 메뉴 터치)에 응답하여 제1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들을 화면 내의 적어도 한 부분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제1 프로세서(110)의 결정에 따라 이벤트 이미지를 특정 전투 상황(예컨대, PVP(Player VS Player) 상황)에서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이탈 없이 전투 준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이탈 없이 전투 참가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제1 프로세서(110)의 결정에 따라 전투 준비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제1 프로세서(110)의 결정에 따라 전투 준비 화면을 창모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제1 프로세서(110)의 결정에 따라 전투 준비 화면을 전용 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제1 프로세서(110)의 결정에 따라 전투 준비 화면을 웹뷰 형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제1 프로세서(110)의 결정에 따라 전투 참가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제1 프로세서(110)의 결정에 따라 전투 참가 화면을 창모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제1 프로세서(110)의 결정에 따라 전투 참가 화면을 전용 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제1 프로세서(110)의 결정에 따라 전투 참가 화면을 웹뷰 형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에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게임이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서버(200)가 전송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제1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제1 프로세서(110)가 결정한 전투 준비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제1 프로세서(110)가 결정한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서버(200)가 출력한 게임 전투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가 출력한 게임 전투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서버(200)가 출력한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제2 프로세서(210), 제2 통신 장치(220) 및 제2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한다.
서버(200)를 구성하는 제2 프로세서(210), 제2 통신 장치(220) 및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상기 포함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서버(2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서버(2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서버(20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통신장치(22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ⅰ) 전투 준비 화면 생성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프로세서(210)는 게임 전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되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실행 중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이탈 없이 전투 준비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정보들을 반영할 수 있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는 전투 덱, 상기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 게임 아이템, 전투상황, 상대 몬스터, 상대 플레이어 또는 전투 스타일 정보 등 게임 전투 영상 내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상기 전투 준비 화면에서 전투 덱을 선택할 수 있는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투 덱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덱일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상기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에 상기 전투 덱을 추가할 수 있는 추가 슬롯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상기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에 전투 덱을 구성하는 게임 캐릭터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캐릭터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전투 덱을 생성할 수 있는 전투 덱 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상기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에게 게임 아이템들을 장착시킬 수 있는 게임 아이템 장착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스타일(예컨대, 상대방 힐러 캐릭터 우선 공격)로 상기 전투에 참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전투 스타일 결정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가 출력한 게임 전투 영상 및 출력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획득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과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하는 정보를 결합하여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창모드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전용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용뷰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배포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웹뷰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투 준비 화면 디스플레이 형태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프로세서(21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이 전송한 게임 전투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되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ⅱ) 전투 참가 화면 제공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통신 장치(220)를 통해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전투 참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전투 참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이 생성한 전투 준비 화면을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ⅲ) 이벤트 이미지
제2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도록 이벤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동영상 재생 종료 후 10초)이 지나면 상기 이벤트 이미지가 소멸하도록 상기 이벤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도록 이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이 VOD(video on demand, 이하 VOD라 함)인 경우 상기 VOD의 재생이 끝난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이 스트리밍 방송인 경우 상기 스트리밍 방송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예컨대, 전투 종료 후 승자 결정)에만 상기 이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2 통신장치(2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과 연결된다.
제2 통신장치(2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장치(2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전투 준비 화면 및 인터페이스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장치(2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통신장치(22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이 전송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장치(22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이 전송한 전투 준비 화면 및 인터페이스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장치(220)는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가 출력한 게임 전투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장치(220)는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가 출력한 출력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장치(22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게임 내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전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게임이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이 전송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이 전송한 전투 준비 화면 및 인터페이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전송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2 프로세서(210)가 생성한 전투 준비 화면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2 프로세서(21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가 출력한 게임 전투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가 출력한 출력 요청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 (300)은 제3 프로세서(310), 제3 통신 장치(32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3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40) 및 제3 데이터베이스(350)을 포함한다.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 (300)을 제3 프로세서(310), 제3 통신 장치(32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3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40) 및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프로세서(3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포함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 (300)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 (3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 (30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제3 통신장치(32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3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4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 (300)에서 플레이 되는 게임을 기초로 게임 전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 (300)에서 동작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전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전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되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실행 중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이탈 없이 전투 준비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생성한 게임 전투 영상 및 서버(200)가 영상 출력 서버(미도시)의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출력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획득한 상기 게임 전투 영상 및 상기 게임 정보를 이용하여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정보들을 반영할 수 있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는 전투 덱, 상기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 게임 아이템, 전투상황, 상대 몬스터, 상대 플레이어 또는 전투 스타일 정보 등 게임 전투 영상 내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투 준비 화면에서 전투 덱을 선택할 수 있는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투 덱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덱일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에 상기 전투 덱을 추가할 수 있는 추가 슬롯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투 덱 선택 인터페이스에 전투 덱을 구성하는 게임 캐릭터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캐릭터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전투 덱을 생성할 수 있는 전투 덱 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에게 게임 아이템들을 장착시킬 수 있는 게임 아이템 장착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스타일(예컨대, 상대방 힐러 캐릭터 우선 공격)로 상기 전투에 참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전투 스타일 결정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창모드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전용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용뷰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배포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생성한 상기 전투 준비 화면을 웹뷰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투 준비 화면 디스플레이 형태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제3 통신 장치(320)를 통해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전투 준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전투 준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도록 이벤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동영상 재생 종료 후 10초)이 지나면 상기 이벤트 이미지가 소멸하도록 상기 이벤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프로세서(310)는 제3 통신장치(320)를 통하여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과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 사이에 게임 클라이언트들을 기초로 통신적 연결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제3 프로세서(310)는 형성한 상기 통신적 연결통로를 이용하여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직접 게임 전투 영상 또는 전투 준비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제3 통신장치(3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과 연결된다.
제3 통신장치(3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제3 통신장치(3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전투 준비 화면 및 인터페이스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제3 통신장치(3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통신장치(3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00)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제3 통신장치(3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00)로 전투 준비 화면 및 인터페이스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제3 통신장치(32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게임 내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전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3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의 사용자가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에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게임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3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의 사용자가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에서 동작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전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게임 전투 영상 생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3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의 사용자가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에서 동작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전투 영상에서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전투 준비 화면 생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30)는 게임 전투 영상 데이터 생성 단말(300)의 사용자가 게임 전투 영상 데이터 생성 단말(300)에서 동작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게임 내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전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게임 전투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3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3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에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3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별로의 장치일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에서 동작되는 게임을 디스플레이 한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제3 프로세서(310)가 생성한 게임 전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제3 프로세서(31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에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3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별로의 장치일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게임이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제3 프로세서(310)가 생성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제3 프로세서(310)가 생성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제3 프로세서(31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전송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100)로 전송한 전투 준비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서버(200)로 전송한 게임 전투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서버(200)로 전송한 전투 준비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장치'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이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한다(400).
이때,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게임 상의 화면 터치, 음성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이 전투 준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410).
이때,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이탈 없이 전투 준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이 전투 덱을 선택한다(420).
이때, 상기 전투 덱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덱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전투 덱 일 수 있다.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이 게임 아이템을 장착한다(430).
이때, 상기 게임 아이템들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게임 아이템들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게임 아이템들 일 수 있다.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이 전투 스타일을 결정한다(440).
이때,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은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스타일(예컨대, 상대방 힐러 캐릭터 우선 공격)로 상기 전투에 참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전투 스타일 결정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이 전투에 참가한다(450).
이때,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은 참가한 상기 전투에서 다양한 역할을 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00)는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과 관련된 사항들을 결정하기 위한 선택창(510, 511, 512, 513)을 포함한다.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00)는 선택창(510, 511, 512, 513)을 선택하면 전투 참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들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방법 명칭(520, 521, 522,523)을 포함한다.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00)는 선택창(510, 511, 512, 513)을 선택하거나 선택 해제하여 전투 참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00)는 전투 참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마크(예컨대, 체크표시)를 선택창(510, 511, 512, 513)에 오버레이 하여 표시(510, 511, 512, 513)할 수 있다.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00)는 전투 참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마크를 변경할 수 있다.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00)는 전투 참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을 미리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00)는 전투 참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을 미리 결정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마크(예컨대, 체크표시)를 전투 참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00)에 미리 오버레이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투 준비 화면에서 전투 덱을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 (a)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이벤트 이미지가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7 (b)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의 사용자가 전투 준비 화면에서 전투 덱을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a)를 참조하면,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은 화면(600)에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 VOD(610)의 재생이 끝나면, 다시 보기 이미지(611)와 이벤트 이미지(612)가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된다.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이 이벤트 이미지(612)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면,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이탈 없이 전투 준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7 (b)를 참조하면,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의 사용자가 전투 준비 화면에서 전투 덱(620, 630)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전투 준비 화면에 전투 덱(620, 630) 선택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의 사용자가 전투 준비 화면의 전투 덱(620, 630) 선택 인터페이스에서 전투 덱(620, 630)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621, 622, 631, 633, 634)을 터치(621, 631)하면, 전투 덱(620, 630)을 구성하는 캐릭터들(622. 632)이 선택 버튼(621, 622, 631, 633, 634) 위로 디스플레이 된다.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의 사용자가 전투 준비 화면의 전투 덱(620, 630) 선택 인터페이스 새로운 전투 덱을 추가하기 위한 추가 슬롯(624, 635)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200...서버
300...게임 전투 영상 생성 단말

Claims (10)

  1.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VOD(Video On Demand)를 통해 제공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전투 덱을 선택할 수 있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선택한 전투 덱을 이용하여 상기 VOD(Video On Demand)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의 전투에 참가하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한 전투 덱에 포함된 상기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에게 게임 아이템을 장착시키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아이템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게임 아이템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게임 아이템인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덱을 구성하는 게임 캐릭터들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전투 덱을 구성하는 게임 캐릭터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전투 덱을 생성하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스타일로 상기 전투에 참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6.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에서 수행되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에 있어서,
    VOD(Video On Demand)를 통해 제공되는 게임 전투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전투 덱을 선택할 수 있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한 전투 덱을 이용하여 상기 VOD(Video On Demand)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의 전투에 참가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투 덱을 선택할 수 있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한 전투 덱에 포함된 상기 전투 덱을 구성하는 캐릭터들에게 게임 아이템을 장착시키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아이템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게임 아이템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게임 아이템인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투 덱을 선택할 수 있는 전투 준비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덱을 구성하는 게임 캐릭터들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전투 덱을 구성하는 게임 캐릭터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전투 덱을 생성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VOD(Video On Demand)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게임 전투 영상의 전투에 참가하는 동작은,
    상기 게임 전투 영상에 포함된 전투 스타일로 상기 전투에 참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KR1020220063669A 2018-11-16 2022-05-24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KR102519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69A KR102519002B1 (ko) 2018-11-16 2022-05-24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24A KR102406411B1 (ko) 2018-11-16 2018-11-16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KR1020220063669A KR102519002B1 (ko) 2018-11-16 2022-05-24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324A Division KR102406411B1 (ko) 2018-11-16 2018-11-16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419A true KR20220070419A (ko) 2022-05-31
KR102519002B1 KR102519002B1 (ko) 2023-04-06

Family

ID=709151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324A KR102406411B1 (ko) 2018-11-16 2018-11-16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KR1020220063669A KR102519002B1 (ko) 2018-11-16 2022-05-24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324A KR102406411B1 (ko) 2018-11-16 2018-11-16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64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7807A1 (en) * 2010-06-15 2011-12-15 Vibhu Norby Game Invitations Through Peer-to-Peer Chat
KR20120118126A (ko) * 2011-04-18 2012-10-26 성치환 게임 아이템을 이용한 캐릭터 이전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55147A (ko) * 2013-11-11 2015-05-21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26222A (ko) * 2016-09-02 2018-03-12 주식회사 겜프스 전투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7807A1 (en) * 2010-06-15 2011-12-15 Vibhu Norby Game Invitations Through Peer-to-Peer Chat
KR20120118126A (ko) * 2011-04-18 2012-10-26 성치환 게임 아이템을 이용한 캐릭터 이전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55147A (ko) * 2013-11-11 2015-05-21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26222A (ko) * 2016-09-02 2018-03-12 주식회사 겜프스 전투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002B1 (ko) 2023-04-06
KR102406411B1 (ko) 2022-06-08
KR20200057233A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79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292820B1 (ko) 게임플레이의 원격 제어
AU20123237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experiences and controllers therefor
US11305185B2 (en) Game selection and invitation process
AU20122032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2657186B (zh) 一种游戏的交互方法和装置
US111236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me
KR102406411B1 (ko)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단말 및 게임 전투 경험 제공 방법
JP2015002895A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2271323B1 (ko) 방송 효과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46166B1 (ko) 실시간 PVP(Player VS Player) 방송 콘텐츠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실시간 PVP(Player VS Player) 방송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365201B1 (ko) 게임 캐릭터 동작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서버 및 게임 캐릭터 동작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KR102302795B1 (ko)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 방법
CN110882541A (zh) 游戏角色控制系统、服务器以及游戏角色控制方法
KR102295707B1 (ko)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2209720B1 (ko) 대결 방송 모드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63979B1 (ko) 구간 저장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210552B1 (ko) 게임 플레이 데이터 제공 단말 및 게임 플레이 데이터 제공 방법
KR102319298B1 (ko) 게임 캐릭터 제어 시스템, 서버 및 게임 캐릭터 제어 방법
KR102329749B1 (ko) 게임 캐릭터 제어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2820A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101478A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200131058A (ko) 커뮤니케이션 공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Wang et al. Evaluation of a social multiplayer game featuring multimodal inte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