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909A -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909A
KR20220069909A KR1020220060789A KR20220060789A KR20220069909A KR 20220069909 A KR20220069909 A KR 20220069909A KR 1020220060789 A KR1020220060789 A KR 1020220060789A KR 20220060789 A KR20220060789 A KR 20220060789A KR 20220069909 A KR20220069909 A KR 20220069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verapamil
present
wound heal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한유나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60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9909A/ko
Publication of KR2022006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75Nitriles; Isonitriles
    • A61K31/277Nitriles; Isonitriles having a ring, e.g. verapam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상, 특히 초기 창상 치유에 효과적인 베라파밀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베라파밀이 생성한 산화질소(Nitric oxid) 및 성장인자를 통해 모세혈관 및 섬유아세포의 형성을 촉진하여 상처 치유함으로써 급성 창상 및 초기 창상을 치료하므로, 이를 창상 치료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WOUND HEALING COPOSITION COMPRISING VERAFAMIL}
본 발명은 창상, 특히 초기 창상 치유에 효과적인 베라파밀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skin)는 인체의 가장 외부를 덮고 있는 조직으로 인체를 보호하고 장벽기능을 하여 외부의 화학적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일차적인 방어기능을 한다. 피부는 표피(epidermis)와 진피(dermis), 피하지방층(subcutis)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바깥층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는 90 %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구성되어있다. 피부는 자외선 및 스트레스 등에 의해 노화되거나 상처로 인해 손상되면 그 기능이 약화되고, 이때 피부 재생 과정이 시작된다. 피부 재생 과정은 급성 염증반응을 시작으로 표피 세포의 증식과 이동과 증식을 거쳐 새로운 혈관의 생성과 콜라겐(collagen) 합성을 통하여 결체조직의 수축을 거친다. 이때 표피의 90 % 이상을 차지하는 각질형성세포의 이동과 증식은 상처치유와 피부 재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여 피부의 탄력 증진과 기저막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창상 치유(wound healing)는 손상된 피부에 대한 조직의 반응으로 조직회복 과정으로 화학주성, 세포의 분화 및 복제, 지질 단백질의 합성, 혈관생성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이며, 단계별로 시간에 따라 조금씩 이루어진다. 상처치유 단계는 (1) 혈관성 반응 (지혈); (2) 염증 반응 (염증); (3) 증식기 (육아, 상피화기 (granulation, epithelialization), 활성 성장기로도 알려짐); 및 (4) 성숙기 (재구성 단계)로, 이 단계들이 중첩되면서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이 재형성된다 (H. J. Lim, H. T. Kim, E. J. Oh, J. H. Chio, H. D. Ghim, D. G. Pyun, S. B. Lee, D. J. Chung, and H. Y. Chung, Polymer(korea), 34, 363, 2010. 상처가 생기는 즉시, 염증과 기저층의 반응으로 상처의 초기 단계에 응혈이 형성된다. 기저물질은 진피의 결합 섬유 사이를 채우고 있는 물질로 점액성 뮤코다당체로 존재하며 다량의 수분을 보유하고 히알루론산, 콘트로이친 황산 등의 글리코스아미노 글리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프로테오글리칸은 친수성 탄수화물 단백질 복합 체이며 젤리와 같은 물질로 구성된다 (M. P. Czubryt, Fibrogenesis Tissue Repair, 5, 19, 2012; Marchese A, and Shito G. Int. J. Antimicrobial Agents, 16, 25, 2001). 창상 치유의 네 단계 중에서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염증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파괴된 조직부유물 및 괴사된 조직이 급성 및 만성 염증세포에 의해 제거 또는 함입되어야 다음 단계로 이행할 수 있으며, 이 단계가 오래 지속되면 다음 창상 치유과정이 지연되어 조직 본연의 기능 수행에 결함을 남길 수 있으므로, 창상부위를 신속하게 치료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치료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창상치유에 쓰이는 소재들은 창상을 차단하고 보호하고 다음 창상치유 단계로 빨리 치유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하며, 염증기 이후의 증식단계에도 작용을 하여 섬유모세포를 증식시키고 섬유모세포의 이동을 활성화하고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창상 수축을 통하여 창상 치유를 촉진시켜야 한다.
창상 치유 과정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물질 중의 하나로 성장인자들을 들을 수 있는데 이들은 창상 치유과정 전반에 걸쳐 세포의 성장, 분화 및 대사 등 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여 창상 치유의 조절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 성장인자들은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s)로서, 창상 부위에 있는 여러 활성 세포에 의해 분비되어 세포증식, 세포이동, 또는 세포의 생합성을 자극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상 치료용 또는 피부조직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상 치료용 또는 피부조직 재생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창상 개선용 또는 피부조직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베라파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또는 피부조직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라파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또는 피부조직 재생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라파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개선용 또는 피부조직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라파밀이 생성한 산화질소(Nitric oxid) 및 성장인자를 통해 모세혈관 및 섬유아세포의 형성을 촉진하여 상처 치유함으로써 급성 창상 및 초기 창상을 치료하였으므로, 이를 창상 치료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베라파밀에 의한 창상 치유 면적을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창상 치유된 조직과 이의 섬유아세포 수 및 모세혈관 수를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베라파밀 처리에 의한 창상 치유 관련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도이다.
도 4는 베라파밀 처리에 의한 창상 치유 관련 mRNA의 발현을 분석한 도이다.
도 5는 상처(창상) 치유 단계 중 베라파밀의 작용 시점 (붉은색 화살표)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베라파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또는 피부조직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창상은 인화상, 열상, 표피 창상, 궤양, 외상, 외과적 수술(post-surgical), 출산, 만성적 상처(chronic wound), 피부염(dermatitis)에 의한 손상, 각막 궤양, 각막 상피 박리, 각막염 및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베라파밀은 창상 초기에 작용할 수 있으며, 창상 초기는 창상의 상처 치유 초기 단계인 (2) 염증 반응 (염증); (3) 증식기 (육아, 상피화기 (granulation, epithelialization), 활성 성장기로도 알려짐)에 작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베라파밀이 전체 중량 100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국소 도포용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베라파밀의 치료적 유효량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할 수 있으며, 담체는 거즈, 붕대, 밴드, 필름, 접착 패치 및 미접착 패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란 본원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창상 또는 이와 관련된 염증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여러 요소, 예를 들면 투여방법, 목적부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사용 시 투여량은 안전성 및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량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동물실험을 통해 결정한 유효량으로부터 인간에 사용되는 양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효한 양의 결정시 고려할 이러한 사항은, 예를 들면 Hardman and Limbird, ed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0th ed.(2001), Pergamon Press; 및 E.W. Martin ed.,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1990), Mack Publishing Co.에 기술되어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생물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정상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 전달에 적합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 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이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8th, 1990)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생물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 전달에 적합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 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이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8th, 1990)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베라파밀을 0.0001 내지 30 중량 %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 중량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베라파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또는 피부조직 재생용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창상 초기용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베라파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개선용 또는 피부조직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베라파밀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창상 개선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유효 성분 및 담체 성분 이외에,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베라파밀의 상처치유 효과 in vivo 확인
Sprague-Dawley 랫 (SD 랫) 27 마리를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 실리콘 겔을 도포한 군 및 베라파밀(Verapamil) 1mg/g이 함유된 실리콘 겔을 도포한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SD 랫의 등 가운데 부분에 2.5cm 직경의 전층 창상 1 개를 형성하고, 창상부위에 실리콘 겔 (실리콘 겔 도포군) 또는 실리콘 겔과 베라파밀 1mg/g이 함유된 겔 (베라파밀 도포군)을 상처 발생 30 내지 60분부터 24시간 주기로 창상 부위 전체에 도포하고 14일 동안 관찰하였다. 14일 간 도포한 후 동물을 희생하여 조직을 채취한 뒤, 육안 및 조직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창상이 치유된 면적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실콘겔군에 비해 베라파밀군에서 창상치유가 더 많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1), 조직학적검사에서도 베라파밀 도포군에서 모세혈관 및 섬유아세포가 가장 많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실시예 2. 창상치유 관련 단백질 발현 분석을 통한 베라파밀의 급성 창상 치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창상유도 랫의 피부조직을 직경 2.5센치의 크기로 적출한 뒤 단백질 추출 시약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여 정량하였다. 정량한 단백질을 10% 소듐 도데실 설파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 전기영동하고 나이트로셀룰로오즈 멤브레인으로 이동시킨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 (5% skim milk)하였다. 멤브레인에 1차 항체인 1형 콜라겐(Collagen type 1), 3형 콜라겐(Collagen type 3),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및 베타액틴(Beta-Actin) 표지인자를 각각 처리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트리스 버퍼 살린 용액(TBS-T buffer)으로 씻어내고, 2차 항체와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항체 처리가 끝난 뒤, 단백질 발현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베라파밀 투여군에서 창상 치유와 관련된 단백질인 1형 콜라겐(Collagen type 1) 및 혈관내피성장인자가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가 높게 발현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실시예 3. 항산화력 증가를 통한 베라파밀의 급성 창상 치유 효과
상기 실시예 1의 창상유도 랫으로부터 분리한 세포에서 창상치유와 관련된 VEGF 및 항산화력과 관련된 eNOS의 mRNA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의 창상유도 랫으로부터 획득한 조직을 직경 2.5센치의 크기로 샘플링한 뒤, RNA(리보뉴클레익 엑시드) 추출 시약을 사용하여 RNA를 추출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추출한 단일 RNA를 상보적 DNA(데오실리보뉴클레익 엑시드) (cDNA)로 합성한 후, 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산화질소합성효소 유도인자(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섬유모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및 변환성장인자-벡타(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표지인자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시료를 아가로오스 겔에 전기영동한 후, 발현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베라파밀 투여군에서 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및 혈관내피성장인자가 높은 발현량을 나타내 (도 4), 베라파밀의 항산화력(Antioxidant activity)에 의해 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이 증가하고, 산화질소(Nitric oxide)가 창상치유를 돕는 성장인자(Growth factor)인 혈관내피성장인자를 분비하여 창상치유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베라파밀(Verapami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베라파밀을 상처 치유 단계중 창상 초기의 염증 반응 이전에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창상은 인화상, 열상, 표피 창상, 궤양, 외상, 외과적 수술(post-surgical), 출산, 만성적 상처(chronic wound), 피부염(dermatitis)에 의한 손상, 각막 궤양, 각막 상피 박리, 각막염 및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라파밀은 창상 발생 후, 30분 내지 60분 내로 도포되는 것인, 조성물.
  4. 베라파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피부 외용제로서, 상기 베라피밀을 상처 치유 단계중 창상 초기의 염증 반응 이전에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220060789A 2020-06-29 2022-05-18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KR20220069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789A KR20220069909A (ko) 2020-06-29 2022-05-18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085A KR20220001141A (ko) 2020-06-29 2020-06-29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KR1020220060789A KR20220069909A (ko) 2020-06-29 2022-05-18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085A Division KR20220001141A (ko) 2020-06-29 2020-06-29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909A true KR20220069909A (ko) 2022-05-27

Family

ID=793488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085A KR20220001141A (ko) 2020-06-29 2020-06-29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KR1020220060789A KR20220069909A (ko) 2020-06-29 2022-05-18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085A KR20220001141A (ko) 2020-06-29 2020-06-29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0114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41A (ko)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9454A (ko) 진세노사이드Rb1으로 된 피부조직 재생촉진제
KR102412658B1 (ko) Rgd 모티프 함유 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화상 및 녹내장 치료, 피부 주름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030029050A (ko) 반흔화 작용을 갖는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비구아니드유도체의 용도
WO2008094061A1 (fr)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cosmétiques servant à accélérer le processus de cicatrisation de plaies et autres lésions superficielles
KR20190075192A (ko)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9300B1 (ko) Clasp2를 이용한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798632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JP2021531244A (ja) ベータグルカン、グリシチンおよび4’,6,7−トリメトキシイソフラボンを含む創傷治療または皮膚活性用薬学的組成物
KR20220069909A (ko)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KR101679391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KR101885591B1 (ko) 휴매닌 또는 이의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60109063A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JP6545856B2 (ja) 狼毒抽出物またはその分画物を含む、傷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個体の傷を治療する方法
KR20210046574A (ko) 애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
KR102577970B1 (ko)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16370A (ko) 블루메아 발사미페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
JPS58162512A (ja) 若禿及び円型脱毛の発毛剤
KR102453894B1 (ko) 캄페롤 배당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1990707B1 (ko) 갈퀴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9025A (ko) 양막의 가용화를 통한 양막의 성분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
KR102118094B1 (ko) 창상 치료제로서의 sis-1 펩타이드의 용도
KR20180028293A (ko)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68867A (ko) 포피라334가 봉입된 세포외소포체의 용도
KR20230067034A (ko) 항산화, 미백, 항염증, 피부보호 등의 기능을 갖는 락토페린 유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치료용 연고 및 화장품 조성물
KR20200122868A (ko)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