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868A -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868A
KR20200122868A KR1020190046225A KR20190046225A KR20200122868A KR 20200122868 A KR20200122868 A KR 20200122868A KR 1020190046225 A KR1020190046225 A KR 1020190046225A KR 20190046225 A KR20190046225 A KR 20190046225A KR 20200122868 A KR20200122868 A KR 20200122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ound
regeneration
wound h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우
안병관
정호경
장지훈
이기호
우경완
노종현
이현주
김아현
박호
황태연
양버들
서재완
김선영
Original Assignee
한약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약진흥재단 filed Critical 한약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190046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868A/ko
Publication of KR2020012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대계 추출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상처 부위에서 신생조직을 형성시키고 TGF-β1의 과발현을 유도함으로써 반흔을 감소시키고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여 조직재생을 원활하게 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대계 추출물은 피부상처 치유 및 피부재생 촉진을 위한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skin wound healing and regeneration comprising an extract Cirsium japonicum}
본 발명은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상처 부위에서 신생조직을 형성하고 TGF-β1의 과발현을 유도함으로써 반흔을 감소시키고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여 조직 재생을 원활하게 하는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및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를 보호하는 방어막 역할을 수행하고 질환에 대한 신체의 일차 방어선이며, 피부의 가장 외벽에 존재하는 표피(epidermis)가 미생물 침입에 대한 장벽을 제공한다.
피부의 손상은 심각한 정도에 따라 화상, 창상, 찰과상, 궤양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다. 만약 피부 손상이 회복되지 않는다면 피부장벽 기능을 손실하여 미생물감염에 피부조직이 노출되어 피부를 더 심각하게 손상시킬 수 있다. 최근 상처치유에 관한 연구는 세포생물학적, 분자생물학적 분야로 더욱 세분화되고 있고, 상처치유 촉진에 관한 임상적 적용 또한 더욱 광범위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부상처 치유에 대한 세포생물학, 분자생물학적 기전에는 의문점들이 많다. 상처치유는 손상에 대한 조직의 반응이며 조직 회복의 과정으로 몇몇 세포유형들의 합동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중에는 각질세포, 섬유아세포, 내피세포, 대식세포, 혈소판을 포함한다. 이 과정은 세포의 증식률과 이동률, 콜라겐 침적과 리모델링, 상처수축, 혈관형성을 포함한다.
피부상처 치유는 피부 또는 다른 기관 또는 조직이 상처 후 자신을 수복하는 복잡한 공정이다. 정상 피부에서 표피(최외각 층) 및 진피(내부 또는 심부 층)는 외부 환경에 대하여 보호 장벽을 형성한다. 일단 보호 장벽이 깨지면 피부상처 치유의 정상적인 생리적 공정이 즉시 가동된다. 다만, 부상자의 건강, 연령 당뇨와 같은 질환, 이물체 또는 괴사 조직의 존재가 피부상처 치유의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피부상처 치유의 속도가 느릴 경우, 상처 부위를 통해 2차 감염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일부 상처들에서 상처 소산의 불완전한 조절은 과도한 흉터 생성을 초래하여 기능적 및 미용적으로 열등한 흉터 조직을 남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처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고 부작용 없이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피부상처 치유를 위해 사용되는 상용화된 제품에는 대표적으로 주식회사 동화약품의 후시딘과 주식회사 동국제약의 마데카솔 등이 있다. 다만 후시딘의 주성분인 푸시딘산(fucidic acid)에 대해 내성을 갖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 늘고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Arch Dis Child 2004;89:74-44). 또한, 후시딘과 마데카솔의 사용시 알레르기 반응, 발진 등의 부작용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어 새로운 약학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처치유에 관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9818호는 트라켈로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용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8156호는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용 조성물을 보고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3754호는 피부 질환 치료용 및 상처 치유 향상용 식물 추출물로서 병풀 추출물을 개시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효과를 가지면서 인체 부작용이 적은 물질을 찾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창상을 유발시킨 동물의 상처부위에 대계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창상 부위에서 신생조직이 형성되고 TGF-β1의 과발현이 유도되어 반흔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콜라겐 합성이 유도되어 조직재생이 원활해짐으로써 피부상처 치유 및 피부재생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효과를 가지면서 인체 안정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처"는 조직이 절단되거나, 찢어지거나, 부서지거나, 타거나, 또는 외상을 입거나, 또는 이러한 손상을 유발하는 장애 또는 질환으로부터 발생된 인간에 대한 손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피부상처 치유"란 조직 완전성의 복원을 의미한다. 이는 조직 완전성의 부분적 또는 완전 복원을 의미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상처 치료란 피부상처 치유 과정에 관여하기는 하나 이상의 단계 또는 과정의 촉진, 개선, 진행, 가속 또는 진전을 의미한다. 또한, 상처는, 예컨대 타박상 또는 내부 궤양화와 같이 피부의 외부 구조적 완전성이 유지되는 임의의 내부 상처이거나 외부 상처, 특히 피부상처일 수 있으며, 따라서 조직은 내부 또는 외부의 신체 조직일 수 있다. 일례로, 조직은 피부(예컨대, 인간 피부)이며, 상처는 진피 또는 표피 상처와 같은 피부상처일 수 있다.
이러한 피부상처 치유과정은 대개 지혈, 염증, 증식과 리모델링 4가지 순차적 단계로 특징지어지며, 염증단계에서 일어나는 염증반응은 이로운 작용으로서 지혈과 선천적 면역체계에 필수적인 것으로, 병원균의 침입과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고 죽은 조직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염증반응이 길어지거나 심하면 흉터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끝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상처 초기에 염증반응이 억제되면 지혈 및 병원균의 침입을 억제하지 못하고, 피부회복 후기에 염증반응이 계속 이어진다면 흉터와 같은 안좋은 반응을 수반할 수 있어 상처치유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Ning Xu Landeㅄn, et al., Cell Mol Life Sci. 2016. 73:3861-3885).
본 발명에서 "피부재생"은 손상에 대한 조직의 회복 과정으로, 주화성 (chemotaxis), 세포의 분화 및 복제 (differentiation and replication), 기질 단백질 (matrix protein)의 합성, 혈관의 신생 및 상처의 재구성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이다. 피부재생 과정의 초기에 생성되어 이후의 과정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물질 중 하나로 성장인자를 들 수 있는데, 이는 피부재생 과정 전반에 걸쳐 강력한 영향을 미치면서도 세포의 성장, 분화 및 대사 등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상처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베인 상처 및 열상, 외과적 절개 또는 상처, 천자, 찰과상(graze), 긁힌 상처, 압박 상처, 찰과상(abrasion), 마찰 상처(예: 기저귀 발진, 마찰 수포), 욕창 궤양(예: 욕창 또는 와창), 열 작용에 의한 상처(직접, 또는 전도, 대류 또는 복사선을 통한 냉원 및 열원 및 전기 공급원으로부터의 화상), 화학적 상처(예: 산 또는 알칼리 화상) 또는 개방 또는 무손상 종기, 피부 발진, 흠집 및 여드름을 비롯한 병원성 감염(예: 바이러스, 박테리아 또는 진균 감염), 궤양, 만성적인 상처(당뇨병-관련 상처, 예컨대 하퇴 및 족부 궤양, 정맥성 다리 궤양 및 욕창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대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대계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Maxim.) Matsum.)의 전초를 건조시킨 것으로, 혈열(血熱)을 식히고 지혈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어혈을 없애고 옹종(癰腫)을 치료하기도 한다. 따라서 열로 인한 각혈, 코피, 자궁출혈, 소변출혈, 외상으로 인한 출혈 및 부스럼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약리작용으로 지혈작용, 혈압강하작용,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주요 화학성분은 pectolinarin, taraxasteryl acetate, α-amyrin, β-amyrin, β-sitosterol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대계의 지하부인 뿌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계 추출물"은 대계의 지하부를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추출한 추출물로서, 대계 지하부로부터 추출한 추출액뿐만 아니라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대계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대계 추출물은 대계의 지하부(뿌리)를 5 내지 15배 부피의 물을 넣고 100 내지 11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한 열수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대계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분리, 분획)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대계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계 추출물이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효과가 너무 미약하고,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비하여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대계 추출물은 상처부위에서 신생조직을 형성하여 창상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창상의 치유는 창상발생 후 상처부위에는 염증기 단계와 함께 혈관수축 및 혈소판 응고 반응이 일어나고 그 후 교원질의 합성, 신생 혈관의 형성 등에 의한 복잡한 병리학적 과정이 일어나 육아조직이 상처 부위를 채우는 재상피화 후 상처부위가 수축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계 추출물은 상처부위에서 신생조직을 형성하여 창상면적을 수축시킴으로써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대계 추출물은 상처부위의 혈청에서 회복인자인 TGF-β1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처치유과정은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cytokine)이 세포 및 조직들에서 복합적으로 활성을 나타내어 이루어진다. TGF-β1은 섬유아세포의 분화와 증식으로 인한 육아조직 형성과 재상피화 단계에 관여하여 TGF-β1의 과발현은 반흔을 감소시켜 주며 콜라겐 합성에 기여하여 상처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계 추출물은 혈청 TGF-β1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반흔을 감소시키고 콜라겐 합성에 기여하여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대계 추출물은 상처부위에서 조직재생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상처치유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 복잡한 다단계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상처치유는 염증기 이후 상피화기를 통해 상처조직으로 세포들이 이동 증식하여 상처표피 재생에 관여하게 되고, 섬유아세포가 교원질을 형성하는 활성으로 상처 내부 구조재생에의 관여는 섬유증식기가 일어나게 되고, 상처부위 내외부적 구성성분이 수축활동을 통해 결합 및 구성조직들이 재배치되게 되는 수축기를 마지막으로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계 추출물은 상처부위에서 염증기 이후 상처조직으로 세포들을 이동 증식하고 조직재생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상처치유 속도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대계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latest edition), Mach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 내지 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좋다.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의 경우에, 한 실시양태로, 대계 추출물은 목적하는 정도의 순도에서 단위 투여 주사가능 형태(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으로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즉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피투여자에게 비-독성이고, 제제의 다른 성분과 상용가능한 것과 함께 혼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제제화된다.
국소적 투여의 경우에, 제제, 예컨대 연고, 크림, 및 겔은 조성물에 대해 상기 기재한 투여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적합한 제제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latest edition), Mach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으로부터 알 수 있다.
연고는 일반적으로 (1) 유질 기재, 즉 고정유 또는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것, 예컨대 백색 바셀린 또는 광유, 또는 (2) 흡수제 기재, 즉 임의의 무수 물질 또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무수 라놀린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통상적으로, 유질 또는 흡수제이든지 간에 기재의 제조 후에, 활성 성분 (대계 추출물)은 목적하는 농도를 제공하는 양으로 첨가된다.
크림은 유/수 에멀젼이다. 이들은 전형적 고정유, 탄화수소 등, 예컨대 왁스, 바셀린, 광유 등을 포함하는 유상(내부 상), 및 물 및 임의의 수용성 물질, 예컨대 추가 염을 포함하는 수상(연속 상)으로 이루어진다. 2상은 에멀젼제, 예를 들어 표면 활성제, 예컨대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친수성 콜로이드, 예컨대 아카시아 콜로이드성 점토, 비검 등의 사용에 의해 안정화된다. 에멀젼의 형성시에, 활성 성분 (대계 추출물)은 목적하는 농도를 달성하는 양으로 통상적으로 첨가된다.
겔은 유질 기재, 물, 또는 에멀젼-현탁액 기재, 예컨대 상술한 것로부터 선택된 기재를 포함한다. 기재에 기재 중에 매트릭스를 형성하며 그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겔화제를 첨가한다. 겔화제의 예에는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아크릴산 중합체 등이 있다. 통상적으로, 활성 성분 (대계 추출물)은 겔화제 첨가 전 시점에 목적하는 농도로 제제에 첨가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처치료 유효량의 대계 추출물을 포함한 상처 관리 드레싱 또는 붕대도 고려한다. 상처 관리용 붕대 또는 드레싱은 외부 직물 지지체,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성 직물 지지체; 및 내부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패드는 바람직하게는 필름-형성 물질로부터 제조된 외부 막 표면을 포함하며 치료 유효량의 대계 추출물을 조성물에 대해 상기 기재한 투여량으로 매트릭스에 도입한다. 상기 패드는 외부 직물 지지체와 완전체를 이룰 수 있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의 대계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검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개체의 상처 부위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등에 의하여 절개 부위에서 신생조직을 형성시키고 반흔을 감소시켜 피부상처 치유 및 피부재생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 본 발명은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피부상처를 치유하고 피부를 재생시키는 방법 및 그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개선될 수 있는 상태 또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돼지, 양, 개, 고양이, 랫트, 마우스, 침팬지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상기 투여는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이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이며, 이의 투여량 등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등의 요인에 따라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대계 추출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어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약품 또는 화장품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계 추출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상처 부위에서 신생조직을 형성시키고 TGF-β1의 과발현을 유도함으로써 반흔을 감소시키고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여 조직재생을 원활하게 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대계 추출물은 피부상처 치유 및 피부재생 촉진을 위한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대계 추출물의 동물 실험을 통한 창상치유 효과로서 창상 면적 감소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2는 대계 추출물의 동물 실험을 통한 창상치유 효과로서 혈청 TGF-β1 함량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3은 대계 추출물의 창상치유 효과로서 창상 유도 동물모델에서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대계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대계 뿌리 409 g을 분쇄한 뒤 시료 무게의 10배에 해당하는 물을 넣고 환류 냉각추출방법을 이용하여 105℃에서 5 시간 동안 2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대형 회전감압농축기 (Eyela, NVC-2200, ToKyo, Japan)를 이용하여 55℃에서 농축한 뒤 여과지 (Thermo,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여과하였고, 여과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 및 분말화였다. 실험재료는 126 g을 수득하여 약 30%의 수율을 확인하였고, 건조된 분말은 0.5%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CMC, Sigma, St. Louis, MO, USA)에 녹인 뒤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창상 유도 동물모델에서 대계 추출물이 상처치유에 미치는 효과의 육안적 관찰
실험동물은 CrlOri:SKH1-hairless(6weeks, Male)를 오리엔트바이오(광주, 한국)로부터 구입하였으며, 7일 이상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실 환경은 22℃를 유지시키면서 12시간 단위로 낮과 밤이 계속되는 상황을 실험 종료시까지 유지하였다.
안정화 기간이 지난 후 실험동물은 2% 이소플루란(Isofluran) 흡입 마취하에 등 부위를 피혁용 펀치(biopsy punch)를 이용하여 1개의 직경 8mm의 피부 전층을 제거하여 창상을 유발하였다.
창상유발을 하지 않은 정상군(Normal group, NOR), 창상유발 후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 (Control group, CON), 창상유발 후 병풀 추출물 1 중량% 함유 연고 처리군 (Positive group, POS)과 창상유발 후 대계 지하부 물 추출물 1 중량% 및 5 중량% 함유 연고 처리군으로 총 5개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당 4마리씩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시료의 도포량은 매일 1회씩 창상유발 부위가 덮일 정도로 충분히 도포하였다.
각 실험군의 창상치유에 있어 5일 간격으로 일정한 거리에서 창상 부위를 촬영하여 신생조직의 형성 결과인 창상면적의 감소를 육안적으로 관찰하여 그 수치를 측정하였다.
도 1은 대계 추출물의 동물 실험을 통한 창상치유 효과로서 창상 면적 감소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여기에서, (A)는 창상크기를 측정한 것이고, (B)는 창상 스코어 그래프이다. 상처의 면적은 치료 기간 동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창상유발 후 약물을 도포하지 않은 CON군의 15일째 상처면적이 4.5 ± 0.4 mm인 것에 비해 POS군은 3.2 ± 0.1 mm로 약 28% 정도 유의적으로 상처 면적 감소를 보였으며, 대계 지하부 물 추출물 1 중량% 및 5 중량% 처리군은 각각 3.5 ± 0.2와 3.1 ± 0.1로 CO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상처면적이 감소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POS군과 비교하여 대계 지하부 물 추출물 5 중량% 처리군이 효과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시험예 2> 창상 유도 동물모델에서 대계 추출물에 의한 TGF - β1 함량 변화 관찰
상기 시험예 1에서와 같이 창상유발 후 15일째에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혈청을 분리하여 회복인자 TGF-β1 농도를 ELISA 실험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TGF-β1 ELISA kit (Enzo, UAS)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창상이 유도된 부위의 피부를 일정한 무게로 잘라 PIPA 완충액(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ssachusetts, USA)에 녹여 단백질을 분리한 뒤 원심분리기로 4℃, 13,000xg 조건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고, 일정한 양의 단백질 용해액을 이용해 제조사가 제시한 protocol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위 조직 무게당 PGE2 농도를 그래프로 표기하였다.
도 2는 대계 추출물의 동물 실험을 통한 창상치유 효과로서 혈청 TGF-β1 함량을 관찰한 결과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혈청 TGF-β1 함량을 측정하였을 때 정상대조군(NOR)은 4882.5 ± 139.3 pg/㎖, 창상유발 대조군(CON)은 4316.4 ± 144.2 pg/㎖으로 두 군 사이의 유의성이 나타났다. 양성대조군인 병풀 추출물을 처리한 POS군은 5576.4 ± 196.6 pg/㎖로 CON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대계 지하부 물 추출물을 1 중량% 및 5 중량%를 처리한 군에서는 혈청 TGF-β1의 농도가 각각 5291.0 ± 80.6 pg/㎖ 및 5549.5 ± 190.2 pg/㎖로 대조군과 비슷하게 증가하여 창상치유 가속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시험예 3> 창상 유도 동물모델에서 대계 추출물에 의한 조직학적 변화 관찰
상기 시험예 1에서와 같이 창상유발 후 15일째에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창상 부위가 포함된 조직 절편을 채취하여 10% 포르말린 용액을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파라핀에 포매 후 4 ㎛ 두께로 절편하였다. 조직 절편은 Haematoxylin & Eosin (H&E) 염색을 통해 피부세포 및 피부조직 재생을 관찰하였으며, Masson's trichrome (M&T) 염색을 실시하여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진피 교원섬유 변화를 관찰하였다.
도 3은 대계 추출물의 창상치유 효과로서 창상 유도 동물모델에서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조직염색 소견으로 NOR군, CON군, POS군 및 대계 추출물 처리군의 모든 실험군에서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교원질(collagen fibers, CF)의 합성이 관찰되었으며 대계 추출물 처리군의 경우 CON군에 비해 상피층(epidermis)의 두께가 얇고 일정하고 부드럽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계 지하부 물 추출물이 진피층에서 모낭을 비롯한 기타 피부 부속기관과 구성조직의 재형성이 CON군에 비해 더욱 치밀하고 활발하게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기간 내에 대계 지하부 물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형태로 보아 조직재생이 원활하게 이뤄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대계 추출물은 염증반응은 물론 교원질과 같은 피부조직 재생 수준까지의 창상치유 속도를 가속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계 추출물이 대계 지하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4.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46225A 2019-04-19 2019-04-19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20200122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225A KR20200122868A (ko) 2019-04-19 2019-04-19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225A KR20200122868A (ko) 2019-04-19 2019-04-19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68A true KR20200122868A (ko) 2020-10-28

Family

ID=7301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225A KR20200122868A (ko) 2019-04-19 2019-04-19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8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orasani et al. Aloe versus silver sulfadiazine creams for second-degree burn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KR20030009454A (ko) 진세노사이드Rb1으로 된 피부조직 재생촉진제
WO2010045969A1 (en) New synergic association for the treatment of deep skin or mucosa injuries
KR20150116659A (ko) 천심련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00079586A (ko)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피부염 조성물
ES2909243T3 (es) Extracto de salvia haenkei como un agente activo en procesos de reepitelización y cicatrización de tejidos
Fard et al. Wound healing properties of Eucheuma cottonii extracts in Sprague-Dawley rats
WO2020190072A1 (ko) (r)-진세노사이드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CN104474536A (zh) 仙鹤草鲜药治疗创伤伤口制剂
WO2020055135A2 (ko) 하이드로젤 패치를 포함하는 상처 또는 흉터 치료용 조성물
KR102033073B1 (ko) 세리신, 사상자 추출물 및 겨우살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1679391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KR20110139486A (ko) 꿀 및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00122868A (ko)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820519B1 (ko)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KR20200124570A (ko) 용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187423B1 (ko) 양막의 가용화를 통한 양막의 성분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
RU2337702C2 (ru) Бальзам &#34;гайсановой&#34;, обладающий ранозаживляющим,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м и противоожоговым действием
AU2013254342B2 (en) New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ulcers
DK2830587T3 (en) THERMO PROTECTIVE AND DERMOBALANCING COMPOSITION
CN111437343B (zh) 一种消炎止痛组合物和花红消炎止痛液及其制备方法
KR100352148B1 (ko) 베타-시토스테롤을 포함하는 혈관형성 촉진 및 관절염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llah et al. Medicinal Plants: An Insight into Wound Healing: Medicinal Plants & Wound Healing
JP7286131B2 (ja) 糖尿病性潰瘍の治癒促進剤
ES2568517B1 (es) Composición para liberación controlada de compuest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