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687A -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687A
KR20220068687A KR1020200155713A KR20200155713A KR20220068687A KR 20220068687 A KR20220068687 A KR 20220068687A KR 1020200155713 A KR1020200155713 A KR 1020200155713A KR 20200155713 A KR20200155713 A KR 20200155713A KR 20220068687 A KR20220068687 A KR 20220068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transaction
blockchain
user
uniqu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정현
Original Assignee
엄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정현 filed Critical 엄정현
Priority to KR102020015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8687A/ko
Publication of KR20220068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가상월드 상에 존재하는 거래 가능한 자산 아이템들 각각에 대해 블록체인을 통해 NFT(Non-Fungible Token)로 토큰화하는 자산 토큰화부, 및 토큰화된 자산 아이템들 중에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자산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처리하되, 자산 아이템의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이전시키기 위한 트랜잭션을 실행시켜 블록체인 상에 자산 아이템의 소유자가 사용자에게 이전되었음을 보장하는 거래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VR asset transaction system}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현실 상의 오브젝트를 자산으로 거래하고 소유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술은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 같은 가상현실 기술은 항공우주 분야의 모의훈련장치뿐만 아니라 게임, 전시, 판매 설명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코비드-19로 인해 한 장소에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것이 제한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상현실 기술의 수요와 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34744호 (2020년 7월 16일 공고)
본 발명은 가상현실 상의 자산 아이템들에 대해 희소 가치를 부여하고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은 가상월드 상에 존재하는 거래 가능한 자산 아이템들 각각에 대해 블록체인을 통해 NFT(Non-Fungible Token)로 토큰화하는 자산 토큰화부, 및 토큰화된 자산 아이템들 중에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자산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처리하되, 자산 아이템의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이전시키기 위한 트랜잭션을 실행시켜 블록체인 상에 자산 아이템의 소유자가 사용자에게 이전되었음을 보장하는 거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양상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방법은 가상월드 상에 존재하는 거래 가능한 자산 아이템들 각각에 대해 블록체인을 통해 NFT(Non-Fungible Token)로 토큰화하는 자산 토큰화 단계, 및 토큰화된 자산 아이템들 중에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자산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처리하되, 자산 아이템의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이전시키기 위한 트랜잭션을 실행시켜 블록체인 상에 자산 아이템의 소유자가 사용자에게 이전되었음을 보장하는 거래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가상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들에 대해 희소성을 부여하고 가상현실 상에서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게 함은 물론 거래에 따른 소유권 이전이 완벽히 보장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창출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방법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가상현실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 블록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블록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방법 흐름도이다.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가상현실에 참여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 등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의 모바일 단말일 수도 있다. 가상현실 서버(200)는 가상현실 월드 플랫폼을 온라인 서비스하는 서버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들과 연동하여 사용자들에게 가상의 디지털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월드 플랫폼을 서비스하는데, 웹이나 웹앱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가상현실 월드 플랫폼을 서비스할 수 있다. 가상현실 월드 플랫폼 상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가상월드(가상세계)가 제공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월드가 서비스될 수 있다.
이 같은 가상현실 월드 플랫폼을 서비스하는 가상현실 서버(200)는 가상월드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자산 아이템들에 대해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희소성을 부여하고 가상월드에서 사용자들 간에 자유롭게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가상월드로는 복수의 부스들과 각각의 부스별 거래 가능한 자산 아이템이 마련된 가상현실 박람회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가상현실 박람회 상에서 부스를 신청하여 운영하는 사업자일 수도 있고, 가상현실 박람회의 부스들을 방문하여 각각의 부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용자일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는 사업자이면서 이용자가 될 수도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여러 노드들이 참여하여 체인처럼 엮인 형태로 존재하는 데이터를 복제하여 갖는 원장 관리 기술이다. 참여자들은 다른 노드들로부터 발생한 거래를 검증하고 이들을 모아 하나의 블록을 생성한다. 생성된 블록은 이전 블록이 가지는 해시값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전 블록의 특정값을 바꾸게 될 경우 이후의 블록들이 가지는 이전 블록의 해시값을 바꿔야 하므로 누군가 임의로 데이터를 수정 및 삭제하는 것이 불가하다. 블록은 전파되는 과정에서 해시값이 다른 여러 블록이 동시에 전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발생한 순간에는 모두 정상 블록으로 인정하지만 시간이 지나서 이들을 부모로 갖는 블록 중 가장 최근까지 이어지는 한 체인에 속한 블록들만 정상 블록으로 인정된다.
개별 노드들이 운영의 주체가 된다는 점과 영구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된다는 성질 덕분에 초기에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형태로 초점이 맞춰졌으나, 이더리움의 등장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더리움 플랫폼은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솔리디티라는 독자적인 언어를 통해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서 동작하는 컨트랙트를 개발할 수 있고, 이를 웹 또는 앱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web3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반 응용프로그램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컨트랙트는 블록체인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들처럼 쉽게 컨트랙트의 상태를 변경할 수 없고, 튜링 완전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프로그램처럼 조건과 반복을 통해 원하는 플로우를 작성할 수 있다. 특정 플로우들은 실행을 위해 수수료를 요구할 수 있다. 이더리움은 공개 블록체인이므로 기록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누구나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일 양상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200)는 자산 토큰화부(210)와 거래 처리부(220)를 포함한다. 이들은 모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한 기능적 구성들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자산 토큰화부(210)는 디지털 가상공간(가상월드)에 존재하는 자산 아이템들 각각에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NFT(Non-Fungible Token)로 토큰화한다(S100). 여기서, 자산 아이템(오브젝트)은 의류, 액세서리, 건물, 자동차, 애완동물, 게임 아이템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자산 아이템은 NFT로의 토큰화를 통해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무단으로 복사가 불가능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기록되는 바 안전하게 보호된다. 따라서, 자산 아이템의 가치가 높아지고 거래가 가능하게 된다.
거래 처리부(220)는 디지털 가상공간을 체험 중인 사용자가 그 디지털 가상공간 상에서 구매 선택한 자산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처리한다(S200). S200에서, 거래 처리부(220)는 구매 선택된 자산 아이템의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이전시키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을 실행시켜 블록체인 상에 소유권 이전 내용을 기록함으로써 자산 아이템의 소유자가 사용자임을 보장한다. 이때, 거래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로부터 판매자의 전자지갑 주소로 자산 아이템의 판매가에 해당하는 암호화폐를 송금한다는 내용을 소유권 이전 내용과 함께 트랜잭션으로 생성하며, 생성된 트랙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제출하여 이체 및 소유권 이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거래 처리부(220)는 가상현실 월드 플랫폼용으로 발행된 암호화폐(A)로 거래를 처리하는데, 이 암호화폐로 거래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트랜잭션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수수료인 가스비(gas price)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즉, 암호화폐 A로 거래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가스비가 무료로 처리된다.
도 3 내지 도 7은 가상월드(박람회)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아바타를 조작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의(a)와 (b)에는 부스나 시설물에 배치된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예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클릭하면 그에 해당하는 오브젝트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도 5에도 상호작용이 가능한 오브젝트에 대한 화면이 예시되어 있는데, 별도의 아이콘이 없더라도 오브젝트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킬 경우 클릭이 뜰 경우에는 해당 오브젝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는 오브젝트 배치를 위한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오브젝트를 오브젝트 목록에서 선택(도 6의 (a))하면 오브젝트가 마우스 위치에 나타나며, 오브젝트가 나타나면 원하는 위치에 클릭하여 배치(도 6의 (b))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오브젝트 수정을 위한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미 배치한 오브젝트를 클릭하여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오브젝트 선택 후에 기능버튼들(①, ②, ③, ④, ⑤)을 선택한 후에 오브젝트를 해당 기능에 맞게 수정할 수 있다. 부연하면, 버튼 ①은 오브젝트의 위치 이동을 위한 버튼이고, 버튼 ②는 오브젝트의 각도 회전을 위한 버튼이며, 버튼 ③은 오브젝트의 크기 변경을 위한 버튼이다. 그리고 버튼 ④는 오브젝트의 상세 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버튼이며, 버튼 ⑤는 오브젝트를 삭제하기 위한 버튼이다.
한편 가상월드에는 박물관, 게임장, 백화점, 놀이터 등 다양한 오브젝트들이 형성되며, 사용자들은 그 안에서 상품(아이템)을 만들어 올릴 수도 있고 거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상월드에 존재할 수 있는 부동산이나 건물 또는 광고판 등도 상품에 해당되면 거래될 수 있음은 물론 가상월드 상에서 임대 수익을 올릴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 블록도이다. 상술한 방법들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서버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600)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저장 장치(630), 입출력 인터페이스(640), 및 통신 인터페이스(6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al processing unit), 또는 이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구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20)에는 데이터, 메타데이터, 프로세서(610)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620)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또는 분산형 메모리일 수 있다. 저장 장치(630)는 데이터 및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로서, 비일시적(non-transitory)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6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광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범용 직렬 버스(USB) 드라이브 등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640)는 사용자가 입력을 제공하고 출력을 수신하며,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640)는 마우스, 키패드 또는 키보드, 카메라, 광학식 스캐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뎀, 기타 알려진 I/O 장치일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640)는 그래픽 엔진,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출력 드라이버(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피커 및 하나 이상의 오디오 드라이버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50)는 컴퓨팅 장치(600)와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와의 네트워크 통신(예를 들어, 패킷 기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잇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650)는 이더넷이나 다른 유선 기반 네트워크로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NIC)나 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와이파이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로 통신하기 위한 Wireless NIC나 무선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버스(Bus)는 컴퓨팅 장치(600)의 구성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는 AGP(Accelerated Graphics Port)나 다른 그래픽 버스, EISA(Enhanc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FSB(front-side bus), HT(hypertransport) 인터커넥트,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INFINIBAND 인터커넥트, LPC(low-pin-count) 버스, 메모리 버스, MAC(Micro Channel Architecture) 버스,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 PCIe(PCI-Express) 버스, SATA(serial technology attachment) 버스, VL(VESA Local, VESA: 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 Local) 버스, 다른 적절한 버스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도 8의 구성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컴퓨팅 디바이스는 도 8의 구성들의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구성들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이 같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PC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술한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기록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디바이스 200 : 가상현실 서버
210 : 자산 토큰화부 220 : 거래 처리부

Claims (5)

  1. 가상의 디지털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월드 플랫폼을 온라인 서비스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월드 상에 존재하는 거래 가능한 자산 아이템들 각각에 대해 블록체인을 통해 NFT(Non-Fungible Token)로 토큰화하는 자산 토큰화부; 및
    토큰화된 자산 아이템들 중에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자산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처리하되, 자산 아이템의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이전시키기 위한 트랜잭션을 실행시켜 블록체인 상에 소유권 이전 내용을 기록함으로써 자산 아이템의 현 소유자가 사용자임을 보장하는 거래 처리부;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거래 처리부는 가상현실 월드 플랫폼용으로 발행된 암호화폐로 거래를 처리하되, 그 암호화폐에 의해 거래시에는 트랜잭션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거래비용에 대해서는 발생시키지 않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3. 가상의 디지털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월드 플랫폼을 온라인 서비스하는 서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방법에 있어서,
    가상월드 상에 존재하는 거래 가능한 자산 아이템들 각각에 대해 블록체인을 통해 NFT(Non-Fungible Token)로 토큰화하는 자산 토큰 단계; 및
    토큰화된 자산 아이템들 중에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자산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처리하되, 자산 아이템의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이전시키기 위한 트랜잭션을 실행시켜 블록체인 상에 자산 아이템의 소유자가 사용자에게 이전되었음을 보장하는 거래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거래 처리 단계는 가상현실 월드 플랫폼용으로 발행된 암호화폐로 거래를 처리하되, 그 암호화폐에 의해 거래시에는 트랜잭션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거래비용에 대해서는 발생시키지 않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00155713A 2020-11-19 2020-11-19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KR20220068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713A KR20220068687A (ko) 2020-11-19 2020-11-19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713A KR20220068687A (ko) 2020-11-19 2020-11-19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87A true KR20220068687A (ko) 2022-05-26

Family

ID=8180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713A KR20220068687A (ko) 2020-11-19 2020-11-19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86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467B1 (ko) * 2022-07-20 2023-01-11 주식회사 이포넷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
KR102572638B1 (ko) * 2022-06-21 2023-08-29 김대성 아티스트를 위한 디지털 nft 판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방법
KR20240050599A (ko) 2022-10-12 2024-04-19 이민영 Nft 기반의 팬덤 커머스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744B1 (ko) 2018-11-27 2020-07-16 문지원 가상현실을 통해 가상의 박람회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744B1 (ko) 2018-11-27 2020-07-16 문지원 가상현실을 통해 가상의 박람회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638B1 (ko) * 2022-06-21 2023-08-29 김대성 아티스트를 위한 디지털 nft 판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방법
KR102487467B1 (ko) * 2022-07-20 2023-01-11 주식회사 이포넷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50599A (ko) 2022-10-12 2024-04-19 이민영 Nft 기반의 팬덤 커머스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6937B2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US202102796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tem acquisition by selection of a virtual object placed in a digital environment
US1144982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ducting a transac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KR20220068687A (ko)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US8332913B2 (en) Fraud mitigation through avatar identity determination
CN103403694A (zh) 附加组件管理
JP2009134653A (ja) アクセス制御方法、サーバ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11727123B2 (en)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access to components of virtual objects
WO2019099912A1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KR20190027325A (ko) 온라인을 통한 게임 컨텐츠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US74125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581327B2 (ja) 取引管理方法、利用権管理方法、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7237233B1 (ja) ギフティングを行うための装置、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4907606B2 (ja) サーバ、Webページ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619468B1 (ko) 아이템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아이템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39933B1 (ko) 보너스 아이템을 제공하는 게임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61786B1 (ko) 통합 플랫폼 기반 온라인 판매 상품 수익 공유 방법
TW202029095A (zh) 遊戲帳號估價方法及其系統
KR102534418B1 (ko) 메타버스상에서의 가상 전자명함 판매 활성화 장치 및 방법
WO2024018611A1 (ja) 取引支援装置、取引支援プログラム、取引支援方法
KR102523264B1 (ko) 음원 앨범에 수록된 qr 인식을 통한 음원 콘텐츠의 nft 발행 및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JP682049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695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undertaking a transaction in a three-dimensional (3d) interactive environment
US20230390645A1 (en) Player-created tasks with persistent community score in a virtual environment
KR20220135721A (ko) 아이템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