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467B1 -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467B1
KR102487467B1 KR1020220089387A KR20220089387A KR102487467B1 KR 102487467 B1 KR102487467 B1 KR 102487467B1 KR 1020220089387 A KR1020220089387 A KR 1020220089387A KR 20220089387 A KR20220089387 A KR 20220089387A KR 102487467 B1 KR102487467 B1 KR 102487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module
owner
digital asset
do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포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포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포넷
Priority to KR102022008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NFT를 생성하도록 요청하고, 생성된 NFT를 이용하여 기부하도록 요청하는 NFT 소유자 단말;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NFT 발행 플랫폼으로 NFT 의 발행을 요청하여 NFT를 생성하고 기부하는 NFT 기부 서버; 상기 NFT 기부 서버로부터 기부를 받는 NFT 기부 수혜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NFT 기부 서버는, 상기 생성된 NFT를 NFT 거래 플랫폼으로 거래를 요청하여 암호화폐를 입금받고, 상기 입금받은 암호화폐를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NFT 기부 수혜자 단말로 기부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NFT 지갑 주소를 개인 단말뿐만 아니라 NFT 서버에도 보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개인 단말의 분실이나 파손 등으로 인해 NFT를 영원히 분실하게 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ONATING NFT USING NFT SERVER ADDRESS}
본 발명은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NFT(non-fungible token)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NFT는 디지털 자산에 대해 고유성을 부여하여 하나의 독립적이고 고유한 객체로서의 의미를 갖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사진 촬영 이미지, 음원, 계약서 등의 다양한 디지털 자산을 NFT로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크래프터 스페이스(krafter space)나 솔라나(solana)와 같은 NFT 발행 플랫폼에서 개인들의 디지털 자산을 NFT로 발행하여 제공하고 있다. NFT가 저장된 블록체인망의 NFT 주소를 개인 지갑에 제공하며, 개인들은 이를 보유하거나 매도하거나 임대할 수 있다.
그런데, NFT가 개인 지갑에서만 저장되고 이용되기 때문에 개인 단말을 분실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는 자신이 소유한 NFT를 찾을 수 없게 되어 영원히 분실하게 될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NFT는 나름의 고유성을 가지고 있어야 의미가 있는데, 현재의 NFT 발행 플랫폼에서는 NFT 소유자 자신의 디지털 자산이 아닌 인터넷 상에 게시된 이미지나 음원 등의 디지털 자산을 NFT로 발행하는 데 아무런 제한이 없다.
물론, 디지털 자산 자체에 의미가 없고 자산 가치가 없으면 거래 시장에서 외면받겠지만, 이러한 발행의 제한이 없는 상황에서는 NFT 거래 시장에서 신뢰성을 가지기 어렵고 거래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2400524 등록특허공보 10-2407172
본 발명의 목적은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은,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NFT를 생성하도록 요청하고, 생성된 NFT를 이용하여 기부하도록 요청하는 NFT 소유자 단말;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NFT 발행 플랫폼으로 NFT 의 발행을 요청하여 NFT를 생성하고 기부하는 NFT 기부 서버; 상기 NFT 기부 서버로부터 기부를 받는 NFT 기부 수혜자 단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FT 기부 서버는, 상기 생성된 NFT를 NFT 거래 플랫폼으로 거래를 요청하여 암호화폐를 입금받고, 상기 입금받은 암호화폐를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NFT 기부 수혜자 단말로 기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방법은, NFT 소유자 단말이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NFT를 생성하도록 NFT 기부 서버로 요청하고, 기부 대상을NFT 판매 수익 또는 상기 디지털 자산 중 하나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NFT 기부 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NFT를 발행하도록 NFT 발행 플랫폼에 요청하고, 상기 NFT 발행 플랫폼으로부터 해당 NFT 지갑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NFT 기부 서버가 상기 수신된 NFT 지갑 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NFT 소유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NFT를 NFT 기부 수혜자 단말로 기부하도록 상기 NFT 기부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NFT 기부 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NFT 기부 수혜자 단말로 기부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FT 기부 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NFT 기부 수혜자 단말로 기부하는 단계는, NFT 거래 플랫폼으로 상기 NFT의 거래를 요청하여 암호화폐를 입금받고, 상기 입금받은 암호화폐를 상기 NFT 기부 수혜자 단말로 기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NFT 지갑 주소를 개인 단말뿐만 아니라 NFT 서버에도 보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개인 단말의 분실이나 파손 등으로 인해 NFT를 영원히 분실하게 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NFT 기부 서버를 통해 개인의 디지털 자산을 NFT로 발행하고 이를 다시 거래하여 기부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갖춤으로써, 개인의 다양한 디지털 자산을 온라인 상에서 암호화폐로 환금하여 편리하게 기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개인의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NFT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자산 소유자를 공인 인증 서버를 통해 인증하고,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부가한 채로 NFT를 생성하고, 아울러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 데이터가 부가된 디지털 자산을 저작권 등록한 후 웹 공시 및 웹봇 자동 검색을 통해 동일한 디지털 자산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디지털 자산의 저작권자 이력을 조회하여 인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디지털 자산이 NFT 소유자의 자산인지 여부와 디지털 자산에 대한 NFT 소유자의 저작권 보유 여부를 쉽게 확인하고, NFT 자체의 자산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은 NFT 소유자 단말(100), NFT 기부 서버(200), NFT 기부 수혜자 단말(300), NFT 소유자 인증 서버(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NFT 소유자 단말(100)은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NFT를 생성하도록 NFT 기부 서버(200)에 요청하고, 그 생성된 NFT를 이용하여 NFT 기부 수혜자 단말(300)로 기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NFT 소유자 단말(100)은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101), NFT 기부 제어 모듈(102), NFT 메타데이터 부가 모듈(103), 디지털 자산 소유자 인증 모듈(104),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부가 모듈(105), 디지털 자산 저작권 등록 요청 모듈(106), 디지털 자산 송신 모듈(107), NFT 생성 요청 송신 모듈(108), NFT 지갑 주소 수신 모듈(109), NFT 지갑 주소 단말 저장 모듈(110), NFT 기부 요청 송신 모듈(111), 암호화폐 단말 지갑(112), NFT 발행/관리 수수료 지급 모듈(1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101)은 NFT 소유자의 디지털 자산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은 사진 촬영 이미지/동영상, 음원, 계약서, 소설 등 다양하게 있을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NFT 기부 제어 모듈(102)은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101)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NFT를 생성하고, 생성된 NFT를 이용하여 NFT 기부 수혜자 단말(300)로 기부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NFT 메타데이터 부가 모듈(103)은 NFT 기부 제어 모듈(102)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101)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에 NFT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지털 자산에 부가하고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101)에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NFT 메타데이터는 NFT 소유자가 자신의 디지털 자산에 대해 작성한 설명이나 기타 문구 등이 될 수 있다. NFT 메타데이터는 현재의 NFT 구조 상에서 함께 블록체인 원장에 분산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소유자 인증 모듈(104)은 NFT 기부 제어 모듈(102)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공인 인증 서버(10)를 통해 디지털 자산의 디지털 자산 소유자를 인증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의 공인 인증 서버(10)는 디지털 자산 소유자의 휴대폰 번호나 주민번호, 신용카드 번호 등을 통해 인증을 하는 기존의 구성이 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부가 모듈(105)은 NFT 기부 제어 모듈(102)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자산 소유자 인증 모듈(104)의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지털 자산에 부가하여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101)에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먼저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부가 모듈(105)은 공인 인증 서버(10)의 인증에 의해 디지털 자산 소유자를 인증한 후,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여 디지털 자산 소유자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부가 모듈(105)은 디지털 자산 소유자의 서명이라든가 기타 고유의 이모티콘 파일 등을 이용하여 이러한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지털 자산에 부가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부가 모듈(105)은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NFT 발행 플랫폼(20)은 암호화된 상태의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가 부가된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NFT를 발행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저작권 등록 요청 모듈(106)은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101)에 업데이트된 디지털 자산에 대해 저작권 등록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송신 모듈(107)은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101)에 업데이트된 디지털 자산을 NFT 기부 제어 모듈(102)의 제어에 따라 NFT 기부 서버(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생성 요청 송신 모듈(108)은 디지털 자산 송신 모듈(107)에 의해 송신되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NFT 생성 요청을 NFT 기부 제어 모듈(102)의 제어에 따라 NFT 기부 서버(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지갑 주소 수신 모듈(109)은 NFT 생성 요청 송신 모듈(108)의 NFT 생성 요청에 대응되는 NFT의 NFT 지갑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지갑 주소 단말 저장 모듈(110)은 NFT 지갑 주소 수신 모듈(109)에서 수신된 NFT 지갑 주소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기부 요청 송신 모듈(111)은 NFT 기부 제어 모듈(102)의 제어에 따라 NFT 지갑 주소의 NFT를 이용한 NFT 기부 요청을 NFT 기부 서버(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호화폐 단말 지갑(112)은 NFT 소유자의 암호화페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발행/관리 수수료 지급 모듈(113)은 NFT 기부 서버(200)로부터 NFT 발행/관리 수수료를 요청받고, 요청받은 NFT 발행/관리 수수료를 암호화폐 단말 지갑(112)에 저장된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NFT 기부 서버(200)로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기부 서버(200)는 NFT 소유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NFT 발행 플랫폼(20)으로 NFT 의 발행을 요청하여 NFT의 생성을 제어하고, 제어에 의해 생성된 NFT를 NFT 거래 플랫폼(30)으로 거래를 요청하여 암호화폐를 입금받고, NFT 소유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입금받은 암호화폐를 기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NFT 소유자 단말(100)을 디지털 자산에 대한 기부 방법을 NFT 판매 수익으로 할 것인지, 로열티를 포함하는 전체 디지털 자산으로 할 것인지 선택하여 기부하게 한다.
NFT 기부 서버(200)는 디지털 자산 수신 모듈(201), 디지털 자산 서버 저장 모듈(202), NFT 생성 요청 수신 모듈(203), NFT 생성 제어 모듈(204), NFT 발행 주문 모듈(205), NFT 지갑 주소 수신 모듈(206), NFT 지갑 주소 서버 저장 모듈(207), NFT 지갑 주소 확인 모듈(208), NFT 지갑 주소 송신 모듈(209), NFT 발행/관리 수수료 정산 모듈(210), NFT 기부 요청 수신 모듈(211), NFT 기부 수행 모듈(212), NFT 거래 요청 모듈(213), 암호화폐 서버 지갑(21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자산 수신 모듈(201)은 NFT 소유자 단말(100)의 디지털 자산 송신 모듈(107)로부터 디지털 자산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서버 저장 모듈(202)은 디지털 자산 수신 모듈(201)에서 수신된 디지털 자산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생성 요청 수신 모듈(203)은 NFT 소유자 단말(100)의 NFT 생성 요청 송신 모듈(108)로부터 NFT 생성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생성 제어 모듈(204)은 NFT 생성 요청 수신 모듈(203)에서 수신된 NFT 생성 요청에 따라 디지털 자산 수신 모듈(201)에서 수신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NFT 생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발행 주문 모듈(205)은 NFT 생성 제어 모듈(204)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NFT 발행을 NFT 발행 플랫폼(20)에 주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지갑 주소 수신 모듈(206)은 NFT 발행 플랫폼(20)으로부터 NFT 발행 주문 모듈(205)의 주문에 따라 발행된 NFT 지갑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지갑 주소 서버 저장 모듈(207)은 NFT 지갑 주소 수신 모듈(206)에서 수신된 NFT 지갑 주소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지갑 주소 확인 모듈(208)은 NFT 지갑 주소 서버 저장 모듈(207)에 저장된 NFT의 NFT 지갑 주소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지갑 주소 송신 모듈(209)은 NFT 지갑 주소 확인 모듈(208)에서 확인된 NFT 지갑 주소를 NFT 소유자 단말(1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발행/관리 수수료 정산 모듈(210)은 NFT의 발행/관리에 대한 수수료를 산출하여 NFT 소유자 단말(100)의 NFT 발행/관리 수수료 지급 모듈(113)로 요청하고 정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기부 요청 수신 모듈(211)은 NFT 소유자 단말(100)의 NFT 기부 요청 송신 모듈(111)로부터 NFT 기부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기부 수행 모듈(212)은 NFT 기부 요청 수신 모듈(211)에서 수신된 NFT 기부 요청에 따라 NFT 기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거래 요청 모듈(213)은 NFT 기부 수행 모듈(212)에서 수행되는 NFT 기부에 연관하여 NFT의 NFT 거래를 NFT 거래 플랫폼(20)으로 요청하고, NFT에 대한 NFT 소유자의 저작권 보유 인증을 NFT 소유자 인증 서버(400)로 요청하고, NFT 거래에 대응하여 획득되는 암호화폐를 수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호화폐 서버 지갑(214)은 NFT 거래 요청 모듈(213)에서 수금된 암호화폐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NFT 기부 수행 모듈(212)은 암호화폐 서버 지갑(214)에 저장된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NFT 기부 수혜자 단말(300)로 송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기부 수혜자 단말(300)은 NFT 기부 서버(200)에서 기부하는 암호화폐를 입금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소유자 인증 서버(400)는 생성된 NFT에 대한 NFT 소유자의 디지털 자산 소유 및 저작권 보유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소유자 인증 서버(400)는 저작권 등록 수행 모듈(401),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402), 저작권자/저작물 웹 공시 모듈(403), 저작권자/저작물 웹봇 검색 모듈(404),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 제어 모듈(405), 디지털 자산 대비 모듈(407),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복호화 모듈(307), 저작권자 이력 조회 모듈(408),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 모듈(409),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서 생성/제공 모듈(4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저작권 등록 수행 모듈(401)은 NFT 소유자 단말(100)의 디지털 자산 저작권 등록 요청 모듈(106)의 요청에 따라 저작권을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402)는 저작권 등록 수행 모듈(401)에서 등록되는 저작권의 저작권자/저작물이 등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작권자/저작물 웹 공시 모듈(403)은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402)에 등록된 저작권자/저작물을 웹 상에 공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작권자/저작물 웹봇 검색 모듈(404)은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402)에 등록된 저작권자/저작물을 웹 상에서 자동 검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 제어 모듈(405)은 NFT 거래 요청 모듈(213)의 저작권 보유 인증의 요청에 따라 해당 NFT에 대한 NFT 소유자의 저작권 보유를 인증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복호화 모듈(307)은 NFT의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402)에 등록된 저작물의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를 복호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대비 모듈(407)은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 제어 모듈(405)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복호화 모듈(307)에서 복호화된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를 상호 대비하여 동일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동일한 경우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402)에 등록된 저작물과 상기 NFT를 상호 대비하여 동일성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의 동일성 판단 과정을 거침으로써, 거래 중인 NFT가 이미 등록된 저작물과 동일한 디지털 자산의 NFT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게 된다.
저작권자 이력 조회 모듈(408)은 디지털 자산 대비 모듈(407)의 판단 결과 저작물과 NFT가 동일한 경우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402)에 등록된 저작권자/저작물의 저작권자 이력을 조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작자는 불변이지만, 저작재산권자는 저작권을 양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에, 저작권자의 이력을 조회하여 현재의 저작재산권자와 NFT 소유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통해 NFT 소유자의 현재 저작권 보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 모듈(409)은 저작권자/저작물 웹 공시 모듈(403)의 웹 공시에 따른 이의신청 여부, 저작권자/저작물 웹봇 검색 모듈(404)의 자동 검색 결과, 디지털 자산 대비 모듈(407)의 대비 결과,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복호화 모듈(307)의 복호화 결과 및 저작권자 이력 조회 모듈(408)의 조회 결과를 자동 분석하여 NFT 소유자의 NFT에 대한 저작권 보유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서 생성/제공 모듈(410)은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 모듈(409)의 인증 결과에 따라 NFT 소유자 인증서를 생성하여 NFT 거래 플랫폼(30)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NFT 소유자 인증서는 거래 중인 NFT에 대한 진위를 판별하고 그 가치를 높이는 기능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NFT 소유자 단말(100)이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NFT를 생성하도록 NFT 기부 서버(200)로 요청하고, 기부 대상을NFT 판매 수익 또는 상기 디지털 자산 중 하나로 선택한다(S101).
다음으로, NFT 기부 서버(200)가 요청에 따라 NFT를 발행하도록 NFT 발행 플랫폼(20)에 요청하고, NFT 발행 플랫폼(20)으로부터 해당 NFT 지갑 주소를 수신한다(S102).
다음으로, NFT 기부 서버(200)가 수신된 NFT 지갑 주소를 저장하고, NFT 소유자 단말(100)로 송신한다(S103).
다음으로, NFT 소유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NFT를 NFT 기부 수혜자 단말(300)로 기부하도록 NFT 기부 서버(400)로 요청한다(S104).
다음으로, NFT 기부 서버(400)가 요청에 따라 NFT 기부 수혜자 단말(300)로 기부한다(S105).
여기서, NFT 기부 서버(400)는 NFT 거래 플랫폼(30)으로 NFT의 거래를 요청하여 암호화폐를 입금받고, 입금받은 암호화폐를 NFT 기부 수혜자 단말(300)로 기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NFT 소유자 단말
101: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
102: NFT 기부 제어 모듈
103: NFT 메타데이터 부가 모듈
104: 디지털 자산 소유자 인증 모듈
105: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부가 모듈
106: 디지털 자산 저작권 등록 요청 모듈
107: 디지털 자산 송신 모듈
108: NFT 생성 요청 송신 모듈
109: NFT 지갑 주소 수신 모듈
110: NFT 지갑 주소 단말 저장 모듈
111: NFT 기부 요청 송신 모듈
112: 암호화폐 단말 지갑
113: NFT 발행/관리 수수료 지급 모듈
200: NFT 기부 서버
201: 디지털 자산 수신 모듈
202: 디지털 자산 서버 저장 모듈
203: NFT 생성 요청 수신 모듈
204: NFT 생성 제어 모듈
205: NFT 발행 주문 모듈
206: NFT 지갑 주소 수신 모듈
207: NFT 지갑 주소 서버 저장 모듈
208: NFT 지갑 주소 확인 모듈
209: NFT 지갑 주소 송신 모듈
210: NFT 발행/관리 수수료 정산 모듈
211: NFT 기부 요청 수신 모듈
212: NFT 기부 수행 모듈
213: NFT 거래 요청 모듈
214: 암호화폐 서버 지갑
300: NFT 기부 수혜자 단말
400: NFT 소유자 인증 서버
401: 저작권 등록 수행 모듈
402: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
403: 저작권자/저작물 웹 공시 모듈
404: 저작권자/저작물 웹봇 검색 모듈
405: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 제어 모듈
407: 디지털 자산 대비 모듈
307: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복호화 모듈
408: 저작권자 이력 조회 모듈
409: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 모듈
410: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서 생성/제공 모듈

Claims (4)

  1.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NFT를 생성하도록 요청하고, 생성된 NFT를 이용하여 기부하도록 요청하는 NFT 소유자 단말;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NFT 발행 플랫폼으로 NFT 의 발행을 요청하여 NFT의 생성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에 의해 생성된 NFT를 NFT 거래 플랫폼으로 거래를 요청하여 암호화폐를 입금받고,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입금받은 암호화폐를 기부하는 NFT 기부 서버;
    상기 NFT 기부 서버에서 기부하는 암호화폐를 입금받는 NFT 기부 수혜자 단말;
    상기 생성된 NFT에 대한 NFT 소유자의 디지털 자산 소유 및 저작권 보유를 인증하는 NFT 소유자 인증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자산은,
    사진 촬영 이미지/동영상, 음원, 계약서 또는 소설을 포함하고,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은,
    상기 NFT 소유자의 디지털 자산이 저장되는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
    상기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NFT를 생성하고, 생성된 NFT를 이용하여 기부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NFT 기부 제어 모듈;
    상기 NFT 기부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에 NFT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자산에 부가하고 상기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에 업데이트하는 NFT 메타데이터 부가 모듈;
    상기 NFT 기부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공인 인증 서버를 통해 상기 디지털 자산의 디지털 자산 소유자를 인증받는 디지털 자산 소유자 인증 모듈;
    상기 NFT 기부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 소유자 인증 모듈의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자산에 부가하여 상기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에 업데이트하는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부가 모듈;
    상기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에 업데이트된 디지털 자산에 대해 저작권 등록을 요청하는 디지털 자산 저작권 등록 요청 모듈;
    상기 디지털 자산 단말 저장 모듈에 업데이트된 디지털 자산을 상기 NFT 기부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NFT 기부 서버로 송신하는 디지털 자산 송신 모듈;
    상기 디지털 자산 송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NFT 생성 요청을 상기 NFT 기부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NFT 기부 서버로 송신하는 NFT 생성 요청 송신 모듈;
    상기 NFT 생성 요청 송신 모듈의 NFT 생성 요청에 대응되는 NFT의 NFT 지갑 주소를 수신하는 NFT 지갑 주소 수신 모듈;
    상기 NFT 지갑 주소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NFT 지갑 주소가 저장되는 NFT 지갑 주소 단말 저장 모듈;
    상기 NFT 기부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NFT 지갑 주소의 NFT를 이용한 NFT 기부 요청을 상기 NFT 기부 서버로 송신하는 NFT 기부 요청 송신 모듈;
    상기 NFT 소유자의 암호화페가 저장되는 암호화폐 단말 지갑;
    상기 NFT 기부 서버로부터 NFT 발행/관리 수수료를 요청받고, 요청받은 NFT 발행/관리 수수료를 상기 암호화폐 단말 지갑에 저장된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NFT 기부 서버로 지급하는NFT 발행/관리 수수료 지급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NFT 기부 서버는,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송신 모듈로부터 디지털 자산을 수신하는 디지털 자산 수신 모듈;
    상기 디지털 자산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디지털 자산이 저장되는 디지털 자산 서버 저장 모듈;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의 NFT 생성 요청 송신 모듈로부터 NFT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NFT 생성 요청 수신 모듈;
    상기 NFT 생성 요청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NFT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NFT 생성을 제어하는 NFT 생성 제어 모듈;
    상기 NFT 생성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NFT 발행을 상기 NFT 발행 플랫폼에 주문하는 NFT 발행 주문 모듈;
    상기 NFT 발행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NFT 발행 주문 모듈의 주문에 따라 발행된 NFT 지갑 주소를 수신하는 NFT 지갑 주소 수신 모듈;
    상기 NFT 지갑 주소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NFT 지갑 주소가 저장되는 NFT 지갑 주소 서버 저장 모듈;
    상기 NFT 지갑 주소 서버 저장 모듈에 저장된 NFT의 NFT 지갑 주소를 확인하는 NFT 지갑 주소 확인 모듈;
    상기 NFT 지갑 주소 확인 모듈에서 확인된 NFT 지갑 주소를 상기 NFT 소유자 단말로 송신하는 NFT 지갑 주소 송신 모듈;
    상기 NFT의 발행/관리에 대한 수수료를 산출하여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의 NFT 발행/관리 수수료 지급 모듈로 요청하고 정산하는 NFT 발행/관리 수수료 정산 모듈;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의 NFT 기부 요청 송신 모듈로부터 NFT 기부 요청을 수신하는 NFT 기부 요청 수신 모듈;
    상기 NFT 기부 요청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NFT 기부 요청에 따라 NFT 기부를 수행하는 NFT 기부 수행 모듈;
    상기 NFT 기부 수행 모듈에서 수행되는 NFT 기부에 연관하여 상기 NFT의 NFT 거래를 상기 NFT 거래 플랫폼으로 요청하고,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소유자의 저작권 보유 인증을 상기 NFT 소유자 인증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NFT 거래에 대응하여 획득되는 암호화폐를 수금하는 NFT 거래 요청 모듈;
    상기 NFT 거래 요청 모듈에서 수금된 암호화폐가 저장되는 암호화폐 서버 지갑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NFT 기부 수행 모듈은,
    상기 암호화폐 서버 지갑에 저장된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NFT 기부 수혜자 단말로 송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NFT 소유자 인증 서버는,
    상기 NFT 소유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저작권 등록 요청 모듈의 요청에 따라 저작권을 등록하는 저작권 등록 수행 모듈;
    상기 저작권 등록 수행 모듈에서 등록되는 저작권의 저작권자/저작물이 등록되는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
    상기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저작권자/저작물을 웹 상에 공시하는 저작권자/저작물 웹 공시 모듈;
    상기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저작권자/저작물을 웹 상에서 자동 검색하는 저작권자/저작물 웹봇 검색 모듈;
    상기 NFT 기부 수행 모듈에서 수행되는 NFT 기부에 연관하여 상기 NFT의 NFT 거래를 상기 NFT 거래 플랫폼으로 요청하고, 상기 NFT에 대한 상기 NFT 소유자의 저작권 보유 인증을 상기 NFT 소유자 인증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NFT 거래에 대응하여 획득되는 암호화폐를 수금하는 NFT 거래 요청 모듈;
    상기 NFT 거래 요청 모듈의 저작권 보유 인증의 요청에 따라 해당 NFT에 대한 상기 NFT 소유자의 저작권 보유를 인증하도록 제어하는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 제어 모듈;
    상기 NFT의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저작물의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복호화 모듈;
    상기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복호화 모듈에서 복호화된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를 상호 대비하여 동일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저작물과 상기 NFT를 상호 대비하여 동일성을 판단하는 디지털 자산 대비 모듈;
    상기 디지털 자산 대비 모듈의 판단 결과 상기 저작물과 상기 NFT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저작권자/저작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저작권자/저작물의 저작권자 이력을 조회하고, 조회 결과를 통해 상기 NFT 소유자와 현재 저작권자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저작권자 이력 조회 모듈;
    상기 저작권자/저작물 웹 공시 모듈의 웹 공시에 따른 이의신청 여부, 상기 저작권자/저작물 웹봇 검색 모듈의 자동 검색 결과, 상기 디지털 자산 소유자 메타데이터 복호화 모듈의 복호화 결과, 상기 디지털 자산 대비 모듈의 대비 결과 및 상기 저작권자 이력 조회 모듈의 조회를 통한 상기 NFT 소유자와 현재 저작권자의 일치 여부의 확인 결과를 자동 분석하여 상기 NFT 소유자의 상기 NFT에 대한 저작권 보유를 인증하는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 모듈;
    상기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 모듈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NFT 소유자 인증서를 생성하여 상기 NFT 거래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NFT 소유자 저작권 보유 인증서 생성/제공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89387A 2022-07-20 2022-07-20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 KR10248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87A KR102487467B1 (ko) 2022-07-20 2022-07-20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87A KR102487467B1 (ko) 2022-07-20 2022-07-20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467B1 true KR102487467B1 (ko) 2023-01-11

Family

ID=8489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387A KR102487467B1 (ko) 2022-07-20 2022-07-20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726B1 (ko) * 2023-04-05 2023-10-25 주식회사 이포넷 자동 기부 신뢰도 부여에 기반한 블록체인 기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197B1 (ko) * 2017-03-07 2017-11-06 유한회사 엘민벤처스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 화폐를 포함하는 자산을 이용한 기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1114A (ko) * 2019-04-15 2020-10-2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부 대상에 제한 없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기부 서버 및 기부 방법
KR20210023363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소셜공감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 화폐를 포함하는 자산을 이용한 기부 시스템
KR102400524B1 (ko) 2022-02-24 2022-05-19 김태원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nft에 대한 위변조를 감지하는 위변조 감지 방법
KR20220068687A (ko) * 2020-11-19 2022-05-26 엄정현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KR102407172B1 (ko) 2021-02-26 2022-06-10 연진욱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197B1 (ko) * 2017-03-07 2017-11-06 유한회사 엘민벤처스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 화폐를 포함하는 자산을 이용한 기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1114A (ko) * 2019-04-15 2020-10-2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부 대상에 제한 없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기부 서버 및 기부 방법
KR20210023363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소셜공감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 화폐를 포함하는 자산을 이용한 기부 시스템
KR20220068687A (ko) * 2020-11-19 2022-05-26 엄정현 블록체인을 활용한 vr 자산 고유번호 부여 및 거래 시스템
KR102407172B1 (ko) 2021-02-26 2022-06-10 연진욱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
KR102400524B1 (ko) 2022-02-24 2022-05-19 김태원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nft에 대한 위변조를 감지하는 위변조 감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726B1 (ko) * 2023-04-05 2023-10-25 주식회사 이포넷 자동 기부 신뢰도 부여에 기반한 블록체인 기부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1610B2 (en) Public ledger authentication system
JP6928748B2 (ja) 暗号化統合プラットフォーム
US20230237447A1 (en) Blockchain-based exchange with tokenisation
US20220084013A1 (en) Identity management, smart contract generator, and blockchain mediat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11102279B2 (en) System for external validation of private-to-public transition protocols
US113084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secure transfer of entities on a blockchain
CN107330692B (zh) 数字货币的流通方法和装置
KR20200106130A (ko) 블록체인 내의 스마트 계약에 기초하여 거래 활동의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9246626A1 (en) Decentralized identity verification platforms
WO20190838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ISK MANAGEMENT ASSOCIATED WITH A PATENT
US20160335629A1 (en) Rights transfer and verification
US11188907B1 (en) ACH authorization validation using public blockchains
KR20160136415A (ko) 가상 카드 값들을 사용하여 거래들을 수행하는 방법
US11580551B2 (en) Risk determination enabled crypto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U2022204696A1 (en) Scalable distributed ledger system, transaction privacy and combating fraud, theft and loss
US202002507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ent Risk
KR20210059165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술작품 저작권 p2p 거래시스템
KR102487467B1 (ko) Nft 서버 주소를 이용한 nft 기부 시스템 및 방법
CN112561407A (zh) 基于区块链的资产管理方法、系统及装置
KR10231457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관리 방법
JP2019521442A (ja) 支払い主体の拡張を促進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102059175B1 (ko) 암호 화폐 지갑 기반의 암호 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N112970234A (zh) 账户断言
KR20200037469A (ko) 공개키를 이용하여 직접금융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중계하는 방법
US20210233169A1 (en) Block chain-based cryptocurrency trading brokerage server and trading brokerage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price fluctuation and preventing change of ownership due to h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