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144A - 자가 항체에 대한 회피율 또는 활성이 증가된 adamts13 변이체 - Google Patents

자가 항체에 대한 회피율 또는 활성이 증가된 adamts13 변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144A
KR20220068144A KR1020210142438A KR20210142438A KR20220068144A KR 20220068144 A KR20220068144 A KR 20220068144A KR 1020210142438 A KR1020210142438 A KR 1020210142438A KR 20210142438 A KR20210142438 A KR 20210142438A KR 20220068144 A KR20220068144 A KR 20220068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e
adamts13
leu
gly
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자
황성호
곽희천
최가희
김수용
김유영
이용민
이채목
신선혜
권영은
조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녹십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녹십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녹십자
Publication of KR2022006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C12N9/50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 C12N9/64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animal tissue
    • C12N9/6421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 C12N9/6489Metalloendopeptidases (3.4.24)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7New or modified breeds of vertebrates
    • A01K67/0275Genetically modified vertebrates, e.g. transg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86Metalloendopeptidases (3.4.24), e.g. collagen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4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C12N9/50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 C12N9/64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animal tissu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4Metalloendopeptidases (3.4.24)
    • C12Y304/24087ADAMTS13 endopeptidase (3.4.24.87)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enzymes or isoenzy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54Immunoglobul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17/00Genetically modified animals
    • A01K2217/07Animals genetically altered by homologous recombination
    • A01K2217/075Animals genetically altered by homologous recombination inducing loss of function, i.e. knock ou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 A01K2227/105Mur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 A01K2267/035Animal model for multifactorial dise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4Identification of a linear epitope shorter than 20 amino acid residues or of a conformational epitope defined by amino acid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4Hydrolases (3)
    • G01N2333/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G01N2333/9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 G01N2333/964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 G01N2333/96402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non-mammals
    • G01N2333/9640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non-mammals in general
    • G01N2333/96408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non-mammals in general with EC number
    • G01N2333/96419Metalloendopeptidases (3.4.2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4Hydrolases (3)
    • G01N2333/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G01N2333/9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 G01N2333/964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 G01N2333/9642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 G01N2333/96427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in general
    • G01N2333/9643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in general with EC number
    • G01N2333/96486Metalloendopeptidases (3.4.2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 G01N2500/04Screening involving studying the effect of compounds C directly on molecule A (e.g. C are potential ligands for a receptor A, or potential substrates for an enzyme 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pre-existing immune complex or autoimmune disease, i.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rheumatoid arthritis, multiple sclerosis, rheumatoid factors or complement components C1-C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Cell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항체에 대한 회피율이 향상된 ADAMTS13 변이 단백질 및 이를 이용한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ADAMTS13 변이 단백질은 ADAMTS13의 주요 도메인에 높은 결합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 자가항체를 효율적으로 회피함으로써, 이러한 자가항체의 존재가 주요 병인이 되는 TTP(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등의 다양한 혈전성 질환에 대해 효율적인 치료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체내에 투여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그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DAMTS13 내에서 자가항체가 인식하는 새로운 부위를 동정함에 따라, 해당 부위 내에서 다양한 변이의 조합을 적용함으로써 자가항체의 회피율이 향상된 신규 ADAMTS13 변이체를 스크리닝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가 항체에 대한 회피율 또는 활성이 증가된 ADAMTS13 변이체 {ADAMTS13 Variants with Enhanced Escaping Rate for Autoantibodies or Increased Activity}
본 발명은 자가항체와의 결합력이 감소되거나 높은 효소 활성을 가지는 ADAMTS13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혈전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TTP)은 몸 전체의 작은 혈관에서 혈전이 형성되어 즉시 치료받지 못하면 사망에 이르는 혈전성 미세혈관 병증(thrombotic microangiopathy)에 속하는 희귀한 혈액질환이다. 발병률은 연간 100만명 당 1.5 - 6건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평균 40세의 성인과 여성에서 발병 확률이 높다(Miesbach et al., 2019). 병리학적 특징으로는 혈소판의 감소, 적혈구 감소, 헤마토크릿(hematocrit, HCT)의 증가 등이 있으며, 혈전으로 인해 신장, 심장, 뇌 등의 여러 장기에 기능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으로는 멍이 들고, 발열, 권태, 호흡곤란, 의식혼란, 두통 등이 나타난다(Hovinga et al., 2017).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은 ADAMTS13(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 with a thrombospondin type 1 motif, member 13)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선천성 ADAMTS13 기능 결핍을 야기하는 cTTP (congenital TTP)와, 후천적인 원인으로 인한 ADAMTS13 활성 감소에 의해 발생하는 aTTP(acquired TTP)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ADAMTS13의 활성이 정상 대비 10% 미만일 경우 TTP로 진단된다. aTTP의 원인으로는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 특정 약물, 루푸스(lupus)와 같은 자가면역질환, 임신 등이 관련되어 있음이 보고되었으며, 발병의 주된 기전 중 하나로서 ADAMTS13를 인식하는 자가항체로 인한 ADAMTS13 효소 활성 저해가 보고되었다(GARD program, 2018). ADAMTS13 효소는 폰빌레브란트인자(von Willebrand factor, vWF)의 큰 다량체를 작은 단위로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데, aTTP 환자에서 발견되는 항체는 ADAMTS13에 결합하여 기능을 저해함으로써 vWF가 분해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혈소판과 함께 혈전을 과다 생성하여 질환을 유발한다.
표준 치료법으로서 cTTP 환자에게는 신선동결혈장(fresh frozen plasma)의 주입을 통해 부족한 분해 효소를 넣어주는 보충요법이 이용되며, aTTP 환자의 경우는 혈장교환술(plasma exchange, PEX)을 실시하여 혈장 내 ADAMTS13 중화항체를 제거하여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TTP 환자의 경우 면역억제제(prednisolone, corticosteroid 등)를 병용 투여하여 치료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재발을 방지하며, 중화항체의 생성을 감소시키도록 B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리툭시맙(rituximab)을 사용하기도 한다. 혈장교환술의 횟수는 질환의 심각도 및 증상의 진행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혈소판 수를 정상화하는 데에 여러 번의 혈장교환이 요구된다. 현재의 치료법은 반복된 혈장교환의 번거로움과 면역 억제제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오는 감염에 대한 취약성의 증가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TTP에 대한 종래 치료법의 한계점 극복을 위해 환자의 자가항체와의 결합을 효율적으로 회피하여 자가항체의 존재 하에서도 그 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조합 ADAMTS13 단백질의 변이체를 제작하였으며 TTP 질환 마우스 모델에서 효력 평가를 통해 TTP 질환에 대한 효율적인 치료제로써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특허문헌 1. 미국등록특허공보 제9,109,217호
본 발명자들은 대부분이 난치성 희귀질환에 속하는 다양한 ADAMTS13 기능이상 질환들에 대한 효과적이고 근원적인 치료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ADAMTS13의 자가항체가 인식하는 핵심 영역을 동정하고, 이들 영역 내 일부 아미노산에 치환을 가할 경우 자가항체와의 결합이 차단되고 vWF 분해 및 혈전 억제 활성이 유지됨으로써,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TTP)를 비롯하여 과도한 혈전 형성을 원인으로 하는 다양한 질환에 대해 효율적인 치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DAMTS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DAMTS13 자가항체에 대한 회피율이 향상된 ADAMTS13 변이체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목록 제1서열의 85, 93, 126, 135, 278, 282, 308, 314, 317, 334, 364, 376, 413, 427, 452, 465, 567, 578, 585, 589, 607, 608, 609, 612, 618, 624, 630, 635, 643, 650, 651, 654, 655, 656, 658, 664 및 672번째 잔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ADAMTS13(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 with a thrombospondin type 1 motif, member 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대부분이 난치성 희귀질환에 속하는 다양한 ADAMTS13 기능이상 질환들에 대한 효과적이고 근원적인 치료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ADAMTS13의 자가항체가 인식하는 핵심 영역을 동정하고, 이들 영역 내 일부 아미노산에 치환을 가할 경우 자가항체와의 결합이 차단되고 vWF 분해 및 혈전 억제 활성이 유지됨으로써,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TTP)을 비롯하여 과도한 혈전 형성을 원인으로 하는 다양한 질환에 대해 효율적인 치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단백질"은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아미노산 잔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선형의 분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기능적 일부”는 전장 단백질에서 일부 아미노산 잔기가 삭제된 절편으로서 그 본연의 생물학적 활성 및 기능을 유지하는 전장 단백질의 유사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열목록 제1서열은 1427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ADAMTS13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이에, 본 발명의 ADAMTS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은 전장(1427a.a) ADAMTS13 단백질 또는 75-685번 영역을 포함하는 이의 일부 절편 내에 상기 나열된 변이가 도입된 ADAMTS13 변이체일 수 있다. 75-685번 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절편은 예를 들어 1-685 (685 a.a) 또는 75-685 (611 a.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ADAMTS13 단백질 및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이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인 서열목록 제1서열은 상기 서열과 실질적인 동일성(substantial identity)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도 포함한다. 실질적인 동일성이란,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된 서열을 분석할 시, 최소 70%의 상동성, 구체적으로는 최소 80%의 상동성,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소 90%의 상동성, 가장 구체적으로는 최소 95%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자가 항체(autoantibody)”는 항원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가변 도메인을 포함하여 해당 항원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면역글로불린 단백질의 하나로써, 개체 자신의 면역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어 개체 자신의 단백질을 인식하고 표적화하는 항체를 의미한다. 자가항체의 존재는 해당 자가항체에 의해 특이적으로 인식되는 단백질의 고유 기능 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저하 또는 상실을 야기하므로,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ADAMTS13 변이 단백질은 다음 위치에서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각 변이 단백질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 85 및 317번째 잔기; 612번째 잔기; 282, 465 및 672번째 잔기 중 둘 이상; 635번째 잔기; 452 및 612번째 잔기; 278, 334 및 427번째 잔기 중 둘 이상; 618번째 잔기; 135번째 잔기; 126, 567 및 651번째 잔기 중 둘 이상; 413번째 잔기; 334번째 잔기; 314번째 잔기; 93, 364 및 376번째 잔기 중 둘 이상; 308번째 잔기; 656번째 잔기; 607번째 잔기; 612 및 624번째 잔기; 589번째 잔기; 650 및 656번째 잔기; 643번째 잔기; 585 및 658번째 잔기; 630, 654 및 664번째 잔기 중 둘 이상; 589, 608, 609, 624 및 655번째 잔기 중 넷 이상; 578번째 잔기; 585번째 잔기; 314 및 635번째 잔기; 및 314 및 612번째 잔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적용된 변이 위치 중 상기 85번째 잔기는 Phe로, 93번째 잔기는 Val으로, 126번째 잔기는 Met으로, 135번째 잔기는 Ile으로, 278번째 잔기는 Ile으로, 282번째 잔기는 Ala으로, 308번째 잔기는 Lys으로, 314번째 잔기는 Thr으로, 317번째 잔기는 His으로, 334번째 잔기는 Thr 또는 Val으로, 364번째 잔기는 Arg으로, 376번째 잔기는 Asp로, 413번째 잔기는 Asp으로, 427번째 잔기는 Asn으로, 452번째 잔기는 Ile으로, 465번째 잔기는 Asp으로, 567번째 잔기는 Ser으로, 578번째 잔기는 Leu으로, 585번째 잔기는 Asn 또는 Met으로, 589번째 잔기는 Gln으로, 607번째 잔기는 Arg으로, 608번째 잔기는 Met으로, 609번째 잔기는 Leu으로, 612번째 잔기는 Phe 또는 Tyr으로, 618번째 잔기는 Ser으로, 624번째 잔기는 Asp 또는 Cys으로, 630번째 잔기는 Leu으로, 635번째 잔기는 Val으로, 643번째 잔기는 Phe으로, 650번째 잔기는 His으로, 651번째 잔기는 Asp으로, 654번째 잔기는 Gly으로, 655번째 잔기는 Val으로, 656번째 잔기는 Arg 또는 His으로, 658번째 잔기는 His으로, 664번째 잔기는 Asn으로, 672번째 잔기는 Val으로 각각 치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ADAMTS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 및 (b) 상기 (a)에 접합된 IgG4 면역글로불린의 Fc 영역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발굴된 ADAMTS13 변이 단백질에 IgG4 면역글로불린 유래의 Fc 영역을 접합시킬 경우, 고유의 vWF 절단 활성 및 중화항체 회피 활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생체 내 안정성이 크게 증가하며, 특히 ADAMTS13의 C-말단 일부가 제거된 개방형(open form) 절편들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불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Fc 영역은 서열목록 제2서열의 22, 24 및 26번째 잔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22번째 잔기는 Tyr, 24번째 잔기는 Thr, 26번째 잔기는 Glu으로 각각 치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열목록 제2서열은 IgG4 면역글로불린 유래의 Fc 영역(217a.a)이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ADAMTS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에 22, 24 및 26번째 잔기가 각각 Tyr, Thr 및 Glu으로 치환된 IgG4 면역글로불린 유래의 Fc 영역[IgG4 (YTE)]을 융합시킬 경우 혈중 반감기가 극대화되어 투여 후 생리 활성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융합 단백질은 상기 (a)와 (b) 사이에 IgG1 면역글로불린의 힌지(hinge) 영역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gG1 면역글로불린 유래의 힌지(hinge) 영역은 서열목록 제3서열(15a.a)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ADAMTS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 또는 상술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뉴클레오타이드”는 DNA(gDNA 및 cDNA) 그리고 RNA 분자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가지며, 핵산 분자에서 기본 구성 단위인 뉴클레오타이드는 자연의 뉴클레오타이드 뿐만 아니라, 당 또는 염기 부위가 변형된 유사체 (analogue)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 또는 약물 생산 등의 목적으로 발현시키고자 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첨부한 서열목록에 기재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뉴클레오타이드에서의 변이는 단백질에서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 것도 있는데, 이러한 핵산은 기능적으로 균등한 코돈, 코돈의 축퇴성에 의해 동일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코돈, 또는 생물학적으로 균등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코돈을 가지는 핵산분자를 모두 포괄한다.
상술한 생물학적 균등 활성을 갖는 변이를 고려한다면, 본 발명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목록에 기재된 서열과 실질적인 동일성(substantial identity)을 나타내는 서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의 실질적인 동일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된 서열을 분석한 경우에, 최소 70%의 상동성, 구체적으로는 80%의 상동성, 보다 구체적으로는 90%의 상동성, 가장 구체적으로는 95%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서열을 의미한다. 서열비교를 위한 얼라인먼트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얼라인먼트에 대한 다양한 방법 및 알고리즘은 Huang et al., Comp. Appl. BioSci. 8:155-65(1992) and Pearson et al., Meth. Mol. Biol. 24:307-31(1994)에 개시되어 있다. NCBI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BLAST)(Altschul et al., J. Mol. Biol. 215:403-10(1990))은 NCBI(National Center for Biological Information) 등에서 접근 가능하며, 인터넷 상에서 blastp, blastn, blastx, tblastn 및 tblastx와 같은 서열 분석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뉴클레오타이드는 상술한 본 발명의 변이 ADAMTS13을 유전자 형태로 대상체에 전달하는 유전자 치료제 형태로 이용되거나, 또는 ADAMTS13 변이 단백질을 숙주세포로부터 발현시켜 재조합 단백질 의약 형태로 생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발현시키다”는 대상체가 외래(exogenous) 유전자를 발현하게 하거나 또는 내인성(endogenous) 유전자의 자연적 발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전자 전달체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이를 도입함으로써 유전자가 대상체 세포 내에서 염색체외 인자로서 또는 염색체 통합 완성에 의해 복제 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어“발현”은“형질전환(transformation)”, "형질감염(transfection)" 또는 "형질도입(transduction)"과 동일한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유전자 전달체(gene carrier)”는 유전자를 세포 내로 운반하는 모든 수단을 의미하며, 유전자 전달은 유전자의 세포내 침투(transduction)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조직 수준에서, 상기 용어 유전자 전달은 유전자의 확산(spread)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 시스템은 유전자 침투 시스템 및 유전자 확산 시스템으로 기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체는 도입하고자 하는 유전자를 자체적으로 발현되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구조체인 발현카세트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통상 상기 유전자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프로모터, 전사종결신호, 리보좀 결합부위 및 번역종결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자체 복제가 가능한 발현 벡터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전자 전달체는 통상적인 유전자 삽입에 이용되는 모든 유전자 전달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관련 바이러스(Adeno-associated viruses: AAV), 레트로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배시니아 바이러스, 리포좀 및 니오좀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ADAMTS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 상술한 융합 단백질; 또는 이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ADAMTS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 상술한 융합 단백질; 또는 이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혈전성 질환”은 혈관의 미세순환계에 혈소판이 응집되면서 생성된 혈전으로 인해 혈류가 감소 또는 차단되고, 이로 인해 신장, 심장, 뇌 등의 각 기관에 허혈성 손상이 유발되는 전신 질환을 의미한다.
ADAMTS13 효소가 중화항체에 의해 활성이 억제되어 폰빌레란트인자(vWF)를 제대로 분해하지 못할 경우, 과도한 혈소판 응집 및 혈전 과생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중화항체를 높은 효율로 회피하면서도 vWF 분해 활성이 유지 또는 개선된 본 발명의 ADAMTS13 변이 단백질은 다양한 혈전성 질환에 대한 효율적인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예방”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대상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치료”는 (a)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의 발전의 억제; (b)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의 경감; 또는 (c)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면 중화항체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vWF를 특이적으로 인식 및 분해하여 과도한 혈전의 생성을 차단함으로써 혈전성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이를 제거하거나 또는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자체로 이들 질환 치료의 조성물이 될 수도 있고, 혹은 다른 약리성분과 함께 투여되어 상기 질환에 대한 치료 보조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 용어“치료”또는“치료제”는“치료 보조”또는“치료 보조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투여”또는“투여하다”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체에 직접적으로 투여함으로써 대상체의 체내에서 동일한 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치료적 유효량”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고자 하는 개체에게 조성물 내의 약리성분이 치료적 또는 예방적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함유된 조성물의 함량을 의미하며, 이에“예방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대상체”는 제한없이 인간, 마우스, 래트, 기니아 피그,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원숭이, 침팬지, 비비 또는 붉은털 원숭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로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혈전성 질환은 혈전성 미세 혈관병증(thrombotic microangiopathy, TMA)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혈전성 미세 혈관병증은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TTP),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HELLP(Hemolysis, Elevated Liver enzymes, Low Platelet count), 자간전증(Preeclampsia) 및 겸상적혈구질환(sickle cell diseas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또는 겸상적혈구질환이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이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비경구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하, 경피 또는 정맥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항체 회피율이 향상된 ADAMTS13 변이체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a) 서열목록 제1서열의 85, 93, 126, 135, 278, 282, 308, 314, 317, 334, 364, 376, 413, 427, 452, 465, 567, 578, 585, 589, 607, 608, 609, 612, 618, 624, 630, 635, 643, 650, 651, 654, 655, 656, 658, 664 및 672번째 잔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또는 삭제된 ADAMTS13 변이체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제작된 ADAMTS13 변이체에 대한 자가항체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자가항체가 야생형 ADAMTS13에 대한 친화도보다 낮은 친화도로 상기 ADAMTS13 변이체에 결합할 경우, 상기 ADAMTS13 변이체는 자가항체 회피율이 향상된 ADAMTS13 변이체로 판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무작위 돌연변이법(Random mutagenesis)으로 수득한 약 800여개의 돌연변이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ADAMTS13 중화 항체와의 결합 여부를 분석한 결과, 상기 나열된 서열목록 제1서열 상의 잔기 위치가 중화항체와의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 위치에 변이를 일으킬 경우 중화 항체와의 친화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이 발견한 이들 잔기 위치를 통해 도입되는 변이의 형태 및 변이들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변이체가 도출될 수 있으며, 이들 변이체와 자가항체와의 결합 측정을 통해 자가항체의 존재에 의해 활성이 저하되지 않는 ADAMTS13 변이 효소를 선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자가항체 회피율”은 자가항체에 결합하지 않는 변이 ADAMTS13의 비율을 야생형 ADAMTS13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의미하며, 자가항체 회피율이 높음은 자가항체와의 친화도가 낮아 ADAMTS13 고유의 생물학적 활성, 예컨대 vWF의 분해 활성이 자가항체에 의해 저해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어“자가항체 회피율이 향상된 ADAMTS13 변이체”는“자가항체에 대한 친화도가 감소된 ADAMTS13 변이체”또는“자가항체에 대한 결합력이 감소된 ADAMTS13 변이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계 (a)에서 제작된 ADAMTS13 변이체와 자가항체와의 결합을 측정함으로써 후보 변이체의 자가항체 회피율을 평가할 수 있다. 자가항체와의 결합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항체를 항원(또는 이를 발현하는 세포)과 함께 배양하고, 결합하지 않은 항체를 제거(예를 들어 세척)한 뒤 결합한 항체를 이에 결합하는 표지된 항체로 검출하는 것이다. 항원과 항체의 결합은 전형적으로 항체의 상보성 결정부위(CDR) 및 항원의 에피토프를 통해 매개되며, 단백질의 무작위적이고 비-특이적 부착과 달리 항원과 가변 도메인의 특정 3차원 구조가 이들 두 구조물이 정확하게 결합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발굴된 자가항체와의 핵심 반응 부위에 적절한 형태의 변이가 적절한 조합으로 이루어진다면 자가항체의 결합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측정 결과, 자가항체와의 친화도 또는 결합력이 야생형 대비 감소한 후보 변이체는 자가항체 회피율이 향상된 ADAMTS13 변이체로 판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친화도의 감소”는 ADAMTS13 고유의 효소 활성이 측정 가능한 수준으로 개선될 정도로 ADAMTS13 변이체와 자가항체와의 결합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결합력의 감소”로도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야생형에 비하여 결합이 20% 이상 감소한 상태, 보다 구체적으로는 40% 이상 감소한 상태, 더욱 구체적으로는 60% 이상 감소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a)는 서열목록 제1서열의 85, 93, 126, 135, 278, 282, 308, 314, 317, 334, 376, 413, 427, 465, 567, 578, 585, 607, 609, 612, 624, 630, 643, 650, 654, 655, 656, 658 및 672번째 잔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치환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자가항체에 대한 회피율이 향상된 ADAMTS13 변이 단백질 및 이를 이용한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ADAMTS13 변이 단백질은 ADAMTS13의 주요 도메인에 높은 결합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 자가항체를 효율적으로 회피함으로써, 이러한 자가항체의 존재가 주요 병인이 되는 TTP(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등의 다양한 혈전성 질환에 대해 효율적인 치료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체내에 투여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그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c) 본 발명은 또한 ADAMTS13 내에서 자가항체가 인식하는 새로운 부위를 동정함에 따라, 해당 부위 내에서 다양한 변이의 조합을 적용함으로써 자가항체의 회피율이 향상된 신규 ADAMTS13 변이체를 스크리닝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무작위 돌연변이법(random mutagenesis)을 이용하여 인간 ADAMTS13 변이체 라이브러리를 제작하고 이의 변이율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1a는 무작위 돌연변이법에 의한 라이브러리 제작 과정의 모식도이다. MDTCS 부분 혹은 S 도메인에 EP PCR(에러-유발 PCR)을 통해 무작위 돌연변이를 유도하여 수용체 벡터에 삽입 후 콜로닝한 다음, E.coli에 형질전환하여 콜로니를 확보하였다. 콜로니에서 DNA를 추출하여 생어(Sanger) 시퀀싱 분석을 통해 변이된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도 1b는 시퀀싱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MDTCS 혹은 S 도메인을 표적으로 하여 제작된 라이브러리에서의 총 변이율과 변이 형태를 각각 확인하였다.
도 2는 중화항체와 결합하는 ADAMTS13의 각 도메인의 결합부위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2a는 ADAMTS13의 발현율 혹은 중화 항체의 결합 부위 확인을 위해 제작한, 다양한 도메인이 조합된 6종의 ADAMTS13 절편(혹은 야생형 전장 ADAMTS13)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각 ADAMTS13 도메인에서 발현하는 단백질을 이용하여 단백질 A-세파로스와 각 중화항체를 섞어 면역침강한 뒤 항-V5 항체로 웨스턴 블롯팅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준다. Input은 도메인별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보여준다. 도 2c는 ADAMTS13 중화항체 결합 부위의 모식도로 Ab 4-16 항체는 S 도메인, Ab 67 항체는 D 도메인, Ab 66 항체는 T2-T8 도메인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함을 도식화한 그림이다.
도 3은 항-ADAMTS13 항체를 회피하거나 야생형 ADAMTS13보다 우수한 활성을 가지는 변이체의 선별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야생형 클론과 ADAMTS13 변이체에서 Ab 4-16 항체 혹은 Ab 67 항체에 대한 회피율과 ADAMTS13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대활성은 야생형 클론 및 변이체의 비역가를 확인하여 다음수식에 대입함으로써 산출하였다: 상대활성 (%) = 변이체 비역가 / 야생형 ADAMTS13 비역가 X 100
도 4는 12종의 전장 ADAMTS13 변이체의 단일 중화항체 회피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12종의 전장 ADAMTS13 변이체에서 중화항체 7종(Ab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67)에 대한 항체 회피율을 측정하였다. 중화항체 회피율은 WT ADAMTS13 수치와 비교하여 상대적 결합 수준을 확인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대 회피율을 다음 수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회피율(%) = (1- 변이체 결합능/WT ADAMTS13 결합능) x 100
도 5는 Fc 부착 MDTCS 절편 변이체를 발현하는 배양액 조건에서의 단일 중화항체 회피력을 확인한 결과이다. 선정된 12종 변이체를 MDTCS 절편화하여 Fc를 부착한 변이체와 선별된 변이 아미노산 잔기를 조합하여 2개의 아미노산 변이를 갖는 DM1, DM2 변이 2종을 포함한 총 14종의 변이체가 발현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단일 중화항체 8종(Ab3-01, Ab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67)의 중화항체 회피율과 ADAMTS13 상대 활성을 측정하였다. 회피율(%)=(1- 변이체 결합능/결합능) x 100; 상대활성(%)=변이체 비역가/WT ADAMTS13 비역가 x 100
도 6은 Fc 부착 MDTCS 절편 변이체를 발현하는 배양액 조건에서의 혼합 중화항체 회피력을 확인한 결과이다. 대조군인 MDTCS-Fc와 12종의 후보 변이체를 발현하는 배양액 4nM에 동일 비율로 혼합된 9종의 중화항체(Ab3-01, Ab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66, Ab67)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각 후보 변이체의 잔존 활성을 다음 수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잔존활성(%) = A ÷ B x 100 (A: 혼합 중화항체 조건에서의 활성, B: 중화항체 처리하지 않은 조건에서의 활성)
도 7은 Fc 부착 MDTCS 절편 변이체 배양액과 정제액 조건에서의 단일 중화항체 회피력을 확인한 결과이다. 12종의 변이체(1C03, 2B01, 2B02, 3B05, 4E11, 4H07, 5G08, 7A02, 8D01, 8D05, DM1, DM2)가 발현된 배양액 혹은 Phytip system으로 정제한 정제액을 이용하여 단일 중화항체 8종(Ab3-01, Ab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67)에 대한 중화항체 회피율과 상대 활성을 측정하였다(도 7a 및 7b). 해당 정제액의 농도는 Fc ELISA를 통해 확인하였다. 회피율(%)=(1- 변이체 결합능/MDTCS-Fc 결합능) x 100, 상대활성 (%) = 변이체 비역가/ MDTCS-Fc 비역가 x 100. 파란색 바(bar)는 정제된 변이 단백질을, 회색 바는 발현된 변이 단백질의 중앙값을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Fc 부착 MDTCS 절편 변이체의 배양액과 정제액 조건에서의 혼합 중화항체 회피력을 확인한 결과이다. 대조군인 MDTCS-Fc와 12종의 후보 변이체를 발현하는 배양액 혹은 정제액 4 nM에 동일 비율로 혼합된 8종의 중화항체(Ab3-01, Ab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67)를 혼합하여 반응 시킨 후, 각 후보 변이체의 잔존활성을 측정하였다. 잔존 활성은 아래 수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잔존활성 (%) = A ÷ B x 100 (A: 혼합 중화항체 조건에서의 활성, B: 중화항체 처리하지 않은 조건에서의 활성)
도 9는 Fc 부착 MDTCS 절편 변이체의 약동학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MDTCS 혹은 Fc(IgG1-YTE)가 부착 되어있는 MDTCS 및 4개 최종 후보 변이체(1C03, 5C09, 7A02, DM2) 절편 단백질을 마우스에 꼬리 정맥에 투여한 후 시간 별로 혈장을 확보하였다. 각 물질의 비역가를 기준으로 160 IU/kg가 되도록 투여하였고 활성 어세이를 통해 각 시간별로 확보한 혈장 내 잔존하는 물질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도 10은 IgG1-YTE 부착 MDTCS 절편 변이체를 발현하는 배양액 조건에서의 단일 중화항체에 대한 회피력을 확인한 결과이다. 선정된 5종 변이체를 MDTCS 절편화하여 IgG1-YTE를 부착한 변이체가 발현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단일 중화항체 8종 (Ab3-01, Ab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67)의 중화항체 회피율과 상대 활성을 측정하였다(도 10a 및 10b). 회피율(%)=(1-변이체 결합능/MDTCS-IgG1-YTE 결합능) x 100, 상대활성(%) = 변이체 비역가/MDTCS-IgG1-YTE 비역가 x 100.
도 11은 IgG1-YTE 부착 MDTCS 절편 변이체를 발현하는 배양액 조건에서의 혼합 중화항체에 대한 회피력을 확인한 결과이다. 대조군인 MDTCS-IgG1-YTE와 5종의 후보 변이체를 발현하는 배양액 4nM에 동일 비율로 혼합된 9종의 중화항체 (Ab3-01, Ab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66, Ab67)를 혼합하여 반응 시킨 후, 각 후보 변이체의 잔존활성을 다음 수식으로 산출하였다: 잔존활성(%)= A ÷ B x 100 (A: 혼합 중화항체 조건에서의 활성, B: 중화항체 처리하지 않은 조건에서의 활성).
도 12는 IgG1-YTE 부착 MDTCS 절편 변이체의 정제액 조건에서의 혼합 중화항체에 대한 회피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대조군인 MDTCS-IgG1-YTE와 5종의 후보 변이체를 정제액 4nM에 동일 비율로 혼합된 9종의 중화항체 (Ab3-01, Ab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66, Ab67)를 혼합하여 반응 시킨 후, 각 후보 변이체의 잔존활성을 다음 수식으로 산출하였다: 잔존활성(%) = A ÷ B x 100 (A: 혼합 중화항체 조건에서의 활성, B: 중화항체 처리하지 않은 조건에서의 활성).
도 13은 aTTP-mimic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중화항체 회피율 시험절차에 대한 모식도(도 13a) 및 변이체 후보물질들의 용량 별 ADAMTS13 잔존 활성(도 13b)을 각각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14는 TTP-mimic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가장 우수한 중화항체 회피율을 보인 DM2-IgG1-YTE의 농도별 ADAMTS13 잔존활성 유지력과 임상학적 증상의 시험절차에 대한 모식도(도 14a), 혈소판과 LDH 수치의 개선 및 ADAMTS13 활성(도 14b) 및 임상 증상 관찰 결과(도 14c)를 각각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15는 cTTP 마우스 모델에 DM2-IgG1-YTE를 투여하여 혈액학적 그리고 임상학적 증상의 개선 여부와 인간 ADAMTS13 활성 회복 정도의 시험절차에 대한 모식도(도 15a) 및 혈소판과 LDH 수치의 개선 및 ADAMTS13 활성 회복을 관찰한 결과(도 15b)를 각각 보여주는 그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방법
무작위 돌연변이법(Random mutagenesis)을 통한 인간 ADAMTS13 변이체 라이브러리의 제작
인간 ADAMTS13 야생형이 포함된 발현 벡터와 돌연변이가 일어난 MDTCS (Metalloprotease, Disintegrin-like, Thrombospondin type 1(TSP1) repeat, Cys-rich, 및 Spacer) 혹은 S(Spacer) 도메인 영역의 클로닝을 위한 두 개의 수용체 벡터를 확보하였다. 하기 표 1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하여 ADAMTS13의 MDTCS 혹은 S 도메인 영역에 대한 에러-유발 PCR(GeneMorph Ⅱ Random Mutagenesis Kit, Agilent Technologies)을 수행하였고, 증폭된 MDTCS 혹은 S 도메인에 대한 PCR 산물은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을 하여 용출하였다. Golden Gate 클로닝 방법을 이용하여 용출된 PCR 산물과 수용체 벡터를 라이게이션한 후, Escherichia coli(E. coli)에 형질전환하여 무작위 돌연변이생성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각 라이브러리 당 384개의 E.coli 콜로니로부터 형질주입 등급의 플라스미드 DNA를 추출(QIAGEN 플라스미드 Plus 96 Miniprep kit, QIAGEN)하여 총 768개의 돌연변이된 ADAMTS13 변이체를 확보하였다. 해당 DNA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아미노산 변이의 종류와 위치를 확인하였다.
에러-유발 PCR을 위한 프라이머의 염기 서열
프라이머 서열 (5’→ 3’)
MDTCS-정방향 CACCGGTCTCNTAGAGCTGCTGGCGGCAT
MDTCS-역방향 GGCTGGTCTCNCCCAAGCCTGCCGAGGCTTA
S-정방향 CACCGGTCTCATAGAAGAGAATACGTGACCTTCCTGAC
S-역방향 GGCTGGTCTCACCCAGTATTCCTCGCCGTATCTTCTGTA
인간 ADAMTS13 변이체의 일시적 발현
ADAMTS13 변이체의 단백질 발현을 위해 Expi293FTMcell(ThermoFisher, catno. A14527)를 3 x 106 cells/mL이 되도록 Expi293 Expression Medium에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첫 번째 튜브에는 플라스미드 DNA 2.5μg을 opti-MEM I Reduced Serum Medium (Thermo Fisher, cat no. 31985-070)에 희석하여 최종 부피가 152.5μl가 되도록 준비하고, 다른 튜브에는 8μL의 ExpiFectamine 293과 opti-MEM I Reduced Serum Medium 140 μL를 혼합하여 5분간 정치하였다. 두 번째 튜브의 혼합액에 희석된 플라스미드 DNA 152.5μl를 넣고 20 분간 정치하였다. 24 deep 웰 plate에 준비한 세포를 2.5 mL씩 분주하였다. 앞서 준비한 ExpiFectamine 293과 플라스미스 DNA 혼합액을 세포에 분주하고 37℃, CO2 환경의 인큐베이터에서 225 rpm으로 진탕하면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15μL의 ExpiFectamine 형질주입 인핸서 1과 150 μL의 인핸서 2를 넣어 5 일간 배양하였다. 6일 째, 배양액을 300 rcf, 5분 간 스핀-다운하여 상층액을 수집하고 변이체 선별을 위한 분석에 이용하였다.
인간 및 마우스 ADAMTS13 중화항체의 제작
서로 다른 도메인에 결합하는 ADAMTS13 중화항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재조합 인간 전장 ADAMTS13(R&D systems, cat no. 6156-AD)를 항원으로 Bio-Rad사의 HuCAL(Human Combinatorial Antibody Library) PLATINUM® 파아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인간 ADAMTS13과 결합력이 우수한 16종의 Fab를 선별하였으며, 이중 MDTCS 부분과 C-말단 부분에 각각 결합하는 5종의 항체(Ab60, Ab61, Ab64, Ab65, Ab66, Ab67)를 전장 항체로 제작하였다. aTTP 환자 혈장에서 S 도메인 특이적으로 결합한다고 알려져 있는 Ab3-01, Ab 4-16, Ab 4-20도 전장 항체로 제작하여 변이체 선별 분석에 이용하였다.
인간 ADAMTS13 변이체의 발현 농도 측정
일시적 발현을 통해 확보한 배양액 내에 존재하는 ADAMTS13 변이체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ADAMTS13 항체(Ab 66, GC녹십자 제작 항체)를 이용한 ELISA을 수행하였다. 96 웰 EIA/RIA high bind 마이크로플레이트 (Corning, 3590)에 PBS(Lonza, 17-516Q)를 이용하여 2 μg/mL로 희석한 항-ADAMTS13 항체를 웰당 100μL를 분주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세척 완충액(PBS 내 0.1v/v% tween 20)을 이용하여 3회 세척하였다. 블로킹 완충액(PBS 내 1w/v% 소혈청 알부민)을 웰당 300μL씩 분주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표준 시료로써 재조합 인간 ADAMTS13(R&D systems, 6156-AD)을 이용하였고, 측정하고자 하는 배양액은 16배 혹은 32배가 되도록 블로킹 완충액으로 희석하여 웰당 100 μL씩 분주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500rpm으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3회 세척 후, 항-6X His tag 항체(Abcam, cat no. Ab1187)를 1:10,000으로 희석하여 웰당 100 μL 분주한 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500 rpm으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6회 세척 후, TMB(3,3',5,5'-테트라메틸벤지딘)을 웰당 100μL씩 분주하고 상온에서 10분 간 반응하였다. 이후 stop 완충액(H2SO4)을 웰당 100μL씩 분주하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를 표준 시료 반응 곡선에 대입하고 농도를 산출 후, 희석 배수를 보정하여 최종 농도를 확정하였다.
Fc 융합 MDTCS 절편 및 변이체의 발현 농도 측정 (Fc ELISA)
96 웰 EIA/RIA high bind 마이크로플레이트(Corning, cat no. 3590)에 PBS (Lonza, cat no. 17-516Q)를 이용하여 2μg/mL로 희석한 고트 항-인간 IgG Fc (Abcam, cat no. A3803)를 웰당 100μL를 분주하여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후 세척 완충액(PBS 내 0.1v/v% tween20)을 이용하여 3 회 세척하였다. 블로킹 완충액(PBS 내 1w/v% 소혈청 알부민)을 웰당 300μL씩 분주하여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반응한 후,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표준 시료로써 농도를 확보한 Fc 융합 MDTCS 절편 단백질을 이용하였고, 측정하고자 하는 검체는 표준 범위에 포함되도록 블로킹 완충액으로 희석하였다. 이후, 웰당 100μL씩 분주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400 rpm으로 교반하여 반응하였다. 3회 세척 후, 항-인간 IgG (Fc 특이적) 퍼옥시다제 항체(Sigma-aldrich, cat no. A0170)를 1:10,000으로 희석하여 웰당 100μL 분주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400rpm으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6회 세척 후, TMB를 웰당 100μL씩 분주하고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 후 stop 완충액(0.5M H2SO4)를 웰당 100 μL씩 분주하고 450 nm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인간 ADAMTS13 변이체의 활성 측정
ADAMTS13 변이체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Technozyme ADAMTS13 활성 키트(Technoclone, cat no. 5450701)의 매뉴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GST-vWF73 기질을 웰당 100μL로 분주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한 후,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표준 시료는 키트 내 캘리브레이터를 이용하였고, 측정하고자 하는 배양액은 열-불활성화된 혈장을 이용하여 원액 혹은 3배 희석액을 웰당 100μL를 넣어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컨쥬게이트를 웰당 100μL를 넣어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하였으며 다시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TMB 컬러 시약을 웰당 100μL를 넣어 30분 간 반응한 후, 100μL의 정지 완충액을 넣어 반응을 중지하였으며 450 nm ELISA 리더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역가(IU/mg) 산출을 위하여 활성 수치(IU/mL)에 발현 결과(μg/mL)를 적용하였으며, 상대활성(%)은 야생형(WT) ADAMTS13 및 변이체의 비역가를 이용하여 아래 수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상대활성(%) = 변이체 비역가 / 야생형 ADAMTS13 비역가 X 100
인간 ADAMTS13 중화항체 회피율 확인
ADAMTS13 중화항체에 대한 각 ADAMTS13 변이체의 회피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이체와 중화항체의 회피율을 측정하고자 S 도메인과 MDTCS 부분에 결합하는 8 종의 항-ADAMTS13 항체(Ab3-01, Ab 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 67, GC녹십자 제작 항체)를 이용하여 ELISA를 수행하였다. 96-웰 EIA/RIA high bind 마이크로플레이트(Corning, cat no. 3590)에 PBS(Lonza, cat no. 17-516Q)를 이용하여 1 - 2μg/mL로 희석한 항-ADAMTS13 항체를 웰당 100μL를 분주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이후, 세척 완충액(PBS 내 0.1% tween 20)로 3회 세척하였다. 웰당 300μL의 블로킹 완충액(PBS 내 1% BSA)을 넣어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였으며, 이후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표준 시료로서 재조합 인간 ADAMTS13(R&D systems, cat no. 6156-AD)을 이용하였고, 측정하고자 하는 배양액은 25 - 50ng/mL이 되도록 블로킹 완충액으로 희석하여 웰당 100μL 분주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500 rpm으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3회 세척 후, 항-6X His tag 항체(Abcam, cat no. Ab1187)를 1:10,000으로 희석하여 웰당 100μL로 분주하여 다시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500 rpm으로 교반하여 반응하였다. 6회 세척 후, TMB를 웰당 100μL를 분주하고 상온에서 10 - 20분 간 반응시켰다. 이후 stop 완충액(H2SO4)을 웰당 100μL를 분주하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중화항체 회피율은 야생형 ADAMTS13 수치와 비교하여 상대적 결합 수준을 확인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대 회피율을 아래 수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회피율(%) = (1-변이체 결합능/야생형 ADAMTS13 결합능) X 100
MDTCS 및 Fc (IgG1-YTE) 접합 MDTCS 변이체 제작 및 단백질 생산
MDTCS 혹은 MDTCS 변이체 절편에 IgG1-YTE(hinge-Fc)를 접합한 발현 벡터를 제작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유전자 합성(ThermoFisher Scientific, GeneArt® Gene Synthesis)을 진행하였다. pMSID2 벡터(GC녹십자 제작)에 각각의 표 2의 합성 유전자를 삽입하여 발현 벡터를 제작하였다. CHO DG44(S) 세포를 3 x 105 cells/mL로 CDM4CHO(GE, cat no.SH30557.02) 배지를 이용하여 예상 필요량에 맞추어 계대 배양하였다. 형질주입 수행 당일, 살아있는 3 x 107개 세포를 수집하고 OptiPro™ SFM(Gibco, cat no.12309019)으로 현탁 후 최종 용적이 1 x 107 cells/mL(3 mL)가 되도록 희석하여 125 mL 진탕 플라스크에 넣고 CO2 진탕 배양기(37℃, 5% CO2)에서 140 rpm으로 배양하였다. 30μg의 발현 벡터를 OptiPro™ SFM를 이용하여 총 용적이 1.5 mL가 되도록 섞어주었다(튜브 1). Transporter 5™ PEI (Polyscience, cat no.26008-5) 90μL와 OptiPro™ SFM 1410 μL를 섞어주었다(tube 2). 앞에서 준비한 튜브 2를 튜브 1에 넣어 부드럽게 섞어준 후, 상온에서 20 - 30분 간 반응시켰다. 3mL의 DNA:PEI 복합체를 미리 준비해 놓은 3 mL의 CHO DG44(S) 세포에 한 방울씩 떨어뜨려주었다. CO2 진탕 배양기(37℃, 5% CO2)에서 140 rpm으로 배양하고 4시간 후에 6 mL의 CHO DG44(S)/DNA:PEI 복합체에 24mL의 CDM4CHO 배지를 넣고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 후 세포수 및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뒤 15 x 105 cells가 되도록 원심분리 튜브에 담고 1200 rpm으로 5분 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MTX 20 nM이 포함된 CDM4CHO 배지 30mL로 현탁한 다음 진탕 플라스크에 접종한 뒤 배양하였다. 세포생존율이 90% 이상 회복 될 때까지 3 - 4일 마다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최종 과발현 세포주는 대량 배양하여 단백질 정제에 사용하였다. MDTCS 단백질 정제는 준비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제거한 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재질의 멸균 필터(Sartobran P, 5235307H7-OO, Sartorius)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배양액은 농축하여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Q Sepharose Fast Flow, GE), 멀티 모드 크로마토그래피(Hydroxyapatite, Bio-Rad) 및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Blue Sepharose, GE)를 이용하여 정제를 수행하였으며, MDTCS 변이체 IgG1-YTE 접합 단백질은 과발현 세포주 배양액의 원심분리를 통해 세포를 제거 후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재질의 항균 필터(Sartobran P, 5235307H7-OO, Sartorius)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Protein A, MabSelect SuRe, GE healthcare)와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정제를 수행하였다. 정제된 단백질은 순도 95%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MDTCS-IgG1-YTE 융합체 아미노산 서열
힌지 IgG1
Fc(CH2-CH3) IgG4 (YTE)
아미노산 서열 MHQRHPRARCPPLCVAGILACGFLLGCWGPSHFQQSCLQALEPQAVSSYLSPGAPLKGRPPSPGFQRQRQRQRRAAGGILHLELLVAVGPDVFQAHQEDTERYVLTNLNIGAELLRDPSLGAQFRVHLVKMVILTEPEGAPNITANLTSSLLSVCGWSQTINPEDDTDPGHADLVLYITRFDLELPDGNRQVRGVTQLGGACSPTWSCLITEDTGFDLGVTIAHEIGHSFGLEHDGAPGSGCGPSGHVMASDGAAPRAGLAWSPCSRRQLLSLLSAGRARCVWDPPRPQPGSAGHPPDAQPGLYYSANEQCRVAFGPKAVACTFAREHLDMCQALSCHTDPLDQSSCSRLLVPLLDGTECGVEKWCSKGRCRSLVELTPIAAVHGRWSSWGPRSPCSRSCGGGVVTRRRQCNNPRPAFGGRACVGADLQAEMCNTQACEKTQLEFMSQQCARTDGQPLRSSPGGASFYHWGAAVPHSQGDALCRHMCRAIGESFIMKRGDSFLDGTRCMPSGPREDGTLSLCVSGSCRTFGCDGRMDSQQVWDRCQVCGGDNSTCSPRKGSFTAGRAREYVTFLTVTPNLTSVYIANHRPLFTHLAVRIGGRYVVAGKMSISPNTTYPSLLEDGRVEYRVALTEDRLPRLEEIRIWGPLQEDADIQVYRRYGEEYGNLTRPDITFTYFQPKPRQAEPKSCDKTHTCPPCP APEFLGGPSVFLFPPKPKDTLYITREPEVTCVVVDVSQEDPEVQFNWYVDGVEVHNAKTKPREEQF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GLPSSIEKTISKAKGQPREPQVYTLPPSQ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RLTVDKSRWQEGNVFSCSVMHEALHNHYTQKSLSLSLGK
*검은색:MDTCS / 밑줄:힌지 / 이탤릭:Fc
MDTCS-hinge-Fc 융합체의 약동학 확인
MDTCS-IgG1-YTE(hinge-Fc) 융합체의 혈액 내 지속성과 약물동태학 파라미터를 비교하기 위해 각 군당 44 또는 52마리(4마리/채혈 시간)의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MDTCS(대조군) 및 MDTCS 변이체에 IgG1-YTE가 융합된 물질 3종(시험군) 160 IU/kg를 꼬리정맥에 주사한 후, 0.083, 0.25, 0.5, 1, 2, 4, 8, 12, 24, 48, 72, 96, 168 시간에 채혈하였다. 항응고제인 트리-시트르산나트륨이 10% 들어가 있는 실린지를 통해 심장에서 혈액 500 μL를 채혈하였고, 2000 x g로 20분 간 4℃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 분리한 후, 혈장을 확보하였다. 혈장 내 존재하는 MDTCS 변이체-hinge-Fc의 활성은 Technozyme ADAMTS13 activity kit(Technoclone, cat no. 5450701)의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한 44 마리의 마우스에서 확보한 혈장을 대상으로 활성 어세이를 수행하여 마우스 혈장 내에 존재하는 마우스 ADAMTS13 활성의 평균값 (0.0772 IU/mL)을 확보하였다. 해당 수치를 PK 연구 검체의 활성 측정값에서 제거함으로써 마우스 혈장에 내재되어 있는 마우스 ADAMTS13 활성을 배제하고 투여 물질의 활성 결과만을 확보할 수 있었다. 데이터는 단순병합법 및 WINNONLIN를 이용하여 비-구획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T 1/2은 약물의 혈중 반감기를, AUCInf는 0 시간부터 무한대 시간까지의 활성 그래프 아래쪽 영역의 면적을, MRT(mean residence time)는 약물 분자의 평균적인 체내 체류시간을 의미한다.
중화항체의 ADAMTS13 결합 부위 확인
전장 야생형 또는 C-말단 도메인들이 순차적으로 삭제된 6종의 ADAMTS13의 핵산 서열을 pcDNA3.1 V5-His B 벡터(Invitrogen, cat no. V81020)에 클로닝하였다. 제작한 DNA는 앞서 언급한 일시적 발현 방법을 통해 얻어진 배양액을 이용하여 단백질 A-세파로스 4B를 첨가하여 면역침강 후 웨스턴 블롯팅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 대조군 혈장(HemosIL, cat no. 00020003110)에 30 nM의 ADAMTS13 중화항체 3종(Ab4-16, Ab66, Ab67)을 넣어주었다. 중화항체가 포함된 혈장 10 mL와 50 ng의 ADAMTS13 각 절편 단백질이 포함된 배양액을 함께 넣고 결합 완충액(50 mM Tris-HCl pH 8.0, 150 mM NaCl, 1% Triton X-100, 1% BSA) 500μL를 첨가한 후, 4℃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단백질 A-세파로스 4B 레진(Thermo Fisher Scientific, cat no. 101041)을 50% 슬러리로 20μL 첨가하여 4℃에서 4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레진을 845 rcf로 1 분간 원심분리하여 모은 후, 세척 완충액(50 mM Tris-HCl pH 8.0, 150 mM NaCl, 1% Triton X-100)으로 3회 세척하였다. 레진에 결합된 단백질은 10% b-머캅토에탄올이 포함된 SDS-시료 완충액 (Novex, cat no. NP0007)을 통해 용출하여 95℃에서 5분간 가열한 후, SDS-PAGE를 수행하고, 항-V5 항체(Invitrogen, cat no. R960-25)로 면역블롯팅하였다.
aTTP mimic 질환 마우스 모델에서의 변이체의 PoC 평가
aTTP mimic 질환 마우스 모델은 ADAMTS13 KO 마우스에 인간 ADAMTS13 중화항체를 처리하여 확립하였다. ADAMTS13 KO 마우스는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하여 ADAMTS13 유전자 1번과 6번 엑손 사이에 대량 결실과 프레임쉬프트 변이를 유도하여 마크로젠에 의뢰 제작하였다. 12-25 주령의 ADAMTS13 KO 마우스에 같은 비율로 혼합한 ADAMTS13 중화항체 9종(Ab3-01, Ab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66, Ab67)을 0.54 mg/kg로 정맥 투여하고, 15분 후 대조물질(MDTCS-Fc) 혹은 변이체 5종(1C03, 2B02, 5C09, 7A02, DM2)을 5000 IU/kg 혹은 7000 IU/kg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투여 후 6시간째 혈액을 채취하여 ADAMTS13 활성을 측정하였다.
aTTP 모델 마우스에서 보이는 ADAMTS13 활성의 회복과 혈액학적 특성이 DM2 변이체 투여에 의해 개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12-25 주령의 ADAMTS13 KO 마우스에 같은 비율로 혼합한 ADAMTS13 중화항체 9종(Ab3-01, Ab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66, Ab67)을 0.54 mg/kg로 정맥 투여하였다. 15분 후 대조물질(MDTCS-Fc) 혹은 변이체 DM2를 5000 IU/kg, 7000 IU/kg 혹은 14,000 IU/kg용량으로 투여하였다. 중화항체 투여를 기준으로 30분 후에 재조합 인간 vWF (VEYVONDI)를 2000 IU/kg로 투여한 후 6 시간째 700μL의 혈액을 채취하여 300μL는 EDTA 튜브(BD Medical, REF365974)에 담고, 300μL는 SST 튜브(BD Medical, REF365967)에 담아 상온에 30분간 정치한 후 4℃에서 3,000 rpm의 조건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나머지 혈액은 시트르산나트륨과 9:1(혈액 : 시트르산나트륨) 비율로 섞은 후 혈장을 분리하여 혈장 내 인간 ADAMTS13 잔존활성을 분석하는데 이용하였다. EDTA 튜브의 전혈은 혈구 분석기(ADVIA 2120i, Siemens)를 이용해 혈소판(PLT) 등의 일반 혈액검사를 진행하고, SST 튜브에 담아 분리한 혈청은 혈액 생화학적 분석기(Hitachi, 7180)를 이용해 젖산 탈수소효소(LDH)를 측정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Turkey 검정에 의한 일원 ANOVA 검정을 이용하였다.
cTTP 질환 마우스 모델에서의 변이체의 PoC 평가
cTTP 질환 마우스 모델은 ADAMTS13 KO 마우스를 이용하여 확립하였다. 12-25 주령의 ADAMTS13 KO 마우스에 비이클 혹은 DM2 변이체를 20, 60, 180, 360 IU/kg 용량으로 정맥투여하고, 15분 후 재조합 인간 vWF (VEYVONDI)를 2000 IU/kg로 투여한 뒤 6 시간째 혈액을 채취하여 전혈은 혈소판 수치 측정을 포함한 일반 혈액 검사를 진행하였고, 혈청은 LDH 수치 측정, 혈장은 인간 ADAMTS13의 활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무작위 돌연변이법을 이용한 인간 ADAMTS13 변이체 제작
aTTP 환자가 가지고 있는 ADAMTS13 중화항체의 경우, ADAMTS13의 여러 도메인 중 MDTCS와 결합하는 비중이 97%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매우 높으며, S 도메인이 가장 주된 결합 부위라고 보고되었다(Tersteeg et al, 2016; Klaus et al, 2004; Leken et al, 2005). 이를 토대로 MDTCS 부분 혹은 S 도메인을 표적으로 변이가 발생할 수 있도록 에러-유발 PCR를 수행하여 각각의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도 1a). 각 라이브러리에서 384개의 ADAMTS13 변이체에 대한 DNA를 확보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MDTCS 부분의 라이브러리에서 전체 돌연변이율은 72.9%이며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침묵 돌연변이 혹은 비-돌연변이 23.7%, 공(empty) 벡터 혹은 불량 서열(poor sequence) 3.1%, 넌센스 돌연변이 8.9%, 구조이동(frameshift) 돌연변이 4.9%, 미스센스 돌연변이 59.1%의 비율을 보였다(도 1b). S 도메인의 라이브러리의 경우 전체 돌연변이율은 50.8%를 보였으며, 침묵 돌연변이 혹은 비-돌연변이 44.5%, 공벡터 혹은 불량서열 4.7%, 넌센스 돌연변이 2.3%, 구조이동 돌연변이 3.1%, 미스센스 돌연변이 45.3%을 차지하였다(도 1b). 위의 돌연변이 중 침묵 혹은 비-돌연변이, 공벡터 혹은 불량 서열, 넌센스 돌연변이를 보인 변이체를 제외한 약 500여개의 변이체를 이용하여 선별 실험을 진행하였다.
ADAMTS13 중화항체의 제작 및 결합 부위 확인
MDTCS 부분 혹은 S 도메인에 돌연변이를 갖는 변이체가 ADAMTS13의 중화항체를 회피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인간 ADAMTS13에 대한 서로 다른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항체에 대해 Bio-Rad사 HuCAL 시스템을 이용하여 Fab을 제작하였으며, 인간 ADAMTS13에 대한 결합력이 우수한 16종을 선별하였다. 16종 중 서로 다른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확인된 Ab 66, Ab 67를 전장 형태의 항체로 생산하였다. Ab 4-16은 aTTP 환자 혈장에서 S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어 전장 형태의 항체로 생산하였으며(Casina et al., 2015), 각 항체의 결합 영역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 4-16은 S 도메인, Ab 67은 MDTCS 부분, Ab 66은 C-말단부(TSP-2 부터 TSP-8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변이체의 선별 기준 설정
변이체의 평가는 야생형 ADAMTS13 컨스트럭트와 무작위 돌연변이생성을 통해 제작된 변이체 중 야생형 ADAMTS13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비-돌연변이 혹은 침묵 돌연변이 변이체(이하 야생형 클론)에 대한 상대적 결과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총 59개의 야생형 클론에 대해 활성 및 Ab 4-16, Ab 67의 결합력을 분석하였고, 각 야생형 클론의 분석 결과를 야생형 ADAMTS13 컨스트럭트의 결과값을 기준으로 상대화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전적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야생형 ADAMTS13(59 종), 돌연변이된 ADAMTS13(304 종) 및 선정된 ADAMTS13(26 종)에 대한 Ab 4-16 및 Ab 67 항체에 대한 회피율 및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야생형 클론은 변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야생형 ADAMTS13 컨스트럭트 결과 값과 상대적인 결과 차이를 보였고, 돌연변이된 ADAMTS13(304 종) 중에서 하기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수치의 회피율 또는 상대활성 이상의 값을 갖는 26 종의 돌연변이 ADAMTS13이 선별되었다.
구체적으로, 돌연변이된 ADAMTS13의 Ab 4-16 회피율은 -29.5% 내지 33.4%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Ab 67 회피율은 -24.4% 내지 30.5%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상대활성의 경우 62.7% 내지 128.9%의 범위를 나타내었다(표 3). Three-sigma rule을 이용한 정규분포를 적용한 결과, Ab 4-16 회피율의 경우 -34.1% 내지 38.5%, Ab 67 회피율의 경우-38.5% 내지 42.3% 그리고 상대 활성의 경우 47.0% 내지 145.2%의 범위로 WT 클론은 거의 모든 결과가 이 분포도 내에 존재할 것이라 예상하였다. 따라서 변이체 선별에 있어 three-sigma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Ab 4-16 회피율이 38.5% 초과, Ab 67 회피율이 42.3% 초과 또는 상대활성이 47.0% 이상을 선정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중화항체 Ab4-16 혹은 Ab67의 회피율 및 상대활성 범위
카테고리 Ab 4-16 회피율 Ab 67 회피율 상대적 활성
최소값 -29.5% -24.4% 62.7%
최대값 33.4% 30.5% 128.9%
평균 2.2% 1.9% 96.1%
표준편차 12.1% 13.5% 16.4%
평균 - 3표준편차 -34.1% -38.5% 47.0%
평균 + 3표준편차 38.5% 42.3% 145.2%
ADAMTS13 중화항체를 회피 및 야생형 ADAMTS13 수준 이상의 활성을 갖는 변이체의 선별
WT 클론과 아미노산 변이를 갖는 변이체를 세포에 형질주입한 후, 배양액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여 발현 농도가 50 ng/mL 이상인 304개의 변이체에 대해 중화항체 결합력과 활성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아미노산 변이를 갖는 변이체는 WT 클론 대비 중화항체 결합력 혹은 상대활성에 있어 다양한 분포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중 선정 기준을 만족하는 26종의 변이체를 최종 선별하였다(도 3a 및 3b). 26종의 변이체 중 18종이 S 도메인에 대한 변이를 지닌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S 도메인에 대한 변이를 지닌 변이체 중 13종(1C03, 1G07, 2B01, 2B02, 3B05, 3G04, 5C09, 5G08, 6B12, 7A02, 8C04, 8D01, 8F01)은 Ab 4-16에 대한 회피율이 높았으며 5종(7E01, 7G08, 8C02, 8D01, 8D05)은 높은 상대 활성을 지니는 특성을 보였다(표 4). 6종의 변이체는 D 도메인에 대한 변이를 지니며 이 중 5종(46, 3A06, 4C07, 4E11, 4H07)은 Ab 67에 대한 회피율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이 밖에 M 도메인에 대한 변이를 지닌 변이체는 6종, C 도메인은 2종, T 도메인은 2종이 확인되었다. 선별한 26종의 변이체에 대하여 3회 반복 실험을 통해 결과의 반복 재현성을 확인하였으며 WT 클론 대비 우수성을 반복 시험에서도 연속적으로 유지하는 변이체 12종을 인 비트로 효력 시험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2종 변이체 중 1C03, 2B01, 2B02, 3B05, 5C09, 5G08, 7A02 및 8D01은 Ab4-16 항체 회피율이 우수하여 선정하였으며, 4C07, 4E11 그리고 4H07은 Ab67 회피율이 우수하여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8D05는 상대 활성이 우수하여 선정하였다.
선정한 12종 변이체에서 추가 중화항체에 대한 회피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스크리닝에 이용한 Ab4-16과 Ab67 항체 이외에 Ab4-20, Ab60, Ab61, Ab64 그리고 Ab65 중화항체에 대해서도 회피가 가능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12종의 변이체 중에 S 도메인에 아미노산 변이가 존재하는 9종 중 8D05를 제외한 8종의 변이체 1C03, 2B01, 2B02, 3B05, 5C09, 5G08, 7A02, 8D01의 경우 aTTP 환자가 지닌 ADAMTS13 자가항체 서열을 바탕으로 제작된 Ab4-16, Ab4-20에 대한 우수한 회피율을 보였으며, Ab60과 Ab61에 대한 회피력도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D 도메인에 아미노산 변이가 있는 변이체 4C07, 4E11, 4H07의 경우 Ab67에 대한 회피율이 우수하였다(도 4, 표 5).
Ab4-16 및 Ab67 중화항체 회피력 혹은 상대활성이 우수한 26종 변이체 선정
변이체 ID 돌연변이
적용 도메인
변이 아미노산 잔기 Ab4-16 항체의 회피율 Ab67 항체의 회피율 상대적 활성
46 M,D L85F
P317H
46.30% 53.90% 66.80%
1C03 S S612Y 48.00% 10.40% 104.60%
1G07 M,C,S V282A
A465D
D672V
41.40% 57.90% 63.80%
2B01 S D635V 87.40% 5.40% 62.20%
2B02 C,S R452I
S612Y
69.80% 15.30% 88.80%
3A06 M,D,T R278I
A334T
D427N
42.60% 58.50% 62.90%
3B05 S P618S 66.00% 48.40% 71.20%
3E01 M T135I 52.30% 36.00% 60.00%
3G04 M,S V126M
A567S
E651D
42.00% 29.40% 103.50%
3H12 T N413D -69.00% -104.60% 162.40%
4C07 D A334V -6.60% 72.30% 153.10%
4E11 D A314T 10.30% 96.40% 71.90%
4H03 M, D F93V
K364R
E376D
40.30% 37.60% 65.70%
4H07 D N308K 30.20% 64.60% 106.40%
5C09 S S612F 60.90% -10.50% 88.50%
5G08 S Q656H 41.40% 26.00% 91.90%
6B12 S G607R 43.90% -101.60% 93.80%
7A02 S S612F
G624D
57.00% -80.50% 128.50%
7E01 S R589Q -36.60% -89.70% 149.90%
7G08 S Q650H
Q656R
-25.20% -47.60% 160.70%
8C02 S I643F -19.20% -50.90% 168.10%
8C04 S I585N
Y658H
51.30% 34.80% 69.00%
8C12 S V630L
D654G
E664N
-12.00% 73.20% 48.10%
8D01 S R589Q
K608M
M609L
G624C
I655V
85.10% -78.30% 193.60%
8D05 S P578L -1.20% -5.70% 172.30%
8F01 S I585M 45.20% 34.40% 99.40%
선별된 12종의 변이체에서 단일 중화항체의 회피력 및 상대 활성 확인
변이체 ID 변이 위치 중화항체 회피율 (%) 상대적활성
Ab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67
1C03 S612Y 57.5% 59.4% 97.2% 94.7% 5.2% -11.0% 15.1% 103.7%
2B01 D635V 82.9% 88.6% 92.4% 97.4% 96.3% 8.1% 7.9% 66.8%
2B02 R452I
S612Y
65.4% 61.1% 97.3% 95.5% 0.9% -15.0% 15.1% 112.6%
3B05 P618S 51.3% -6.5% 24.9% 39.4% 19.4% -63.8% 37.4% 77.3%
4C07 A334V 4.2% -5.0% -3.3% -6.9% -2.2% -4.7% 78.5% 152.2%
4E11 A314T 16.6% -1.3% 2.7% 3.2% 5.4% -0.8% 98.9% 78.3%
4H07 N308K 27.9% 1.5% 11.0% 16.4% 17.0% 12.8% 61.3% 94.7%
5C09 S612F 64.6% 54.7% 97.3% 95.2% 7.8% -1.6% 11.8% 104.8%
5G08 Q656H 47.0% 7.2% 32.1% 46.2% 27.4% -51.4% 30.3% 95.9%
7A02 S612F
G624D
57.1% 55.4% 97.6% 95.5% 1.9% -26.2% -12.9% 125.3%
8D01 R589Q
K608M
M609L
G624C
I655V
90.1% 98.5% 95.2% 94.1% 20.0% -95.9% 7.3% 127.0%
8D05 P578L -9.3% -43.1% 3.2% 15.9% -0.9% -116.4% 11.5% 154.7%
Fc 부착 MDTCS 절편 변이체의 중화항체 회피력 확인
구조-기능적 연구에서 ADAMTS13의 총 14개의 도메인 중에 C-말단의 TSP-2부터 CUB2 도메인이 제거된 MDTCS 도메인이 ADAMTS13와 유사한 메탈로프로테아제 기능을 가지고 있어 VWF 절단 가능함이 보고 되었다(Shelat et al., 2005). 이는 전장 ADAMTS13이 아닌 MDTCS 절편만으로도 TTP 질환 치료제로써 기능을 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말단이 제거(truncated)된 형태로서 C-말단 부분에 결합하는 환자 혈장에 존재하는 중화항체를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Fc를 부착함으로써 MDTCS 절편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반감기를 연장하고자 하였다. 선정된 12종의 변이체를 MDTCS로 절편화하고, 이에 Fc를 부착한 변이체를 제작하였으며 선별된 변이 아미노산 잔기를 조합하여 2개의 아미노산 변이를 가지는 DM1, DM2 변이체를 추가로 제작하였다. 앞서 언급한 방법으로 세포에서 발현한 배양액과 정제액을 이용하여 단일 혹은 혼합 중화항체 회피율과 상대 활성을 측정하여 최종 후보물질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배양액을 이용한 단일 중화항체 8종의 결합 회피율과 상대 활성을 측정한 결과, 2B01, 3B05, 4H07, 5G08, 8D05 및 DM1의 경우 모든 중화항체를 유사한 수준으로 회피하였다(도 5, 표6). 1C03, 2B02, 5C09, 7A02, 8D01 및 DM2의 경우 3-01과 Ab60에 대한 우수한 결합 회피율을 보였다. 6종의 후보는 모두 S 도메인에 아미노산 변이를 가지고 있으며, 8D01를 제외하고는 공통적으로 612번째 아미노산에 변이를 가지고 있다. 4E11과 DM2의 경우 Ab67에 대한 결합 회피율이 우수하였으며, 모두 D 도메인인 314번째 아미노산에 변이를 가지고 있다. 상대 활성의 경우 DM1이 57.9%로 가장 낮았으며 1C03이 133.1%로 가장 높았다. 위의 2종을 제외한 모든 후보는 78.2 - 125.1%의 상대활성을 보여 MDTCS-Fc 대조군과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표 6). 9종 중화항체(Ab3-01, Ab4-16, Ab4-20, Ab60, Ab61, Ab64, Ab65, Ab66, Ab67)를 동일 비율로 혼합한 조건에서 대조군인 MDTCS-Fc 대비 4C07과 5C09를 제외한 12종의 후보 변이체의 회피력을 확인하기 위해 혼합 중화항체 7.5 nM과 각 변이체 발현 배양액 4nM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잔존활성을 측정하였다. MDTCS-Fc의 경우 3.5%의 잔존활성을 유지함을 보였고, 3B05, 4E11, 4H07, 5G08 그리고 8D05는 1.24 - 2.42%의 잔존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MDTCS-Fc 대비 잔존활성이 낮음을 보여주었다(도 6). 반면에 1C03, 2B01, 2B02, 7A02, 8D01, DM1 및 DM2의 경우 7.69-18.81%로 잔존활성이 유지되어 MDTCS-Fc 대비 혼합 중화항체에 의한 회피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6).
정제액을 이용한 후보물질 변이체의 중화항체 회피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Phytip system(protein A resin)을 이용하여 4C07과 5C09를 제외한 12종의 배양액에서 단백질 정제를 진행하였다. 해당 정제액의 농도는 Fc ELISA를 통해 확인하였고, silver 염색을 통해 목적 단백질이 용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정제액을 이용하여 단일 중화항체의 회피율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변이체가 배양액 상태에서 평가한 결과와 경향성이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7). 2B01 5G08, 8D05 그리고 DM1 변이체는 8종 모든 중화항체에 대해 24.6% 이상 중화항체를 회피함을 확인하였고, 1C03, 2B02, 7A02, 8D01 그리고 DM2의 경우는 배양액 결과와 유사하게 3-01과 Ab60에 대한 우수한 결합 회피율을 보였다. 4E11과 DM2의 경우는 배양액 결과와 동일하게 Ab67에 대한 결합 회피율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각 변이체의 상대 활성은 도 7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혼합 중화항체 조건에서의 잔존활성 측정 결과, MDTCS-Fc는 3.76%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3B05, 4E11, 4H07 그리고 8D05 변이체는 2.05 - 3.50%으로 MDTCS-Fc 대비 활성이 더 많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1C03, 2B01, 2B02, 5G08, 7A02, 8D01, DM1 그리고 DM2의 경우 6.34-12.8%의 잔존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MDTCS-Fc 대비 혼합 중화항체 회피력이 우수함을 보였다 (도 8).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대활성 또는 혼합 중화항체 회피율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C03, 2B02, 7A02, DM2와 612번 아미노산 변이를 지니고 있어 혼합 중화항체 회피력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는 5C09를 추가 연구를 위한 5종의 후보로 선정하였다.
14종 변이체를 포함한 MDTCS 절편의 단일 중화항체 회피력 및 상대활성 확인(배양액 조건)
변이체ID 변이
위치
중화항체 회피율 (%) 상대적
활성
3-01 4-16 4-20 Ab60 Ab61 Ab64 Ab65 Ab67
1C03 S612Y 100.0% 2.0% -11.0% 91.3% 3.9% -5.9% -16.9% 1.1% 133.1%
2B01 D635V 25.1% 28.2% 38.1% 38.4% 36.2% 26.8% 11.0% 24.9% 78.2%
2B02 R452I
S612Y
99.0% 1.2% 4.2% 93.5% 2.9% -2.1% -12.9% 3.1% 116.5%
3B05 P618S 35.3% 18.9% 25.5% 23.6% 19.1% 21.3% 17.9% 17.8% 92.7%
4C07 A334V -5.9% -11.2% -9.6% -11.3% -3.3% -12.4% -14.6% 14.5% 118.2%
4E11 A314T 15.3% 7.3% 11.9% 8.1% 9.0% 9.7% 8.8% 83.5% 89.7%
4H07 N308K 36.1% 20.4% 25.8% 19.5% 22.5% 25.1% 21.0% 53.8% 93.6%
5C09 S612F 100.0% 15.7% 18.7% 100.0% 12.4% 13.0% 0.5% 8.5% 108.2%
5G08 Q656H 48.7% 38.3% 41.2% 44.2% 41.9% 37.2% 27.8% 47.6% 85.4%
7A02 S612F
G624D
100.0% 7.5% 17.4% 97.5% 11.2% 7.2% -7.2% 12.3% 125.1%
8D01 R589Q
K608M
M609L
G64C
I655V
100.0% 38.9% 49.1% 71.2% 31.6% 36.3% 18.1% 41.8% 78.4%
8D05 P578L 39.6% 29.9% 38.3% 32.6% 32.4% 32.5% 21.5% 43.7% 82.1%
DM1 A314T
D635V
52.3% 48.2% 56.9% 60.6% 54.7% 51.6% 38.1% 86.8% 57.9%
DM2 A314T
S612F
100.0% 12.0% 22.0% 95.1% 21.6% 13.0% 7.3% 84.8% 97.7%
14종 변이체를 포함한 MDTCS 절편의 단일 중화항체 회피력 및 상대활성 확인(정제액 조건)
변이체 ID 변이
위치
중화항체 회피율 (%) 상대적
활성
3-01 4-16 4-20 Ab60 Ab61 Ab64 Ab65 Ab67
1C03 S612Y 100.0% 15.6% 21.1% 100.0% 16.3% 7.3% -7.1% 10.9% 81.4%
2B01 D635V 46.0% 37.8% 49.6% 65.5% 43.7% 49.7% 28.5% 28.2% 56.3%
2B02 R452I 100.0% 8.4% 15.0% 100.0% 10.3% 4.4% -9.0% 0.2% 91.1%
S612Y
3B05 P618S 25.5% 11.9% 13.3% 14.9% 10.5% 13.8% 7.9% 10.2% 83.7%
4E11 A314T 19.6% 6.2% 11.5% 15.7% 1.8% 8.8% 12.6% 84.4% 77.5%
4H07 N308K 32.6% 12.80% 16.8% 29.0% 9.4% 16.9% 17.0% 47.1% 77.5%
5G08 Q656H 89.6% 64.5% 70.2% 81.9% 57.90% 68.9% 59.0% 37.7% 18.3%
7A02 S612F
G624D
100.0% 10.4% 12.8% 100.0% 8.5% 3.4% -7.3% 14.4% 97.8%
8D01 R589Q
K608M
M609L
G64C
I655V
100.0% 29.5% 48.2% 91.7% 20.5% 17.1% 14.2% 31.5% 65.1%
8D05 P578L 51.0% 27.4% 35.1% 49.5% 27.2% 33.8% 29.9% 46.0% 56.3%
DM1 A314T
D635V
50.2% 34.0% 54.0% 66.50% 45.3% 52.9% 24.6% 85.1% 50.3%
DM2 A314T
S612F
100.0% 16.2% 24.2% 100.0% 24.0% 11.5% 11.0% 86.5% 73.1%
최종 선정된 5종 MDTCS 변이체 절편에 IgG1-YTE를 접합한 DNA를 제작하여 세포에서 발현한 배양액에서 단일 중화항체 8종의 결합 회피력과 상대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C03, 2B02, 5C09 및 7A02는 Ab3-01, Ab60에 대한 우수한 결합 회피율을 보였으며, DM2의 경우, Ab3-01, Ab60 및 Ab67에 대한 결합 회피율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10). 상대활성의 경우, 98.6-127.7%로 MDTCS-IgG1-YTE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도 10). 9종 중화항체를 동일 비율로 혼합한 조건에서 대조군인 MDTCS-IgG1-YTE 대비 5종 변이체 물질에서 회피력을 확인하기 위해 혼합 중화항체 (9종)와 각 변이체 발현 배양액을 혼합한 후,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하여 잔존활성을 측정하였다. MDTCS-IgG1-YTE의 경우 5.5%의 잔존활성을 유지함을 보였고, 5종 물질의 경우는 8.18 - 13.42%로 잔존활성이 유지되어 대조군 대비 중화항체에 의한 회피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11).
위의 5종 MDTCS 변이체 절편에 IgG1-YTE를 접합한 발현 배양액에서 Phytip system(protein A resin)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제하여 정제액에서 혼합 중화항체의 잔존활성과 비역가를 측정하였다. 해당 정제액의 농도는 Fc ELISA를 통해 확인하였고, 은 염색을 통해 목적 단백질이 용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혼합 중화항체 조건에서의 잔존활성 측정 결과, MDTCS-IgG1-YTE는 0.4%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C03, 2B02, 5C09, 7A02 그리고 DM2는 각각 5.7%, 1.7%, 8.8%, 2.6%, 7.9%의 잔존활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MDTCS-IgG1-YTE 대비 혼합항체 회피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비역가 측정결과, 7A02(10,288 IU/mg)를 제외한 4종 변이체는 대조군(18,030 IU/mg)과 유사한 19,091-22,379 IU/mg의 비역가를 보임을 확인하였다(도 12). 결과적으로 5종 변이체 절편의 IgG1-YTE 접합 물질은 대조군 대비 혼합 중화항체에서의 회피력이 우수하며, 7A02를 제외한 4종 변이체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의 비역가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Fc 부착에 의한 MDTCS 절편 변이체의 반감기 증가 여부 평가
MDTCS에 부착된 Fc(IgG1-YTE)가 실제로 반감기 증가를 가져올지를 확인하고자 마우스에서 약동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MDTCS 혹은 IgG1-YTE가 부착 되어있는 MDTCS, 및 4종 최종 후보(1C03, 5C09, 7A02, DM2) 변이체 절편 단백질을 마우스에 꼬리 정맥 투여한 후 시간 별로 혈장을 확보하였다. 각 물질의 비역가를 기준으로 160 IU/kg가 되도록 투여하였고 활성 어세이를 통하여 각 시간별로 확보한 혈장 내에 잔존하는 물질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확보한 결과는 단순병합법 (naive pooled method)으로 정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비구획 분석법 (noncompartmental analysis)으로 약동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MDTCS의 반감기는 2.898시간, MDTCS-IgG1-YTE는 11.51 시간, 그리고 각 변이체의 경우 5.184 - 9.902 시간으로 측정되었다. 대조군인 MDTCS 대비 IgG1-YTE 접합에 의해 1.79 - 3.97배로 반감기가 연장되었다. 뿐만 아니라, 물질의 생체 평균 체류 시간을 나타내는 MRT(Mean Residence Time) 수치도 IgG1-YTE 접합에 의해 7.189 - 11.67시간으로 3.743시간 대비 증가된 체류 시간을 나타내었다(표 8, 도 9). 결과적으로 IgG1-YTE 융합체가 혈중 반감기 및 생체 내 평균 지속시간을 통한 활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약동학 결과
후보물질 Parameter of PK 분석 파라미터
t1/2,terminal (hr) AUCInf (IU*hr/mL) MRT (hr)
MDTCS 2.898 5.467 3.743
MDTCS-IgG1-YTE 11.51 16.89 11.67
1C03-IgG1-YTE 6.087 12.33 8.695
5C09-IgG1-YTE 5.184 12.06 7.982
7A02-IgG1-YTE 9.902 14.49 10.35
DM2-IgG1-YTE 5.986 11.39 7.189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MDTCS 부분 혹은 S 도메인과 결합하는 ADAMTS13 중화항체를 회피하거나 혹은 야생형 ADAMTS13 이상의 활성을 보이는 26종의 신규 변이체를 발굴하였다. 이 중 중화항체 9종에 대하여 가장 회피력이 우수하거나 비교 활성이 현저히 우수한 12종을 선정하여 C-말단과 결합하는 중화항체를 효율적으로 회피하면서 vWF 절단에 필수적인 MDTCS 절편을 제작함으로써 aTTP 환자의 D, C 혹은 S 도메인과 결합하는 자가항체 회피율이 크게 향상된 변이체를 동정하였다. 본 발명의 변이체는 IgG1-YTE 접합을 통하여 혈중 반감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안정성 및 생리 활성의 지속성이 개선된, 효과적인 약리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aTTP mimic 질환 마우스 모델에서 변이체 PoC 확인 결과
확립된 aTTP-mimic 마우스 모델에서 최종 후보물질 선별을 위해 대조물질 (MDTCS-IgG1-YTE) 혹은 선정된 5종 변이체 후보물질(1C03-IgG1-YTE, 2B02-IgG1-YTE, 5C09-IgG1-YTE, 7A02-IgG1-YTE, DM2-IgG1-YTE) 투여 후, 중화항체 회피율을 평가하였다(도 13a). 5종 변이체 중 DM2-IgG1-YTE가 5,000 혹은 7,000 IU/kg의 모든 투여 용량에서 가장 높은 인간 ADAMTS13 잔존 활성을 보였다(도 13b). 가장 우수한 중화항체 회피율을 보인 DM2-IgG1-YTE 물질을 최종 선정하여 농도별로 투여하여 인간 ADAMTS13 잔존활성 유지력과 임상학적 증상의 완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도 14a), DM2 용량이 증가할 수록 임상 증상의 완화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7000 IU/kg 투여 그룹에서 MDTCS-IgG1-YTE 대비 DM2-IgG1-YTE 투여에 의해 혈소판과 LDH의 수치의 개선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4b). 혈소판 및 LDH 수치의 개선과 일치하게 인간 ADAMTS13 활성 검사 결과, 대조물질 또는 후보물질 투여 용량과 비례하는 잔존 활성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도 14b). 임상 증상 관찰 결과, aTTP-mimic 마우스 모델에서 나타나는 폐사나 혈뇨가 대조물질 또는 후보물질의 투여에 의해 완화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DM2-IgG1-YTE 처리군의 경우 모든 투여 용량에서 사망 개체 없었으며, 7000 IU/kg 이상 투여 시 혈뇨 증상을 보인 개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도 14c). 7000 IU/kg 투여 시 평균 잔존 활성은 DM2-IgG1-YTE 0.32 IU/mL로 MDTCS-IgG1-YTE 0.03 IU/mL 대비 9.6 배 더 높았으며, 앞선 임상 증상 관찰 결과의 차이는 이러한 잔존 활성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반 혈액검사, 임상화학검사 및 임상증상의 관찰 결과, MDTCS-IgG1-YTE와 DM2-IgG1-YTE의 투여는 aTTP-mimic 마우스 모델에서 나타나는 aTTP 임상 증상을 개선시키는 경향을 보였고, 이를 통해 인 비보 PoC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7000 IU/kg 투여 시, DM2-IgG1-YTE가 MDTCS-IgG1-YTE 대비 그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TTP 질환 마우스 모델에서 변이체 PoC 확인 결과
aTTP mimic 마우스 모델에서 5종 변이체 후보 중 가장 우수한 효력을 보였던 DM2-IgG1-YTE를 이용하여 cTTP 마우스 모델에서 TTP 질환에서 보이는 혈액학적 그리고 임상학적 증상의 개선 여부와 인간 ADAMTS13 활성 회복 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15a). DM2-IgG1-YTE의 투여 용량 증가에 따라 혈소판과 LDH 수치의 개선이 농도 의존적으로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DM2-IgG1-YTE 180, 360 IU/kg 투여군에서 대조군 대비 유의한 혈소판 증가가 관찰되었고, 특히 360 IU/kg 투여군의 경우 정상 수준만큼으로 회복됨을 볼 수 있었다(도 15b). LDH 수치의 경우, 180 IU/kg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LDH가 회복됨을 확인하였다(도 15b). ADAMTS13 활성의 경우, DM2-IgG1-YTE 60 IU/kg 투여군부터 평균 0.1 IU/mL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며 360 IU/kg 투여 용량에서는 평균 1.08 IU/mL의 활성이 측정되었다 (도 15b). 따라서 DM2-IgG1-YTE 변이체가 cTTP 질환 마우스에서 효과적인 임상증상의 개선과 ADAMTS13의 활성을 회복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Miesbach W, Menne J, Bommer M, Sch
Figure pat00001
nermarck U, Feldkamp T, Nitschke M, Westhoff TH, Seibert FS, Woitas R, Sousa R, Wolf M, Walzer S, Schwander B. Orphanet Journal of Rare Diseases (2019) 14:260. doi: 10.1186/s13023-019-1240-0.
2. Ercig B, Wichapong K, Reutelingsperger CPM, Vanhoorelbeke K, Voorberg J, Nicolaes GAF. Thromb Haemost. 2018;118(1):28-41. doi:10.1160/TH17-06-0404
3. Johanna A Kremer Hoving, Paul Coppo, Bernhard L
Figure pat00002
mmle, Joel L Moake, Toshiyuki Miyata, Karen Vanhoorelbeke. Nat Rev Dis Primers. 2017 Apr 6;3:17020. doi: 10.1038/nrdp.2017.20.
4.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GARD)-an NCATS Program. 10 October 2018
5. Tersteeg C, Verhenne S, Roose E, et al. Expert Rev Hematol. 2016;9(2):209-221. doi:10.1586/17474086.2016.1122515
6. Klaus C, Plaimauer B, Studt JD, et al. Blood. 2004;103(12):4514-4519. doi:10.1182/blood-2003-12-4165
7. Luken BM, Turenhout EA, Hulstein JJ, Van Mourik JA, Fijnheer R, Voorberg J. Thromb Haemost. 2005;93(2):267-274. doi:10.1160/TH04-05-0301
8. Veronica C. Casina, Wenbing Hu, Jian-Hua Mao, Rui-Nan Lu, Hayley A. Hanby, Brandy Pickens, Zhong-Yuan Kan, Woon K. Lim, Leland Mayne, Eric M. Ostertag, Stephen Kacir, Don L. Siegel, S. Walter Englander, and X. Long Zheng. Proc Natl Acad Sci U S A. 2015 Aug 4;112(31):9620-5. doi: 10.1073/pnas.1512561112.
9. Suresh G Shelat, Jihui Ai, and X. Long Zheng. Semin Thromb Hemost. 2005 Dec;31(6):659-72. doi: 10.1055/s-2005-925472.
<110> GC pharma <120> ADAMTS13 Variants with Enhanced Escaping Rate for Autoantibodies or Increased Activity <130> PDPB214198k01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2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Met His Gln Arg His Pro Arg Ala Arg Cys Pro Pro Leu Cys Val Ala 1 5 10 15 Gly Ile Leu Ala Cys Gly Phe Leu Leu Gly Cys Trp Gly Pro Ser His 20 25 30 Phe Gln Gln Ser Cys Leu Gln Ala Leu Glu Pro Gln Ala Val Ser Ser 35 40 45 Tyr Leu Ser Pro Gly Ala Pro Leu Lys Gly Arg Pro Pro Ser Pro Gly 50 55 60 Phe Gln Arg Gln Arg Gln Arg Gln Arg Arg Ala Ala Gly Gly Ile Leu 65 70 75 80 His Leu Glu Leu Leu Val Ala Val Gly Pro Asp Val Phe Gln Ala His 85 90 95 Gln Glu Asp Thr Glu Arg Tyr Val Leu Thr Asn Leu Asn Ile Gly Ala 100 105 110 Glu Leu Leu Arg Asp Pro Ser Leu Gly Ala Gln Phe Arg Val His Leu 115 120 125 Val Lys Met Val Ile Leu Thr Glu Pro Glu Gly Ala Pro Asn Ile Thr 130 135 140 Ala Asn Leu Thr Ser Ser Leu Leu Ser Val Cys Gly Trp Ser Gln Thr 145 150 155 160 Ile Asn Pro Glu Asp Asp Thr Asp Pro Gly His Ala Asp Leu Val Leu 165 170 175 Tyr Ile Thr Arg Phe Asp Leu Glu Leu Pro Asp Gly Asn Arg Gln Val 180 185 190 Arg Gly Val Thr Gln Leu Gly Gly Ala Cys Ser Pro Thr Trp Ser Cys 195 200 205 Leu Ile Thr Glu Asp Thr Gly Phe Asp Leu Gly Val Thr Ile Ala His 210 215 220 Glu Ile Gly His Ser Phe Gly Leu Glu His Asp Gly Ala Pro Gly Ser 225 230 235 240 Gly Cys Gly Pro Ser Gly His Val Met Ala Ser Asp Gly Ala Ala Pro 245 250 255 Arg Ala Gly Leu Ala Trp Ser Pro Cys Ser Arg Arg Gln Leu Leu Ser 260 265 270 Leu Leu Ser Ala Gly Arg Ala Arg Cys Val Trp Asp Pro Pro Arg Pro 275 280 285 Gln Pro Gly Ser Ala Gly His Pro Pro Asp Ala Gln Pro Gly Leu Tyr 290 295 300 Tyr Ser Ala Asn Glu Gln Cys Arg Val Ala Phe Gly Pro Lys Ala Val 305 310 315 320 Ala Cys Thr Phe Ala Arg Glu His Leu Asp Met Cys Gln Ala Leu Ser 325 330 335 Cys His Thr Asp Pro Leu Asp Gln Ser Ser Cys Ser Arg Leu Leu Val 340 345 350 Pro Leu Leu Asp Gly Thr Glu Cys Gly Val Glu Lys Trp Cys Ser Lys 355 360 365 Gly Arg Cys Arg Ser Leu Val Glu Leu Thr Pro Ile Ala Ala Val His 370 375 380 Gly Arg Trp Ser Ser Trp Gly Pro Arg Ser Pro Cys Ser Arg Ser Cys 385 390 395 400 Gly Gly Gly Val Val Thr Arg Arg Arg Gln Cys Asn Asn Pro Arg Pro 405 410 415 Ala Phe Gly Gly Arg Ala Cys Val Gly Ala Asp Leu Gln Ala Glu Met 420 425 430 Cys Asn Thr Gln Ala Cys Glu Lys Thr Gln Leu Glu Phe Met Ser Gln 435 440 445 Gln Cys Ala Arg Thr Asp Gly Gln Pro Leu Arg Ser Ser Pro Gly Gly 450 455 460 Ala Ser Phe Tyr His Trp Gly Ala Ala Val Pro His Ser Gln Gly Asp 465 470 475 480 Ala Leu Cys Arg His Met Cys Arg Ala Ile Gly Glu Ser Phe Ile Met 485 490 495 Lys Arg Gly Asp Ser Phe Leu Asp Gly Thr Arg Cys Met Pro Ser Gly 500 505 510 Pro Arg Glu Asp Gly Thr Leu Ser Leu Cys Val Ser Gly Ser Cys Arg 515 520 525 Thr Phe Gly Cys Asp Gly Arg Met Asp Ser Gln Gln Val Trp Asp Arg 530 535 540 Cys Gln Val Cys Gly Gly Asp Asn Ser Thr Cys Ser Pro Arg Lys Gly 545 550 555 560 Ser Phe Thr Ala Gly Arg Ala Arg Glu Tyr Val Thr Phe Leu Thr Val 565 570 575 Thr Pro Asn Leu Thr Ser Val Tyr Ile Ala Asn His Arg Pro Leu Phe 580 585 590 Thr His Leu Ala Val Arg Ile Gly Gly Arg Tyr Val Val Ala Gly Lys 595 600 605 Met Ser Ile Ser Pro Asn Thr Thr Tyr Pro Ser Leu Leu Glu Asp Gly 610 615 620 Arg Val Glu Tyr Arg Val Ala Leu Thr Glu Asp Arg Leu Pro Arg Leu 625 630 635 640 Glu Glu Ile Arg Ile Trp Gly Pro Leu Gln Glu Asp Ala Asp Ile Gln 645 650 655 Val Tyr Arg Arg Tyr Gly Glu Glu Tyr Gly Asn Leu Thr Arg Pro Asp 660 665 670 Ile Thr Phe Thr Tyr Phe Gln Pro Lys Pro Arg Gln Ala Trp Val Trp 675 680 685 Ala Ala Val Arg Gly Pro Cys Ser Val Ser Cys Gly Ala Gly Leu Arg 690 695 700 Trp Val Asn Tyr Ser Cys Leu Asp Gln Ala Arg Lys Glu Leu Val Glu 705 710 715 720 Thr Val Gln Cys Gln Gly Ser Gln Gln Pro Pro Ala Trp Pro Glu Ala 725 730 735 Cys Val Leu Glu Pro Cys Pro Pro Tyr Trp Ala Val Gly Asp Phe Gly 740 745 750 Pro Cys Ser Ala Ser Cys Gly Gly Gly Leu Arg Glu Arg Pro Val Arg 755 760 765 Cys Val Glu Ala Gln Gly Ser Leu Leu Lys Thr Leu Pro Pro Ala Arg 770 775 780 Cys Arg Ala Gly Ala Gln Gln Pro Ala Val Ala Leu Glu Thr Cys Asn 785 790 795 800 Pro Gln Pro Cys Pro Ala Arg Trp Glu Val Ser Glu Pro Ser Ser Cys 805 810 815 Thr Ser Ala Gly Gly Ala Gly Leu Ala Leu Glu Asn Glu Thr Cys Val 820 825 830 Pro Gly Ala Asp Gly Leu Glu Ala Pro Val Thr Glu Gly Pro Gly Ser 835 840 845 Val Asp Glu Lys Leu Pro Ala Pro Glu Pro Cys Val Gly Met Ser Cys 850 855 860 Pro Pro Gly Trp Gly His Leu Asp Ala Thr Ser Ala Gly Glu Lys Ala 865 870 875 880 Pro Ser Pro Trp Gly Ser Ile Arg Thr Gly Ala Gln Ala Ala His Val 885 890 895 Trp Thr Pro Ala Ala Gly Ser Cys Ser Val Ser Cys Gly Arg Gly Leu 900 905 910 Met Glu Leu Arg Phe Leu Cys Met Asp Ser Ala Leu Arg Val Pro Val 915 920 925 Gln Glu Glu Leu Cys Gly Leu Ala Ser Lys Pro Gly Ser Arg Arg Glu 930 935 940 Val Cys Gln Ala Val Pro Cys Pro Ala Arg Trp Gln Tyr Lys Leu Ala 945 950 955 960 Ala Cys Ser Val Ser Cys Gly Arg Gly Val Val Arg Arg Ile Leu Tyr 965 970 975 Cys Ala Arg Ala His Gly Glu Asp Asp Gly Glu Glu Ile Leu Leu Asp 980 985 990 Thr Gln Cys Gln Gly Leu Pro Arg Pro Glu Pro Gln Glu Ala Cys Ser 995 1000 1005 Leu Glu Pro Cys Pro Pro Arg Trp Lys Val Met Ser Leu Gly Pro Cys 1010 1015 1020 Ser Ala Ser Cys Gly Leu Gly Thr Ala Arg Arg Ser Val Ala Cys Val 1025 1030 1035 1040 Gln Leu Asp Gln Gly Gln Asp Val Glu Val Asp Glu Ala Ala Cys Ala 1045 1050 1055 Ala Leu Val Arg Pro Glu Ala Ser Val Pro Cys Leu Ile Ala Asp Cys 1060 1065 1070 Thr Tyr Arg Trp His Val Gly Thr Trp Met Glu Cys Ser Val Ser Cys 1075 1080 1085 Gly Asp Gly Ile Gln Arg Arg Arg Asp Thr Cys Leu Gly Pro Gln Ala 1090 1095 1100 Gln Ala Pro Val Pro Ala Asp Phe Cys Gln His Leu Pro Lys Pro Val 1105 1110 1115 1120 Thr Val Arg Gly Cys Trp Ala Gly Pro Cys Val Gly Gln Gly Thr Pro 1125 1130 1135 Ser Leu Val Pro His Glu Glu Ala Ala Ala Pro Gly Arg Thr Thr Ala 1140 1145 1150 Thr Pro Ala Gly Ala Ser Leu Glu Trp Ser Gln Ala Arg Gly Leu Leu 1155 1160 1165 Phe Ser Pro Ala Pro Gln Pro Arg Arg Leu Leu Pro Gly Pro Gln Glu 1170 1175 1180 Asn Ser Val Gln Ser Ser Ala Cys Gly Arg Gln His Leu Glu Pro Thr 1185 1190 1195 1200 Gly Thr Ile Asp Met Arg Gly Pro Gly Gln Ala Asp Cys Ala Val Ala 1205 1210 1215 Ile Gly Arg Pro Leu Gly Glu Val Val Thr Leu Arg Val Leu Glu Ser 1220 1225 1230 Ser Leu Asn Cys Ser Ala Gly Asp Met Leu Leu Leu Trp Gly Arg Leu 1235 1240 1245 Thr Trp Arg Lys Met Cys Arg Lys Leu Leu Asp Met Thr Phe Ser Ser 1250 1255 1260 Lys Thr Asn Thr Leu Val Val Arg Gln Arg Cys Gly Arg Pro Gly Gly 1265 1270 1275 1280 Gly Val Leu Leu Arg Tyr Gly Ser Gln Leu Ala Pro Glu Thr Phe Tyr 1285 1290 1295 Arg Glu Cys Asp Met Gln Leu Phe Gly Pro Trp Gly Glu Ile Val Ser 1300 1305 1310 Pro Ser Leu Ser Pro Ala Thr Ser Asn Ala Gly Gly Cys Arg Leu Phe 1315 1320 1325 Ile Asn Val Ala Pro His Ala Arg Ile Ala Ile His Ala Leu Ala Thr 1330 1335 1340 Asn Met Gly Ala Gly Thr Glu Gly Ala Asn Ala Ser Tyr Ile Leu Ile 1345 1350 1355 1360 Arg Asp Thr His Ser Leu Arg Thr Thr Ala Phe His Gly Gln Gln Val 1365 1370 1375 Leu Tyr Trp Glu Ser Glu Ser Ser Gln Ala Glu Met Glu Phe Ser Glu 1380 1385 1390 Gly Phe Leu Lys Ala Gln Ala Ser Leu Arg Gly Gln Tyr Trp Thr Leu 1395 1400 1405 Gln Ser Trp Val Pro Glu Met Gln Asp Pro Gln Ser Trp Lys Gly Lys 1410 1415 1420 Glu Gly Thr 1425 <210> 2 <211> 2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G4-Fc <400> 2 Ala Pro Glu Phe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1 5 10 15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20 25 30 Val Val Asp Val Ser Gln Glu Asp Pro Glu Val Gln Phe Asn Trp Tyr 35 40 45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50 55 60 Gln Phe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65 70 75 80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85 90 95 Gly Leu Pro Ser Ser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100 105 110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Gln Glu Glu Met 115 120 125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130 135 140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145 150 155 160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165 170 175 Tyr Ser Arg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u Gly Asn Val 180 185 190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195 200 205 Lys Ser Leu Ser Leu Ser Leu Gly Lys 210 215 <210> 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G1-Hinge <400> 3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1 5 10 15 <210> 4 <211> 9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DTCS-IgG1-YTE <400> 4 Met His Gln Arg His Pro Arg Ala Arg Cys Pro Pro Leu Cys Val Ala 1 5 10 15 Gly Ile Leu Ala Cys Gly Phe Leu Leu Gly Cys Trp Gly Pro Ser His 20 25 30 Phe Gln Gln Ser Cys Leu Gln Ala Leu Glu Pro Gln Ala Val Ser Ser 35 40 45 Tyr Leu Ser Pro Gly Ala Pro Leu Lys Gly Arg Pro Pro Ser Pro Gly 50 55 60 Phe Gln Arg Gln Arg Gln Arg Gln Arg Arg Ala Ala Gly Gly Ile Leu 65 70 75 80 His Leu Glu Leu Leu Val Ala Val Gly Pro Asp Val Phe Gln Ala His 85 90 95 Gln Glu Asp Thr Glu Arg Tyr Val Leu Thr Asn Leu Asn Ile Gly Ala 100 105 110 Glu Leu Leu Arg Asp Pro Ser Leu Gly Ala Gln Phe Arg Val His Leu 115 120 125 Val Lys Met Val Ile Leu Thr Glu Pro Glu Gly Ala Pro Asn Ile Thr 130 135 140 Ala Asn Leu Thr Ser Ser Leu Leu Ser Val Cys Gly Trp Ser Gln Thr 145 150 155 160 Ile Asn Pro Glu Asp Asp Thr Asp Pro Gly His Ala Asp Leu Val Leu 165 170 175 Tyr Ile Thr Arg Phe Asp Leu Glu Leu Pro Asp Gly Asn Arg Gln Val 180 185 190 Arg Gly Val Thr Gln Leu Gly Gly Ala Cys Ser Pro Thr Trp Ser Cys 195 200 205 Leu Ile Thr Glu Asp Thr Gly Phe Asp Leu Gly Val Thr Ile Ala His 210 215 220 Glu Ile Gly His Ser Phe Gly Leu Glu His Asp Gly Ala Pro Gly Ser 225 230 235 240 Gly Cys Gly Pro Ser Gly His Val Met Ala Ser Asp Gly Ala Ala Pro 245 250 255 Arg Ala Gly Leu Ala Trp Ser Pro Cys Ser Arg Arg Gln Leu Leu Ser 260 265 270 Leu Leu Ser Ala Gly Arg Ala Arg Cys Val Trp Asp Pro Pro Arg Pro 275 280 285 Gln Pro Gly Ser Ala Gly His Pro Pro Asp Ala Gln Pro Gly Leu Tyr 290 295 300 Tyr Ser Ala Asn Glu Gln Cys Arg Val Ala Phe Gly Pro Lys Ala Val 305 310 315 320 Ala Cys Thr Phe Ala Arg Glu His Leu Asp Met Cys Gln Ala Leu Ser 325 330 335 Cys His Thr Asp Pro Leu Asp Gln Ser Ser Cys Ser Arg Leu Leu Val 340 345 350 Pro Leu Leu Asp Gly Thr Glu Cys Gly Val Glu Lys Trp Cys Ser Lys 355 360 365 Gly Arg Cys Arg Ser Leu Val Glu Leu Thr Pro Ile Ala Ala Val His 370 375 380 Gly Arg Trp Ser Ser Trp Gly Pro Arg Ser Pro Cys Ser Arg Ser Cys 385 390 395 400 Gly Gly Gly Val Val Thr Arg Arg Arg Gln Cys Asn Asn Pro Arg Pro 405 410 415 Ala Phe Gly Gly Arg Ala Cys Val Gly Ala Asp Leu Gln Ala Glu Met 420 425 430 Cys Asn Thr Gln Ala Cys Glu Lys Thr Gln Leu Glu Phe Met Ser Gln 435 440 445 Gln Cys Ala Arg Thr Asp Gly Gln Pro Leu Arg Ser Ser Pro Gly Gly 450 455 460 Ala Ser Phe Tyr His Trp Gly Ala Ala Val Pro His Ser Gln Gly Asp 465 470 475 480 Ala Leu Cys Arg His Met Cys Arg Ala Ile Gly Glu Ser Phe Ile Met 485 490 495 Lys Arg Gly Asp Ser Phe Leu Asp Gly Thr Arg Cys Met Pro Ser Gly 500 505 510 Pro Arg Glu Asp Gly Thr Leu Ser Leu Cys Val Ser Gly Ser Cys Arg 515 520 525 Thr Phe Gly Cys Asp Gly Arg Met Asp Ser Gln Gln Val Trp Asp Arg 530 535 540 Cys Gln Val Cys Gly Gly Asp Asn Ser Thr Cys Ser Pro Arg Lys Gly 545 550 555 560 Ser Phe Thr Ala Gly Arg Ala Arg Glu Tyr Val Thr Phe Leu Thr Val 565 570 575 Thr Pro Asn Leu Thr Ser Val Tyr Ile Ala Asn His Arg Pro Leu Phe 580 585 590 Thr His Leu Ala Val Arg Ile Gly Gly Arg Tyr Val Val Ala Gly Lys 595 600 605 Met Ser Ile Ser Pro Asn Thr Thr Tyr Pro Ser Leu Leu Glu Asp Gly 610 615 620 Arg Val Glu Tyr Arg Val Ala Leu Thr Glu Asp Arg Leu Pro Arg Leu 625 630 635 640 Glu Glu Ile Arg Ile Trp Gly Pro Leu Gln Glu Asp Ala Asp Ile Gln 645 650 655 Val Tyr Arg Arg Tyr Gly Glu Glu Tyr Gly Asn Leu Thr Arg Pro Asp 660 665 670 Ile Thr Phe Thr Tyr Phe Gln Pro Lys Pro Arg Gln Ala Glu Pro Lys 675 680 685 Ser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Phe 690 695 700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705 710 715 720 Leu Tyr Ile Thr Arg Glu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725 730 735 Ser Gln Glu Asp Pro Glu Val Gln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740 745 750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Phe Asn Ser 755 760 765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770 775 780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Gly Leu Pro Ser 785 790 795 800 Ser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805 810 815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Gln Glu Glu Met Thr Lys Asn Gln 820 825 830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835 840 845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850 855 860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Arg Leu 865 870 875 880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u Gly Asn Val Phe Ser Cys Ser 885 890 895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900 905 910 Leu Ser Leu Gly Lys 915

Claims (13)

  1. 서열목록 제1서열의 85, 93, 126, 135, 278, 282, 308, 314, 317, 334, 364, 376, 413, 427, 452, 465, 567, 578, 585, 589, 607, 608, 609, 612, 618, 624, 630, 635, 643, 650, 651, 654, 655, 656, 658, 664 및 672번째 잔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ADAMTS13(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 with a thrombospondin type 1 motif, member 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DAMTS13 변이 단백질은 다음 위치에서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각 변이 단백질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AMTS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
    - 85 및 317번째 잔기; 612번째 잔기; 282, 465 및 672번째 잔기 중 둘 이상; 635번째 잔기; 452 및 612번째 잔기; 278, 334 및 427번째 잔기 중 둘 이상; 618번째 잔기; 135번째 잔기; 126, 567 및 651번째 잔기 중 둘 이상; 413번째 잔기; 334번째 잔기; 314번째 잔기; 93, 364 및 376번째 잔기 중 둘 이상; 308번째 잔기; 656번째 잔기; 607번째 잔기; 612 및 624번째 잔기; 589번째 잔기; 650 및 656번째 잔기; 643번째 잔기; 585 및 658번째 잔기; 630, 654 및 664번째 잔기 중 둘 이상; 589, 608, 609, 624 및 655번째 잔기 중 넷 이상; 578번째 잔기; 585번째 잔기; 314 및 635번째 잔기; 및 314 및 612번째 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85번째 잔기는 Phe로, 93번째 잔기는 Val으로, 126번째 잔기는 Met으로, 135번째 잔기는 Ile으로, 278번째 잔기는 Ile으로, 282번째 잔기는 Ala으로, 308번째 잔기는 Lys으로, 314번째 잔기는 Thr으로, 317번째 잔기는 His으로, 334번째 잔기는 Thr 또는 Val으로, 364번째 잔기는 Arg으로, 376번째 잔기는 Asp으로, 413번째 잔기는 Asp으로, 427번째 잔기는 Asn으로, 452번째 잔기는 Ile으로, 465번째 잔기는 Asp으로, 567번째 잔기는 Ser으로, 578번째 잔기는 Leu으로, 585번째 잔기는 Asn 또는 Met으로, 589번째 잔기는 Gln으로, 607번째 잔기는 Arg으로, 608번째 잔기는 Met으로, 609번째 잔기는 Leu으로, 612번째 잔기는 Phe 또는 Tyr으로, 618번째 잔기는 Ser으로, 624번째 잔기는 Asp 또는 Cys으로, 630번째 잔기는 Leu으로, 635번째 잔기는 Val으로, 643번째 잔기는 Phe으로, 650번째 잔기는 His으로, 651번째 잔기는 Asp으로, 654번째 잔기는 Gly으로, 655번째 잔기는 Val으로, 656번째 잔기는 Arg 또는 His으로, 658번째 잔기는 His으로, 664번째 잔기는 Asn으로, 672번째 잔기는 Val으로 각각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AMTS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
  4. (a) 제 1 항의 ADAMTS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 및
    (b) 상기 (a)에 접합된 IgG4 면역글로불린의 Fc 영역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Fc 영역은 서열목록 제2서열의 22, 24 및 26번째 잔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2번째 잔기는 Tyr, 24번째 잔기는 Thr, 26번째 잔기는 Glu으로 각각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와 (b) 사이에 IgG1 면역글로불린의 힌지(hinge) 영역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단백질.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ADAMTS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ADAMTS13 변이 단백질 또는 이의 기능적 일부 절편;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융합 단백질; 또는 제 8 항의 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혈전성 질환은 혈전성 미세 혈관병증(thrombotic microangiopathy, T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혈전성 미세 혈관병증은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thrombocytopenic purpura, TTP),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HELLP(Hemolysis, Elevated Liver enzymes, Low Platelet count), 자간전증(Preeclampsia) 및 겸상적혈구질환(sickle cell diseas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항체에 대한 회피율이 향상된 ADAMTS13 변이체의 스크리닝 방법:
    (a) 서열목록 제1서열의 85, 93, 126, 135, 278, 282, 308, 314, 317, 334, 364, 376, 413, 427, 452, 465, 567, 578, 585, 589, 607, 608, 609, 612, 618, 624, 630, 635, 643, 650, 651, 654, 655, 656, 658, 664 및 672번째 잔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또는 삭제된 ADAMTS13 변이체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제작된 ADAMTS13 변이체에 ADAMTS13에 대한 자가항체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자가항체가 야생형 ADAMTS13에 대한 친화도보다 낮은 친화도로 상기 ADAMTS13 변이체에 결합할 경우, 상기 ADAMTS13 변이체는 자가항체 회피율이 향상된 ADAMTS13 변이체로 판정한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서열목록 제1서열의 85, 93, 126, 135, 278, 282, 308, 314, 317, 334, 376, 413, 427, 465, 567, 578, 585, 607, 609, 612, 624, 630, 643, 650, 654, 655, 656, 658 및 672번째 잔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치환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0142438A 2020-11-18 2021-10-25 자가 항체에 대한 회피율 또는 활성이 증가된 adamts13 변이체 KR202200681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710 2020-11-18
KR20200154710 2020-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144A true KR20220068144A (ko) 2022-05-25

Family

ID=8170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438A KR20220068144A (ko) 2020-11-18 2021-10-25 자가 항체에 대한 회피율 또는 활성이 증가된 adamts13 변이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30405096A1 (ko)
EP (1) EP4249594A1 (ko)
JP (1) JP2023549878A (ko)
KR (1) KR20220068144A (ko)
CN (1) CN116745426A (ko)
AU (1) AU2021382506A1 (ko)
CA (1) CA3201986A1 (ko)
CO (1) CO2023006605A2 (ko)
IL (1) IL302984A (ko)
MX (1) MX2023005661A (ko)
WO (1) WO2022108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5964A1 (en) * 2022-06-06 2023-12-14 Mcmaster University Thrombolytic protease resistant adamts13 muta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9217B2 (en) 2007-06-22 2015-08-18 The Chemo-Sero-Therapeutic Research Institute ADAMTS-13 muta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3955A1 (en) * 2005-06-17 2006-12-21 Baxter International Inc. Adamts13-comprising compositions having thrombolytic activity
AU2011349049B2 (en) * 2010-12-22 2016-08-11 Teva Pharmaceuticals Australia Pty Ltd Modified antibody with improved half-life
WO2013096793A1 (en) * 2011-12-21 2013-06-27 The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Gain-of-function adamts13 variants resistant to autoantibody inhibi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13203062C1 (en) * 2013-03-15 2018-06-28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adamts13
JP2018528975A (ja) * 2015-09-28 2018-10-04 アレクシオ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小児患者におけるadamts13欠乏および先天性血栓性血小板減少性紫斑病の処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9217B2 (en) 2007-06-22 2015-08-18 The Chemo-Sero-Therapeutic Research Institute ADAMTS-13 mut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382506A1 (en) 2023-06-29
CN116745426A (zh) 2023-09-12
MX2023005661A (es) 2023-05-26
WO2022108148A1 (ko) 2022-05-27
US20230405096A1 (en) 2023-12-21
JP2023549878A (ja) 2023-11-29
EP4249594A1 (en) 2023-09-27
CA3201986A1 (en) 2022-05-27
IL302984A (en) 2023-07-01
CO2023006605A2 (es) 202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3483B2 (en)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a disease or condition mediated by pathogenic IgG antibodies
JP2020534865A (ja) 改変型dnase酵素及び治療における使用
JPS63503275A (ja) ファクター8:cの製造方法
JPH11504820A (ja) スタフィロコッカス・アウレウスのスレオニル−tRNAシンセターゼ
JP2021511030A (ja) C3b結合ポリペプチド
US20200031888A1 (en) Recombinant mature complement factor i
KR20170016893A (ko) C5 다형성을 갖는 환자에서 보체 매개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오르니토도로스 모우바타 보체 억제제
JP2003515338A (ja) 補体結合酵素、masp−3、及びその使用
JP2003530867A (ja) トロンボポエチン受容体モジュレートペプチド
CA2565227A1 (en) Human complement c3 derivates with cobra venom factor-like function
US5843884A (en) C9 complement inhibitor
US20230405096A1 (en) Adamts13 variant having increased escaping rate or activity against autoantibody
JP2001509372A (ja) 血小板凝集に関与する細胞表面受容体であるヒトf11抗原
JP2002523029A (ja) ヒトヒストンデアセチラーゼ遺伝子hd4
WO2011091716A9 (zh) 表皮生长因子受体变异体
JPH11253179A (ja) 新規グルコサミニダ―ゼ
JPH08511948A (ja) C4bp結合活性が不足しているがapc補因子活性を有するプロテインs欠失変異体、組成物及び治療法
JPH11103871A (ja) 新規化合物
JPH11502723A (ja) スタフィロコッカス・アウレウス由来の新規プロリル−tRNAシンセターゼ
JP2003518381A (ja) ヒトヘパラナーゼ関連ポリペプチド及び核酸
JP2000125888A (ja) シアロアドヘシンファミリ―メンバ――3
JPH11243969A (ja) 新規MurD
JPH11337548A (ja) 新規DbpB
JPH119288A (ja) 新規has2スプライシング変種hoefc11:慢性腎不全、炎症性疾患および心筋虚血における標的
JPH1080290A (ja) MurA−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