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589A -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589A
KR20220067589A KR1020200152915A KR20200152915A KR20220067589A KR 20220067589 A KR20220067589 A KR 20220067589A KR 1020200152915 A KR1020200152915 A KR 1020200152915A KR 20200152915 A KR20200152915 A KR 20200152915A KR 20220067589 A KR20220067589 A KR 20220067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bled
pickup unit
chain
vehicle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900B1 (ko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로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로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로보텍
Priority to KR102020015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90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26Sliding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6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patient, e.g. using flaps or additional t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Handcart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은, 바디와, 바디에 고정 구비하는 메인착석부와, 바디와 차량시트 상간을 이동하는 보조착석부; 및 상기 장애인을 상기 차량시트로 접근 및 이격시키는 픽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픽업유닛은,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일단 및 상기 회동몸체의 타단을 잇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부구간에 마련되어 장애인의 하중을 지탱하는 슬라이딩시트; 및 상기 지지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체인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장애인의 엉덩이에 상기 슬라이딩시트를 용이하게 착석시키는 용이착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은, 승용차를 포함한 차고가 낮은 차량에도 접근가능하여 사용될 수 있어 장치의 범용성이 확보되고 차량에 별도의 추가장치를 설치하거나 개조작업이 불필요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보호자가 완력을 쓰거나 부축 과정이 없이 픽업유닛으로 차량 내부의 좌석까지 승차나 하차가 가능하여 간편하고 편리하며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WHEEL CHAIR SYSTEM HAVING BOARDING UNIT FOR DISABLE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이 차량 이용 시 안전하고 편리하게 승하차할 수 있는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설치한 의자 형태의 이동 기구로써, 프레임 상에 시트 및 등받이와 발판을 구비하고 앞 뒤로 휠을 장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대중적인 휠체어는 차체에 간섭되어 쉽사리 접근되지 못하여 이용할 수 없고, 차량에 탑승 또는 하차하기 위해서는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별도의 탑승장치가 필요하다.
차량에 마련되는 탑승장치의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466446 호에는 휠체어의 승강을 위한 승강판이 차량 플로어 하부의 보관부에 입,출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는 차량용 승강장치로써, 설치시 선단부가 지면에 착지되어지는 메인승강판과, 메인승강판의 후단측에 절첩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진 보조승강판으로 이루어지고, 메인승강판의 후단부에는 보관부에서 이탈이 방지되어지도록 수평 이동되어지는 지지브라켓이 힌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슬라이드식 승강구조로 휠체어를 차량에 탑승하도록 하는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를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주로 승합차나 버스 등 휠체어의 탑승 공간을 확보하는 중대형 차량에 한해 적용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며, 차체에 승강판 또는 리프트를 설치하거나 휠체어를 차량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추가 장치의 설치 등 차체의 개조 및 이로 인해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일반 차량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탑승장치가 없는 일반 자동차의 경우 보호자 등이 직접 안아 들거나 부축하는 과정에서 여간 힘이 들고 난해하며 불편할 수 있으며 장애인 뿐만 아니라 보호자의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승용차를 포함한 차고가 낮은 차량에도 접근가능하여 사용될 수 있어 장치의 범용성이 확보되고 차량에 별도의 추가장치를 설치하거나 개조작업이 불필요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보호자가 완력을 쓰거나 부축 과정이 없이 픽업유닛으로 차량 내부의 좌석까지 승차나 하차가 가능하여 간편하고 편리하며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은, 바디와, 바디에 고정 구비하는 메인착석부와, 바디와 차량시트 상간을 이동하는 보조착석부; 및 상기 장애인을 상기 차량시트로 접근 및 이격시키는 픽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픽업유닛은,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일단 및 상기 회동몸체의 타단을 잇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부구간에 마련되어 장애인의 하중을 지탱하는 슬라이딩시트; 및 상기 지지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체인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장애인의 엉덩이에 상기 슬라이딩시트를 용이하게 착석시키는 용이착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이착석부는, 상기 지지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절곡레버; 상기 절곡레버에 연이어 마련되는 복수의 링크; 상기 링크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링크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마지막 상기 링크가 끝나는 지점에 마련되어 하방 이동 시 상기 체인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블록의 단부는 일방향으로 라운드지는 가압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체인의 텐션을 완화시키는 텐션이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이완부는, 상기 가압블록에 마련되는 돌출단턱; 상기 지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에 텐션롤러가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돌출단턱과 접촉되는 유격지지부재; 및 상기 유격지지부재의 일측과 상기 지지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몸체는, 내부에 상기 체인이 수용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팔걸이부재; 한쌍의 상기 팔걸이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보강부; 상기 팔걸이부재의 측벽에 상호 연결되는 제2 보강부; 및 상기 팔걸이부재에 마련되는 축샤프트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팔걸이부에 결합되는 제3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부는 ㄷ자 절곡프레임이며, 상기 제2 보강부는 판상 타입으로 U자형 보강리브이며, 상기 제3 보강부는 단부에 플랜지가 있는 중공형 파이프부재일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는 일자형 기립구간과, 상기 기립구간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구간을 가지는 L자형 프레임이며, 상기 축샤프트는 상기 절곡구간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은, 승용차를 포함한 차고가 낮은 차량에도 접근가능하여 사용될 수 있어 장치의 범용성이 확보되고 차량에 별도의 추가장치를 설치하거나 개조작업이 불필요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보호자가 완력을 쓰거나 부축 과정이 없이 픽업유닛으로 차량 내부의 좌석까지 승차나 하차가 가능하여 간편하고 편리하며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시스템에서 장애인 픽업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시스템의 장애인 픽업유닛에서 회동몸체의 상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시스템의 장애인 픽업유닛에서 회동몸체의 제1 및 제2 보강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시스템의 장애인 픽업유닛에서 절곡레버를 동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에서 절곡레버 동작 이후 슬라이딩시트가 슬라이딩되어 장애인이 착석될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시스템에서 장애인 픽업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시스템의 장애인 픽업유닛에서 회동몸체의 상면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시스템의 장애인 픽업유닛에서 회동몸체의 제1 및 제2 보강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시스템은 주로 도 1을 참조하면, 크게 바디(110)와, 바디(110)에 고정 구비하는 메인착석부(120)와, 바디(110)와 차량시트(210) 상간을 이동하는 보조착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10)는 휠(112)을 장착하는 베이스프레임(111)과, 베이스프레(111)의 후방에서 연직하여 일정높이로 형성하는 백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은 지면에 평행하는 평판상으로 형성하며 하부에 휠(112)이 장착되고 보조휠도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은 백프레임(113) 및 보조착석부의 주요 구성을 설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백프레임(113)은 베이스프레임(111)의 후방측에서 후술하게 될 보조착석부의 승강범위를 고려하여 소정의 높이로 형성한다. 상기 백프레임(113)은 소정의 케이싱 형태로 마련하여 전방 외측에 메인착석부(120)와 보조착석부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보조착석부의 주요 구성을 내장하여 외관을 마감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백프레임(113)의 내, 외측에는 후술하게 될 보조착석부의 구성을 탑재하는바, 백프레임(113)의 전면에는 소정의 개구를 길이방향으로 마련하여 팔길이의 승강 및 전, 후진 작동을 구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메인착석부(120)는 상기 백프레임(113)의 전방에서 베이스프레임(111)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위치에 장착하여 수평으로 구비하며, 고정시트(121)와 회전시트(126)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시트(121)는 평판형으로 형성하고 상측 중심에는 원형의 작동홈(122)을 요입 형성한다.
상기 고정시트(121)에 형성하는 작동홈(122)은 회전시트(126)의 형상 및 두께와 동일한 형태로 요입하여 회전시트(126)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되, 회전시트(126)의 회전범위를 고정시트(121)의 전방에서 좌, 우측 90도 각도로 제한하도록 소정의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시트(121)는 통상의 의자 다리와 같은 형태의 다리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백프레임(113)에 지지되되 절첩되는 구조(예컨대, 접철부(미도시) 등)를 형성한다. 이는, 휠체어 시스템이 차량 접근 시 간섭 현상이 최소화되기 위함이다.
상기 보조착석부는 상기 백프레임(113)의 전방에서 메인착석부(120)로부터 상, 하 및 전, 후로 구동하도록 장착하여 차량 내부로 출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착석부는 상기 백프레임(113)에 내장하는 수직가이드바(141)와, 수직가이드바(141)를 작동하는 승강핸들(142), 수직가이드바(141)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수단(143), 승강수단(143)에 의해 승강하는 수평가이드바(144), 수평가이드바(144)를 따라 전, 후진하는 팔걸이(145), 및 팔걸이(145)에 결합되어 픽업유닛과 결합되는 벨트(1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팔걸이(145)에 픽업유닛이 배치될 수 있으며, 픽업유닛은 필요 시 벨트(146)에 의해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시스템의 픽업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몸체(210)와, 상기 지지몸체(210)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몸체(220); 상기 지지몸체(210)의 일단 및 상기 회동몸체(220)의 타단을 잇는 체인(201)과, 상기 체인(201)의 일부구간에 마련되어 장애인의 하중을 지탱하는 슬라이딩시트(250); 및 상기 지지몸체(210)에 마련되어 상기 체인(201)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장애인의 엉덩이에 상기 슬라이딩시트(250)를 용이하게 착석시키는 용이착석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몸체(210)는 장애인의 하중을 지탱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몸체(210)는 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기립구간(211)과, 상기 기립구간(211)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구간(212)을 가지는 L자형 프레임이며, 상기 축샤프트(222)는 상기 절곡구간(21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절곡구간(212) 상에 회동몸체(220)의 축샤프트(222)가 배치되고, 축샤프트(222)가 기립구간(211)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만큼, 지지몸체(210)에 대해 상대회동되는 회동몸체(220)의 회동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절곡구간(212)의 길이만큼 회동몸체(220)가 지지몸체(210)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될 수 있어, 회동몸체(220)가 지지몸체(210)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폴딩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시트에 착석된 장애인의 경우, 장애인과 차량시트 사이에 지지몸체(210)에 폴딩된 상태의 회동몸체(220)가 삽입이 용이해져 장애인이 픽업유닛(200)을 장착이나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회동몸체(220)는 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내부에 상기 체인(201)이 수용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팔걸이부재(221); 한쌍의 상기 팔걸이부재(221)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보강부(223); 상기 팔걸이부재(221)의 측벽에 상호 연결되는 제2 보강부(224); 및 상기 팔걸이부재(221)에 마련되는 축샤프트(222)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팔걸이부재(221)에 결합되는 제3 보강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팔걸이부재(221)는 실질적으로 지지몸체(210)에 대해 회동되는 부분으로, 장애인의 팔이 안착될 수 있다. 팔걸이부재(221)는 절곡구간(212) 상에 축샤프트(2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팔걸이부재(221) 내부로는 체인(201)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한쌍의 팔걸이부재(221) 및 회동몸체(220)는 장애인의 하중을 오롯이 지지하고 견뎌야 하는 부분으로 구조적 강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의 회동몸체(220)에는 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상기 팔걸이부재(221)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보강부(223); 상기 팔걸이부의 측벽에 상호 연결되는 제2 보강부(224); 및 상기 팔걸이부재(221)에 마련되는 축샤프트(222)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팔걸이부에 결합되는 제3 보강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 보강부(223)는 ㄷ자 절곡프레임으로 마련되며, 절곡프레임에 한쌍의 팔걸이부재(221)의 단부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2 보강부(224)는 상기 팔걸이부재(221)의 측벽에 상호 연결되는 부분으로, 팔걸이부재(221)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2 보강부(224)는 판상 타입으로 U자형 보강리브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보강부(225)는 단부에 플랜지가 있는 중공형 파이프부재일 수 있다. 파이프부재의 내부에 축샤프트(222)가 수용되도록, 파이프부재의 내경은 축샤프트(222)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제2 및 제3 보강부(223, 224, 225)를 통해, 장애인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하고 견딜 수 있으며 하중이 편심되거나 예기치못한 측방 압력 등이 가해지더라도 팔걸이부재(221) 간의 간격이 유지되며 회동몸체(220)의 구조적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픽업유닛(200)에는 상기 지지몸체(210)와 회동몸체(220) 내부에는 체인(201)이 마련되며, 상기 체인(201)의 일부구간에는 장애인의 엉덩이를 받치는 슬라이딩시트(2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시트(250)는 체인(201)의 이동에 따라 팔걸이부재(221) 쪽으로 노출(도 6 참조)되거나 또는 지지몸체(210) 내부에 수용(도 1 참조)될 수 있다.
한편, 차량시트에 장애인이 착석되어 밀착되어 있는 경우, 픽업유닛(200)의 슬라이딩시트(250)가 이동이 용이치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의 픽업유닛(200)은 용이착석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용이착석부(230)는 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몸체(210)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절곡레버(231); 상기 절곡레버(231)에 연이어 마련되는 복수의 링크(232, 233); 상기 링크(232, 233)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링크(232, 233)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34); 및 마지막 상기 링크(232, 233)가 끝나는 지점에 마련되어 하방 이동 시 상기 체인(201)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블록(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절곡레버(231)는 'ㄱ' 자 형태로 절곡된 부재로서, 일단부에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절곡레버(231)의 타단에는 링크(23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232, 233)의 단부에는 다른 링크(233)(예컨대, 푸시로드)가 결합될 수 있다.
링크(233)를 수용하는 가이드부재(234)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234)로 인해 링크(233)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가압블록(235)은 마지막 상기 링크(233)가 끝나는 지점에 마련되어 하방 이동 시 상기 체인(201)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블록(235)의 단부에는 일방향으로 라운드지는 가압곡면부(236)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픽업유닛(200)에는 텐션이완부(2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텐션이완부(240)는 상기 지지몸체(210)에 마련되어 상기 체인(201)의 텐션을 완화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텐션이완부(240)는 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블록(235)에 마련되는 돌출단턱(241); 상기 지지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에 텐션롤러(242)가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돌출단턱(241)과 접촉되는 유격지지부재(243); 및 상기 유격지지부재(243)의 일측과 상기 지지몸체(210) 사이에 개재되는 복원스프링(244)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단턱(241)은 가압블록(235)에 마련되며 돌출단턱(241) 유격지지부재(243)의 일단과 접촉될 수 있다.
유격지지부재(243)의 타단에는 텐션롤러(242)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텐션롤러(242)의 외면은 체인(201)에 구름접촉될 수 있다.
유격지지부재(243)의 일측에는 복원스프링(244)이 마련되어 유격지지부재(243)가 일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러한 텐션이완부(240)의 구성을 통해, 용이착석부(230)가 보다 용이하게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픽업유닛(200)으로, 승용차를 포함한 차고가 낮은 차량에도 접근가능하여 사용될 수 있어 장치의 범용성이 확보되고 차량에 별도의 추가장치를 설치하거나 개조작업이 불필요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보호자가 완력을 쓰거나 부축 과정이 없이 픽업유닛(200)으로 차량 내부의 좌석까지 승차나 하차가 가능하여 간편하고 편리하며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시스템의 장애인 픽업유닛(200)에서 절곡레버(231)를 동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픽업유닛(200)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에서 절곡레버(231) 동작 이후 슬라이딩시트(250)가 슬라이딩되어 장애인이 착석될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시스템의 장애인 픽업유닛(200)으로 장애인의 승하차 동작 과정을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에서 장애인의 하차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장애인이 착석하고 있는 차량시트에 픽업유닛(200)이 투입된다.
이때, 픽업유닛(200)의 회동몸체(220)는 지지몸체(210)로 회동되어 폴딩된 상태이다. 등받이부와 장애인의 등 사이에 개재된 다음, 회동몸체(220)가 언폴딩된다. 여기서 회동몸체(220)에는 이제1, 제2 및 제3 보강부(223, 224, 225)가 마련되어 있어, 장애인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하고 견딜 수 있으며 하중이 편심되거나 예기치못한 측방 압력 등이 가해지더라도 팔걸이부재(221) 간의 간격이 유지되며 회동몸체(220)의 구조적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다음, 용이착석부(230)가 동작되는데, 절곡레버(231)를 작동시키면, 구동부(미도시)가 동작되는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링크(232, 233)가 펴지면서 가압블록(235)이 하방으로 이동되며 체인(201)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와 동시에, 텐션이완부(240)가 동작되며, 돌출단턱(241)에 눌려진 유격지지부재(243)는 회동되며 체인(201)의 텐션을 완화시켜 용이착석부(230)의 동작을 보조한다.
구동부에 의해 체인(201)이 이동될 때 전술한 용이착석부(230)와 텐션이완부(240)에 의해 슬라이딩시트(250)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용이하게 튀어나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애인의 엉덩이와 차량시트 사이를 비집고 용이하게 슬라이딩되어 나와 픽업유닛(200) 상에 장애인이 탑승된다.
다음, 도 1에 도시된 벨트에 픽업유닛(200)이 거치되며, 승강수단(143)에 의해 상방으로 들여올려지고 수평가이드바아(144)에 의해 후퇴되며 차량으로부터 이탈된다.
다음, 보조착석부(140)에 장애인이 탑승된 픽업유닛(200)이 안착되면 벨트를 탈거시키고 회전시트(126)를 가동시켜 장애인의 회전시킨 다음 휠체어 시스템의 이동이나 장애인을 완전 이탈을 유도할 수 있다.
다음, 장애인의 차량 승차 과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장애인이 휠체어 시스템에 탑승한다.
다음, 회전시트(126)가 90도 회동되고, 벨트(146)에 픽업유닛(200)이 연결된다.
다음, 승강수단(143)에 의해 상방으로 업이동되어 픽업유닛(200) 상에 장애인이 매달리게 되고, 순차적으로 보조착석부는 접철된다.
차량 내부로 이동되어 차량시트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승강수단이 하강하고 장애인이 차량시트에 안착된 다음, 용이착석부(230)와 텐션이완부(240)가 동작된다.
이때, 가압곡면부(236)가 하방으로 눌리면서 체인(201)을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동작되고 장애인의 엉덩이가 살짝 들여올려지면서 슬라이딩시트(250)가 도6의 반대방향으로 후퇴되면서 지지몸체(210)로 수용된다. 이때, 가압곡면부(236)에 의해 체인과의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슬라이딩시트(250)이 완전 지지몸체(210) 내로 수용되어 장애인이 완전히 차량시트에 밀착되면, 회동몸체(220)가 폴딩되고 픽업유닛(200)을 차량시트로부터 제거하여 장애인의 승차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단계 구성을 통해, 승용차를 포함한 차고가 낮은 차량에도 접근가능하여 사용될 수 있어 장치의 범용성이 확보되고 차량에 별도의 추가장치를 설치하거나 개조작업이 불필요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보호자가 완력을 쓰거나 부축 과정이 없이 픽업유닛(200)으로 차량 내부의 좌석까지 승차나 하차가 가능하여 간편하고 편리하며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바디 111 : 베이스프레임
112 : 휠 113 : 백프레임
120 : 메인착석부 1121 : 고정시트
122 : 작동홈 126 : 회전시트
127 : 업다운수단 128 : 업다운레버
140 : 수직가이드바 142 : 승강핸들
145 : 팔걸이 146 : 벨트
200 : 픽업유닛 201 : 체인
210 : 지지몸체
211 : 기립구간 212 : 절곡구간
220 : 회동몸체 221 : 팔걸이부재
222 : 축샤프트 223 : 제1 보강부
224 : 제2 보강부 225 : 제3 보강부
230 : 용이착석부 231 : 절곡레버
232, 233 : 링크 234 : 가이드부재
235 : 가압블록 236 : 가압곡면부
240 : 텐션이완부 241 : 돌출단턱
242 : 텐션롤러 243 : 유격지지부재
244 : 복원스프링 250 : 슬라이딩시트

Claims (8)

  1. 바디와, 바디에 고정 구비하는 메인착석부와, 바디와 차량시트 상간을 이동하는 보조착석부; 및
    상기 장애인을 상기 차량시트로 접근 및 이격시키는 픽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픽업유닛은,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일단 및 상기 회동몸체의 타단을 잇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부구간에 마련되어 장애인의 하중을 지탱하는 슬라이딩시트; 및
    상기 지지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체인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장애인의 엉덩이에 상기 슬라이딩시트를 용이하게 착석시키는 용이착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이착석부는,
    상기 지지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절곡레버;
    상기 절곡레버에 연이어 마련되는 복수의 링크;
    상기 링크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링크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마지막 상기 링크가 끝나는 지점에 마련되어 하방 이동 시 상기 체인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의 단부는 일방향으로 라운드지는 가압곡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유닛은, 상기 지지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체인의 텐션을 완화시키는 텐션이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이완부는,
    상기 가압블록에 마련되는 돌출단턱;
    상기 지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에 텐션롤러가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돌출단턱과 접촉되는 유격지지부재; 및
    상기 유격지지부재의 일측과 상기 지지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몸체는,
    내부에 상기 체인이 수용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팔걸이부재;
    한쌍의 상기 팔걸이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보강부;
    상기 팔걸이부재의 측벽에 상호 연결되는 제2 보강부; 및
    상기 팔걸이부재에 마련되는 축샤프트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팔걸이부재에 결합되는 제3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는 ㄷ자 절곡프레임이며,
    상기 제2 보강부는 판상 타입으로 U자형 보강리브이며,
    상기 제3 보강부는 단부에 플랜지가 있는 중공형 파이프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일자형 기립구간과, 상기 기립구간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구간을 가지는 L자형 프레임이며,
    상기 축샤프트는 상기 절곡구간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KR1020200152915A 2020-11-16 2020-11-16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KR10253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915A KR102536900B1 (ko) 2020-11-16 2020-11-16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915A KR102536900B1 (ko) 2020-11-16 2020-11-16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589A true KR20220067589A (ko) 2022-05-25
KR102536900B1 KR102536900B1 (ko) 2023-05-30

Family

ID=8179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915A KR102536900B1 (ko) 2020-11-16 2020-11-16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9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018A (ja) * 1995-10-09 1997-04-15 Aprica Kassai Inc 病弱者リフト装置
JP2000342635A (ja) * 1999-03-30 2000-12-12 Katsuro Hayashi 介護用リフト装置
KR20180105471A (ko) * 2017-03-15 2018-09-28 박택주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변환장치의 구조
KR20200057977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화인로보텍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KR20200069528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화인로보텍 휠체어 이용자용 탑승장치
KR20200071308A (ko) * 2018-12-11 2020-06-19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018A (ja) * 1995-10-09 1997-04-15 Aprica Kassai Inc 病弱者リフト装置
JP2000342635A (ja) * 1999-03-30 2000-12-12 Katsuro Hayashi 介護用リフト装置
KR20180105471A (ko) * 2017-03-15 2018-09-28 박택주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변환장치의 구조
KR20200057977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화인로보텍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KR20200069528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화인로보텍 휠체어 이용자용 탑승장치
KR20200071308A (ko) * 2018-12-11 2020-06-19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900B1 (ko) 202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07949B (zh) 载人机器人
KR102235701B1 (ko)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JP2000140041A (ja) 移動型リフト
KR102235699B1 (ko) 휠체어 이용자용 탑승장치
KR20200071308A (ko)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KR101424388B1 (ko)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20220067589A (ko)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KR20180059718A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CN201719508U (zh) 带婴儿座椅的康复行走车
JP2018000409A (ja) 車両構造
KR101729774B1 (ko) 장애인 승ㆍ하차 도움 시스템 및 장애인 운송방법
JPH0789382A (ja) 車両又は自動車における座席の旋回・車外昇降装置
JPH0721028U (ja) 難歩行者用車
JP3792380B2 (ja) 乗降補助構造付きシートおよびその乗降補助具
KR102104278B1 (ko) 노약자 편의성을 갖춘 버스
JP3115632U (ja) 介助用車椅子
JP3443749B2 (ja) 車両用乗用座席付昇降装置
JP2003191838A (ja) 搭乗装置
JP3377335B2 (ja) 分離式車椅子
JPH0130468Y2 (ko)
JP3266860B2 (ja) 車両用昇降装置
GB2209310A (en) Transferring occupants from wheel chairs
KR101759173B1 (ko)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JP2001037811A (ja) 車上移乗リフト装置
JP2001137297A (ja) 椅子型床走行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