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484A - 반사 방지 필름 - Google Patents

반사 방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484A
KR20220067484A KR1020210138017A KR20210138017A KR20220067484A KR 20220067484 A KR20220067484 A KR 20220067484A KR 1020210138017 A KR1020210138017 A KR 1020210138017A KR 20210138017 A KR20210138017 A KR 20210138017A KR 20220067484 A KR20220067484 A KR 20220067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reflection
layer
preferable
les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호시노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7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내찰상성이 우수하며,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기 어려운 반사 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기재(11)와, 기재(11)의 일방의 면측에 마련된 하드 코팅층(12)과, 하드 코팅층(12)에 있어서의 기재(11)와는 반대측에 마련된 반사 방지층(13)을 구비하는 반사 방지 필름(1)으로서, 반사 방지층(13)의 두께가 0.15㎛ 이상, 1㎛ 이하인 반사 방지 필름(1).

Description

반사 방지 필름{ANTI-REFLECTION FIL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었을 때에 반사 방지성을 발휘하는 반사 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화면에 외부로부터 광이 입사하고, 이 광이 반사하여 표시 화상을 보기 어렵게 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근년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각종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다양한 반사 방지 처치나 방현 처치가 취해지고 있다. 그 중 하나로서 반사 방지 필름을 각종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기재와, 소정의 물성을 가지는 반사 방지층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반사 방지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20-008877호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반사 방지 필름에서는, 반사 방지 필름의 표면이 스치면, 반사 방지층이 마모되어,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내찰상성이 우수하며,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기 어려운 반사 방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로 본 발명은,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방의 면측에 마련된 하드 코팅층과, 상기 하드 코팅층에 있어서의 기재와는 반대측에 마련된 반사 방지층을 구비하는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상기 반사 방지층의 두께가 0.15㎛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을 제공한다(발명 1).
상기 발명(발명 1)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반사 방지 성능이 양호하게 발휘된다. 그리고, 상기 두께의 반사 방지층은, 표면이 스쳐도 마모되기 어렵고, 내찰상성이 우수하며, 마모에 의해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기 어렵다. 즉, 상기 발명(발명 1)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내찰상성과 반사 방지 성능과의 밸런스가 양호하게 도모되고, 그로 인해, 내찰상성이 우수하며, 양호한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기 어려운 것이 되고 있다.
상기 발명(발명 1)에 있어서는, 상기 반사 방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 방지층측의 면의 연필 경도가, 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2).
상기 발명(발명 1, 2)에 있어서는, 상기 반사 방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 방지층측의 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3).
상기 발명(발명 1∼3)에 있어서는, 상기 반사 방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 방지층측의 면의 반사율이,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4).
상기 발명(발명 1∼4)에 있어서는, 상기 하드 코팅층 및 상기 반사 방지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5).
상기 발명(발명 1∼5)에 있어서는, 상기 반사 방지층이 단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 방지층의 굴절률이, 상기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6).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내찰상성이 우수하며,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기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은, 기재(11)와, 기재(11)의 일방의 면측에 마련된 하드 코팅층(12)과, 하드 코팅층(12)에 있어서의 기재(11)와는 반대측에 마련된 반사 방지층(13)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층(13)의 두께는, 0.15㎛ 이상이다. 이에 따라, 반사 방지층(13)은 표면이 스쳐도 마모되기 어렵고, 내찰상성이 우수하며, 마모에 의해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기 어렵다. 또한, 반사 방지층(13)의 두께는, 1.00㎛ 이하이다. 이에 따라, 반사 방지 성능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은, 반사 방지층(13)의 두께가 상기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내찰상성과 반사 방지 성능과의 밸런스가 양호하게 도모되고, 그로 인해, 내찰상성이 우수하며, 양호한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반사 방지층(13)의 두께는, 내찰상성의 관점에서, 0.1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2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0.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 방지층(13)의 두께는, 반사 방지 성능의 관점에서, 0.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0.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 각 요소
1-1. 반사 방지층
반사 방지층(13)은, 단층으로 이루어지고, 하드 코팅층(12)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드 코팅층(12)과의 굴절률차에 의해 반사광의 간섭이 생겨, 반사 방지 필름(1)은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한 것이 된다. 그 결과, 반사 방지 필름(1)이 사용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외광의 반사를 저감하여,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반사 방지층(13)은, 그것 단독으로 반사 방지성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반사 방지층(13)은 다층 구조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반사 방지층(13)은, 통상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원하는 바에 따라 저굴절률 입자, 첨가제 등을 더 함유하는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저굴절률 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저굴절률인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로 형성되어도 된다.
(1) 각 성분
(1-1) 바인더 수지
바인더 수지로서는, 종래 공지의 광투과성을 가지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스티롤계 수지, ABS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우레탄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페놀계 수지, 요소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경화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성분은, 활성 에너지선이나 열 등의 트리거에 의해 경화하는 성분이며,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열경화성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형성되는 반사 방지층(13)의 경도, 그리고 내찰상성의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서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폴리머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양자를 병용해도 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양방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의 2관능형;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디글리세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형성되는 반사 방지층(13)의 경도 등의 관점에서, 3관능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관능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등의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 카르복시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양말단에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혹은, 다가 카르복시산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옥실란환에, (메타)아크릴산을 반응하여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상의 프리폴리머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여기에서, 바인더 수지로서, 굴절률이 낮은 것을 사용하면, 후술하는 저굴절률 입자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저굴절률인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불소계 수지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불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함불소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와 가교성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가지는 함불소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함불소 모노머 단위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플루오로에틸렌,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 등의 플루오로올레핀류; (메타)아크릴산의 불소화 알킬에스테르 유도체류; 불소화 비닐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성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외, 카르복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설폰산기 등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1-2) 저굴절률 입자
본 실시형태의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은, 저굴절률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굴절률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반사 방지층(13)의 굴절률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어, 반사 방지 성능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저굴절률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중공(中空) 실리카 미립자, 다공질 실리카 미립자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중공 실리카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중공 실리카 미립자는, 분산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유기물에 의해 수식되어도 된다. 또한, 중공 실리카 미립자는, 오르가노졸(콜로이드상)의 형태(중공 실리카졸)인 것도 바람직하다.
중공 실리카 미립자는, 미립자 내에 미세한 공극(空隙)을, 개구한 상태 또는 폐구한 상태로 가지는 것이다. 중공 실리카 미립자는, 상기 공극 내에, 기체(공기)가 충전된 것이 되기 때문에, 굴절률이 비교적 낮은 것이 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반사 방지층(13)의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반사 방지층(13)의 굴절률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중공 실리카 미립자는, 독립 기포를 가지는 것이어도 되고, 연속 기포를 가지는 것이어도 되고, 또는, 독립 기포 및 연속 기포의 양방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저굴절률 입자의 굴절률은, 1.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사 방지층(13)과 하드 코팅층(12)과의 굴절률차가 커져, 반사 방지 성능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저굴절률 입자의 굴절률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저굴절률 입자의 굴절률은, 최소 편각법에 의해 측정한 것으로 한다.
저굴절률 입자의 평균 입경은, 저굴절률 발휘의 관점에서,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저굴절률 입자의 평균 입경은, 광의 산란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투명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저굴절률 입자의 평균 입경은, 원심 침강 광투과법에 의해 측정한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이 저굴절률 입자를 함유할 경우, 당해 저굴절률 입자의 함유량은, 저굴절률 발휘의 관점에서,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10질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30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굴절률 입자의 함유량은, 얻어지는 반사 방지층(13)의 도공성 및 광투과성의 관점에서,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30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7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1-3) 그 외의 성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은, 상기의 성분 이외에,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각종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광중합개시제, 표면 조정제, 레벨링제, 방오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실란커플링제, 노화 방지제, 열중합 금지제, 착색제, 굴절률 조정제, 계면활성제, 보존 안정제, 가소제, 활제, 소포제, 유기계 충전재, 젖음성 개량제, 도면(塗面) 개량제 등을 들 수 있다.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고,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은,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er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광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하한치로서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치로서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은, 반사 방지층(13)의 표면(반사 방지 필름(1)의 표면)의 동마찰 계수를 낮게 해, 내찰상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표면 조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표면 조정제, 불소계 표면 조정제, 아크릴계 표면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 방지 필름(1)의 표면의 동마찰 계수를 후술하는 바람직한 범위로 하기 쉬운 관점에서, 실리콘계 표면 조정제 또는 불소계 표면 조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계 올리고머(반응성인 것을 포함함), 실리콘 오일(변성된 것을 포함함), 불소계 올리고머(반응성인 것을 포함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반응성 불소계 올리고머 또는 반응성 실리콘계 올리고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활성 에너지선 반응성기인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불소계 올리고머 또는 실리콘계 올리고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표면 조정제의 함유량은,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면 조정제의 함유량은,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 반사 방지층의 물성
반사 방지층(13)의 굴절률은, 1.4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6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4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사 방지층(13)의 굴절률이, 하드 코팅층(12)의 굴절률보다 낮아지기 쉬워, 반사 방지 필름(1)의 반사 방지 성능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굴절률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층의 굴절률은, 일립소메트리에 의해 측정한 것으로 한다.
1-2.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 필름(1)에 있어서의 하드 코팅층(12)은, 통상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원하는 바에 따라 미립자, 첨가제 등을 더 함유하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각 성분
(1-1) 바인더 수지
바인더 수지로서는, 반사 방지층(13)을 형성하기 위한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으로서 상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반사 방지층(13)과의 굴절률차를 크게 함과 함께, 내찰상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층(12)을 얻는 관점에서, 바인더 수지는, 굴절률이 1.46∼1.75인 것이 바람직하고, 1.48∼1.6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9∼1.54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2) 미립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아도 되고, 원하는 물성을 얻기 위해 미립자를 함유해도 된다. 예를 들면, 하드 코팅층(12)에 눈부심 억제성이나 방현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광확산성을 가지는 미립자(광확산 미립자)를 함유해도 된다.
광확산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클레이, 탈크, 이산화티탄 등의 무기계 미립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폴리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유기계의 투광성 미립자; 실리콘 수지와 같은, 무기와 유기의 중간적인 구조를 가지는 규소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예를 들면 모멘티브·퍼포먼스·머털리얼즈·쟈판사제의 토스펄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의 광확산 미립자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광확산 미립자의 형상으로서는, 광확산이 균일한 구상, 특히 진구상이어도 되고, 광확산이 랜덤인 부정형이어도 된다. 광확산 미립자의 레이저 회절법에 의한 평균 입경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균 입경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상기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원하는 헤이즈치 발현과 반사 방지 성능을 양립하기 쉽다.
광확산 미립자의 굴절률은, 1.40∼1.80인 것이 바람직하고, 1.42∼1.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3∼1.48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사 방지성과 방현성과의 양립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광확산 미립자의 굴절률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여 얻어진 값이다. 슬라이드 유리 상에 측정 대상인 미립자를 놓고, 굴절률 표준액을 미립자 상에 적하한 후, 커버 유리를 씌워, 시료를 제작한다. 당해 시료를 JIS K7142:2014의 B법에 의거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해, 미립자의 윤곽이 가장 잘 보이지 않게 된 굴절률 표준액의 굴절률을, 당해 미립자의 굴절률로 한다.
구상인 광확산 미립자의 입도 분포에 대해서는, 균일한 광확산의 관점에서, 하기 식(1)으로 나타나는 입경의 변동 계수(CV치)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V치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경의 변동 계수(CV치)=(표준편차 입경/평균 입경)×100 …(1)
한편, 부정형인 광확산 미립자의 입도 분포에 대해서는, 랜덤인 광확산의 관점에서, 입경의 변동 계수(CV치)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V치는,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7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광확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원심 침강 광투과법에 의해 측정한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원심 침강 광투과법에 의한 평균 입경의 측정은, 미립자 1.2g과 이소프로필알코올 98.8g을 충분히 교반한 것을 측정용 시료로 하고, 원심식 자동 입도 분포 측정 장치(호리바 세이사쿠쇼사제, CAPA-700)를 사용하여 행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광확산 미립자의 입경의 변동 계수(CV치)는, 동적 광산란법에 의해 구한 것이다.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광확산 미립자의 함유량은,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하는 광확산성이 얻어지기 쉽다. 또한, 광확산 미립자의 함유량은, 도공성이나 막강도의 관점에서,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12)에 방현성을 부여할 경우,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나노 미립자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의 광확산 미립자를 하드 코팅층(12)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층(13)측의 표면(이하 「하드 코팅층(12)의 표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에 편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하드 코팅층(12)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기 쉽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방현성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노 미립자로서는, 일례로서, 실리카 나노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실리카 나노 미립자는, 콜로이드상인 것이어도 되고, 표면에 반응성기를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반응성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나노 미립자의 굴절률은, 1.40∼1.80인 것이 바람직하고, 1.42∼1.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4∼1.48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나노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균 입경은,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상기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광확산 미립자를 하드 코팅층(12)의 표면에 의해 편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나노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제타 전위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것으로 한다.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나노 미립자의 함유량은,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00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광확산 미립자를 하드 코팅층(12)의 표면에 의해 편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나노 미립자의 함유량은, 도공성이나 막강도의 관점에서,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20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3) 그 외의 성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상기의 성분 이외에,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각종 첨가제로서는, 반사 방지층(13)을 형성하기 위한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으로서 상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고,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개시제의 종류나 함유량은,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과 마찬가지이다.
(2) 하드 코팅층의 물성
하드 코팅층(12)의 굴절률은, 반사 방지층(13)의 굴절률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하드 코팅층(12)의 굴절률은, 1.4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4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드 코팅층(12)과 반사 방지층(13)과의 굴절률차를 크게 할 수 있어, 반사 방지 필름(1)의 반사 방지 성능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하드 코팅층(12)의 굴절률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5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하드 코팅층(12)의 굴절률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하드 코팅층(12)의 두께는,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찰상성 및 반사 방지 성능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하드 코팅층(12)의 두께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경화 수축에 의한 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3. 기재
기재(11)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소정의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셀로판,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폴리에테르설폰 필름,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아크릴 수지 필름,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필름,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필름, 환상 공역디엔계 중합체 필름,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 중합체 필름 등의 수지 필름 또는 그들 적층 필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 등의 면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필름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11)에 있어서는, 그 표면에 마련되는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원하는 바에 따라 편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처리, 산화법, 요철화법 등에 의해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산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크롬산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요철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샌드 블라스트법, 용제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법은 기재(11)의 종류에 따라 적의 선택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밀착성 향상의 효과 및 조작성 등의 면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기재(11)의 두께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11)의 두께는,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4. 그 외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은, 기재(11)에 있어서의 하드 코팅층(12)과는 반대의 면측에 점착제층을 구비해도 된다. 당해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 공지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정의 투명성을 가지는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이 상술한 점착제층을 구비할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은, 당해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기재(11)와는 반대측의 면에 박리 필름이 적층되어도 된다. 당해 박리 필름은, 그 박리면(점착제층과 접하는 면)에 있어서 원하는 박리성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지 필름의 편면이 박리제에 의해 박리 처리된 것 등의 공지의 박리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2. 반사 방지 필름의 물성 등
(1) 헤이즈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의 헤이즈치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정세화(高精細化)의 관점에서는,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반사 방지 필름(1)의 헤이즈치의 하한치는, 반사 방지 필름(1)에 눈부심 억제성이나 방현성을 부여할 경우에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헤이즈치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2) 전광선 투과율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의 전광선 투과율은,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8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면, 투명성이 매우 높아, 광학 용도(표시체용)로서 특히 호적(好適)하다. 또, 전광선 투과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3) 연필 경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층(13)의 하드 코팅층(12)과는 반대측의 면(이하 「반사 방지 필름(1)의 표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의 연필 경도는, 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13)이 이러한 연필 경도를 가짐으로써, 반사 방지 필름(1)의 표면은 충분한 경도를 가지는 것이 되어, 우수한 내찰상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연필 경도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9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연필 경도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4) 동마찰 계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의 표면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는, 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찰상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동마찰 계수의 하한치는, 핸들링성이나 블로킹 방지의 관점에서, 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0.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동마찰 계수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5) 반사율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의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당해 반사 방지 필름(1)이 사용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외광의 반사를 저감시켜, 화상이나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율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4% 정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6) 내찰상성 시험 전후의 반사율차
반사 방지 필름(1)의 표면에 대해서, #0000의 스틸울을 이용하여, 하중 250g/㎠의 하중으로 10왕복 문지른 후에 측정한 반사율(%; 내찰상성 시험 후의 반사율)로부터, 내찰상성 시험 전의 반사율(%)을 뺀 반사율차는, 1.3포인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포인트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5포인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0.3포인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사 방지 필름(1)은, 표면이 스쳤을 경우에도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기 어려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7) 내찰상성
반사 방지 필름(1)의 표면(2㎝×2㎝)에 대해서, #0000의 스틸울을 이용하여, 하중 250g/㎠의 하중으로 10왕복 문질렀을 때에, 당해 표면에 생기는 흠집의 개수는, 5개 이하가 바람직하고, 3개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개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0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3.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반사 방지 필름(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기재(11)의 편면측에 하드 코팅층(12)을 형성한 후, 하드 코팅층(12)에 있어서의 기재(11)와는 반대측에 반사 방지층(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도포액을 기재(11)에 대하여 도포하고, 경화시켜 하드 코팅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기재(11) 상에 하드 코팅층(12)을 형성한 후, 하드 코팅층(12)에 있어서의 기재(11)와는 반대측의 면에 대하여, 예를 들면,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반사 방지층(13)을 형성한다. 상기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및 상기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의 도포액은, 원하는 바에 따라 용제를 함유해도 된다.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한 용제는, 도공성의 개량, 점도 조정, 고형분 농도의 조정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고, 바인더 수지 등이 용해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용제의 구체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옥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젖산에틸, γ-부티로락톤 등의 에스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메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에틸셀로솔브),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토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도포는, 상법에 의해 행하면 되고, 예를 들면, 바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마이어 바법, 롤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다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에 따라 행하면 된다.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도포하면, 도막을 40℃ 이상, 120℃ 이하에서 30초 이상, 5분 이하 정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막의 경화는, 사용하는 바인더 수지의 종류에 따라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가열 처리 또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특히, 바인더 수지로서 상술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를 사용할 경우,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경화는, 공기 분위기 하에서,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도막에 대하여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분위기 하에서 경화시킴으로써, 반사 방지층(13)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외선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퓨전 H 램프, 제논 램프 등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자외선의 조사량은, 조도 50mW/㎠ 이상, 1000mW/㎠ 이하, 광량 50mJ/㎠ 이상, 1000mJ/㎠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선 조사는,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전자선의 조사량은, 10krad 이상, 1000krad 이하가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한 용제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한 용제로서 상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 및 형성한 도막의 경화 방법은, 각각,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따른 도포 방법 및 경화 방법과 마찬가지인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단,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의 경화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사 방지층(13)의 내찰상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4. 반사 방지 필름의 사용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1)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또한 터치 패널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의 표층이나 내부의 중간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재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면, 반사 방지 필름(1)에 있어서의 기재(11)와 하드 코팅층(12) 사이, 혹은 하드 코팅층(12)과 반사 방지층(13) 사이에는, 다른 층이 개재해도 되고, 또한, 반사 방지층(13)에 있어서의 하드 코팅층(12)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다른 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조제예 1〕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HC-1)
바인더 수지로서의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A) 100질량부(고형분 환산, 이하 같음), 및 광중합개시제로서의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F) 3질량부를, 용제로서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PGM)를 사용하여 혼합, 희석해,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HC-1)의 도포액을 얻었다.
〔조제예 2〕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HC-2)
바인더 수지로서의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A) 100질량부, 광확산 미립자로서의 실리카 미립자(B; 재질: 실리카, 형상: 부정형, 굴절률: 1.46, 평균 입경: 1.5㎛, 입경의 변동 계수: 83%) 10질량부, 및 광중합개시제로서의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F) 3질량부를, 용제로서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PGM)를 사용하여 혼합, 희석해,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HC-2)의 도포액을 얻었다.
〔조제예 3〕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HC-3)
바인더 수지로서의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A) 100질량부, 나노 미립자로서의 실리카 나노 미립자(C; 평균 입경: 40㎚, 굴절률: 1.46) 150질량부, 광확산 미립자로서의 실리콘 미립자(D; 형상: 구상, 굴절률: 1.43, 평균 입경: 3㎛, 입경의 변동 계수: 19%) 10질량부, 및 광중합개시제로서의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F) 3질량부를, 용제로서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PGM)를 사용하여 혼합, 희석해,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HC-3)의 도포액을 얻었다.
〔조제예 4〕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LR-1)
바인더 수지로서의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A) 100질량부, 저굴절률 입자로서의 중공 실리카 미립자(E; 평균 입경: 60㎚, 굴절률 1.25) 50질량부, 광중합개시제로서의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G) 5질량부, 및 표면 조정제로서의 반응성 실리콘계 올리고머(H; 니혼고세이가가쿠고교사제, 제품명 「자광 UV-AF100」) 7.5질량부를,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PGM)의 1:2(용적비) 혼합 용제를 사용하여 혼합, 희석해,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LR-1)의 도포액을 얻었다.
〔조제예 5〕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LR-2)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불소계 수지 조성물(I; 네오스사제, 제품명 「샘플 C」)을,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PGM)의 1:2(용적비) 혼합 용제에 의해 희석해,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LR-2)의 도포액을 얻었다.
조제예 1∼5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또, 표 1에 기재된 약호 등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A: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B: 실리카 미립자(재질: 실리카, 형상: 부정형, 평균 입경: 1.5㎛, 입경의 변동 계수: 83%, 굴절률: 1.46)
C: 실리카 나노 미립자(평균 입경 40㎚, 굴절률: 1.46)
D: 실리콘 미립자(재질: 실리콘, 형상: 구상, 평균 입경: 3㎛, 입경의 변동 계수: 19%, 굴절률: 1.43)
E: 중공 실리카 미립자(평균 입경 60㎚, 굴절률: 1.25)
F: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G: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H: 반응성 실리콘계 올리고머(니혼고세이가가쿠고교사제, 제품명 「자광 UV-AF100」)
I: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불소계 수지 조성물(네오스사제, 제품명 「샘플 C」, 광중합개시제·표면 조정제 함유)
〔실시예 1〕
기재로서의 PET 필름(도레사제, 제품명 「루미라 U48」, 두께 125㎛)의 편면에, 조제예 1에서 얻어진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HC-1)의 도포액을 마이어 바로 도포해, 건조시켰다. 그 후, 공기 분위기 하, 당해 도막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해, 두께 5㎛의 하드 코팅층을 형성했다.
그 다음에, 상기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조제예 4에서 얻어진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LR-1)의 도포액을 마이어 바로 도포해, 건조시켰다. 그 후, 질소 분위기 하, 당해 도막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해, 두께 0.30㎛의 반사 방지층을 형성했다. 이에 따라, 기재와 하드 코팅층과 반사 방지층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5, 비교예 1∼2, 참고예〕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종류 및 두께, 그리고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의 종류 및 두께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반사 방지 필름을 제작했다.
〔시험예 1〕(굴절률의 측정)
각 조제예에 있어서 조제한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HC-2, HC-3)에 있어서, HC-2로부터 실리카 미립자(B)를 제외한 것(HC-2'), HC-3으로부터 실리콘 미립자(D)를 제외한 것(HC-3')을 조제했다.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HC-1, HC-2', HC-3') 및 반사 방지층용 조성물(LR-1, LR-2)의 각각의 도포액을, 편면에 이(易)접착층을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요보사제, 제품명 「코스모샤인 A4100」, 두께: 50㎛)의 이접착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포하고 경화시켜, 두께 100㎚의 층을 형성했다. 이접착층의 표면을 사포로 문지르고, 그 후 펜(제브라사제, 제품명 「맥키 흑」)으로 흑색으로 했다.
얻어진 각 층의 굴절률을, 측정 파장 589㎚, 측정 온도 23℃의 조건으로, 분광 엘립소미터(J.A.WOOLLAM사제, 제품명 「M-200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실리카 미립자(B) 및 실리콘 미립자(D)의 굴절률과 각각의 배합 비율을 가미해, 얻어지는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을 계산한 바, 소수점 이하 2자리까지의 값은, 표 1의 굴절률과 동일한 값이 되었다.
〔시험예 2〕(헤이즈치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제작한 반사 방지 필름에 대해서, 헤이즈 미터(니혼덴쇼쿠고교사제, 제품명 「NDH5000」)를 사용하여, JIS K7136:2000에 준해헤이즈치(%)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3〕(전광선 투과율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제작한 반사 방지 필름에 대해서, 헤이즈 미터(니혼덴쇼쿠고교사제, 제품명 「NDH5000」)를 사용하여, JIS K7361-1:1997에 준해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4〕(연필 경도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제작한 반사 방지 필름에 대해서, 전동 연필스크래치 경도 시험기(야스다세이키 세이사쿠쇼사제, 제품명 「No.553-M1」)를 사용하여, JIS K5600에 준해, 반사 방지 필름의 반사 방지층의 표면의 연필 경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5〕(동마찰 계수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제작한 반사 방지 필름의 반사 방지층의 표면에 대해서, #0000의 스틸울을 이용하여 하중 250g/㎠, 속도 50㎜/s에서의 동마찰 계수를 측정했다. 측정에는 정동마찰 측정기(트리니티라보사제, 제품명 「트라이보마스타 TL201Ts」)를 이용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6〕(반사율의 측정/내찰상성 시험 전의 반사 방지 성능의 평가)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제작한 반사 방지 필름의 기재측의 면을 아크릴계 투명 점착제(린텍사제, 제품명 「OPTERIA MO-3006C」, 굴절률 1.49, 헤이즈치: <1.0%)를 통해 흑색의 아크릴판(미쓰비시레이욘사제, 제품명 「아크릴라이트 L502」)의 편면에 첩합했다. 그리고, 당해 반사 방지 필름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층의 표면에 대해서, 자외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제품명 「UV-3600」)를 이용하여, 가시광 영역 360∼830㎚에 있어서의 최저 반사율을 반사율(%)로 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내찰상성 시험 전의 반사 방지 성능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3: 반사율 2.5% 이하로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함
2: 반사율 2.5% 초과, 3.5% 이하로 반사 방지 성능이 비교적 우수함
1: 반사율 3.5% 초과로 반사 방지 성능이 불량
〔시험예 7〕(내찰상성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 성능 변화의 평가)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제조한 반사 방지 필름의 반사 방지층의 표면(2㎝×2㎝)에 대해서, #0000의 스틸울을 이용하여, 하중 250g/㎠로 10왕복 문질렀다. 그 후, 시험예 6과 마찬가지인 방법으로 반사율(%; 내찰상성 시험 후의 반사율)을 측정했다. 내찰상성 시험 후의 반사율로부터 내찰상성 시험 전의 반사율을 뺀 반사율차(포인트)로부터, 내찰상성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 성능 변화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3: 반사율차가 0.5 포인트 이하로, 반사 방지 성능 변화가 작음
2: 반사율차가 0.5 포인트 초과, 1.3 포인트 이하로, 반사 방지 성능 변화가 비교적 작음
1: 반사율차가 1.3 포인트 초과로, 반사 방지 성능 변화가 큼
또, 어느 반사 방지 필름에 있어서도, 상기 내찰상성 시험에 의해 표면에 생긴 흠잡의 개수는 0개였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조한 반사 방지 필름은, 내찰상성이 우수하며,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의 반사 방지 필름은, 예를 들면, 각종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커버재가 시인되는 측의 면에의 첩부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반사 방지 필름
11: 기재
12: 하드 코팅층
13: 반사 방지층

Claims (6)

  1.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방의 면측에 마련된 하드 코팅층과, 상기 하드 코팅층에 있어서의 기재와는 반대측에 마련된 반사 방지층을 구비하는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상기 반사 방지층의 두께가 0.15㎛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 방지층측의 면의 연필 경도가, F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 방지층측의 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 방지층측의 면의 반사율이,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층 및 상기 반사 방지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층이 단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 방지층의 굴절률이, 상기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KR1020210138017A 2020-11-17 2021-10-18 반사 방지 필름 KR202200674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90790A JP2022079917A (ja) 2020-11-17 2020-11-17 反射防止フィルム
JPJP-P-2020-190790 2020-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484A true KR20220067484A (ko) 2022-05-24

Family

ID=8154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017A KR20220067484A (ko) 2020-11-17 2021-10-18 반사 방지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079917A (ko)
KR (1) KR20220067484A (ko)
CN (1) CN114509830A (ko)
TW (1) TW2022213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8877A (ja) 2017-09-08 2020-01-16 株式会社ダイセル 反射防止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8877A (ja) 2017-09-08 2020-01-16 株式会社ダイセル 反射防止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21362A (zh) 2022-06-01
JP2022079917A (ja) 2022-05-27
CN114509830A (zh)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6863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材料及び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1441829B1 (ko) 하드 코트층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하드 코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KR101151503B1 (ko) 방현성 하드코트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KR102269906B1 (ko) 방현성 하드 코팅 필름
JP3862941B2 (ja) 高精細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7182080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189642B2 (ja) タッチパネル
JP4958609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944572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140006876A (ko) 반사 방지 필름,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2053178A (ja) 防眩性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偏光板
KR101792253B1 (ko) 반사방지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KR101719819B1 (ko) 방현성 하드코트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JP2009029126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37508A (ko) 방현성 하드코트 필름
WO2019163416A1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KR20220066829A (ko) 방현성 반사 방지 시트 및 반사 방지층 적층용 방현성 시트
CN111712534A (zh) 抗反射膜、偏光板和显示装置
JP2020034416A (ja) 耐指紋性の評価方法、光学部材の生産方法および光学部材
JP2012048099A (ja) 防眩性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偏光板
JP2008119867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N108431641A (zh) 光学膜、偏振膜、偏振膜的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JP7490016B2 (ja) コートフィルム
KR20220067484A (ko) 반사 방지 필름
KR20220122464A (ko) 하드 코팅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