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441A -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 Google Patents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441A
KR20220067441A KR1020200154136A KR20200154136A KR20220067441A KR 20220067441 A KR20220067441 A KR 20220067441A KR 1020200154136 A KR1020200154136 A KR 1020200154136A KR 20200154136 A KR20200154136 A KR 20200154136A KR 20220067441 A KR20220067441 A KR 20220067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roduct
product storage
storage unit
packag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9826B1 (ko
Inventor
한재근
Original Assignee
(주)마나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나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마나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20015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8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65D75/5811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지의 본체(11)는 내용물을 담고 있는 제품수납부(13)를 둥그런 형태로 만들어 고리(12)를 형성하여 고리부분을 병의 목에 걸 수 있도록 하며 제품수납부(13)의 외주에는 테두리부(14)가 형성되어 제품수납부(13)를 마감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WRAPPER}
본 발명은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D2020132
[부처명] 경기도
[연구관리전문기관]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연구사업명] 경기도 수면제품및 서비스상용화 지원사업
[연구과제명] 취침전 수면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저온으로 추출하여 편리하게 마실 수 있는 스틱형태의 액상차 출시
[주관기관] ㈜마나에프앤비
[연구기간] 2020.6.1. ~ 2020.11.30.
본 발명은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액체나 분말 등이 들어 있는 스틱 등의 포장지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사은품으로 제공되는 음료병에 테이프를 둘둘 말아서 스틱형태의 포장지를 부착하는 형태가 많았다. 이러한 방법은 애초에 같이 제공되는 것을 고려해서 만들어진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투명 테이프 등으로 둘둘 말아 놓으면 겉보기에 좋지 않으며 테이프를 뜯어도 테이프의 끈끈이 성분 때문에 표면이 끈적해지게 된다. 별도의 스티커를 만들어서 붙이는 경우도 있는데 비용이 이중으로 소모 될 뿐 아니라 붙이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병의 경우 표면이 평평하지 않는 경우 포장지가 울거나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0993375호 '음료병의 라벨용지와 함께 구비되는 인쇄물'의 경우 기존의 주류를 포함하는 음료병에 부착되는 라벨용지에 부착 또는 일부를 절개하여 분리되는 소형의 인쇄물을 이용하여 각종 경품행사나 새로운 용도로 사용하여 마케팅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적극적으로 사은품을 함께 증정할 때 사용되는 마케팅용 포장지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테이프와 같은 것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마케팅용 제품을 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마케팅용 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를 제공하는데 포장지의 본체(11)는 내용물을 담고 있는 제품수납부(13)를 둥그런 형태로 만들어 고리(12)를 형성하여 고리부분을 병의 목에 걸 수 있도록 한다.
제품수납부(13)의 외주에는 테두리부(14)가 형성되어 제품수납부(13)를 마감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한쪽 끝단은 고리(12)의 안쪽에 부착이 되며 다른쪽 끝단은 고정되지 않은 날개(15)가 다수개 형성된다.
고리(12)의 안쪽에는 빈 중공형태의 중심공(16)이 형성되어 날개(15)의 끝부분이 병목에 걸리적 거리지 않도록 한다.
제품수납부(13)는 열린 곡선의 형태로 제품수납부(13)의 안쪽공간에서 외부로 향하는 입구부(18)가 형성되어 병목에 걸기 쉽도록 한다.
고리(12)의 한쪽부분이 바깥쪽으로 튀어 나와 절취돌출부를 형성한다.
테두리부(14)와 테두리부(14)의 외주면중 어느 한 부분은 캐릭터,도안, 사물의 형태를 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병이나 돌출된 부분을 갖는 제품에 거는 것만으로 쉽게 마케팅용 사은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 본체(11)는 원형이나 원형에 가까운 고리(12)를 안쪽에 가지고 있으며 고리(12)의 외주면으로는 고리(12)를 만들면서 고리를 감싸며 내용물을 포함하는 제품수납부(13)가 형성이 되어 있다. 제품수납부(13)의 외주에는 테두리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리(12)의 안쪽에는 고리(12)안쪽의 공간을 나눠서 형성되는 날개(15)가 한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12)의 중심부에는 비어 있는 형태의 걸림공(16)이 형성될 수 있다.
날개(15)는 고리를 돌출부등에 걸어서 사용할 때 크기가 다른 병목에도 걸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끝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도 개방되어 있어 각각의 날개는 한쪽 끝단만 고리(12)를 형성하는 제품수납부(13)의 안쪽에 붙어 있어 병목을 끼웠을 때 병목 주위에 닿으며 병복에서 고리(12)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최대로는 고리(12) 정도의 직경을 가진 병에 끼울 수가 있다. 걸림공(16)은 날개(15)의 끝단부분을 자유단으로 만들기 위하여 만든 공간인데 걸림공(16)이 없으면 물병등의 목에 걸어서 사용할 때 걸림공(16) 주위의 날개(15)부분의 끝단이 물병에 끼워질 때 목 주위로 과도하게 올라와서 보기가 좋지 않게 된다. 그러나 걸림공(16)을 형성하면 걸림공(16) 주위의 날개(15)가 보기 좋게 목부분에 안착하게 된다.
또한, 고리(12)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라면 원형의 단면이든 사각형의 단면이든 어떤 형태의 병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걸림공(16)이 없는 경우에도 물병의 목부분이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면 걸림공(16)이 굳이 없어도 되며 물병의 목부분이 두껍고 목부분이 짧은 경우라면 걸림공(16)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체(11)는 둥근 형태의 외관을 가지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되는 제품의 형상에 따라서 둥글거나 사각형이나 기타 다른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품수납부(12)에 수납되는 제품은 목이 있는 병과 같이 돌출된 부분에 걸어서 사용하되 목이 있는 병에 담긴 품과 함께 사용하였을 때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제품이 되는 것이 좋으며 액상이나 분말형태의 비액상의 제품뿐 아니라 마스크 팩과 같은 제품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포장지를 스티커 재질로 만들거나 스티커를 붙이는 번거로움 없이 포장지를 음료의 목 부분에 걸어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며 날개(15)가 있어 거치되는 부분이 울지 않아 잘 부착되고 목 부분에 걸기 쉽도록 날개(15)를 형성한다.
물이나 우유에 타서 먹을 때 좋은 맛이 나는 커피원액의 경우라면 액상의 커피원액을 제품수납부(13)에 담고 우유나 생수를 담은 병의 목에 걸어 놓고 사은품으로 제공한다면 테이프로 서로 칭칭 감아서 제공하거나 스티커 등으로 따로 붙이지 않아도 거는 것만으로 보기좋고 세련된 형태로 사은품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다.
이외에도 액상의 차나 꿀을 제공해 물에 섞어서 먹을 수 있도록 하거나 굳이 사은품이 아니라고 하여도 편의점에서 구입하는 커피 중에는 뜨거운 물을 부어서 먹는 액상의 커피가 있는데 액상의 커피나 커피를 젓기 위한 막대는 커피컵 안에 담겨 있는데 커피컵에 거는 부분만 형성된다면 커피컵 안에 담지 않고 외부에 걸어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속이 쓰릴 때 먹는 겔포스와 같은 약을 숙취해소음료와 함께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액상이 아니라 비타민 분말이나 조미료와 같이 분말형태의 제품을 함께 제공하거나 숙취해서를 위한 환형태의 한약제품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그외에도 화장품 샘플이나 마스크 팩과 같은 식품이 아닌 제품을 제품수납부(13)에 담아서 제공할 수 있는데 제품수납부(13)에 제공되는 제품은 본 품과 함께 제공되었을 때 본품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들이 주를 이룰 수 있으나 관계가 없는 별도의 제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고리형태로 제공이 되며 길게 늘어지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에 걸었을 때 미관이 수려하며 걸 때드는 수고도 적어진다.
테두리부(14)는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테두리부(14)가 있는 경우에는 손으로 잡기가 쉬워지기 때문에 내용물이 들은 제품수납부(12)를 직접 잡을 필요가 없어 제품수납부(13)에 필요이상의 압력을 가해 내용물이 새거나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품수납부(13)에 내용물을 채우고 밀폐하는 가공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테두리부(14)가 필요하다.
또한, 테두리부(14)와 제품수납부(1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분을 완전히 절개하여 입구부(18)를 따로 형성할 수 있다. 입구부(18)는 작게 만들어 목부분에 넣고 뺄때 입구부(18)주위를 살짝 비틀어 끼우거나 뺄 수 있으며 다른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약간 크게 만들어 좀 더 큰 제품이나 딱맞는 목부분에 끼울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날개(15)가 있는 경우 목부분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도1에 도시된 제품은 제품수납부(13)에 커피와 같은 액상형태의 제품을 넣는 것으로 제품수납부(13)의 안쪽 고리(12)에 날개(15)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입구(18)가 형성되어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13)를 걸거나 뺄때 용이하도록 하며 외측으로는 테두리부(14)가 형성되어 있어 제품을 잡기 용이하도록 한다.
도2의 실시예는 날개(15)가 서로간에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된것으로서 날개(15)가 있으면 병목에 걸어 놓았을 때 쉽게 빠지지 않으며 도시된것과 같이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 도2에서도 걸림공(16)을 형성하여 날개(15)가 걸치적 거리지 않도록 하였다.
도3은 또다른 형태를 도시한것으로서 제품수납부(13)를 물음표 혹은 막대 형상으로 만들었다. 도1 내지 도3의 제품들은 어느 것이나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13)를 가진것으로서 제품 그대로 물통이나 병의 목에 걸 수 있는 형태이다.
도4는 절취돌출부(17)를 따로 형성한 것으로서 본체(11)의 어느 한쪽 부분을 돌출하도록 하는데 절취돌출부(17)에서 제품수납부(13)와 테두리부(14)를 가로지르는 절취선을 형성하여 절취돌출부(17)를 잡고 뜯어내기 쉽도록 한다. 분홍색의 사각형에 해당하는 부분의 아래쪽으로 절취선을 형성하면 내용물을 쉽게 뜯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도5의 실시예는 본체(11)에 날개(15)가 없는 형태를 도시한다. 제품수납부(13)가 중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제품수납부(13) 전체가 도넛 형태를 하고 있으며 도넛의 고리를 병목 등에 끼워서 사용하게 된다. 날개를 만들게 되면 병목에 걸었을 때 제품수납부(13) 옆으로 돌아가거나 하지 않게 되지만 크기가 일정한 병목에 대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고리 형태로 만들어 제작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18)을 형성하지 않고 완전한 도넛 형태가 되도록 할
또한, 테두리부(14)는 도6과 같이 유명캐릭터의 모양을 본뜬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부(14)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부는 단순한 평면이 아닌 입체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테두리부(14)의 외부로 캐릭터부가 형성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다른 제품과의 결합상품으로 사용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캐릭터의 모양을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면 마케팅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는 캐릭터의 모양이 아니라 별모양이나 마케팅을 위한 기타 다양한 입체나 도형의 모양을 가질수 있다.
11:본체 12: 고리
13: 제품수납부 14:테두리부
15:날개 16:중심공
17: 절취돌출부 18: 입구부

Claims (7)

  1.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로서, 포장지의 본체(11)는 내용물을 담고 있는 제품수납부(13)를 둥그런 형태로 만들어 고리(12)를 형성하여 고리부분을 병의 목에 걸 수 있도록 한,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2. 제1항에 있어서, 제품수납부(13)의 외주에는 테두리부(14)가 형성되어 제품수납부(13)를 마감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3. 제2항에 있어서, 한쪽 끝단은 고리(12)의 안쪽에 부착이 되며 다른쪽 끝단은 고정되지 않은 날개(15)가 다수개 형성된,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4. 제3항에 있어서, 고리(12)의 안쪽에는 빈 중공형태의 중심공(16)이 형성되어 날개(15)의 끝부분이 병목에 걸리적 거리지 않도록 하는,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5. 제4항에 있어서, 제품수납부(13)는 열린 곡선의 형태로 제품수납부(13)의 안쪽공간에서 외부로 향하는 입구부(18)가 형성되어 병목에 걸기 쉽도록 하는,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6. 제5항에 있어서, 고리(12)의 한쪽부분이 바깥쪽으로 튀어 나와 절취돌출부를 형성하는,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7. 제6항에 있어서, 테두리부(14)와 테두리부(14)의 외주면중 어느 한 부분은 캐릭터,도안, 사물의 형태를 하도록 하는,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KR1020200154136A 2020-11-17 2020-11-17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KR102469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136A KR102469826B1 (ko) 2020-11-17 2020-11-17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136A KR102469826B1 (ko) 2020-11-17 2020-11-17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441A true KR20220067441A (ko) 2022-05-24
KR102469826B1 KR102469826B1 (ko) 2022-11-23

Family

ID=8180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136A KR102469826B1 (ko) 2020-11-17 2020-11-17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8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757U (ja) * 2001-07-31 2002-02-15 株式会社アトリエじゅうろく ストロー付きネックリンガー
KR101324003B1 (ko) * 2012-05-14 2013-10-31 도재혁 병목에 결합되는 광고 및 홍보가 가능한 희석음료 포장용기
JP2020503217A (ja) * 2016-12-30 2020-01-30 デイリー テ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接合中央部分を付帯した貯蔵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757B2 (ja) * 1996-03-28 2000-09-04 株式会社日本製鋼所 樹脂可塑化用シリンダの温度制御方法および温度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757U (ja) * 2001-07-31 2002-02-15 株式会社アトリエじゅうろく ストロー付きネックリンガー
KR101324003B1 (ko) * 2012-05-14 2013-10-31 도재혁 병목에 결합되는 광고 및 홍보가 가능한 희석음료 포장용기
JP2020503217A (ja) * 2016-12-30 2020-01-30 デイリー テ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接合中央部分を付帯した貯蔵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826B1 (ko)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0883B2 (en) Cap for a drinking straw
US6814990B2 (en) Beverage system
CN103796923B (zh) 可消费产品的包装件及其使用方法
US20060101648A1 (en) Disposable spoon
JP2001511026A (ja) 飲料製造用の煎じ出し装置
US20050184024A1 (en) Bottle-cap having an internal compartment
US7530186B2 (en) Article for displaying indicia and holding an object above a container lid
US6149955A (en) Snack food container and coin bank
ES2626384T3 (es) Recipiente que tiene un indicador de dispensación
KR20220067441A (ko)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제품 포장지
KR102418026B1 (ko)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포장지
JP2003081357A (ja) 飲料用混合容器
US20080308521A1 (en) Bottle/stick pack combination
KR20210002911U (ko) 고리 형태의 제품수납부를 갖는 포장지
KR20210153496A (ko) 돌출부에 거는 형태의 마케팅용 포장지
KR20210002826U (ko) 돌출부에 거는 형태의 마케팅용 포장지
US20170273341A1 (en) Flavor Enhancement System
JP3183716U (ja) 飲物セット構造
JP3138525U (ja) 収納ボックス付容器
CN208761277U (zh) 一种咖啡外带包装组合
WO2013155647A1 (zh) 一种创造互动式体验的包装及方法
CZ37013U1 (cs) Sestava uzávěru a lahve pro současnou úschovu dvou odlišných náplní
US2845194A (en) Stirrer assembly
JP2007076650A (ja) 液体用容器付属容器及び容器複合体
CN207467220U (zh) 一种多品种鱼子酱组合罐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